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642B1 - 네트워크 이중 스위칭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이중 스위칭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2642B1 KR101922642B1 KR1020180075258A KR20180075258A KR101922642B1 KR 101922642 B1 KR101922642 B1 KR 101922642B1 KR 1020180075258 A KR1020180075258 A KR 1020180075258A KR 20180075258 A KR20180075258 A KR 20180075258A KR 101922642 B1 KR101922642 B1 KR 1019226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witch unit
- power
- switch
- data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2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5—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2—Alternate rou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이중 스위칭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체적 구성도 이다.
110: 제1업링크포트부
120: 제1종단포트부
130: 제1보드전원입력부
140: 제1스위칭회로전원입력부
150: 제1스위칭회로부
160: 제1바이패스포트부
170: 제1감시포트부
200: 제2스위치부
210: 제2업링크포트부
220: 제2종단포트부
230: 제2보드전원입력부
240: 제2스위칭회로전원입력부
250: 제2스위칭회로부
260: 제2바이패스포트부
270: 제2감시포트부
300: 전원부
310: 전원입력부
320: 제1전원출력부
330: 제2전원출력부
Claims (4)
- 네트워크 이중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다른 네트워크와 제2스위치부(200)와 데이터 통신을 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을 스위칭하고 상기 제2스위치부(200)가 상기 제2스위치부(200)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을 제1스위치부(100)로 우회(bypass)시키는 경우 상기 제2스위치부(200)로부터 제1스위치부(100)로 우회시켜진 데이터 통신을 하는 상기 제2스위치부(200)에 연결된 상기 단말기와 제1스위치부(100)에 연결된 단말기와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제2스위치부(200)에 연결된 단말기와 제1스위치부(100)에 연결된 단말기와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치부(100);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다른 네트워크와 제1스위치부(100)와 데이터 통신을 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을 스위칭하고 상기 제1스위치부(100)가 상기 제1스위치부(100)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을 제2스위치부(200)로 우회(bypass)시키는 경우 상기 제1스위치부(100)로부터 제2스위치부(200)로 우회시켜진 데이터 통신을 하는 상기 제1스위치부(100)에 연결된 상기 단말기와 제2스위치부(200)에 연결된 단말기와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제1스위치부(100)에 연결된 단말기와 제2스위치부(200)에 연결된 단말기와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을 스위칭하는 제2스위치부(200); 및
상기 제1스위치부(100)와 상기 제2스위치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스위치부(100)는,
상기 제2스위치부(200)로부터 제1스위치부(100)로 우회(bypass)시킨 경우에도 세션이나 프레임 전달의 중단없이 지속적인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2스위치부(200)의 맥 테이블을 포함한 스위칭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제2스위치부(200)로부터 전달받아 제1스위치부(100)의 스위칭 정보를 지속적으로 상기 제2스위치부(200)와 동기화하고,
상기 제2스위치부(200)는,
상기 제1스위치부(100)로부터 제2스위치부(200)로 우회(bypass)시킨 경우에도 세션이나 프레임 전달의 중단없이 지속적인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스위치부(100)의 맥 테이블을 포함한 스위칭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제1스위치부(100)로부터 전달받아 제2스위치부(200)의 스위칭 정보를 지속적으로 상기 제1스위치부(100)와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이중 스위칭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부(100)는
다른 네트워크와 제1종단포트부(120)에 연결된 단말기와 상기 제2스위치부(200)로부터 상기 제1스위치부(100)로 우회(bypass)시켜진 데이터 통신을 하는 상기 제2스위치부(200)에 연결된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제1업링크포트부(110);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업링크포트부(110)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 제1종단포트부(120)에 연결된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단말기와 연결되는 제1종단포트부(120);
상기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입력 받아 상기 제1스위치부(1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스위치부(200)로부터 제어를 받은 경우 상기 제1스위치부(100)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1보드전원입력부(130);
상기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입력 받아 제1스위칭회로부(150)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스위칭회로전원입력부(140);
상기 제1스위칭회로전원입력부(140)를 통해 전원을 공급 받고 상기 제1보드전원입력부(130)가 상기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입력 받아 상기 제1스위치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종단포트부(120)에 연결된 단말기와 상기 제1업링크포트부(110)에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을 스위칭하고 상기 제1보드전원입력부(130)가 상기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입력 받아 상기 제1스위치부(10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종단포트부(120)에 연결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을 제1바이패스포트부(160)를 통해 제2스위치부(200)로 우회(bypass)시키는 제1스위칭회로부(150);
상기 제1스위칭회로부(150)를 통해 우회되는 단말기의 데이터를 상기 제2스위치부(200)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2스위치부(200)에 연결되는 제1바이패스포트부(160);
상기 제2스위치부(200)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제2스위치부(200)와 연결되는 제1감시포트부(170); 및
상기 제1감시포트부(17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2스위치부(2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2스위치부(200)가 정상 작동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스위치부(200)의 제2보드전원입력부(230)를 제어하여 상기 제2스위치부(200)가 전원을 공급받지 않게 하는 제1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이중 스위칭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부(200)는
다른 네트워크와 제2종단포트부(220)에 연결된 단말기와 상기 제1스위치부(100)로부터 상기 제2스위치부(200)로 우회(bypass)시켜진 데이터 통신을 하는 상기 제1스위치부(100)에 연결된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제2업링크포트부(210);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업링크포트부(210)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 제2종단포트부(220)에 연결된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단말기와 연결되는 제2종단포트부(220);
상기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입력 받아 상기 제2스위치부(2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스위치부(100)로부터 제어를 받은 경우 상기 제2스위치부(200)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2보드전원입력부(230);
상기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입력 받아 제2스위칭회로부(250)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2스위칭회로전원입력부(240);
상기 제2스위칭회로전원입력부(240)를 통해 전원을 공급 받고 상기 제2보드전원입력부(230)가 상기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입력 받아 상기 제2스위치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2종단포트부(220)에 연결된 단말기와 상기 제2업링크포트부(210)에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을 스위칭하고 상기 제2보드전원입력부(230)가 상기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입력 받아 상기 제2스위치부(20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종단포트부(220)에 연결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을 제2바이패스포트부(260)를 통해 제1스위치부(100)로 우회(bypass)시키는 제2스위칭회로부(250);
상기 제2스위칭회로부(250)를 통해 우회되는 단말기의 데이터를 상기 제1스위치부(100)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스위치부(100)에 연결되는 제2바이패스포트부(260);
상기 제1스위치부(100)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제1스위치부(100)와 연결되는 제2감시포트부(270); 및
상기 제2감시포트부(270)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1스위치부(1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1스위치부(100)가 정상 작동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스위치부(100)의 제1보드전원입력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제1스위치부(100)가 전원을 공급받지 않게 하는 제2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이중 스위칭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300)는
상기 제1스위치부(100)와 상기 제2스위치부(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을 공급 받아 제1전원출력부(320)와 제2전원출력부(3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310);
상기 전원입력부(31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제1스위치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출력부(320); 및
상기 전원입력부(31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제2스위치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출력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이중 스위칭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5258A KR101922642B1 (ko) | 2018-06-29 | 2018-06-29 | 네트워크 이중 스위칭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5258A KR101922642B1 (ko) | 2018-06-29 | 2018-06-29 | 네트워크 이중 스위칭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2642B1 true KR101922642B1 (ko) | 2019-02-20 |
Family
ID=6556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5258A Active KR101922642B1 (ko) | 2018-06-29 | 2018-06-29 | 네트워크 이중 스위칭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264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7471A (ko) | 1999-07-15 | 2002-04-13 | 케네쓰 올센 | 보안 네트워크 스위치 |
KR20110019872A (ko) * | 2009-08-21 | 2011-03-02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Tcp/ip 기반 x.25 프로토콜 회선의 이중화 시스템 및 방법 |
KR20150034403A (ko) * | 2013-09-26 | 2015-04-03 | 최종운 | 이더넷 장애복구 장치 |
-
2018
- 2018-06-29 KR KR1020180075258A patent/KR10192264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7471A (ko) | 1999-07-15 | 2002-04-13 | 케네쓰 올센 | 보안 네트워크 스위치 |
KR20110019872A (ko) * | 2009-08-21 | 2011-03-02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Tcp/ip 기반 x.25 프로토콜 회선의 이중화 시스템 및 방법 |
KR20150034403A (ko) * | 2013-09-26 | 2015-04-03 | 최종운 | 이더넷 장애복구 장치 |
Non-Patent Citations (5)
Title |
---|
http://namedit.tistory.com/95 |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nav=&m_temp1=1822&id=459 |
https://ko.wikipedia.org/wiki/간이_망_관리_프로토콜 |
https://ko.wikipedia.org/wiki/네트워크_스위치 |
https://ko.wikipedia.org/wiki/랜_스위칭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23403B1 (en) | Network system and network redundancy method | |
RU2651149C2 (ru) | Sdn-контроллер, система центра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и способ маршрутизируемого соединения | |
EP3909208B1 (en) | Software defined access fabric without subnet restriction to a virtual network | |
CN108965123A (zh) | 一种链路切换方法和网络通信系统 | |
CN108900384A (zh) | 网络流量监控方法、装置及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KR101252529B1 (ko) | 이중화를 지원하는 배전반용 보안 시스템 | |
US11128663B2 (en) | Synchronizing link and event detection mechanisms with a secure session associated with the link | |
US20070101422A1 (en) | Automated network blocking method and system | |
CN102447583A (zh) | 网络地址转换设备的双机热备的方法及装置 | |
CN105490960A (zh) | Sdn架构、基于sdn架构的报文转发方法 | |
US20200128029A1 (en) | Network device,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9596129B2 (en) |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information-relaying method, and program | |
JP6383232B2 (ja) | 中継システムおよびスイッチ装置 | |
EP3407593B1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y to an apparatus | |
KR101922642B1 (ko) | 네트워크 이중 스위칭 장치 | |
WO2016027447A1 (ja) |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 |
DK2719129T3 (da) | Huskommunikationsnetværk | |
CN109120520B (zh) | 一种故障处理方法和设备 | |
CN108337162B (zh) | 一种支持双归属保护的系统及方法 | |
EP2856705B1 (en) | Networ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network | |
JP6118464B2 (ja) | ポートステータス同期化方法、関連の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 |
EP1705829B2 (en) | System for realizing softswitch allopatric disaster recovery based on packet network | |
JP5518771B2 (ja) | 冗長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終端装置及び中継点隣接装置 | |
CN112448844B (zh) | 一种基于预先配置的时间触发网络重构方法 | |
CN111934912B (zh) | 双主机隔离网关的热备冗余系统及控制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7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