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183B1 - Vibrating screen - Google Patents
Vibrating scre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0183B1 KR101920183B1 KR1020180078069A KR20180078069A KR101920183B1 KR 101920183 B1 KR101920183 B1 KR 101920183B1 KR 1020180078069 A KR1020180078069 A KR 1020180078069A KR 20180078069 A KR20180078069 A KR 20180078069A KR 101920183 B1 KR101920183 B1 KR 1019201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iking
- hitting
- filter net
- mounting space
- aggreg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투입된 골재를 크기 별로 선별하기 위한 진동스크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골재는 하천·산림·공유수면 기타 지상·지하 등에 부존 되어 있는 암석(쇄석용에 한한다), 모래 또는 자갈로서 건설공사의 기초 재료로 쓰이는 것을 말한다.Aggregates are used as raw materials for construction work in rivers, forests, shared waters and other ground or underground rocks (for crushing), sand or gravel.
골재는 진동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는 골재 선별 장치에서 입도별로 선별 분리된다.The aggregate is screened by particle size in an aggregate sort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vibration screen.
골재 중 진동 스크린의 망 크기보다 작은 골재는 진동 스크린을 통과하여 아래로 통과하고 망 크기보다 큰 골재는 진동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고 진행하여, 망 크기에 의해 골재는 크기에 따라 분류된다.Aggregates smaller than the mesh size of the vibration screen pass through the vibration screen and pass downward. Aggregates larger than the mesh size proce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vibration screen, and the aggregat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sh size.
그러나, 골재가 젖어 있거나 우천시 골재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분말이 물과 수화 작용을 하여 골재 선별 장치의 진동 스크린의 망이 막히거나 표면장력 등에 의해 골재에 부착된 상태로 골재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However, in the process of wetting the aggregate or crushing the aggregate in the rain, the powder may be hydrated with water and the mesh of the vibration screen of the aggregate sorting apparatus may be clogged or may b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aggregate while being attached to the aggregate by surface tension or the like.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스크린의 망 사이에 개재된 골재에 의해, 골재의 선별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진동스크린의 망을 타격하여, 망 사이에 개재된 골재를 탈락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function of the aggregate separating device can not be performed by the aggregate interposed between the mesh screens of the vibration screen, And to provide a device for dropping of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크린은, 투입된 골재를 크기 별로 선별하기 위한 진동스크린에 있어서, 상측 개구를 통해 투입된 골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프레임,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프레임을 진동시키는 진동부,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장착되어, 투입된 상기 골재를 필터링하는 필터망부 및 상기 필터망부에 개재된 골재가 탈락되도록, 상기 필터망부를 타격하는 탈락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탈락유도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연결된 채, 상측이 개구된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장착공간부 및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된 수용위치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된 채, 상기 필터망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타격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진동부에 의한 진동에 연동되어, 상기 필터망부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용공간을 규정하는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대향하는 제2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공간부는, 상기 제1 측면부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는, 일측은 상기 제1 측면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장착공간부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타격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측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A vibra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brating screen for sorting input aggregate by size. The vibrating screen provides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ggregate introduced through an upper opening, a frame form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A filter net mounted on a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for filtering the aggregate, and a filter net part for filtering the aggregate material, Wherein the detachment inducing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mounting space from the mounting space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space and the mounting space portion forming the mounting space having the upper side opened while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ame, Wherein the filter unit is moved to a striking posi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net part, interlocked with the vibration of the vibrating unit, Wherein the frame has a first side portion defining the accommodation space, a second side portion facing the first side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Wherein the mounting space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and the hit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portion whe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ortio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portion when the first side is rotated and positioned at the hitting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크린의 상기 타격부는, 상기 제1 측면부에 연결된 채, 회동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결된 복수의 타격봉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타격봉은, 상기 회동부를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진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의 상하측 운동에 따라, 상기 회동부를 기준으로 요동칠 수 있다. The striking portion of the vibr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wivel portion that is rotat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ortion and a plurality of striking rods that are connected to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vel portion, The striking rod is oscill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ference to the swinging portion, and can swing about the swing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of the swing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크린의 상기 타격부는, 상기 수용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된 이탈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이탈위치에서 제2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필터망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타격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방향은, 도복된 상태로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된 상기 타격부가 기립되기 위한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되어 기립된 상기 타격부가 상기 필터망부의 상측으로 도복되기 위한 방향이며, 상기 수용위치의 상기 타격부의 위치와 상기 타격위치의 상기 타격부의 위치는 수직 관계일 수 있다.The hitting portion of the vibr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moved to the release position deviated from the mounting space and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at the release position, Wherein the first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strik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space is raised in a covered state and the second direction is deviated from the mounting space And the position of the striking part at the receiving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striking part at the striking position may be a vertical relationshi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크린의 상기 복수의 타격봉 각각은, 상기 회동부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의 종단면적보다 큰 구 형상의 해머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는, 서로 겹쳐져 길이가 줄어들도록 동심 상에 다단으로 단면의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striking rods of the vibr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nd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urn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striking portions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And the hammer portion may be formed in a multi-stage cross-sectional size so as to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o be reduced in leng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크린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회동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조절부 및 상기 제1 조절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타격봉 각각은, 일측은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해머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조절부 및 상기 제2 조절부의 내부를 관통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 조절부가 상기 제1 조절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길이로 유지되다가, 상기 회동부의 진동에 따라 상기 해머부의 상기 회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힘에 의해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조절부가 상기 제1 조절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extension portion of the vibr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adjustment portion mounted to be movable in the rotary portion and a second adjustment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adjustment portion, Each of the rods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portion connected to the rotary portion at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hammer portion at the other side and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adjusting portion and the second adjusting portion, A second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by a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ivoting portion of the hammer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vibration of the pivoting portion, the second length being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So that the second adjuster can be moved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adjus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크린의 상기 탄성부는, 상기 회동부의 진동에 따라, 상기 회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해머부의 상기 회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힘이 상이한 경우, 탄성 변형 정도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길이를 가변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타격봉 각각의 길이가 상이한 상태로 요동치도록 할 수 있다.The elastic portion of the vibr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or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rotary portion of the hammer portion is differ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portion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rotary portion, The length of the extended portion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striking ba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크린의 상기 복수의 타격봉은, 상기 회동부의 진동에 따라, 각각의 상기 회동부를 기준으로 한 높이가 상이한 상태로 요동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triking rods of the vibr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wung with different heights with reference to the respective swinging portions in accordance with the vibrations of the swinging por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크린의 상기 장착공간부는, 상기 타격부가 상기 수용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는,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에 의해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타격부의 상기 수용부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할 수 있다.The mounting space of the vibra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hitting portion when the hitt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receiving position and accommodating the other end of the hitting portion ,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first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maller size than the width of the other end of the hitting portion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he other end of the striking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and the striking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depart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by the restoring force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크린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타격부가 상기 타격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을 수용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이격부, 제2 이격부 및 상기 제1 이격부와 상기 제2 이격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로 형성된 완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이격부 및 상기 제2 이격부는,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에 의해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타격부의 상기 장착부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타격부의 요동 시, 상기 타격부의 요동에 의한 상기 제1 이격부 및 상기 제2 이격부의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다.The frame of the vibr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hitting portion and accommodating the other end of the hitting portion when the hitt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hitting position,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buffer portion formed of a first spacing portion and a second spac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mall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other end of the striking portion and a buff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pacing portion and the second spacing portion, And the first spacing portion and the second spacing portion are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by the other end of the striking portion introduced into the spacing space and the stiffness of the striking portion Wherein the buffering portion restricts the separation of the first portion from the first portion due to the swinging movement of the hitting portion when the hitting portion is pivoted into the spacing space, Unit and it is possible to attenuate the impact and the second spaced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망에 개재된 골재를 탈락시키기 위하여, 필터망을 가변적 위치와 시간 간격으로 타격하여, 효율적으로 개재된 골재를 탈락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rop the aggregate interposed in the filter net, the filter net can be struck at a variable position and time interval to efficiently drop the intercalated aggregate.
또한, 필터망에 의한 지속적인 선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골재의 입도 개선, 생산율 증가, 분리효율 증가효과를 누릴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erform continuous screening work by the filter network, thereby improving the particle size of the aggregate, increasing the production rate and increas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크린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크린의 탈락유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opout guide portion of the vibr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7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strik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ount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크린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크린의 탈락유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ibra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vibration screen detachment ind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스크린(1)은, 투입된 골재를 크기 별로 선별하기 위한 장치이다.1 to 3, the vibrating
상기 진동스크린(1)은, 프레임(10), 진동부(미도시), 필터망부(30) 및 탈락유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ng
상기 프레임(10)은, 상측 개구를 통해 투입된 골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S)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밑면의 크기가 옆면의 크기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진동부에 의한 진동에 의해, 투입된 골재가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상기 필터망부(30)에 의해 필터링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필터링이란, 투입된 골재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과정이다. Here, filtering is a process of sorting the supplied aggregate according to its size.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측면 중,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측에 위치한 일측면은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S)에 수용된 골재가 경사진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상기 진동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프레임(1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부에 의한 진동은 상기 프레임(10)을 상하로 진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vibrating unit can vibrate the
상기 필터망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수용공간(S)에 장착되어, 투입된 골재를 필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망부(30)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일종의 망으로서, 통공의 크기보다 큰 골재는 상기 필터망부(30)의 상측에서 경사진 프레임(10)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통공의 크기보다 작은 골재는 상기 필터망부(30)를 통과한 채, 상기 프레임(10)의 수용공간(S)에 수용된 채, 별도로 수집될 수 있다.The
상기 필터망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수용공간(S)에 장착되어, 투입된 상기 골재를 필터링 할 수 있다.The
상기 탈락유도부(20)는, 상기 필터망부(30)에 개재된 골재가 탈락되도록, 상기 필터망부(30)를 타격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망부(30)에 개재된 골재란, 상기 필터망부(30)의 통공에 끼어, 통공을 통한 필터 작업이 용이하게 구현되지 못하도록 하는 골재를 의미한다.The
상기 탈락유도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면에 연결된 채, 상측이 개구된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장착공간부(21) 및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된 수용위치(도 8 참조)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된 채, 상기 필터망부(30)의 상측에 배치되는 타격위치(도 1 참조)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진동부에 의한 진동에 연동되어, 상기 필터망부(30)를 타격하는 타격부(23)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수용공간(S)을 규정하는 제1 측면부(11), 상기 제1 측면부(11)와 대향하는 제2 측면부(12), 상기 제1 측면부(11)와 상기 제2 측면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5)를 구비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제1 측면부(11), 상기 제2 측면부(12) 및 상기 연결부(15)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체가 아닌 일부를 지칭한다. 상측이 개방된 상기 프레임(10)은 4개의 면을 구비할 수 있는데, 밑면, 제1 측면부(11), 제2 측면부(12) 및 연결부(15)(2개)이다.Here, the first
상기 장착공간부(21)는, 상기 제1 측면부(11)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11)의 외측면이란, 상기 수용공간(S)을 규정하는 내측면의 반대면을 의미한다.The
상기 타격부(23)의 일측은 상기 제1 측면부(11)의 외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타격부(23)의 타측은 상기 수용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장착공간부(21)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타격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상기 타격부(23)의 수용위치란, 상기 타격부(23)가 상기 프레임(10)의 수용공간(S) 외측에 위치한 채, 상기 장착공간부(21)에 수용된 상태의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타격부(23)가 수용위치에 위치하는 경우는, 상기 필터망부(30)에 개재된 골재가 많지 않아, 상기 필터망부(30)에 의한 필터링이 원활한 경우이다.The receiving position of the
상기 타격부(23)의 타격위치란, 상기 타격부(23)가 상기 프레임(10)의 수용공간(S) 내에 위치한 채, 상기 필터망부(30)의 상측에 배치된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타격부(23)가 타격위치에 위치하는 경우는, 상기 필터망부(30)에 개재된 골재가 많아, 상기 필터망부(30)에 의한 필터링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이다.The striking position of the
상기 타격부(23)의 상기 수용위치와 상기 타격위치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필터망부(30)에 개재된 골재를 탈락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타격부(23)를 상기 장착공간부(21)의 장착공간에 수용된 수용위치로 위치 이동시켜, 상기 필터망부(30)에 의한 투입된 골재의 필터링이 상기 타격부(23)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하며, 상기 필터망부(30)에 개재된 골재를 탈락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타격부(23)를 상기 수용위치에서 상기 타격위치로 위치 이동시켜, 상기 필터망부(30)에 개재된 골재를 탈락시킬 수 있는 것이다.Since it is possible to move the receiving position of the
또한, 상기 타격부(23)는, 상기 타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을 진동시키는 진동부와 별도로, 제공된 진동장치를 통해 진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진동부에 의한 가동이 멈춘 후, 상기 타격부(23)만이 별도의 진동장치에 의해 진동되도록 하여, 상기 필터망부(30)를 가격할 수 있다.Further, the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4 to 7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strik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타격부(23)는, 상기 제1 측면부(11)에 연결된 채, 회동되는 회동부(231) 및 상기 회동부(2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결된 복수의 타격봉(233)을 구비할 수 있다.4 to 7, the
상기 복수의 타격봉(233)은, 상기 회동부(231)를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진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회동의 상하측 운동에 따라, 상기 회동부(231)를 기준으로 요동칠 수 있다.The plurality of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부(231)는, 상기 진동부에 의한 진동에 따라, 상하로 진동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부(231)를 기준으로 상하로 진동하는 상기 복수의 타격봉(233)은, 상기 회동부(231)의 진동에 따라, 상하로 진동하므로써, 하측에 위치한 필터망부(30)를 타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필터망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진동에 따라 연동되어 진동 중에, 상기 복수의 타격봉(233)에 의해 가격되어 상기 필터망부(30)의 통공 사이에 개재된 골재가 외부로 탈락될 수 있다.The filter
상기 타격부(23)는, 상기 수용위치에서, 제1 방향(D1, 도 2 참조)으로 회동되어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된 이탈위치(도 2 참조)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이탈위치에서 제2 방향(D2, 도 3 참조)으로 회동되어 상기 필터망부(30)의 상측에 배치되는 타격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hitting
여기서, 상기 제1 방향(D1)은, 도복된 상태로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된 상기 타격부(23)가 기립되기 위한 방향일 수 있다.Here, the first direction D1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또한,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되어 기립된 상기 타격부(23)가 상기 필터망부(30)의 상측으로 도복되기 위한 방향일 수 있다.The second direction D2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여기서, 상기 수용위치의 상기 타격부(23)의 위치와 상기 타격위치의 상기 타격부(23)의 위치는 수직관계일 수 있다.Here, the position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위치의 상기 타격부(23)의 위치는, 상기 복수의 타격봉(233)이 상기 프레임(10)의 외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도 8 참조)이며, 상기 타격위치의 상기 타격부(23)의 위치는, 상기 복수의 타격봉(233)이 상기 프레임(10)의 수용공간(S)에 설치된 필터망부(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도 1 참조)이다.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타격봉(233) 각각은, 상기 회동부(23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233a) 및 상기 연장부(233a)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233a)의 종단면적보다 큰 구 형상의 해머부(233b)를 구비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상기 연장부(233a)는, 서로 겹쳐져 길이가 줄어들도록 동심 상에 다단으로 단면의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부(233a)는, 상기 회동부(231)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조절부(2331) 및 상기 제1 조절부(2331)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조절부(2332)를 구비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복수의 타격봉(233) 각각은, 일측은 상기 회동부(23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해머부(233b)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조절부(2331) 및 상기 제2 조절부(2332)의 내부를 관통하는 탄성부(2333)를 구비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상기 탄성부(2333)는, 상기 제2 조절부(2332)가 상기 제1 조절부(233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길이로 유지되다가, 상기 회동부(231)의 진동에 따라 상기 해머부(233b)의 상기 회동부(2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힘에 의해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조절부(2332)가 상기 제1 조절부(233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탄성부(2333)는, 상기 회동부(231)의 진동에 따라, 상기 회동부(2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해머부(233b)의 상기 회동부(2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힘이 상이한 경우, 탄성 변형 정도에 따라 상기 연장부(233a)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타격봉(233) 각각의 길이가 상이한 상태로 요동치도록 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복수의 타격봉(233)은, 상기 회동부(231)의 진동에 따라, 각각의 상기 회동부(231)를 기준으로 한 높이가 상이한 상태로 요동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정리하면, 상기 복수의 타격봉(233)은, 상기 프레임(10)의 상하운동 및 상기 회동부(231)의 상하운동에 따라, 또한 상기 프레임(10)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 인가된 외력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복수의 타격봉(233) 각각의 상하운동 주기 및 길이 가변 주기를 변화시켜, 다양한 세기와 주기로 상기 필터망부(30)를 가격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이는, 상기 필터망부(30)의 통공에 강하게 정착된 골재를 외부로 탈락시키기 위한 불규칙한 타격을 가능하도록 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irregularly strike the aggregate material strongly fix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filter
만약, 상기 복수의 타격봉(233)이 일정한 힘과 일정한 주기로만 상기 필터망부(30)를 가격한다면, 상기 필터망부(30)에 다양한 형태와 세기로 개재된 골재를 탈락시키기에 부족할 것이다.If the plurality of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ount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공간부(21)는, 상기 타격부(23)가 상기 수용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타격부(23)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23)의 타측 끝단을 수용하는 수용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8, a mounting
상기 수용부(211)는, 상기 타격부(23)의 타측 끝단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수용부(211a) 및 제2 수용부(211b)를 구비할 수 있다.The receiving
상기 제1 수용부(211a) 및 상기 제2 수용부(211b)는,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타격부(23)의 타측 끝단에 의해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타격부(23)의 상기 수용부(211)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수용부(211)에 수용된 상기 타격부(23)는, 상기 프레임(10)의 진동에 의해, 상기 수용부(211)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211)에 상기 타격부(23)가 안착되었다는 것은, 상기 타격부(23)에 의한 상기 필터망부(30)의 타격이 불필요한 경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진동부에 의한 상기 프레임(10)의 진동이 진행되는 경우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타격부(23)의 상기 장착공간 내에서의 고정된 위치는, 진동에 따른 부재간의 충돌 및 충격을 방지하여, 부재의 파손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은, 상기 타격부(23)가 상기 타격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타격부(23)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23)의 타측 끝단을 수용하는 장착부(16)를 구비할 수 있다.9, the
상기 장착부(16)는, 상기 타격부(23)의 타측 끝단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이격부(161), 제2 이격부(162) 및 상기 제1 이격부(161)와 상기 제2 이격부(162)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로 형성된 완충부(163)를 구비할 수 있다.The mounting
상기 제1 이격부(161) 및 상기 제2 이격부(162)는,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타격부(23)의 타측 끝단에 의해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타격부(23)의 상기 장착부(16)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할 수 있다.The
상기 완충부(163)는,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타격부(23)의 요동 시, 상기 타격부(23)의 요동에 의한 상기 제1 이격부(161) 및 상기 제2 이격부(162)의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다.The
상기 장착부(16)에 수용된 상기 타격부(23)는, 상기 프레임(10)의 진동에 의해, 상기 장착부(16)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16)에 상기 타격부(23)가 안착되었다는 것은, 상기 타격부(23)에 의한 상기 필터망부(30)의 타격이 필요한 경우일 수 있으며, 상기 진동부에 의한 상기 프레임(10)의 상하운동에 상기 회동부(231)는 연동되어 상하 운동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복수의 타격봉(233)은 상기 회동부(231)를 기준으로 상하운동할 수 있다.The
상기 장착부(16)에 수용된 상기 타격부(23)는, 상기 프레임(10)의 상하운동 및 상기 복수의 타격봉(233)에 의한 상하운동에 따라 요동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장착부(16)와 접촉된 상기 타격부(23)의 일부분은, 상기 장착부(16)와의 충돌이 지속되어 부재의 파손 및 손상이 가속화될 수 있으나, 상기 장착부(16) 내에 형성된 상기 완충부(163)에 의해 상기 장착부(16)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이 감쇄되어 양 부재간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진동스크린
10: 프레임
S: 수용공간
20: 탈락유도부
23: 타격부
231: 회동부
233b: 해머부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30: 필터망부1: vibration screen
10: frame
S: accommodation space
20:
23:
231:
233b:
D1: the first direction
D2: the second direction
30: filter net
Claims (9)
상측 개구를 통해 투입된 골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프레임;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통해, 상기 프레임을 진동시키는 진동부;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장착되어, 투입된 상기 골재를 필터링하는 필터망부; 및
상기 필터망부에 개재된 골재가 탈락되도록, 상기 필터망부를 타격하는 탈락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탈락유도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연결된 채, 상측이 개구된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장착공간부 및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된 수용위치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된 채, 상기 필터망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타격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진동부에 의한 진동에 연동되어, 상기 필터망부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용공간을 규정하는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대향하는 제2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공간부는, 상기 제1 측면부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는,
일측은 상기 제1 측면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장착공간부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타격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측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스크린.
A vibration screen for sorting input aggregate by size,
A frame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ggregate charged through the upper opening and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 vibrating unit for vibrating the frame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A filter net moun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for filtering the aggregate; And
And a dislocation inducing part for striking the filter net part so that the aggregate interposed in the filter net part is removed,
Preferably,
A mounting space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ame, the mounting space portion defining a mounting space opened at an upper side thereof,
The filter unit is moved from a receiving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space to a striking position displaced from the mounting space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net part so that the striking part striking the filter net part interlocks with the vibration by the vibrating unit Respectively,
The frame includes:
A first side surface portion defining the accommodation space, a second side surface portion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Wherein the mounting space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The hitting portion
One sid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space part when the other side is located at the receiving position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part when the first side is rotated based on the one side and is located at the hitting position.
상기 타격부는,
상기 제1 측면부에 연결된 채, 회동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결된 복수의 타격봉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타격봉은,
상기 회동부를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진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의 상하측 운동에 따라, 상기 회동부를 기준으로 요동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스크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t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striking rod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winging por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nging portion,
The plurality of striking rods
Wherein the swinging portion is oscillated up and down with reference to the swinging portion so as to swing about the swing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winging portion.
상기 타격부는,
상기 수용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된 이탈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이탈위치에서 제2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필터망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타격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방향은, 도복된 상태로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된 상기 타격부가 기립되기 위한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되어 기립된 상기 타격부가 상기 필터망부의 상측으로 도복되기 위한 방향이며,
상기 수용위치의 상기 타격부의 위치와 상기 타격위치의 상기 타격부의 위치는 수직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스크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itting portion
The filter is rotated in a first direction to move to a release position deviating from the mounting space and is rotated in a second direction at the release position and is moved to a blow posi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net portion,
Wherein the first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strik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space is raised in an overlapped state,
Wherein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striking portion, which is raised and separated from the mounting space, is overlapped on the filter net portion,
Wherein the position of the hitting portion at the receiving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hitting portion at the hitting position are in a vertical relationship.
상기 복수의 타격봉 각각은,
상기 회동부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의 종단면적보다 큰 구 형상의 해머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는,
서로 겹쳐져 길이가 줄어들도록 동심 상에 다단으로 단면의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스크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riking rods comprises:
An extension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tary part, and a spherical hammer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part and having a larger terminal area than the extension part,
The extension
Wherein the vibrating screen is formed in a multi-stage shape having a different cross-sectional size on a concentric circle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nd to have a reduced length.
상기 연장부는, 상기 회동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조절부 및 상기 제1 조절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타격봉 각각은,
일측은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해머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조절부 및 상기 제2 조절부의 내부를 관통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 조절부가 상기 제1 조절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길이로 유지되다가, 상기 회동부의 진동에 따라 상기 해머부의 상기 회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힘에 의해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조절부가 상기 제1 조절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스크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xtending portion includes a first adjusting portion that is mounted to be movable in the turning portion and a second adjusting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adjusting portio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riking rods comprises:
And an elastic part connected to the hammer part and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adjusting part and the second adjusting part,
The elastic portion
The second adjusting portion is held in the first length in a state where the second adjus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adjusting portion and the second adjusting portion is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by a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urning portion of the hammer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vibration of the turning portion And elastically deformed to a second length so that the second adjuster is moved out of the interior of the first adjuster.
상기 탄성부는,
상기 회동부의 진동에 따라, 상기 회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해머부의 상기 회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힘이 상이한 경우, 탄성 변형 정도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타격봉 각각의 길이가 상이한 상태로 요동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스크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lastic portion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ortion is var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when the for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rotary portion of the hammer por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rotary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portion, So that the rods are oscillated in different lengths.
상기 복수의 타격봉은,
상기 회동부의 진동에 따라, 각각의 상기 회동부를 기준으로 한 높이가 상이한 상태로 요동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스크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lurality of striking rods
Wherein the vibrating screen is oscillated in a state in which the height based on each of the turning portions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turning portion.
상기 장착공간부는,
상기 타격부가 상기 수용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는,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에 의해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타격부의 상기 수용부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스크린.
The method of claim 3,
The mounting space portion
And a receiving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hitting portion to receive the other end of the hitting portion when the hitt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receiving position,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nd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iz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ther end of the hitting por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by the other end of the striking portion that has flowed into the striking space, and restricting the striking portion from departing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by restoring force by elastic deformation.
상기 프레임은,
상기 타격부가 상기 타격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을 수용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이격부, 제2 이격부 및 상기 제1 이격부와 상기 제2 이격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로 형성된 완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이격부 및 상기 제2 이격부는,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타격부의 타측 끝단에 의해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탄성 변형되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타격부의 상기 장착부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타격부의 요동 시, 상기 타격부의 요동에 의한 상기 제1 이격부 및 상기 제2 이격부의 충격을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스크린.9. The method of claim 8,
The frame includes:
And a mounting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hitting portion to receive the other end of the hitting portion when the hitt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hitting position,
Wherein,
And a buffer part formed by a first spacing part and a second spacing pa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mall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other end of the hitting part and a buff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pacing part and the second spacing part,
Wherein the first spacing portion and the second spacing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elastic member is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by the other end of the striking portion introduced into the striking space, and restricting the striking portion from separating from the striking portion by restoring force by elastic deformation,
The buffering portion
Wherein when the swinging part of the striking part introduced into the striking space swings, impacts of the first striking part and the second striking part due to the swinging of the striking part are attenua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8069A KR101920183B1 (en) | 2018-07-05 | 2018-07-05 | Vibrating scre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8069A KR101920183B1 (en) | 2018-07-05 | 2018-07-05 | Vibrating scree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0183B1 true KR101920183B1 (en) | 2018-11-19 |
Family
ID=6456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8069A Active KR101920183B1 (en) | 2018-07-05 | 2018-07-05 | Vibrating scree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018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8957B1 (en) | 2019-10-29 | 2019-12-24 | 정승훈 | Flip-flow screen machine |
KR102118213B1 (en) | 2019-10-29 | 2020-06-03 |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 Sorting system for recycling of cinder |
KR102757555B1 (en) | 2023-11-09 | 2025-01-21 | 합자회사 대선환경 | Multi-degree-of-freedom vibrating screen that improves screening performan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30323A (en) | 2007-07-26 | 2009-02-12 | Green Arm Co Ltd | Screening device for classifying asphalt mixture for pavement on road continuously while moving the same |
-
2018
- 2018-07-05 KR KR1020180078069A patent/KR1019201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30323A (en) | 2007-07-26 | 2009-02-12 | Green Arm Co Ltd | Screening device for classifying asphalt mixture for pavement on road continuously while moving the sam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8957B1 (en) | 2019-10-29 | 2019-12-24 | 정승훈 | Flip-flow screen machine |
KR102118213B1 (en) | 2019-10-29 | 2020-06-03 |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 Sorting system for recycling of cinder |
KR102757555B1 (en) | 2023-11-09 | 2025-01-21 | 합자회사 대선환경 | Multi-degree-of-freedom vibrating screen that improves screening performan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1955B1 (en) | Grain sorting device for horizontal and vertical vibration | |
KR100838259B1 (en) | Aggregate Vibration Separator | |
KR101920183B1 (en) | Vibrating screen | |
KR101782330B1 (en) | Screen for screening soil with composite vibration function | |
CN210847106U (en) | Vibrating screen | |
CN211443870U (en) | Vibrating feeder for mining | |
KR101786946B1 (en) | a sorting screen apparartus for Construction sludge | |
CN211865802U (en) | Sand screening machine for building construction | |
KR100854374B1 (en) | Grizzly Coke Screen Prevents Clogging | |
JP2791941B2 (en) | Sieve vibrating device of sieve machine | |
CN207357553U (en) | A kind of rod vibrating screen with beating unit | |
KR20110010086U (en) | Anti-clogging striking device for vibrating screen for aggregate screening | |
WO2009051576A1 (en) | Method for resonance excitation of the screen sieving mesh and a resonance screen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 |
CN209918281U (en) | Anti-blocking screening machine | |
KR101340565B1 (en) | Grizzly screen apparatus | |
KR101788517B1 (en) | Device for separating sand | |
CN115193698A (en) | Calcite crushing and screening device | |
CN215278525U (en) | Prevent circular vibrating screen of jam | |
KR20080056351A (en) | Screen device with suppressed clogging | |
JPH09234425A (en) | A device for preventing clogging of the screen of a vibrating screener | |
KR200225986Y1 (en) | a selector | |
IE20150194A1 (en) | Screen assembly | |
CN217314391U (en) | Novel material reciprocating sieve | |
KR102627968B1 (en) | Rubber screen for aggregate screening | |
JP2010042357A (en) | Vibrating siev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7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