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946B1 - Accommodation uni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case - Google Patents
Accommodation uni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ca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1946B1 KR101921946B1 KR1020110099412A KR20110099412A KR101921946B1 KR 101921946 B1 KR101921946 B1 KR 101921946B1 KR 1020110099412 A KR1020110099412 A KR 1020110099412A KR 20110099412 A KR20110099412 A KR 20110099412A KR 101921946 B1 KR101921946 B1 KR 1019219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portable electronic
- receiving
- input unit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5641 tunne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126062 Compound A Drugs 0.000 claims 1
- NLDMNSXOCDLTTB-UHFFFAOYSA-N Heterophylliin A Natural products O1C2COC(=O)C3=CC(O)=C(O)C(O)=C3C3=C(O)C(O)=C(O)C=C3C(=O)OC2C(OC(=O)C=2C=C(O)C(O)=C(O)C=2)C(O)C1OC(=O)C1=CC(O)=C(O)C(O)=C1 NLDMNSXOCDLTTB-UHFFFAOYSA-N 0.000 claims 1
- IYHHRZBKXXKDDY-UHFFFAOYSA-N BI-605906 Chemical compound N=1C=2SC(C(N)=O)=C(N)C=2C(C(F)(F)CC)=CC=1N1CCC(S(C)(=O)=O)CC1 IYHHRZBKXXKDD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111 Fine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외부 일면에 형성되는 외부입력부; 및 상기 외부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외부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할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외부 일면에 형성되는 외부입력부; 및 상기 외부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외부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의 상기 수용부에 적어도 일면에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수용장치의 수용부에 안착되는 단계; 상기 수용장치의 연결부와 상기 휴대용전자기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수용장치의 외부 일면에 형성되는 외부입력부를 통해 신호를 받는 단계; 상기 신호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장치는 외부에 일면 이상 형성되는 입력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의 조작성을 향상할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조작함에 있어 표시부에 입력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상기 수용장치가 포함하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을 함으로써 상기 표시부를 가리지 않고 상기 전자기기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ceiving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 external input unit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And a conn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unit and transmitt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 external input unit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And a connection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unit and transmits a signal input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receiving unit includes a display unit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eing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receiving device;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ceiving a signal through an external input uni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ceiving apparatus for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the receiving apparatus includes an input section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apparatus,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an be controlled, thereby improving operability of the electronic apparatus .
Also,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on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input a user's command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out selecting the display unit by inputting through the operation unit included in the accommodation device.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와 상기 수용장치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ving apparatus for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n input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receiv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전자기기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터치를 통해 입력을 할 수 있는 입력부를 구비하게 된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includes an input unit capable of performing input through a touch.
이경우 입력을 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를 가릴 수 밖에 없게 되고 이는 디스플레이 되는 면적이 줄어드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In this case, in order to input, the display unit must be hidden, which has a disadvantage that the area to be displayed is reduced.
기존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의 경우 전자기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 시각적 미감 향상, 별도의 수납공간 제공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성형성 및 가공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한 플라스틱이나 마그네슘 소재를 사용한 수용장치가 이용되었다.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ceiving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has functions such as protecting from external impact, improving visual aesthetics, and providing a separate storage space. To this end, a receiving device using a plastic or magnesium material with good moldability and processability and low cost has been used.
다만 상기의 수용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면적이 줄어드는 점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play area can not be reduced even when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apparatus is used.
본 실시예의 목적은 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에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수용장치와 상기 수용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eiving apparatus capable of inputting a signal to the electronic apparatus through a receiving apparatus of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n input sectio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receiving apparatus.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외부 일면에 형성되는 외부입력부; 및 상기 외부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외부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할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The receiving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 external input unit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And a conn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unit and transmitt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외부 일면에 형성되는 외부입력부; 및 상기 외부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외부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의 상기 수용부에 적어도 일면에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수용장치의 수용부에 안착되는 단계; 상기 수용장치의 연결부와 상기 휴대용전자기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수용장치의 외부 일면에 형성되는 외부입력부를 통해 신호를 받는 단계; 상기 신호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 external input unit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And a connection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unit and transmits a signal input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receiving uni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eing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receiving device;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ceiving a signal through an external input uni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장치는 외부에 일면 이상 형성되는 입력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의 조작성을 향상할 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ceiving apparatus for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the receiving apparatus includes an input section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apparatus,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an be controlled, thereby improving operability of the electronic apparatus .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조작함에 있어 표시부에 입력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상기 수용장치가 포함하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을 함으로써 상기 표시부를 가리지 않고 상기 전자기기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Also,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on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input a user's command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out selecting the display unit by inputting through the operation unit included in the accommodation device.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수용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수용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은 양자터널링 화합물을 이용하는 터치센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전압분포도이다.
도 6은 양자터널링 화합물을 이용하는 터치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s slid and mounted.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5 is a voltage distribu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touch sensor method using a quantum tunneling compound.
6 is a view showing a touch sensor using a quantum tunneling compoun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히 설명한다.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부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riteria for the top or bottom of each component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mean the size actually appli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의 배면 사시도이고 ,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apparatus of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apparatus of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is inserted into a receiving device of the devic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07)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200)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 및 적어도 외부 일면에 형성되는 외부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상기 수용부(107)에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200)가 안착될 수 있다. So that the portable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전면에 디스플레이부(2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에 터치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기기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일면에 스피커부(20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일면에 기기입력부(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는 휴대용 전자기기(200)의 일면을 감쌀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20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구(103)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상기 휴대용전자기(200)은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 장착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시 제1가이드부(160) 및 제2가이드부(170)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가이드부(16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를 가리지 않게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의 정면 외주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200)가 상기 수용부(107)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1가이드부(160)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200)를 정면에서 지지하는 정면지지부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제2가이즈부(170)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200)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부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수용부(107)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배면에서 지지할 수 있는 배면지지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When the portable
실시예 이외에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20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200)의 3면 내지 5면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에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것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the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는 적어도 외부 일면에 형성되는 외부입력부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외부입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의 배면측에 형성되는 배면입력부(110)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입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입력부(12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의 정면과 배면 사이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입력부(12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면입력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input unit may include a back
상기 외부입력부는 상기 외부입력부에 가해지는 터치 또는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는 상용되는 정전용량방식, 압력감지식(저항식), 표면초음파방식, 적외선감지방식 또는 QTC방식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external input unit may include a touch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touch or a motion applied to the external input unit. The touch sensor may be one of a commonly used capacitive type, pressure sensitive (resistance type), surface ultrasonic type, infrared ray detection type, or QTC type.
정전용량방식의 터치 센서는 유리 양면에 투명한 특수 전도성 금속을 코팅하여 스크린 네 귀퉁이에 전압을 걸어주면 터치스크린 표면에 고주파가 퍼지게 되고 손가락 접촉시 변화된 고주파 파형을 분석하여 터치점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The capacitive touch sensor is coated with a transparent conductive metal on both sides of the glass.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four corners of the screen, the high frequency is spread on the touch screen surface and the touch point is recognized by analyzing the changed high frequency waveform when touching the finger.
압력감지식(저항식)의 터치 센서는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 판위에 저항성분의 물질을 입히고, 그 위에 절연성 필름을 덮어 씌운 형태로 되어 있으며, 두면이 서로 닿지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절연봉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태에서 저항성분 양단에 일정한 전류를 흘려주면 전압이 걸리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절연성 필름에 가압이 될 경우 상기 절연성 필름이 휘면서 저항값의 변화가 생기고 상기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점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Pressure sensitive (resistive) touch sensors are made by coating a resistive material on a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plate, and then covering the insulating film with the insulating film. When a constant current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resistance component in such a formed state, a voltage is applied. In this case, when the insulation film is pressed, the insulation film bends to change a resistance value, and a touch point is recognized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표면초음파방식은 음파를 발사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를 유리의 한쪽 귀퉁이에 부착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음파를 반사 시키는 리플렉터(Reflector)를 부착하며, 트랜스미터의 반대쪽에는 음파를 수신하는 리시버(Receiver)를 부착한다.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음파를 발사하면 상기 리플렉터는 일부를 반사시키고 일부를 통과시킨다. 상기 반사되는 음파가 수신되는 시간간격이 일정하게 된다. 이때 그 사이에 소리를 방해하는 물체가 있을 경우 상기 시간간격이 달라지므로 터치점을 인식할 수 있는 방식이다. In the surface ultrasonic method, a transmitter which emits a sound wave is attached to one corner of the glass, a reflector which reflects a sound wave at a regular interval is attached, and a receiver which receives a sound wave is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ransmitter do. When a sound wave is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the reflector reflects a part and passes a part thereof. The time interval at which the reflected sound waves are received becomes constant. At this time, when there is an object interfering with the sound, the time interval is changed, so that the touch point can be recognized.
적외선감지방식은 적외선 발광소자와 적외선 수광소자를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부재가 놓일 경우 상기 적외선이 차단됨으로써 터치점을 인식할 수 있는 입력방식이다. An infrared ray detection system is an input system in which an infrared ray emitting element and an infrared ray receiving element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member capable of blocking infrared rays is plac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QTC방식은 양자터널링 화합물(Quantum tunnelling composites)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에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The QTC scheme uses a quantum tunneling compoun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의 외부입력부에 포함되는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와 같은 형태의 입력방식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터치센서는 상기 외부입력부에 가해지는 터치 또는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included in the external input unit of the
상기 외부입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 외면중 1면 이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외면에 형성되는 외부입력부는 각 외부입력부에 입력되는 입력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측면입력부(120) 및 상기 배면입력부(110)에 동시에 터치 또는 움직임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입력을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external input unit may be formed on one or more surfac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연결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실시예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전자기기(200)과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unit may connec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the
유선 연결의 경우 상기 수용장치(100) 하측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케이블부(130)가 상기 전자기기(200)가 삽입되는 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연결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부(130)은 상기 전자기기(200)의 종류에 따라 변경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wired connection, the
상기 케이블부(130)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전력공급부(15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전자기기(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The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200)가 상기 케이블부(130)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부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입력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200)에 입력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200) 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에는 연결을 위해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다른 종류의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경우에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의 입력을 각기 다른 전자기기에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할 수 있다. When the portable
무선연결의 경우 와이파이(WIFI), 지그비 또는 불루투스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지원하는 방법에 따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연결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wireless connection, they can be connected using a method such as WiFi, ZigBee or Bluetooth, and they can be connected in various way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methods supported by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는 일면에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공급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15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부(130)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The
상기 전력공급부(150)는 리튬이온 등 상용 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부(130)를 통해 충전기(미도시)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는 외면 일면에 상기 전력공급부(150)에 잔여 전력을 표시할 수 있는 잔량표시부(미도시)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는 일면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형성되는 입력버튼(미도시)를 누를 수 있는 버튼돌출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돌출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형태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의 복수의 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receiving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는 일면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형성되는 카메라(미도시)를 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촬영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촬영구(14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특성에 따라 복수의 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receiving
실시예의 전자기기(200)는 적어도 일면에 기기입력부(205) 및 디스플레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입력부(205)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20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상기 기기입력부(205)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버튼형식, 터치스크린 및 기울기감지센서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울기감지센서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기울기(Tilt)센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기기입력부와 동일한 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200)의 일면을 가리지 않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n the same side as the device input unit. The receiving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00)에 형성되는 상기 외부입력부를 통해서도 사용자입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외부입력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외부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입력을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user input may be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formed in the receiving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입력부의 일면을 터치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can be enlarged or reduced while moving up and down with one surface of the external input unit being touched.
상기 외부입력부를 통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가리지 않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입력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외부입력부가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위치할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특징이다. And controll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input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gardless of the display unit form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is is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displayed when the external input unit is position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상기 입력을 받는 단계는 상기 기기입력부 및 상기 외부입력부에 동시에 사용자 입력을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receiving the input may include a step of simultaneously receiving a user input to the device input unit and the external input unit.
상기 기기입력부 및 상기 외부입력부를 통해 동시에 사용자입력을 받으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다양한 형태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외부입력부를 클릭한 상태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기울일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포함하는 기울기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확대 혹은 축소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기기입력부 및 상기 외부입력부에 동시에 사용자 입력을 받음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in various forms while simultaneously receiving user input through the device input unit and the external input unit.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tilted while the external input unit is clicked,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can be enlarged or reduced through a tilt sensor includ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in various ways by simultaneously receiving user inputs to the device input unit and the external input unit.
도 4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는 외부입력부를 통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신호입력부(310), 상기 신호입력부(310)로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에서 분석한 신호를 휴대용 전자기기로 송신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상기 연결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연결부(320) 및/또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유선연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어부(30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휴대용전자기기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공급부(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320)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유선연결부(330)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되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The receiving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전력공급부(320)는 상기 유선연결부(330)에 외부전원이 연결해서 충전될 수 있다. The
도 5은 양자터널링 화합물을 이용하는 터치센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전압분포도이다. 도 6은 양자터널링 화합물을 이용하는 터치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oltage distribu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touch sensor method using a quantum tunneling compound. 6 is a view showing a touch sensor using a quantum tunneling compoun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양자터널링 화합물(Quantum Tunneling Composite)을 이용한 터치센서 방식은 양자터널링 화합물(115)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전극들(111, 112)이 대향될 수 있다. 이때, 두 전극들(111, 112)에 전압이 인가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양자 터널링 화합물(115)이 가압될 경우 상기 화합물층(115)의 두께가 얇아지고 전자가 터널링 현상을 통해 상기 화합물층(115)을 통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in the touch sensor method using a quantum tunneling compound, two
상기 양자 터널링 화합물(115)은 금속 및 비전도성 탄성 바인더의 화합물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양자 터널링 화합물(115)은 미세한 금속 입자들(114) 및 비전도성 탄성 바인더(113)의 화합물일 수 있다.The
이와 같은 양자터널링 화합물을 이용한 터치센서는 가압의 정도에 따라 터널링되는 전자의 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압력에 따른 입력의 정도를 감지할 수 있고, 입력이 없는 경우 전압이 걸려있고 전류를 흐르지 않으므로 전력소모가 적은 특징이 있다. Since the touch sensor using the quantum tunneling compound can control the number of electrons tunnel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ing,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degree of the input according to the pressure. When there is no input, the voltage is applied and the current does not flow. .
또한 상기와 같은 양자터널링 화합물을 이용한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터치센서와 다르게 플렉서블(flexible)한 센서를 만들 수 있고, 기존과 다른 부드러운 재질의 입력센서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lso, by using the sensor using the quantum tunneling compoun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ke a flexible sensor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touch sensor and to make an input sensor of a soft material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00 :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 103 : 삽입구
110 : 배면입력부 120 : 측면입력부
130 : 케이블부 150 : 전력공급부100: receiving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3:
110: backside input unit 120: side input unit
130: Cable section 150: Power supply section
Claims (16)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외부 일면에 형성되는 외부입력부; 및
상기 수용부 내부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일면에 개방된 삽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둘레를 감싸는 정면지지부;
상기 정면지지부와 대향하는 배면지지부; 및
상기 정면지지부 및 상기 배면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입력부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며 외부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배면지지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배면입력부; 및
상기 측면지지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측면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버튼, 터치스크린,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입력부 및 상기 기기입력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명령을 입력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display portion;
An external input unit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And
And a connection unit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uni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unit and transmits a signal input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port opened on one surface thereof,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facing the insertion port toward the insertion port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front support part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part;
A rear surface supporting portion facing the front surface supporting portion; And
And a side support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front support portion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Wherein the external input unit includes a touch sensor and detects an external touch input,
A back surface input uni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ck surface supporting unit; And
And a side input portion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id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device input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utton, a touch screen,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tilt sensor,
And a command is input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and the device input unit.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정면지지부 및 상기 측면지지부에 가이드되어 상기 수용부 내로 슬라이딩 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port and guided by the front support portion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to slide into the accommodation portion.
상기 외부입력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input unit receives power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unit.
상기 수용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를 둘러싸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commodating portion surrounds the ca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수용부는 하면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입력부는 상기 하면지지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하부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lower surface supporting portion,
Wherein the external input unit further includes a lower input uni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supporting unit.
상기 배면입력부 및 상기 측면입력부를 통해 동시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mand input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through the rear surface input unit and the side input unit.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자기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수용장치의 일면에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wer supply unit locat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device and capable of supplying power.
상기 외부입력부는,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전극들; 및
상기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는 양자터널링 화합물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input unit comprises:
Two electrodes facing each other; And
And a quantum tunneling compound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s.
상기 양자터널링 화합물은
탄성을 가지는 비전도성 바인더; 및
상기 바인더 내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금속 입자들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용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quantum tunneling compound
A nonconductive binder having elasticity; And
And a plurality of metal particles disposed in the binder.
상기 수용장치의 연결부와 상기 휴대용전자기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수용장치의 외부 일면에 형성되는 상기 외부입력부를 통해 신호를 받는 단계;
상기 신호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안착되는 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 개방된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둘레를 감싸는 정면지지부;
상기 정면지지부와 대향하는 배면지지부; 및
상기 정면지지부 및 상기 배면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입력부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며 외부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배면지지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배면입력부; 및
상기 측면지지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측면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버튼, 터치스크린,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기울기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입력부 및 상기 기기입력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명령을 입력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제어방법.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 external input unit formed 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And a connection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part and transmitting a signal inputted through the external input part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ceiving a signal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inserted through an insertion opening opened on on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facing the insertion port toward the insertion port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front support part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part;
A rear surface supporting portion facing the front surface supporting portion; And
And a side support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front support portion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Wherein the external input unit includes a touch sensor and detects an external touch input,
A back surface input uni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ck surface supporting unit; And
And a side input portion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id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device input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utton, a touch screen,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tilt detection sensor,
And inputting a comman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and the device input unit.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직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직접 입력된 신호와 상기 외부입력부에 입력된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directly inputting a signal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combining the direct input signal and a signal input to the external input unit.
상기 직접 입력되는 신호는 상기 기울기감지센서가 감지하는 기울기 입력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제어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irect input signal includes a tilt input sensed by the tilt sens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9412A KR101921946B1 (en) | 2011-09-29 | 2011-09-29 | Accommodation uni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ca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9412A KR101921946B1 (en) | 2011-09-29 | 2011-09-29 | Accommodation uni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ca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5135A KR20130035135A (en) | 2013-04-08 |
KR101921946B1 true KR101921946B1 (en) | 2018-11-27 |
Family
ID=4843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9412A Active KR101921946B1 (en) | 2011-09-29 | 2011-09-29 | Accommodation uni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ca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194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2205B1 (en) * | 2006-03-16 | 2007-05-29 | 주식회사 팬택 | Case for personal handset with user interfa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3448B1 (en) * | 2002-02-18 | 2004-05-31 | 유니온정보기술 주식회사 | PDA case |
KR100634530B1 (en) * | 2004-10-05 | 2006-10-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and function selection by combining user's key input and motion |
KR100664949B1 (en) * | 2005-10-18 | 2007-0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device with touch screen panel in protective case and method using same |
KR20110051871A (en) * | 2009-11-11 | 2011-05-18 | 삼성전기주식회사 | Method of controlling key input of touch screen devic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its personal portable terminal |
-
2011
- 2011-09-29 KR KR1020110099412A patent/KR10192194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2205B1 (en) * | 2006-03-16 | 2007-05-29 | 주식회사 팬택 | Case for personal handset with user interfa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5135A (en) | 2013-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422183B2 (en) | Stylus for electronic devices | |
US9880637B2 (en) | Human interface apparatus having input unit for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and pointer command execution unit | |
US11397501B2 (en) |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12839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 |
KR102101334B1 (en) | Input device having multi-level driver and user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90091126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05361370A (en) | Intelligent bracelet | |
KR20200143075A (en) |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nsing a force sensor | |
US20140340336A1 (en) |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and system thereof | |
TWI622902B (en) | Touch system and stylus device tilt state determination method | |
CN107925689B (en) | Mobile terminal | |
KR101921946B1 (en) | Accommodation uni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case | |
EP2541383B1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 |
KR101655923B1 (en) | Sensor-actuator for touch input devic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 |
KR20210003255A (en) |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
CN107678606B (en) |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electrical equipment | |
KR102221296B1 (en) | Battery temperature compensation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 |
KR101935023B1 (en) | Electrostatic Capacity Type Electronic Board | |
KR10205022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sensing | |
JP5841080B2 (en) | pointing device | |
KR2012009376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9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9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