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9894B1 -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894B1
KR101919894B1 KR1020180114098A KR20180114098A KR101919894B1 KR 101919894 B1 KR101919894 B1 KR 101919894B1 KR 1020180114098 A KR1020180114098 A KR 1020180114098A KR 20180114098 A KR20180114098 A KR 20180114098A KR 101919894 B1 KR101919894 B1 KR 101919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ing
fixture
impression
cap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기복
Original Assignee
왕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기복 filed Critical 왕기복
Priority to KR1020180114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으로, 홀더와 캡이 교대로 결합되는 코핑헤드부가 상단에 형성되고, 픽스쳐의 소켓부에 삽입으로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출부가 하단에 형성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부를 갖는 코핑바디와; 상기 중공부를 통해 관통 삽입되어 상기 픽스쳐의 소켓부에 결합돌출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코핑바디를 픽스쳐에 체결 결합하는 가이드스크류로 구성되며, 상기 소켓부에 결합돌출부가 정합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스크류의 수나사부가 픽스쳐의 암나사부에 체결되고, 상기 소켓부에 결합돌출부가 부정합될 경우 체결되지 않도록 하여 코핑바디와 픽스쳐의 결합을 통한 인상채득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인상채득 시 임플란트와 체결에 따른 부정합 방지와 정확한 본뜨기를 통해 보철물의 제작에 따른 공정 및 비용을 절감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surgery}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상채득 시 임플란트와 체결에 따른 부정합 방지와 정확한 본뜨기를 통해 보철물의 제작에 따른 공정 및 비용을 절감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란 치조골에 나사모양의 티타늄으로 된 인공치근, 즉 픽스쳐(fixture)를 심은 후 매식된 픽스쳐의 주위에 뼈가 융합되어 단단해지면 그 위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하고, 여기에 인공치아인 보철물을 만들어 넣게 되는 것으로, 가장 보편적인 치아수복방법인 브릿지와 비교할 때 인접치아나 주위의 연조직 또는 골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오로지 손상된 부분에만 시술이 가능하며, 골조직에 의해 유지되고 지지 받게 되므로 계속적으로 골조직에 힘이 가해져 골조직의 흡수속도가 지연되고 저작력도 자연치아와 동등수준으로 회복될 수 있음은 물론 심미적으로도 자연치아와 거의 유사하게 회복할 수 있어 최근에는 임플란트가 치아수복에 있어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 시술 대상자의 치아 형태에 따라 보철물을 제작하여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 시술 대상자의 치아모양을 인상재로 떠서 정확한 치아모형을 제작하고 이 모형을 가지고 가장 정확한 보철물을 제작하여 실제로 시술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상채득(impression taking, 印象採得, Abdrucknahme - 치아의 수복, 보철 등의 치과치료를 할 때 필요한 치아 및 구강조직의 형태를 음형(陰型)으로 기록하는 것. 이 음형으로 석고 등을 사용해, 모형을 제작하고, 진단용 모형이나 작업용 모형으로 사용한다.)은 픽스쳐 상부에 임프레션 코핑을 결합하고 그 위에 유동 가능한 인상재를 씌워 떠낸 후, 랩 아날로그를 상기 치아 모형의 인상재상에 식립된 임프레션 코핑에 고정시키고, 이후 여기에 석고를 부어 치아모형을 제작한다. 그 후, 제작된 치아 모형에 어버트먼트를 체결하고, 다시 인상재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한 인상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일반적인 임플란트 과정에서 좀더 정확한 구강내의 보철물 장착을 위해서 픽스쳐 레벨에서 임프레션을 수행하며, 차후 어버트먼트 단계에서 역시 임프레션을 수행한다.
이러한 두 번에 걸친 임프레션 과정은 환자의 잦은 내원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환자에게 정신적인 부담을 주게 되고, 과정이 복잡하여 비용 또한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어버트먼트 단계의 인상 채득은 잇몸과 일치하게되는 어버트먼트와 보철물간의 이격이 발생하여 차후 그 사이로 음식물이 남게되고 잇몸이 손상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잇몸에 고정된 픽스쳐에 영향을 주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에 경우,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하부가 각각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중간부위에는 안티로테이션을 위한 면취부가 형성된 어버트먼트에 인상재를 씌워 인상을 채득함에 있어 어버트먼트의 높이와 외면형상에 맞게 하단 중앙으로부터 중간부위까지 내측으로 체결홈을 형성하고, 하단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내측으로 절곡된 체결돌기를 형성하여 텐션에 의해 어버트먼트의 불룩한 중간부에 원터치 끼움되게 구성하며, 상부에는 인상재에 고정되도록 평면상 6각을 가진 다단의 언더컷을 구성하고, 안티로테이션을 위해 일부 언더컷의 사이를 그 높이와 동일하게 연결하여 브릿지를 형성하며, 중간부에는 어버트먼트에 결합시 어버트먼트의 면취부와 대응되게 면취부를 형성하여서 된 보조코핑을 마련하여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결합하고 그 위에 인상재를 씌워 보조코핑이 인상재와 같이 떠지게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보조코핑에 의해 인상된 부위의 각도 및 높이를 유지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형상의 보철물을 시술할 수 있다.
그러나, 인상채득 시 발생하는 임플란트와 코핑의 부정합으로 인한 잘못된 인상으로 보철물을 제작하는 문제점은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며, 코핑을 위한 각 유닛들 결합 및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원가 상승에 문제점이 있다.
KR 10-0428935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핑바디를 관통하여 픽스쳐에 체결되는 가이드스크류의 형상을 제한하여 인상채득 시 픽스쳐와 체결에 따른 부정합 방지와 정확한 본뜨기를 통해 보철물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홀더 또는 캡이 결합되는 코핑헤드의 형상을 변경하여 인상채득 시 홀더 또는 캡의 간편한 결합을 통해 인상채득에 따른 공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에 있어서, 홀더와 캡이 교대로 결합되는 코핑헤드부가 상단에 형성되고, 픽스쳐의 소켓부에 삽입으로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출부가 하단에 형성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부를 갖는 코핑바디와; 상기 중공부를 통해 관통 삽입되어 상기 픽스쳐의 소켓부에 결합돌출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코핑바디를 픽스쳐에 체결 결합하는 가이드스크류로 구성되며, 상기 소켓부에 결합돌출부가 정합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스크류의 수나사부가 픽스쳐의 암나사부에 체결되고, 상기 소켓부에 결합돌출부가 부정합될 경우 체결되지 않도록 하여 코핑바디와 픽스쳐의 결합을 통한 인상채득의 오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스크류에 나사산을 갖는 수나사부의 전체길이는 0.6mm이고, 상기 소켓부에 결합돌출부가 정합된 상태에서 상기 픽스쳐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의 체결길이는 0.13 ~ 0.15mm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코핑헤드부에는 중공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협하광으로 경사면을 갖는 3면의 삽입면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핑헤드부에 대응되는 상기 홀더 및 캡의 안쪽에는 상기 삽입면취부에 대응하여 경사면을 갖는 3면의 결합홀(131,141)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캡이 인상채득을 위한 인상재에 식립되어 경화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단 바깥쪽에 형성된 1차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이탈 방지를 더욱 보강을 위해 상기 캡의 중단 바깥쪽에는 2차걸림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는 가이드스크류의 양단부에는 육각렌치와 같은 지그를 통해 회전작동을 위한 스크류헤드와 상기 픽스쳐에 직접 체결되는 수나사부가 각각 단차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내측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스크류가 상기 코핑바디로부터 각 스크류헤드 및 수나사부의 단차를 통해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수나사부가 스크류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도록 내측 둘레에 나사면을 갖는 위치고정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인상채득 시 픽스쳐와 체결에 따른 부정합 방지와 정확한 본뜨기를 통해 보철물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홀더 또는 캡이 결합되는 코핑헤드의 형상을 변경하여 인상채득 시 홀더 또는 캡의 간편한 결합을 통해 인상채득에 따른 공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에서 코핑바디와 홀더의 결합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에서 코핑바디와 캡의 결합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을 통해 인상채득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10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골에 기 설치된 픽스쳐(200)에 치합되는 코핑바디(110)와, 이 코핑바디(110)를 픽스쳐(200)에 체결 고정시키는 가이드스크류(120)와, 상기 코핑바디(11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어 인상채득 시 인상재(I)에 식립되는 캡(140)과, 상기 캡(140)이 분리된 코핑바디(110)를 픽스쳐(200)로부터 분리 시 파지할 수 있는 홀더(130)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코핑바디(110)는 홀더(130)와 캡(140)이 교대로 결합되는 코핑헤드부(116)가 상단에 형성되고, 픽스쳐(200)의 소켓부(210)에 삽입으로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출부(111)가 하단에 형성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부(113)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스크류(120)는 상기 중공부(113)를 통해 관통 삽입되어 상기 픽스쳐(200)의 소켓부(210)에 결합돌출부(111)가 삽입된 상태에서 코핑바디(110)를 상기 픽스쳐(200)에 체결 결합된다.
이때, 상기 소켓부(210)에 결합돌출부(111)가 정합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스크류(120)의 수나사부(123)가 픽스쳐(200)의 암나사부(220)에 체결되고, 상기 소켓부(210)에 결합돌출부(111)가 부정합될 경우 체결되지 않도록 하여 코핑바디(110)와 픽스쳐(200)의 결합을 통한 인상채득 시 오류를 방지한다.
즉, 통상적으로 상기 픽스쳐(200)는 제조사에 따라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하지만, 이 픽스쳐(200)의 소켓부(210)는 코핑바디(110)의 용이한 치합을 위해 육각의 너트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돌출부(111)의 끝단 역시 소켓부(210)에 대응하여 육각의 너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시술자가 사용자의 치골에 설치된 픽스쳐(200)에 인상채득을 위해 가이드스크류(120)의 체결을 통해 코핑바디(110)를 결합할 때 소켓부(210)의 너트 형상과, 결합돌출부(111)의 너트 형상이 정합된다면 견고하게 체결 결합되어 인상채득 후 이를 이용해 보철물(크라운)을 제작하여 정확하게 임플란트 시술할 수 있다.
그러나, 시술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소켓부(210)에 결합돌출부(111)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을 경우 이 소켓부(210)와 결합돌출부(111)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에 임프레션 코핑은 이 상태에서 가이드스크류(120)의 수나사부(123)와 픽스쳐(200)의 암나사부(220)가 서로 체결되므로 최종적으로 보철물을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경우 부정합으로 인해 통증을 호소하거나, 보철물이 픽스쳐(200)에 재대로 결합되지 않아 다시 제작해야 하는 비용적은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100)은 픽스쳐(200)의 소켓부(210)와 코핑바디(110)의 결합돌출부(111)가 부정합 되면, 상기 가이드스크류(120)의 수나사부(123)가 픽스쳐(200)의 암나사부(220)에 도달하지 않도롤 수나사부(123)의 전체 길이를 종래에 비해 짧게 형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픽스쳐(200)와 코핑바디(110)의 정합에만 가이드스크류(120)를 통해 체결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가이드스크류(120)에 나사산을 갖는 수나사부(123)의 전체길이(L)는 0.6 ~ 0.7mm로 형성하는 것이 최적이다.
그리고, 상기 소켓부(210)에 결합돌출부(111)가 정합된 상태에서 상기 픽스쳐(200)의 암나사부(220)에 체결되는 수나사부(123)의 체결길이(t)는 0.13 ~ 0.15mm 범위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핑헤드부(116)에는 중공부(113)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협하광으로 경사면을 갖는 3면의 삽입면취부(117)가 형성되고, 상기 코핑헤드부(116)에 대응되는 상기 홀더(130) 및 캡(140)의 안쪽에는 상기 삽입면취부(117)에 대응하여 경사면을 갖는 3면의 결합홀(131,141)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홀더(130) 및 캡(140)은 기존과 동일하게 합성수지로 제조된 것으로 상기 코핑헤드부(116)에 3면을 갖는 삽입면취부(117)에 대응하여 상기 홀더(130)의 내측에는 홀더결합홀(131)이 형성되고, 상기 캡(140)에는 캡결합홀(141)이 형성되며, 각각 상기 삽입면취부(117)에 대응하여 내측에 3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속재질의 코핑헤드부(116)와 합성수지재의 각 홀더(130) 및 캡(140)을 사용자의 완력에 따라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삽입면취부(117)가 3면을 이루므로 임의로 끼우더라도 4각형 이상의 각보다 더욱 간편하고 원활하게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캡(140)이 인상채득을 위한 인상재(I)에 식립되어 경화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단 바깥쪽에 형성된 1차걸림돌기(143)에 대응하여 이탈 방지를 더욱 보강을 위해 상기 캡(140)의 중단 바깥쪽에는 2차걸림돌기(145)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부(113)를 관통하는 가이드스크류(120)의 양단부에는 육각렌치와 같은 지그를 통해 회전작동을 위한 스크류헤드(121)와 상기 픽스쳐(200)에 직접 체결되는 수나사부(123)가 각각 단차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13)의 내측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스크류(120)가 상기 코핑바디(110)로부터 각 스크류헤드(121) 및 수나사부(123)의 단차를 통해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수나사부(123)가 스크류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도록 내측 둘레에 나사면(115)을 갖는 위치고정턱(114)이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인상채득 시 픽스쳐와 체결에 따른 부정합 방지와 정확한 본뜨기를 통해 보철물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홀더 또는 캡이 결합되는 코핑헤드의 형상을 변경하여 인상채득 시 홀더 또는 캡의 간편한 결합을 통해 인상채득에 따른 공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110: 코핑바디
111: 결합돌출부
113: 중공부
114: 위치고정턱
115: 나사면
116: 코핑헤드부
117: 삽입면취부
120: 가이드스크류
121: 스크류헤드
123: 수나사부
130: 홀더
131: 홀더결합홀
133: 파지노브
140: 캡
141: 캡결합홀
143: 1차걸림돌기
145: 2차걸림돌기
200: 픽스쳐
210: 소켓부
220: 암나사부
L : 전체길이
t : 체결길이
I : 인상재

Claims (2)

  1.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100)에 있어서,
    홀더(130)와 캡(140)이 교대로 결합되는 코핑헤드부(116)가 상단에 형성되고, 픽스쳐(200)의 소켓부(210)에 삽입으로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출부(111)가 하단에 형성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부(113)를 갖는 코핑바디(110)와;
    상기 중공부(113)를 통해 관통 삽입되어 상기 픽스쳐(200)의 소켓부(210)에 결합돌출부(111)가 삽입된 상태에서 코핑바디(110)를 픽스쳐(200)에 체결 결합하는 가이드스크류(120)로 구성되며,
    상기 소켓부(210)에 결합돌출부(111)가 정합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스크류(120)의 수나사부(123)가 픽스쳐(200)의 암나사부(220)에 체결되고, 상기 소켓부(210)에 결합돌출부(111)가 부정합될 경우 체결되지 않도록상기 가이드스크류(120)에 나사산을 갖는 수나사부(123)의 전체길이(L)는 0.6mm이고, 상기 소켓부(210)에 결합돌출부(111)가 정합된 상태에서 상기 픽스쳐(200)의 암나사부(220)에 체결되는 수나사부(123)의 체결길이(t)는 0.13 ~ 0.15mm 범위로 형성되어 코핑바디(110)와 픽스쳐(200)의 결합을 통한 인상채득의 오류를 방지하는 체결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부(113)를 관통하는 가이드스크류(120)의 양단부에는 육각렌치와 같은 지그를 통해 회전 작동을 위한 스크류헤드(121)와 상기 픽스쳐(200)에 직접 체결되는 수나사부(123)가 각각 단차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13)의 내측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스크류(120)가 상기 코핑바디(110)로부터 각 스크류헤드(121) 및 수나사부(123)의 단차를 통해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수나사부(123)가 스크류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도록 내측 둘레에 나사면(115)을 갖는 위치고정턱(114)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140)이 인상채득을 위한 인상재(I)에 식립되어 경화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단 바깥쪽에 형성된 1차걸림돌기(143)에 대응하여 이탈 방지를 더욱 보강을 위해 상기 캡(140)의 중단 바깥쪽에는 2차걸림돌기(145)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핑헤드부(116)에는 중공부(113)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협하광으로 경사면을 갖는 3면의 삽입면취부(117)가 형성되고, 상기 코핑헤드부(116)에 대응되는 상기 홀더(130) 및 캡(140)의 안쪽에는 상기 삽입면취부(117)에 대응하여 경사면을 갖는 3면의 결합홀(131,141)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KR1020180114098A 2018-09-21 2018-09-21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KR101919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098A KR101919894B1 (ko) 2018-09-21 2018-09-21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098A KR101919894B1 (ko) 2018-09-21 2018-09-21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128 Division 2018-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894B1 true KR101919894B1 (ko) 2018-11-19

Family

ID=6456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098A KR101919894B1 (ko) 2018-09-21 2018-09-21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8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4811A (zh) * 2019-09-24 2019-12-20 成都登特牙科技术开发有限公司 牙种植体基台定位器及其3d打印制作方法、取模方法
KR102062505B1 (ko) * 2019-11-18 2020-01-03 주천종 치과 임플란트를 위한 투피스형 임프레션 코핑
KR20210071788A (ko) * 2019-12-06 2021-06-16 허덕수 스캔 바디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062B1 (ko) 2013-07-23 2014-02-17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임프레션 캡
KR101452849B1 (ko) 2014-04-01 2014-10-23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KR101707905B1 (ko) 2016-10-17 2017-02-17 박동효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731541B1 (ko) 2016-07-07 2017-05-11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치유 어버트먼트
KR101820489B1 (ko) 2017-09-12 2018-01-19 주식회사 덴티스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062B1 (ko) 2013-07-23 2014-02-17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임프레션 캡
KR101452849B1 (ko) 2014-04-01 2014-10-23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KR101731541B1 (ko) 2016-07-07 2017-05-11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치유 어버트먼트
KR101707905B1 (ko) 2016-10-17 2017-02-17 박동효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820489B1 (ko) 2017-09-12 2018-01-19 주식회사 덴티스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4811A (zh) * 2019-09-24 2019-12-20 成都登特牙科技术开发有限公司 牙种植体基台定位器及其3d打印制作方法、取模方法
KR102062505B1 (ko) * 2019-11-18 2020-01-03 주천종 치과 임플란트를 위한 투피스형 임프레션 코핑
KR20210071788A (ko) * 2019-12-06 2021-06-16 허덕수 스캔 바디 조립체
KR102351280B1 (ko) * 2019-12-06 2022-01-14 허덕수 스캔 바디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93884B2 (en) Provisional prostheti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7234940B2 (en) Components for permanent removable and adjustable dentures and bridges
US7204692B2 (en) Impression cap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101919894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KR101140620B1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US20180280121A1 (en)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of implantation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US20100143869A1 (en) Internal cone dental implant
KR20210131600A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결합조립체
KR20210076401A (ko) 임플란트 크라운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대주
KR101571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10184995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56293Y1 (ko) 원바디형 솔리드 어버트먼트
KR200428106Y1 (ko)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2392022B1 (ko) 경사 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KR100967527B1 (ko) 보철 교합관계 채득용 임플란트 지그 및 상기 임플란트지그를 이용한 보철물 제작방법
KR101573466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KR101072274B1 (ko) 분리형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24911B1 (ko) 편심형 힐링 어버트먼트
KR101059741B1 (ko) 미니 임플란트
CN110731826A (zh) 两段式种植上部修复装置及修复方法
KR20210083576A (ko) 틀니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190108941A (ko)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
CN219070717U (zh) 一种用于牙科种植术后的即刻修复义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92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030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028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