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951B1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2951B1 KR101922951B1 KR1020160129318A KR20160129318A KR101922951B1 KR 101922951 B1 KR101922951 B1 KR 101922951B1 KR 1020160129318 A KR1020160129318 A KR 1020160129318A KR 20160129318 A KR20160129318 A KR 20160129318A KR 101922951 B1 KR101922951 B1 KR 1019229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tank
- air
- tank
- brid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4000007853 Sarothamnus scopa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24F3/1603—
-
- F24F3/1607—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 F24F2003/1617—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a decorative founta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로어수조; 상기 로어수조 상부에 위치되는 어퍼수조; 상기 어퍼수조 및 로어수조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워시유입구; 상기 에어워시유입구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로어수조 및 어퍼수조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브릿지가 에어워시유입구를 가로질러 배치되기 때문에, 어퍼수조에서 흘러내린 물이 에어워시유입구로 넘치지 않고, 브릿지를 따라 로어수조로 안내할 수 있다.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n upper water tank located above the lower tank; An air wash inlet disposed between the upper water tank and the lower water tank and through which air flow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a bridge disposed across the air wash inlet and connecting the lower water tank and the upper water tank.
Since the bridge is disposed across the air wash inlet,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water tank can be guided to the lower tank along the bridge without overflowing the air wash inle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습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컨디셔너,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air condition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an air purifier for maintaining cleanliness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a humidifier for providing moisture in the air, and a dehumidifier for removing moisture in the air.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Conventionally, a humidifier is classified into a natural evaporation type in which water is atomized in a diaphragm, and a natural evaporation is performed in a vibration type and a humidifying filter which discharge water into the air.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The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includes a disk type humidifier in which a disk is rotated using a driving force and water is naturally evapo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disk in the air, and a humidifying filter type humidifier which is naturally evaporated by air flowing in a humidifying medium Respectively.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필터에서 여과되었다. In the conventional humidifier, a part of the air flowing in the humidification process wa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습도가 낮은 계절에만 사용되고, 공기청정기는 가습기능이 없기 때문에, 2개의 제품을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humidifier is used only in a low humidity season and the air purifier does not have a humidifying fun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wo products must be provided.
또한, 종래 가습기는 가습 기능이 주 기능이고,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능은 부가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공기청정기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umidifier has a humidifying function as a main function, and the air cleaning function for purifying the air is an additional function, so that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weak.
또한, 종래 가습기 또는 공기청정기는 가습 또는 공기청정을 구분하여 별도로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the conventional humidifier or the air purifier has a problem in that humidification or air cleaning can not be separately operated.
본 발명은 가습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capable of independently operating a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n air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가습유로에 맺힌 물방울을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고, 가습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which allows a user to visually check the water droplets formed in the humidifying flow path and confirm the state of humidification intuitively.
본 발명은 어퍼수조 및 로어수조 사이에 에어워시유입구가 형성되고, 에어워싱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in which an air wash inlet is formed between an upper water tank and a lower water tank, and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an air wash inlet.
본 발명은 어퍼수조에서 흘러내린 물을 로어수조로 안내할 수 있는 구조의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guiding water flowing down from an upper water tank to a lower water tank.
본 발명은 어퍼수조에서 흘러내린 물이 로어수조의 수면으로 직접 낙하되지 않도록 낙수방지유로가 구비된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equipped with a water fall prevention flow path so that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water tank does not directly fall into the water surface of the lower water tank.
본 발명은 어퍼수조 및 로어수조를 결합하고, 어퍼수조에서 흘러내린 물을 로어수조로 안내하는 브릿지가 구비된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having a bridge that combines the upper water tank and the lower water tank and guides the water flowing from the upper water tank to the lower water tank.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로어수조; 상기 로어수조 상부에 위치되는 어퍼수조; 상기 어퍼수조 및 로어수조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워시유입구; 상기 에어워시유입구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로어수조 및 어퍼수조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한다.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n upper water tank located above the lower tank; An air wash inlet disposed between the upper water tank and the lower water tank and through which air flow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a bridge disposed across the air wash inlet and connecting the lower water tank and the upper water tank.
상기 브릿지의 안쪽에 낙수방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낙수방지유로는 상기 어퍼수조에서 흘러내린 물을 상기 수조로 안내할 수 있다. A drip-proofing flow path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ridge, and the drip-preventing flow path can guide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water tank to the water tank.
상기 브릿지는 로어수조와 일체로 제작되고, 상기 어퍼수조와 결합될 수 있다. The bridg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water tank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upper water tank.
상기 브릿지는 어퍼수조와 일체로 제작되고, 상기 로어수조와 결합될 수 있다. The bridg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water tank,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lower water tank.
상기 어퍼수조 중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water tank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로어수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어퍼수조 내측면에 분사하는 워터링유닛; 상기 어퍼수조는 상기 내측면을 따라 흘러내린 물을 일시 저장하는 레저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watering unit disposed inside the lower water tank for spraying water stored in the lower water tank to a side surface in the upper water tank; The upper water tank may further include a reservoir for temporarily storing water flowing along the inner surface.
상기 레저버에 일시 저장된 물은 상기 브릿지를 따라 상기 로어수조로 안내될 수 있다. Water temporarily stored in the reservoir can be guided to the lower tank along the bridge.
상기 레저버는 상기 브릿지로 물을 배수하는 레저버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reservoir may be formed with a reservoir opening for draining water to the bridge.
상기 레버저는, 흘러내린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 상기 저장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브릿지로 물을 배수하는 레저버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lever comprise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flowing water is stored; And a reservoir opening connected to the storage space and draining water to the bridge.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어퍼수조의 내측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storage space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water tank.
상기 브릿지는 안쪽에 브릿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브리짓공간은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레저버에서 배수된 물을 상기 로어수조의 내측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A bridge space is formed in the bridge, and the bridging space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space and can guide the water drained from the reservoi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tank.
상기 레저버는 하측으로 돌출된 인서트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월은 상기 브릿지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The reservoir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 wall protruding downward, and the insert wall may be inserted into the bridge.
상기 인서트월 사이에 상기 레저버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는 안쪽에 브릿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월은 상기 브릿지공간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The reservoir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insert walls. A bridge space is formed inside the bridge, and the insert wall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bridge space.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워시유입구를 커버하고, 상기 에어워시유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하는 수조가습매체; 상기 수조가습매체가 설치되는 수조가습매체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은 상기 레저버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A water bath humidification medium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water, covering the air wash inlet port and providing humidification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wash inlet port; And a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housing in which the water humidifying medium is installed, wherein the water humidifying medium housing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reservoir.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의 상단에는 상기 어퍼수조에서 흘러내린 물을 상기 로어수조 내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저장공간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And a guide for guiding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water tank to the inside of the lower tank, at an upper end of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housing, and the guide may be located above the storage space.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브릿지가 에어워시유입구를 가로질러 배치되기 때문에, 어퍼수조에서 흘러내린 물이 브릿지를 따라 로어수조로 안내되는 장점이 있다. First, since the bridge is disposed across the air wash inlet,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water tank is advantageously guided along the bridge to the lower water tank.
둘째, 브릿지가 어퍼수조 및 로어수조를 결합시키는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ridge provides a joining structure for joining the upper water tank and the lower water tank.
셋째, 브릿지가 어퍼수조에서 흘러내린 물을 로어수조로 안내하는 낙수방지유로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어퍼수조에서 로어수조의 수면으로 물이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ridge can prevent water directly falling from the upper water tank to the water surface of the lower water tank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water preventing flow path for guiding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water tank to the lower water tank.
넷째, 브릿지의 상측에 어퍼수조에서 흘러내린 물을 일시저장하는 레저버가 배치되기 때문에, 브릿지에 과도한 양의 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since the reservoi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water tank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id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xcessive amount of 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upplied to the bridge.
다섯째, 어퍼수조의 상측에 상부레저버가 배치되고, 하부에 하부레저버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측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다단으로 일시 저장한 후 배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브릿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Fifth, since the upper reservoi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water tank and the lower reservoir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side can be temporarily stored in multiple stages and drained, Can be adjusted.
여섯째, 어퍼수조의 하부레저버를 구성하는 인서트월이 브릿지에 삽입되어 끼워지기 때문에, 어퍼수조 및 로어수조의 체결 전에 가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xth, since the insert wall constituting the lower reservoir of the upper water tank is inserted and fitted in the brid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pper water tank and the lower water tank can be joined together before fastening.
일곱째, 레저버의 상측에 수조가습매체하우징의 가이드가 위치되기 때문에, 과도한 양의 물이 흘러내릴 때, 이 물 중 일부를 레저버가 아닌 수조가습매체하우징으로 안내하고, 수조가습매체하우징에 형성된 낙수방지유로를 따라 수조로 안내하는 장점이 있다. Seventh, since the guides of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housing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servoir, when an excessive amount of water flows down, some of the water is guided to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housing instead of the reservoi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ter is guided to the water tank along the flow preventing flow path.
여덟째, 레저버의 저장공간이 어퍼수조의 내측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측에서 흘러내린 물의 체류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ighth, since the storage space of the reservoir is elongat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water tank,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sidence time of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side can be extend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수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좌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에 수조가습매체하우징이 거치된 에어워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 수조가습매체하우징이 거치된 에어워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수조가습매체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3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B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C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D-D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워터링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워터링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가 도시된 수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가 도시된 수조의 분해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Fig.
4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of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ir flow of a humidifying /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shown in Fig.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FIG. 6C.
8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Fig. 9 is a left sectional view of Fig. 6.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D in Fig.
Fig. 11 is a sectional view of the air wash module in which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housing is mounted in Fig. 9; Fig.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wash module in which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housing is mounted in FIG. 8;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shown i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
15 is a front view of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B in Fig.
1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C in Fig.
19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 19; Fig.
21 is a front view of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ing unit shown in Fig. 23. Fig.
Fig. 25 is a sectional view of Fig. 24. Fig.
2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tank in which a brid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27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tank in which a brid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FIG. 1, FIG. 4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of FIG. 3,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ir flow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상측에 거치되는 에어워시모듈(200)을 포함한다.The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ir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The air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이 저장되는 로어수조(300)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수조(300)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가능하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에어클린모듈(100) 위에 거치된다. The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을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에어워시모듈(200)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에어클린모듈(100) 내부를 청소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경우,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상면이 사용자에게 개방된다. The user can separate the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후술하는 필터어셈블리(10)를 포함하고, 베이스바디(110)에서 필터어셈블리(10)를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The air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외부에서 상기 로어수조(3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The user can supply water to the
상기 급수유로(109)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와 분리되어 구성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어느 때나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작동 중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될 상태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The water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연결유로(103)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103)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에어워시모듈(200)의 유로와 에어클린모듈(100)의 유로가 연결유로(103)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The air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클린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 정의한다. The connection channel formed in the air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은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다. The flow of air through the air
이하,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ir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The air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로어수조(300)와, 상기 로어수조(300)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분사하는 워터링유닛(400)과, 상기 워터링유닛(40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적셔지고, 유동되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매체(50)와, 상기 로어수조(300)에 결합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 및 물이 공급되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The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는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송풍유로(108), 클린연결유로(104)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 송풍유로(108)를 거쳐 클린유로(104)로 유동된다. The air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105), 가습유로(106),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the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클린연결유로(104) 및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는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연결된다. The clean connection channel 104 of the air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를 통해 공급된 여과공기는, 가습유로(106) 및 토출유로(107)를 거쳐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가습유로(106)와 연통되지만, 공기는 토출시키지 않고, 물만 급수받을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The filtered air suppli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flow path 105 of the
먼저, 에어클린모듈(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each configuration of the air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로 구성된다.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상기 어퍼바디(120)가 적층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는 조립된다. The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Air flows into the
상기 로어바디(130)에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및 송풍유로(108)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및 송풍유로(108)를 형성시키는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A structure in which the
상기 어퍼바디(120)에 연결유로(103)의 일부가 배치되고, 여과된 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로 안내하기 위한 구조물들 및 에어워시모듈(200)을 거치하기 위한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A part of the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면에 흡입구(111)가 형성된 로어바디(130)와,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바디(120)를 포함한다. The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를 제공하고, 외부 공기에 대해 필터링을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탈착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직방향을 거슬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수직방향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여과유로(102)를 형성한다. The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The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로어바디(130) 내부에 배치되고, 여과유로(102)를 형성하는 필터하우징(11)과, 상기 필터하우징(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14)를 포함한다. The
상기 필터하우징(12)은 하측이 흡입유로(101)와 연통되고, 상측이 송풍유로(108)와 연통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를 거쳐 송풍유로(108)로 유동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필터하우징(12)은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을 통해 상기 필터(14)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은 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은 로어바디(13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필터(14)는 상기 로어바디(130)의 측면을 통해 삽입되고, 필터하우징(12)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필터(14)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The
상기 필터(14)는 인가된 전원을 대전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전기집진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여과재를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다양한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의 여과방식 또는 필터의 여과재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가 제한되지 않는다. The
상기 여과유로(102)는 가습청정장치의 주된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유로(10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중력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즉, 상기 가습청정장치의 주된 유동방향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The
상기 필터하우징(12)의 상측에 송풍유닛(20)이 배치된다. An air blowing unit (20) is disposed above the filter housing (12).
상기 필터항우징(12)의 상측면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유닛(20)으로 유동된다. An upper side of the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의 유동을 생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The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하우징(150),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의 모터축을 아래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24)과 조립된다. The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이 배치된다. The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어셈블리(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하측에 배치된다. The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내부에 송풍유로(108)을 형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로(108)에 상기 송풍팬(24)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유로(108)는 여과유로(102) 및 클린연결유로(104)를 연결시킨다. The
상기 송풍팬(24)은 원심팬으로서,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반경방향 바깥쪽 및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외측단이 반경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The
상기 송풍모터(22)는 유동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송풍팬(2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팬(24)에 의해 감싸져 설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상기 송풍팬(24)에 의한 공기 유로 상에 위치되지 않고, 송풍팬(24)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The blowing
상기 어퍼바디(120)는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고, 로어바디(130)와 결합되는 어퍼아우터바디(128)와,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수조(300)가 삽입되고, 연결유로(103)를 제공하는 어퍼이너바디(140)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키고, 공기를 상기 로어수조(300)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70)를 포함한다. The
상기 어퍼바디(120)는 연결유로 및 수조삽입공간을 분리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로어수조(300)의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어퍼이너바디를 통해 구획되어 연결유로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바깥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로어수조(300)가 삽입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여과공기가 유입되는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The upper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대응되는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유입구(121)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어퍼바디(120)가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연결유로(103)에 노출시키는 형상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The upper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베이스바디(110)의 바깥쪽을 따라 상승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준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킨다. 다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되, 그 각도를 최소화시켜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킨다. The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의 외측을 360도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360도 전 방향에 대해 공기를 상기 로어수조(300)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로어바디(130)의 바깥쪽을 따라 안내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 로어수조(30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로어수조(3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The
그래서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부(172)와, 상기 안내부(172)와 연결되고, 안내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부(174)를 포함한다. The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연결유로(103)를 형성한다. The
상기 안내부(172)는 여과유로(102)와 대략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4)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guide portion 172 is formed substantiall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상기 전환부(174)는 에어가이드(170)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2)는 안내부(172)와 곡면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witching portion 174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상기 전환부(17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도, 상기 연결유로(103)를 통과하는 공기는 대략 경사진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연결유로(103) 및 여과유로(102)의 연결각을 직진방향과 유사하게 형성하여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Even if the switching portion 174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 안내부(172)의 하단이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고정된다. 상기 전환부(174)의 상측단이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에 고정된다.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rtion 172 is fixed to the upper outer body 128. The upper end of the switch 174 is fixed to the upper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바깥쪽에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가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통과한 공기는 어퍼유입구(121) 및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로어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A part of the clean connection flow path (104) is formed outside the upper inner body (140). The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전체적으로 바스켓 형상이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는 360도 전 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upper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여과공기를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고, 실시예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 또는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킨다. The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유입구(121)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여과공기를 안내한다. 평면에서 볼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도넛형상이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단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단에 밀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측면과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측면이 일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단에는 상기 에어가이드(170)와 결합 또는 밀착되는 어퍼이너바디링(126)이 형성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이너바디링(126)을 연결하는 이너바디연장부(148)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들 및 어퍼이너바디링(126) 사이에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An inner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는 브릿지(380)와 대응된다. 상기 로어수조(300)의 거치 시,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의 내측에 브릿지(380)가 위치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 및 브릿지(380)는 안밖으로 겹쳐진다. The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단은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과 밀착 또는 결합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하단은 어퍼아우터바디(128)와 밀착 또는 결합된다. The upper end of the
그래서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 사이의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어퍼유입구(121)로 안내된다.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between the upper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의 직경과 상기 에어가이드(170) 상단의 직경이 일치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에어가이드(170) 및 어퍼이너바디링(126)이 밀착되어 여과공기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은 에어가이드(170)의 내측에 배치된다. The diameter of the upper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손잡이(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120)에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되는 바, 상기 손잡이(129)를 통해 가습청장장치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A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로어수조(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조삽입공간(125)이 형성된다. The upper
상기 어퍼유입구(121)를 기준으로 외측에 클린연결유로(104)가 배치되고, 내측에 수조삽입공간(125)이 배치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어퍼유입구(121)를 통과한다. 상기 로어수조(300)가 수조삽입공간(125)에 거치된 경우, 상기 어퍼유입구(121)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로어수조(300) 내부로 유입된다. A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한편, 어퍼바디(120)의 상측에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결합된다.Meanwhile, the outer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비주얼바디(210)의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에어워시모듈(20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은 삭제 가능한 구성이다. The outer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의 외측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The outer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또는 에어워시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된다. A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내측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평면에서 볼때, 도넛형상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으로 상기 로어수조(300)가 삽입된다. A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가장자리는 어퍼이너바디링(126)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베이스커넥터(2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The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사용자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를 볼 수 없도록 커버한다. 특히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및 외측은 실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은 어퍼이너바디(140)에 지지되고, 외측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8)에 지지된다. The inner sid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링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의 표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그래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물이 맺힐 경우, 비주얼바디(210) 맺힌 물이 디스플레이(160) 표면에 투영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맺힌 물이 흘러내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Thus, when water is formed on the
이러한 효과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고,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에 투영된 물방울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주는 감성적 효과뿐만 아니라 가습 상태를 알 수 있는 기능적 효과도 있다. This effect gives the user a visual stimulus, and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humidification is being performed. The water droplet image projected on the
상기 디스플레이(160)의 상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은 사용자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게 형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다음으로, 에어워시모듈(2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Next, each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유로(106)에서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0은 로어수조(300)의 물을 분사하고, 이를 순환시킨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을 작은 크기의 액적으로 변환시키고, 비산된 액적을 통해 여과공기를 다시 한번 씻어낸다. 비산된 물방을 통해 여과공기를 워싱(washing)할 때, 가습 및 여과가 다시 한번 이루어진다. The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105), 가습유로(106),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를 포함한다. The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로어수조(300), 워터링유닛(400), 가습매체(50), 비주얼바디(210),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핸들(180)를 포함한다. The
상기 핸들(180)은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회전되며,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납된다. 상기 핸들(180)을 통해 에어워시모듈(200)만을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The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로어수조(3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수조(30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비주얼바디(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is disposed outside the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로어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고, 로어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is disposed outside at least one of the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외측 가장자리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의 내측 중앙에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a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In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ower is supplied to the air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대해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는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가 구비된다. Since the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어퍼바디(120)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베이스커넥터(260)가 배치된다. Since the air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전원을 필요로하는 조작부 및 디스플레이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상기 베이스커넥터(26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 또는 로어수조(300)의 내측면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내측에 급수유로(109)가 형성되고, 비주얼바디(210)와의 사이에 토출유로(107)를 형성시킨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베이스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The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될 때, 탑커넥터(270)가 베이스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탑커넥터(270)를 통해 상기 베이스커넥터(26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When the
상기 급수유로(109) 주변에는 상기 로어수조(300)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부(미도시)가 배치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물을 급수할 때, 안 보이는 로어수조(300)의 수위가 얼만큼 찼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물을 급수하는 동선 상에 수위표시부를 배치함으로서, 사용자가 물을 과도하게 공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로어수조(300)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water level indicator (not shown) for indicating the water level of the
상기 수위표시부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의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는 상부급수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한다. The level indicator is disposed in the
상기 로어수조(300)는 상기 어퍼바디(12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로어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수조(300) 내부에서 회전된다. The
상기 로어수조(30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32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워시유입구(31)와, 상기 수조바디(3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는 브릿지(380)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380)는 로어수조와 일체로 제작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바디(320)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바디(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브릿지(380)는 상기 로어수조(30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브릿지(380)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킨다. 상기 브릿지(380) 사이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The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에 대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가습연결유로(105)와 연통된다. The air wash
상기 브릿지(38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로어수조(300)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안내함으로써 낙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상기 브릿지(380)는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에 체결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바디(320)의 구성을 통해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브릿지(380)를 배치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복수개의 브릿지(380) 중 일부는 로어수조(300)에 배치하고, 복수개의 브릿지(380) 중 나머지는 비주얼바디(210)에 배치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 및 로어수조(300)과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에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에 개구면을 형성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키고, 로어수조(300)에도 개구면을 형성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즉,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로어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로어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로어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와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에 배치한 후, 이를 로어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상기 로어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에어워시모듈(200)의 측부에 배치되고, 가습유로(106)와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가습연결유로(105)와 연통 또는 연결될 수 있다. The air wash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과정을 시각화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에어워시모듈(200) 내부에 레인뷰를 구현하는 기능이 있다. The watering unit (400) has a function of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ying medium (50). The watering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켜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반경방향 바깥으로 분사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워터링하우징(800)을 포함한다.The watering
본 실시예에서는 물을 분사시키기 위해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대신 노즐을 사용하여 물을 분사하여도 무방하다.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여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레인뷰도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고, 노즐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또는 가습매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The water sprayed from the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가습매체(5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여과공기를 가습하는데 이용된다.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레인뷰를 구현한 후,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시도록 구현할 수 있다. The water sprayed toward the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링하우징(800)에 높이가 다른 복수개의 분사구를 배치한다. 어느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액적을 형성하여 레인뷰를 구현하고, 나머지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jetting openings having different heights are arranged in the watering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린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는 물방울 형태로 맺힌 액적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상기 액적을 볼 수 있다. The
특히,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은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 및 비주얼바디에서 흘러내린 물에 의해 적셔질 있다. In particular, the water flowing from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로어수조(300)와 결합되고, 상기 로어수조(3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비주얼바디(210) 또는 어퍼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레인뷰를 관찰할 수 있는 시선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상기 어퍼바디(120)에 배치된다. The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외측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 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맺힌 액적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에도 투영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디스플레이모듈(160) 2군데에서 액적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The droplet formed on the
상기 로어수조(300)는 공기가 소통되는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 및 가습유로(10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의 출구이고, 가습유로(106)의 입구이다. The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공급된 여과공기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 내부로 유동된다. The filtered air supplied from the air
상기 가습매체(50)는 가습유로(106) 입구에 배치되는 수조가습매체(51) 및 가습유로(106) 출구에 배치되는 토출가습매체(55)를 포함한다. 상기 가습유로(106)의 출구와 토출유로(107)의 입구는 서로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토출유로(107)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The
상기 연결유로(103), 가습유로(106) 및 토출유로(107)는 덕트 등과 같은 구조물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다만, 가습이 이루어지는 가습유로(106)를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 사이로 정의할 경우, 연결유로(103) 및 토출유로(107)가 자연스럽게 정의된다. Since the
상기 연결유로(103)는 송풍하우징(150) 및 수조가습매체(51) 사이로 정의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토출가습매체(55) 이후로 정의된다. .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로어수조(300)의 에어워시유입구(31)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동일 평면상, 바깥쪽, 또는 안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가습을 위해 물이 적셔지기 때문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의 안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신 후 흘러내린 물은 상기 로어수조(30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신 후 흘러내린 물이 상기 로어수조(300) 외부로 흘러내지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water flowing down after wetting the water
그래서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과하는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Thus, the water
상기 가습매체(50)에서 자연증발된 물에 의해 여과공기가 가습된다. 상기 자연증발은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이 증발되는 것을 말한다. 공기와의 접촉이 증가할수록,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수록, 공기 중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자연증발이 촉진된다. 상기 자연증발을 자연기화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The filtered air is humidified by the water that is spontaneously evaporated in the humidifying medium (50). The natural evaporation refers to the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bsence of additional heat. As the contact with air increases, as the flow rate of air increases, the lower the pressure in the air, the more natural evaporation is promoted. The natural evaporation may be referred to as natural vaporization.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의 자연증발을 촉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에 적셔지지만, 로어수조(300)에 잠기지는 않는다.The
상기 로어수조(300)에 저장된 물과 이격되고, 분리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로어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있어도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는 항상 적셔진 상태가 아니다. 즉, 가습모드로 작동될 때에만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가 적셔진 상태이고, 공기청정모드로 작동될 때에는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가 건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The water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커버하고, 공기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관통하여 상기 로어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 The water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가습유로(106)의 출구 또는 토출유로(107) 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토출가습매체(55)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상기 토출유로(107)를 커버하고, 가습공기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관통한 후, 토출유로(107)로 유동된다. Th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의 유동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low of ai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송풍유닛(20)이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베이스바디(110)의 하측면에 형성된 흡입유로(101)를 통해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를 차례로 통과하고, 에어워시모듈(200)의 상측에 형성된 토출유로(107)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When the
상기 흡입유로(101)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어셈블리(10)의 여과유로(102)를 통과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102)는 외부공기를 여과한다. The air sucked into the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유닛(20)을 통해 연결유로(103)로 유동된다.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유로(108)에 유입된다.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ration channel (102) flows into the connection channel (103) through the air blowing unit (20).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상기 여과공기는 송풍유로(108)에서 송풍팬(24)에 의해 가압된 후, 클린연결유로(104)로 유동된다. The filtered air is pressurized by the
상기 송풍유닛(20)은 여과유로(102) 다음에 배치되기 때문에, 여과공기를 가압하여 송풍하게 된다. 필터어셈블리(10) 및 송풍유닛(20)의 선후관계 배치를 통해 상기 송풍팬(24)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Since the
상기 송풍유닛(20)이 여과유로(102) 전에 배치되는 경우, 외부공기가 송풍팬(24)과 먼저 접촉되고, 이로 인해 송풍팬(24)에 이물질이 부착될 개연성이 높아진다. 송풍팬(24)이 이물질에 오염될 경우,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하고, 송풍팬(24)을 청소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해야 한다. Whe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유닛(20)은 공기 중의 이물질이 분리된 여과공기를 송풍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청소를 수행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Since the
또한, 송풍유닛(20)은 가습유로(106) 전에 배치되기 때문에, 송풍팬(24) 표면에 수분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송풍팬(24) 표면에 가습된 수분이 부착되는 경우, 이물질이 엉겨붙거나 곰팡이 등이 발생될 개연성이 크다. Further, since the blowing
상기 송풍유닛(20)은 여과유로(102) 후 및 가습유로(106) 전에 배치되기 때문에, 송풍유닛(20)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연결유로(103)는 에어클린모듈(100)에 형성된 클린연결유로(104)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형성된 가습연결유로(105)로 구성된다. The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어퍼바디(120)에 거치된 상태일 때,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및 가습연결유로(105)가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상태일 때,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및 가습연결유로(105)는 외부로 노출된다. When the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는 어퍼바디(120)에 형성되고, 가습연결유로(105)는 에어워시모듈(200)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may be formed in the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및 가습연결유로(105)는 덕트형태로 형성되어 명확한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유로(103)를 어퍼바디(120)의 구조물 및 로어수조(300)의 구조물에 분산배치한다.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and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duct to form a clear flow passage.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덕트와 같은 구성을 통해 연결유로(103)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덕트와 같은 구조물을 통해 로어수조(3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경우, 덕트로 인한 유동저항이 크게 발생되고, 유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로어수조(300)에 공급되는 유량이 제한될 경우, 송풍팬(24)의 RPM을 증가시켜야하고, 이로 인한 소비전력 및 소음이 증가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유로(103)가 360도 전방향으로 상기 로어수조(300)에 공기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충분한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송풍유로(108)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어퍼바디(120)에 형성된 클린연결유로(104)로 유동된다. 상기 어퍼바디(120)의 클린연결유로(104)에는 여과공기의 유동방향 전환을 최소화시키는 에어가이드(170)가 배치되고,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유동되는 여과공기의 연결각을 최소화시킨다. The filtered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바디(120)에 수조삽입공간(125)을 형성사키는 어퍼이너바디(140)가 배치되기 때문에, 클린연결유로(104)와 에어워시유입구(31)가 직접 연결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upper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높이가 짧거나 없는 경우, 로어수조(300)의 외측벽이 가습연결유로(105)를 제공한다. 즉, 어퍼이너바디(140)의 바닥(141)만 있고, 측벽이 없는 경우, 로어수조(300)의 측벽 바깥쪽이 가습연결유로(105)를 제공하고, 에어가이드(170)의 안쪽이 클린연결유로(104)를 제공하며, 상기 로어수조(300)가 바닥(141)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연결유로(103)가 연결된다. The outer wall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클리연결유로(104)의 여과공기가 어퍼유입구(121) 및 에어워시유입구(31)를 차례로 통과한 후, 수조가습매체(51)를 통과하고, 가습유로(106)로 유동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ltered air in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passes through the
상기 가습유로(106)는 여과공기에 수분이 공급되는 구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유로(106)는 수조가습매체(51)부터 토출가습매체(55)까지의 유로 또는 공간이다. The
상기 가습유로(106)에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가습이 이루어진다. In the
첫째, 여과공기가 수조가습매체(5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조가습매체(51)의 수분이 자연증발되고, 여과공기에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First, in the course of filtering air passing through the water
둘째, 상기 워터링유닛(400)에서 비산된 물방울에 의해 여과공기에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Secondly,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filtered air by the water droplets scattered in the watering
셋째, 상기 로어수조(300)에서 증발된 수분에 의해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ird, humidification may be performed by moisture evaporated in the
넷째, 여과공기가 토출가습매체(5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토출가습매체(55)에 적셔진 물이 자연증발되고, 여과공기에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Fourth, even when the filtered air passes through the
이와 같이, 여과공기는 가습유로(106)를 통과할 때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ltered air can be supplied with water through various routes when passing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통과한 공기는 토출유로(10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상기 토출유로(107)를 통해 여과 및 가습이 이루어진 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상측 및 경사진 방향에 대해 360도 전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The air filtered and humidified through the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수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C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좌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D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shown in Fig. 2,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Fig. 6, Fig. 8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6, Fig. 9 is a left sectional view of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n enlarged view of Fig.
상기 수조는 로어수조 및 어퍼수조를 포함한다.The water tank includes a lower water tank and an upper water tank.
상기 로어수조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이다. 상기 어퍼수조는 상기 로어수조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로어수조 및 어퍼수조 사이에 에어워시유입구(31)가 배치된다. The lower tank is for storing water. The upper water tank is located above the lower water tank. An air wash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의 하부에 배치된 것을 상측에 배치된 것을 어퍼수조로 지칭한다. 상기 어퍼수조 중 적어도 일부는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바디는 전체가 내부를 투시해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os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are referred to as the upper water tank.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water tank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seen through the in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body is a
본 실시예에서 로어수조는 어퍼수조와 별도로 제작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일체로 제작되고, 내외측을 연통시키는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water tank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upper water tank. Howev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water tank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n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투명한 재질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로어수조(300) 내부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어퍼수조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water tank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로어수조(300)에 고정되어 일체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수조의 상부에 위치되고, 로어수조(300)의 상측에 결합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로어수조(3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비주얼바디(210)를 따라 상측으로 유동된다.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로어수조(300)와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시킨다.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술한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이너비주얼바디로 사용된다. The outer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측 개구면이 하측 개구면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측면(216)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호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베이스바디(110)에 고정된 상태이고,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상단이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상단에 밀착된다.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물을 일시 저장하는 레저버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내측에 배치되고, 물을 일시 저장하는 상부레버저(220)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레저버(220)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레저버(240)를 포함한다.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레저버는 1개만 구비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레저버에 저장된 물은 임시로 저장된 후,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레버저를 통해 상측에서 공급된 물이 하측으로 급격하고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과도한 물이 하측으로 흘러내릴 경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물이 누수될 위험성이 커진다. 또한, 과도한 물이 하측으로 흘러내릴 경우, 로어수조(300)의 수면에서 과도한 낙수소음이 발생된다. There may be only one reservoir of the
상기 상부레저버(220)는 탑커버어셈블리(230)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상부레저버(220)에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레저버(220)는 물이 일시 저장되는 상부저장공간(225)이 형성되고, 하부레저버(240)는 물이 일시 저장되는 하부저장공간(245)이 형성된다. The
상부저장공간(225)은 비주얼바디(210), 레저버베이스(223), 레저버월(222)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저장공간(245) 역시 비주얼바디(210), 레저버베이스(243), 레저버월(242)에 의해 형성된다.The
레저버베이스(223)(243)은 비주얼바디(210)의 측면(216)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reservoir bases 223 and 243 are formed protruding inward from the
레저버월(222)(242)은 레버저베이스(223)(243)의 안쪽 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저버월(222)(242)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레저버월(222)(242) 사이에 레저버개구부(224)(244)가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레저버개구부(224)(244)를 통해 일시 저장된 물이 하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The water temporarily stored through the
본 실시예에서 레저버개구부(224)(244)는 안쪽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레저버개구부(224)(244)는 하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레저버개구부(224)(244)는 레저버베이스(223)(243)에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부 레저버개구부(224)를 통해 배수된 물은 비주얼바디(210)의 측면(216)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된다.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upper reservoir opening 224 flows downward along the
하부 레저버개구부(244)를 통해 배수된 물은 브릿지(380)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된다. 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상부레저버(220)에는 핸들(180)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저장공간(225)에 상기 핸들(180)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180)은 상기 상부저장공간(225)에 인서트 설치되어 은닉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레저버(220)에 핸들픽서(182)가 고정되고, 상기 핸들픽서(182)에 상기 핸들(18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180)을 들어올리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핸들픽서(182)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핸들(180)만을 비주얼바디(210)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A
상기 로어수조(300)는 상기 하부레저버(24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레저버(240)는 일시 저장된 물을 브릿지(380)를 통해 유동시킨다. The lower water reservoir (300) is coupled to the lower reservoir (240). 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38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브릿지(380)는 비주얼바디(210) 및 로어수조(300)를 결합시키는 구조물이다. 상기 브릿지(380)는 상측에서 흘러내린 물을 로어수조(300) 내부로 안내하는 낙수방지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브릿지(380)는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키는 구조물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380)는 로어수조(300)와 일체로 제작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380)는 로어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와 구분되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 후, 로어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Although the
상기 브릿지(380)는 가습유로(106)가 배치된 안쪽으로 물을 안내한다. 상기 브릿지(380)는 안쪽에 브릿지공간(385)이 형성된다. 상기 브릿지(380)는 브릿지공간(385)을 형성하는 가이드월(386)을 포함한다.The
상기 브릿지공간(385)은 하부 레저버개구부(244)와 연통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공간(385)는 로어수조(300) 안쪽을 향해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월(386)는 브릿지(38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브릿지공간(386)을 감싼다. 상기 가이드월(386)은 상기 브릿지(380)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안쪽을 향해 돌출된다. The
상기 로어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체결구조는 브릿지(380) 및 하부레저버(240)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로어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브릿지(380)에 브릿지체결부(387)가 형성되고, 하부레저버(240)에 비주얼체결부(247)가 형성된다.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특히 상기 하부 레저버개구부(244)에 비주얼체결부(247)가 배치되고, 브릿지공간(385)에 브릿지체결부(387)가 배치된다. 상기 브릿지체결부(387) 및 비주얼체결부(247)는 서로 끼움 결합된 후,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릿지체결부(387)가 비주얼체결부(247)에 삽입된 후, 브릿지(380) 바깥쪽에서 체결이 이루어진다. A
그리고 하부레저버(240)의 물을 브릿지공간(385)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부레저버(240)는 상기 브릿지공간(385)으로 삽입되는 인서트월(246)을 더 포함한다.The
상기 인서트월(246)는 레저버베이스(243) 또는 레저버월(2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하측으로 돌출된다. The
상기 인서트월(246)은 하부 인서트개구부(244)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인서트개구부(244)를 형성한다. 상기 인서트월(246) 사이에 상기 비주얼체결부(247)가 배치된다. The
상기 인서트월(246)은 브릿지공간(385)에 삽입되고, 가이드월(386)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인서트월(246)들은 가이드월(386)들 사이에 위치되고, 브릿지(380)에 끼움고정된다. The
한편,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탑커넥터(270)가 거치되는 커넥터거치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거치부(212)에 탑커넥터(270)의 적어도 일부가 거치된다. 상기 커넥터거치부(212)의 상측에 탑커넥터(270)가 위치되고, 하측에 베이스커넥터(260)가 위치된다. Meanwhile, the
상기 탑커넥터(270)는 상기 커넥터거치부(212)에 거치될 때, 수평이동이 제한된다. 이를 위해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탑커넥터(270)의 수평이동을 제한하는 커넥터걸림부(211)가 형성된다. 탑커넥터(270)가 거치될 때, 상기 커넥터걸림부(211)는 탑커넥터(270)의 측부에 밀착된다. When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에는 커넥터개구부(213)가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개구부(213)는 비주얼바디(210)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개구부(213)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A
상기 커넥터개구부(213)와 커넥터거치부(212)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거치부(212)에 커넥터개구부(213)가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거치부(212)의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커넥터개구부(213)를 형성한다.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물의 유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low of water through the
먼저, 탑커버어셈블리(230)에 상부급수가 실시되는 경우, 급수유로(109)를 통해 가습유로(106)로 물이 낙하된다. 상부급수 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서 넘친 물을 상부레저버(220)로 유동될 수 있다.First, when the
상기 상부레저버(220)에 일시 저장된 물은 상부저장공간(225)을 따라 유동된 후, 상부 레저버개구부(224)를 통해 비주얼바디(210)의 내측으로 흘러내린다.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216)을 따라 흘러내린 물은 하부레저버(240)에 일시 저장된다.The water temporarily stored in the
상기 하부레저버(240)에 저장된 물은 하부저장공간(245)을 따라 유동된 후, 하부 레저버개구부(244)를 통해 브릿지(380)로 유동된다. 상기 브릿지(380)로 유동된 물은 브릿지공간(385)을 따라 아래로 유동된 후, 로어수조(300)에 저장된다. The water stored in the
이와 같이, 상기 상부레저버(220), 비주얼바디(210)의 측면(216), 하부레저버(240), 브릿지(380)는 물이 흘러내릴 수 있는 낙수방지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낙수방지유로는 로어수조(300)의 수면으로 물이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The
상기 낙수방지유로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레저버(220), 비주얼바디(210)의 측면(216), 하부레저버(240), 브릿지(380)는 물을 연속적으로 안내한다. The
특히, 에어워시유입구(31)의 상측에 위치되는 하부레저버(240)는 에어워시유입구(31)로 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에어워시유입구(31)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차단한다. Particularly, the
상기 하부레저버(240)의 물은 복수개의 브릿지(380)를 통해 분산된 후, 로어수조(300)로 안내된다. 즉 어느 한쪽으로 많은 양의 물이 흘러내리더라도 상기 하부저장공간(245)을 따라 물이 유동되면서 유량을 완충할 수 있고, 인접한 브릿지(380)를 통해 유량을 분산할 수 있다. The water in the
특히, 하부레저버(240)로 과도한 양의 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의 이너어퍼프레임(1312)이 흘러내린 물을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의 안쪽으로 가이드한다. Particularly, in order to prevent an excessive amount of wa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에도 상기 낙수방지유로가 배치된다. 이는 후술하는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의 구조에서 설명한다. The
도 11은 도 9에 수조가습매체하우징이 거치된 에어워시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에 수조가습매체하우징이 거치된 에어워시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수조가습매체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5은 도 13의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B가 도시된 확대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C가 도시된 확대도이고, 도 19는 도 13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정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D-D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wash module in which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housing is mounted in FIG. 9, FIG. 12 is a sectional view of the air wash module in which the water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is mounted in FIG. 8, 15 is a front view of Fig. 13, Fig. 16 is a sectional view cut along AA of Fig. 15, and Fig. 17 is a sectional view of the media housing of Fig.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Fig. 16, Fig. 19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3,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lower side of Fig. 19, And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도면을 참조하여 수조가습매체하우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housing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매체(50) 중에서 수조가습매체(51)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으로 정의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in which the water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가 로어수조(300)에 저장된 물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수조가습매체(51)가 물과 분리되기 때문에, 가습매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건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상기 수조가 만수위일 때, 상기 수조가습매체(51)의 하단은 상기 로어수조(300)에 저장된 수면보다 높게 위치된다. When the water tank is at a high water level, the lower end of the water
또한, 상기 수조가습매체(51)가 설치되는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도 물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Also, the water tank humidify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은 로어수조(300)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은 에어워시유입구(31) 안쪽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되고, 상기 로어수조(300)의 안쪽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은 로어수조(300)에 설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humidifying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은 에어워시유입구(31)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통과시킨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통과되는 공기에 대해 가습을 실시한다. The water tank humidifying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로어수조(300)의 외측에서 상기 로어수조(300)의 내측으로 유동된다.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은 수조가습매체(51)가 설치되어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수분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상기 로어수조(300)의 상측을 커버하여 상기 로어수조(300)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The water tank humidifying
예를 들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로어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로어수조(300) 밖으로 흘러 넘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워시모듈(200)을 분리하여 이동시킬 때, 로어수조(300)의 물이 넘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바디(110)가 기울어질 때, 로어수조(300)의 물이 외부로 넘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water stored in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은 로어수조(300)의 상측 가장자리에 밀착되고, 이를 통해 상기 로어수조(300)의 물이 로어수조(300) 밖으로 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o prevent this, the water tank humidifying
본 실시예에서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의 하단은 로어수조(300)의 안쪽에 위치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의 하단 역시 로어수조(300)의 안쪽에 위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또한,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의 하단은 상기 로어수조(300)의 상단과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의 하단 역시 상기 로어수조(300)의 상단과 오버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humidifying
상기 오버랩은 상기 로어수조(300)의 물이 에어워시유입구(31)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오버랩은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로 유입되는 공기가 반드시 수조가습매체(51)를 통과하게 한다. The overlap prevents the water i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의 상단 및 하단이 모두 로어수조(300)와 오버랩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의 상단 및 하단이 모두 로어수조(300)와 오버랩된다. In this embodiment, bo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ater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이 거치될 때, 하단이 로어수조(300)의 상측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를 로어수조(300)의 상단에 체결 또는 결합시켜 물 넘침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도 있다. When the water tank humidifying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의 상단은 상기 로어수조(300)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하단은 로어수조(300)의 안쪽에 위치된다. 또한, 수조가습매체(51)의 상단은 로어수조(300)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하단은 로어수조(300)의 안쪽에 위치된다.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humidifying
또한,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의 상단은 비주얼바디(210)와 오버랩되고, 하단은 로어수조(300)와 오버랩된다. Also,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humidifying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의 외형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In the front view, the outer shape of the water tank humidifying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은 수조가습매체(51) 안쪽에 위치되고,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지지하고, 공기가 통과되는 이너매체유입구(1311)가 형성된 이너매체프레임(1310)과, 상기 수조가습매체(51) 바깥쪽에 위치되고,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지지하고, 공기가 통과되는 아우터매체유입구(1321)가 형성된 아우터매체프레임(1320)과, 상기 이너매체프레임(1310) 또는 아우터매체프레임(1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로어수조(300)에 밀착되어 상기 로어수조(300)의 물넘침을 방지하는 물넘침방지커버(1330)를 포함한다.The water tank humidifying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이너매체프레임(1310) 및 아우터매체프레임(13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에어워시유입구(31)를 커버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하측 단면적이 작고 상측 단면적이 큰 호퍼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이 경사는 공기유동방향을 고려한 것이다. The water
연결유로(103)를 통해 에어워시유입구(31)로 유동되는 공기는 수평이동보다는 상측방향으로 경사진 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경사지게 형성된 수조가습매체(51)는 공기유동방향과 직교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air flowing into the
공기유동과 수조가습매체(51)가 직교하는 경우, 수조가습매체(51)의 특정 부분으로 공기가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체 면적에서 고르게 공기가 통과될 수 있다. When the air flow and the water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1320) 또는 이너매체프레임(1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고정시키는 가습매체고정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Humidifying medium fixing means for fixing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고정수단은 돌기 및 홈으로 구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ying medium fix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projection and a groove.
상기 가습매체고정수단은 상기 이너매체프레임(1310) 또는 아우터매체프레임(13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고정돌기(1302)와, 상기 이너매체프레임(1310) 또는 아우터매체프레임(132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302)가 끼워지는 고정홈(1304)을 포함한다. The humidifying medium fixing means may include a fix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돌기(1302)는 아우터매체프레임(1320)에 형성되고, 고정홈(1304)은 이너매체프레임(1310)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그 위치로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302) 및 고정홈(1304) 사이에 수조가습매체(51)가 배치되고, 고정돌기(1302)가 고정홈(1304)에 끼워질 때, 고정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상기 고정돌기(1302) 및 고정홈(1304)은 수조가습매체(51)가 이너매체프레임(1310) 및 아우터매체프레임(1320) 사이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fixing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홈(1304)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이너매체프레임(1310)의 일부가 상측으로 돌출된다. 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상기 고정홈(1304)은 하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고, 고정돌기(1302)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fixing
상기 고정돌기(1302) 및 고정홈(1304)의 결합에 의해 상기 이너매체프레임(1310) 및 아우터매체프레임(1320)에 결합되는 효과도 있다. The
상기 이너매체프레임(1310)에는 공기가 통과되는 이너매체유입구(1311)가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1320)에는 공기가 통과되는 아우터매체유입구(1321)가 형성된다. The
이너매체유입구(1311) 및 아우터매체유입구(1321)는 360도 전방향에 대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내매체유입구(1311) 및 아우터매체유입구(1321)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이너매체프레임(1310)은 상측 직경이 크고, 하측 직경 작게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1320) 역시 상측 직경이 크고, 하측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은 전체적으로 호퍼 형태로 형성된다.The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1320) 및 이너매체프레임(1310)은 서로에 대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1320) 및 이너매체프레임(1310)가 억지 끼움될 때, 상기 수조가습매체(51)가 고정된다. The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는 로어수조(300)의 상측면 중 일부를 커버하여 로어수조(300)의 물이 넘치를 것을 방지한다. 또한, 물넘침방지커버(1330)는 상측에서 흘러내린 물이 로어수조(300)의 수면으로 직접 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 water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는 아우터매체프레임(1320) 및 이너매체프레임(1310)의 하측에 조립된다.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는 아우터매체프레임(1320) 또는 이너매체프레임(1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억지끼움된다. The water
조립된 아우터매체프레임(1320) 및 이너매체프레임(1310)를 매체프레임어셈블리로 정의한다. The assembled outer
상기 매체프레임어셈블리의 상단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따라 흘러내린 물은 상기 매체프레임어셈블리를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media frame assembly is mounted on the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는 매체프레임어셈블리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매체프레임어셈블리를 받친다.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는 흘러내린 물을 일시 저장하고, 일시 저장된 물을 로어수조(300) 내측면으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는 낙수방지유로 중 일부를 제공한다.The water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는 흘러내린 물을 안내하고, 낙수 소음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는 매체프레임어셈블리의 하단 중 적어도 일부를 받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는 매체프레임어셈블리의 하단 전체를 감싸고, 물이 로어수조(300) 수면으로 직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water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는 탑뷰로 볼 때,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의 상측면은 매체프레임어셈블리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아 로어수조(300)의 내측면으로 안내한다.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의 하측면은 상기 로어수조(300)의 내측 가장자리를 막아서 상기 로어수조(300) 밖으로 넘치는 물을 차단시킨다. The water
상기 이너매체프레임(131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거치되는 이너어퍼프레임(1312)과, 상기 이너어퍼프레임(13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너매체유입구(1311)를 형성시키는 이너버티컬프레임(1313)과, 상기 이너버티컬프레임(1313)과 연결되고 물넘침방지커버(1330)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이너로어프레임(1314)를 포함한다.The
상기 이너어퍼프레임(1312) 및 이너로어프레임(1314) 사이에 다수개의 이너버티컬프레임(1313)이 배치된다. 상기 이너어퍼프레임(1312) 및 이너로어프레임(1314) 및 이너버티컬프레임(1313)들 사이에 이너매체유입구(1311)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inner
상기 이너어퍼프레임(1312)는 상측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기 이너어퍼프레임(1312)은 비주얼바디(210)을 따라 흘러내린 물은 안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이다. 상기 이너어퍼프레임(1312)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너어퍼프레임(1312)의 바깥쪽은 비주얼바디(210)의 측면(216)에 밀착될 수 있다.The inner
상기 이너어퍼프레임(1312)은 하부레저버(240)의 상측에 위치되고, 흘러내린 물을 안쪽으로 안내하여 상기 하부레저버(240)로 향하는 물을 저감할 수 있다. The inn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어퍼프레임(1312)의 상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따라 흘러내린 물을 상기 수조가습매체(51)로 안내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상기 이너버티컬프레임(1313)에는 핸들(1315)이 형성된다. 상기 핸들(1315)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1315)은 이너버티컬프레임(1313)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된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1315)을 통해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A
상기 이너어퍼프레임(1312)는 링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이 개구된다. 상기 이너로어프레임(1314)은 링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이 개구된다. The inner
상기 이너어퍼프레임(1312)는 비주얼바디(210)의 하부가이드홈(217)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1320)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inner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1320)은 상기 이너매체프레임(1310)과 유사한 구조이다. 상기 이너매체프레임(1310)과 같이,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1320)은 아우터매체유입구(1321), 아우터어퍼프레임(1322), 아우터버티컬프레임(1323) 및 아우터로어프레임(1324)을 포함한다.The
상기 아우터로어프레임(1324)에는 저장공간(1328)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1328)에는 흘러내린 물이 일시 저장된다. 상기 저장공간(1328)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로어프레임(1324)의 안쪽에 수직벽이 형성되고, 물이 안쪽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저장공간(1328)의 물은 후술하는 아우터매체가이드(1325)로 유동된다. A
상기 이너매체프레임(1310)과 달리, 상기 아우터매체프레임(1320)은 아우터어퍼프레임(1322) 및 아우터로어프레임(1324)을 연결하는 아우터매체가이드(1325)를 더 포함한다.Unlike the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는 상기 아우터어퍼프레임(1322) 및 아우터로어프레임(1324)을 지지한다.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는 상기 저장공간(1328)과 연결된다. The outer media guide 1325 supports the outer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는 수조가습매체(51)의 물을 넘침방지가이드(1330)로 배수한다. The outer media guide 1325 drains the water of the water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의 하측단에는 내부의 물을 상기 넘침방지가이드(1330)로 배수하는 아우터매체가이드홀(1326)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홀(1326)은 반경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홀(1326)은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넘침방지가이드(1330)는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와 상호 형합된다. At the lower end of the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의 저면은 경사면(1327)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327)은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의 물은 상기 경사면(1327)을 따라 아우터매체가이드홀(1326)로 안내된다. 상기 경사면(1327)의 끝에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홀(1326)이 배치된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media guide 1325 is formed as a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는 3개가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들은 각각이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방사상 형태로 배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outer media guides 1325 are disposed. The outer media guides 1325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rranged in a radial pattern.
상기 저장공간(1328)의 물은 자중에 의해 아우터매체가이드(1325)로 이동된다. 저장공간(1328)의 물은 원주방향으로 흐른 후,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로 이동되고,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홀(1326)을 통해 물넘침방지커버(1330)로 배수된다. The water in the
상기 저장공간(1328), 아우터매체가이드(1325), 아우터매체가이드홀(1326), 물넘침방지커버(1330)의 구조를 통해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에서 로어수조(300)의 수면으로 물이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water in the water tank humidifying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는 로어수조(300)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1332)와, 상기 커버부(1332)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1332)에서 절곡되어 수용공간(1338)을 형성시키는 배리어(1334)와, 상기 커버부(1332)에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가 삽입되는 커버삽입홈(1335)과, 상기 커버삽입홈(1335)에 형성되고, 상기 로어수조(300) 내부와 연통되어 물을 배수하는 커버홀(1336)을 포함한다. The water
상기 커버부(1332)는 매체프레임어셈블리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부(1332)는 상기 로어수조(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332)는 상기 로어수조(300)의 상부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1332)는 상기 로어수조(30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The
상기 커버삽입홈(1335)는 상기 커버부(1332)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삽입홈(1335)에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가 삽입된다. 상기 커버삽입홈(1335)은 수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는 수직방향으로 삽입된다. The
상기 커버삽입홈(1335)에 삽입된 아우터매체가이드(1325)는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커버삽입홈(1335)은 아우터매체가이드홀(1326)과 소정간격 이격된다. The movement of the
상기 커버삽입홈(1335)에 커버홀(1336)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홀(1336)은 반경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버홀(1336)은 상기 로어수조(300)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커버홀(1336)은 상기 로어수조(300) 내측면을 향해 형성된다. 상기 커버홀(1336)에서 배수된 물은 상기 로어수조(300) 내측면을 따라 이동된다. And a
상기 커버삽입홈(1335)의 저면은 경사면(1337)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337)은 아우터매체가이드(1325)의 경사면(1327)과 대응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커버삽입홈(13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끼움홈(1335a)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매체가이드(1325)에는 상기 끼움홈(1335a)에 대응되는 끼움부(1325a)가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상기 끼움부(1325a)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335a)에 상하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끼움부(1325a) 및 끼움홈(1335a)은 아우터매체프레임(1320) 및 물넘침방지커버(1330)의 결합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결정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1325a) 및 끼움홈(1335a)이 일치되지 않을 경우, 아우터매체프레임(1320) 및 물넘침방지커버(1330)가 조립되지 않는다. The
상기 커버부(1302)는 로어수조(30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302)는 상기 로어수조(300)의 상단 가장자리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302)는 상기 로어수조(300)의 상단에 오버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1302)는 로어수조(30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로어수조(300)의 상단 가장자리에 밀착된다.The
상기 경사면(1337)은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337)의 끝에 상기 커버홀(1336) 배치된다. 상기 커버홀(1336)에 토출된 물은 로어수조(300)의 내측면과 접촉된다. 상기 경사면(1327)(1337)을 통해 물을 로어수조(300) 내측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The
상기 커버부(1332)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332)는 외측이 높고, 내측이 낮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332)의 경사는 상측의 물이 커버부(1332) 바깥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커버부(1332) 상측면의 물은 경사를 따라 내측으로 유동된다. The
상기 커버부(1332)의 상측을 따라 유동되는 물은 상기 저장공간(1328)으로 안내된다. 그래서 상기 커버부(1332)의 상측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저장공간(1328), 아우터매체가이드홀(1326), 커버홀(1336)을 거쳐 로어수조(300) 내측면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로어수조(300)의 수면으로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ater flowing along the upper side of the
상기 배리어(1334)는 상기 커버부(1332)와 함께 수용공간(1338)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공간(1338)은 상기 커버부(1332)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1338)은 상기 로어수조(300)의 물이 요동칠 때, 상기 로어수조(300)의 내측벽을 따라 출렁이는 물을 수용하고, 상기 로어수조(300)의 하측으로 안내한다. The
상기 배리어(1334)는 이너배리어(1331) 및 아우터배리어(1333)를 포함한다.The
상기 이너배리어(1331) 및 아우터배리어(1333)는 상기 커버부(1332)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너배리어(1331)는 상기 커버부(1332)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배리어(1333)는 상기 커버부(1332)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The
상기 아우터배리어(1333)는 상기 로어수조(30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The
상기 이너배리어(1331)는 아우터매체프레임(1320)에 밀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너배리어(1331)는 상기 아우터로어프레임(1324)에 밀착된다. The
상기 이너배리어(1331) 및 아우터로어프레임(1324)는 상호 결합된다. 상기 이너배리어(1331) 또는 아우터로어프레임(1324) 중 어느 하나에 걸림돌기(1339)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걸림홈(1329)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너배리어(1331)에 걸림돌기(1339)가 형성되고, 아우터로어프레임(1324)에 걸림홈(1329)가 형성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가 로어수조(300)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아우터배리어(1333)가 로어수조(30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The water
그래서 상기 로어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요동치는 경우, 상기 로어수조(300)의 내측벽을 따라 상승된 후, 상기 아우터배리어(1333), 커버부(1332) 및 이너배리어(1331)를 따라 유동된다. 즉, 상기 로어수조(300) 내측벽을 따라 상승된 물은 상기 수용공간(1338)에서 방향이 하측으로 전환된 후 다시 로어수조(300)의 중심으로 안내된다. When water stored in the
이와 같이 상기 물넘침방지커버(1330)는 상기 로어수조(300)의 물이 로어수조(300)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the water
또한 수조가습매체하우징(1300)은 이너어퍼프레임(1312), 저장공간(1328), 아우터매체가이드홀(1326), 커버부(1332), 커버홀(1336)의 구성을 통해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이 로어수조(300)의 수면으로 직접 낙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수방지유로를 제공한다. The water tank humidifying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워터링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워터링유닛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단면도이다. FIG.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ing unit shown in FIG. 23, and FIG. 25 is a sectional view of FIG.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로어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로어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효율적으로 양수하기 위한 구조가 배치된다. The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워터링모터(4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회전 시, 로어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흡입한 후, 상측으로 양수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내부로 양수된 물은 분사구(410)를 통해 토출된다. The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는 양수수단이 배치된다. 상기 양수수단은 상기 로어수조(300)의 물을 상측으로 양수(揚水, pumping)한다. 수조의 물을 양수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water ring housing (800) is provided with a pumping means. The pumping means pumps the water of the
예를 들어 상기 양수펌프를 통해 물을 양수한 후, 분사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ater may be pumped through the amphibious pump and then injected.
예를 들어, 워터링하우징을 회전시키고, 회전 시 물과 마찰 또는 상호 간섭을 형성시켜 물을 양수할 수 있다. For example, water can be pumped by rotating the water ring housing and creating friction or mutual interference with water during rotation.
본 실시에에서는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을 통해 물을 양수하는 구조가 제안된다. 본 실시예에서 양수수단은 물과의 마찰 또는 상호 간섭을 통해 물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양수그루브(810)이다. In this embodiment, a structure for pumping water through the rotation of the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내측면에 양수수단인 양수그루브(810)가 형성된다. 상기 양수그루브(810)는 양수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양수그루브(810)는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수그루브(8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수그루브(810)는 워터링모터축(43) 또는 동력전달축(640)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A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하단은 로어수조(300)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흡입간격(801)을 형성한다. 상기 흡입간격(801)을 통해 로어수조(300)의 물이 워터링하우징(800) 내부로 흡입된다.The lower end of the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하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컵 형상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컵을 거꾸로 놓은 형상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내부에는 하우징공간(805)이 형성된다. The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내부에 로어수조(300)의 컬럼(35)이 위치되고, 상기 컬럼(35) 내부에 동력전달모듈(600)이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컬럼(35)을 감싸게 배치된다. A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상측으로 갈수록 평단면이 확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컬럼(35)은 상측으로 갈수록 평단면이 축소되게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및 컬럼(35)의 형상은 물을 효과적으로 양수하기 위한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공간(805)의 용적은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된다. The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될 때, 내부로 흡입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 워터링하우징(800) 내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내주면에 형성된 양수그루브(810)는 내부로 흡입된 물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When the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는 흡입된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분사구(4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0)는 수평방향으로 물을 토출시키게 배치된다. 상기 분사구(410)를 통해 양수된 물이 외부로 토출된다. The water ring housing (800)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port (410) for discharging sucked water to the out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jection port 410 is arranged to discharge wa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water pumped through the injection port 4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0)에서 토출된 물은 비주얼바디(210)로 분사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injection port 410 may be injected into the
상기 분사구(410)는 설계조건에 따라 그 개수가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0)는 높이차를 두고 워터링하우징(800)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상측에 배치된 분사구를 제 2 분사구로 정의하고, 워터링하우징의 중간에 배치된 분사구를 제 1 분사구로 정의한다.The number of the injection ports 41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jetting ports 410 are arranged in the watering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제 1 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 1 분사구에서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제 2 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 2 분사구에서 물이 분사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제 2 회전속도는 상기 제 1 회전속도에 비해 고속이다. The second rotation speed is higher than the first rotation speed.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고속으로 회전될 때에만, 상기 제 2 분사구에서 물이 토출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통상적으로 회전되는 속도에는 상기 제 2 분사구를 통해 물이 토출되지 않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분사구는 워터링하우징이 일상적으로 작동되는 모든 단계에서 물을 토출한다.Only when the
상기 제 2 분사구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분사구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second ejection openings may be disposed. A plurality of the first injection openings may be arranged.
워터링하우징(800)이 통상 회전속도로 회전되면, 양수된 물은 최소 제 1 분사구 보다 높게 상승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고속으로 회전되면, 양수된 물은 제 2 분사구의 높이 이상으로 상승된다. When the
상기 제 2 분사구는 워터링하우징(80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분사구 또한 워터링하우징(80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second jetting ports may be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되지 않으면, 분사구(410)를 통해 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청정모드(에어클린모듈은 작동되고, 에어워시모듈은 정지되는 모드)로만 작동시키면, 워터링유닛(40)이 작동되지 않고, 송풍유닛(20)만 작동된다. 사용자가 가습모드로만 작동시킬 때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되고, 상기 분사구(410)를 통해 물이 토출된다. 사용자가 청정모드 및 가습모드를 동시 작동시킬 때, 상기 분사구(410)에서 토출되는 물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분사될 수 있다.If the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분사구(410)에서 토출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타격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된다.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injection port 410 strikes the inner surface of the
사용자는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물이 분사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분사는 가습모드로 작동 중인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물의 분사를 통해 가습모드가 작동 중인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at the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에는 분사된 물에 의해 액적이 맺히고, 상기 액적은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I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3개의 파트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1개 또는 2개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하단은 로어수조(300)의 저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lower end of the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제 1 워터링하우징(820), 제 2 워터링하우징(840), 워터링하우징커버(860) 및 워터링동력전달부(880)을 포함한다. The watering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동력전달축(640)과 조립되고, 상기 동력전달축(64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조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워터링동력전달부(880) 및 워터링하우징커버(860)가 동력전달축(640)과 조립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동력전달축(640)과 2개소에서 결합되고, 2개소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The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에는 제 1 분사구(411)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분사구(411)는 2개가 배치된다. 2개의 제 1 분사구(411)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A first jetting port 411 is disposed in the first watering
상기 제 1 분사구(411)는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내외측을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분사구(411)의 내측 개구면적이 외측 개구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The first jetting port 411 communicat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watering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외주면에는 워터링날개(850)가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 시,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주변의 공기를 끌어들일 수 있다. A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제 2 분사구(412)(413)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분사구(412)(413)는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물을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분사구(412)(413)는 2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분사구 중 하나를 제 2-1 분사구(412)라 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 2-2 분사구(413)으로 정의한다.The second
상기 제 2-1 분사구(412) 및 제 2-2 분사구(413)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1 분사구(412) 및 제 2-2 분사구(413)는 동력전달축(640)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1 injection port 412 and the second-2 ejection port 413 are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second-first injection port 412 and the second-second injection port 413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상기 제 2-1 분사구(412)가 형성하는 분사라인을 제 1 분사라인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2 분사구(413)가 형성되는 분사라인을 제 2 분사라인으로 정의한다. The injection line formed by the second-1 injection port 412 is defined as a first injection line, and the injection line in which the second-second injection port 413 is formed is defined as a second injection line.
상기 분사구(410)에 분사된 물은 비주얼바디(210)에 배치된 레저버에 일시 저장된 후, 브릿지(380)를 통해 로어수조(300) 내부로 안내된다. The water jetted to the jetting port 410 is temporarily stored in a reservoir disposed in the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가 도시된 수조의 분해 단면도이다. 2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tank in which a brid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브릿지(380)가 어퍼수조인 비주얼바디(210)와 일체로 제작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상기 브릿지(38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안족에 낙수방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레저버(240)의 물을 로어수조로 안내한다. 하부 레저버개구부(244)와 브릿지공간(385)은 연통된다. The
상기 브릿지(380)의 하단은 상기 로어수조와 체결된다. The lower end of the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은 상기 브릿지공간(385)으로 안내된 후 로어수조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측에서 흘러내린 물이 비주얼바디(210), 브릿지(380), 로어수조(300)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되기 때문에, 낙수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The water flowing in the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가 도시된 수조의 분해 단면도이다. 27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tank in which a brid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포함하는 브릿지바디(1380)가 배치된다. 상기 브릿지바디(1380)는 로어수조(300) 및 어퍼수조(비주얼바디(210))와 구분되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다. 상기 브릿지바디(1380)에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상기 브릿지바디(1380)는 어퍼수조 및 로어수조(300)에 각각 결합된다. The
상기 브릿지바디(1380)는 어퍼수조의 하단에 밀착되는 어퍼브릿지(1382)와, 로어수조(300)의 상단에 밀착되는 로어브릿지(1384)와, 상기 어퍼브릿지(1382) 및 로어브릿지(1384)를 연결하는 브릿지(380)를 포함한다. The
상기 어퍼브릿지(1382), 로어브릿지(1384) 및 브릿지(380) 사이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The air wash
상기 어퍼브릿지(1382)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하단 전체와 밀착되고, 그 사이를 밀폐시킨다. 상기 로어브릿지(1384)는 로어수조(300)의 상단 전체와 밀착되고, 그 사이를 밀폐시킨다. The
상기 밀폐를 통해 수조 밖의 공기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서만 수조 내부로 유입된다. The air outside the water tank through the sealing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only through the
상기 브릿지(38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낙수방지유로가 배치된다. The
상기 브릿지바디(1380) 및 비주얼바디(210)의 체결은 어퍼브릿지(1382) 또는 브릿지(3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이루어진다.The fastening of the
상기 브릿지바디(1380) 및 로어수조(300)의 체결은 상기 로어브릿지(1384) 또는 브릿지(3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이루어진다. The connection of the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필터어셈블리 20 : 송풍유닛
300 : 수조 400 : 워터링유닛
51 : 수조가습매체 55 : 토출가습매체
100 : 에어클린모듈 110 : 베이스바디
120 : 어퍼바디 125 : 수조삽입공간
130 : 로어바디 140 : 어퍼이너바디
150 : 송풍하우징 160 : 디스플레이모듈
170 : 에어가이드 200 : 에어워시모듈
210 : 비주얼바디 230 : 탑커버어셈블리
101 : 흡입유로 102 : 여과유로
103 : 연결유로 104 : 클린연결유로
105 : 가습연결유로 106 : 가습유로
107 : 토출유로 108 : 송풍유로
109 : 급수유로10: filter assembly 20: blowing unit
300: Water tank 400: Watering unit
51: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5: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100: air clean module 110: base body
120: Upper body 125: Water tray insertion space
130: Lower body 140: Upper inner body
150: blower housing 160: display module
170: air guide 200: air wash module
210: Visual body 230: Top cover assembly
101: Suction flow path 102: Filtration flow path
103: Connection line 104: Clean connection line
105: Humidification connection flow path 106: Humidification flow path
107: Discharge channel 108:
109: Water supply channel
Claims (15)
상기 로어수조 상부에 위치되는 어퍼수조;
상기 어퍼수조 및 로어수조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워시유입구;
상기 로어수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어퍼수조 내측면에 분사하는 워터링유닛;
상기 어퍼수조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수조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어퍼수조의 내측면을 따라 흘러내린 물을 일시 저장하는 레저버;
상기 에어워시유입구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로어수조 및 어퍼수조를 연결하는 브릿지;
상기 브릿지의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레저버와 연통되고, 상기 레저버의 물을 상기 로어수조로 안내하는 낙수방지유로;를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A lower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n upper water tank located above the lower tank;
An air wash inlet disposed between the upper water tank and the lower water tank and through which air flow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 watering unit disposed inside the lower water tank for spraying water stored in the lower water tank to a side surface in the upper water tank;
A reservoir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water tank and protrudes inward of the upper water tank to temporarily store water flowing along the inner side of the upper water tank;
A bridge disposed across the air wash inlet and connecting the lower water tank and the upper water tank;
And a drain preventing channel which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bridge and communicates with the reservoir and guides the water of the reservoir to the lower tank.
상기 브릿지는 로어수조와 일체로 제작되고, 상기 어퍼수조와 결합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idg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tank and is coupled to the upper tank.
상기 브릿지는 어퍼수조와 일체로 제작되고, 상기 로어수조와 결합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idg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water tank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water tank.
상기 어퍼수조 중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water tank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레저버는 상기 브릿지로 물을 배수하는 레저버개구부가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ervoir has a reservoir opening for draining water to the bridge.
상기 레저버는,
흘러내린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
상기 저장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브릿지로 물을 배수하는 레저버개구부;를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isure-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running water is stored;
And a reservoir opening connected to the storage space and draining water to the bridge.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어퍼수조의 내측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storage space
And extend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water tank.
상기 브릿지는 안쪽에 브릿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공간은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레저버에서 배수된 물을 상기 로어수조의 내측면으로 안내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bridging space is formed in the bridge, the bridging space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space, and the water drained from the reservoir is gui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tank.
상기 레저버는 하측으로 돌출된 인서트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월은 상기 브릿지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servoir further comprises an insert wall protruding downward,
Wherein the insert wall is inserted into the bridge.
상기 인서트월 사이에 상기 레저버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는 안쪽에 브릿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월은 상기 브릿지공간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servoir opening being formed between the insert walls,
Wherein the bridge is formed with a bridge space on the inside thereof, and the insert wall is inserted into the bridge space.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워시유입구를 커버하고, 상기 에어워시유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하는 수조가습매체;
상기 수조가습매체가 설치되는 수조가습매체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은 상기 레저버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가습청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 water bath humidification medium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water, covering the air wash inlet port and providing humidification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wash inlet port;
And a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housing in which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is installed,
Wherein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housing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reservoir.
상기 수조가습매체하우징의 상단에는 상기 어퍼수조에서 흘러내린 물을 상기 로어수조 내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저장공간 상측에 위치되는 가습청정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guide for guiding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per water tank to the inside of the lower water tank,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housing, wherein the guide is located above the storage space.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337,906 US10094580B2 (en) | 2015-10-30 | 2016-10-28 |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
EP16196464.8A EP3163190B1 (en) | 2015-10-30 | 2016-10-28 |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
US15/339,568 US10267528B2 (en) | 2015-10-30 | 2016-10-31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CN201610997417.9A CN107036196B (en) | 2015-10-30 | 2016-10-31 | Humidific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562248463P | 2015-10-30 | 2015-10-30 | |
US62/248,463 | 2015-10-30 | ||
KR1020150156254 | 2015-11-07 | ||
KR20150156254 | 2015-11-07 | ||
KR20150185850 | 2015-12-24 | ||
KR1020150185850 | 2015-12-24 | ||
KR1020160037235A KR20170051142A (en) | 2015-10-30 | 2016-03-28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KR1020160037235 | 2016-03-28 | ||
US201662355118P | 2016-06-27 | 2016-06-27 | |
US62/355,118 | 2016-06-27 | ||
KR20160083087 | 2016-06-30 | ||
KR1020160083087 | 2016-06-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1239A KR20170051239A (en) | 2017-05-11 |
KR101922951B1 true KR101922951B1 (en) | 2019-02-27 |
Family
ID=587419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9355A Ceased KR20170051249A (en) | 2015-10-30 | 2016-10-06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KR1020160129318A Active KR101922951B1 (en) | 2015-10-30 | 2016-10-06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9355A Ceased KR20170051249A (en) | 2015-10-30 | 2016-10-06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2) | JP2018536136A (en) |
KR (2) | KR20170051249A (en) |
CN (2) | CN106958905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7505B1 (en) * | 2017-07-07 | 2019-11-29 |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 Non-power source type Humidifying module capable of prevent leaking water for air cleaner |
JP7002959B2 (en) * | 2018-02-16 | 2022-01-20 | シャープ株式会社 | Humidifier |
CN108662704A (en) * | 2018-05-28 | 2018-10-16 |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 A kind of air wetting bucket and its detachable purifying humidifier |
CN108931007B (en) * | 2018-09-29 | 2024-05-14 |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 Vertical air conditioner with humidifier |
CN109442628B (en) * | 2018-11-15 | 2023-01-13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air purifying humidifier |
CN111947245B (en) * | 2020-04-28 | 2024-12-13 | 广州市新颐科技有限公司 | Air humidification component and air purification and humidification integrated machine |
CN113623742B (en) * | 2020-05-06 | 2023-05-16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Water purification module and air conditioner |
CN113623755B (en) * | 2020-05-06 | 2023-05-16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Purification cavity for water purification module, water purification module and air conditioner |
CN112556071B (en) * | 2020-12-10 | 2022-10-04 |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 Air purification equipment and purification assembly thereof |
CN114838441B (en) * | 2022-06-07 | 2023-06-16 | 华北电力大学(保定) | Internet of things air purifier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ontrol |
CN118208789B (en) * | 2024-03-01 | 2024-08-13 | 南通市传染病防治院(南通市第三人民医院) | Humid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respiratory diseas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42026A (en) * | 2010-05-17 | 2011-12-01 | Nanbu Plastics Co Ltd | Water crushing type negative ion generator |
Family Cites Families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28975Y2 (en) * | 1973-08-27 | 1980-07-10 | ||
JPS5842813Y2 (en) * | 1976-11-24 | 1983-09-28 | 株式会社東芝 | humidifier |
JPS5637228Y2 (en) * | 1977-03-24 | 1981-09-01 | ||
JPS5556337U (en) * | 1978-10-11 | 1980-04-16 | ||
KR950000275Y1 (en) * | 1991-07-27 | 1995-01-16 | 김남섭 | Indoor water purifier |
JPH1123020A (en) * | 1997-06-30 | 1999-01-26 | Aiwa Co Ltd | Cooler, air cleaning device, negative ion generating device and humidifier |
JP2000329382A (en) * | 1999-05-18 | 2000-11-30 | Nikko Sohonsha:Kk | Air cleaner and air cleaning method, and automatic water supply unit for air cleaner |
JP2001304636A (en) * | 2000-04-20 | 2001-10-31 | Matsushita Seiko Co Ltd | Negative ion generator |
JP2003014263A (en) * | 2001-06-29 | 2003-01-15 | Zojirushi Corp | Humidifier |
JP2003014262A (en) * | 2001-06-29 | 2003-01-15 | Zojirushi Corp | Humidifier |
JP2003294278A (en) * | 2002-03-29 | 2003-10-15 | Zojirushi Corp | Humidifier |
JP3930760B2 (en) * | 2002-04-17 | 2007-06-13 | 株式会社ラビ | Anion generator |
JP2004028411A (en) * | 2002-06-24 | 2004-01-29 | Takutoron Kk | Minus ion generator |
JP2004116839A (en) * | 2002-09-25 | 2004-04-15 | Fuji Iryoki:Kk | Negative ion generator |
JP2005274041A (en) * | 2004-03-25 | 2005-10-06 | Seiichi Futaboshi | Humidifying device |
KR20060020979A (en) * | 2004-09-01 | 2006-03-07 | 우영식 | Air Purification Combined Humidifier |
KR100647895B1 (en) * | 2004-10-11 | 2006-11-23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Multi-fan for damp type air-cleaner |
CN2746296Y (en) * | 2004-10-19 | 2005-12-14 | 楼纯高 | Frequency conversion air purification and humidification apparatus |
US20060163754A1 (en) * | 2005-01-26 | 2006-07-27 | Stephen Barthelson | Humidifier |
KR20080085372A (en) * | 2007-03-19 | 2008-09-24 | 김계수 | Air activator |
JP2009216319A (en) * | 2008-03-11 | 2009-09-24 | Sanyo Electric Co Ltd | Humidifier and air cleaner |
KR101363465B1 (en) * | 2011-06-08 | 2014-02-17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Air washer |
CN202149561U (en) * | 2011-07-15 | 2012-02-22 | 中山泰坦工艺品有限公司 | A humidifier with player and fragrance |
KR101237425B1 (en) * | 2012-07-10 | 2013-02-28 | 유성정밀 주식회사 | Flowerpot of air filtration function having |
CN104235993A (en) * | 2013-06-15 | 2014-12-24 | 佛山市千城产品设计有限公司 | Air purifier |
JP5842962B2 (en) * | 2013-12-27 | 2016-01-13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Air cleaner |
CN103933816B (en) * | 2014-04-10 | 2015-08-12 | 北京工业大学 | A kind of annular air purification damping device |
CN204494739U (en) * | 2015-01-21 | 2015-07-22 | 厦门唯科健康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vehicular air purifier shell |
CN105003989B (en) * | 2015-07-01 | 2018-07-24 | 中山市瑞驰泰克电子有限公司 | Air conditioning device |
-
2016
- 2016-10-06 KR KR1020160129355A patent/KR20170051249A/en not_active Ceased
- 2016-10-06 KR KR1020160129318A patent/KR101922951B1/en active Active
- 2016-10-28 JP JP2018521944A patent/JP2018536136A/en active Pending
- 2016-10-31 CN CN201611018632.6A patent/CN106958905B/en active Active
- 2016-10-31 CN CN201610997417.9A patent/CN107036196B/en active Active
-
2021
- 2021-06-23 JP JP2021103731A patent/JP741331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42026A (en) * | 2010-05-17 | 2011-12-01 | Nanbu Plastics Co Ltd | Water crushing type negative ion gen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958905A (en) | 2017-07-18 |
JP7413319B2 (en) | 2024-01-15 |
CN106958905B (en) | 2019-11-05 |
KR20170051239A (en) | 2017-05-11 |
JP2021167714A (en) | 2021-10-21 |
JP2018536136A (en) | 2018-12-06 |
CN107036196B (en) | 2020-10-30 |
CN107036196A (en) | 2017-08-11 |
KR20170051249A (en) | 2017-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2951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2122247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939088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871265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921535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939087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EP3163192B1 (en) |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 |
KR101880484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US10094580B2 (en) |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 |
KR102462767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EP3163194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20220039025A (en) | Apparatus for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2419346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959310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20180109790A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CN107101304B (en) | Humidifying and purifying device | |
KR101957163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