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0160B1 -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160B1
KR101920160B1 KR1020170086505A KR20170086505A KR101920160B1 KR 101920160 B1 KR101920160 B1 KR 101920160B1 KR 1020170086505 A KR1020170086505 A KR 1020170086505A KR 20170086505 A KR20170086505 A KR 20170086505A KR 101920160 B1 KR101920160 B1 KR 101920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container
starting point
cap
p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대식
이봉국
Original Assignee
서대식
신신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대식, 신신화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대식
Priority to KR1020170086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1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openings in the lid, able to be opened or closed by displacing or rotating a cover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개구부 외주연(11)에 형성된 외주나사산(20)을 가진 화장품 용기(10)와, 상시 외주나사산(20)에 나사 결합되는 내주나사산(40)이 내주연에 형성된 캡(30)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주나사산(20)은 상기 개구부 외주연(11)의 상부로부터 시작되는 시작점(21)과, 상기 시작점(21)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어 개구부 외주연(11)의 하부에서 종료되는 종료점(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작점(21)의 하부에는 두 번째 줄 나사산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돌기(21a)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돌기(21a)의 일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제1연결돌기(21a)와 함께 상부홈(21b)을 형성하도록 상부홈형성돌기(2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료점(22)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10)의 숄더부(12)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돌기(22a)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돌기(22a)의 일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돌기(22a)와 함께 하부홈(22b)을 형성하도록 하부홈형성돌기(22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캡을 나사 결합시 캡의 하부나사산종료점이 용기의 시작점을 따라 회전되면서 나사 결합되는 바, 상기 하부나사산종료점의 후방돌기가 용기의 하부홈에 안착되고, 동시에 하부나사산시작점의 전방에 있는 전방돌기는 용기의 상부홈에 안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용기와 캡이 동일한 방향으로 맞추어진다. 즉, 용기의 외관 문양이 캡의 외관 문양과 일치해야 하는 화장품 용기의 경우, 용기와 캡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결합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상부나사산의 돌설 높이는 상기 하부나사산의 돌설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나사산이 용기의 외주나사산 상측부를 지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돌설 높이가 높은 상부나사산이 용기의 외주나사산과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게 되어 화장품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STRUCTURE OF THREAD FOR 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에 캡을 나사 결합시 캡의 하부나사산종료점이 용기의 시작점을 따라 회전되면서 나사 결합되는 바, 상기 하부나사산종료점의 후방돌기가 용기의 하부홈에 안착되고, 동시에 하부나사산시작점의 전방에 있는 전방돌기는 용기의 상부홈에 안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용기와 캡이 동일한 방향으로 맞추어진다. 즉, 용기의 외관 문양이 캡의 외관 문양과 일치해야 하는 화장품 용기의 경우, 용기와 캡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결합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되도록 한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나사산의 돌설 높이는 상기 하부나사산의 돌설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나사산이 용기의 외주나사산 상측부를 지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돌설 높이가 높은 상부나사산이 용기의 외주나사산과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게 되어 화장품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도록 한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01-0011008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크림 타입의 화장품은 손으로 찍어 바르는 것이어서 화장을 할때 용기에 담겨져 있는 화장품을 손으로 용이하게 찍어 바를 수 있도록 개구부가 넓게 형성된 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어지는 통상의 크림타입 화장품에 사용되는 용기의 구성을 보면, 크림타입 화장품이 수납되는 용기 몸체의 상부 외주면으로 뚜껑이 결합되도록 1줄 나사산이 나선형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 몸체의 뚜껑결합부로 결합되도록 뚜껑의 테두리 내면으로 1줄 나사산이 나선형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나선형 나사산을 가지는 용기는 나사산의 시작점과 끝점이 하나로서 1권회 형성되어져 있어 뚜껑을 체결할 때 많이 회전시켜야 체결 완료되어질 뿐만 아니라, 뚜껑 체결에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생산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용기 몸체에 대하여 뚜껑을 체결하는 작업이 바쁘게 이루어지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용기 몸체와 뚜껑의 방향이 맞지 않아 용기의 품질이나 외관상 미려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화장품 용기에 캡을 나사 결합시 캡의 하부나사산종료점이 용기의 시작점을 따라 회전되면서 나사 결합되는 바, 상기 하부나사산종료점의 후방돌기가 용기의 하부홈에 안착되고, 동시에 하부나사산시작점의 전방에 있는 전방돌기는 용기의 상부홈에 안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용기와 캡이 동일한 방향으로 맞추어진다. 즉, 용기의 외관 문양이 캡의 외관 문양과 일치해야 하는 화장품 용기의 경우, 용기와 캡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결합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되도록 한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상부나사산의 돌설 높이는 상기 하부나사산의 돌설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나사산이 용기의 외주나사산 상측부를 지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돌설 높이가 높은 상부나사산이 용기의 외주나사산과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게 되어 화장품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도록 한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는, 개구부 외주연에 형성된 외주나사산을 가진 화장품 용기와, 상시 외주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내주나사산이 내주연에 형성된 캡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주나사산은 상기 개구부 외주연의 상부로부터 시작되는 시작점과, 상기 시작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어 개구부 외주연의 하부에서 종료되는 종료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작점의 하부에는 두 번째 줄 나사산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돌기의 일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제1연결돌기와 함께 상부홈을 형성하도록 상부홈형성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료점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의 숄더부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돌기의 일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돌기와 함께 하부홈을 형성하도록 하부홈형성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주나사산은, 상기 캡의 내주연의 상부에 돌설된 원주형의 상부나사산과; 상기 상부나사산의 하부로부터 시작되는 하부나사산시작점과, 상기 하부나사산시작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어 내주연의 하부에서 종료되는 하부나사산종료점으로 이루어진 하부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에 의하면, 화장품 용기에 캡을 나사 결합시 캡의 하부나사산종료점이 용기의 시작점을 따라 회전되면서 나사 결합되는 바, 상기 하부나사산종료점의 후방돌기가 용기의 하부홈에 안착되고, 동시에 하부나사산시작점의 전방에 있는 전방돌기는 용기의 상부홈에 안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용기와 캡이 동일한 방향으로 맞추어진다. 즉, 용기의 외관 문양이 캡의 외관 문양과 일치해야 하는 화장품 용기의 경우, 용기와 캡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결합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상부나사산의 돌설 높이는 상기 하부나사산의 돌설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나사산이 용기의 외주나사산 상측부를 지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돌설 높이가 높은 상부나사산이 용기의 외주나사산과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게 되어 화장품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B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2c는 도 1의 C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2d는 도 1의 D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에 나사 결합되는 캡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캡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캡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7a는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b는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c는 도 5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그 순서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B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2c는 도 1의 C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2d는 도 1의 D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에 나사 결합되는 캡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캡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캡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7a는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b는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c는 도 5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화장품을 담는 용기(10)의 개구부 외주연(11)에 형성된 외주나사산(2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화장품 용기(10)의 개구부 외주연(11)에 외주나사산(20)이 돌설되어 있는바, 상기 외주나사산(20)은 상기 개구부 외주연(11)의 상부로부터 시작(이하, 시작점(21)이라 한다)되어 순차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어 개구부 외주연(11)의 하부에서 종료(이하, 종료점(22)이라 한다)된다.
상기 시작점(21)의 하부에는 두 번째 줄 나사산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돌기(21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돌기(21a)의 일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제1연결돌기(21a)와 함께 상부홈(21b)을 형성하도록 상부홈형성돌기(2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료점(22)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10)의 숄더부(12)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돌기(2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돌기(22a)의 일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돌기(22a)와 함께 하부홈(22b)을 형성하도록 하부홈형성돌기(2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작점(21)과 종료점(22)은 서로 180°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10)의 외주나사산(20)에 나사 결합되는 캡(30)의 내주연에는 내주나사산(40)이 돌설되어 있다.
상기 내주나사산(40)은, 상기 캡(30)의 내주연의 상부에 원주형의 상부나사산(41)이 돌설되고, 상기 상부나사산(41)의 하부로부터 시작(이하, 하부나사산시작점(42a)이라 한다)되어 순차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어 내주연의 하부에서 종료(이하, 하부나사산종료점(42b)이라 한다)되는 하부나사산(42)이 된다.
상기 하부나사산시작점(42a)의 전방에는 상기 용기(10)의 상부홈(21b)에 삽입되도록 전방돌기(42c)가 상기 하부나사산시작점(42a)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나사산종료점(42b)의 후방에는 상기 용기(10)의 하부홈(22b)에 삽입되도록 후방돌기(42d)가 상기 하부나사산종료점(42b)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나사산시작점(42a)과 상기 하부나사산종료점(42b)은 서로 180°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나사산시작점(42a)과 상기 하부나사산종료점(42b)으로부터 90°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상기 상부나사산(41)과 하부나사산(42)을 내주연 하부에서 상부로 커팅된 한 쌍의 커팅부(43)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커팅부(43)는 캡(3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나사산(41)의 돌설 높이는 상기 하부나사산(42)의 돌설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어 화장품 용기 내의 화장품 내용물이 누액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화장품 용기(10)에 캡(30)을 캡핑시 하부나사산종료점(42b)이 용기(10)의 시작점(21)을 따라 회전되면서 나사 결합된다. 상기 하부나사산종료점(42b)의 후방돌기(42d)가 용기(10)의 하부홈(22b)에 안착되고, 동시에 하부나사산시작점(42a)의 전방에 있는 전방돌기(42c)는 용기(10)의 상부홈(21b)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상부홈(21b)과 하부홈(22b)에 전방돌기(42c)와 후방돌기(42d)가 각각 안착되기 때문에 상기 용기(10)와 캡(30)이 동일한 방향으로 맞추어진다. 즉, 용기(10)의 외관 문양이 캡(30)의 외관 문양과 일치해야 하는 화장품 용기의 경우, 용기와 캡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나사산(41)의 돌설 높이는 상기 하부나사산(42)의 돌설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하부나사산(42)이 용기(10)의 나사산(20) 상측부를 지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돌설높이가 높은 상부나사산(41)이 용기(10)의 외주나사산(20)과 결합시 밀봉되게 되어 화장품 내용액의 누액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0 : 화장품 용기 11 : 개구부 외주연
12 : 숄더부 20 : 외주나사산
21 : 시작점 21a : 제1연결돌기
21b : 상부홈 21c : 상부홈형성돌기
22 : 종료점 22a : 제2연결돌기
22b : 하부홈 22c : 하부홈형성돌기
30 : 캡 40 : 내주나사산
41 : 상부나사산 42 : 하부나사산
42a : 하부나사산시작점 42b : 하부나사산종료점
42c : 전방돌기 42d : 후방돌기
43 : 한 쌍의 커팅부

Claims (6)

  1. 개구부 외주연(11)에 형성된 외주나사산(20)을 가진 화장품 용기(10)와, 상시 외주나사산(20)에 나사 결합되는 내주나사산(40)이 내주연에 형성된 캡(30)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주나사산(20)은 상기 개구부 외주연(11)의 상부로부터 시작되는 시작점(21)과, 상기 시작점(21)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어 개구부 외주연(11)의 하부에서 종료되는 종료점(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작점(21)의 하부에는 두 번째 줄 나사산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돌기(21a)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돌기(21a)의 일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제1연결돌기(21a)와 함께 상부홈(21b)을 형성하도록 상부홈형성돌기(2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료점(22)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10)의 숄더부(12)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돌기(22a)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돌기(22a)의 일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돌기(22a)와 함께 하부홈(22b)을 형성하도록 하부홈형성돌기(22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작점(21)과 종료점(22)은, 서로 180°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주나사산(40)은, 상기 캡(30)의 내주연의 상부에 돌설된 원주형의 상부나사산(41)과; 상기 상부나사산(41)의 하부로부터 시작되는 하부나사산시작점(42a)과, 상기 하부나사산시작점(42a)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어 내주연의 하부에서 종료되는 하부나사산종료점(42b)으로 이루어진 하부나사산(42)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나사산시작점(42a)의 전방에는 상기 용기(10)의 상부홈(21b)에 삽입되도록 전방돌기(42c)가 상기 하부나사산시작점(42a)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나사산종료점(42b)의 후방에는 상기 용기(10)의 하부홈(22b)에 삽입되도록 후방돌기(42d)가 상기 하부나사산종료점(42b)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나사산시작점(42a)과 상기 하부나사산종료점(42b)은 서로 180°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나사산시작점(42a)과 상기 하부나사산종료점(42b)으로부터 90°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상기 상부나사산(41)과 하부나사산(42)을 내주연 하부에서 상부로 커팅된 한 쌍의 커팅부(43)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커팅부(43)는 캡(3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나사산(41)의 돌설 높이는 상기 하부나사산(42)의 돌설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어 화장품 용기 내의 화장품 내용물이 누액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








KR1020170086505A 2017-07-07 2017-07-07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 Active KR101920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505A KR101920160B1 (ko) 2017-07-07 2017-07-07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505A KR101920160B1 (ko) 2017-07-07 2017-07-07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160B1 true KR101920160B1 (ko) 2019-02-08

Family

ID=6536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505A Active KR101920160B1 (ko) 2017-07-07 2017-07-07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1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2Y1 (ko) * 2002-09-09 2003-01-14 용 배 최 마개와 용기본체간 정위치 조정이 용이한 튜브형 용기
JP4017393B2 (ja) * 1999-08-27 2007-12-05 アルコア クロウジャー システム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ねじ戻り阻止歯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7393B2 (ja) * 1999-08-27 2007-12-05 アルコア クロウジャー システム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ねじ戻り阻止歯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蓋
KR200300272Y1 (ko) * 2002-09-09 2003-01-14 용 배 최 마개와 용기본체간 정위치 조정이 용이한 튜브형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2544B2 (en) Cap for container
US6415935B1 (en) Multiple-thread screw thread arrangement with diverse thread turn runout arrangement
US9919848B2 (en) Method for assembling a packaging device
KR101920160B1 (ko) 화장품 용기의 나사산의 구조
GB2584050A (en) Anti-counterfeiting structure for bottle cap
US20180251275A1 (en) Container Closure with a Vent Capability
DE3337060C2 (ko)
US3896974A (en) Container and closure therefor
US20030127420A1 (en) Dual bottle closure
KR20210116728A (ko) 다이얼 타입 용기
CN104609027A (zh) 全塑防伪盖和铝塑防伪盖及用于防伪盖的组合连接套
JP7623081B2 (ja) 塗布容器
KR102135615B1 (ko) 화장품 용기
JP2014005074A (ja) 二重容器
KR20130055465A (ko) 병과 뚜껑의 결합구조
CN206187516U (zh) 化妆品瓶
JP2016101954A (ja) 受皿ユニット、およびこれとポンプユニットとを備えたディスペンサ容器用のポンプシステム
US5332111A (en) Bottle that functions upright and inverted using the sides of the bottle for support
KR200246286Y1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의 나사산 구조
US9580231B2 (en) Container
CN209410714U (zh) 软瓶
JPH11105910A (ja) 容器用キャップ装置
WO2017119052A1 (ja) ボトルキャップ
WO2024052002A1 (en) Cosmetic product packaging assembly comprising a container made of cellulose material and a closure element
JPS5820533Y2 (ja) 位置合せ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