KR101923986B1 - Member for preventing bedsore - Google Patents
Member for preventing bedso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3986B1 KR101923986B1 KR1020180083835A KR20180083835A KR101923986B1 KR 101923986 B1 KR101923986 B1 KR 101923986B1 KR 1020180083835 A KR1020180083835 A KR 1020180083835A KR 20180083835 A KR20180083835 A KR 20180083835A KR 101923986 B1 KR101923986 B1 KR 1019239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ynthetic resin
- cover
- layer
- resin foam
- bedso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1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the fluid retention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loid, gel forming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with faecal cavi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387—Plasters use skin protection
- A61F2013/00404—Plasters use skin protection against blisters or bed so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53—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 A61F2013/00557—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detachable absorbent pa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7—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openable cov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31—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absorbing pads
- A61F2013/0074—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absorbing pads containing foa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48—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hydrocolloids or superabsorb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with faecal cavity
- A61F2013/495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with faecal cavity with vertical spacer or separator keeping other components out of cont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욕창방지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부와 접하는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과, 그 외면에 적층된 합성수지제 필름 소재의 커버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중앙부에 덮개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로서,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엉덩이의 중앙부위와 항문사이 및 양측 대퇴 천자부위 등에 부착시 환자의 대소변의 배설물이 스며들지 아니하며, 개구부를 통한 환자의 피부를 관찰하고 또한 욕창의 주요 발생 원인중의 하나인 압력을 받는 부위에 패드를 부착하여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욕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er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essure ulc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essure ulcer, which comprises a laminate having a pad layer of a synthetic resin foam material contacting skin and a cover layer of a synthetic resin film material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It is a structure in which possible openings are formed so that the excretion of the feces of the feces of the patient does not penetrate when adhering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hip where the pressure ulcer easily occurs and between the anus and the both femoral puncture sites and the skin of the patient through the opening is observed, Wherein the pad is attached to a part of the pressure receiving part, which is one of the causes, to reduce the pressure,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pressure ulcer.
일반적으로 욕창은 의식이 없는 환자, 뇌신경이나 척수신경 손상이 있어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나 또는 위중한 환자, 전신쇠약 환자 및 고령의 노인이나 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 등에서 잘 발생하며, 이러한 환자들은 일정한 자세로 계속 앉아 있거나 또는 누워 있을 때 압력이 가해지는 신체의 부위에 지속적이거나 또는 반복적으로 압력이 가해져 혈액 순환의 장애로 인해 피부와 그 하부의 조직에 손상이 유발되어도 불쾌감을 느끼지 못하며, 설령 불쾌감을 느낀다고 하여도 환자 자신이 자력으로 자세로 바꿀 기력이 없기 때문에 욕창이 발생하거나 또는 심해지기도 한다. In general, pressure ulcers occur in unconscious patients, patients who do not move due to cranial nerve or spinal nerve damage, or patients who are seriously ill, general weakness, elderly elderly or hospitalized patients, Continuous or repetitive pressure applied to the part of the body where the pressure is applied when sitting or lying causes no discomfort to the skin and underlying tissues caused by disturbance of blood circulation, There is also a risk that the patient may develop pressure sores or become worse because he or she does not have the energy to change to the posture by himself.
특히 장기간 누워서 지내는 환자들의 경우에는 대소변의 배설물을 받아내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욕창방지용 기저귀들이 개발되어 특허출원되고 있다. Especially, in case of patients who lie for a long period of time, various diapers for preventing pressure ulcer have been developed and patented for receiving feces of feces.
이러한 기저귀에 관한 선행특허문허들을 살펴보면, 특허문헌 1에 공개된 욕창예방용 기저귀 커버는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 커버(1)의 내면에 방수 시트(4)와 흡습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패드(4)를 겹친 적층체(5)를 상기 방수 시트(4)를 내측 지점에 설치하여 소변이 방수 시트(4)와 기저귀 커버(1) 사이에 스며들도록 한 구조이고, 특허문헌 2에 공개된 기저귀는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시트(11)의 외측에 방수 시트(12)를 구비한 기저귀 본체부(10)에서 항문이 위치하는 부위에 형성된 구멍(18)과 상기 구멍(18)으로부터 외측에 변을 수납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변대(20)가 구비된 구조에 관한 특허들이다. As shown in FIG. 1, the diaper cover disclosed in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욕창예방용 기저귀 커버는 소변을 패드(4)로 흡수하고, 특허문헌 2의 기저귀는 환자로부터 배출되는 대소변의 배출물을 기저귀 본체부(10)에 형성된 구멍(18)을 통해 변대(20)로 배출시킨다고는 하지만, 상기의 배출물들이 기저귀 내에서 완전히 처리되지 아니함에 따라 기저귀 내에서 누설된 환자의 배설물이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환자의 선골(仙骨) 부위에 빈번하게 접할 경우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diaper cover for preventing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문헌 3에 공개된 욕창용 시트는 도면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45)에 의해 욕창용 시트(41)를 점착시킨 액투과성의 톱시트(2)와 액불투과성의 백시트(3)로 이루어진 일회용 기저귀(1)가 알려져 있고, 상기 욕창용 시트(41)(도 3b에서는 부호 21임)는 도면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액성 시트재(22)에 형성된 통액구멍(23)에서 개구부의 가장자리가 통액성 시트재(22)의 한쪽 표면(26)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구조에 관한 특허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s disclosed in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3의 욕창용 시트는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기 보다는 이미 발생된 욕창의 치료를 위해 욕창 부위에 도포한 약품을 흡수하지 아니하고 휘발하는 것을 억제하고, 욕창의 환부로부터 발생하는 고름 등을 통액구멍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However, rather than aiming at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pressure ulcer, the pressure ulcer sheet of the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의 해결하고자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욕창방지용 부재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developing a pressure ulcer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pressure ulc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과, 그 외면에 적층된 합성수지제 필름 소재의 커버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중앙부에 덮개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로서,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엉덩이의 중앙부위와 항문사이 및 양측 대퇴 천자부위 등에 부착시 환자의 대소변의 배설물이 스며들지 아니하며, 개구부를 통한 환자의 피부의 관찰하고 또한 욕창의 주요 발생 원인중의 하나인 압력을 받는 부위에 패드를 부착하여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욕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minated body made of a synthetic resin foam material having a pad layer of a synthetic resin foam material and a cover layer of synthetic resin film material laminated on the pad layer, The feces discharged from the feces of the feces of the patient does not permeate during the adhesion between the central part of the hip where the pressure ulcer is likely to occur and the anus and between the ankles and both side femoral puncture sites and the skin of the patient through the opening is observ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mber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pressure ulcer,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pressure ulcer by attaching a pad to a pressure receiving portion, which is one of the causes, to reduce the pressure.
그리고,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을 무균 처리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합성수지제 발포폼에 하이드로 콜로이드를 함침시켜 상처 치료 효과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욕창의 발생 시에도 치료가 가능하며, 욕창방지용 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덮개를 열어 욕창의 치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treat the occurrence of a pressure ulcer by using a sterilized pad layer of a synthetic resin foam material as it is, or by impregnating a synthetic foam foam with hydrocolloid to provide a wound healing func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mber for preventing the pressure ulcer, which is capable of visually checking the treatment state of the pressure cushion by opening the cover of the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essure cushion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욕창방지용 부재로서의 용도 이외에도 일반적인 상처나 화상 등과 같은 외상의 치료 시에도, 욕창방지용 부재를 사용하여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덮개를 열어 외상의 치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함으로써 불필요한 치료 횟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한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use as a bed sores prevention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n the lid of the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by using the bed sores prevention member even when treating a wound such as a general wound or an image, so that the treatment state of the trauma can be visually confirmed,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can be reduc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피부와 접하는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과, 상기 합성수지제 발포층의 외면에 일체형으로 적층된 합성수지제 필름 소재의 커버층(20) 및, 상기 커버층(20)의 내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층(30)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로서, 상기 적층체는 중앙부에 패드층(10),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타공 점선이 형성된 점착층(30) 및 커버층(20)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된 덮개(4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개구부(50)를 형성시키고, 개폐구(5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덮개(40)를 열어 피부를 육안으로 관찰한 다음 덮개(40)를 개구부(50)에 끼움 결합에 의해 닫는 간편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부재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synthetic resin foam material, comprising: a pad layer (10) of synthetic resin foam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skin; a cover layer (20) of synthetic resin film material laminated integr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ynthetic resin foam layer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0) coated with an adhesi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layer (20), wherein the laminate has a pad layer (10) An
그리고, 커버층(20)은 가로 및 세로의 폭이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의 가로 및 세로의 폭보다 크고,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이 커버층(2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적층된다.The width of the
또한,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 및 점착층(30)의 외면에는, 상부 이형지(60) 및 하부 이형지(70)가 각각 적층된 구조이거나, 또는 하부 이형지(70)가 적층된 구조로서, 상기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은 하이드로 콜로이드를 함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부재에 의하면,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엉덩이의 중앙부위와 항문사이 및 양측 대퇴 천자부위 등에 부착시 환자의 대소변의 배설물이 스며들지 아니하며, 압력을 받는 부위에 부착하여 패드 역할로써 압력을 감소시키고 또한 개구부를 통한 환자의 피부의 관찰함으로써 욕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retion of the feces of the feces of the patient does not penetrate when adhering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hip where the pressure ulcer is likely to occur, between the anus and the both side femoral puncture sit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pressure ulcer by reducing the pressure as a pad and observing the skin of the patient through the opening.
그리고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을 무균 처리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합성수지제 발포폼에 하이드로 콜로이드를 함침시켜 상처 치료 효과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욕창의 발생 시에도 치료가 가능하며, 욕창방지용 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덮개를 열어 욕창의 치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sterilized pad layer of the synthetic resin foam material is used as it is, or the synthetic foam foam is impregnated with hydrocolloid to give a function of wound healing effect, so that the treatment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pressure ulcer is developed. The treatment of the pressure ulcer can be visually confirmed by opening the lid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또한, 욕창방지용 부재로서의 용도 이외에도 일반적인 상처나 화상 등과 같은 외상의 치료 시에도, 욕창방지용 부재를 사용하여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덮개를 열어 외상의 치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함으로써 불필요한 치료 횟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use as a sosis preventing member, even when treating a trauma such as a general wound or an image, the treatment of the trauma can be visually confirmed by opening the lid of the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using the sosis prevention member,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number of treatmen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욕창예방용 기저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욕창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창방지용 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욕창방지용 부재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욕창방지용 부재의 평면도.
도 7는 도 4의 욕창방지용 부재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창방지용 부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diaper for preventing bedsores.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sheet for a pressure ulcer.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osis preven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side view of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ember of Fig. 4; Fig.
Fig. 6 is a plan view of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ember of Fig. 4; Fig.
7 is a bottom view of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member of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osis preven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4 내지 도면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FIGS. 4 to 8,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componen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 of specific elements and functions of element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
참고로, 본 발명의 특허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인 '욕창방지용 부재'에서 '욕창방지용'이라 함은 환자의 피부에서 욕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란 의미로서 '욕창예방용'과 동일한 의미이다. For the sake of reference, the term 'preventing the bedsore' in the 'bedsore prevention member' as used in the patent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e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bedsores in the patient's skin,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부재(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적층체의 각 층을 설명할 때 '내면'이라 함은 환자의 피부와 접하는 쪽의 면을 의미하고, '외면'이라 함은 '내면'의 반대편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bed
도면 4 내지 도면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부재(100)는 피부와 접하는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 (10), 상기 합성수지제 발포층의 외면에 일체형으로 적층된 합성수지제 필름 소재의 커버층(20) 및, 상기 커버층(20)의 내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층(30)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로서, 상기 적층체는 중앙부에 패드층(10),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타공 점선이 형성된 점착층(30) 및 커버층(20)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된 덮개(4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개구부(50)를 형성시키고, 개폐구(5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덮개(40)를 열어 피부를 육안으로 관찰한 다음 덮개(40)를 개구부(50)에 끼움 결합에 의해 닫는 간편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to 8, the pressure
통상적으로 장기간 누워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기저귀 내에서 누설된 환자의 배설물이 스며들어 엉덩이의 중앙부위와 항문사이 및 양측 대퇴 천자부위에 신체의 압력이 가해지면서, 피부 및 그 피하조직이 짖물러지면서 손상되어 욕창이 발생하게 된다. In the case of a patient who has been ly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leakage of the patient leaking in the diaper infiltrates into the middle part of the hips and between the anus and the biceps femoral area, so that the skin and the subcutaneous tissues So that a pressure ulcer occurs.
본 발명의 특징은 도면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기간 누워있는 환자에게 환자의 배설물을 받아내기 위해 착용시키는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시키기 전에 먼저 환자의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피부의 부분에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부재(100)를 점착시킨 다음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시킴으로써, 환자가 일회용 기저귀 내에 배설한 대소변의 배설물이 욕창방지용 부재(100)에 의해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엉덩이의 중앙부위와 항문사이 및 양측 대퇴 천자부위 등의 부위에 스며들지 않도록 된 구조이므로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A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s shown in FIG. 8, before a disposable diaper to be worn for receiving a patient's body excretion is put on a long-lying patient, The disposable diapers discharged from the feces discharged into the disposable diaper by the patient are adher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hip where the pressure ulcer is likely to be generated by the pressure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은 환자의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피부의 부분에 접하는 면으로 욕창이 발생하는 피부로부터 배출되는 땀, 노폐물 또는 혈액 등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는 층으로 환자의 피부가 오염되지 않도록 살균처리한 무균 소재를 사용한다.The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패드층(10)은 합성수지제 소재를 발포시켜 폼의 형태로 구성된 소재로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제 폼 소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상기 패드층(10)은 합성수지제 소재의 폼에 하이드로 콜로이드(hydrophilic colloid)를 함침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하이드로 콜로이드는 욕창에서 발생하는 땀, 노폐물 또는 혈액 등을 흡수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욕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hydrophilic colloid)는 그 성분이 콜라겐(collagen),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메틸셀룰로오스(mthyl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cellulose) 또는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carboxymethylcelluse sodium)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 한정한 하이드로 콜로이드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갖는 소재일 경우에는 모두 사용되어질 수 있다. The hydrophilic colloi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ydrophilic colloid of which the compon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llagen, hydroxyethylcellulose, mthylcellulose, ethylcellulose or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Or more, and may be used in the case of a material having propertie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ydrocolloids defined abov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을 무균 처리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합성수지제 발포폼에 하이드로 콜로이드를 함침시켜 상처 치료 효과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욕창의 발생 시에도 치료가 가능하며, 욕창방지용 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50)의 덮개(40)를 열어 욕창의 치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작용을 한다.Therefore, the aseptic treatment of the pad layer of the synthetic resin foam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it is, or the synthetic foam foamed with the hydrocolloid can be impregnated with the function of the wound healing effect, , The
그리고, 커버층(20)은 도면 4 내지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 발포층의 외면에 일체형으로 적층된 합성수지제 필름 소재로 이루어진 층으로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을 고정시키고, 패드층(10)을 제외한 주변 부분의 커버층(20)이 환자의 피부에 밀착되어 점착되는 구조이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따라서, 커버층(20)은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의 폭이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의 가로 및 세로의 폭보다 크고,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이 커버층(2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적층되는 구조이므로 환자가 일회용 기저귀(80) 내에 대소변을 배설할 경우에도 환자의 피부와 접착된 커버층(20)에 의해 배설물이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환자의 피부에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the width of the
커버층(20)은 그 소재로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커버층(30)은 환부에 대한 살균 소독 및 치료의 효과가 부가하기 이해 커버층(2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제 필름 소재의 내면이나 또는 내면 및 외면에 요오드 화합물과 같은 살균력을 갖는 약품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점착층(30)은 커버층(20)의 내면에 점착제를 도포시킨 층으로, 커버층(20)이 환자의 피부에 접착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제는 인체에 무해한 점착제로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부재(100)는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과 커버층(20)이 적층된 적층체의 중앙부에 패드층(10), 점착층(30) 및 커버층(20)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된 덮개(4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개구부(50)를 형성시키고, 개구부(50)에 덮개(40)가 개폐가능하도록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로서, 환자의 피부에 욕창방지용 부재(100)를 접착시킨 다음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부위의 피부나 또는 욕창이 발생한 피부를 관찰할 경우 욕창방지용 부재(100)를 환자의 피부로부터 완전하게 분리시키지 않고, 개폐구(5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덮개(40)를 열어 피부를 육안으로 관찰한 다음 덮개(40)를 개구부(50)에 끼움 결합에 의해 닫는 간편한 구조인 것이 특징이다.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부재(100)는 적층체의 중앙부에 덮개(4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개구부(50)를 형성시키고, 개구부(50)에 덮개(40)가 개폐가능하도록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이므로 욕창방지용 부재로서의 용도 이외에도 일반적인 상처나 화상 등과 같은 외상의 치료 시에도, 욕창방지용 부재를 사용하여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50)의 덮개(40)를 열어 외상의 치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불필요한 치료 횟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the pressure
그리고, 욕창방지용 부재(100)는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 및 점착층(30)의 외면에는, 상부 이형지(60) 및 하부 이형지(70)가 각각 적층된 구조이거나, 또는 하부 이형지(70)가 적층된 구조이다.The
상부 이형지(60)는 커버층(20)의 외면의 주변부에 편자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인 일측 상부 이형지(60a)와 타측 상부 이형지(60b)로 분리하여 적층시키며, 상부 이형지를 편자 형상으로 한 것은 접착시 눈으로 직접보면서 손으로 두꺼운 편자부위를 잡아서 부착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The
하부 이형지(70)는 커버층(20)의 모양과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의 이형지로 욕창방지용 부재(100)가 외부의 세균으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층(20)의 내면에 적층시킨다. 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창방지용 부재를 아래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n anti-tympanic membrane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피부에 욕창방지용 부재(100)를 접착시키고자 할 때는 먼저 하부 이형지(70)를 적층체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환자의 욕창이 발생하였거나 또는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부위의 피부(예를 들면,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엉덩이의 중앙부위와 항문사이 및 양측 대퇴 천자부위 등의 부위)에 부착한 후, 환자의 피부에 욕창방지용 부재(100)를 접착시킨 다음 상부 이형지(60)를 적층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음 일회용 기저귀(80)를 착용시킨다. 8, in order to adhere the pressure-sensitive
따라서, 환자가 일회용 기저귀 내에 배설한 대소변의 배설물이 욕창방지용 부재(100)에 의해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엉덩이의 중앙부위와 항문사이 및 양측 대퇴 천자부위 등의 부위에 스며들지 않도록 된 구조이므로 욕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feces discharged from the feces discharged into the disposable diaper by the patient is structured such that it does not penetrate into the central region of the hip where the pressure ulcer is likely to be generated by the pressur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욕창방지용 부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욕창방지용 부재
10 : 패드층 20 : 커버층
30 : 점착층 40 : 덮개
50 : 개구부 60 : 상부 이형지
70 : 하부 이형지 80 : 일회용 기저귀100:
10: pad layer 20: cover layer
30: adhesive layer 40: cover
50: opening 60: upper release
70: lower release sheet 80: disposable diaper
Claims (4)
상기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의 외면에 일체형으로 적층된 합성수지제 필름 소재의 커버층(20) 및,
상기 커버층(20)의 내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층(30)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로서,
상기 적층체는 중앙부에 패드층(10),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타공 점선이 형성된 점착층(30) 및 커버층(20)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된 덮개(4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개구부(50)를 형성시키고, 개폐구(5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덮개(40)를 열어 피부를 육안으로 관찰한 다음 덮개(40)를 개구부(50)에 끼움 결합에 의해 닫는 간편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부재.
A pad layer 10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skin,
A cover layer 20 of a synthetic resin film material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d layer of the synthetic resin foam material,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0) coated with an adhesi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layer (20)
The laminate has a pad layer 10 at the center, an adhesive layer 30 having dotted lines corresponding to openings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not shown)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lid 40 integral with the cover layer 20 50) is formed on the cover (50), the cover (40) integrally formed in the cover (50) is opened to visually observe the skin and then the cover (40) Prevention member.
상기 커버층(20)은 가로 및 세로의 폭이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의 가로 및 세로의 폭보다 크고,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이 커버층(2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of the cover layer 20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ad layer 10 made of a synthetic resin foam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ad layer (10) of a synthetic resin foam material is laminated and arranged around the central part of the cover layer (20).
상기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 및 점착층(30)의 외면에는,
상부 이형지(60) 및 하부 이형지(70)가 각각 적층된 구조이거나,
또는 하부 이형지(70)가 적층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d layer 10 and the adhesive layer 30 of the synthetic resin foam material,
The upper release sheet 60 and the lower release sheet 70 may be stacked,
Or the lower releasing paper (70) are stacked.
상기 합성수지제 폼 소재의 패드층(10)은 하이드로 콜로이드를 함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부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d layer (10) of the synthetic resin foam material is impregnated with hydrocolloi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835A KR101923986B1 (en) | 2018-07-19 | 2018-07-19 | Member for preventing bedsore |
PCT/KR2019/000837 WO2020017720A1 (en) | 2018-07-19 | 2019-01-21 | Pressure ulcer prevention me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835A KR101923986B1 (en) | 2018-07-19 | 2018-07-19 | Member for preventing bedso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3986B1 true KR101923986B1 (en) | 2019-02-22 |
Family
ID=6558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3835A Active KR101923986B1 (en) | 2018-07-19 | 2018-07-19 | Member for preventing bedsor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3986B1 (en) |
WO (1) | WO2020017720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6319B1 (en) | 2019-05-09 | 2019-09-27 | 이근철 | Modified member for dressing of wound |
KR102022433B1 (en) | 2019-04-18 | 2019-11-25 | 이근철 | Modified member for preventing bedsore |
Citation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99816A (en) * | 1980-03-17 | 1983-08-23 | Spangler George M | Wound protector with transparent cover |
US4470410A (en) * | 1983-01-24 | 1984-09-11 | Alfred J. Smith, C.M. | Protective retaining device and method |
US5086763A (en) * | 1990-08-06 | 1992-02-11 | Hathman Johnnie L | Protective reclosable wound dressing |
JPH0833674A (en) * | 1994-07-26 | 1996-02-06 | Nichiban Co Ltd | Lesion patch material |
JP2001511396A (en) * | 1997-07-31 | 2001-08-14 |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 Improved wound dressing |
JP2003033383A (en) * | 2001-05-04 | 2003-02-04 | Hollister Inc | Adhesive wafer for using as faceplate of mounting appliance for artificial stoma or wound covering material |
JP3614371B2 (en) | 2001-02-22 | 2005-01-26 | 和子 中川 | Diaper cover for pressure ulcer prevention |
JP2006311913A (en) * | 2005-05-09 | 2006-11-16 | Ichikawa Kosan Kk | Hemostatic patch |
US20070043316A1 (en) * | 1998-06-15 | 2007-02-22 | Tamarack Habilitation Technologies, Inc. | Self-adhering friction reducing liner and method of use |
JP2008054818A (en) * | 2006-08-30 | 2008-03-13 | Nichiban Co Ltd | Bedsore-preventing pad |
JP4815183B2 (en) | 2005-10-05 | 2011-11-16 | 王子ネピア株式会社 | Pressure ulcer sheet |
KR101426740B1 (en) * | 2014-02-18 | 2014-08-05 |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 Dressing containing punched adhesive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JP5734242B2 (en) | 2012-06-20 | 2015-06-17 | 株式会社ユニケア | Diapers |
US20150173758A1 (en) * | 2013-06-07 | 2015-06-25 | Deva Medical Ventures Limited | Sutureless wound closure |
KR20160118877A (en) * | 2015-04-03 | 2016-10-12 |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 Adhesive dressing and method of preparing it |
-
2018
- 2018-07-19 KR KR1020180083835A patent/KR101923986B1/en active Active
-
2019
- 2019-01-21 WO PCT/KR2019/000837 patent/WO202001772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99816A (en) * | 1980-03-17 | 1983-08-23 | Spangler George M | Wound protector with transparent cover |
US4470410A (en) * | 1983-01-24 | 1984-09-11 | Alfred J. Smith, C.M. | Protective retaining device and method |
US5086763A (en) * | 1990-08-06 | 1992-02-11 | Hathman Johnnie L | Protective reclosable wound dressing |
JPH0833674A (en) * | 1994-07-26 | 1996-02-06 | Nichiban Co Ltd | Lesion patch material |
JP2001511396A (en) * | 1997-07-31 | 2001-08-14 |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 Improved wound dressing |
US20070043316A1 (en) * | 1998-06-15 | 2007-02-22 | Tamarack Habilitation Technologies, Inc. | Self-adhering friction reducing liner and method of use |
JP3614371B2 (en) | 2001-02-22 | 2005-01-26 | 和子 中川 | Diaper cover for pressure ulcer prevention |
JP2003033383A (en) * | 2001-05-04 | 2003-02-04 | Hollister Inc | Adhesive wafer for using as faceplate of mounting appliance for artificial stoma or wound covering material |
JP2006311913A (en) * | 2005-05-09 | 2006-11-16 | Ichikawa Kosan Kk | Hemostatic patch |
JP4815183B2 (en) | 2005-10-05 | 2011-11-16 | 王子ネピア株式会社 | Pressure ulcer sheet |
JP2008054818A (en) * | 2006-08-30 | 2008-03-13 | Nichiban Co Ltd | Bedsore-preventing pad |
JP5734242B2 (en) | 2012-06-20 | 2015-06-17 | 株式会社ユニケア | Diapers |
US20150173758A1 (en) * | 2013-06-07 | 2015-06-25 | Deva Medical Ventures Limited | Sutureless wound closure |
KR101426740B1 (en) * | 2014-02-18 | 2014-08-05 |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 Dressing containing punched adhesive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20160118877A (en) * | 2015-04-03 | 2016-10-12 |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 Adhesive dressing and method of preparing it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2433B1 (en) | 2019-04-18 | 2019-11-25 | 이근철 | Modified member for preventing bedsore |
WO2020213810A1 (en) | 2019-04-18 | 2020-10-22 | 이근철 | Enhanced bedsore prevention member |
CN112689489A (en) * | 2019-04-18 | 2021-04-20 | 李槿哲 | Improved bedsore-proof component |
JP2022502101A (en) * | 2019-04-18 | 2022-01-11 | チョル リ,クン | Improved pressure ulcer prevention member |
US20220023104A1 (en) * | 2019-04-18 | 2022-01-27 | Keun Cheol LEE | Modified member for preventing bedsore |
EP3957286A4 (en) * | 2019-04-18 | 2022-07-20 | Keun Cheol Lee | Enhanced bedsore prevention member |
US12207991B2 (en) | 2019-04-18 | 2025-01-28 | Keun Cheol LEE | Modified member for preventing bedsore |
KR102026319B1 (en) | 2019-05-09 | 2019-09-27 | 이근철 | Modified member for dressing of wound |
WO2020226254A1 (en) | 2019-05-09 | 2020-11-12 | 이근철 | Improved wound dressing member |
CN113784694A (en) * | 2019-05-09 | 2021-12-10 | 李槿哲 | Improved wound treatment member |
EP3954348A4 (en) * | 2019-05-09 | 2022-07-20 | Keun Cheol Lee | IMPROVED DRESSING EL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017720A1 (en) | 2020-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820862T3 (en) | A medical dressing | |
US6770793B2 (en) | Disposable absorbent wound dressing with skin health treatment additives | |
US9775747B2 (en) | Wound barrier pad | |
WO201100836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incisions | |
KR102022433B1 (en) | Modified member for preventing bedsore | |
KR101923986B1 (en) | Member for preventing bedsore | |
EP3954348B1 (en) | Improved wound dressing member | |
JP6927587B2 (en) | Surgical bandage with fixing element | |
US20210368892A1 (en) | Underpants for patient with bedsores | |
JP4815183B2 (en) | Pressure ulcer sheet | |
MX2007007390A (en) | Absorbent pad. | |
KR20040062479A (en) | The sanitary band strengthened a stability and sanitation | |
CN213373013U (en) | Band-aid with aseptic cotton | |
KR20240062363A (en) | Diaper for patient | |
KR20200073555A (en) | The pad for treatment of pressure ulcers | |
CA2820504C (en) | Wound barrier pad | |
KR200273783Y1 (en) | A sanitary band with activated carbon fiber sheet | |
EP4539752A2 (en) | Elev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of use | |
KR200271841Y1 (en) | A hygienic band with sterilization function | |
US20180055680A1 (en) | Life application patch | |
JPH0780084A (en) | Method for using low-frequency treating device and attachment for low-frequency treating device | |
KR20190102720A (en) | Rostellum pad | |
Tegagen | New Product Report 1999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7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1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1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0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