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1623B1 -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623B1
KR101921623B1 KR1020160122472A KR20160122472A KR101921623B1 KR 101921623 B1 KR101921623 B1 KR 101921623B1 KR 1020160122472 A KR1020160122472 A KR 1020160122472A KR 20160122472 A KR20160122472 A KR 20160122472A KR 101921623 B1 KR101921623 B1 KR 101921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lding
mobile phone
cellular phone
hold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3382A (ko
Inventor
신화현
Original Assignee
신화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현 filed Critical 신화현
Priority to KR1020160122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6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62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4Stays or supports for holding lids or covers open
    • A45C2011/002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가상현실(VR)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변형 조립만으로 휴대폰을 통해 가상현실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되, 간격 유지판과 좌우 측면판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를 갖고, 상기 간격 유지판은 수직으로 세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WITH VIRTURE REALITY FUNCTION}
본 발명은 휴대폰의 가상현실(VR)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변형 조립만으로 휴대폰을 통해 가상현실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HMD(Head mounted Display)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와 다르게 사용자의 눈앞에 직접적인 현실감을 느끼게 해주는 장치이다. 기술과 콘텐츠가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보다 현실감을 느낄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하려고 하고 이러한 요구(needs)로 인해서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장치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HMD 시스템은 자체적으로 탑재된 Display가 존재하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예를 들어 TV, 비디오, 컴퓨터 등)와 연결되어 이용해야 한다. 또한, 현재까지는 HMD 시스템은 가격이 고가이고 휴대하면서 이용하기에는 크기나 콘텐츠 제공 장치와의 연결 문제로 많은 제약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서 많은 사람이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는데, 대다수의 사람이 영상 콘텐츠를 스마트폰으로 이용하는 추세가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가상현실을 구현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530788호 '스마트폰을 이용한 3D HMD 시스템'(이하, 선행기술)에는 스마트폰과 결합하는 스마트폰 결합용 어댑터와 이를 수납하여 이용할 수 있는 HMD 시스템에 대한 특징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스마트폰과는 별도의 장치로, 추가로 휴대하여야 하고 휴대가 간편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언제 어디서든 용이하게 가상현실을 이용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가상 현실 구현 기능을 가지고 있는 휴대폰 케이스는, 크게 휴대폰(10)을 수납할 수 있는 휴대폰 수납케이스(170)와 휴대폰 수납케이스(170)와 부착되고 가상 현실 기능을 제공하는 플립(FLIP)형 휴대폰 케이스를 포함하는데, 상측면부에는 제1 시야거리 형성부(140)와 렌즈부(150)와 제1 측면 보조 커버(110)와 제2 측면 보조 커버(12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측면 보조 커버(110)와 제2 측면 보조 커버(120)에는 제2 시야거리 형성부(111)와 제3 시야거리 형성부(12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시야거리 형성부(140) 및 제2 시야거리 형성부(111)와 제3 시야거리 형성부(121)가 렌즈부(15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휴대폰(10)과 렌즈부(150) 사이에는 시야 거리가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간단한 변형 조립만으로 스마트폰과 결합되어 가상현실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휴대폰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판이 제1 시야거리 형성부(140)과 렌즈부(150)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시야거리 형성부(111)와 제2 시야거리 형성부(121)를 수직으로 세워서 상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1 시야 거리 형성부(140)가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시야 거리 형성부(140)가 기울어지면 휴대폰과의 거리가 짧아져서 충분한 시야거리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휴대폰의 상부를 폭이 좁은 렌즈부(150)로 커버 하기 때문에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를 완전히 커버 할 수 없기 때문에 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39744 (등록일:2016.07.08)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언제 어디서든 용이하게 가상현실을 이용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폰 케이스에서 간단한 변형 조립만으로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가상현실을 이용할 수 있게 하되, 간격 유지판을 수직으로 세워서 렌즈와 휴대폰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의 상부를 완전히 커버 하여 화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는,
통상의 휴대폰과;
상기 휴대폰을 수납하는 휴대폰 수납케이스와;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덮개와;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받침판과;
상기 상부덮개에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서 설치되는 두 개의 렌즈와;
상기 상부덮개의 일 측면에 접을 수 있게 설치되는 상측 접철 연결판과;
상기 상측 접철 연결판의 하단에 접을 수 있게 설치되는 간격 유지판과;
상기 간격 유지판의 하단에 접을 수 있게 설치되는 하측 접철 고정판과;
상기 상부덮개의 양측에 접을 수 있게 설치되는 좌우 측면판과;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와 하부 받침대 사이에 상기 간격 유지판과 하측 접철 고정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수용홈을 포함하되,
상기 간격 유지판과 좌우 측면판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를 갖고, 상기 간격 유지판은 수직으로 세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와 상측 접철 연결판, 상기 상측 접철 연결판과 간격 유지판, 상기 간격 유지판과 하측 접철 고정판, 상기 상부덮개와 좌우 측면판 사이에는 접철홈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받침판의 테두리는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받침판의 테두리에는 상기 좌우 측면판의 하단에 형성된 다리부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 홈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받침판의 결합 홈에는 상기 좌우 측면판의 하단에 형성된 다리부를 고정할 수 있는 탄성 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언제 어디서든 용이하게 가상현실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서 간단한 변형 조립만으로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가상현실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간격 유지판을 수직으로 세울 수 있어서 렌드와 휴대폰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의 상부를 완전히 커버 하여 화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격 유지판과 하단 접첩판을 가이드 수용홈에 수납할 수 있어서 구조가 단순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 접철 연결판, 간격 유지판, 하측 접철 고정판 및 좌우 측면판이 상부덮개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조립과 생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특히, 도 1은 휴대폰 케이스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가상현실 체험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크게 휴대폰을 수납하는 휴대폰 수납케이스(20)와,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20)의 상면에 설치되어 휴대폰의 상면을 보호하는 상부덮개(30)와,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20)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20)를 지지하는 하부받침판(4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휴대폰을 휴대폰 수납케이스(20) 내에 수납하고 상기 상부덮개(30)를 덮으면 휴대폰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30)를 상부로 일정한 높이 올려서 휴대폰(10)과 평행하도록 설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의 체험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상부덮개(3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지게 두 개의 렌즈(60:60a,60b)가 설치되고, 상기 렌즈(60)와 휴대폰(1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상부덮개(30)에 구비된 렌즈(60)와 휴대폰(10) 사이에 일정한 시야 거리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한 높이를 갖는 간격 유지판(32)과, 상기 간격 유지판(32) 상단에 설치되는 상측 접철 연결판(31)과, 상기 간격 유지판(32)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측 접철고정판(3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측 접철 연결판(31)은 상부덮개(30)의 일 측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측 접철고정판(33)은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20)와 하부받침판(40) 사이에 결합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30)의 양단에는 좌우 측면판(34)(3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 측면판(34)(35)은 상기 간격 유지판(32)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간격 유지판(32)과 좌우 측면판(34)(35)을 수직으로 세워서 고정함으로써 상기 렌즈(60)와 휴대폰(1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30)는 휴대폰(10)의 상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덮개(30)는 인조가죽이나 카드 보드지의 앞 뒷면에 인조가죽 시트를 부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덮개(30)에는 두 개의 렌즈(60:60a,60b)가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지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60)는 상부덮개(30)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덮개(30)의 상부에서 그 하부에 있는 휴대폰을 관찰할 수 있다. 이때, 렌즈(60)는 광학렌즈로서 바람직하게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60a,60b) 사이의 간격은 사람의 두 눈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한다.
이어 상기 휴대폰(10)이 수납되는 휴대폰 수납케이스(2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휴대폰(1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20)의 하면에는 하부받침판(40)이 부착된다.
상기 하부받침판(40)은 휴대폰 수납케이스(20)보다 약간 큰 크기의 (10)의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받침판(40) 또한 인조가죽이나 카드 보드지의 앞면과 뒷면에 인조가죽 시트를 부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받침판(40)의 상면에는 상기한 간격 유지판(32)과 하측 접철고정판(33)이 전후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 수용홈(4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덮개(30)의 후단에는 상술한 상측 접철 연결판(31), 간격 유지판(32) 및 하측 접철고정판(33)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들은 모두 외형이 인조 가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인조 가죽 사이에는 카드보드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드보드지는 인조가죽의 형상을 고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재질로 그 외의 딱딱한 재질로 대체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상측 접철 연결판(31)은 상부덮개(30)의 일 측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20)의 높이와 같거나 약간 큰 정도의 높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측 접철 연결판(31)의 폭은 상부덮개(30)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진다. 이어, 상기 간격 유지판(32)은 상기 상측 접철 연결판(31)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렌즈(60)와 휴대폰(10) 사이의 시야 거리에 대응하는 높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격 유지판(32)은 5~8cm 정도의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그 폭은 상기 상측 접철 연결판(31)과 같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측 접철고정판(33)은 상기 간격 유지판(32)의 하단에 연결된다. 상기 하측 접철 고정판(33)은 상기 간격 유지판(32)과 상측 접철 연결판(31) 높이의 중간 크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30), 상측 접철 연결판(31), 간격 유지판(32) 및 하측 접철고정판(33)은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각 사이에는 접철홈(A)이 형성되어 자유롭게 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철홈(A)에는 내부에 카드보드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이어, 상기 상부덮개(30)의 양단에는 상술한 좌우 측면판(34)(35)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좌우 측판(34)(35)은 상기 간격 유지판(32)과 같거나 유사한 높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우 측면판(34)(35)은 카드보드지나 얇은 플라스틱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가 상부덮개(30)와 좌우 측면판(34)(35) 사이에도 접철홈(A)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접철홈(A)에는 내부에 카드보드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측면판(34)(35)의 하단에는 폭이 좁아지는 두 개의 다리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는 하부받침판(40)에 형성된 결합 홈(42)(4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좌우 측면판(34)(35)의 하단에는 반원형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렌즈(60)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두 개의 다리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받침판(40)의 테두리에는 좌우 측면판(34)(35)의 다리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 홈(42)(43)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 홈(42)(43)의 내부에는 상기 다리부를 잡아줄 수 있는 탄성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수단은 평행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스프링 핀이거나 스프링에 의해서 탄압되는 두 개의 탄성 구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20)의 하면과 상기 하부받침판(40) 사이에는 일정한 크기의 가이드 수용홈(4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수용홈(45)은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20)의 하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받침판(4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용홈(45)은 간격 유지판(32)과 하측 접철고정판(33)이 슬라이드 하여 이동 및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간격 유지판(32)과 하측 접철고정판(33)은 가이드 수용홈(45)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슬라이드 하여 밖으로 나올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수용홈(45)의 크기는 하측 접철고정판(33)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하여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통상의 휴대폰 케이스로 사용할 때는, 상기 하부받침판(40)과 휴대폰 수납케이스(20) 사이의 가이드 수용홈(45)에 사이에 간격 유지판(32)과 하측 접철고정판(33)을 슬라이드 시켜 밀어 넣는다. 그리고 상기 상측 접철 연결판(31)은 휴대폰 수납케이스(20)의 일면에 밀착시켜서 수직으로 세우면, 상기 상부덮개(30)는 휴대폰(10)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덮개(30)는 상측 접철 연결판(31) 사이의 접철홈(A)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할 수 있어 휴대폰(10)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를 이용하여 가상현실을 체험하고자 할 때는, 상기 하부받침판(40)과 휴대폰 수납케이스(20) 사이의 가이드 수용홈(45)에 삽입되어 있는 간격 유지판(32)을 바깥쪽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간격 유지판(32)이 휴대폰 수납케이스(20)의 일면에 밀착시켜서 수직으로 세우면, 상기 상측 접철 연결판(31)과 상부덮개(30)가 휴대폰(10)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채 수평으로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측 접철 고정판(33)은 가이드 수용홈(45)에 결합 되어 상기 상부덮개(30)가 일탈 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덮개(30)의 하면에 밀착되어 있는 좌우 측면판(34)(35)을 좌우 바깥쪽으로 회동시켜 수직으로 세우고 그 하단의 다리부를 하부받침판(40)의 결합 홈(42)(43)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상기 상부덮개(30)를 휴대폰(10)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덮개(30)가 휴대폰(1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덮개(30)에 구비된 렌즈(60)를 통해서 상기 휴대폰(10)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두 개의 영상을 동시에 관찰하면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조립과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6은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20)와 하부받침판(40)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수용홈(45)에 수납되어 있는 간격 유지판(32)을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때, 상기 간격 유지판(32)과 연결되어 있는 하측 접철고정판(33)은 상기 가이드 수용홈(45)의 내부에 남아서 상기 간격 유지판(32)과 상부덮개(3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 도 7에서는, 상기 상부덮개(30)와 상측 접철 연결판(31)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상기 상측 접철 연결판(31)과 간격 유지판(32) 사이에는 접철홈이 형성되어 자유롭게 펼칠 수 있다.
이어서, 도 8에서는 상기 간격 유지판(32)을 수직으로 세워서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20)의 일 측에 밀착시키고, 상기 상부덮개(30)는 전방으로 회동시켜서 수평으로 세운다. 이때, 상기 상부덮개(30)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 측면판(34)(35)은 좌우로 펼쳐서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20)의 양측 면에 수직으로 세운다.
그리고 상기 좌우 측면판(34)(35)의 하단에 형성된 다리부를 상기 하부 바닫판(40)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 홈(42)(43)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결합 홈(42)(42)의 안쪽에는 탄성 수단(44a)(44b)이 구비되어 상기 좌우 측면판(34)(35)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간격 유지판(32)과 좌우 측면판(34)(35)을 통해서 렌즈(60)와 휴대폰(10)의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일정 거리의 시야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간격 유지판(32)을 수직으로 세울 수 있으므로 시야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간격 유지판(32)과 하측 접철고정판(33)을 휴대폰 수납케이스(20)와 하부 바닥판(40) 사이의 가이드 수용홈(45)에 밀어 넣어서 수납할 수 있어 구조가 단순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덮개(30)와 좌우 측면판(34)(35) 그리고 상부 접절판(31), 간격 유지판(32) 및 하측 접철고정판(33)이 하나의 몸체로 모두 연결되어 있어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가 편리하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30)와 하부받침판(40)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노브를 설치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휴대폰 20: 휴대폰 수납케이스
30: 상부덮개 31: 상측 접철 연결판
32: 간격 유지판 33: 하측 접철 고정판
40: 하부받침판 42,43: 결합 홈
45: 가이드 수용홈 60: 렌즈

Claims (4)

  1. 통상의 휴대폰을 수납하는 휴대폰 수납케이스와;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폰의 상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진 상부덮개와;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의 하면 접착되고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의 바깥쪽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크기의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진 하부받침판과;
    상기 상부덮개의 양측에 수직으로 접을 수 있게 설치되는 좌우 측면판과;
    상기 상부덮개에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설치되는 두 개의 렌즈와;
    상기 상부덮개의 일 측면에 접을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의 높이와 같거나 약간 큰 정도의 높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덮개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진 상측 접철 연결판과;
    상기 상측 접철 연결판의 하단에 접을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좌우 측면판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를 갖는 간격 유지판과;
    상기 간격 유지판의 하단에 접을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와 하부 받침대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수용홈에 상기 간격 유지판과 함께 수용되고 상기 간격 유지판이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휴대폰 수납케이스와 하부 받침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간격 유지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 접철 연결판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폭을 갖는 하측 접철 고정판과;
    상기 상부덮개, 좌우 측면판, 상측 접철 연결판, 간격 유지판 및 하측 접철 고정판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덮개와 상측 접철 연결판, 상기 상측 접철 연결판과 간격 유지판, 상기 간격 유지판과 하측 접철 고정판, 상기 상부덮개와 좌우 측면판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접철홈과;
    상기 하부받침판의 테두리에 상기 좌우 측면판의 하단에 형성된 다리부가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형성된 결합 홈;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홈에는 상기 좌우 측면판의 하단에 형성된 다리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두 개의 탄성 핀을 포함하는 탄성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22472A 2016-09-23 2016-09-23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Expired - Fee Related KR101921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472A KR101921623B1 (ko) 2016-09-23 2016-09-23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472A KR101921623B1 (ko) 2016-09-23 2016-09-23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382A KR20180033382A (ko) 2018-04-03
KR101921623B1 true KR101921623B1 (ko) 2019-02-21

Family

ID=6197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4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921623B1 (ko) 2016-09-23 2016-09-23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091A (ko)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디바스 단말기케이스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vr콘텐츠출력 자동 전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2018A (ja) * 2010-07-12 2012-02-02 Panasonic Corp 立体表示装置
KR101639744B1 (ko) * 2015-07-03 2016-07-15 (주)디엔알엔지니어링 가상 현실 구현 기능을 가지고 있는 휴대폰 케이스
KR101644900B1 (ko) * 2015-03-25 2016-08-03 (주)쓰리옵틱스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2018A (ja) * 2010-07-12 2012-02-02 Panasonic Corp 立体表示装置
KR101644900B1 (ko) * 2015-03-25 2016-08-03 (주)쓰리옵틱스 휴대 단말기용 입체 영상 뷰어
KR101639744B1 (ko) * 2015-07-03 2016-07-15 (주)디엔알엔지니어링 가상 현실 구현 기능을 가지고 있는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091A (ko)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디바스 단말기케이스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vr콘텐츠출력 자동 전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382A (ko)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874B2 (en) Portable virtual reality glasses
EP3274785B1 (en) Display positioning system
KR101951385B1 (ko) 양방향 및 다중 각도의 지지를 구현하는 보호 커버
KR101857754B1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20120300275A1 (en) Accessory for reflecting an image from a display scree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615329B1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KR101921623B1 (ko)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US10761290B2 (en) Virtual reality video device for educational video monitor
CN204548938U (zh) 用作3d眼镜的电子设备包装盒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101639744B1 (ko) 가상 현실 구현 기능을 가지고 있는 휴대폰 케이스
KR20047214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KR101731889B1 (ko) 가상현실 장치로 전환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
KR102283026B1 (ko) 스마트폰용 뷰어 디바이스
KR101461225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160043781A (ko) 입체영상시청이 가능한 단말기포장박스
KR101551217B1 (ko) 입체영상 시청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JP3197452U (ja) 結合システム・アクセサリ
KR20160092074A (ko) 카드 삽입형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20003310U (ko) 태블릿피씨용 케이스
JP3185458U (ja) 映像観察装置
KR102371463B1 (ko)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KR20090005699U (ko) 수납공간이 구비된 분리 액정 액세서리
CN204515261U (zh) 用于手机的三维虚拟成像眼镜
CN206133117U (zh) 一种穿戴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