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1505B1 - 관통형 트롤리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관통형 트롤리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505B1
KR101921505B1 KR1020170001796A KR20170001796A KR101921505B1 KR 101921505 B1 KR101921505 B1 KR 101921505B1 KR 1020170001796 A KR1020170001796 A KR 1020170001796A KR 20170001796 A KR20170001796 A KR 20170001796A KR 101921505 B1 KR101921505 B1 KR 101921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iston
braking
air
troll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809A (ko
Inventor
최은순
Original Assignee
최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순 filed Critical 최은순
Priority to KR1020170001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50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5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61H13/30Transmitting mechanisms adjustable to take account of variation of vehicle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61H13/38Suspension of transmi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5/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substantially 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16D2121/04Fluid pressure acting on a piston-type actuator, e.g. for liq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롤리용 관통 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 트롤리의 제동작용을 위해 사용되는 제동장치의 구조를 간편화하고 성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보수유지가 용이하고 정밀도를 향상시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하물 적재에 따라 비례한 제동력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해 1개의 관통관을 사용하여 제동 작용을 할 수 있고, 동력차와 분리되는 경우 트롤리에 자동으로 제동력이 생성되도록 하여 연결관의 파손에 의한 차량 전체의 제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관통형 트롤리 제동장치이다.

Description

관통형 트롤리 제동 장치{Penetration type brake system for trolley}
본 발명은 트롤리용 관통형 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 트롤리의 제동 작용을 위해 사용되는 제동 장치의 구조를 간편화하고 성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보수유지가 용이하고 정밀도를 향상시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화물 적재에 따라 비례한 제동력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해 1개의 관통관을 사용하여 제동 작용을 할 수 있고, 동력차와 분리되는 경우 트롤리에 자동으로 제동력이 생성되도록 하여 연결관의 파손에 의한 차량 전체의 제동력 손실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관통형 트롤리 제동장치이다.
종전의 트롤리에는 제동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동력차의 제동력에만 의존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이런 종래의 트롤리는 동력차의 제동 작용시 앞에 위치된 동력차와 충돌하여 무리를 주게 되는데, 특히, 화물의 적재시나 트롤리의 다량 연결시 제동 작용할 때에는 동력차의 제동력만으로는 그 무게들을 감당하지 못해 동력차 및 트롤리의 제동 거리가 크게 늘어나게 되어 운행 속도 및 운행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어 충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트롤리 제동 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나, 동력차 및 트롤리간의 연결관이 2개가 필요하고, 직통형으로 동작되는 방식으로 동력차와 분리되는 경우 트롤리에는 제동력이 상실되고, 특히 연결관의 파손에 의한 차량 전체의 제동력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더욱 개선한 제동장치가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0-0038115호(2000. 07.0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65681호(2001. 05.07)
본 발명자는 구조를 간편화하고 보수유지가 용이하고 정밀도를 향상시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하물 적재에 따라 비례한 제동력 및 안정성이 확보된 트롤리용 제동장치에 있어 1개의 관통관을 통해서 동작될 수 있고, 동력차와 분리되는 경우 트롤리에는 자동으로 제동력이 생성될 수 있어 연결관의 파손에 의한 차량 전체의 제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관통형 트롤리 제동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통을 구비하여 저장된 압력 공기를 공급관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중계밸브로 공급하고, 1개의 관통관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TR 제어밸브를 구비하여 내실의 압력 공기를 공급관을 통하여 중계밸브에 제공하고, 동력차 제동 동작에 의해 공기통 공기압을 양압식 제동실린더로 유입시킬 때 공차와 영차때의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중계밸브와 화물적재에 따라 작용되는 응하중변 및 중계밸브을 경유하여 공급된 압력 공기로 제동수단에 의해 제동작용을 하기 위한 양압식 제동실린더가 구비된 관통형 트롤리 제동장치가 이와 같은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관통관(101)에 연결되어 압력 공기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압력 공기를 공급관(102)를 통하여 중계밸브(2)로 공급하는 공기통(5);
관통관(101)으로부터 압력 공기를 공급받아 막판피스톤(18) 상부실(19)에 공급되면, 막판피스톤(18)이 압력에 의해 하강하고, 통로(20)와 역지변(21)을 통해내실(22)에 저장하고, 저장된 압력 공기를 동력차 제동 체결시 공급관(103)을 통하여 중계밸브(2)에 제공하는 TR 제어밸브(1);
TR제어밸브(1)로부터 공급관(103)을 통하여 공급받은 제동 압력 공기가 몸체 막판 피스톤(118) 중간실(111)에 공급되면, 몸체 막판 피스톤(118)이 압력에 의해 상승되어 피스톤(P)의 상단부의 지점 전달부를 통해 공급변(116)을 개변하여 공기통(5)로부터 공급관(102)을 통하여 공급된 압력 공기를 양압식 제동실린더(4)로 유입시키되, 응하중변(3)의 작용에 의해 공급관(104)의 압력공기가 공급관(105)을 통해 하부 막판 피스톤(112) 하부실(115)에 공급되어 하부 막판 피스톤(112)을 상승시킴으로써 몸체 막판 피스톤(118)의 제동작용시 하부 막판 피스톤(112) 아래로 전달되는 압력을 지점 변화를 통해 해정시켜 몸체 막판 피스톤(118) 상부실(117)로 유입되는 압력공기를 공차와 영차때에 따라 조절하여 트롤리(10)의 화물 적재에 따라 필요한 제동력을 얻는 중계밸브(2);
트롤리(10)의 화물 적재량에 따라 압력 공기를 공급관(105)로 유입시켜 중계밸브(2)로 하여금 화물 적재량에 따른 제동력을 제동실린더(4)에 공급하도록 하는 응하중변(3); 및
중계밸브(2)을 경유한 압력 공기가 피스톤실로 각각 유입되어 제동수단에 의해 트롤리(10)의 차륜(10a)을 제동시키는 양압식 제동실린더(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트롤리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형 트롤리 제동 장치는 구조가 간편하여 보수 유지가 용이하고 정밀도를 향상시켜 누설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하중 적재에 따른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1개의 관통관을 사용하여 제동장치가 동작되도록 하며, 동력차와 분리되는 경우 트롤리에는 자동으로 제동력이 생성될 수 있어 연결관의 파손에 의한 차량 전체의 제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아 제동성 및 안전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의 트롤리 설치도이다.
도 3은 TR 제어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응하중변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중계밸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트롤리 제동장치에 있어서,
압력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관통관(101)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압력 공기를 공급관(102)를 통하여 중계밸브(2)로 공급하는 공기통(5);
관통관(101)으로부터 압력 공기를 공급받아 막판피스톤(18) 상부실(19)에 공급되면, 막판피스톤(18)이 압력에 의해 하강하고, 통로(20)와 역지변(21)을 통해내실(22)에 저장하고, 저장된 압력 공기를 동력차 제동 체결시 공급관(103)을 통하여 중계밸브(2)에 제공하는 TR 제어밸브(1);
TR제어밸브(1)로부터 공급관(103)을 통하여 공급받은 제동 압력 공기가 몸체 막판 피스톤(118) 중간실(111)에 공급되면, 몸체 막판 피스톤(118)이 압력에 의해 상승되어 피스톤(P)의 상단부의 지점 전달부를 통해 공급변(116)을 개변하여 공기통(5)로부터 공급관(102)을 통하여 공급된 압력 공기를 양압식 제동실린더(4)로 유입시키되, 응하중변(3)의 작용에 의해 공급관(104)의 압력공기가 공급관(105)을 통해 하부 막판 피스톤(112) 하부실(115)에 공급되어 하부 막판 피스톤(112)을 상승시킴으로써 몸체 막판 피스톤(118)의 제동작용시 하부 막판 피스톤(112) 아래로 전달되는 압력을 지점 변화를 통해 해정시켜 몸체 막판 피스톤(118) 상부실(117)로 유입되는 압력공기를 공차와 영차때에 따라 조절하여 트롤리(10)의 화물 적재에 따라 필요한 제동력을 얻는 중계밸브(2);
트롤리(10)의 화물 적재량에 따라 압력 공기를 공급관(105)로 유입시켜 중계밸브(2)로 하여금 화물 적재량에 따른 제동력을 제동실린더(4)에 공급되도록 하는 응하중변(3); 및
중계밸브(2)을 경유한 압력 공기가 피스톤실로 각각 유입되어 제동수단에 의해 트롤리(10)의 차륜(10a)을 제동시키는 양압식 제동실린더(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트롤리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양압식 제동실린더(4)의 공기압력에 의해 유동되는 피스톤로드(41)에 일단이 축결합되고 중심측은 힌지축(43)에 의해 축결합되어 힌지축(43)을 축으로 회동되는 제동레버(42)와; 일단은 제동레버(42)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타단은 브레이크 라이닝(45)이 체결되는 브레이크 라이닝홀더(44)와; 트롤리(10)의 차륜(10a) 회전축(10b)에 결합되어 양압식 제동실린더(4)의 공기압력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닝홀더(44)의 브레이크 라이닝(45)과 면접촉되어 제동시키고 분리되어 제동을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디스크(10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트롤리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의 회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의 트롤리 설치도이고, 도 3은 TR 제어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응하중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중계밸브의 단면도이다.
트롤리(10)는 하단 전후 양측단에 차륜(10a)이 형성되고 양측의 차륜(10a)은 회전축(10b)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지지된다. 회전축(10b)의 중심측에는 원반형상의 브레이크 디스크(10c)가 결합되고 브레이크 디스크(10c)의 양측단에는 양압식 제동실린더(4)의 실린더실에서 외부로 돌출된 피스톤로드(41)에 축결합되어 공기압력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닝(45)을 브레이크 디스크(10c) 측면으로 밀어 제동시키는 제동레버(42)가 각각 형성된다. 트롤리(10) 브레이크 디스크(10c)의 양측에는 브라켓트(47)가 형성되고 브라켓트(47)의 일단은 레버가이드(4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동레버(42)의 중심은 힌지축(43)에 의해 레버가이드(46)에 축결합되어 회동되며 일단은 피스톤로드(41)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타단은 브레이크 라이닝홀더(44)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다. 브레이크 라이닝홀더(44)에는 브레이크 라이닝(45)이 체결되어 레버가이드(46)의 축회동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10c)의 양측면과 면접촉되어 제동되고 분리되면 제동이 해제된다.
제동장치에 동력차로부터 공급된 관통관(101)의 압력공기가 TR 제어밸브(1)의 내실(22)에 저장되고, 공기통(5)에 저장되어 공급관(102)을 통해 중계밸브(2) 상부실(T)에 공급되고, 중계밸브(2)가 동작하여 공급관(106)을 통하여 양압식 제동실린더(4)로 각각 유입시킨다.
응하중변(3)은 영차와 공차를 구별하여 출력을 달리해주는 밸브로서, 화물 적재에 따라 공급관(104)의 압력공기를 공급관(105)으로 유입시킴으로써, 중계밸브(2) 하부실(115)로 압력공기를 공급하여 하부 막판 피스톤(112)을 상승시키며, 몸체 막판 피스톤(118)의 제동작용 때 하부 막판 피스톤(112) 아래로 전달되는 압력을 지점 변화를 통해 해정시킴으로써 양압식 제동실린더(4)과 몸체 막판 피스톤(118) 상부실(117)로 유입되는 압력공기를 조절하여 트롤리(10) 화물 적재량에 따른 제동력을 얻게 된다.
양압식 제동실린더(4)는 공급관(102)의 압력 공기가 중계밸브(2) 및 공급관(106)을 경유하여 피스톤실(도시 않음)로 유입되어 제동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양압실 제동실린더(4)의 피스톤실에 유입된 압력공기는 내부에서 피스톤(도시 않음)을 양측으로 밀게되고 피스톤의 유동으로 피스톤의 일단에 결합된 피스톤로드(41)로 인해 제동레버(42)를 힌지축(43)을 축으로 차륜(10a)의 브레이크 디스크(10c) 측면방향으로 밀어 밀착시키게 된다.
제동레버(42)의 힌지축(43)은 트롤리(10) 하부에 고정된 브라켓트(47)를 연결한 레버가이드(46)의 중심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고정되며 제동레버(42)의 일단은 피스톤로드(41)의 선단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브레이크 라이닝(45)이 결합된 브레이크 라이닝홀더(44)가 결합된다.
공기통(5)은 압력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관통관(101)에 연결되어 역지변(7)을 경유하여 공기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압력 공기를 공급관(102)를 통하여 중계밸브(2)로 공급한다.
TR 제어밸브(1)는 관통관(101)으로부터 공급받아 내실(22)에 저장하고, 저장된 압력 공기를 동력차의 제동 체결시 제동 공기를 공급관(103)을 통하여 중계밸브(2)에 제공한다.
중계밸브(2)는 TR제어밸브(1)와 응하중변(3)의 작용에 의해 작동되면 공기통(5)의 공기압을 양압식 제동실린더(4)로 공기를 공급하는 밸브로서, 제동시 TR제어밸브(1)로부터 공급관(103)을 통하여 공급받은 제동 압력 공기가 몸체 막판 피스톤(118) 중간실(111)에 공급되면, 몸체 막판 피스톤(118)이 압력에 의해 상승되어 피스톤(P)의 상단부의 지점 전달부를 통해 공급변(116)을 개변하여 공기통(5)로부터 공급공기관(102)을 통하여 공급된 압력 공기를 양압식 제동실린더(4)로 유입시킨다.
이때, 응하중변(3)의 작용에 의해 공급관(104)의 압력공기가 공급관(105)을 통해 하부 막판 피스톤(112) 하부실(115)에 공급되어 하부 막판 피스톤(112)을 상승시킴으로써 몸체 막판 피스톤(118)의 제동작용시 하부 막판 피스톤(112) 아래로 전달되는 압력을 지점 변화를 통해 해정시켜 몸체 막판 피스톤(118) 상부실(117)로 유입되는 압력공기를 공차와 영차때에 따라 조절하여 트롤리(10)의 화물 적재에 따라 필요한 제동력을 얻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10)에 제동장치를 도 2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동력차에 연결된 밸브(6 또는 8)가 개방되면 압력 공기는 관통관(101)을 통하여 TR제어밸브(1)내의 역지변(21)을 경유하여 내실(22)에 저장되면서 상부실(S)에 공급되고, 한편, 역지변(7)을 경유하여 공기통(5)에 저장된다. 공기통(5)에 저장된 압력 공기는 공급관(102)을 경유하여 중계밸브(2)의 상부실(T)에 공급되고, 응하중변(3)에는 관통관(101), 역지변(7), 공급관(104)를 경유하여 상부실(t)에 압력 공기가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전방측의 동력차에서 제동을 체결하면, 즉, 관통관(101)이 감압되면, TR 제어밸브(1) 내실의 공기압은 역지변(21)에 의해 감압이 되지 않으므로 막판피스톤(18) 상부실(19)과 내실(22)간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여 막판피스톤(18)이 상승 되고, 이에 연결된 피스톤(26)이 상승되어 공급변(24)을 개방시켜 내실(22)과 연결관(23)에 의해 연통된 상부실(S)의 공기압이 관통관(101)과 같은 압력이 될 때까지 공급관(103)을 통해 중계밸브(2)의 몸체 막판 피스톤(118) 중간실(111)에 공급된다. 이에 공급된 제동 공기압에 의해 중계밸브(2)의 몸체 막판 피스톤(118)이 위로 상승되고 피스톤(P)이 상승되어 피스톤(P) 상단이 공급변(116)을 개방시킨다
이때, 중계밸브(2)의 상부실(T)에 공급되어 있던 공기통(5)에 저장된 압력 공기에 연통된 공급관(102)의 압력공기는 공급관(106)을 통하여 양압식 제동실린더(4)에 공급되고, 양압식 제동실린더(4)은 각각의 피스톤실에 압력공기가 공급되어 피스톤로드(41)를 밀게 된다.
이에 제동레버(42)는 힌지축(43)을 축으로 축회동되어 제동레버(42) 일단의 브레이크 라이닝(45)을 차륜(10a)의 브레이크 디스크(10c)에 측면 방향으로 밀어 밀착시킴으로써 트롤리(10)의 차륜(10a)에 제동력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중계밸브(2)의 몸체 막판 피스톤(118) 상부실(117)에 공급된 압력 공기(양압식 실린더와 동일 압력)는 몸체 막판 피스톤(118)의 중간실(111)에 공급된 압력공기와 상쇄되어 몸체 막판 피스톤(118)은 하강되고 공급변(116)이 차단되어 양압식 제동실린더(4)에 공급되는 압력공기는 차단된다.
영차(화물 적재 상태) 제동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하중변(3)의 작용에 의해 트롤리(10)의 화물 적재량에 비례하여 공급관(104)의 압력공기가 공급관(105)를 통해 중계밸브(2)의 하부 막판 피스톤(112) 하부실(115)로 유입되고, 몸체 막판 피스톤(118)의 제동작용 때 하부 막판 피스톤(112) 아래로 전달되는 압력을 지점 변화를 통해 해정시킴으로써, 양압식 제동실린더(4)과 몸체 막판 피스톤(118) 상부실(117)로 유입되는 압력공기는 조절되어 양압식 제동실린더(4)으로 조절된 압력공기가 공급되므로 트롤리(10)의 화물 적재량에 따른 제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트롤리(10)의 제동동작과 화물 적재량에 따라 필요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력차의 제동 체결에 의해 트롤리에 제동력이 생성된 후 제동 해제를 위해서는 동력차에서 제동 완해를 시행하여 관통관(101)에 다시 공기압이 공급되면, TR 제어밸브(1) 막판피스톤(18) 상부실(19)에 공급되어 막판피스톤(18)을 하강시키게 되고 이에 피스톤(26)이 하강하여 공급변(S)과 분리되면, 피스톤(S) 내의 통로를 통해 공급관(103)과 중계밸브(2) 몸체 막판 피스톤(118) 중간실(111)에 공급된 제동 압력이 배기구(25)를 통해 배출된다. 이로 인해 중계밸브(2) 몸체 막판 피스톤(118)이 상부실(117)의 공기압으로 인해 하강하게 되고 피스톤(P)도 하강하여 공급변(116)과 분리되면, 피스톤(P) 내의 통로를 통해 공급관(106)과 양압식 제동실린더(4)에 공급된 공기 압력이 배기구(119)를 통해 배출되어 트롤리의 제동력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관통형 트롤리용 제동장치를 이용함으로서, 제동장치의 구조가 간편화할 수 있어 보수 유지가 용이하고 정밀도를 향상시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화물 적재량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제동력을 얻을 수 있으며, 1개의 관통관을 사용하여 제동장치가 동작되도록 하며, 동력차와 분리되는 경우 트롤리에는 자동으로 제동력이 생성될 수 있어 연결관의 파손에 의한 차량 전체의 제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아 제동력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TR 제어밸브 2: 중계밸브
3: 응하중변 4: 양압식 제동실린더
5: 공기통 6: 연결밸브
7: 역지변 8: 연결밸브
18:막판 피스톤 19: 상부실
20: 통로 21: 역지변
22: 내실 23: 연결관
24: 공급변 25: 배기구
26: 피스톤축 41: 피스톤로드
42: 제동레버 43: 힌지축
44: 브레이크 라이닝홀더 45: 브레이크 라이닝
46: 레버가이드 47: 브라켓트
10 : 트롤리 10a : 차륜
10b : 회전축 10c : 브레이크 디스크
111 : 중간실 112 : 하부 막판 피스톤
115 : 하부실 116 : 공급변
117 : 상부실 118 : 몸체 막판 피스톤
119 : 배기구 P : 피스톤
S : 상부실

Claims (2)

  1. 관통형 트롤리 제동장치에 있어서;
    압력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관통관(101)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압력 공기를 공급관(102)를 통하여 중계밸브(2)로 공급하는 공기통(5);
    관통관(101)으로부터 압력 공기를 공급받아 막판피스톤(18) 상부실(19)에 공급되면, 막판피스톤(18)이 압력에 의해 하강하고, 통로(20)와 역지변(21)을 통해 내실(22)에 저장하고, 저장된 압력 공기를 동력차 제동 체결시 압력 공기를 공급관(103)을 통하여 중계밸브(2)에 제공하는 TR 제어밸브(1);
    TR제어밸브(1)로부터 공급관(103)을 통하여 공급받은 제동실린더의 압력 공기가 몸체 막판 피스톤(118) 중간실(111)에 공급되면, 몸체 막판 피스톤(118)이 압력에 의해 상승되어 피스톤(P)의 상단부의 지점 전달부를 통해 공급변(116)을 개변하여 공기통(5)로부터 공급관(102)을 통하여 공급된 압력 공기를 양압식 제동실린더(4)로 유입시키되, 응하중변(3)의 작용에 의해 공급관(104)의 압력공기가 공급관(105)을 통해 하부 막판 피스톤(112) 하부실(115)에 공급되어 하부 막판 피스톤(112)을 상승시킴으로써 몸체 막판 피스톤(118)의 제동작용시 하부 막판 피스톤(112) 아래로 전달되는 압력을 지점 변화를 통해 해정시켜 몸체 막판 피스톤(118) 상부실(117)로 유입되는 압력공기를 공차와 영차때에 따라 조절하여 트롤리(10)의 화물 적재에 따라 필요한 제동력을 얻는 중계밸브(2);
    트롤리(10)의 화물 적재량에 따라 영차와 공차를 구별하여 공급관(104)의 압력공기를 공급관(105)으로 유입시킴으로써, 중계밸브(2) 하부실(115)로 압력공기를 공급하여 하부 막판 피스톤(112)을 상승시키며, 몸체 막판 피스톤(118)의 제동작용 때 하부 막판 피스톤(112) 아래로 전달되는 압력을 지점 변화를 통해 해정시킴으로써 양압식 제동실린더(4)와 몸체 막판 피스톤(118) 상부실(117)로 유입되는 압력공기를 출력을 달리하여 조절하여 중계밸브(2)로 하여금 화물 적재량에 따른 제동력을 제동실린더(4)에 공급하는 응하중변(3); 및
    중계밸브(2)을 경유한 압력 공기가 피스톤실로 각각 유입되어 제동수단에 의해 트롤리(10)의 차륜(10a)을 제동시키는 양압식 제동실린더(4);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동수단은 양압식 제동실린더(4)의 공기압력에 의해 유동되는 피스톤로드(41)에 일단이 축결합되고 중심측은 힌지축(43)에 의해 축결합되어 힌지축(43)을 축으로 회동되는 제동레버(42)와; 일단은 제동레버(42)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타단은 브레이크 라이닝(45)이 체결되는 브레이크 라이닝홀더(44)와; 트롤리(10)의 차륜(10a) 회전축(10b)에 결합되어 양압식 제동실린더(4)의 공기압력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닝홀더(44)의 브레이크 라이닝(45)과 면접촉되어 제동시키고 분리되어 제동을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디스크(10c)가 구비된 것이고,
    영차 제동시에는 응하중변(3)의 작용에 의해 트롤리(10)의 화물 적재량에 비례하여 공급관(104)의 압력공기가 공급관(105)를 통해 중계밸브(2)의 하부 막판 피스톤(112) 하부실(115)로 유입되고, 몸체 막판 피스톤(118)의 제동작용 때 하부 막판 피스톤(112) 아래로 전달되는 압력을 지점 변화를 통해 해정시킴으로써, 양압식 제동실린더(4)과 몸체 막판 피스톤(118) 상부실(117)로 유입되는 압력공기는 조절되어 양압식 제동실린더(4)으로 조절된 압력공기가 공급되므로 트롤리(10)의 화물 적재량에 따른 제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제동 해제는 동력차에서 제동 완해를 시행하여 관통관(101)에 다시 공기압이 공급되면, TR 제어밸브(1) 막판피스톤(18) 상부실(19)에 공급되어 막판피스톤(18)을 하강시키게 되고 이에 피스톤(26)이 하강하여 공급변(S)과 분리되면, 피스톤(26) 내의 통로를 통해 공급관(103)과 중계밸브(2)의 몸체 막판 피스톤(118) 중간실(111)에 공급된 제동 압력이 배기구(25)를 통해 배출되고, 이로 인해 중계밸브(2) 몸체 막판 피스톤(118)이 상부실(117)의 공기압으로 인해 하강하게 되고 피스톤(P)도 하강하여 공급변(116)과 분리되면, 피스톤(P) 내의 통로를 통해 공급관(106)과 양압식 제동실린더(4)에 공급된 공기 압력이 배기구(119)를 통해 배출되어 트롤리의 제동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트롤리용 제동장치.
  2. 삭제
KR1020170001796A 2017-01-05 2017-01-05 관통형 트롤리 제동 장치 Active KR101921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796A KR101921505B1 (ko) 2017-01-05 2017-01-05 관통형 트롤리 제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796A KR101921505B1 (ko) 2017-01-05 2017-01-05 관통형 트롤리 제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809A KR20180080809A (ko) 2018-07-13
KR101921505B1 true KR101921505B1 (ko) 2019-02-13

Family

ID=6291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796A Active KR101921505B1 (ko) 2017-01-05 2017-01-05 관통형 트롤리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782A (zh) * 2019-05-06 2019-07-30 余姚心智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有紧急制动的压力活塞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82945B (zh) * 2022-07-08 2024-02-09 华北电力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西安分公司 一种风电机组气动制动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6936B1 (ja) 2009-11-25 2011-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
JP2011064851A (ja) 2009-09-16 2011-03-31 Seiko Epson Corp 反射スクリーン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431B1 (ko) * 1998-02-25 2001-12-28 안원기 화차용제동장치
KR100365681B1 (ko) * 1999-10-09 2002-12-26 안진원 영공식 화차용 제동장치
KR100413347B1 (ko) * 2001-12-11 2004-01-07 최은순 트롤리용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4851A (ja) 2009-09-16 2011-03-31 Seiko Epson Corp 反射スクリーン
JP4616936B1 (ja) 2009-11-25 2011-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782A (zh) * 2019-05-06 2019-07-30 余姚心智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有紧急制动的压力活塞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809A (ko) 2018-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4902A (en) Braking system for a light rail vehicle
US3845991A (en) Brake system for a light rail vehicle
CN108137022B (zh) 用于控制铁路车辆的制动的电动气动设备
CN102216134A (zh) 用于中型或重型卡车的优化再生制动的行车制动控制系统
CN102056779A (zh) 用于车辆的制动装置
CN102056780A (zh) 用于车辆的具有蓄压器的制动装置
JPH06206532A (ja) スキッドコントロール装置を有する液圧式自動車ブレーキ装置
KR101921505B1 (ko) 관통형 트롤리 제동 장치
JPS63242756A (ja) ロツキング防止手段を備えた車両の液圧ブレーキ装置
JPS58450A (ja) アンチロツク制動装置
JP3599774B2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装置を備えた液圧式の車両ブレーキ装置
CN103260971B (zh) 用于车辆的压力传递装置、助力制动系统以及方法
US3240291A (en) Vehicle braking system
US2088184A (en) Braking apparatus for railway and other vehicles
US1926296A (en) Hydro pneumatic motor
US1091596A (en) Load-controlled air-brake.
US2911263A (en) Booster brake mechanism
US2132916A (en) Brake control device
KR100413347B1 (ko) 트롤리용 제동장치
US2243450A (en) Brake and sanding control means
KR100348084B1 (ko) 자동차의 언덕길 발진보조장치
US2822220A (en) Combined fluid pressure and vacuum brake apparatus
JPS602224B2 (ja) 車両用アンチスキツド装置
KR200229986Y1 (ko) 화차 제동장치용 막판식 제어밸브
US2490998A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brake cylinder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0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5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