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513B1 - Automatic feeder of seasoned laver - Google Patents
Automatic feeder of seasoned la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2513B1 KR101922513B1 KR1020170148650A KR20170148650A KR101922513B1 KR 101922513 B1 KR101922513 B1 KR 101922513B1 KR 1020170148650 A KR1020170148650 A KR 1020170148650A KR 20170148650 A KR20170148650 A KR 20170148650A KR 101922513 B1 KR101922513 B1 KR 1019225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soning
- conveyor
- bundle
- roller conveyor
- convey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여러 장의 조미김을 계수 및 적층하여 다발 형태로 배출하는 제1 및 제2수납칸이 형성된 계수기와, 상기 계수기에서 계수 및 적층된 상태의 조미김 다발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기로 옮겨 나르는 이송 컨베이어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계수기에서 나온 조미김 다발을 일정한 속도 및 간격을 두고 원활하게 이송함으로써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아울러 생산라인의 콤팩트화 및 설비 면적을 최소화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함은 물론 공간 효율성과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를 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unter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seasonings are counted and stacked and discharged in the form of a bundle, and a counter which transports the counted and stacked seasoned bundles to a cutter It is connected to conveying conveyor and smoothly transfers the seasoning bundle from the counter at a constant speed and interval,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production line compact and minimize the facility area, It is a matter of course to disclose a seasoning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a lunchbox steaming process capable of improving space efficiency and maintenance convenie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미김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수기에서 계수하여 여러 장을 층층이 쌓은 조미김 다발을 도시락김 가공을 위한 절단, 포장 등의 작업라인으로 일정한 속도 및 간격을 두고 원활하게 이송함으로써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아울러 생산라인의 콤팩트화 및 설비 면적을 최소화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함은 물론 공간 효율성과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soning automatic fee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soning automatic feeder which counts in a counter and stacks a plurality of sheets in a layered manner to a working line such as cutting,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seasoning steaming rice for lunch, which can improve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can be made compact in production line and minimizes facility area, and can improve space efficiency and maintenance convenience .
김은 단백질과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영양이 풍부한 식품으로 오늘날 생김, 마른 김, 구운 김 등 다양한 형태로 먹고 있다.Kim is rich in protein and vitamins, and is rich in nutrients. It is eaten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fresh, dried and baked kimchi.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은 밥을 주식으로 하는 식생활문화의 특성과 별도의 조리과정이 필요 없는 편리함으로 인해 대개 온장(전장) 그대로인 마른 김의 양면에 기름, 조미료, 향신료, 소금 등을 발라서 구운 이른바 조미김 혹은 이를 먹기에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일회용 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일명 도시락김(식탁김)을 선호하고 있다.Especially, Korean people have been eating rice, spices, spices and salt on the sides of dry Kim which is usually in the hot spring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culture of rice stock and the convenient convenience without cooking process. They prefer a lunch box (table-top Kim) that is cut into a size suitable for eating and packed in a disposable container.
근래에는 이러한 조미김의 가공을 자동화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for a device for automating the processing of seasoning.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5217호에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투입부(10), 정렬부(20), 전환부(30), 공급부(40), 적재부(50) 및 이송부(60)로 구성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1565217 discloses an automatic apparatus for seasoning.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특히 적재부(5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미김(L)을 적재하여 승강 가능하게 공급벨트(43) 상에 설치되는 승강판(51)과, 상기 승강판(51)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52)와, 상기 승강판(51) 위에 얹힌 조미김(L)의 양면을 클램핑하는 홀딩판(53)과, 상기 홀딩판(53)을 구동하는 홀딩실린더(54)가 구비되어 있다.3 to 5, the
또한, 적재부(50)는 조미김(L)의 공급량을 검출하는 검출센서(55a)(55b)와, 상기 검출센서(55a)(55b)의 신호에 따라 조미김(L)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스토퍼(56)(57)와, 상기 스토퍼(56)(57)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58)(59)가 구비되어 있다.Th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적재부(50)는 검출센서(55a)(55b)의 센싱 신호에 따라 투입부(10)와 공급부(40)를 통해 이송되는 조미김(L)이 정해진 양보다 많으면, 이를 위쪽으로 들어올려서 홀딩판(53)에 적재함으로써 단순히 이송부(60)로 공급되는 조미김(L)의 공급량을 줄이는 것에 불과하여 이송 속도 및 간격이 일정하지 못한 데다 홀딩판(53)에 일정량 이상으로 조미김(L)이 쌓이면 일시로 운전을 정지한 후 이를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빼내어 투입부(10) 등으로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과 수고로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seasoning lures L to be fed through the
그뿐만 아니라 조미김(L)이 공급부(40)의 복수 개 라인을 통해 동시에 이송부(60)로 이송되는 구조적 특성상 하나의 라인에서 이송부(60)로 이송된 조미김(L)과 인접하는 다른 라인에서 이송부(60)로 이송되는 조미김(L) 간의 잦은 충돌이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급부(40)의 적어도 한 라인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멈추어야 하는데, 이러한 이송 대기시간으로 인해 조미김(L)의 이송 속도 및 간격이 규칙적이지 못함은 물론 공급부(40)에 조미김(L)이 적체되면 홀딩판(53)에 쌓이는 조미김(L)의 양도 많아져 작업능률과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asoning roots L are transferred to the
이러한 종래 기술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가 연구 및 개발하여 선출원한 조미김 가공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2814호에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 seasoning processing apparatus which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by the present inventor and which has been propose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762814.
그런데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장의 조미김을 계수 및 다발 형태로 적층하는 계수기(C)의 제1 및 제2수납칸 각각의 배출구에 컨베이어를 연결하여 조미김 다발을 포장 등의 후속 공정을 위한 라인으로 옮겨 나르는 구조여서 설치에 따른 점유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공간 및 작동 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질 수밖에 없는 데다 제작이나 설치 시의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6, a conveyor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of the counter C for stacking a plurality of seasonings in the form of a coefficient and a bundle, The space occupied by the installation occupies a lot of space, so that the space and the operation efficiency are inevitably lowered, and th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costs are also increased.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Herein, the background art or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only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technical signific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formation acquired by the present inventor or deriv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mean that it is widely known in the field.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조미김 자동공급장치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계수기에서 계수하여 여러 장을 층층이 쌓은 조미김 다발을 도시락김 가공을 위한 절단, 포장 등의 작업라인으로 일정한 속도 및 간격을 두고 원활하게 연속적으로 이송 공급함으로써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생산라인의 콤팩트화 및 설비 면적을 최소화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함은 물론 공간 효율성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has focused on solving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automatic seasoning automatic feeder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in detail, counting the number in the counter, and cutting the seasoned rice straw, , Packing, etc., smoothly and continuously supplied at a constant speed and interval, there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n addition, the production line is made compact and the facility area is minimized, As a resul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invented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intensive efforts to develop a automatic seasoning automatic feeder for the lunch box processing of a new structure that can improve space efficiency and ease of maintenance.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조미김 다발을 도시락김 가공을 위한 포장이나 절단 등의 작업라인을 향해 일정한 속도 및 간격으로 원활하게 연속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soning steaming automat for automatic processing of lunch steaming, which can smoothly and continuously feed seasoning steaming bundles to a working line, Supply devic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생산라인의 콤팩트화 및 설비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automatic seasoning and seasoning machine for a lunch machine, which can minimize the size of a production line and a facility area.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 the technical object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object and purp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object and purpos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여러 장의 조미김을 계수 및 적층하여 다발 형태로 배출하는 제1 및 제2수납칸이 형성된 계수기와, 상기 계수기에서 계수 및 적층된 상태의 조미김 다발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기로 옮겨 나르는 이송 컨베이어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로써, 제1전동기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수납칸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을 전달받거나 조미김 다발의 이동 방향을 90도 전환 시켜서 일정한 거리 사이를 자동으로 옮겨 나르는 롤러 컨베이어;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하는 조미김 다발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센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하는 조미김 다발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센서;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이송이 시작되는 부분 한쪽에 상기 제1 및 제2수납칸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상으로 연결 설치되고, 일정한 거리를 자동으로 순환하는 다수 개의 패들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들 사이를 통해 승강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수납칸 중 어느 하나에서 나와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한쪽 위에 올려 놓이는 조미김 다발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려서 개별 단위로 모아두거나 그 개별 단위로 모아 둔 조미김 다발을 하나씩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위에 내려놓는 적치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와 일직선이 되는 부분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치 컨베이어, 상기 제1 및 제2수납칸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을 밀개로 밀어서 상기 롤러 컨베이어를 가로질러 상기 이송 컨베이어 위로 옮기는 푸셔 피더; 및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전동기와 상기 푸셔 피더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를 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igarette comprising: a counter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for counting and stacking a plurality of seasonings and discharging the multi- Wherein the counter is connected to a conveying conveyor for conveying the counted and stacked seasoning bundle to a cutter for cutting a predetermined size in the counter, the seasoning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driving a lunch machine for rice processing, the apparatus being driven by a first electric motor, A roller conveyor for transferring a seasoning bundle from the second compartment or automatically mo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y switch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asoning bundle by 90 degrees; First and second sensor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easoning bundle moved by the roller conveyor; A third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easoning bundle moved by the conveying conveyor; A plurality of paddles, which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and which are automatically circul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raised and lowered between the rollers of the roller conveyor The seasoning bundles that come out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vat receptacles and are placed on one side of the roller conveyor are selectively lifted and collected in individual units or the seasoning bundles gathered in the individual units are stacked one by one on the roller conveyor A laying conveyor for laying down; A pusher feed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veying conveyor and aligned with the conveying conveyor, the pusher feeder pushing the stack conveyor, the seasoning bundle com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by a mill, and moving the conveyor across the conveying convey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motors and the pusher feeder according to the signals of the first to third sensors. .
이로써 본 발명은 계수기의 제1 및 제2수납칸에서 각각 계수하여 여러 장을 층층이 쌓은 조미김 다발을 번갈아가면서 도시락김 가공을 위한 절단, 포장 등의 작업라인을 향해 일정한 속도 및 간격으로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soning steaming bundle, which is obtained by count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of the counter and stacking a plurality of layers, can be continuously fed at a constant speed and interval toward a working line such as cutting,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and the productivit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롤러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각각 감지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이송이 시작되는 부분 위에 놓인 조미김 다발을 상기 적치 컨베이어에 올리어 모으도록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들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적치 컨베이어의 패들을 한 스텝 상승 작동시키고, 상기 제2 및 제3센서의 감지 신호가 없으면 상기 적치 컨베이어에 모인 조미김 다발을 상기 롤러 컨베이어 위에 올려놓도록 상기 적치 컨베이어의 패들을 한 스텝 하강 작동시키며,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 끝 부분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감지하는 상기 제2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푸셔 피더의 밀개가 조미김 다발을 상기 롤러 컨베이어를 가로질러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 밀어서 옮긴 후 원래대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이 시작되는 부분 위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감지하는 상기 제3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푸셔 피더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urth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stop driving the roller conveyor if there is a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to third sensors respectively detecting the seasoning bundle placed on the roller conveyor The steps of raising the paddles of the stack conveyor passing between the rollers of the roller conveyor so as to raise and gather the seasoning bundle placed on the portion where the conveyance of the roller conveyor starts to be conveyed, 3 sensor, the paddles of the stack conveyor are lowered by one step so as to place a seasoning bundle gathered on the stack conveyor on the roller conveyor, and the seasoning stack bundle located at the end portion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oller conveyor If there is a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sensor to be sens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move the bundle of stitches across the roller conveyor by pushing them to the conveying conveyor and returning them to the original state and if there is a detection signal of the third sensor which detects the seasoning bundle located on the part where the conveyance of the conveying conveyor is started , The operation of the pusher feeder can be controlled to be temporarily stopp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적치 컨베이어의 위에 일정한 개수 이상으로 모이는 조미김 다발을 감지하는 제4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4센서의 신호에 따라 조미김 다발의 개수가 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적치 컨베이어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fourth sensor for sensing a seasoning bundle gathered on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of the stacking conveyor, wherein the controller counts the number of seasoning bundles The op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elevation conveyor can be stopped so as not to exceed the standar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푸셔 피더는,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이송이 끝나는 부분 위에 위치하는 조미김 다발의 한쪽 면과 밀착되는 밀개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밀개를 승강시키는 승강 액추에이터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강 액추에이터가 장착된 슬라이드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푸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er feeder further includes: a spindl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asoning spread which is positioned above the portion where the conveyance of the roller conveyor ends; A pusher actuator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slide on which the lift actuator is moun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guide rail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lid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수납칸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이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펜스 및 상기 롤러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 사이에 장착되고, 신장 및 수축 작용에 의한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수납칸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이 상기 롤러 컨베이어 위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 옮겨가지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스토퍼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 fence which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roller conveyor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prevents a seasoning bundle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from being deviated from the roller conveyor,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actuator mounted between the conveying conveyor and selectively blocking the seasoning bundle coming out of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from the roller conveyor to the conveying conveyor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by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action Lt; / RTI >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롤러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과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각각 감지하는 상기 제2 및 제3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미김 다발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센서로부터 조미김 다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위에 놓인 조미김 다발을 상기 적치 컨베이어에 올리어 모으도록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들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적치 컨베이어의 패들을 한 스텝 상승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and third sensors that respectively detect a seasoning bundle positioned on the roller conveyor and a seasoning bundle positioned on the conveying conveyor And if there is a sense signal of the seasoning bundle from the first sensor after the seasoning bundle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driving the roller conveyor in the opposite direction, a seasoning bundle placed on the roller conveyor is conveyed to the bottom conveyor So that the paddles of the rack conveyor passing between the rollers of the roller conveyor are moved upward by one step.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계수기의 제1 및 제2수납칸에서 각각 계수하여 여러 장을 층층이 쌓아 토출하는 조미김 다발을 번갈아 절단, 포장 등의 후속 공정을 위한 작업라인으로 일정한 속도 및 간격으로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the means and construc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nd solution of the technical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asoning steaming bundle which is counted in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of the counter, , And can be smoothly transported at a constant speed and interval to a work line for subsequent processes such as packaging.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조미김 다발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미김 가공의 작업효율성은 물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the seasoning steaming bundle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seasoning steaming process as well as productivity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종래와 달리 2개의 계수기에서 각각 나오는 조미김 다발을 하나의 장치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라인의 콤팩트화 및 설비 면적과 점유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 효율성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비용화는 물론 운영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the seasoning steaming bundle from each of the two counters can be transferred to one apparatus, the production line can be made compact, and the space and occupied space can be minimized to improve space efficiency and ease of maintenance In addition, it can lower the cost and reduce the operating cost.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 내지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미김 자동공급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른 조미김 자동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 및 이와 연결 설치되는 계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의 국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의 국부를 배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의 국부를 배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국부 사시도이다.FIGS. 1 to 5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conventional seasoning automatic fee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tomatic seasoning automatic feeder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seasoning and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lunch lunch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unter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utomatic seasoning automatic feeding device.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cal portion of an automatic seasoning and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lunch lunch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front.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cal portion of an automatic seasoning and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lunch lunch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rear sid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cal portion of an automatic seasoning and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lunch box steam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back.
11 to 14 are local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asoning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lunch lunch steam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are to be construed to mean concept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terpretations that are commonly or commonly understoo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이외에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part" and "unit" means at least one function desired by the system or a module type that performs a unit or role to process a certain operation, Or a device or assembly capable of performing an independent ope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lso, terms such as " first "and" second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at is, the terms "first" and "seco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는, 낱장의 조미김을 계수하여 여러 장 쌓아 일정 수량의 다발 형태로 배출하는 계수기(C)와, 이 계수기(C)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L)을 전달받아 도시락김 가공을 위한 절단, 포장 등의 후속 작업라인으로 운반하는 이송 컨베이어(F)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롤러 컨베이어(100), 적치 컨베이어(200), 푸셔 피더(300) 및 컨트롤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7 to 10, the automatic seasoning and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the lunch box steam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nter C for counting the number of seasonings and discharging a plurality of stacked pieces in the form of a bundle And a conveying conveyor F for conveying the seasoning bundle L from the counter C to a subsequent operation line such as cutting, packaging or the like for processing lunch boxes, and is connected to a roller conveyor 100
<롤러 컨베이어><Roller conveyor>
롤러 컨베이어(100)는 계수기(C)의 제1수납칸(C1)에서 다발 형태로 나오는 조미김 다발(L)을 이송 컨베이어(F)의 앞쪽으로 하나씩 옮겨 나르고, 또는 제2수납칸(C2)에서 다발 형태로 나오는 조미김 다발(L)을 전달받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The
즉, 롤러 컨베이어(100)는 형강이나 봉재 등의 프레임을 마치 작업대 형태로 결합하여 골격을 이루는 베드(bed)에 의해 지지된 채로 계수기(C)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컨트롤러(400)의 제어 신호에 따른 제1전동기(110)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여 제1수납칸(C1)에서 배출되는 조미김 다발의 이동 방향을 90도 꺾어 자연스럽게 전환 시켜서 일정한 거리 사이를 자동으로 옮겨 나르거나 제2수납칸(C2)에서 배출되는 조미김 다발(L)을 전달받아 일시로 이동 대기시킨다.That is, the
그리고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 방향 양쪽 가장자리에는 제1 및 제2수납칸(C1)(C2)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이 롤러 컨베이어(100)에서 벗어나거나 이동 중에 밖으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펜스(120)가 구비되어 있다.A
또한,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이 끝나는 부분과 이송 컨베이어(F) 사이에는 신장 및 수축 작용에 의한 승강에 따라 제2수납칸(C2)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L)이 롤러 컨베이어(100) 위에서 이송 컨베이어(F)로 옮겨가지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스토퍼 액추에이터(130)가 구비되어 있다.A seasoning streak L coming out from the second compartment C2 is lifted and lowered between the portion where the conveyance of the
즉, 스토퍼 액추에이터(130)는 제2센서(S2)의 출력 신호에 따른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해 상승 작동하여 그 푸시 로더의 상단에 고정된 스토퍼가 롤러 컨베이어(100)의 상단보다 위쪽으로 튀어나와 조미김 다발(L)이 멈추도록 접촉 간섭을 일으킨다.That is, the
그리고 롤러 컨베이어(100) 상에는 조미김 다발(L)의 이동 위치를 검출하면 컨트롤러(400)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센서(S1)(S2)가 장착되어 있다.On the
또한, 이송 컨베이어(F)의 이송이 시작되는 끝부분에는 조미김 다발(L)의 이동 위치를 검출하면 컨트롤러(400)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3센서(S3)가 장착되어 있다.A third sensor S3 for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즉, 제1 내지 제3센서(S1)(S2)(S3)는 각각 조미김 다발(L)이 일정 거리 범위 내에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여 롤러 컨베이어(100)와 적치 컨베이어(200) 및 푸셔 피더(300) 그리고 스토퍼 액추에이터(130)의 순차적인 작동 제어 등을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컨트롤러(400)로 출력한다.That is, the first to third sensors S1, S2, and S3 detect when the seasoning steaming bundle L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respectively, and detect the
다시 말해, 롤러 컨베이어(100)는 컨트롤러(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제1전동기(110)의 구동에 의해 조미김 다발(L)을 궤도 운동으로 하나씩 운반하고, 제1 내지 제3센서(S1)(S2)(S3)의 조미김 다발(L) 위치 감지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컨트롤러(4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1전동기(110)의 작동이 정지되면 제1수납칸(C1)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L)의 운반을 중지한다.In other words, the
여기서 롤러 컨베이어(100)로는 여러 개의 롤러를 좁은 간격으로 나열하여 그 롤러 자체가 제1전동기(110)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 풀리 등의 동력전달장치나 전동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제1전동기(1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조미김 다발(L)을 자동으로 운반(loading)하는 통상의 동력식 구동 롤러 컨베이어 구조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Here, the
이외에도 롤러 내부에 소형모터와 감속기를 내장한 일명 파워 몰러(power moller)와 자유 롤러(free roller)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mploy a structure in which a power motor and a free roller in which a small-sized motor and a speed reducer are built in are disposed sequentially at regular intervals.
한편, 제1전동기(110)로는 컨트롤러(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양방향 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고, 컨트롤러(400)의 제어 신호에 따른 전압 입력을 회전각으로 바꾸어 정지 및 반전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서보 모터나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스텝 모터를 채용할 수도 있으며, 그밖에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구동에 필요한 힘으로 출력하도록 조절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기어드 모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적치 컨베이어>≪ Chute conveyor >
적치 컨베이어(200)는 롤러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동하는 조미김 다발(L)을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임시로 한쪽에 개별 단위(조미김 다발 별)로 모아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조미김 다발(L)을 하나씩 롤러 컨베이어(100)의 위에 내려놓는 역할을 한다.The picked-up
즉, 적치 컨베이어(200)는 형강이나 봉재 등의 프레임을 마치 작업대 형태로 결합하여 골격을 이루는 베드(bed)에 의해 지지된 채로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이 시작되는 부분 옆쪽에 제1수납칸(C1)과 일직선상으로 인접 및 연결 설치되어 있고, 제2전동기(220)의 구동에 의해 한 스텝씩 작동하여 일정한 거리를 자동으로 순환하는 다수 개의 패들(210)이 롤러 컨베이어(100)의 롤러들 사이 틈을 통해 승강하면서 제1수납칸(C1)에서 나와 롤러 컨베이어(100)의 한쪽 위에 올려 놓이는 조미김 다발(L)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려서 개별 단위로 모아두거나 그 개별 단위로 모아 둔 조미김 다발(L)을 하나씩 롤러 컨베이어(100)의 위에 내려놓도록 이루어져 있다.That is, the
다시 말해, 적치 컨베이어(200)는 컨트롤러(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제2전동기(220)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궤도 운동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는 여러 개의 패들(210) 위에 조미김 다발(L)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로딩(loading)하여 모아두거나 롤러 컨베이어(100) 위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내려놓아 이송 컨베이어(F) 쪽으로 언로딩(unliading)하여 보낸다.In other words, the
여기서 적치 컨베이어(200)는 제2전동기(220)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 풀리 등의 동력전달장치나 전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감아 걸어 상호 연결하면서 순환 운동하는 슬래트 및 이 슬래트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마치 포크처럼 고정된 패들(210) 등으로 이루어져 제2전동기(200)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운반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슬래트와 패들(210)을 동시에 순환시키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전동식 슬래트 컨베이어 구조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Here, the laying
그리고 적치 컨베이어(200)에는 그 위에 일정한 개수 이상으로 모이는 조미김 다발(L)을 감지하는 제4센서(S4)가 장착되어 있다.The
즉, 제4센서(S4)의 기준 개수를 초과하는 조미김 다발(L) 감지 신호에 따라 컨트롤러(400)는 조미김 다발을 카운트하여 적치 컨베이어(200)가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That is, the
여기서 적치 컨베이어(200)의 한 스텝 작동에 필요한 이동거리는 컨트롤러(400)가 제2전동기(220)의 구동 및 회전비를 제어함으로써 한 스텝씩, 즉 조미김 다발(L)을 하나씩 들어올리도록 구현할 수 있다.Here, the moving distance required for one step operation of the stepped
또한, 적치 컨베이어(200)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양쪽 가장자리에는 조미김 다발(L)이 이동 중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가드(미부호)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derailment prevention guard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seasoning laminas L from being released during movement may be provided at both edges of the
한편, 제2전동기(220)로는 컨트롤러(400)의 제어 신호에 따른 전압 입력을 회전각으로 바꾸어 정지 및 반전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서보 모터나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스텝 모터를 채용할 수 있고, 그밖에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구동에 필요한 힘으로 출력하도록 조절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기어드 모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econd
<푸셔 <Pusher 피더Feeder >>
푸셔 피더(300)는 제2수납칸(C2)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L)을 롤러 컨베이어(100)를 가로질러 이송 컨베이어(F)로 밀어서 옮기거나, 설치공간 상의 이유로 롤러 컨베이어(100)가 길게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제2수납칸(C2)와 이송 컨베이어(F)가 롤러 컨베이어(100)를 사이에 두고 일직선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수납칸(C1)이나 제2수납칸(C2) 또는 적치 컨베이어(200)에서 나와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이 끝나는 부분 위로 옮겨진 조미김 다발(L)을 밀어서 이송 컨베이어(F) 위로 옮기는 역할을 한다.The
즉, 푸셔 피더(300)는 롤러 컨베이어(100)의 위에 놓인 조미김 다발(L)을 이송 컨베이어(F)로 밀어내어 운반하기 위해 형강이나 봉재 등의 프레임에 의해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이 끝나는 부분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That is, the
구체적으로 푸셔 피더(300)는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이 끝나는 부분 위에 위치하는 조미김 다발(L)의 한쪽 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개(310)와,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한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밀개(310)를 승강시키는 승강 액추에이터(320)와,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한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승강 액추에이터(320)가 장착된 슬라이드(331)를 수평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시키는 푸셔 액추에이터(330) 및 슬라이드(331)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즉, 푸셔 피더(300)는 컨트롤러(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승강 액추에이터(320)와 푸셔 액추에이터(330)의 승강 및 전후진 운동에 의해 그 승강 액추에이터(32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밀개(310)가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이 끝나는 부분 위에 놓인 조미김 다발(L)을 이송 컨베이어(F) 위로 밀어낸다.That is, the
여기서 밀개(310)의 승강 및 전후진 작동을 위한 승강 액추에이터(320)와 푸셔 액추에이터(330)로는 무로드 공압 실린더(pneumatic rodless cylinder)를 채용할 수 있다. 즉, 영구자석의 자력과 공압을 이용하여 슬라이드(331)가 가이드 레일(340)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a pneumatic rodless cylinder may be employed as the lifting
이외에도 컨트롤러(400)가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실린더(푸시 로더, 피스톤 또는 플런저)를 가동시키면 전후진 또는 승강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유압모터나 유압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에너지와 제어 신호를 기계적인 일로 변환하는 장치) 기구 및 장치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한편, 이송 컨베이어(F)는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 방향 끝부분에 인접 설치되어 그로부터 전달받은 조미김 다발(L)을 포장, 절단 등의 후속 공정을 위한 작업라인으로 옮겨 나른다.Meanwhile, the conveying conveyor F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conveying direction end portion of the
여기서 이송 컨베이어(F)는 다수의 캐리어나 혹은 패들 등이 체인전동기구 등과 같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조미김 다발(L)을 밀어서 일정한 속도 및 간격으로 이송하는 공지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Here, the conveying conveyor F includes a known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arriers, paddles, etc. are mounted at a constant interval to a means for providing a rotational power, such as a chain transmission mechanism, and the seasoning rope L is transported at a constant speed and interval Can be adopted.
또한, 이송 컨베이어(F)와 적치 컨베이어(200) 및 푸셔 피더(300)의 설치 위치는 장치의 설치 공간의 여건이나 작업 공간의 부족 및 활용 등을 위한 필요나 선택에 따라 서로 뒤바꿔서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서, 적치 컨베이어(200)를 계수기(C)의 제2수납칸(C2)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이송 컨베이어(F)를 계수기(C)의 제1수납칸(C1)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후, 제1전동기(1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계수기(C)의 제1 및 제2수납칸(C1)(C2)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L)을 순차적으로 이송 컨베이어(F)로 옮겨 나를 수도 있다.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veying conveyor F, the laying
아울러 적치 컨베이어(200)를 계수기(C)의 제2수납칸(C2)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롤러 컨베이어(100)의 길이를 연장하여 그 이송 방향 끝부분에 이송 컨베이어(F)를 인접 설치함으로써 계수기의 제1 및 제2수납칸(C1)(C2)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L)을 순차적으로 이송 컨베이어(F)로 옮겨 나를 수도 있다.The
<컨트롤러><Controller>
컨트롤러(400)는 전원 및 동작 제어 등을 위한 스위치 개폐 신호 및 제1 내지 제4센서(S1)(S2)(S3)(S4)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를 각각 수신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입력된 설정 프로그램에 의해 제1 및 제2전동기(110)(220)와 스토퍼 액추에이터(130), 승강 액추에이터(320), 푸셔 액추에이터(330)의 유기적이고 순차적인 작동과 함께 전반적인 가동을 설정 및 제어한다.The
구체적으로 컨트롤러(400)는 제1 내지 제3센서(S1)(S2)(S3)로부터 롤러 컨베이어(100) 및 이송 컨베이어(F) 위에 놓인 조미김 다발(L) 각각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제1전동기(110)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롤러 컨베이어(100)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이 시작되는 부분 위에 놓인 조미김 다발(L)을 적치 컨베이어(200)에 올리어 모으도록 제2전동기(220)의 구동부를 정회전 제어하여 롤러 컨베이어(100)의 롤러들 사이를 통과하는 적치 컨베이어의 패들(210)을 한 스텝 상승 작동시킨다.Specifically, when there is a detection signal from each of the first to third sensors S1, S2, and S3 on the
그리고 제2 및 제3센서(S2)(S3)의 조미김 다발(L) 감지 신호가 없으면, 적치 컨베이어(200)에 모인 조미김 다발(L)을 원래대로 롤러 컨베이어(100) 위에 올려놓도록 제2전동기(220)의 구동부를 역회전 제어하여 적치 컨베이어의 패들(210)을 한 스텝 하강 작동시킨다.If there is no signal for detecting the seasoning streak L of the second and third sensors S2 and S3, the seasoning staple bundle L collected on the stacking
그리고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 방향 끝 부분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L)을 감지하는 제2센서(S2)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푸셔 피더의 승강 액추에이터(320) 및 푸셔 액추에이터(330)의 신장 및 수축 작용을 제어하여 밀개(310)가 조미김 다발(L)을 롤러 컨베이어(100)를 가로질러 이송 컨베이어(F) 위로 밀어서 옮긴 후 원래대로 복귀하도록 한다.If there i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ensor S2 detecting the seasoning bundle L positioned at the end portion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그리고 이송 컨베이어(F)의 이송이 시작되는 부분 위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L)을 감지하는 제3센서(S3)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푸셔 피더(300)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제어한다.If there is a detection signal of the third sensor S3 sensing the seasoning bundle L positioned on the portion where the conveyance of the conveyance conveyor F is started, the operation of the
또한,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이 시작되는 부분 위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L)을 감지하는 제1센서(S1)의 감지 신호가 없으면, 제1전동기(110)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롤러 컨베이어(100)를 정지시킨다. If there is no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S1 detecting the seasoning bundle L positioned on the portion where the conveyance of the
또한, 제4센서(S4)로부터 적치 컨베이어(200)에 일정 개수 이상의 조미김 다발(L)을 감지하는 신호가 있으면, 제2전동기(220)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롤러 컨베이어(100) 위에 놓인 조미김 다발(L)을 더는 들어올리지 못하도록 적치 컨베이어(200)를 정지시킨다.If there is a signal from the fourth sensor S4 to sense the seasoning staple bundle L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on the stacking
이때, 제4센서(S4)가 컨트롤러(400)에 보내는 신호는 1차 신호와 2차 신호로 구분하여 보냄으로써 1차 신호 발생 시에는 컨트롤러(400)가 적치 컨베이어(200)에 모인 조미김 다발(L)이 적치 한도 및 한계에 다다랐음을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나 혹은 청각적으로 경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2차 신호 발생 시에는 컨트롤러(400)가 제2전동기(220)의 구동을 강제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gnal sent from the fourth sensor S4 to the
아울러 제2 및 제3센서(S2)(S3)로부터 롤러 컨베이어(100)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L)과 이송 컨베이어(F)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각각 감지하는 신호가 있으면, 제1전동기(110)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롤러 컨베이어(100)의 구동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미김 다발(L)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후 제1센서(S1)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롤러 컨베이어(100)의 위에 놓인 조미김 다발(L)을 적치 컨베이어(200)에 올리어 모으도록 제2전동기(220)의 구동부를 정회전 제어하여 롤러 컨베이어(100)의 롤러들 사이를 통과하는 적치 컨베이어의 패들(210)을 한 스텝 상승 작동시킬 수도 있다.If there is a signal for sensing the seasoning bundle L positioned on the
여기서 컨트롤러(400)는 롤러 컨베이어(100), 적치 컨베이어(200), 푸셔 피더(300) 등의 이송 속도 및 이송을 위한 회전비와, 순환 이동거리,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종합하여 각 구성요소 간의 작동 간섭이나 충돌없이 유기적으로 번갈아서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설정 및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작동 및 연동관계는 전기적인 시퀀스에 의해 간단하게 응용 및 제어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한편, 제1 내지 제4센서(S1)(S2)(S3)(S4)로는 검출코일에 물체가 접근하면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검출코일에 접속된 발진회로의 발진 주파수나 발진 진폭이 변화하면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고주파 발진형 혹은 도체 전극을 가진 검출부에 피검지 물체가 접근하면 센서 부분의 정전용량이 크게 변화하는 현상을 이용한 정전용량형 혹은 물체가 근접한 것을 비접촉으로 감지하여 그 위치를 검출하는 광섬유 근접센서 또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대향시켜 투과광을 검지하는 포토 센서 등을 채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bject approaches the detection coil, the oscillation frequency and the oscillation amplitude of the oscilla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detection coil are changed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action with the first to fourth sensors S1, S2, S3, and S4, A capacitance type us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capacitance of the sensor portion greatly changes when the object to be detected approaches the detection portion having a high-frequency oscillation type or conductor electrode in which the operation is performed, or an optical fiber proximity sensor A sensor or a photosensor that detects transmitted light by oppos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can be employed.
<작용 및 작동원리><Operation and Principle of Oper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의 주요 작용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ain ope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automatic seasoning and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the lunch box steam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수기(C)의 제1 및 제2수납칸(C1)(C2)에서 여러 장이 쌓여 다발 형태로 각각 나오는 조미김 다발(L)은 그 내부의 자체 송급 작용 및 작동에 의해 계수기(C)에서 자연스럽게 배출되어 롤러 컨베이어(100) 위로 운반되고, 이를 제1 및 제2센서(S1)(S2)가 감지하면 컨트롤러(400)로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를 각각 전송한다.First, as shown in FIG. 11, a seasoning steaming bundle L, in which a plurality of sheets are stacked in a bundle form in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compartments C1 and C2 of the counter C, When the first and the second sensors S1 and S2 sense the sheet S and the sheet S is conveyed onto the
이때, 컨트롤러(400)는 스토퍼 액추에이터(130)의 작동을 제어하여 그 상단의 스토퍼가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 방향 끝부분 위에 놓이는 조미김 다발(L)이 제2수납칸(C2)에서 토출될 때의 관성에 의해 롤러 컨베이어(100)를 벗어나서 이송 컨베이어(F) 쪽으로 옮겨가지 못하도록 가로막는다.At this time, the
계속해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센서(S1)(S2)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가 동시에 있으면 컨트롤러(400)는 제1 및 제2전동기(110)(220)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롤러 컨베이어(100)의 작동은 정지시키고, 적치 컨베이어(200)는 한 스텝씩 상승하도록 정회전 작동시켜 그에 장착된 마치 포크 모양의 한 쌍의 패들(210)이 롤러 컨베이어(100)의 롤러들 사이 틈을 통과하면서 그 위에 위치되어 있는 조미김 다발(L)을 들어올려서 개별 단위로 임시 보관한다.12 and 13, when the position sensing signal of the seasoning steaming bundle L is simultaneously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S1 and S2, the
이와 동시에 제3센서(S3)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가 없으면 스토퍼 액추에이터(130)의 작동을 제어하여 그 상단의 스토퍼가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 방향 끝부분 위에 놓인 조미김 다발(L)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고, 승강 액추에이터(320) 및 푸셔 액추에이터(330)의 작동을 제어하여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 방향 끝부분 위에 놓인 조미김 다발(L)을 밀개(310)로 밀어서 후속 공정 작업라인을 향하는 이송 컨베이어(F) 위로 바로 운반한다.At the same time, if there is no position sensing signal from the third sensor S3, the operation of the
이 과정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센서(S2)로부터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 방향 끝부분 위에 놓인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가 없으면 컨트롤러(400)는 제1 및 제2전동기(110)(220)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롤러 컨베이어(100)를 작동시키고, 아울러 적치 컨베이어(200)가 한 스텝씩 하강하도록 역회전 작동시켜 패들(210)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의 조미김 다발(L)을 롤러 컨베이어(100)의 위에 내려놓는다.14, when there is no position detection signal of the seasoning bundle L placed on the end portion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즉, 적치 컨베이어(200)에 의해 제1수납칸(C1)에서 나온 조미김 다발(L)의 이동 완급을 조절 및 이송을 대기시키다가 제2센서(S2)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가 없으면 다시 제1 및 제2전동기(110)(220)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적치 컨베이어(200)의 조미김 다발(L)을 롤러 컨베이어(120)의 위에 자연스럽게 내려와 놓음과 동시에 롤러 컨베이어(100)의 이송 방향 끝부분으로 하나씩 운반한다.That is, the control of the movement and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seasoning roots L from the first compartment C1 is carried out by the
이때, 제4센서(S4)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적층 한도가 임박함을 알리는 1차 신호가 있으면 컨트롤러(400)는 1차로 알람음 등을 제어하여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경고하고, 이후 제4센서(S4)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적층 한도를 초과하는 감지 신호가 있으면 컨트롤러(400)는 제1 및 제2센서(S1)(S2)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가 있더라도 제1 및 제2전동기(110)(220)의 구동부 작동을 구속함으로써 적치 컨베이어(200) 위에 모인 조미김 다발(L)이 궤도의 한도를 넘어서 뒤집히거나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이상 작동이 발생하기 전에 작업자 및 관리자가 적절히 대응하여 조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re is a primary signal from the fourth sensor S4 indicating that the stacking limit of the seasoning bundle L is imminent, the
이처럼 순차적인 제어와 작동을 반복적으로 자동 수행함으로써 계수기(C)의 제1 및 제2수납칸(C1)(C2)에서 각각 계수하여 여러 장을 층층이 쌓아 토출하는 조미김 다발(L)을 번갈아서 운반할 수 있어 끊김 없이 이송 컨베이어(F)로 일정한 속도 및 간격으로 원활하게 송급할 수 있다.By repeating the sequential control and the operation repeatedly,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C1) and (C2) of the counter C are counted respectively, and the seasoning bundle L for stacking and discharging several sheets is transported alternately The conveyor (F) can feed smoothly at a constant speed and interval.
따라서 계수기(C)에서 계수하여 여러 장을 층층이 쌓은 조미김 다발(L)을 포장이나 절단 등의 후속 공정을 위한 작업라인으로 이송하는 대량 작업에 따른 작업능률을 크게 높이고 노동력과 시간을 줄여 원가 절감은 물론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labor costs and labor by greatly increasing work efficiency due to the massive work of transferring the seasoned roasted bundle (L), which is counted by the counter (C), to a work line for subsequent processing such as packaging and cutting As well as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r constructions. Variou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롤러 컨베이어 110: 제1전동기
120: 펜스 130: 스토퍼 액추에이터
200: 적치 컨베이어 210: 패들
220: 제2전동기 300: 푸셔 피더
310: 밀개 320: 승강 액추에이터
330: 푸셔 액추에이터 331: 슬라이드
340: 가이드 레일 400: 컨트롤러
L: 조미김 다발100: roller conveyor 110: first motor
120: Fence 130: Stopper actuator
200: chute conveyor 210: paddle
220: second electric motor 300: pusher feeder
310: tightness 320: lift actuator
330: pusher actuator 331: slide
340: guide rail 400: controller
L: Seasoned steak
Claims (6)
상기 제1 및 제2수납칸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을 전달받거나 조미김 다발의 이동 방향을 90도 전환 시켜서 일정한 거리 사이를 자동으로 옮겨 나르는 롤러 컨베이어;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하는 조미김 다발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센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하는 조미김 다발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3센서;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이송이 시작되는 부분 한쪽에 상기 제1 및 제2수납칸 중 어느 하나와 일직선상으로 연결 설치되고, 일정한 거리를 자동으로 순환하는 다수 개의 패들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들 사이를 통해 승강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수납칸 중 어느 하나에서 나와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한쪽 위에 올려 놓이는 조미김 다발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려서 개별 단위로 모아두거나 그 개별 단위로 모아 둔 조미김 다발을 하나씩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위에 내려놓는 적치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와 일직선이 되는 부분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치 컨베이어, 상기 제1 및 제2수납칸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을 밀개로 밀어서 상기 롤러 컨베이어를 가로질러 상기 이송 컨베이어 위로 옮기는 푸셔 피더; 및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전동기와 상기 푸셔 피더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
A counter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for counting and stacking a plurality of seasonings and discharging them in the form of a bundle; and a conveying conveyor for conveying the seasoned and seasoned seasoning bundle in the counted and laminated state to a working line for processing lunch, The automatic automatic seasoning device for a lunch box steam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A roller conveyor that receives the seasoning bundle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or automatically shifts a predetermined distance by switch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asoning bundle by 90 degrees;
First and second sensor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easoning bundle moved by the roller conveyor;
A third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easoning bundle moved by the conveying conveyor;
A plurality of paddles, which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and which are automatically circul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raised and lowered between the rollers of the roller conveyor The seasoning bundles that come out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vat receptacles and are placed on one side of the roller conveyor are selectively lifted and collected in individual units or the seasoning bundles gathered in the individual units are stacked one by one on the roller conveyor A laying conveyor for laying down;
A pusher feed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veying conveyor and aligned with the conveying conveyor, the pusher feeder pushing the stack conveyor, the seasoning bundle com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by a mill, and moving the conveyor across the conveying convey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motors and the pusher feeder according to signals of the first to third sensors;
Automatic automatic supply of seasoning for lunch processing.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롤러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과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각각 감지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이송이 시작되는 부분 위에 놓인 조미김 다발을 상기 적치 컨베이어에 올리어 모으도록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들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적치 컨베이어의 패들을 한 스텝 상승 작동시키고, 상기 제2 및 제3센서의 감지 신호가 없으면 상기 적치 컨베이어에 모인 조미김 다발을 상기 롤러 컨베이어 위에 올려놓도록 상기 적치 컨베이어의 패들을 한 스텝 하강 작동시키며,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 끝 부분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감지하는 상기 제2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푸셔 피더의 밀개가 조미김 다발을 상기 롤러 컨베이어를 가로질러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 밀어서 옮긴 후 원래대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이 시작되는 부분 위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감지하는 상기 제3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푸셔 피더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may stop driving the roller conveyor if there is a sense signal from the first to third sensors for detecting a seasoning bundle positioned on the roller conveyor and a seasoning bundle positioned on the conveying conveyor, The steps of raising the paddles of the stack conveyor passing between the rollers of the roller conveyor so as to raise and collect the seasoning bundle placed on the portion where the conveyance of the roller conveyor is started up, If there is no detection signal from the third sensor, the paddles of the rack conveyor are lowered by one step so as to put a seasoning rope gathered on the rack conveyor on the roller conveyor, If there is a detection signal of the second sensor for detecting the pusher feede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eturning unit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the dog pushes the seasoning rack across the roller conveyor with the conveying conveyor and detects the seasoning bundle placed on the portion where the conveyance of the conveying conveyor start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usher feeder to be temporarily stopped.
상기 적치 컨베이어의 위에 일정한 개수 이상으로 모이는 조미김 다발을 감지하는 제4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4센서의 신호에 따라 조미김 다발의 개수가 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적치 컨베이어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ourth sensor for detecting a seasoning bundle gathered on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of the stacking conveyor;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controller stops operation of the stepped conveyor so that the number of seasoning streaks does not exceed a reference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fourth sensor.
상기 푸셔 피더는,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이송이 끝나는 부분 위에 위치하는 조미김 다발의 한쪽 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개;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밀개를 승강시키는 승강 액추에이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강 액추에이터가 장착된 슬라이드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푸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는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usher feeder may include a seal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asoning bundle positioned on a portion where the conveyance of the roller conveyor ends;
An elevating actuator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se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 pusher actuator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slide mounted with the lift actua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lide;
Automatic supply of seasoning steaming for lunch processing.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수납칸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이 상기 롤러 컨베이어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펜스; 및
상기 롤러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 사이에 장착되고, 신장 및 수축 작용에 의한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수납칸에서 나오는 조미김 다발이 상기 롤러 컨베이어 위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로 옮겨가지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스토퍼 액추에이터;
를 더 포함하는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fence that is fixed to both edges of the roller conveyor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prevents a seasoning bundle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from being deviated from the roller conveyor; And
A stopper actuator mounted between the roller conveyor and the conveying conveyor and selectively blocking the seasoning bundle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from moving from the roller conveyor to the conveying conveyor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by the elongating and contracting action, ;
The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seasoning kimchi for lunch.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롤러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과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각각 감지하는 상기 제2 및 제3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미김 다발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센서로부터 조미김 다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위에 놓인 조미김 다발을 상기 적치 컨베이어에 올리어 모으도록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들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적치 컨베이어의 패들을 한 스텝 상승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ing of the roller conveyor in a reverse direction when there is a sense signal of the second and third sensors for sensing a seasoning bundle positioned on the roller conveyor and a seasoning bundle positioned on the conveying convey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llers of the roller conveyor so as to collect the seasoning bundle placed on the roller conveyor on the rack conveyor if there is a sense signal of the seasoning straw bundle from the first sensor after the seasoning rack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paddles of the rack conveyor passing through the stepping motor are moved up by one ste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8650A KR101922513B1 (en) | 2017-11-09 | 2017-11-09 | Automatic feeder of seasoned la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8650A KR101922513B1 (en) | 2017-11-09 | 2017-11-09 | Automatic feeder of seasoned lav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2513B1 true KR101922513B1 (en) | 2018-11-28 |
Family
ID=6456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8650A Active KR101922513B1 (en) | 2017-11-09 | 2017-11-09 | Automatic feeder of seasoned lav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251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34337A (en) * | 2018-12-19 | 2019-03-08 | 浙江大学自贡创新中心 | A kind of feeding device when the beam welding for carrier roller of belt conveyer |
CN111226571A (en) * | 2020-04-07 | 2020-06-05 | 石河子大学 | A device for removing impurities and quantitative feeding of reed |
KR20210147617A (en) | 2020-05-29 | 2021-12-07 |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 Automatic feeder of roasted laver |
CN114084650A (en) * | 2021-11-22 | 2022-02-25 | 广东智造二零四九科技有限公司 | Automatic interval feeding machin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380B1 (en) | 2011-03-07 | 2012-01-06 | 김기문 | Gold counter |
KR101565217B1 (en) | 2013-07-20 | 2015-11-02 | 강신탁 | Automatic system for producing seasoned laver |
KR101762814B1 (en) | 2016-03-11 | 2017-07-28 |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 Overhead equipment of seasoned laver |
-
2017
- 2017-11-09 KR KR1020170148650A patent/KR10192251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380B1 (en) | 2011-03-07 | 2012-01-06 | 김기문 | Gold counter |
KR101565217B1 (en) | 2013-07-20 | 2015-11-02 | 강신탁 | Automatic system for producing seasoned laver |
KR101762814B1 (en) | 2016-03-11 | 2017-07-28 |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 Overhead equipment of seasoned laver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34337A (en) * | 2018-12-19 | 2019-03-08 | 浙江大学自贡创新中心 | A kind of feeding device when the beam welding for carrier roller of belt conveyer |
CN109434337B (en) * | 2018-12-19 | 2024-03-29 | 浙江大学自贡创新中心 | Feeding device used for welding carrier roller cross beams of belt conveyor |
CN111226571A (en) * | 2020-04-07 | 2020-06-05 | 石河子大学 | A device for removing impurities and quantitative feeding of reed |
KR20210147617A (en) | 2020-05-29 | 2021-12-07 |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 Automatic feeder of roasted laver |
CN114084650A (en) * | 2021-11-22 | 2022-02-25 | 广东智造二零四九科技有限公司 | Automatic interval feeding machine |
CN114084650B (en) * | 2021-11-22 | 2024-01-12 | 广东智造二零四九科技有限公司 | Automatic interval feeding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2513B1 (en) | Automatic feeder of seasoned laver | |
US3688920A (en) | Palletizing apparatus | |
CN109693944B (en) | Automatic keel packaging and stacking equipment and method | |
US3770143A (en) | Apparatus for transferring trays between a conveyor system and a stack | |
US4082194A (en) | Self-contained pallet-elevating bag palletizer | |
US4354786A (en) | Apparatus for stacking containers on a pallet | |
US622042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tems from a conveyor | |
US10583998B2 (en) | Egg tray stacking machine | |
KR101762814B1 (en) | Overhead equipment of seasoned laver | |
US4599025A (en) | Stacker assembly | |
US4397599A (en) | Descending accumulator for automatic case packer | |
EP0790201B1 (en) | High speed panel stacking system | |
US6328153B1 (en) | Device for feeding layers of objects to a palletizing plant | |
US5794756A (en) | Article conveyor and collator system and method | |
CN113401628A (en) | Rectification and stacking integrated conveying device for box-shaped goods and rectification and stacking method thereof | |
US4655663A (en) | Machine for stacking bundles of signatures and like products | |
KR102491686B1 (en) | Automatic feeder of roasted laver | |
KR20130061585A (en) | Appartus for containing anchovy | |
US3263829A (en) | Article handling apparatus | |
WO2016147105A1 (en) | Buffer for manufacturing line | |
US20120216490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stackable articles | |
US4618055A (en) | Collator section of lasagna packer | |
US6349815B1 (en) | In-line stacker machine for stacking cookies | |
WO2002066348A1 (en) | Bale stacker | |
CN219858947U (en) | Feeding bin with lifting groove depth adjusting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