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1739B1 - Receptacle terminal - Google Patents

Receptac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739B1
KR101921739B1 KR1020170118718A KR20170118718A KR101921739B1 KR 101921739 B1 KR101921739 B1 KR 101921739B1 KR 1020170118718 A KR1020170118718 A KR 1020170118718A KR 20170118718 A KR20170118718 A KR 20170118718A KR 101921739 B1 KR101921739 B1 KR 101921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insertion port
terminal
extending
contact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7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7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73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 터미널과의 결합 시 삽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접압력을 증대시켜 접점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박스 형상의 접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는,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사각 링 형상의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에서 탭 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이격된 사각 링 형상의 안착구와, 상기 삽입구의 측면과 상기 안착구의 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 상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 브리지와, 상기 측면 브리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구와 상기 안착구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구를 관통한 탭 터미널에 접촉되는 접촉 레버와, 상기 한 쌍의 측벽 하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바닥판과, 상기 안착구에서 상기 삽입구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바닥판 사이에 위치된 하부 브리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촉 레버는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벤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terminal capable of minimizing an insertion force when connecting to a tap terminal and secur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a contact by increasing a contact pressure, and includes a box-shaped connection portion into which a tap terminal is inserted .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rectangular ring-shaped insertion port into which a tap terminal is inserted, a rectangular ring-shaped seating port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port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ap terminal, and a pair of side walls connecting the side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ating port. A pair of side bridges extending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an upper end of the pair of sidewalls; a contact lever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side bridge to the insertion port and the seat back, A pair of bottom plates extending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s and a lower bridge extending between the pair of bottom plates and extending from the seating hole toward the insertion port. At this time, the contact lever is bent in a convex arch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Description

리셉터클 터미널{RECEPTACLE TERMINAL}A receptacle terminal {RECEPTACLE TERMINAL}

본 발명은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탭 터미널과의 결합 시 삽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접압력을 증대시켜 접점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eptacle terminal capable of minimizing an insertion force when engaged with a tap terminal and securing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a contact by increasing the contact pressure.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기기의 내부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부품이다.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된 커넥터를 수 커넥터(male connector)라 하고, 기기의 패널에 설치된 커넥터를 피메일 커넥터(female connector)라 한다. 이때, 피메일 커넥터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커넥터의 결합 시 메일 커넥터가 수용공간에 삽입된다.Generally, a connector is an electrical component that electrically connects a power source and an apparatus, an apparatus and an apparatus, and an internal unit of the apparatus. The connector provided at the end of the cable is referred to as a mal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provided on the panel of the apparatus is referred to as a female connector. At this time, a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한편,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내부에는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탭 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이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a tab terminal and a receptacle terminal are provided inside the mail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for transmitting current and signals.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8-0000734호(2008.04.29.)에는 리셉터클 터미널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8-0000734 (Mar. 29, 2008) discloses an example of a receptacle terminal.

리셉터클 터미널의 전단에는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접속부가 마련된다. 상기 접속부는 삽입된 탭 터미널을 가압할 수 있도록 바닥판의 양단에서 아치형상으로 연장된 누름절곡편을 포함한다. 즉, 바닥판과 누름절곡편 사이로 탭 터미널이 삽입된다.The receptacle terminal is provided at its front end with a connection portion into which a tap terminal is inserted.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press bent piece extending in an arch shape at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so as to press the inserted tap terminal. That is, a tab terminal is insert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pressing bent piece.

그런데, 종래의 리셉터클 터미널은 한 쌍의 누름절곡편이 아치형상으로 벤딩된 구조로서, 탭 터미널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누름절곡편의 간섭으로 인하여 삽입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리셉터클 터미널은 탭 터미널과의 결합 후 접압력이 떨어져 접점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receptacle terminal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bent bent parts are bent in an arch shap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ab terminal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ertion force increases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pressing bent pieces.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ceptacle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tact pressure is reduced after coupling with the tap terminal, thereby deteriorating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tact.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8-0000734호(2008.04.29.)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8-0000734 (2008.04.2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탭 터미널과의 결합 시 삽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접압력을 증대시켜 접점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리셉터클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eptacle terminal capable of minimizing an insertion force when connecting to a tap terminal and secur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a contact by increasing a contact pressur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은,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박스 형상의 접속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x-shaped connection portion into which a tap terminal is inserted.

상기 접속부는,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사각 링 형상의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에서 탭 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이격된 사각 링 형상의 안착구와, 상기 삽입구의 측면과 상기 안착구의 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 상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 브리지와, 상기 측면 브리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구와 상기 안착구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구를 관통한 탭 터미널에 접촉되는 접촉 레버와, 상기 한 쌍의 측벽 하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바닥판과, 상기 안착구에서 상기 삽입구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바닥판 사이에 위치된 하부 브리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촉 레버는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벤딩된다.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rectangular ring-shaped insertion port into which a tap terminal is inserted, a rectangular ring-shaped seating port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port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ap terminal, and a pair of side walls connecting the side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ating port. A pair of side bridges extending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an upper end of the pair of sidewalls; a contact lever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side bridge to the insertion port and the seat back, A pair of bottom plates extending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s and a lower bridge extending between the pair of bottom plates and extending from the seating hole toward the insertion port. At this time, the contact lever is bent in a convex arch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접촉 레버에는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볼록한 반구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 브리지보다 상기 안착구 측으로 편의된다.The contact lever is formed with a convex semi-spherical protrusion inward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rotrusion is biased toward the seat back side rather than the side bridge.

상기 하부 브리지는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벤딩되고, 상기 하부 브리지에는 탭 터미널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편이 마련된다.The lower bridge is bent in a convex arch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lower bridge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iece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tap terminal.

상기 삽입구와 상기 안착구는 상면 중앙이 절개된 사각 링 형상이되, 상기 삽입구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벤딩된 제1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구의 바닥에는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볼록한 제2가이드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 사이는 탭 터미널의 두께보다 넓게 이격되고, 상기 제1가이드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The insertion port and the seat cushion are formed in a square ring shape with an upper surface center cut. A first guide bent at an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sertion port. A second guide, which is convex inward of the connection portion, A guide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thicknes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ab terminal, and the corner of the first guide is rounded.

상기 바닥판에는 탭 터미널을 상기 접촉 레버에 밀착시키는 밀착돌기가 형성된다.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contact protrusion for tightly attaching the tab terminal to the contact lever.

상기 측벽에는, 상기 측면 브리지의 탄성 변형을 위한 제1슬릿과, 상기 바닥판의 탄성 변형을 위한 제2슬릿이 형성된다.
On the side wall, a first slit for elastic deformation of the side bridge and a second slit for elastic deformation of the bottom plate are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접속부에 마련된 접촉 레버가 아치 형상으로 벤딩되어 접속부의 내부 공간이 삽입구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 터미널의 결합 시 요구되는 삽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has a shape in which the contact lever provided at the connecting portion is bent in an arch shape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extends toward the insertion port side. Therefore, the insertion force required when coupling the receptacle terminal and the tap terminal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은 탭 터미널과의 접촉 시 접촉 레버의 양단이 상승 및 하강하도록 탄성 변형되므로, 하강하는 일단이 탭 터미널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탭 터미널과의 접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접점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contact lever is resiliently de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contact lever are raised and lowered when the contact lev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ab terminal, the falling e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ab termin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tap terminal, thereby secur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tact point.

또한, 본 발명은 탭 터미널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편이 하부 브리지에 마련되어, 리셉터클 터미널에 삽입된 탭 터미널이 임의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tching piece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tap terminal is provided in the lower bridge, so that the tab terminal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or sepa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터미널의 평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터미널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터미널의 단면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 터미널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
1 is a planar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6 illustrate a coupling process of a receptacle terminal and a tap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터미널(1)은 탭 터미널(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단이 개방된 중공의 박스 형상을 가진 접속부(100)를 포함한다.1 to 3, a receptacle termina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100 having a hollow box shape, at least one end of which is opened so that the tap terminal 2 can be inserted, .

본 실시예의 접속부(100)는 두께에 비해 너비가 넓은 판형(블레이드형)의 탭 터미널(2)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그와 대응되는 형상, 즉 두께가 얇은 직육면체로 형성된다.The connecting portion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its thickness, that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o as to accommodate a tab type (blade type) tap terminal 2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thickness.

상술한 접속부(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탭 터미널(2)이 삽입되는 입구 측을 전단 또는 전방이라 하고, 리셉터클 터미널(1)에 삽입된 탭 터미널(2)의 단부가 위치되는 반대 측을 후단 또는 후방이라 하겠다.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end of the tab terminal 2 inserted in the receptacle terminal 1 is located is referred to as a rear end Or rear.

접속부(100)의 전단에는 탭 터미널(2)이 삽입되는 삽입구(110)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탭 터미널(2)이 안착되는 안착구(120)가 형성된다. 즉, 삽입구(110)와 안착구(120)는 탭 터미널(2)의 삽입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The insertion port 110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art 100 to receive the tab terminal 2 and the insertion port 120 is formed at the rear end to receive the tab terminal 2. That is, the insertion port 110 and the seat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tap terminal 2.

삽입구(110)와 안착구(120)는 탭 터미널(2)을 감싸는 사각 링 형상으로 제작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면 중앙이 절개된 사각의 링 형상으로 제작되는데, 이는 탭 터미널(2)의 삽입 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insertion port 110 and the seat 12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ring surrounding the tab terminal 2. More specifically, it is formed in a square ring shape having a cut-out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in order to allow elastic deformation when the tab terminal 2 is inserted.

삽입구(110)에는 탭 터미널(2)의 삽입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112)와 제2가이드(114)가 마련된다. 제1가이드(112)는 삽입구(110)의 양 단부에서 접속부(100)의 내측으로 벤딩되고, 제2가이드(114)는 삽입구(110)의 바닥에서 접속부(100)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The insertion port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112 and a second guide 114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tab terminal 2. The first guide 112 is bent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art 100 at both ends of the insertion hole 110 and the second guide 114 is protrude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art 100 at the bottom of the insertion hole 110 .

상술한 제1가이드(112)와 제2가이드(114)는 탭 터미널(2)의 삽입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탭 터미널(2)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된다. 예컨대, 탭 터미널(2)의 두께가 0.8㎜일 경우 제1가이드(112)와 제2가이드(114) 사이의 간격은 그보다 넓은 0.9㎜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guide 112 and the second guide 1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ab terminal 2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the tab terminal 2 is inserted.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tab terminal 2 is 0.8 mm, the gap between the first guide 112 and the second guide 114 is preferably 0.9 mm or more.

한편, 제1가이드(112)의 전단 및 후단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탭 터미널(2)의 삽입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탭 터미널(2)의 삽입 시 발생하는 찍힘, 눌림, 흠집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first guide 112 are formed in a rounded shape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the tab terminal 2 is inserted, Can be prevented.

안착구(120)에는 탭 터미널(2)을 후술할 접촉 레버(160)에 밀착시키기 위한 하부 브리지(130)가 마련된다. 하부 브리지(130)는 안착구(120)의 바닥에서 삽입구(110) 측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이며, 탭 터미널(2)을 접촉 레버(160)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접속부(100)의 내측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벤딩된다.The seat 120 is provided with a lower bridge 130 for bringing the tab terminal 2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lever 160 to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bridge 130 is in the form of a cantilever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seat 120 to the side of the insertion port 110. The lower bridge 130 is formed with a convex arch 112 inside the connection portion 100 so that the tap terminal 2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lever 160. [ Shape.

하부 브리지(130)에는 탭 터미널(2)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편(132)이 마련된다. 걸림편(132)은 탭 터미널(2)에 형성된 걸림공(210)에 삽입되어, 접속부(100)에 삽입된 탭 터미널(2)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리셉터클 터미널(1)에 삽입된 탭 터미널(2)이 임의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lower bridge 130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iece 132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tab terminal 2. The latching piece 132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hole 210 formed in the tab terminal 2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tab terminal 2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100. [ That is, the tab terminal 2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1 is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or separated.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브리지(130)는 전단이 자유단인 외팔보이므로 자유단인 전단을 하부로 당길 경우 걸림편(132)에 의한 이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리셉터클 터미널(1)에 삽입된 탭 터미널(2)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wer bridge 130 is a cantilever beam having a free end in its front end, when the front end of the free end is pulled downward, the movement restriction by the catching piece 132 can be released. In other words, the tab terminal 2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1 can be easily separa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본 실시예의 삽입구(110)와 안착구(120)는 좌우로 이격되며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벽(140)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다. 측벽(140)의 상단에는 측면 브리지(150)가 연장되고, 측면 브리지(150)의 단부에는 탭 터미널(2)에 접촉되는 접촉 레버(160)가 마련된다. 또한, 측벽(140)의 하단에는 탭 터미널(2)이 안착되는 바닥판(170)이 연장된다.The insertion port 110 and the seat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air of side walls 140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 side bridge 150 extends at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140 and a contact lever 160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ide bridge 150 to contact the tap terminal 2. A bottom plate 170 on which the tap terminal 2 is mounted is extend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40.

측면 브리지(150)는 측벽(140)의 상단 중앙에서 벤딩된 후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ㄱ자 형상을 갖는다. 측면 브리지(150)의 전후에는 소정 깊이의 제1슬릿(142)이 형성된다. 제1슬릿(142)은 접촉 레버(160)를 포함하는 측면 브리지(150)가 일정한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The side bridge 150 has a bent shap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fter being bent at the upper center of the side wall 140. A first slit 142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ide bridge 150. The first slit 142 allows the side bridge 150 including the contact lever 160 to have a certain elasticity.

접촉 레버(160)는 측면 브리지(150)의 단부에서 삽입구(110)와 안착구(120) 측으로 각각 연장되되, 접속부(100)의 내측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벤딩된다. 그리고 접촉 레버(160)에는 접속부(100)의 내측으로 볼록한 반구형 돌출부(162)가 형성된다.The contact lever 160 extends from the end of the side bridge 150 toward the insertion port 110 and the seat 120 side and is bent into a convex arch shape inward of the connection portion 100. The contact lever 160 is formed with a hemispherical protrusion 162 which is convex inward of the connection part 100.

이와 같이, 아치 형상으로 벤딩된 접촉 레버(160)는 접속부(100)의 내부 공간이 삽입구(110) 측으로 갈수록 확장시켜 탭 터미널(2)의 결합 시 요구되는 삽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such, the arch-shaped bending contact lever 160 can expand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00 toward the insertion port 110 side to minimize the insertion force required when the tap terminal 2 is coupled.

또한, 아치 형상의 접촉 레버(160)는 탭 터미널(2)과의 접촉 시 측면 브리지(150)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므로, 탭 터미널(2)에 밀착되어 접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rcuate contact lever 160 rotates about the side bridge 150 when it contacts the tap terminal 2, i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ap terminal 2 to increase the contact pressure.

즉, 탭 터미널(2)이 접속부(100)에 삽입되어 돌출부(162)에 접촉될 경우, 접촉 레버(160)의 후단은 상승하고 전단은 하강하도록 측면 브리지(150)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하강한 접촉 레버(160)의 전단이 탭 터미널(2)에 밀착하여 탭 터미널(2)과의 접압력이 증대되고, 이를 통해 접점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tab terminal 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100 and contacts the protrusion 162, the rear end of the contact lever 160 is raised and the front end is rotated about the side bridge 150 so as to descend . Therefore, the front end of the lowered contact lever 16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ab terminal 2,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tab terminal 2, thereby ensuring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tact.

한편, 접촉 레버(160)의 후단이 안착구(120)에 접촉하여 상승이 제한될 경우, 그 반대 측인 접촉 레버(160)의 전단에서는 더 큰 접압력이 발생하게 되는 바, 접촉 레버(160)의 후단은 안착구(120)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 레버(160)의 전단이 탭 터미널(2)에 좀 더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돌출부(162)가 측면 브리지(150)보다 안착구(120) 측으로 편의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rear end of the contact lever 160 is in contact with the seat 120 and the upward movement is restricted, a larger contact pressure is generat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contact lever 160,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end of the seat 120 extends to the seat 120.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projection 162 is biased toward the seat 120 rather than the side bridge 150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lever 160 can more closely contact the tab terminal 2.

바닥판(170)은 측벽(140)의 하단에서 벤딩된 후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ㄴ자 형상을 갖는다. 바닥판(170)은 좌우에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바닥판(170) 사이에는 하부 브리지(130)가 위치된다.The bottom plate 170 has a bent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fter being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40. The bottom plate 170 is constituted by a pair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and the lower bridge 130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the bottom plates 170.

바닥판(170)은 터미널(1,2)의 결합 시 탭 터미널(2)의 바닥에 접촉되는데, 이때 바닥판(170)이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바닥판(170)의 전후에는 일정 깊이의 제2슬릿(144)이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170)에는 탭 터미널(2)을 접촉 레버(160)에 밀착시키는 밀착돌기(172)가 형성된다.The bottom plate 17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tap terminal 2 when the terminals 1 and 2 are coupled with each other. The second slit 144 is formed. The bottom plate 170 is also provided with a contact protrusion 172 for adhering the tab terminal 2 to the contact lever 160.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터미널(1)과 탭 터미널(2)의 결합과정을 도시한다.Figs. 4 to 6 show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receptacle terminal 1 and the tap terminal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는 리셉터클 터미널(1)의 접속부(100)에 탭 터미널(2)의 선단이 삽입되는 초기 상태를 도시한다.4 shows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tip end of the tab terminal 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100 of the receptacle terminal 1. [

접속부(100)에 삽입되는 탭 터미널(2)은 삽입구(110)에 마련된 제1가이드(112)와 제2가이드(114)에 의해 안내되어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가이드(112)와 제2가이드(114)는 탭 터미널(2)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탭 터미널(2)의 삽입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가이드(112)의 전단 및 후단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탭 터미널(2)의 삽입 시 발생하는 찍힘, 눌림, 흠집 등을 방지한다.The tab terminal 2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100 is guided and inserted by the first guide 112 and the second guide 114 provided at the insertion port 110. [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guide 112 and the second guide 1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greater width than the thickness of the tap terminal 2,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the tap terminal 2 is inserted. 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first guide 112 are rounded to prevent stamping, pressing, and scratches occurring when the tab terminal 2 is inserted.

도 5는 탭 터미널(2)이 리셉터클 터미널(1)에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5 shows a state in which the tab terminal 2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1 over a certain depth.

접촉 레버(160)가 아치 형상으로 벤딩되므로 접속부(100)의 내부 공간이 삽입구(110)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어 탭 터미널(2)의 결합 시 요구되는 삽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Since the contact lever 160 is bent in an arch shape,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00 expands toward the insertion port 110 side to minimize the insertion force required when the tap terminal 2 is coupled.

또한, 접촉 레버(160)의 전단이 삽입구(110) 사이에 소정 거리 이격되므로, 탭 터미널(2)이 하부 브리지(도 4의 130)의 걸림편(도 4의 132) 및 바닥판(170)의 밀착돌기(172)에 접촉되어 상승하더라도 삽입력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4) of the lower bridge (130 of FIG. 4) and the bottom plate 170 of the lower bridge (130 of FIG. 4) because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lever 160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insertion ports 110. [ It does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insertion force.

도 6은 탭 터미널(2)이 리셉터클 터미널(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tab terminal 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1. Fig.

탭 터미널(2)이 접속부(100)에 삽입되어 돌출부(162)에 접촉될 경우, 접촉 레버(160)의 후단은 상승하고 전단은 하강하도록 측면 브리지(도 3의 150)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하강한 접촉 레버(160)의 전단이 탭 터미널(2)에 밀착하여 탭 터미널(2)과의 접압력이 증대되고, 이를 통해 접점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접촉 레버(160)의 후단이 안착구(120)에 접촉하여 상승이 제한될 경우, 그 반대 측인 접촉 레버(160)의 전단에서는 더 큰 접압력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tab terminal 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100 and contacts the protrusion 162, the rear end of the contact lever 160 is raised and the front end is rotated about the side bridge (150 in Fig. 3) do. Therefore, the front end of the lowered contact lever 16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ab terminal 2,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tab terminal 2, thereby ensuring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tact. In particular, when the rear end of the contact lever 16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at 120 and is restricted from rising, a larger contact pressure is generat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lever 160 on the opposite sid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not only in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also in the scope of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리셉터클 터미널 2: 탭 터미널
100: 접속부 110: 삽입구
120: 안착구 130: 하부 브리지
140: 측벽 150: 측면 브리지
160: 접촉 레버 170: 바닥판
1: Receptacle terminal 2: Tab terminal
100: connection part 110:
120: seat 130: lower bridge
140: side wall 150: side bridge
160: contact lever 170: bottom plate

Claims (7)

삭제delete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박스 형상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사각 링 형상의 삽입구;
상기 삽입구에서 탭 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이격된 사각 링 형상의 안착구;
상기 삽입구의 측면과 상기 안착구의 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
상기 한 쌍의 측벽 상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 브리지;
상기 측면 브리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구와 상기 안착구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구를 관통한 탭 터미널에 접촉되는 접촉 레버;
상기 한 쌍의 측벽 하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바닥판; 및
상기 안착구에서 상기 삽입구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바닥판 사이에 위치된 하부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레버는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벤딩되며,
상기 접촉 레버에는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볼록한 반구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 브리지보다 상기 안착구 측으로 편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A receptacle terminal comprising a box-shaped connection portion into which a tap terminal is inserted,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comprises:
A rectangular ring-shaped insertion hole into which a tap terminal is inserted;
A square ring-shaped seat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port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tap terminal;
A pair of side walls connecting the side of the insertion port and the side of the seat;
A pair of side bridges extending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upp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s;
A contact lever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side bridge to the insertion port and the seat back side, the contact lever being in contact with the tap terminal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port;
A pair of bottom plates extending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s; And
And a lower bridge extending from the seat to the insertion port side and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bottom plates,
The contact lever is bent into a convex arch shape inward of the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contact lever is formed with a convex hemispherical protrusion inwar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protrusion is biased toward the seat back side from the side bridge.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박스 형상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사각 링 형상의 삽입구;
상기 삽입구에서 탭 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이격된 사각 링 형상의 안착구;
상기 삽입구의 측면과 상기 안착구의 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
상기 한 쌍의 측벽 상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 브리지;
상기 측면 브리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구와 상기 안착구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구를 관통한 탭 터미널에 접촉되는 접촉 레버;
상기 한 쌍의 측벽 하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바닥판; 및
상기 안착구에서 상기 삽입구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바닥판 사이에 위치된 하부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레버는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벤딩되며,
상기 하부 브리지는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벤딩되고, 상기 하부 브리지에는 탭 터미널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편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A receptacle terminal comprising a box-shaped connection portion into which a tap terminal is inserted,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comprises:
A rectangular ring-shaped insertion hole into which a tap terminal is inserted;
A square ring-shaped seat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port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tap terminal;
A pair of side walls connecting the side of the insertion port and the side of the seat;
A pair of side bridges extending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upp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s;
A contact lever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side bridge to the insertion port and the seat back side, the contact lever being in contact with the tap terminal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port;
A pair of bottom plates extending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s; And
And a lower bridge extending from the seat to the insertion port side and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bottom plates,
The contact lever is bent into a convex arch shape inward of the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lower bridge is bent in a convex arch shape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lower bridge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iece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tab terminal.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박스 형상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사각 링 형상의 삽입구;
상기 삽입구에서 탭 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이격된 사각 링 형상의 안착구;
상기 삽입구의 측면과 상기 안착구의 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
상기 한 쌍의 측벽 상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 브리지;
상기 측면 브리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구와 상기 안착구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구를 관통한 탭 터미널에 접촉되는 접촉 레버;
상기 한 쌍의 측벽 하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바닥판; 및
상기 안착구에서 상기 삽입구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바닥판 사이에 위치된 하부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레버는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벤딩되며,
상기 삽입구와 상기 안착구는 상면 중앙이 절개된 사각 링 형상이고,
상기 삽입구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벤딩된 제1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구의 바닥에는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볼록한 제2가이드가 마련되되,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 사이는 탭 터미널의 두께보다 넓게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A receptacle terminal comprising a box-shaped connection portion into which a tap terminal is inserted,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comprises:
A rectangular ring-shaped insertion hole into which a tap terminal is inserted;
A square ring-shaped seat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port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tap terminal;
A pair of side walls connecting the side of the insertion port and the side of the seat;
A pair of side bridges extending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upp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s;
A contact lever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side bridge to the insertion port and the seat back side, the contact lever being in contact with the tap terminal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port;
A pair of bottom plates extending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s; And
And a lower bridge extending from the seat to the insertion port side and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bottom plates,
The contact lever is bent into a convex arch shape inward of the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insertion port and the seat cushion are in the shape of a square ring having an upper surface center cut,
Wherein a first guide bent at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sertion port, and a second guide protruding inwar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sertion port,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is greater than a thickness of the tab termin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edge of the first guide is round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탭 터미널을 상기 접촉 레버에 밀착시키는 밀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contact protrusion which closely contacts the tab terminal with the contact lever.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박스 형상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사각 링 형상의 삽입구;
상기 삽입구에서 탭 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이격된 사각 링 형상의 안착구;
상기 삽입구의 측면과 상기 안착구의 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
상기 한 쌍의 측벽 상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 브리지;
상기 측면 브리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구와 상기 안착구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구를 관통한 탭 터미널에 접촉되는 접촉 레버;
상기 한 쌍의 측벽 하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바닥판; 및
상기 안착구에서 상기 삽입구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바닥판 사이에 위치된 하부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레버는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벤딩되며,
상기 측벽에는, 상기 측면 브리지의 탄성 변형을 위한 제1슬릿과, 상기 바닥판의 탄성 변형을 위한 제2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A receptacle terminal comprising a box-shaped connection portion into which a tap terminal is inserted,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comprises:
A rectangular ring-shaped insertion hole into which a tap terminal is inserted;
A square ring-shaped seat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port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tap terminal;
A pair of side walls connecting the side of the insertion port and the side of the seat;
A pair of side bridges extending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upp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s;
A contact lever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side bridge to the insertion port and the seat back side, the contact lever being in contact with the tap terminal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port;
A pair of bottom plates extending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s; And
And a lower bridge extending from the seat to the insertion port side and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bottom plates,
The contact lever is bent into a convex arch shape inward of the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side wall is formed with a first slit for elastic deformation of the side bridge and a second slit for elastic deformation of the bottom plate.
KR1020170118718A 2017-09-15 2017-09-15 Receptacle terminal Active KR1019217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718A KR101921739B1 (en) 2017-09-15 2017-09-15 Receptac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718A KR101921739B1 (en) 2017-09-15 2017-09-15 Receptac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739B1 true KR101921739B1 (en) 2018-11-23

Family

ID=6456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718A Active KR101921739B1 (en) 2017-09-15 2017-09-15 Receptac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73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312A (en) * 2020-12-30 2022-12-02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terminal so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31B1 (en) * 2006-12-14 2008-03-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Integrated 4-contact receptacle terminal
JP2014035875A (en) 2012-08-08 2014-02-2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Fema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31B1 (en) * 2006-12-14 2008-03-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Integrated 4-contact receptacle terminal
JP2014035875A (en) 2012-08-08 2014-02-2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Fema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312A (en) * 2020-12-30 2022-12-02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terminal so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64372B1 (en) * 2020-12-30 2023-08-07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terminal so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5815B2 (en) Connector assembly
CN105390838B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US8961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US727339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US10256560B2 (en) Flat contact socket with a cantilever
JP2019186062A (en) connector
US9515396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CN107799932B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KR20160009491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US8821197B2 (en) Fuse terminal
US20180294602A1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EP3467948B1 (en) Connector
JP7107708B2 (en) connector
JP2019160698A (en) Movable connector
US9039452B2 (en) Connecting device
JP2018018658A (en) Female terminal
KR102471886B1 (en) Connector and terminal
US11177601B2 (en) Terminal having a conductor and a spring
US20230387633A1 (en) Shield connector
KR101921739B1 (en) Receptacle terminal
JP2021068608A (en) connector
JP5659212B2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6279967B2 (en) Connecting terminal
JP477495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receptacle
JP2021022475A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