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534B1 -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3534B1 KR101923534B1 KR1020120058525A KR20120058525A KR101923534B1 KR 101923534 B1 KR101923534 B1 KR 101923534B1 KR 1020120058525 A KR1020120058525 A KR 1020120058525A KR 20120058525 A KR20120058525 A KR 20120058525A KR 101923534 B1 KR101923534 B1 KR 1019235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e
- stack
- electrical
- pads
- dimensional stack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724291 Tobacco streak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핸들링 다이를 도 1의 다이의 패터닝된 도전층에 실장한 이후의 도 1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다이의 기판의 하부 일부가 제거되어, 향상된 핸들링 다이를 생성한 이후의 도 2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구조가 도 1의 다이와 유사한 다른 다이가 최상부 상에 실장된 이후의 도 3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다이의 기판의 하부 일부가 제거되어 적층 다이를 형성한 도 4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제1 3차원 적층 다이를 형성하는 도 4 및 도 5 의 공정 단계들을 반복한 결과들을 나타낸다.
도 7은 노출된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적층 다이를 생성하는 도 6의 핸들링 다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 이후의 도 6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노출된 표면 상에 유전 물질이 증착되어, 제3 3차원 적층 다이를 생성한 이후의 도 7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접지 도전체 및 전기적 도전체 위치들에 정렬된 유전 물질 내에 개구들을 생성한 이후의 도 8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은 제1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고, 하나의 층을 통해 식각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2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고, 2개의 층들을 통해 식각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은 제3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및 각 레벨로 하향 연장되는 비아들을 생성하는 4개의 층들을 통해 식각한 결과들을 나타낸다.
도 13에서 제3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는 비아들의 식각을 수반하여 제거된다.
도 14는 유전 물질로는 식각된 비아들을 라이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4의 정렬된 식각된 비아들을 커버하지만, 접지 도전체 위치 및 하향 레벨들에서 최하부 도전체 레벨을 통해 식각한 결과를 노출시키는 제4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나타낸다.
도 16은 제4 포토레지스트 마스크의 제거를 수반하는 기판 층들의 등방성 식각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7은 노출된 유전 물질의 후방 식각을 수반하여 확장된 접지 도전체 비아를 생성하는 도 16의 단계에서 형성되는 매입 영역들 내부에 증착된 전기적으로 절연된 물질을 나타낸다.
도 18은 적합한 전기적 도전체를 구비하는 비아들을 충진하여, 콘택 패드들 및 적층 집적 회로 어셈블리의 최상부 상에 핸들링 다이를 함께 구비하는 3차원 적층 집적 회로 어셈블리를 생성한 이후의 도 17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9, 도 20 및 도 21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적 콘택 영역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 회로를 구비하는 영역들을 포함하는 다이의 3개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평면도들이다.
도 22는 다이 영역들을 표시하는 격자 라인들을 구비하는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상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웨이퍼로부터 하나의 다이의 측단면도이다.
도 24는 각 90%의 우수한 다이 및 10%의 불량 다이를 구비하는 4개의 상이한 웨이퍼들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5는 적어도 하나의 불량 다이를 구비하는 각 다이 영역 내의 우수한 다이의 수의 표시를 구비하는 도 24의 4개의 웨이퍼들을 적층한 결과들을 나타낸다.
20: 활성 장치 회로 22: 패터닝된 도전층
24.0-24.7: 전기적 도전체들 26: 유전층
28: 기판 30: 하드 마스크층
32: 상부층 34: 핸들링 다이
36: 하부 부분 38: 향상된 핸들링 다이
40: 연결 표면 41: 잔류 기판
42: 다이 46: 적층 다이
48: 제1 3차원 적층 다이 50: 제2 3차원 적층 다이
52: 노출된 표면 54, 94: 유전 물질
56: 제3 3차원 적층 다이 57: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58: 개구들 60.1-60.7: 전기적 커넥터들
66: 제1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72: 제2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68, 70, 74, 76, 80, 82, 84, 86: 제1 내지 제7 레벨들
92: 수정된 비아들 120: 집적 회로 웨이퍼
122: 격자 라인들 123: 다이 영역들
124: 불량 다이 126: 우수한 다이
Claims (25)
- W개의 집적 회로 다이(die)들의 스택(stack)을 구비하고, 상기 스택의 각 다이는 기판 상부의 패터닝된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은 전기적 콘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전기적 도전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도전체들의 적어도 하나는 랜딩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들의 스택은 상기 스택의 일측 단부에서 제1 다이 및 상기 스택의 타측 단부에서 제2 다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다이의 기판은 상기 제2 다이의 패터닝된 도전층에 대향하고,
각 다이 상의 상기 랜딩 패드들은 상기 스택 내의 다른 다이 상의 랜딩 패드들에 대해 정렬되며,
상기 다이들의 스택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다이들의 스택 내로 상기 랜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W개의 다이 레벨들을 갖는 3차원 스택 멀티칩 모듈을 형성하는 전기적 커넥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적 커넥터들은 균일한 도전성 물질의 길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전기적 커넥터는 하나의 다이 레벨의 하나의 랜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커넥터들은 상기 랜딩 패드들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장치 회로 위치에서 장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를 위한 상기 장치 회로는 상기 다이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상기 장치 회로의 상이한 측부들 상에서 상기 다이의 제1 및 제2 부분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를 위한 상기 장치 회로는 상기 다이의 이격되는 제1 및 제2 부분을 점유하고,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제3 부분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의 패터닝된 도전층 상부에 물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커넥터들은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들에서 수직 비아들(vias)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커넥터들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랜딩 패드들은 계단형 단차 배열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스택을 구비하며,
각 집적 회로 웨이퍼는 다이 영역들의 격자(grid)를 포함하고,
각 집적 회로 웨이퍼를 위한 다이 영역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스택의 다른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다이 영역들에 대해 정렬되며,
각 다이 영역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 웨이퍼 모듈. - W개의 집적 회로 다이들의 스택을 구비하고, 상기 스택 내의 각 다이는 기판 상부에 패터닝된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은 전기적 콘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전기적 도전체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다이들을 위한 상기 전기적 도전체들의 적어도 하나는 랜딩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장치 회로 위치에서 장치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들의 스택은 상기 스택의 일측 단부에서 제1 다이 및 상기 스택의 타측 단부에서 제2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의 기판은 상기 제2 다이의 패터닝된 도전층에 대향하고,
상기 제1 다이의 패터닝된 도전층 상부의 물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다이들의 스택 내의 각 다이 상의 상기 랜딩 패드들은 정렬되고,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들에서 수직 비아들을 통과하여 상기 다이들의 스택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다이들의 스택 내로 상기 랜딩 패드들 중에서 선택된 것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W개의 다이 레벨들을 갖는 3차원 스택 멀티칩 모듈을 형성하는 전기적 커넥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각 전기적 커넥터는 하나의 다이 레벨의 하나의 랜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랜딩 패드들의 선택된 것들은 계단형 단차 배열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스택을 구비하고,
각 집적 회로 웨이퍼들는 다이 영역들의 격자를 포함하며,
각 집적 회로 웨이퍼를 위한 상기 다이 영역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스택의 다른 집적 회로 웨이퍼들에 다이 영역들에 대해 정렬되고,
복수의 상기 다이 영역들의 적어도 일부들은 각기 청구항 제11항에 따른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 웨이퍼 모듈. - W개의 집적 회로 다이들의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세트 내의 각 다이는 패터닝된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은 전기적 콘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랜딩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 상부의, 상기 세트 내의 선택된 다이에 핸들링 다이(handling die)를 실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된 다이의 노출된 층을 제거하여 향상된 핸들링 다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세트 내의 모든 다이들이 실장될 때까지 3차원 적층 다이를 형성하도록 상기 실장 및 제거 단계들을 각 반복 과정에서 상기 향상된 핸들링 다이를 이용하여 반복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각 다이 상의 상기 랜딩 패드들이 상기 세트 내의 상기 다이들의 랜딩 패드들에 대해 정렬되며,
상기 3차원 적층 다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세트 내의 각 다이에 정렬된 랜딩 패드들에 접촉하여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을 형성하도록 커넥터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각 커넥터는 하나의 다이 레벨의 하나의 랜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장치 회로 위치에서 장치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다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다이를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핸들링 다이와 상기 다이 사이에 유전, 접착-강화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이 위치하는 제1 측부와 상기 제1 측부에 대향하는 제2 측부를 갖는 기판을 포함하는 다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선택된 다이의 노출된 층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의 제2 측부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로부터 상기 핸들링 다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노출된 표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듈의 상기 표면을 통해 콘택 개구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콘택 개구들은 각 다이 레벨을 위한 전기적 도전체의 랜딩 패드 상부에 위치하며,
N(N은 2N-1이 W보다 작고, 2N이 W보다 크거나 동일함)개의 식각 마스크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N개의 마스크들을 이용하여 상기 W개의 다이 레벨들까지 상기 콘택 개구들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N개의 마스크들을 이용하는 단계는 각 마스크를 위한 상기 콘택 개구들의 절반을 위해 2n-1(n=1, 2, …, N)개의 다이 레벨들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전기적 도전체들이 상기 각 다이 레벨에서 랜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콘택 개구들 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다이를 제거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유전 물질로 상기 모듈의 표면을 덮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콘택 개구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전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식각 마스크들을 이용하는 단계는 각 마스크를 위한 2n-1(n=1, 2, …, N)개의 랜딩 패드들을 교대로 덮고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 W개의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세트 내의 각 웨이퍼는 다이 영역들의 격자를 포함하며, 각 다이 영역은 패터닝된 도전층을 갖는 집적 회로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은 전기적 콘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랜딩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들 상부의, 상기 세트 내의 선택된 웨이퍼에 핸들링 웨이퍼를 실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된 웨이퍼의 노출된 층을 제거하여 향상된 핸들링 웨이퍼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세트 내의 모든 웨이퍼들이 실장될 때까지 3차원 적층 다이의 격자를 포함하는 3차원 적층 웨이퍼를 형성하도록, 상기 실장 및 제거 단계들을 각 반복 과정에서 상기 향상된 핸들링 웨이퍼를 이용하여 반복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각 다이 상의 상기 랜딩 패드들이 상기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세트 내의 다른 다이 상의 랜딩 패드들에 대해 정렬되며,
상기 3차원 적층 웨이퍼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정렬된 랜딩 패드들에 접촉하여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격자를 형성하도록 커넥터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격자를 개별적인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로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각 커넥터는 하나의 다이 레벨의 하나의 랜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형성 방법.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적층 웨이퍼의 표면을 통해 콘택 개구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콘택 개구들은 복수의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각 다이 레벨을 위한 전기적 도전체들의 랜딩 패드들의 상부에 위치하며,
N(N은 2N-1이 W보다 작고, 2N이 W보다 크거나 동일함)개의 식각 마스크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N개의 마스크들을 이용하여 상기 W개의 다이 레벨들까지 상기 콘택 개구들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N개의 마스크들을 이용하는 단계는 각 마스크를 위한 상기 콘택 개구들의 절반을 위한 2n-1(n=1, 2, …, N)개의 다이 레벨들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전기적 도전체들이 상기 각 다이 레벨들에서 랜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콘택 개구들 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형성 방법.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식각 마스크들을 이용하는 단계는 각 마스크를 위한 2n-1(n=1, 2, …, N)개의 랜딩 패드들을 교대로 덮고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택 개구들은 상기 각 다이 레벨들에서 랜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형성 방법.
- 다이들의 스택을 구비하고, 상기 스택 내의 각 다이는 기판 상부의 전기적 콘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복수의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들의 스택은 상기 스택의 일측 단부에서 제1 다이와 상기 스택의 타측 단부에서 제2 다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이의 기판은 상기 제2 다이의 복수의 패드들에 대향하고,
각 다이 상의 상기 복수의 패드들은 상기 스택 내의 다른 다이 상의 패드들에 정렬되며,
상기 다이들의 스택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다이들의 스택 내로 랜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W개의 다이 레벨들을 갖는 3차원 스택 멀티칩 모듈을 형성하는 전기적 커넥터들을 구비하고, 각 전기적 커넥터는 상기 다이들의 스택 내의 하나의 패드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전기적 커넥터는 하나의 다이 레벨의 하나의 랜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비아들을 통해 상기 제1 다이 상의 복수의 패드들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다이 상의 복수의 패드들의 대응되는 패드들에 연결되는 균일한 전기적 도전성 물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8525A KR101923534B1 (ko) | 2012-05-31 | 2012-05-31 |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형성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8525A KR101923534B1 (ko) | 2012-05-31 | 2012-05-31 |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형성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4772A KR20130134772A (ko) | 2013-12-10 |
KR101923534B1 true KR101923534B1 (ko) | 2019-02-27 |
Family
ID=4998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8525A Active KR101923534B1 (ko) | 2012-05-31 | 2012-05-31 |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형성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353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16400A (ja) * | 2007-06-29 | 2009-01-22 | Toshiba Corp | 積層配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0212297A (ja) * | 2009-03-06 | 2010-09-24 | Toshiba Corp |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US20110084397A1 (en) * | 2009-10-14 | 2011-04-14 |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 3d integrated circuit layer interconnect |
-
2012
- 2012-05-31 KR KR1020120058525A patent/KR10192353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16400A (ja) * | 2007-06-29 | 2009-01-22 | Toshiba Corp | 積層配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0212297A (ja) * | 2009-03-06 | 2010-09-24 | Toshiba Corp |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US20110084397A1 (en) * | 2009-10-14 | 2011-04-14 |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 3d integrated circuit layer interconnec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4772A (ko) | 2013-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70047B2 (en) | Method for creating a 3D stacked multichip module | |
JP6175701B2 (ja) | 3d積層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 |
JP5779652B2 (ja) | 補強シリコン貫通ビアを備える半導体チップ | |
US8421193B2 (en) |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through vi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
US20110133339A1 (en) |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US20120168935A1 (en) |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
CN113838823B (zh) | 晶片键合结构及其制作方法 | |
US8906781B2 (en) |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afers using butting contact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ed through the same | |
CN114783984A (zh) | 三维集成装置及其制作方法 | |
CN103456716B (zh) | 三维多芯片叠层模块及其制造方法 | |
EP2672511B1 (en) | 3d stacked multichip module and method of fabrication | |
US9293440B2 (en) | Method for interconnecting die and substrate in an electronic package | |
CN110808277A (zh) | 晶圆结构及其制备方法 | |
CN102931156B (zh) | 半导体芯片的构造及制作方法 | |
US7871857B1 (en) | Methods of forming multi-chip semiconductor substrates | |
US9219053B1 (en) | Three dimensional stacked multi-chip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923534B1 (ko) |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형성 방법 | |
WO2022261806A1 (zh) | 芯片堆叠结构以及制作方法、晶圆堆叠结构、电子设备 | |
US20130313710A1 (en) | Semiconductor Constructions and Methods of Forming Semiconductor Constructions | |
CN118213358A (zh) | 芯片集成结构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 |
CN209896057U (zh) | 半导体结构 | |
KR20110136122A (ko) |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제조 방법 | |
CN115997285A (zh) | 硅通孔结构的制备方法和硅通孔结构 | |
TWI467725B (zh) | 三維多晶片堆疊模組及其製造方法 | |
KR101054492B1 (ko) | 적층용 단위 칩의 제조방법과, 단위 칩을 이용한 3차원 적층 칩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3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5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1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0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5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