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3350B1 - 제지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제지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350B1
KR101923350B1 KR1020180094351A KR20180094351A KR101923350B1 KR 101923350 B1 KR101923350 B1 KR 101923350B1 KR 1020180094351 A KR1020180094351 A KR 1020180094351A KR 20180094351 A KR20180094351 A KR 20180094351A KR 101923350 B1 KR101923350 B1 KR 101923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ircumferential surface
coating
outer circumferential
raw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1020180094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35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0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out flanges, e.g. co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specially treated, e.g. surfaced, parchment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50Methods of making reels, bobbins, cop tubes, or the like by working an unspecified material, or sever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50Storage means for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51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5H2701/511Cores or re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ssentially made of sheet material
    • B65H2701/5112Paper or plastic sheet material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지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관의 내주를 이루는 내측관과; 수용성 코팅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으로 일정 두께만큼 도포되어 상기 지관의 내주에 대한 내수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제1코팅부와; 상기 제1코팅부의 외주면에 적층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된 복수의 원지부재와, 상기 복수의 원지부재 사이에 구성되고,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복수의 원지부재 사이에 충진되는 실리콘 재질의 충진재로 구성되는 강도 보강수단과; 수용성 코팅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도 보강수단의 외주면에 일정 두께만큼 도포되는 제2코팅부와; 상기 제2코팅부의 외주면에 적층 구성되는 외측관과; 상기 외측관 및 강도 보강수단을 절개시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원자재의 권취 공정시 절개된 내면을 따라 상기 원자재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끝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원자재를 고정시키며, 상기 원자재가 상기 외측관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관 부재; 및 상기 관 부재의 양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관 부재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플랜지 부재;를 포함하는 지관과, 상기 지관을 제조하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지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paper tubes for pulp and their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제지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습도 및 온도와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력이 매우 적으며, 우수한 직진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관의 수축이완에 대한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제지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관은 제지(펄프지), 섬유 등의 산업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제품이며, 최근 들어 고온 센서 취부용 지관이나 건설용 지관 또는 포장용기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되어지고 있으며 그 적용 분야가 다양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관은 펄프지나 섬유원단, 또는 상기 섬유원단을 이루는 실과 같은 원재료를 권취하여 보관하기 위한 중공의 축으로서, 귄취된 원재료는 그 이용을 위해 지관으로부터 고속으로 풀어내야 하고, 이를 위해 지관의 양측 내주연으로 회전장치의 척이 끼워져 척의 회전으로 지관을 회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때 지관의 양측부를 보강하기 위해 원통형의 금속재 보강캡이 사용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지관은 상기 원재료를 권취하기 위한 초기 권취 공정시 상기 원재료가 지관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권취 공정이 이루어지고 있어 지관의 외면에 안전하게 밀착되지 않아 주름이 생기거나 비틀린 상태로 감기게 되어 감는 작업을 마친 후 초기의 구김이나 비틀려진 소재의 사용을 기대할 수 없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155515호에는, 지류나 섬유원단을 안전하고 불량 없이 초기감기 작업부터 완료작업을 이루게 하여 감기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면서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고 경량화에 따른 취급의 안전성과 휴대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롤 감기용 지관의 구조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의 경우, 절개홈이 지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 권취 공정시 원재료가 절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오히려 초기 권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권취시 원재료들간의 꼬임 현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5515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습도 및 온도와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력이 매우 적으며, 우수한 직진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관의 수축이완에 대한 변화를 최소화시켜 제지(펄프지)의 권취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제지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지의 권취 뿐만 아니라 고속으로 풀어나가는 경우에도 떨림 현상을 최소화하여 작업 중단 등의 위험 요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지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변형도를 최소화함으로써, 지관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지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관의 내주를 이루는 내측관과; 수용성 코팅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으로 일정 두께만큼 도포되어 상기 지관의 내주에 대한 내수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제1코팅부와; 상기 제1코팅부의 외주면에 적층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된 복수의 원지부재와, 상기 복수의 원지부재 사이에 구성되고,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복수의 원지부재 사이에 충진되는 실리콘 재질의 충진재로 구성되는 강도 보강수단과; 수용성 코팅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도 보강수단의 외주면에 일정 두께만큼 도포되는 제2코팅부와; 상기 제2코팅부의 외주면에 적층 구성되는 외측관과; 상기 외측관 및 강도 보강수단을 절개시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원자재의 권취 공정시 절개된 내면을 따라 상기 원자재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끝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원자재를 고정시키며, 상기 원자재가 상기 외측관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관 부재; 및 상기 관 부재의 양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관 부재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플랜지 부재;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 부재는, 상기 내측관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1코팅부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적층되며,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에 적층되는 경우, 하부면으로 상기 제1코팅부가 도포되는 속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 부재는, 상기 내측관에 인입되는 인입관과; 상기 인입관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관 부재의 양측 끝단부가 밀착되게 결합되는 고정 플랜지와; 상기 강도 보강수단과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이 삽입 및 관통하는 연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관 부재 및 플랜지 부재로 이루어진 제지용 지관을 제조하는 지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 부재의 내측관을 회전 및 이송시키는 지관 회전축; 상기 관 부재의 제1코팅부를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1코팅부를 상기 내측관의 외측 원주면에 도포하는 도포롤러로 구성된 코팅제 도포장치; 상기 지관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관 부재에 도포되는 제1 및 제2코팅부를 건조시키며, 상기 관 부재에 소정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코팅부 접착장치; 상기 관 부재의 외주면으로 절개부 및 고정부를 형성하는 절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관 회전축에는 관 부재의 제조시 소정의 압착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압착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습도 및 온도와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력이 매우 적으며, 우수한 직진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관의 수축이완에 대한 변화를 최소화시켜 제지(펄프지)의 권취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지의 권취 뿐만 아니라 고속으로 풀어나가는 경우에도 떨림 현상을 최소화하여 작업 중단 등의 위험 요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변형도를 최소화함으로써, 지관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지용 지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지용 지관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지용 지관의 관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지용 지관의 관 부재와 플랜지 부재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지용 지관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지용 지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지용 지관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지용 지관의 관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지용 지관의 관 부재와 플랜지 부재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지용 지관은 습도 및 온도의 변화에도 일정한 직진도를 유지하며, 제지와 같은 원자재의 초기 권취 공정시 상기 원자재의 긴밀한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관 부재(100)와 상기 관 부재(100)의 양측 모두에 결합되며, 상기 원자재의 권취공정이나 풀림 작동이 이루어질 때 관 부재(100)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 부재(200)로 구성된다.
관 부재(100)는 내측관(110), 제1코팅부(120), 속지(130), 강도 보강수단(140), 제2코팅부(150), 외측관(160)이 각각 적층되게 구성되며, 원주면을 따라 양측부에 각각 원자재의 끝단부가 고정되는 절개부(170) 및 고정부(180)가 구성된다.
내측관(110)은 지관의 내주를 이루는 중공의 관으로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양측 단부로 후술할 플랜지 부재(200)의 인입관(210)이 삽입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제1코팅부(120)는 내측관(110)의 외주면으로 지관 제조장치(300)에 구성된 코팅제 도포장치(310)를 통해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지관의 내수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수성 접착제에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에멀젼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 구성된 수용성 코팅제로 이루어져 재활용시 물의 용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코팅부(120)는 내측관(110)의 외주면으로 내수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켜 습도나 온도으로 인해 상기 내측관(11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접착력을 향상시켜 내측관(110)의 외주면으로 적층되는 구성요소들 간의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코팅부(120)는 내측관(110)의 외주면에 도포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별도의 얇은 부직포와 같은 속지(130)에 도포된 상태로 상기 내측관(110)의 외주면에 적층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속지(130)는 상기 제1코팅부(120)와 함께 습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수분의 흡출을 방지하여 내측관(110)에 대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코팅부(120)는 상기 내측관(110)의 외주면 및 속지(130) 모두에 도포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포가 완료된 이후 일정 시간 동안 통상의 열풍장치 등을 통해 건조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강도 보강수단(140)은 속지(130)의 외주면으로 적층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재로 이루어지며, 관 부재(100)의 습도 증가 및 습도 방출에 따른 외측관(160)의 뒤틀림 또는 변형을 방지하고, 제지와 같은 원자재의 권취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관 부재(100)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강도 보강수단(140)은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원주면을 따라 플랜지 부재(200)와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후술할 플랜지 부재(200)의 연결공(230)과 동일한 갯수로 이루어지며, 동축선상에 형성되는 결합홈(14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강도 보강수단(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흡수 및 강성 보강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원지부재(144)와, 상기 복수의 원지부재(144) 사이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46) 및 복수의 원지부재(144)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148)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원지부재(144)는 두꺼운 종이재나 크라프트지, 또는 골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탄성부재(146)는 원자재의 권취시, 또는 권취된 상태의 원자재의 풀림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관 부재(100)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으로, 고무재질의 밴드, 또는 와이어로 구성되어 상기 원지부재(144)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충진재(148)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146)가 삽입된 원지부재(144)의 내부 공간을 충진시켜 관 부재(100)의 강성을 보강하여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2코팅부(150)는 실리콘계, 폴리비닐아세트, 또는 아크릴계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실리콘계, 폴리비닐아세트와 아크릴계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 구성되는 수용성코팅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코팅부(120)와 마찬가지로 강도 보강수단(140)의 외주면으로 일정 두께만큼 도포되어 외측관(16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접착력을 향상시켜 강도 보강수단(140)과 외측관(160)의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제1코팅부(120)는 관 부재(100)의 내주면에 대한 변형을 방지하고, 제2코팅부(150)는 관 부재(100)의 외주면에 대한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외측관(160)은 상기 제2코팅부(150)의 외주면에 적층 구성되어 관 부재(10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종이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외측관(160)은 내측관(110)과 함께 양측 단부로 후술할 플랜지 부재(200)의 인입관(210)이 삽입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관 부재(100)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재의 초기 권취 공정시 원자재와 관 부재(100)의 외측관(160)과의 긴밀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권취시 원자재의 권취 상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부에 각각 원주면을 따라 절개부(170)와 고정부(18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170) 및 고정부(180)는 외측관(160) 및 강성 보강수단(140)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홈으로 형성되며,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되,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절개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절개부(170)는 원자재의 끝단부가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일측 끝단부로 향할수록 그 직경이 점자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원자재가 삽입이 이루어질 때,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절개부(170)는 타측 끝단부에 절개부(170)에 삽입된 원자재를 고정하는 고정부(180)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170)에 삽입된 원자재가 고정부(180)에 의해 고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고정부(180)는 절개부(170)에 삽입된 원자재를 고정시켜 권취 공정시 원자재가 절개부(170)로부터 이탈하여 외측관(160)의 원주면과 밀착 상태가 해제되어 공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절개부(170)는 권취 공정시 관 부재(100)로 최초 진입한 원자재의 끝단부가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이후 권취 공정이 계속 진행되면 상기 원자재가 절개부(170)의 절개된 내면을 따라 고정부(180)로 이동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고정부(180)는 상기 절개부(170)와의 경계선 상에 이탈 방지턱(182)을 형성하여 고정부(180)로 진입한 원자재의 끝단부가 절개부(170)로 역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초기 권취시 원자재의 견고한 고정을 유도하여 원자재의 원활하고 신속한 권취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플랜지 부재(200)는 관 부재(100)의 양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관 부재(100)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것으로, 관 부재(100)의 내측관(110)에 인입되는 인입관(210)과, 상기 인입관(2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관 부재(100)의 양측 끝단부가 밀착되게 결합되는 고정 플랜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플랜지 부재(200)는 상기 관 부재(100)와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강도 보강수단(140)에 형성된 결합홈(142)과 동일중심을 이루는 연결공(2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공(230)에는 별도의 연결축이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홈(14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플랜지 부재(200)와 관 부재(1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축은 상기 결합홈(142)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결공(230)과 결합홈(142)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그 끝단부가 리벳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관 부재(1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성된 플랜지 부재(200)가 연결축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축의 강성에 의한 관 부재(100)의 강도 보강을 더욱 극대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 부재(200)에는 인입관(210)과 내측관(110)의 내주면을 접합하여 관 부재(100)와 플랜지 부재(200) 간의 결합력을 증진시키는 한편, 인입관(210)에 의해 내측관(110)에 대한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접합부(2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부(240)는 열 접합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지용 지관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관 회전축(302), 코팅제 도포장치(310), 코팅부 접착장치(320), 절개장치(340), 구동장치(350), 압착롤러(360) 및 지관 접합부를 포함하는 지관 제조장치(300)에 의해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지관 회전축(302)은 내측관(110)의 내주면으로 삽입이 이루어지며, 지관 제조시 관 부재(100)를 이루는 구성요소들(120 내지 160)의 적층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내측관(110)을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구성요소들이 순착적으로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내측관(110)을 이송하며, 적층이 완료된 이후 절개부(170) 및 고정부(180)의 형성을 위해 상기 절개장치(340)로 관 부재(100)를 이송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지관 회전축(302)에는 관 부재(100)의 제조시 각 공정이 진행된 이후, 소정의 압착력을 제공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접착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개의 압착롤러(360)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코팅제 도포장치(310)는 내측관(110)의 외측 원주면으로 제1코팅부(12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코팅부(120)를 이루는 수용성 코팅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312)와, 상기 공급롤러(312)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수용성 코팅제를 상기 내측관(110)의 외측 원주면에 도포하는 도포롤러(314)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포롤러(314)는 상기 수용성 코팅제가 속지(130)에 도포되거나, 또는 내측관(110)의 외주면에 직접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관(110)의 외주면에 직접 도포가 이루어지는 경우, 지관 회전축(302)의 상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롤러부재들로 상기 공급롤러(312)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성 도포제를 공급받아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포롤러(314)가 상기 속지(130)에 도포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공급롤러(312)의 상부에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속지(130)를 내측관(110)의 외주면으로 공급하는 별도의 속지 공급롤러(316)를 통해 공급되는 속지(130)의 하부면에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이송중인 속지(130)에 상기 수용성 도포제의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코팅부 접착장치(320)는 지관 회전축(3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구성되며, 관 부재(100)에 도포되는 제1 및 제2코팅부(120, 150)를 건조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코팅부(120, 150)의 외주면으로 각각 적층되는 속지(130), 강도 보강수단(140), 외측관(160)이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절개장치(340)는 제조가 이루어진 관 부재(100)의 외주면으로 절개부(170) 및 고정부(180)를 형성하는 것으로, 실린더 부재와 같은 구동장치(350)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지며,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관 부재(100)의 외주면을 커팅에 의해 절단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절개장치(340)는 별도의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절개부(170)와 고정부(180)의 직경에 대한 크기를 조절하여 절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관 부재 110: 내측관
120: 제1코팅부 130: 속지
140: 강도 보강수단 150: 제2코팅부
160: 외측관 170: 절개부
180: 고정부 200: 플랜지 부재
210: 인입관 220: 고정 플랜지
230: 연결공 240: 접합부
300: 지관 제조장치 302: 지관 회전축
310: 코팅제 도포장치 320: 코팅부 접착장치
340: 절개장치 350: 구동장치
360: 압착롤러

Claims (3)

  1. 지관의 내주를 이루는 내측관과;
    수성 접착제에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에멀젼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 구성된 수용성 코팅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으로 일정 두께만큼 도포되어 상기 지관의 내주에 대한 내수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제1코팅부와;
    상기 내측관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코팅부의 외주면에 적층되는 속지와;
    상기 속지의 외주면에 적층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된 복수의 원지부재와, 상기 복수의 원지부재 사이에 구성되고, 원자재의 권취, 또는 풀림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재질의 밴드, 또는 와이어로 구성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된 상기 복수의 원지부재 사이의 내부 공간을 충진시키는 실리콘 재질의 충진재로 구성되는 강도 보강수단과;
    실리콘계, 폴리비닐아세트, 또는 아크릴계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실리콘계, 폴리비닐아세트와 아크릴계가 일정 중량비로 혼합 구성된 수용성 코팅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도 보강수단의 외주면에 일정 두께만큼 도포되는 제2코팅부와;
    상기 제2코팅부의 외주면에 적층 구성되는 외측관과;
    상기 외측관 및 강도 보강수단을 절개시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원자재의 권취 공정시 절개된 내면을 따라 상기 원자재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원자재의 끝단부가 삽입되며, 일측 끝단부로 향할수록 그 직경이 점자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끝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원자재를 고정시켜 상기 원자재가 상기 절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외측관의 원주면과 밀착 상태가 해제되어 공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원자재가 상기 외측관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관 부재; 및
    상기 관 부재의 양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관 부재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측관에 인입되는 인입관과, 상기 인입관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관 부재의 양측 끝단부가 밀착되게 결합되는 고정 플랜지와, 상기 강도 보강수단과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이 삽입 및 관통하는 연결공과, 상기 인입관과 상기 내측관의 내주면을 접합하여 상기 관 부재와의 결합력을 증진시키며, 상기 인입관에 의해 내측관의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접합부로 구성되는 플랜지 부재;
    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용 지관.
  2. 삭제
  3. 관 부재 및 플랜지 부재로 이루어진 제지용 지관을 제조하는 지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 부재의 내측관을 회전 및 이송시키고, 상기 관 부재의 제조시 소정의 압착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압착롤러가 구성된 지관 회전축;
    상기 관 부재의 제1코팅부를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1코팅부를 상기 내측관의 외측 원주면에 도포하는 도포롤러로 구성된 코팅제 도포장치;
    상기 제1코팅부의 외측 원주면으로 속지를 공급하는 속지 공급롤러;
    상기 지관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관 부재에 도포되는 제1 및 제2코팅부를 건조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코팅부의 외주면으로 각각 적층되는 속지, 강도 보강수단, 외측관이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팅부 접착장치; 및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지며,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관 부재의 외주면을 커팅하면서 상기 관 부재의 외주면으로 절개부 및 고정부를 형성하고,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절개부와 고정부의 직경을 조절하여 절개하도록 구성되는 절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롤러는, 상기 제1코팅부를 상기 속지에 도포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롤러의 상부에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속지 공급롤러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속지의 하부면에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이송중인 속지에 상기 제1코팅부의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용 지관 제조장치.
KR1020180094351A 2018-08-13 2018-08-13 제지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923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351A KR101923350B1 (ko) 2018-08-13 2018-08-13 제지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351A KR101923350B1 (ko) 2018-08-13 2018-08-13 제지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350B1 true KR101923350B1 (ko) 2018-11-29

Family

ID=64567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3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923350B1 (ko) 2018-08-13 2018-08-13 제지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3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254Y2 (ja) * 1993-03-16 1996-12-11 田中紙管株式会社 二重紙管の構造
JP2015003828A (ja) * 2013-05-24 2015-01-08 株式会社昭和丸筒 巻芯および巻芯の弾性体層の復元方法
KR101840380B1 (ko) * 2017-09-01 2018-03-21 김연득 실리콘 이형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리콘 이형필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254Y2 (ja) * 1993-03-16 1996-12-11 田中紙管株式会社 二重紙管の構造
JP2015003828A (ja) * 2013-05-24 2015-01-08 株式会社昭和丸筒 巻芯および巻芯の弾性体層の復元方法
KR101840380B1 (ko) * 2017-09-01 2018-03-21 김연득 실리콘 이형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리콘 이형필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8576B1 (en) Badminton shuttlecock
CA2760974C (en) Fiber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1923351B1 (ko) 섬유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
KR101923350B1 (ko) 제지용 지관 및 그 제조장치
US20050260365A1 (en) Wound tubes with partially adhered structural layer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11548754B2 (en) Reinforced wood fiber core
CA2502631A1 (en) Shoe press belt
EP2383023B1 (en) Artificial feather for shuttlecock and badminton shuttlecock
JPH0649343B2 (ja) 可撓性ロ−ラの製造方法
JP2003000780A (ja) 繊維強化樹脂製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の製造方法及び繊維強化樹脂製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2000108213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パイプの製造方法
WO2015108074A1 (ja) 無端状平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15338A (ja) 管状体
KR100351176B1 (ko) 타이어코오드지 또는 벨트코오드지 권취용 셀
US20210016991A1 (en) Reinforced wood fiber core
JP3278097B2 (ja) 管状体
JP6735319B2 (ja) シャフト
JP3122918B2 (ja) テーパ付き筒状樹脂製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7102858B2 (ja) 複合筒材
JPH0221488Y2 (ko)
JP2019124236A (ja) 高圧ガスタンクの製造方法
JP3143815B2 (ja) 筒状樹脂製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KR910001613B1 (ko) 하키스틱과 이의 제조방법
JP2024171386A (ja) リアグリップ用基材、リールシート用基材及びそれぞれにより形成されたリアグリップ、リールシート
KR101365979B1 (ko) 폼이 형성된 코어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