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3434B1 -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 Google Patents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434B1
KR101923434B1 KR1020110083492A KR20110083492A KR101923434B1 KR 101923434 B1 KR101923434 B1 KR 101923434B1 KR 1020110083492 A KR1020110083492 A KR 1020110083492A KR 20110083492 A KR20110083492 A KR 20110083492A KR 101923434 B1 KR101923434 B1 KR 101923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appliance
electrical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21141A (en
Inventor
심종훈
박형준
김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434B1/en
Publication of KR20130021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1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34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댁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전기제품끼리 정보를 송수신하고,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전기제품 정보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일의 가정 내에 구비되되, 각각의 디바이스 ID를 구비하며 상호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전기제품들과; 단일의 가정 내에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 ID가 수록되고, 상기 전기제품들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전기제품은 상기 서버시스템의 인증에 의하여 상호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며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nic products provided in a home,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me appliance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provided in a single home, each appliance having IDs and communicable with each other; And a server system provided in a single home, wherein each of the device IDs is recorded and communicable with the electric products, wherein the plurality of electric products are communicable by authentication of the server system And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or signals.

Description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댁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전기제품끼리 정보를 송수신하고,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전기제품 정보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nic products provided in a home, Management system.

집안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제품의 경우, 냉장고, 세탁기, 공기조화기와 같이, 각 전기제품의 특성에 맞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In the case of an electric appliance disposed inside the house, the appliance functions as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d an air conditioner.

최근에는 집안 내에 있는 전기제품들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일명 '홈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러한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격으로 집안 내에 있는 전기제품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In recent years, electric appliances in the house have formed a so-called 'home network' which is connected to one network, and through this home network, a user can remotely control electric appliances in the house.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집에 부재중 이어도, 전기제품을 on/off 시키거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This allows the user to turn on / off the electronic product or control the function even when the user is away from home.

다만, 이러한 홈네트워크를 통한 전기제품의 제어는 전기제품 본래의 동작에 국한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control of electrical appliances through such a home network has a limitation that it is limi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itself.

최근 집안 내부의 전기제품의 스마트화 경향에 따라서, 전기 제품 본연의 기능 이외에도 다른 편의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전기제품의 경우, 홈 네트워크에 편입되어 있지 않고 단독으로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electric appliances that provide other convenient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of electric appliances have been released in accordance with the tendency of electric appliances in the house to become smart. However, in the case of such electric applianc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synergy effects can not be created with other components.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제품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정보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a user by allowing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products disposed in a home or an office and transmitting / receiv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r signals accordingly.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단일의 가정 내에 구비되되, 각각의 디바이스 ID를 구비하며 상호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전기제품들과; 단일의 가정 내에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 ID가 수록되고, 상기 전기제품들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전기제품은 상기 서버시스템의 인증에 의하여 상호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며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provided in a single home, each having a device ID and provided for mutual communication; And a server system provided in a single home, wherein each of the device IDs is recorded and communicable with the electric products, wherein the plurality of electric products are communicable by authentication of the server system And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or signals.

하나의 가정 내에 마련되는 전기제품 간에 레서피와 같은 정보가 공유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자리를 바꾸면서도 특정한 정보에 지속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ince information such as recipe can be shared among the electric appliances provided in one hom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user can continuously access specific information while changing the position in the home.

하나의 가정 내에 마련되는 전기제품 간에 메세지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가정 내의 다른 구성원에게 용이한 메세지 통지가 가능하다.Since it is possible to send and receive messages between electric appliances provided in a single home, easy message notification is possible to other members in the home.

또한, 이메일과 같은 외부의 정보가 하나의 전기제품에 수신되는 경우, 다른 전기제품에도 그 사실을 통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external information such as e-mail is received in one electric applianc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by notifying the other electric appliance of the fact.

또한, 가정 내의 일일 전기 소비량을 일목요연하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전력소비 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power consumption state by displaying the daily electricity consumption amount in the home at a glance.

또한, 공기조화기가 작동하는 주변상황을 카메라가 장착된 로봇청소기가 감지하여, 이를 공기조화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조화기가 상황 변화에 따라서 보다 탄력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 robot cleaner equipped with the camera senses the circumstance where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and transmits the sensed ambient condition to the air conditioner, so that the air conditioner can be more flexib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ituation.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제품 정보관리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전기제품끼리 정보가 공유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서 전기제품끼리 메세지가 송수신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서 하나의 전기제품에서 다수의 조명장치가 제어되는 상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서 어느 하나의 전기제품에서의 메일 수신상황이 다른 전기제품에 송신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7 내지 도8은 본 발명에서 하나의 전기제품의 작동상황이 다른 전기제품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9는 가정 내에서의 모든 전기제품의 전력사용상황이 하나의 전기제품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10은 가정 내에서 로봇청소기에서 취합한 정보에 근거하여 공기조화기가 동작되는 상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at electric products are shared with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at a message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lectric products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re controlled in one electric appli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a mail reception situation in one electric appliance is transmitted to another appli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7 to 8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at the operation status of one electric appliance is displayed in another appli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the electric power use situation of all the electric appliances in the home is displayed in one electric appliance. 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in a robot cleaner in a hom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제품 정보관리시스템은 가정 내에 마련되는 전기제품들의 등록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등록되어 저장되는 서버시스템(1)과, 상기 서버시스템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전기제품(100)을 포함한다.The electric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rver system 1 in which registered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of electric appliances provided in the home are registered and stored, a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100 communicable with the server system, .

상기 서버시스템(1)은 가정의 전기제품(100)들과 연결되어 전기제품(100)들을 통하여 요청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전기제품(100) 방향으로 펌웨어나 기타 운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system 1 may be connected to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100 to provide the requested information through the electrical appliances 100 or to provide firmware or other operating software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100.

여기서 상기 서버시스템(1)과 통신하는 전기제품(100)은 각각 고유의 디바이스 ID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appliances 100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system 1 has a unique device ID.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1)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전기제품(100)이 하나의 장소에 둘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둘 이상의 전기제품(100)들은 상기 서버시스템(1)과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 할 뿐만 아니라, 각 전기제품(100) 끼리도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If two or more electrical appliances 100 communicable with the server system 1 exist in one place, the two or more electrical appliances 100 communicate with the server system 1 to transmit information Not on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but also allowing each electric appliance 1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를 통해 하나의 전기제품(100)에서 생성되거나 관리하는 정보가 다른 전기제품(100)에 전달되어 정보의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나의 전기제품(100)에 입력되거나 생성된 정보가 다른 전기제품(1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ly, information generated or managed by one electrical product 100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electrical product 100 to share information. Furthermore, the information inputted or generated in one electric appliance 100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rt of the other appliance 100. [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1)은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무선단말기(200)와도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무선단말기(200)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server system 1 is provid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owned by the user.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무선단말기(200)도 전기제품(100)과 같이 고유의 디바이스 ID를 구비하고, 서버시스템과 상호 인증 절차를 거침으로써 서버시스템(1)과 통신할 수 있는데, 상기 무선단말기(200)와 상기 서버시스템(1) 간의 통신을 통하여, 원격지(가정, 사무실) 내에 마련되는 전기제품(100)에 대한 원격제어 및 원격 정보 관리가 가능하다.The wireless terminal 200 also has a unique device ID such as an electrical product 100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system 1 through a mutual authentication procedure with the server system. Remote control and remote information management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provided in a remote place (home, offic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systems 1 is possible.

따라서, 무선단말기(200)에 입력되거나, 무선단말기(200)에서 관리되는 정보나 신호가 상기 서버시스템(1)을 통하여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원격지에 마련되는 전기제품(100)에 전달되어 해당 전기제품(100)에 표시 또는 저장이 될 수 있다.Information or signals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managed by the wireless terminal 200 are transmit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100 provided at a remote site through the server system 1 or through the Internet, May be displayed or stored in the product (100).

또한, 상기 전기제품(100)에서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정보, 또는 신호가 상기 서버시스템(1)을 통하여 또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무선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Information or signals generated or managed in the electrical product 100 may be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server system 1 or via the Internet.

한편, 상기 무선단말기(200)와 상기 서버시스템(1) 사이에 정보나 신호 교환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무선단말기(200) 쪽에서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자동적으로 상기 서버시스템(1)에서 상기 무선단말기(200) 방향으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업데이트가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exchange information or signals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server system 1 so that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automatically from the server system 1, Firmware or software upgrade or update in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200 is possible.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사용자에게 속해 있는 복수의 전기제품(100)의 구성을 보면, 제어부(101)와, 통신부(102), 입력부(103), 표시부(104), 구동부(105), 메모리 부(106)를 포함한다.2, the configuration of a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100 belonging to one user includes a control unit 101, a communication unit 102, an input unit 103, a display unit 104, a driving unit 105 ), And a memory unit 106.

여기서, 상기 통신부(102)는 상기 서버시스템(1) 또는 다른 전기제품(100)의 통신부(102), 또는 무선단말기(200)의 통신부(202)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02 serves as a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02 of the server system 1 or another electric product 100 or the communication unit 202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상기 입력부(103)는 버튼이나 터치패드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소정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표시부(104)는 외부에서 전달되거나 사용자가 관리하는 정보를 시각화 하여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The input unit 10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or a touch pad so that the user can input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104 visualiz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r managed by the user.

상기 구동부(105)는 전기제품의 특성에 따라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즉, 전기제품이 냉장고인 경우, 압축기, 냉기팬 등이 구동부가 되고, 세탁기의 경우, 구동모터나 급수 밸브가 구동부를 구성할 것이다.The driving unit 105 performs a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product. That is, when the electrical product is a refrigerator, a compressor, a cooling fan, or the like is a driving unit, and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a driving motor or a water supply valve constitutes a driving unit.

상기 메모리부(106)는 사용자가 관리하거나, 외부에서 제공받은 정보가 저장되는 곳이다.The memory unit 106 is a place where information managed by a user or provided from outside is stored.

상기 무선단말기(200)의 경우도, 제어부(201), 통신부(202), 입력부(203),표시부(204), 메모리부(206)를 포함하는데, 그 기능은 상기 전기제품(100)의 그것들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하겠다.The wireless terminal 200 also includes a control unit 201, a communication unit 202, an input unit 203, a display unit 204, and a memory unit 206, So that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duplicate description.

상기 서버시스템(1)에는 상기 사용자 ID와 함께 해당 전기제품(100)의 디바이스 ID 및 특성정보(예컨대, 제품종류, 모델정보 등등)가 함께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The server system 1 may have the user ID and the device ID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xample, product type, model information, etc.)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product 100 registered together.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ID는 제품종류나 모델정보와 같은 제품의 특성정보와 관계없이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제품의 특성정보가 함께 코드화되어 있을 수 있다.Here, the device ID may be created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oduct, such as the product type or the model information, but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oduct may be coded together.

그래서, 디바이스 ID만을 가지고 상기 서버시스템(1)은 해당 제품의 종류나 모델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Thus, the server system 1 can be made to recognize the type and model information of the product only with the device ID.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정내의 전기제품(100)이 냉장고와, 조리기기로 구성되고, 이들이 스마트 폰과 같은 무선단말기(200)와 통신가능하게 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의 입력부를 통해서 레서피와 같은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하면, 그 정보가 상기 조리기기의 표시부에도 표시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household appliance 100 is composed of a refrigerator and a cooking appliance, and they becom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such as a smartphone, a user inputs the input portion of the refrigerator When information such as a recipe is input or selected, the information is also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cooking apparatus.

여기서, 각 전기제품(100)에는 터치패널이 마련되어, 입력부와 표시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Here, each electric product 100 is provided with a touch panel, and can simultaneousl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한편,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무선단말기(200)의 표시부(204)에도 표시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전기제품(100)에서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정보가 다른 전기제품(100) 및 무선단말기(200)에서 표시될 수 있다.This information is also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4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held by the user so that the information generated or managed in any one of the electric products 100 is transmitted to the other electric product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 ≪ / RTI >

상호 관련성을 갖는 전기제품(100) 끼리 이러한 정보의 공유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The sharing function of this information among the electric products 100 having the mutual relation can be implemented.

즉, 식품을 보관하고 있는 냉장고에서 레서피를 선택하고, 이를 조리기기에 전송함으로써, 조리기기에서 해당 레서피를 구현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해줌으로써, 필요한 예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That is, by selecting a recipe in the refrigerator storing the food and sending it to the cooking device, the user can perform the necessary warm-up function by guiding the cooking device to implement the recipe.

한편 사용자는 제1 전기제품에서 메세지를 생성하여 이 메세지를 집안 내에 있는 가족들이 사용하는 제2전기제품에 송신하여, 해당 메세지를 가족들에게 알릴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create a message in the first appliance and transmit the message to the second appliance used by the family members in the house, and notify the family of the message.

도4에서는 조리기기(100)에서 조리가 완료되어 식사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집안 내에 있는 가족들에게 알리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FIG. 4 shows a situation in which cooking is completed in the cooking apparatus 100 and the families in the house are notifi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meal is completed.

사용자가 상기 조리기기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식사준비가 완료되었다는 메세지를 입력하고, 해당 메세지를 가족들이 사용하고 있는 전기제품(100)에 송신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meal preparation is completed by operating the input unit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input a command to transmit the message to the electric appliance 100 used by the family.

이 경우, 다른 전기제품(예, TV, 무선단말기, 컴퓨터 )의 표시부(104)에 사용자가 생성한 메세지가 표시됨으로써, 수신된 메세지를 받은 전기제품(100)의 다른 사용자들이 수신받은 메세지를 인식할 수 있다.In this case, a message generated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4 of another electric appliance (e.g., a TV, a wireless terminal, or a computer), so that other users of the appliance 100 receiving the received message can do.

한편, 본 발명에 의하여 하나의 전기제품(100)에서 집안 내에 있는 다른 전기제품(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동작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nother electric product 100 in the house and observe the operation state in one electric product 100.

도5에서는 이와 같이 특정 전기제품을 통하여 다른 전기제품을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the control of another electric product through the specific electric product.

여기서, 냉장고(100)에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표시부(104)가 마련되고, 입력부를 이용하여 집안 내의 조명장치(500)를 on/off할 수 있고, 조명장치(500)의 on/off 상태가 냉장고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04 including an input unit and can turn on / off the lighting device 500 in the house using the input unit, and the on / As shown in FIG.

상기 냉장고(100)와 조명장치(500)는 상호 인증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격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 이후에, 상기 냉장고(100)를 통하여 상기 조명장치(500)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조명장치(5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00 and the lighting apparatus 500 first determine whether they are eligible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mutual authentication and then determine whether the lighting apparatus 500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100 through the refrigerator 100. [ And can display the operation state of the illumination device 500. [0154] FIG.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전기제품에서 수신된 외부 정보, 메세지나, 메일의 수신알림을 다른 전기제품에서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notification of reception of external information, a message, and mail received in one electric product can be performed in other electric products.

즉,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와 무선단말기, 그리고 냉장고와 같은 전기제품(100) 간에 상호 인증을 통하여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에 외부 메일이 수신된 경우, 이러한 사실이 냉장고의 표시부 등에 표시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6, a state where communication is possible through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computer 100 and the electronic product 100 such as a wireless terminal and a refrigerator is maintained, and in this state, If received, this fac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of the refrigerator or the like.

이는 사용자가 미리 외부 정보나 메일 또는 메세지가 수신된 경우, 다른 전기제품으로 그 사실이 송신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This can be done by setting the fact that the fact is to be sent to another appliance if the user has received external information or mail or message in advance.

한편, 본 발명에 의하여 하나의 전기제품의 구동상태가 다른 전기제품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state of one electric appliance can be displayed on another appliance.

즉,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정 내에 설치되는 전기제품(100)인 세탁기와 냉장고가 통신에 의하여 상호 간에 인증이 되어 상호 간에 정보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washing machine and the refrigerator, which are electrical products 100 installed in the home, are mutually authenticated by communication and are arrang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or signals to each other.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탁기의 구동상태 또는 작동상태가 상기 냉장고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In this state, the user sets the driving state 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of the refrigerator.

그 이후, 상기 세탁기에서 세탁을 수행하고, 세탁기 완료된 경우, 세탁기의 표시부에는 세탁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세지가 표시되고, 스피커에서는 알람음이 울리게 된다.Thereafter, washing is performed in the washing machine. When the washing machine is completed, a message indicating that washing is complet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nd an alarm sound is emitted from the speaker.

한편,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의 표시부에는 상기 세탁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세지가 표시되고, 냉장고의 스피커에서는 세탁 종료를 알리는 알람음이 나오게 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washing is finish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refrigerator, and an alarm sound indicating the end of washing is outputted from the speaker of the refrigerator.

또한,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제품(100)의 일종인 세탁기의 표시부에 추정 또는 예상 세탁시간과 건조시간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세탁기 표시부의 표시 내용이 상기 전기제품(100)의 일종인 냉장고의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설정한 경우에, 상기 냉장고의 표시부에도 상기 세탁기의 표시부에 표시된 내용과 동일한 추정 또는 예상 세탁시간과 건조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8, an estimated or predicted washing time and a drying time ar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washing machine, which is a kind of the electric appliance 100, and when the user displays the contents of the washing machine display unit on the display unit of the appliance 100 The estimated or estimated washing time and the drying time which are the same as thos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ashing machin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refrigerator when the display unit is se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refrigerator.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가정 내에 있는 전기제품의 전력소비상태가 다른 전기제품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ption state of the electric appliance in the ho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rt of the other electric appliance.

즉,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정내에 있는 전기제품(100)인 세탁기, TV, 조리기기의 전력소비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다른 전기제품(100)인 냉장고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도록 설정된 경우에, 상기 냉장고의 표시부에는 각 전기제품의 일일 전력소비량을 표시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9, 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wer consumption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the TV, and the cooking appliance, which is the household appliance 100, is se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of the refrigerator as the other appliance 100 The daily power consumption amount of each electric applianc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of the refrigerator.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가전제품(100)의 표시부(104)를 통해서 가정내에 있는 많은 전기제품의 전력소비 상태를 일목요연하게 관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observe the power consumption state of many electric appliances in the home through the display unit 104 of the specific home appliance 100 at a glance.

한편, 본 발명은 특정 전기제품의 구동 중, 다른 전기제품에서 획득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특정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a specific electric appliance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other electric appliances during operation of the particular electric appliance.

즉, 제1전기제품의 구동 중 , 제2전기제품에 의한 제1전기제품의 구동환경 변화에 대한 관찰결과가 제2전기제품에 의하여 측정되고, 상기 제1전기제품의 구동부의 구동조건이 상기 구동환경 변화 결과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That is, during the driving of the first electric product, the observation result of the driving environment change of the first electric product by the second electric product is measured by the second electric product, and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driving part of the first electric product i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riving environment change.

즉,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공간에 공기조화기(1110)와 로봇청소기(1120)가 배치되어 있고, 공기조화기(1110)는 제어부(1111)와, 송풍장치(1112), 온도센서(1113), 통신부(1114), 풍향조절부(1115)를 포함하고, 로봇청소기(1120)는 구동부(1121), 카메라부(1122), 센서부(1123), 통신부(1124), 메모리부(1125)를 구비할 수 있다.10, an air conditioner 1110 and a robot cleaner 1120 are disposed in a specific space. The air conditioner 1110 includes a control unit 1111, a blower 1112, The robot cleaner 1120 includes a driving unit 1121, a camera unit 1122, a sensor unit 1123, a communication unit 1124, a memory unit 1120, a communication unit 1114, and a wind direction control unit 1115. [ (Not shown).

상기 로봇청소기(1120)와 상기 공기조화기(1110)는 상호 인증 이후,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After the mutual authentication, the robot cleaner 1120 and the air conditioner 111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도10(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공간에 사용자가 누워있고, 공기조화기(1100)의 풍향조절부(1105)에서 나오는 공기의 풍향이 사용자가 누워있는 방향 뿐만 아니라 다른 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로봇청소기(1200)가 카메라부(1203)를 동작시켜 주변 상황을 촬영하면서, 상기 공기조화기(1100)와 통신을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 when the user lies in a specific space and the airflow direction of the air from the airflow direction control unit 1105 of the air conditioner 1100 is directed not only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lying but also to the other direction The robot cleaner 1200 can communicate with the air conditioner 1100 while operating the camera unit 1203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상기 로봇청소기(1200)가 사용자를 향하여 접근하고, 도10(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주위를 돌면서, 사용자가 누워있는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부와 센서부를 이용하여 수집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공기조화기(1100)의 통신부(1104)로 전달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200 approaches the user and can sense the user's lying area by turning around the user as shown in FIG. 10 (b).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using the camera unit and the sensor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104 of the air conditioner 1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이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부(1101)는 상기 통신부(1104)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공기의 풍향을 사용자가 누워있는 영역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1 of the air conditioner can concentrate the air direction of the air in the direction of the area where the user is lying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4.

특히, 여름에 사용자가 잠들어 있거나, 다른 일을 하고 있어서, 공기조화기(1100)의 제어를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경우에, 로봇청소기(1200)가 돌아다니면서 사용자의 주변정보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를 공기조화기(1100)에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제어하지 않아도 공기조화기(1100)가 자동적으로 운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user is sleeping in the summer or is doing something else and can not directly control the air conditioner 1100, the robot cleaner 1200 moves around and detects a change in the user's peripheral information Since the sens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air conditioner 1100, the air conditioner 1100 can operate automatically without the user's control,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1: 서버시스템 100: 전기제품
101: 제어부 102: 통신부
103: 입력부 104: 표시부
105: 구동부 106: 메모리부
200: 무선단말기 201: 제어부
202: 통신부 203: 입력부
204: 표시부 206: 메모리부
1: Server system 100: Electrical products
101: control unit 102:
103: input unit 104:
105: driving unit 106: memory unit
200: wireless terminal 201: control unit
202: communication unit 203: input unit
204: Display section 206: Memory section

Claims (12)

단일의 가정 내에 구비되되, 각각의 디바이스 ID를 구비하며 상호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전기제품들과;
단일의 가정 내에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 ID가 수록되고, 상기 전기제품들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버시스템;
고유의 디바이스 ID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시스템과 통신하는 무선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제품의 디바이스 ID에는 해당 제품의 특성정보가 코드화되어,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디바이스 ID로 해당 제품의 종류 또는 모델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제품은 상기 서버시스템의 인증에 의하여 상호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며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고,
상기 무선단말기에 입력되거나,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관리되는 정보나 신호가 상기 서버시스템을 통하여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에 전달되어 해당 전기제품에 표시 또는 저장되고,
상기 전기제품에서 생성되거나, 관리되는 정보, 또는 신호가 상기 서버시스템을 통하여 또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무선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A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provided in a single home, each electric appliance having respective device IDs and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 server system which is provided in a single home, in which each of the device IDs is stored, and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communicable with the electric appliances;
And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unique device ID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system,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oduct is coded in the device ID of the electrical product, and the server system recognizes the type or model information of the product by the device ID,
Wherein the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are configured to be mutually communicable by authentication of the server system and set to be able to transmit and receive predetermined information or signals,
Information or a signal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or managed by the wireless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appliance through the server system or via the Internet network and is displayed or stored in the electric appliance,
Wherein information or signals generated or managed in the electronic product are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server system or via the Internet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제품은 제1,2전기제품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제품들은 각각 소정의 명령이 입력될 수 있는 입력부와;
소정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표시부와;
다른 전기제품 및 상기 서버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부와;
상기 입력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통신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electrical products including first and second electrical products,
The electric appliances each include an input unit through which a predetermined command can be input;
A display unit on which predetermined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 electrical appliances and the server system;
A driving unit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put unit, the display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driv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제1전기제품의 입력부에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제1전기제품의 표시부에 입력된 명령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고, 해당 정보를 상기 제2전기제품에 송신하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전기제품의 표시부에 상기 제1전기제품의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a command is input to an input unit of the first electrical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a command in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first electrical product is displayed, and when an instruction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second electrical product is input,
And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first electrical produc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econd electrical product.
제3항에 있어서,
제1전기제품은 냉장고와 조리기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제2전기제품은 냉장고와 조리기기 중 다른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전기제품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레서피를 제2전기제품으로 송신하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전기제품의 표시부에 해당 레서피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electrical product is composed of one of a refrigerator and a cooking appliance,
The second electrical product comprises one of a refrigerator and a cooking appliance,
Wherein the recip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econd electric appliance when a command to transmit the recip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first appliance to the second appliance is input.
제2항에 있어서,
제1전기제품의 입력부에 소정의 메세지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메세지를 상기 제2전기제품에 송신하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전기제품의 표시부에 상기 제1전기제품에서 입력된 메세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a predetermined message is input to the input unit of the first electrical product, when an instruction to transmit the message to the second electrical product is input,
And a message input from the first electrical produc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econd electrical produc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제품은 조리기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2전기제품은 집안 내에 상기 조리기기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전기제품으로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식사준비완료 메세지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2전기제품의 표시부에 해당 메세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electric appliance is constituted by a cooking appliance,
Wherein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comprises at least one electrical appliance communicable with the cooking appliance in the house,
And a mess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econd electric appliance when the user transmits a meal preparation completion message using the cooking applian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제품의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의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수신정보가 제1전기제품에서 상기 제2전기제품으로 송신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제2전기제품의 표시부에 상기 제1전기제품에서 수신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external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st electric appliance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is set to be transmitted from the first appliance to the second appliance,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first electrical produc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econd electrical produc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제품과 상기 제2전기제품은 냉장고와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전기제품과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무선단말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냉장고와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컴퓨터 중 어느 하나에 이 메일이 수신되면, 나머지 제품에 메일 수신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electrical product and the second electrical product comprise a refrigerator and a computer,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terminal communicable with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products,
Wherein when the e-mail is received in any one of the refrigerator,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computer, mail recep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remaining produc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제품의 구동상태가 상기 제2전기제품으로 송신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제2전기제품의 표시부에 상기 제1전기제품의 구동상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iving state of the first electric produc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econd electric product when the driving state of the first electric product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electric produ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제품의 전력소비상태가 상기 제2전기제품으로 송신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제2전기제품의 표시부에 상기 제1전기제품의 전력소비상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wer consumption state of the first electrical produc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second electrical product when the power consumption state of the first electrical product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electrical product .
제2항에 있어서,
제1전기제품 구동 중, 상기 제2전기제품에 의한 제1전기제품 구동 환경 변화 관찰 결과가 상기 제2전기제품으로부터 상기 제1전기제품으로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전기제품의 구동부의 구동 조건이 상기 구동 환경 변화 결과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first electrical product driving environment change observation result by the second electrical product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electrical product to the first electrical product during the first electrical product driving,
Wherein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driving unit of the first electric appliance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a result of the driving environment chang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제품은 공기조화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2전기제품은 카메라가 장착되는 로봇청소기로 구성되되,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카메라 관찰 결과에 따라서 풍향이 변화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electric appliance is constituted by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second electric appliance comprises a robot cleaner on which a camera is mounted,
Wherein the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so that a wind direction changes according to a result of a camera observation of the robot cleaner.
KR1020110083492A 2011-08-22 2011-08-22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Expired - Fee Related KR101923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92A KR101923434B1 (en) 2011-08-22 2011-08-22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92A KR101923434B1 (en) 2011-08-22 2011-08-22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141A KR20130021141A (en) 2013-03-05
KR101923434B1 true KR101923434B1 (en) 2018-11-29

Family

ID=4817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4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923434B1 (en) 2011-08-22 2011-08-22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4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2375B2 (en) 2015-02-23 2019-08-13 Vivint, Inc. Personalized communic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8212A1 (en) * 2007-01-19 2008-07-24 Sony Corporation Network system, access management server, event notification method, network appliance and computer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793U (en) * 1990-02-16 1991-11-05
KR20060004031A (en) * 2004-07-08 200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How to display your home network system and power usage
KR100889082B1 (en) * 2007-01-11 2009-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guide system and method
KR20090000772A (en) * 2007-04-02 2009-01-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ow to acquire recipe know-how using RDF refrigerator and recipe know-how trading system using RDF refrigerator
KR20080091888A (en) * 2007-04-10 200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ushing an email to a portable terminal in a mail system
KR20100026353A (en) * 2008-08-29 2010-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KR20110040387A (en) * 2009-10-14 2011-04-20 이상원 Cooking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741583B1 (en) * 2009-11-16 2017-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8212A1 (en) * 2007-01-19 2008-07-24 Sony Corporation Network system, access management server, event notification method, network appliance and computer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141A (en)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85406B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te control of home devices in a home network system
JP6576021B2 (en) Server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140253301A1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CN108196457A (en) A kind of intelligent home control system
US20130052946A1 (en) Home automation using a mobile device
JP6239465B2 (en) Information equipment and control equipment
KR201500590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group of home devices in a home network system
US20160004231A1 (en) Method of managing electrical device, managing system, electrical device, operation terminal, and program
TW201134141A (en) A dynamically reconfigurable heterogeneous with load balancing architecture and method
JP5878478B2 (en) Controller, network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8283433A (en) Networked home electric appliance system
KR20150049360A (en) networ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063520A (en) Consumer electronics controller,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system, and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method
JP2021103888A (en) Notification control device, notification control system,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2143336A (en) Television serving as controller in intelligent control ne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046686A (en) Remote control system
CN104577548B (en) smart socket
CN204347603U (en) Intelligent switch
JP6352077B2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dedicated controller
CN204349119U (en) Smart jack
KR101923434B1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WO2015028038A1 (en) System for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of a conditioner and heat pump
EP3209026B1 (en) Control processing method, electric device, and control processing program
CN204044999U (en) Wireless environment control system
KR102130305B1 (en) Sensor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controll system and method of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8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8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