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3534B1 -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534B1
KR101923534B1 KR1020120058525A KR20120058525A KR101923534B1 KR 101923534 B1 KR101923534 B1 KR 101923534B1 KR 1020120058525 A KR1020120058525 A KR 1020120058525A KR 20120058525 A KR20120058525 A KR 20120058525A KR 101923534 B1 KR101923534 B1 KR 101923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stack
electrical
pads
dimensional stack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772A (ko
Inventor
시-훙 첸
Original Assignee
매크로닉스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크로닉스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매크로닉스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20058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53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5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은 W개의 집적 회로 다이의 스택을 포함한다. 각 다이는 전기적 도전체들과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기판 상부의 장치 회로를 갖는 전기적 콘택 영역을 포함하는 패터닝된 도전층을 구비한다. 적층 다이의 전기적 도전체들은 정렬된다. 전기적 커넥터들은 스택 내로 연장되어 전기적 도전체들 상의 랜딩 패드들에 접촉하여,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을 형성한다. 전기적 커넥터들은 전기적 콘택 영역들 내의 수직 비아들을 통과할 수 있다. 랜딩 패드들은 계단형 단차 정렬로 정렬될 수 있다. 적층 멀티칩 모듈은 2N-1이 W보다 작고 2N은 W보다 크거나 동일한 N개의 식각 마스크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각 마스크를 위한 2n-1(n=1,2, , N)개의 랜딩 패드들을 교대로 덮고 노출시키는 식각 마스크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형성 방법{METHOD FOR CREATING A 3D STACKED MULTICHIP MODULE}
본 발명은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3차원 적층 멀티 웨이퍼 모듈 및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차원(3D) 적층 집적 회로(IC)의 하나의 형태는 수직적으로 적층되고 연결되는 많은 반도체 다이(die)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결합되어 개별적인 3차원 집적 회로들을 형성한다. 외측 연결 패드들로부터 상기 3차원 집적 회로들의 전기적 도전체들까지 및 상기 3차원 집적 회로들의 상이한 층들의 전기적 도전체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들은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칩들의 가장 자리들의 배선 연결 방법은 계단형 단차 방식으로 엇갈릴 수 있다. 이는 외측 연결 배선들을 칩 상의 패드들과 기판 상의 패드들 사이에 연결되도록 한다.
적층 칩들 사이에 전기적 연결들을 형성하기 위한 실리콘 관통 비아(through-silicon via, TSV)라 일컬어지는 다른 방법은 상당히 관심을 받고 있다. 실리콘 관통 비아(TSV)에 의해 적층된 칩들을 상호 연결하는 점은 종래의 외측 배선 연결 기술들에 비해 몇 가지 이점들을 가진다. 실리콘 관통 비아(TSV)의 적층 칩은 넓은 밴드갭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외측 배선 연결 기술들로 비아에 연결되는 적층 칩들과 비교해 볼 때, 큰 입력/출력을 가진다. 실리콘 관통 비아(TSV)로서 속도를 향상시키고 및 낮은 전력을 소모하는 보다 짧은 연결 경로가 가능하다.
실리콘 관통 비아는 분리되어 정렬된 다이 또는 다이싱된 후의 웨이퍼 스케일 적층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저비용, 고생산성을 제공하지만, 칩들의 스택 내의 하나의 칩의 실패는 낮은 수율을 도출하지 못하는 스택을 야기하므로, 수율 문제들이 있다. 또한, 가늘게 만든 웨이퍼들을 취급하는 것은 손상되거나 파괴된 제품을 야기할 수 있는 제조 공정의 문제이다. 실리콘 관통 비아는 또한 다이 스케일 적층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높은 비용에서도 상대적으로 취급하기 쉽다는 이점을 갖는다.
종래의 실리콘 관통 비아의 다른 단점은 통상적인 실리콘 관통 비아 공정은 각 다이 또는 웨이퍼에 대해 11개의 단계(실리콘 관통 비아 포토레지스트 증착, 실리콘 관통 비아 식각, 실리콘 이산화물 증착, 장벽 시드(barrier seed) 증착, 포토레지스트 패터닝, 구리(Cu)/텅스텐(W) 증착. 포토레지스트 제거, 구리(Cu)/텅스텐(W) 화학적 기계적 연마, 지지/핸들링 다이 연결, 다이 박막화(thinning) 및 연결)를 필요로 한다. 상술한 모든 단계들에 요구되는 시간 및 비용뿐만 아니라, 각 다이를 위해 요구되는 핸들링 및 처리는 보다 낮은 수율을 야기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3차원 적층 멀티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실시예는 W개의 집적 회로 다이의 스택을 포함한다. 상기 스택 내의 각 다이는 기판 상의 패터닝된 도전층을 구비한다.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은 전기적 콘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전기적 도전체들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적 도전체들의 적어도 하나는 랜딩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의 스택은 상기 스택의 일측 단부에 제1 다이와 상기 스택의 다측 단부에 제2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의 기판은 상기 제2 단부의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에 대향된다. 각 다이 상의 상기 랜딩 패드들은 상기 스택 내의 다른 다이 상의 랜딩 패드들에 정렬된다. 전기적 커넥터들은 상기 다이의 스택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다이의 스택 내에서 상기 랜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W개의 다이 레벨들을 갖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을 형성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음과 같은 기재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커넥터들은 상기 랜딩 패드들에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다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장치 회로 위치에서 장치 회로를 포함한다. 물질층은 상기 제1 다이의 패터닝된 도전층 상에 위치한다. 상기 전기적 커넥터들은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들에서 수직 비아들을 통과한다. 각 전기적 커넥터는 하나의 다이 레벨의 하나의 랜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전기적 커넥터들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랜딩 패드들은 계단형 단차 정렬로 정렬된다.
3차원 적층 멀티 웨이퍼 모듈의 실시예는 적층 회로 웨이퍼들의 스택을 포함하며, 각 집적 회로 웨이퍼는 다이 영역들의 격자를 포함한다. 각 집적 회로 웨이퍼를 위한 상기 다이 영역들의 적어도 일부는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상기 스택의 상기 다른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다이 영역들에 정렬된다. 각 다이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은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을 포함한다.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방법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W개의 집적 회로 다이의 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세트 내의 각 다이는 패터닝된 도전층을 포함한다.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은 랜딩 패드들을 갖는 전기적 콘택 영역을 포함한다. 핸들링 다이는 상기 세트 내의 선택된 다이에 실장된다. 각 반복 과정에서 향상된 핸들링 다이를 사용하여 상기 실장 및 제거 단계들이 반복된다. 이러한 반복 수행에 따라, 각 다이 상의 상기 랜딩 패드들은 상기 세트 내의 모든 다이들이 실장될 때까지 각 다이 상의 랜딩 패드들은 상기 세트 내의 다른 다이 상의 랜딩 패드들에 정렬된다. 커넥터들은 상기 3차원 적층 다이를 통해서 상기 모듈의 표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세트 내의 각 다이에서 정렬된 랜딩 패드들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W개의 다이 레벨들을 구비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이 형성된다.
제1 방법의 실시예들은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음의 기재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장치 회로 위치에서 장치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다이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수행된다. 상기 핸들링 다이를 실장하는 단계는 핸들링 다이와 상기 다이 사이에 유전층, 접착-강화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다이는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이 위치하는 제1 측부, 상기 제1 측부에 대향하는 제2 측부, 상기 기판의 상기 제2 측부로부터 제거되는 노출된 층을 구비하는 기판을 포함하도록 선택된다. 상기 핸들링 다이의 적어도 일부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로부터 제거되어 노출된 표면을 형성한다. 각 다이 레벨을 위한 상기 전기적 도전체의 랜딩 패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콘택 개구들은 표면 내에 형성되고, N개의 식각 마스트들의 세트는 2N-1은 W보다 작고, 2N은 W보다 크거나 작게 선택되며, 상기 N개의 마스크들을 사용하여 상기 W개의 다이 레벨들까지 콘택 개구들을 식각하고, 상기 N개의 마스크들을 이용하는 단계는 각 마스크를 위한 상기 콘택 개구들의 실질적인 절반을 위하여 2n-1(n=1, 2, …, N)개의 다이 레벨들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기적 도전체들은 상기 각 다이 레벨들에서 전기적 도전체 요소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콘택 개구들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은 핸들링 다이 제거 단계 이후에 유전 물질에 의해서 덮이고, 상기 콘택 개구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각 마스크를 위한 2n-1(n=1, 2, …, N)개의 랜딩 패드들을 교대로 덮고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을 생성하기 위한 제2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W개의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세트 내의 각 웨이퍼는 다이 영역들의 격자를 포함한다. 각 다이 영역은 패터닝된 도전층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다이를 구비하고,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은 전기적 콘택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을 랜딩 패드들을 구비한다. 핸들링 웨이퍼는 상기 패터닝 도전층들 상에 상기 세트 내의 선택된 웨이퍼에 실장된다. 상기 선택된 웨이퍼의 노출된 층은 제거되어, 향상된 핸들링 웨이퍼를 형성한다. 상의 상기 랜딩 패드들은 상기 세트 내의 모든 웨이퍼들이 실장될 때까지, 각 반복 과정에서 향상된 핸들링 웨이퍼를 사용하여 상기 실장 및 제거 단계들이 반복되어, 각 다이의 랜딩 패드들이 상기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세트 내의 상기 다른 다이 상의 랜딩 패드들에 정렬된다. 이에 따라 3차원 적층 다이의 격자를 포함하는 3차원 적층 웨이퍼가 형성된다. 정렬된 랜딩 패드들에 접촉하는 3차원 적층 웨이퍼의 표면으로부터의 커넥터들은 형성되어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격자를 형성한다. 상기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격자를 개별적인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로 물리적으로 분리시킨다.
제2 방법의 실시예들은 또한 다음과 같이 수행되는 커넥터들의 수행 단계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각 다이 레벨을 위한 상기 전기적 도전체들의 랜딩 패드들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콘택 개구들은 상기 3차원 적층 웨이퍼의 상기 표면을 통해서 생성된다. N개의 식각 마스크들의 세트는 2N-1은 W보다 작고, 2N은 W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선택된다. 상기 N개의 마스크들을 사용하여 각 마스크를 위한 상기 콘택 개구들의 실질적인 절반을 위하여 2n-1(n=1, 2, …, N)개의 다이 레벨들을 식각하여, W개의 다이 레벨들까지 상기 콘택 개구들을 식각한다. 상기 전기적인 도전체들은 상기 각 다이 레벨들에서 랜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콘택 개구들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법의 실시예들은 또한, N개의 식각 마스크들을 사용하는 단계가 각 마스크를 위한 대한 2n-1(n=1, 2, …, N)개의 랜딩 패드들을 교대로 덮고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측면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를 참조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집적 회로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웨이퍼 내의 집적 회로와 외측 패드들을 연결하는 연결 경로를 크게 감소시킨다. 따라서, 각 다이는 보다 많은 전기적 콘택 영역들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메모리 밀도와 보다 낮은 비트당 가격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을 형성하고, 패터닝된 도전층 내에 전기적 콘택 영역을 축소된 스케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기적 콘택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장치 회로를 나타내기 위해 적합한 다이의 일부의 간략화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핸들링 다이를 도 1의 다이의 패터닝된 도전층에 실장한 이후의 도 1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다이의 기판의 하부 일부가 제거되어, 향상된 핸들링 다이를 생성한 이후의 도 2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구조가 도 1의 다이와 유사한 다른 다이가 최상부 상에 실장된 이후의 도 3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다이의 기판의 하부 일부가 제거되어 적층 다이를 형성한 도 4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제1 3차원 적층 다이를 형성하는 도 4 및 도 5 의 공정 단계들을 반복한 결과들을 나타낸다.
도 7은 노출된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적층 다이를 생성하는 도 6의 핸들링 다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 이후의 도 6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노출된 표면 상에 유전 물질이 증착되어, 제3 3차원 적층 다이를 생성한 이후의 도 7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접지 도전체 및 전기적 도전체 위치들에 정렬된 유전 물질 내에 개구들을 생성한 이후의 도 8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은 제1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고, 하나의 층을 통해 식각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2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사용하고, 2개의 층들을 통해 식각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은 제3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및 각 레벨로 하향 연장되는 비아들을 생성하는 4개의 층들을 통해 식각한 결과들을 나타낸다.
도 13에서 제3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는 비아들의 식각을 수반하여 제거된다.
도 14는 유전 물질로는 식각된 비아들을 라이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4의 정렬된 식각된 비아들을 커버하지만, 접지 도전체 위치 및 하향 레벨들에서 최하부 도전체 레벨을 통해 식각한 결과를 노출시키는 제4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나타낸다.
도 16은 제4 포토레지스트 마스크의 제거를 수반하는 기판 층들의 등방성 식각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7은 노출된 유전 물질의 후방 식각을 수반하여 확장된 접지 도전체 비아를 생성하는 도 16의 단계에서 형성되는 매입 영역들 내부에 증착된 전기적으로 절연된 물질을 나타낸다.
도 18은 적합한 전기적 도전체를 구비하는 비아들을 충진하여, 콘택 패드들 및 적층 집적 회로 어셈블리의 최상부 상에 핸들링 다이를 함께 구비하는 3차원 적층 집적 회로 어셈블리를 생성한 이후의 도 17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9, 도 20 및 도 21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적 콘택 영역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 회로를 구비하는 영역들을 포함하는 다이의 3개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평면도들이다.
도 22는 다이 영역들을 표시하는 격자 라인들을 구비하는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상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웨이퍼로부터 하나의 다이의 측단면도이다.
도 24는 각 90%의 우수한 다이 및 10%의 불량 다이를 구비하는 4개의 상이한 웨이퍼들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5는 적어도 하나의 불량 다이를 구비하는 각 다이 영역 내의 우수한 다이의 수의 표시를 구비하는 도 24의 4개의 웨이퍼들을 적층한 결과들을 나타낸다.
다음 설명은 특정한 실시예들 및 방법들을 참조하는 통상적인 것이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들과 방법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발명은 다른 특징들, 요소들, 방법들 및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기재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청구 범위들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기재 사항들부터 균등하고 다양한 변경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들은 공통적으로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언급된다.
본 발명은 웨이퍼 스케일 적층(wafer scale stacking) 또는 다이 스케일 적층(die scale stacking)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1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이 스케일 적층의 용어로 설명될 것이다. 웨이퍼 스케일 적층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발명으로부터 축적된 추가적인 이점들은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된다.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다이들 및 웨이퍼들의 동일한 요소들을 언급할 때, 통상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다음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을 생성하기 위하여 적합한 집적 회로 다이(12)의 간략화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의 다이(12)는 패터닝된 도전층(22) 내에 전기적 콘택 영역(18) 및 다이(12)를 위한 도식적으로 나타낸 활성 장치 회로(20)를 나타낸다. 패터닝된 도전층(22)은 상부에 위치하고, 다이(12)의 기판(28)에 의해서 지지되는 유전층(26)을 포함한다. 기판(28)은 통상적으로 실리콘이다. 전기적 콘택 영역(18)은 통상적으로 구리 또는 텅스텐과 같은 적합한 금속으로 형성되는 전기적 도전체들(24)의 수를 포함한다. 유전층(26)은 통상적으로 실리콘 이산화물과 같은 산화물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적 도전체들(24) 및 장치 회로(20)는 유전층(26) 내에서 형성되고, 유전층(26)의 물질에 의해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다이의 미션(mission) 기능을 위한 회로들을 포함하는 활성 장치 회로(20)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적 콘택 영역(18)으로부터 이격되고, 따라서 전기적 콘택 영역(18)의 하부에 위치하지 않는다. 활성 장치 회로(20)는 플래시 메모리 회로, 다른 형태의 메모리 회로, 전용 회로, 범용 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회로 장치, 칩 장치의 시스템의 경우와 같은 회로 형태들의 조합들 및 회로들의 상기 내용 및 회로들의 다른 형태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활성 장치 회로(20)는 도면의 목적을 위해 상대적으로 작은 요소로서 나타낸다. 콘택 영역(18)과 비교해볼 때, 상대적인 크기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도 2는 하드 마스크층(30)이 도 1의 패터닝된 도전층(22)의 상부 표면(32) 상에 증착된 이후의 도 1의 다이(12)를 나타낸다. 하드 마스크층(30)은 분리와 향상된 접착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인 유전층이다. 핸들링 다이(34)는 다이(12)의 하드 마스크층(30)에 실장된다. 핸들링 다이(34)는, 바람직하게 충분히 두껍고 강하여, 이후의 공정 단계들 동안 하부에 위치하는 다이(12) 및 이후에 추가되는 다이(12)에 손상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 핸들링 다이(34)는 통상적으로 베어 실리콘 다이(bare Si die)이다. 웨이퍼 스케일 다이가 사용될 때, 핸들링 웨이퍼는 통상적으로 웨이퍼(12.1)에 적용되는 하드 마스크층(30)에 대응하는 하드 마스크층 상의 웨이퍼(12.1)에 실장된다. 상기 핸들링 웨이퍼는 바람직하게는 충분히 두껍고 강하여, 차후의 공정 단계들 동안 하부에 위치하는 웨이퍼(12.1) 및 차후에 추가되는 웨이퍼(12.1)에 손상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핸들링 웨이퍼는 통상적으로 베어 실리콘 웨이퍼(bare Si wafer)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의 다이(12)의 기판(28)의 하부 일부(36)는 제거되어 잔존하는 기판(remaining substrate) 상에 하부 연결 표면(40)을 구비하는 향상된 핸들링 다이(38)를 생성한 이후의 도 2의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다이를 박화하는 단계는 핸들링 다이(34)에 의해서 하부에 위치하는 다이(12)에 제공되는 힘으로 인하여 수행된다. 웨이퍼 스케일 구동들 동안, 상기 구동들은 향상된 핸들링 다이(38)에 대응하는 향상된 핸들링 웨이퍼의 생성을 야기한다.
도 4는 다른 다이(42)의 최상부에 실장된 도 3의 향상된 핸들링 다이(38)를 나타낸다. 다른 다이(42)는 도 1의 다이(12)와 유사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패터닝된 도전층(22)의 상부 표면(32) 상에 형성된 하드 마스크층(30)을 포함한다. 향상된 핸들링 다이(38)의 하부 표면(40)은 다른 다이(42)의 하드 마스크층(30)에 실장된다. 이와 유사하게, 웨이퍼 스케일 구동들 동안, 향상된 핸들링 웨이퍼의 하부 표면은 다른 웨이퍼의 하드마스크 층에 실장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다이(12)의 기판(41)의 하부 일부(36)가 제거되어, 적층 다이(16)를 생성한 이후의 도 4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추가적인 다른 다이(42)를 사용한 도 4 및 도 5의 공정 단계들을 반복하여 제1 3차원 적층 다이(48)를 형성한 결과들을 나타낸다. 적층 다이(46)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부터 도출되는 하나의 이점은 반드시 식각되고 충진된 비아의 깊이가 감소되는 것이다. 비아의 깊이는 증가시키는 것은 종종 비아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것을 요구하므로 이는 제조 공정을 간략화시킨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비아는 폭이 점점 가늘어질 수 있고, 비아들을 충진하는 기술은 큰 종횡비들(비아의 폭에 의해서 분리되는 깊이)에 제한된다. 웨이퍼 스케일 구동들 동안, 적층 웨이퍼는 제1 3차원 적층 웨이퍼의 생성을 수반하는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7은 노출된 표면(52)을 구비하는 제2 3차원 적층 다이(50)를 형성하는 도 6의 핸들링 다이(34)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한 이후의 도 6의 제1 3차원 적층 다이(48)를 나타낸다. 도 8은 유전 물질(54)이 노출된 표면(52) 상에 증착되어, 제2 3차원 적층 다이(56)를 형성한 이후의 도 7의 구조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웨이퍼 스케일 구동들 동안,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차원 적층 웨이퍼 및 제3 3차원 적층 웨이퍼(56.1)가 형성된다. 도 9 내지 도 18은 적층 멀티칩 모듈(61)의 일부로 나타내고, 전기적 도전체들(24)과 접촉하는 전기적 커넥터들(60)을 생성하는 단계들의 공정을 나타낸다. 전기적 커넥터들(60)은 상이한 레벨들에서 전기적 도전체들(24)의 랜딩 패드들(98)을 콘택 패드들(62)에 연결한다. 상이한 전기적 커넥터들은 도 18에서 전기적 커넥터들(60.0 내지 60.7)로서 식별된다. 전기적 도전체들(24)에 대응하는 콘택에 대한 전기적 커넥터들(60)에 대한 위치들은 도면들에서 0 내지 7로 나타낸다. GC로 나타낸 위치는 통상적으로 각 레벨에서 전기적 도전체들(24)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지 커넥터(64)의 위치를 식별한다. 반면에 오직 하나의 전기적 커넥터(60)가 도시되어, 각 레벨에서 전기적 도전체(24)에 접촉하고, 실시예들에 있어서, 많은 다른 전기적 커넥터들(60)이 사용되어, 동일한 레벨에서 전기적 커넥터들(24)에 접촉한다. 웨이퍼 스케일 구동들 동안, 동일한 기본 공정 단계들은 제3 3차원 적층 웨이퍼(56.1) 상에 사용되어, 적층 멀티칩 모듈들(61)의 어레이를 생성한다.
도 9는 유전 물질(54)을 하드 마스크층(30)까지 하향 식각을 수반하는 유전 물질 상의 초기-공정 포토레지스트 마스크(57)를 형성한 이후의 도 8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접지 도전체 위치(GC) 및 전기적 도전체 위치들(0 내지 7)에 정렬된 개구들(58)을 생성한다.
도 10에 나타낸 제1 포토레지스트 마스크(66)는 전기적 도전체 위치들(1, 3, 5 및 7)에서 개구들(58)을 제외한 도 9의 구조 상에서 형성된다. 전기적 도전체(24)에 정렬된 이들 개구들은 하드 마스크층(30), 제1에서 전기적 도전체들(24), 최상부 레벨들(68), 유전층(26) 및 제2 레벨(70)에서 전기적 도전체들(24)의 상부에 식각 정지층인 실리콘 기판(41)을 통해서 하나의 레벨을 식각한다.
도면들에서 전기적 커넥터들(60)이 일렬로 정렬되게 도시되었지만, 다른 레이아웃들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기적 커넥터들(60)은 평행하거나 가로로 연장되는 많은 행들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전기적 콘택 영역(18)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전기적 커넥터들(60)의 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포토레지스트 마스크(66)는 제거되고, 그 다음에 제2 포토레지스트 마스크(72)가 도 10의 결과 구조(resulting structure) 상에 형성되어, 접지 도전체 위치들(GC), 전기적 도전체 위치들(0, 1, 4, 5) 및 후속하는 위치(7)를 커버한다. 2개의 레벨들의 식각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위치들(2, 6) 하부에 위치하는 결과 구조의 일부들은 이들 레벨들에서 제1 및 제2 레벨들(68, 70)을 통해 2개의 레벨들은 전기적 도전체들(24)까지 하향 식각된다. 위치들(3, 7) 하부에 위치하는 결과 구조의 일부들은 이들 레벨들에서 제1 및 제2 레벨들(70, 74)을 통해 2개의 레벨들이 전기적 도전체들(24)까지 하향 식각된다. 상기 단계들은 도 11에 나타낸 구조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2 포토레지스트 마스크(72)는 제거되고, 제3 포토레지스트 마스크(78)는 형성되어, 접지 도전체 위치(GC), 전기적 도전체 위치들(0, 1, 2, 3) 및 후속하는 위치(7)를 커버한다. 위치들(4, 5, 6, 7)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의 노출된 일부들은 4개의 레벨들, 즉, 위치들(4, 5, 6, 7)에서 각기 제5 레벨(80), 제6 레벨(82), 제7 레벨(84) 및 제8 레벨(86)을 하향 식각하여 도 12의 구조에서 비아들(77)을 생성한다.
제3 포토레지스트 마스크(78)는 비아들(77)에서 기판들의 노출된 일부들의 등방성 식각에 의해 후속하여 제거되어, 리세스된 영역들(88)을 생성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아들(77)에서 전기적 도전체들(24)의 등방성 식각은 그 다음 수행되어, 비아들(77)을 따라 도전체 리세스된 영역들(90)을 생성한다. 이들 식각 단계들은 변형된 비아들(92)을 형성한다.
도 14는 산화물(94)과 같은 유전 물질(94)을 구비하는 변형된 비아들(92)의 정렬에 따라 산화질(94)을 리세스된 영역들(88, 90)에 충진한 결과들을 나타낸다. 산화물(94)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SiN)일 수 있다. 결과 비아들(resulting vias)(96)은 연장되어 랜딩 패드들(98)로 기능하는 하부에 위치하는 전기적 도전체들(24)의 일부들을 개방시킨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8에 나타낸 전기적 도전체들(60) 및 접지 도전체(64)를 형성하도록 이용되는 공정 단계들을 나타낸다. 도 15에 있어서, 제4 포토레지스트 마스크(100)는 접지 도전체 위치(GC)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덮는 것으로 나타낸다. 도 15는 또한 접지 도전체 비아(102)를 생성하는 제8 레벨(86)에서 제1 내지 제7 레벨들(68, 70, 74, 76, 80, 82, 84)을 통해 전기적 도전체(24)까지 하향 식각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6은 리세스된 영역들(104) 및 접지 도전체 비아(102)에 개구를 생성하도록 접지 도전체 비아(102)에서 기판(41)의 등방성 식각의 결과를 나타낸다. 이는 제4 포토레지스트 마스크(100)의 제거를 수반한다.
도 17은 예를 들어, 폴리머와 같은 유기 물질과 같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물질을 리세스된 영역들(104) 내에 증착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층들(26)에서 노출된 유전 물질은 하향 식각되어, 확장된 접지 도전체 비아(108)를 생성한다. 이는 확장된 접지 도전체 비아(108)를 통과하는 전기적 도전체들(24)의 노출된 측벽 콘택 표면들 내의 증가를 야기한다.
도 18은 결과 비아들(96) 및 금속 또는 다른 적합한 전기적 도전체를 포함하는 확장된 접지 도전체 비아(108)를 충진하여, 접지 커넥터(64) 및 전기적 커넥터들(60.0 내지 60.7)을 생성한 이후의 도 17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또한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61)을 생성한다. 멀티칩 모듈(61)은 멀티칩 모듈(61)과 구조(110) 사이에 위치한 콘택 패드들(62)과 함께 도시된다. 구조(110)는 기술에 의해서 제공되는 유연성 때문에 예를 들어, 메모리 요소들 또는 논리 회로들 또는 메모리 요소들 및 논리 회로들의 조합과 같은 활성 요소들을 구비하는 핸들링 다이 또는 다이일 수 있다. 구조(110)가 활성 요소들을 포함할 때, 구조(110)는 전기적 연결들을 통해 적층 멀티칩 모듈(61)에 상호 연결될 수 있어, 패드들(62) 및 전기적 커넥터들(60)에 접촉한다. 접지 도전체(64) 및 전기적 도전체들(60)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물질의 길이들이다. 실질적으로 균일하기 때문에, 여기서 도전체들(60)은 레벨들 사이에 물리적 경계들이 결핍됨을 의미한다. 비록 랜딩 패드들을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도전성 물질은 제조 공정의 결과로서 각 레벨에서 상대적인 농도가 다를 수 있는 비아들에서 증착된 상이한 물질들의 멀티 층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여기서 사용되는 도전체들(60)은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이는 흔히 대향되는 전극 전도체들을 연결하는 분리된 도전성 물질을 구비하는 심들(seams)을 형성하는 칩들 및 웨이퍼들이 적층되고, 서로 연결될 때에 각 층의 개별적인 비아 내에 전기적 커넥터들은 각기 형성되고 서로 연결되는 종래의 TSV 공정들에 의해서 형성되는 전기적 커넥터들에 대한 것이다.
도 6의 제1 3차원 적층 다이(48)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다이(12)는 다른 위치들에서 전기적 도전체들(24), 개별적인 다이 상의 패턴들일 수 있고, 상기 각 다이(12)를 위한 전기적 도전체들에 대한 위치들 및 패턴들은 동일하여 제조 공정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각 레벨에서 랜딩 패드들(98)이 정렬되는 점이 통상적으로 요구된다.
전기적 커넥터들(60)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술한 공정은 식각 단계의 20 …2n-1에 기반한 이진 공정(binary process)으로서 언급된다. 즉, 도 10에 나타낸 제1 포토레지스트 마스크(66)는 20개의 랜딩 패드들(98)을 교류하게 덮고, 20개의 랜딩 패드들(98)을 노출시키며, 도 11에 나타낸 제2 포토레지스트 마스크(72)는 21개의 랜딩 패드들(98)을 교대로 덮고, 21개의 랜딩 패드들(98)을 노출시키며, 도 12에 나타낸 제3 포토레지스트 마스크(78) 등은 22개의 랜딩 패드들(98)을 교대로 덮고, 22개의 랜딩 패드들(98)을 노출시킨다. 이러한 공정을 이용하여 n개의 마스크들이 사용될 수 있고, 2n개의 레벨들에서 2n개의 전기적 도전체들(24)에 대한 2n개의 랜딩 패드들(98)에 접근을 제공한다. 따라서, 3개의 마스크들을 사용하여 8개의 레벨들에서 2n개의 전기적 도전체들(24)에 대한 8개의 랜딩 패드들(98)에 접근을 제공한다. 5개의 마스크들을 사용하여 32개의 전기적 도전체들(24)에 대한 32개의 랜딩 패드들(98)에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식각의 순서가 n-1=0, 1, 2, … 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1 식각 단계는 n-1=2 일 수 있고, 제2 식각 단계는 n-1=0 일 수 있으며, 제3 식각 단계는 n-1=1 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도 12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통상적인 구동들 동안, 절반의 콘택 개구들이 각 식각 단계 동안 식각된다. 식각될 수 있는 레벨들의 수는 5개의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들이 사용되어 29개의 상이한 랜딩 패드들(98)에 도달하도록 29개의 콘택 개구들을 식각할 때 식각되는 레벨들의 수보다 동일하거나 크고, 상기 마스크들은 콘택 개구들의 절반을 식각하는데 사용되지 않고, 콘택 개구들의 실질적인 절반으로서 언급되는 것을 식각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전기적 도전체들(24)의 랜딩 패드들(98)에 전기적 커넥터들(60)을 연결하기 위한 기술들 및 방법들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동시 계류중인 2011년 5월 16일 자의 미국 특허 출원 제13/049,303호(발명의 명칭: REDUCED NUMBER OF MASK FOR IC DEVICE WITH STACKED CONTACT LEVELS)에 개시되어 있고, 2011년 5월 24일 자 미국 특허 출원 제13/114,931호(발명의 명칭: MULTILAYER CONNECTION STRUCTURE AND MAKING METHOD)에 참조로서 기재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출원들은 본 출원과 동일한 양수인의 소유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적 콘택 영역(18)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장치 회로(20)를 구비하는 각각의 다이(12)의 3개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평면도들이다. 다이(12)는 모두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컨트롤러들과 같은 논리 다이는 메모리 다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8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다이(12)의 주요 일부를 구성하는 반면, 전기적 콘택 영역(18)은 다이(12)의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된다. 도 19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기적 콘택 영역(18)은 활성 장치 회로(20)의 3개의 상이한 측부들을 따라 3개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형성된다. 도 20에 있어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전기적 콘택 영역(18)에 의해서 분리된 활성 장치 회로(20)의 2개의 영역들이 있다. 적층된 공정의 이점들 중 하나는, 예를 들어 외측 연결 패드들 및 배선들을 연결하는데 적층된 칩들을 사용하는 것 보다 연결 경로가 더 짧기 때문에 각 다이(12)는 영역(18)과 같은 많은 전기적 콘택 영역들을 구비할 것으로 예상된다. 2 마이크로미터와 같은 최소 길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적 콘택 영역들(18)과 활성 장치 회로(20) 사이에서 유지된다. 상기 최소 거리는 공정에 의해서 유도된 응력들(stresses) 때문에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레벨들 내의 상기 장치들은 상기 레벨들 사이에 100개 또는 그 이상의 많은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넓은 입력/출력(I/O)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레벨들 사이에 약간의 커넥터들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이점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TSV 적층 반도체 장치들을 형성하는 데 요구되는 단계들과 관련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감소시킨 3차원 적층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율들의 향상을 이끌 수 있는 종래의 TSV 단계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각 다이의 요구되는 핸들링 및 공정을 감소시킨다. 핸드폰들과 같은 장치들에 중요한 더 얇은 장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하부 부분들(36)의 제거에 의해서 다이(12)의 결과 스택(resulting stack)의 두께의 감소는 몇 가지 이점들을 포함한다. 상술한 이점들은 전기적 커넥터들(24)을 다른 커넥터들 및 랜딩 패드들(98)에 연결하는 전기적 커넥터들(24)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저항 및 열 손실을 감소시키고, 속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 스케일 적층 단계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다음에서 설명하는 추가적인 이점들을 도출하는 웨이퍼 스케일 적층 단계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22는 개별적인 다이(12)가 웨이퍼(120)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다이 영역들(123)을 표시하는 격자 라인들(122)을 구비하는 집적 회로 웨이퍼(120)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3은 웨이퍼(120) 상의 위치(C 내지 7)로부터 도 1의 다이(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통상적인 다이(12)의 간략화된 단면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웨이퍼(120)로부터 생성되는 총 50개의 다이(12)가 있다. 도면의 목적들을 위해서, 5개의 다이(12)는 도 22에서 5개의 결함이 있는 다이(12) 및 크로스해치됨(crosshatched)에 의해서 표시되는 불량 다이(124)로 가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웨이퍼(120) 상의 다이의 90%는 우수한 다이(125)일 수 있지만, 다이(120)의 10%는 불량 다이(124)일 수 있다.
도 24는 4개의 상이한 집적 회로 웨이퍼들(120)은 각각 불량 다이 영역들(123)의 10%를 갖는 50개의 다이 영역들(123)을 구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집적 회로 웨이퍼들(120)이 개별적으로 다이싱(diced) 된다면, 우수한 다이가 선택될 수 있고, 적층 멀티칩 모듈들(61)에 대한 90%의 수율을 도출하는 다이 스케일 적층 기술을 사용하여 적층될 수 있다. 그러나, 다이 스케일 적층 기술들을 사용하는 각 멀티칩 모듈(61)의 개별적인 공정에 대한 필요성은 50개의 적층된 멀티 칩 모듈들(61)이 일제히 처리되는 웨이퍼 스케일 상의 공정보다 훨씬 높은 비용의 공정을 형성한다.
도 24의 집적 회로 웨이퍼들(120)이 적층되어 도 25의 제3 3차원 적층 웨이퍼(56.1)가 제공된다. 적층 웨이퍼(56.1)는 A-2 위치로 표시된 15개의 다이 영역들(123)을 구비하고, 4개의 적층 다이 중에서 2개 또는 3개는 우수한 다이로 표시하고, 4개의 적층 다이 중에서 3개는 우수한 다이로 표시한다. 표시하지 않은 것은 모든 레벨은 우수한 다이임을 표시한다. 배선 연결 기술 또는 TSV 와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 4개의 상이한 집적 회로 웨이퍼들(120)이 적층되고, 서로 연결되며, 다이싱되어 공정된다면, 하나의 불량 다이를 구비하는 각 적층 멀티칩 모듈은 모든 다이가 우수한 적층 멀티칩 모듈에 대해 우수한 모든 다이의 필요성 때문에 결함으로서 거절되는 적층 멀티칩 모듈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율은 70%만이 우수한 적층 멀티칩 모듈들일 수 있다. 즉, 50개 중에서 35개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다이 스케일 적층 및 바로 위 단락에서 설명한 공정 기술들과 관련한 공정 비용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부분적으로 결함이 있는 적층 멀티-다이 모듈들(61)은 불완전한 다이로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다이(12)가 CPU의 하나의 코어(core)라면, 2개의 우수한 다이(12) 또는 3개의 코어 모듈(61)이 있거나, 3개의 우수한 다이(12)가 있을 경우, 불완전한 모듈(61)은 2개의 코어 모듈(61)로서 식별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각 다이가 1GB 메모리 다이일 경우, 케이스에 따라 불완전한 모듈들(61)은 3GB 메모리 모듈들 또는 2GB 메모리 모듈들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35개의 우수한 적층 멀티칩 모듈(61)이 있을 수 있으며 그러나 또한, 2개의 우수한 다이(12)를 구비하는 5개의 불완전한 모듈들(61) 및 3개의 우수한 다이(12)를 구비하는 10개의 불완전한 모듈들(61)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상호 연결 기술은 스택의 하나의 레벨 상의 단일 랜딩 패드에 도달하는 개별적인 커넥터들 때문에 스택 내의 결함이 있는 다이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다이를 적층하고 커넥터들을 형성하는 제조 공정 동안, 결함이 있는 다이는 구동 가능한 다이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하나의 접근에 있어서, 커넥터들의 형성을 위한 마스크들을 사용하는 것은 각 스택 내의 결함이 있는 다이의 개수 및 위치들에 따라서 선택된다. 불완전 모듈(61)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종래의 웨이퍼 스케일 공정 기술들에 비해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상술한 설명들은 상부의, 하부의, 최상부의, 최하부의, 상의, 아래의 등과 같은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 용어들은 설명 및 청구항에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실험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예시적으로 기재된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변형들과 조합들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들 및 조합들은 다음 청구 범위의 범위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임의의 및 모든 특허들, 특허 출원들 및 간행물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언급되어 있다.
12: 집적 회로 다이 18: 전기적 콘택 영역
20: 활성 장치 회로 22: 패터닝된 도전층
24.0-24.7: 전기적 도전체들 26: 유전층
28: 기판 30: 하드 마스크층
32: 상부층 34: 핸들링 다이
36: 하부 부분 38: 향상된 핸들링 다이
40: 연결 표면 41: 잔류 기판
42: 다이 46: 적층 다이
48: 제1 3차원 적층 다이 50: 제2 3차원 적층 다이
52: 노출된 표면 54, 94: 유전 물질
56: 제3 3차원 적층 다이 57: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58: 개구들 60.1-60.7: 전기적 커넥터들
66: 제1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72: 제2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68, 70, 74, 76, 80, 82, 84, 86: 제1 내지 제7 레벨들
92: 수정된 비아들 120: 집적 회로 웨이퍼
122: 격자 라인들 123: 다이 영역들
124: 불량 다이 126: 우수한 다이

Claims (25)

  1. W개의 집적 회로 다이(die)들의 스택(stack)을 구비하고, 상기 스택의 각 다이는 기판 상부의 패터닝된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은 전기적 콘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전기적 도전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도전체들의 적어도 하나는 랜딩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들의 스택은 상기 스택의 일측 단부에서 제1 다이 및 상기 스택의 타측 단부에서 제2 다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다이의 기판은 상기 제2 다이의 패터닝된 도전층에 대향하고,
    각 다이 상의 상기 랜딩 패드들은 상기 스택 내의 다른 다이 상의 랜딩 패드들에 대해 정렬되며,
    상기 다이들의 스택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다이들의 스택 내로 상기 랜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W개의 다이 레벨들을 갖는 3차원 스택 멀티칩 모듈을 형성하는 전기적 커넥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적 커넥터들은 균일한 도전성 물질의 길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전기적 커넥터는 하나의 다이 레벨의 하나의 랜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커넥터들은 상기 랜딩 패드들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장치 회로 위치에서 장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를 위한 상기 장치 회로는 상기 다이의 제1 부분을 점유하고,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상기 장치 회로의 상이한 측부들 상에서 상기 다이의 제1 및 제2 부분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를 위한 상기 장치 회로는 상기 다이의 이격되는 제1 및 제2 부분을 점유하고,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제3 부분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의 패터닝된 도전층 상부에 물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커넥터들은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들에서 수직 비아들(vias)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커넥터들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랜딩 패드들은 계단형 단차 배열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10.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스택을 구비하며,
    각 집적 회로 웨이퍼는 다이 영역들의 격자(grid)를 포함하고,
    각 집적 회로 웨이퍼를 위한 다이 영역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스택의 다른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다이 영역들에 대해 정렬되며,
    각 다이 영역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 웨이퍼 모듈.
  11. W개의 집적 회로 다이들의 스택을 구비하고, 상기 스택 내의 각 다이는 기판 상부에 패터닝된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은 전기적 콘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전기적 도전체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다이들을 위한 상기 전기적 도전체들의 적어도 하나는 랜딩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장치 회로 위치에서 장치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들의 스택은 상기 스택의 일측 단부에서 제1 다이 및 상기 스택의 타측 단부에서 제2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의 기판은 상기 제2 다이의 패터닝된 도전층에 대향하고,
    상기 제1 다이의 패터닝된 도전층 상부의 물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다이들의 스택 내의 각 다이 상의 상기 랜딩 패드들은 정렬되고,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들에서 수직 비아들을 통과하여 상기 다이들의 스택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다이들의 스택 내로 상기 랜딩 패드들 중에서 선택된 것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W개의 다이 레벨들을 갖는 3차원 스택 멀티칩 모듈을 형성하는 전기적 커넥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각 전기적 커넥터는 하나의 다이 레벨의 하나의 랜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랜딩 패드들의 선택된 것들은 계단형 단차 배열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12.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스택을 구비하고,
    각 집적 회로 웨이퍼들는 다이 영역들의 격자를 포함하며,
    각 집적 회로 웨이퍼를 위한 상기 다이 영역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스택의 다른 집적 회로 웨이퍼들에 다이 영역들에 대해 정렬되고,
    복수의 상기 다이 영역들의 적어도 일부들은 각기 청구항 제11항에 따른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 웨이퍼 모듈.
  13. W개의 집적 회로 다이들의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세트 내의 각 다이는 패터닝된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은 전기적 콘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랜딩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 상부의, 상기 세트 내의 선택된 다이에 핸들링 다이(handling die)를 실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된 다이의 노출된 층을 제거하여 향상된 핸들링 다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세트 내의 모든 다이들이 실장될 때까지 3차원 적층 다이를 형성하도록 상기 실장 및 제거 단계들을 각 반복 과정에서 상기 향상된 핸들링 다이를 이용하여 반복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각 다이 상의 상기 랜딩 패드들이 상기 세트 내의 상기 다이들의 랜딩 패드들에 대해 정렬되며,
    상기 3차원 적층 다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세트 내의 각 다이에 정렬된 랜딩 패드들에 접촉하여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을 형성하도록 커넥터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각 커넥터는 하나의 다이 레벨의 하나의 랜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장치 회로 위치에서 장치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다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다이를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핸들링 다이와 상기 다이 사이에 유전, 접착-강화층을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이 위치하는 제1 측부와 상기 제1 측부에 대향하는 제2 측부를 갖는 기판을 포함하는 다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선택된 다이의 노출된 층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의 제2 측부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로부터 상기 핸들링 다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노출된 표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듈의 상기 표면을 통해 콘택 개구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콘택 개구들은 각 다이 레벨을 위한 전기적 도전체의 랜딩 패드 상부에 위치하며,
    N(N은 2N-1이 W보다 작고, 2N이 W보다 크거나 동일함)개의 식각 마스크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N개의 마스크들을 이용하여 상기 W개의 다이 레벨들까지 상기 콘택 개구들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N개의 마스크들을 이용하는 단계는 각 마스크를 위한 상기 콘택 개구들의 절반을 위해 2n-1(n=1, 2, …, N)개의 다이 레벨들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전기적 도전체들이 상기 각 다이 레벨에서 랜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콘택 개구들 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다이를 제거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유전 물질로 상기 모듈의 표면을 덮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콘택 개구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전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식각 마스크들을 이용하는 단계는 각 마스크를 위한 2n-1(n=1, 2, …, N)개의 랜딩 패드들을 교대로 덮고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형성 방법.
  22. W개의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세트 내의 각 웨이퍼는 다이 영역들의 격자를 포함하며, 각 다이 영역은 패터닝된 도전층을 갖는 집적 회로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은 전기적 콘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랜딩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터닝된 도전층들 상부의, 상기 세트 내의 선택된 웨이퍼에 핸들링 웨이퍼를 실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된 웨이퍼의 노출된 층을 제거하여 향상된 핸들링 웨이퍼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세트 내의 모든 웨이퍼들이 실장될 때까지 3차원 적층 다이의 격자를 포함하는 3차원 적층 웨이퍼를 형성하도록, 상기 실장 및 제거 단계들을 각 반복 과정에서 상기 향상된 핸들링 웨이퍼를 이용하여 반복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각 다이 상의 상기 랜딩 패드들이 상기 집적 회로 웨이퍼들의 세트 내의 다른 다이 상의 랜딩 패드들에 대해 정렬되며,
    상기 3차원 적층 웨이퍼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정렬된 랜딩 패드들에 접촉하여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격자를 형성하도록 커넥터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격자를 개별적인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로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각 커넥터는 하나의 다이 레벨의 하나의 랜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형성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적층 웨이퍼의 표면을 통해 콘택 개구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콘택 개구들은 복수의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각 다이 레벨을 위한 전기적 도전체들의 랜딩 패드들의 상부에 위치하며,
    N(N은 2N-1이 W보다 작고, 2N이 W보다 크거나 동일함)개의 식각 마스크들의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N개의 마스크들을 이용하여 상기 W개의 다이 레벨들까지 상기 콘택 개구들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N개의 마스크들을 이용하는 단계는 각 마스크를 위한 상기 콘택 개구들의 절반을 위한 2n-1(n=1, 2, …, N)개의 다이 레벨들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전기적 도전체들이 상기 각 다이 레벨들에서 랜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콘택 개구들 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형성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식각 마스크들을 이용하는 단계는 각 마스크를 위한 2n-1(n=1, 2, …, N)개의 랜딩 패드들을 교대로 덮고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택 개구들은 상기 각 다이 레벨들에서 랜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들의 형성 방법.
  25. 다이들의 스택을 구비하고, 상기 스택 내의 각 다이는 기판 상부의 전기적 콘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콘택 영역은 복수의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들의 스택은 상기 스택의 일측 단부에서 제1 다이와 상기 스택의 타측 단부에서 제2 다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이의 기판은 상기 제2 다이의 복수의 패드들에 대향하고,
    각 다이 상의 상기 복수의 패드들은 상기 스택 내의 다른 다이 상의 패드들에 정렬되며,
    상기 다이들의 스택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다이들의 스택 내로 랜딩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W개의 다이 레벨들을 갖는 3차원 스택 멀티칩 모듈을 형성하는 전기적 커넥터들을 구비하고, 각 전기적 커넥터는 상기 다이들의 스택 내의 하나의 패드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전기적 커넥터는 하나의 다이 레벨의 하나의 랜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비아들을 통해 상기 제1 다이 상의 복수의 패드들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다이 상의 복수의 패드들의 대응되는 패드들에 연결되는 균일한 전기적 도전성 물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
KR1020120058525A 2012-05-31 2012-05-31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형성 방법 Active KR101923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25A KR101923534B1 (ko) 2012-05-31 2012-05-31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25A KR101923534B1 (ko) 2012-05-31 2012-05-31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772A KR20130134772A (ko) 2013-12-10
KR101923534B1 true KR101923534B1 (ko) 2019-02-27

Family

ID=4998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525A Active KR101923534B1 (ko) 2012-05-31 2012-05-31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5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6400A (ja) * 2007-06-29 2009-01-22 Toshiba Corp 積層配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12297A (ja) * 2009-03-06 2010-09-24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110084397A1 (en) * 2009-10-14 2011-04-14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3d integrated circuit layer interconne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6400A (ja) * 2007-06-29 2009-01-22 Toshiba Corp 積層配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12297A (ja) * 2009-03-06 2010-09-24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110084397A1 (en) * 2009-10-14 2011-04-14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3d integrated circuit layer interconn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772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0047B2 (en) Method for creating a 3D stacked multichip module
JP6175701B2 (ja) 3d積層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779652B2 (ja) 補強シリコン貫通ビアを備える半導体チップ
US8421193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through vi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20110133339A1 (en)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20168935A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13838823B (zh) 晶片键合结构及其制作方法
US8906781B2 (en)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afers using butting contact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ed through the same
CN114783984A (zh) 三维集成装置及其制作方法
CN103456716B (zh) 三维多芯片叠层模块及其制造方法
EP2672511B1 (en) 3d stacked multichip module and method of fabrication
US9293440B2 (en) Method for interconnecting die and substrate in an electronic package
CN110808277A (zh) 晶圆结构及其制备方法
CN102931156B (zh) 半导体芯片的构造及制作方法
US7871857B1 (en) Methods of forming multi-chip semiconductor substrates
US9219053B1 (en) Three dimensional stacked multi-chip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923534B1 (ko) 3차원 적층 멀티칩 모듈의 형성 방법
WO2022261806A1 (zh) 芯片堆叠结构以及制作方法、晶圆堆叠结构、电子设备
US20130313710A1 (en) Semiconductor Constructions and Methods of Forming Semiconductor Constructions
CN118213358A (zh) 芯片集成结构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CN209896057U (zh) 半导体结构
KR20110136122A (ko)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버니어 및 그 제조 방법
CN115997285A (zh) 硅通孔结构的制备方法和硅通孔结构
TWI467725B (zh) 三維多晶片堆疊模組及其製造方法
KR101054492B1 (ko) 적층용 단위 칩의 제조방법과, 단위 칩을 이용한 3차원 적층 칩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3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5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0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5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