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2710B1 - 내용물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710B1
KR101922710B1 KR1020170089610A KR20170089610A KR101922710B1 KR 101922710 B1 KR101922710 B1 KR 101922710B1 KR 1020170089610 A KR1020170089610 A KR 1020170089610A KR 20170089610 A KR20170089610 A KR 20170089610A KR 101922710 B1 KR101922710 B1 KR 101922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groove
barrier
contents
end wall
peripheral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8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710B1/ko
Priority to CN201821052326.9U priority patent/CN208987900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71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5Flexible holders, pouches for powder or powder puff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단이 개구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 둘레를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끼움홈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끼움홈으로 연장되어,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는 밀폐고정링; 상기 밀폐고정링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하는 도포부; 및 상기 도포부를 커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고정링의 내외측면 각각이 상기 끼움홈의 내측면 및 외측면 각각에 맞닿고, 상기 끼움홈과 상기 밀폐고정링이 서로 맞닿는 면에서, 상기 끼움홈과 상기 밀폐고정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는 간섭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용물 용기{liquid vessel}
본 발명은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소량의 화장품과 화장도구를 내장하여 샘플 또는 증정품으로 제조 및 공급할 수 있어, 제품의 홍보효과 및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등과 같은 고형 화장품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체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퍼프의 경우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 등은 화장품 용기의 뚜껑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 퍼프를 인출하고,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퍼프를 화장품에 접촉시킴으로써 퍼프에 소정 양만큼의 화장품이 묻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품은 퍼프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화장품의 성분 변경, 품질 개선 및 색상의 다양화 등에 의해 사용자가 사용해보지 못한 제품이나 신제품을 바로 구매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제품 홍보를 위해, 샘플을 제조/공급하거나, 화장품 샵 등에 본품과 동일한 형태의 화장품 용기가 비치된다.
그런데 파운데이션과 같이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을 수행하여야 하는 제품의 경우, 예를 들어 필름지와 같이 액상의 화장품만이 소량 담겨진 경우, 이를 1회 성으로 이용 가능하나 사용자가 퍼프를 이용하여 샘플을 시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으며, 화장품 샵에 마련되는 제품은 본품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어 퍼프가 구비되기는 하지만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이용하게 됨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피부질환 등이 전달되는 등 이용에 거부감을 발생시켜 실효성이 저하되어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량의 화장품을 제조/공급함에 있어 사용자가 화장도구를 함께 이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여 사용자의 만족감 및 홍보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내용물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단이 개구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 둘레를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끼움홈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끼움홈으로 연장되어,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는 밀폐고정링; 상기 밀폐고정링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하는 도포부; 및 상기 도포부를 커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고정링의 내외측면 각각이 상기 끼움홈의 내측면 및 외측면 각각에 맞닿고, 상기 끼움홈과 상기 밀폐고정링이 서로 맞닿는 면에서, 상기 끼움홈과 상기 밀폐고정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는 간섭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단벽; 및 상기 단벽과의 사이에 상기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벽과 이격되게 마련되는 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섭부는, 상기 단벽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제1 둘레 돌기; 상기 장벽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제2 둘레 돌기; 및 상기 밀폐고정링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제3 둘레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둘레 돌기, 상기 제2 둘레 돌기, 상기 제3 둘레 돌기 각각은 서로 어긋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벽은, 상기 단벽에 대비하여 상기 도포부의 두께에 대응하여 연장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장벽을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장벽의 내측 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장벽 내측에 삽입되게 돌출되는 끼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끼움홈의 폭이 상기 끼움부재에 의해 변동되지 않도록, 상기 밀폐고정링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섭부는, 상기 끼움홈과 상기 밀폐고정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며 폐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돌기가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홈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폐고정링은, 상기 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밀폐고정링에 부착되는 제1 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벽의 내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장벽에 부착되는 제2 부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는, 상기 수용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1 ~ 2회 사용용량 일례로, 샘플과 같이 소용량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밀폐고정링의 내외측면 모두가 수용부와 밀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어, 수용부의 씰링이 다중으로 이루어져 내용물의 증발을 방지함으로써, 내용물 증발에 따른 제품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벽과 단벽 사이의 끼움홈이, 수용부에 결합되는 뚜껑부에 관계없이 항시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져, 즉 끼움홈의 폭이 변동되지 않아, 밀폐고정링의 내면만 아니라, 밀폐고정링의 외면 또한 항시 밀착된 형태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제2 부착부 또는 뚜껑부의 끼움부재에 의해 수용부의 내부공간이 밀폐될 수 있어, 수용부의 밀폐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벽의 외측에서 단벽보다 연장된 장벽이 내용물의 간섭없이 도포부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확장시킴으로써, 도포부가 개별로 보관될 필요가 없어, 도포부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외부케이스가 필요으므로, 도포부를 분실할 위험이 없고, 개별로 보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에서 뚜껑부가 수용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끼움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밀폐고정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편의상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로 구분하였으나, 뚜껑부의 연결 구조 등이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고, 이들이 서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조합에 따라 실시예는 증가할 수 있고,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는, 수용부(110), 밀폐고정링(120), 도포부(140), 뚜껑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용물 용기(100)는 액상의 내용물(90)을 수용할 수 있고, 내용물(90)은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블러셔 등의 화장품 또는 소독약과 같은 의약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내용물(90)이 수용부(110)에 수용될 경우, 내용물(90)이 수용부(110)에 그대로 수용되거나, 스폰지 등에 머금어진 상태로 수용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내용물 용기(100)에 수용되는 내용물(90)은 퍼프 또는 거즈와 같은 도포부(140)에 의해 피부에 전달될 수 있으며, 세균 번식 등을 방지하고자 도포부(140)에 의해 전달되는 내용물(90)이 1회 사용 용량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 용기(100)에 수용되는 내용물(90)은 바람직하게는 2g 이하로 수용될 수 있으나, 상처의 면적이 넓어 내용물(90)의 도포가 많이 요구되는 바와 같이 1회 필요량에 따라 내용물(90)의 용량은 가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내용물(90)이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인 것을 일례로 설명하며, 특히 화장품은 스펀지에 머금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내용물 용기(100)는 쿠션 파운데이션의 샘플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례에 불과하며, 내용물(90)이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수용부(110)는 내용물(90)이 수용되며 상단이 개구되는 수용공간(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외측 둘레를 따라 끼움홈(1101)이 형성된다.
여기서, 내용물(90)은 스펀지에 머금어진 상태로 수용공간에 저장될 수 있고, 수용부(110)의 수평 단면도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수용부(110)는, 내용물(90)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밀폐고정링(120)의 내외측면 모두가 수용부(110)와 밀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일례로, 수용부(110)는, 단벽(101B) 및 장벽(101A)을 포함할 수 있다.
단벽(101B)은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수용부(110)의 저면(바닥면)을 이루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단벽(101B)이 저면과 함께 수용공간을 이루고, 단벽(101B)의 외측에 형성된 장벽(101A)에 의해 수용부(110)는 2 중의 격벽구조를 이룰 수 있다. 물론, 장벽(101A)의 절곡 등으로 인해 3 중의 격벽 구조를 이룰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벽(101A)은 수용부(110) 내에 도포부(140)가 보관될 수 있다. 즉 장벽(101A)은 수용부(110) 내에 내용물(90)을 저장하기 위한 수용공간 이외의 공간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벽(101A)은, 단벽(101B)의 외측에서 상부로 단벽(101B)보다 길이가 연장되어, 내용물(9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간섭하지 않고, 도포부(140)를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확장시킨다. 이에 따라, 도포부(140)가 개별로 보관될 필요가 없으며, 도포부(140)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외부케이스가 필요 없으므로, 도포부(140)를 분실할 위험이 없고, 개별로 보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특히, 장벽(101A)은 단벽(101B)과의 사이에 끼움홈(1101)이 형성되도록 단벽(101B)과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는데, 끼움홈(1101)은 수용부(110)에 결합되는 뚜껑부(150)에 관계없이 폭이 일정하게 이루어져, 장벽(101A)에 결합되는 후술되는 뚜껑부(150)의 끼움부재(153)의 결합에 관계없이, 끼움홈(1101)의 폭이 변동되지 않아, 끼움홈(1101)에 결합된 밀폐고정링(120)의 내외측면은 항시 끼움홈(1101)의 양측 즉 단벽(101B)의 외측면과 장벽(101A)의 내측면 각각에 밀착된 형태를 이루어, 종래에는 수용공간의 외측면만 밀착되는 구조에 대비하여 씰링 구조가 추가되므로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장벽(101A)의 높이는, 단벽(101B)의 높이에 대비하여 높게 이루어져 즉 도포부(140)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연장되어, 장벽(101A)에 끼워진 끼움부재(153)가 장벽(101A)의 내측면을 밀어낸다고 하더라도, 끼움부재(153)가 간섭되는 장벽(101A)의 상단은 장벽의 하부인 끼움홈(1101)을 간섭하지 않아, 끼움홈(1101)의 폭은 변동되지 않으므로, 밀폐고정링(120)의 내외측면 각각이 끼움홈(1101) 내에 밀착될 수 있다. 또는, 끼움부재(153)가 생략되고 뚜껑부(150)가 수용부(110)에 단순히 걸림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장벽(101A)은,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측으로 연장(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된 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단벽(101B)의 반대편에서 연장된 장벽(101A)의 외곽은 수용부(1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뚜껑부(150)가 결합될 수 있다.
밀폐고정링(120)은 내용물(90)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끼움홈(1101)의 상단으로부터 끼움홈(1101)으로 연장되어, 끼움홈(1101)에 삽입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즉 샘플 등과 같이 1 ~ 2회 사용용량이 수용된 내용물 용기(100)는 소량의 증발만으로도, 본품에 대비하여 증발되는 용량의 퍼센트가 높아, 동일한 보관 시간을 이루어도, 내용물(90)의 점도 등의 변질이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 용기(100)는, 밀폐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어, 밀폐고정링(120)과 간섭부(111, 112, 123)의 구조를 통해 씰링 구조를 보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고정링(120)은 내측면만 아니라 외측면 또한 끼움홈(1101)에 맞닿게 이루어져, 밀폐고정링(120)의 내측면에 의해 1차로 씰링이 이루어지고, 밀폐고정링(120)의 외측면에 의해 2차로 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밀폐고정링(120)은 내측면은 단벽(101B)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밀폐고정링(120)의 외측면은 장벽(101A)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밀폐고정링(120) 하나로 2중 씰링이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끼움홈(1101)과 밀폐고정링(120)이 서로 맞닿는 면에서, 끼움홈(1101)과 밀폐고정링(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될 수 있는 간섭부(111, 112, 123)에 의해 씰링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간섭부(111, 112, 123)는 단벽(101B) 및 장벽(101A) 각각에 마련될 수 있고, 단벽(101B) 및 장벽(101A) 각각에 간섭부(111, 112, 123)가 복수로 마련되어 씰링 구조가 더욱 견고해 질 수 있다.
여기서, 간섭부(111, 112, 123)는, 밀폐고정링(120)이 단벽(101B)의 외측면과 장벽(101A)의 내측면 각각에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선접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끼움 결합시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줄여, 끼움홈(1101)에 밀폐고정링(120)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일례로, 간섭부(111, 112, 123)는 제1 둘레 돌기(111), 제2 둘레 돌기(112), 제3 둘레 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둘레 돌기(111), 제2 둘레 돌기(112), 제3 둘레 돌기(123) 각각은 씰링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각각이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간섭부(111, 112, 123)의 수가 3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간섭부(111, 112, 123)의 수를 증가시켜 씰링 구조를 더욱 견고히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간섭부(111, 112, 123)가, 제1 둘레 돌기(111), 제2 둘레 돌기(112), 제3 둘레 돌기(123)와 같이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밀폐고정링(120)이 끼움홈(1101)에 결합시 내용물 용기(100)의 사이즈에 대비하여 간섭부(111, 112, 123)의 수가 3개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간섭부(111, 112, 123)에 의해 삽입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밀폐고정링(12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다중의 밀폐구조를 통해 씰링을 견고히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제1 둘레 돌기(111)는 단벽(101B)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될 수 있고, 제2 둘레 돌기(112)는 장벽(101A)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될 수 있으며, 제3 둘레 돌기(123)는 밀폐고정링(120)의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을 따라 돌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간섭부(111, 112, 123)에 의해 밀폐고정링(120)의 내외측 모두 끼움홈(1101)에 밀착되도록 하여 씰링 구조를 다중으로 이룰 수 있다.
게다가, 제1 둘레 돌기(111), 제2 둘레 돌기(112), 제3 둘레 돌기(123) 각각은 서로 어긋나게 마련될 수 있어, 제1 둘레 돌기(111), 제2 둘레 돌기(112), 제3 둘레 돌기(123)는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돌출형태를 이루는 제1 둘레 돌기(111), 제2 둘레 돌기(112), 제3 둘레 돌기(123) 각각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끼움홈(1101)의 폭에 맞게 이루어지는 밀폐고정링(120)의 단면적이 제1 둘레 돌기(111), 제2 둘레 돌기(112), 제3 둘레 돌기(123)에 의해 과도하게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밀폐고정링(120)의 끼움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서로 다른 위치에서 씰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끼움홈(1101)과 밀폐고정링(120)이 서로 대향하는 면에서 돌출되는 간섭부는 상하 일렬로 배치되되, 간섭부(111, 112, 123)의 상하가 서로 맞닿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3 둘레 돌기(123)가 밀폐고정링(120)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경우, 제3 둘레 돌기(123)의 위치는 제2 둘레 돌기(112)의 하단에 맞닿게 이루어져, 제3 둘레 돌기(123)는 장벽(101A)의 외측면에 맞닿아 밀폐를 이룰 뿐만 아니라, 제3 둘레 돌기(123)의 상부는 제2 둘레 돌기(112)의 하부에 맞닿아 밀폐가 더욱 견고해 질 수 있다.
한편, 간섭부(111, 112, 123)가 끼움홈(1101) 또는 밀폐고정링(120)의 벽면에 맞닿도록 이루어지는 것 이외에,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간섭부(111, 112, 123)는 제1, 2, 3 둘레 돌기(111, 112, 123) 각각에 대응하여 홈이 마련되어, 제1, 2, 3 둘레 돌기(111, 112, 123)가 홈에 끼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의 내용물 용기(100)는 쿠션 파운데이션의 미니멀 형태를 이룰 수 있어, 내용물(90)은 스펀지에 머금어진 형태로 보관될 수 있으므로, 스펀지에 머금어진 내용물(9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펀지의 상부 즉 수용공간의 상부가 개방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밀폐고정링(120)은, 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상부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개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밀폐고정링(120)의 개구부(121)를 커버하도록, 밀폐고정링(120)에 부착되는 제1 부착부(130)가 마련되는데, 제1 부착부(130)는 비닐, 필름 등과 같이 평면지를 이루어 부피나 두께를 차지하지 않아 내용물 용기(100)의 전체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소량의 내용물(90)을 제공하는 목적에 부합할 수 있으며, 자재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부착부(130)는 밀폐고정링(120) 상에 접착, 열융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부착부(130)가 밀폐고정링(120)의 상단에 고정되되, 사용자가 제1 부착부(130)를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제1 부착부(130)를 제거하여 내용물(90)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착부(130)를 사용자가 뜯기 용이하도록, 제1 부착부(130)의 일부가 연장되어 손잡이를 이룰 수 있으며, 이는 제2 부착부(160)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내용물 용기(100)가 쿠션 파운데이션의 미니멀 형태 외에 내용물이 스펀지에 머금어지지 않고 단순히 저장된 형태를 이루는 경우, 개구부(121)는 생략되고, 십자 형태의 절개선 등과 같이 내용물이 소량씩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도포부(140)는 밀폐고정링(120)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용물(90)을 피부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도포부(140)는 퍼프, 브러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용부(110)에서 밀폐고정링(120)의 상부에 보관되어 내용물(90)과 함께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화장도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특히, 소량의 내용물(90)을 수용하는 수용부(110) 내의 내용물(90)을 도포부(140)와 함께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타인이 사용한 화장도구를 이용하지 않아 위생에 대한 거부감이 없어 화장품에 대한 제품 홍보가 향상될 수 있다.
뚜껑부(150)는 도포부(140)를 커버하는데, 장벽(101A) 내에 도포부(140)가 마련되도록, 단벽(101B)에 대비하여 높게 특히 도포부(140)의 두께에 대응하여 연장되고, 뚜껑부(150)는 장벽(101A)을 커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뚜껑부(150)는, 수용부(110)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일례로, 뚜껑부(150)는 원터치캡(플립탑(flip-top)) 타입으로 이루어져, 뚜껑부(150)의 일단은 수용부(110)에 고정되도록 수용부(110)에 연결부재(151)로 연결되고, 뚜껑부(150)의 타단은 결합부재(152)가 마련되어 수용부(110)의 장벽(101A)에 마련되는 걸림부재(110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51)는 뚜껑부(150)와 수용부(110)를 일체로 사출시키면서 뚜껑부(150)와 수용부(110) 사이에 필름 등과 같이 두께가 작은 박막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박막보다 두꺼운 형태의 매개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뚜껑부(150)의 일단은 힌지(151A)로 이루어지는 바와 같이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
또한, 걸림부재(1102)와 결합부재(152)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이루어 뚜껑부(150)의 일단을 기준으로 하여 뚜껑부(150)의 타단이 회전되는 구조를 이루어, 뚜껑부(150)의 결합부재(152)는 걸림부재(1102)에 걸리거나 이탈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뚜껑부(150)와 수용부(110) 각각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뚜껑부(150)가 수용부(110)에 단순히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아울러, 뚜껑부(150)에 의한 커버 외에 수용부(110)의 커버는, 제2 부착부(160)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벽(101A)의 내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특히 도포부(140)를 포함하여 수용부(110)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장벽(101A)의 상단에는 제2 부착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부착부(160)는 제1 부착부(130)와 동일/유사하게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부착부(160)의 하면에서 장벽(101A)과 맞닿는 영역에 점착제가 마련되어 고정이 이루어지거나, 열 융착이 이루어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2 부착부(160)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제2 부착부(160)의 상단에는 제2 부착부(160)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2 부착부(160)에서 장벽(110A)의 반대편으로 접혀진 형태로 이루어져, 뚜껑부(150)를 닫았을 경우 뚜껑부(150)와 수용부(110) 사이에 손잡이가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110)는 밀폐고정링(120)에 의한 밀폐만이 아니라, 제2 부착부(160)에 의해 밀폐가 이루어져, 밀폐력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제2 부착부(160)가 생략되고, 뚜껑부(150)에 끼움부재(153)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뚜껑부(150)는, 장벽(101A)의 내측 공간을 밀폐하도록, 장벽(101A) 내측에 삽입되게 돌출되는 끼움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재(15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끼움홈(1101)의 폭이 끼움부재(153)에 의해 변동되지 않도록, 밀폐고정링(120)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어, 끼움홈(1101)의 공간이 뚜껑부(150)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밀폐고정링(120)의 내외측 모두가 항시 끼움홈(1101)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110)는 밀폐고정링(120)과 간섭부(111, 112, 123)에 의한 씰링뿐만 아니라, 뚜껑부(150)의 끼움부재(153) 또는 제2 부착부(160)에 의한 밀폐가 더 이루어져 수용부(110)의 밀폐력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뚜껑부(150)가 수용부(110)를 커버한 상태에서의 뚜껑부(150)의 하면에는 반사면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일례로 반사면은 거울(1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1 ~ 2회 사용용량과 같이 소용량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밀폐고정링(120)의 내외측면 모두가 수용부(110)와 밀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어, 수용부(110)의 씰링이 다중으로 이루어져 내용물의 증발을 방지함으로써, 내용물 증발에 따른 제품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90 :내용물
100: 내용물 용기 110: 수용부
101A: 장벽 101B: 단벽
1101: 끼움홈 1102: 걸림부재
111: 제1 둘레 돌기 112: 제2 둘레 돌기
120: 밀폐고정링 121: 개구부
123: 제3 둘레 돌기 130: 제1 부착부
140: 도포부 150: 뚜껑부
151: 연결부재 151A: 힌지
152: 결합부재 153: 끼움부재
154: 거울 160: 제2 부착부

Claims (8)

  1.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단이 개구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 둘레를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고, 도포부 주변의 상면이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를 갖는 수용부;
    상기 끼움홈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끼움홈으로 연장되어,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밀폐고정링;
    상기 밀폐고정링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하는 상기 도포부;
    상기 도포부를 커버하는 뚜껑부;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밀폐고정링에 부착되는 제1 부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확장된 영역에 부착되는 제2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고정링의 내외측면 각각이 상기 끼움홈의 내측면 및 외측면 각각에 맞닿고,
    상기 끼움홈과 상기 밀폐고정링이 서로 맞닿는 면에서, 상기 끼움홈과 상기 밀폐고정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는 간섭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와 상기 뚜껑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단벽; 및
    상기 단벽과의 사이에 상기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벽과 이격되게 마련되는 장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단벽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제1 둘레 돌기;
    상기 장벽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제2 둘레 돌기; 및
    상기 밀폐고정링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제3 둘레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둘레 돌기, 상기 제2 둘레 돌기, 상기 제3 둘레 돌기 각각은 서로 어긋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은, 상기 단벽에 대비하여 상기 도포부의 두께에 대응하여 연장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장벽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장벽의 내측 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장벽 내측에 삽입되게 돌출되는 끼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끼움홈의 폭이 상기 끼움부재에 의해 변동되지 않도록, 상기 밀폐고정링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끼움홈과 상기 밀폐고정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며 폐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돌기가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착부는, 상기 장벽의 내부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장벽에 부착되며,
    상기 뚜껑부는,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KR1020170089610A 2017-07-14 2017-07-14 내용물 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922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610A KR101922710B1 (ko) 2017-07-14 2017-07-14 내용물 용기
CN201821052326.9U CN208987900U (zh) 2017-07-14 2018-07-04 内容物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610A KR101922710B1 (ko) 2017-07-14 2017-07-14 내용물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710B1 true KR101922710B1 (ko) 2018-11-28

Family

ID=6456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610A Expired - Fee Related KR101922710B1 (ko) 2017-07-14 2017-07-14 내용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7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040A (ko) * 2020-06-15 2021-12-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KR20240045618A (ko) * 2022-09-30 2024-04-08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513B1 (ko) * 2007-12-27 2013-10-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에어타이트 케이스타입 용기
KR101459015B1 (ko) * 2014-05-08 2014-11-07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리필 캡슐 장착형 콤팩트 케이스
KR200476640Y1 (ko) * 2013-11-28 2015-03-17 금성티에스씨주식회사 화장용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513B1 (ko) * 2007-12-27 2013-10-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에어타이트 케이스타입 용기
KR200476640Y1 (ko) * 2013-11-28 2015-03-17 금성티에스씨주식회사 화장용 콤팩트 용기
KR101459015B1 (ko) * 2014-05-08 2014-11-07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리필 캡슐 장착형 콤팩트 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040A (ko) * 2020-06-15 2021-12-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KR102360508B1 (ko) * 2020-06-15 2022-02-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KR20240045618A (ko) * 2022-09-30 2024-04-08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KR102715986B1 (ko) * 2022-09-30 2024-10-11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199B1 (ko)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841178B1 (ko) 리필타입 콤팩트 용기
JP7551205B2 (ja) 化粧品容器
JP2020526315A (ja) 化粧品容器
KR200488068Y1 (ko) 화장품 용기
KR101791682B1 (ko) 내용물 용기가 회전되어 잔량을 방지하는 콤팩트 용기
KR200494153Y1 (ko) 화장품 용기
JP2002159329A (ja) 半液体粘度の化粧品またはケア製品包装用ケース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877139B1 (ko) 화장품 용기
KR20180003441U (ko) 화장품 용기
KR102089722B1 (ko) 용기 커버 개방 시 무게 균형이 유지되는 두께가 슬림한 화장품 용기
KR101922710B1 (ko) 내용물 용기
KR20160002903U (ko) 위아래로 개방되는 이중 콤팩트 용기
KR101565774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75203Y1 (ko)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90061532A (ko) 화장 도구
KR102170773B1 (ko) 화장품 용기
KR200492537Y1 (ko) 화장품 용기
KR20200022420A (ko) 내용물 용기
EP3515233B1 (en) Cosmetic casing comprising a deformable lateral wall
KR20170000631U (ko) 화장품 용기
KR102035840B1 (ko) 내용물 용기
KR102051023B1 (ko) 화장품 용기
KR101318678B1 (ko) 밀폐형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5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7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0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7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