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9887B1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887B1
KR101919887B1 KR1020120051605A KR20120051605A KR101919887B1 KR 101919887 B1 KR101919887 B1 KR 101919887B1 KR 1020120051605 A KR1020120051605 A KR 1020120051605A KR 20120051605 A KR20120051605 A KR 20120051605A KR 101919887 B1 KR101919887 B1 KR 101919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trap
air
circulation
dr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816A (ko
Inventor
정기욱
이준석
허선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887B1/ko
Priority to US13/888,739 priority patent/US9200841B2/en
Priority to EP13167426.9A priority patent/EP2664705B1/en
Priority to CN201310178989.0A priority patent/CN103422332B/zh
Publication of KR20130127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8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드럼을 통과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공기의 경로가 되는 순환유로; 증발기, 압축기, 팽창밸브 및 응축기를 포함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상기 증발기가 장착되되, 상기 증발기의 하부측 순환유로에 'U'트랩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A CLOTHES DRYER}
본 발명은 의류 등을 건조하기 위한 공기를 가열 및 냉각하는 열교환수단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을 구비한 건조기에 있어서, 히트펌프 시스템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구비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이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 완료되어 탈수 과정이 종료된 상태의 세탁물을 드럼 내부로 투입하고,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기이다.
건조기의 예를 들어보면,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과,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드럼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는 송풍팬과,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가열수단으로 전기저항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거나 혹은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하는 히터 방식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드럼에서 배기되는 공기는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수분을 가지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가 된다. 이때 이 고온 다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서 건조기를 분류할 수 있는데, 고온 다습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하면서 열교환수단을 통해 공기를 이슬점 온도 이하로 냉각하여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킨 후 재공급하는 순환식 건조기와, 드럼을 통과하고 나오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켜 버리는 배기식 건조기로 나뉘어진다.
순환식 건조기의 경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해서는 공기를 이슬점 이하로 냉각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드럼에 재공급되기 전에 상기 가열 수단을 통해 가열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열수단으로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별도의 열교환수단이 필요하며, 히터에 의해 공급된 열에너지가 열교환수단과의 열교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버린다. 이러한 경우, 히터를 사용하여 필요한 열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지만, 열효율이 저하되고 에너지 낭비가 많이 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공기가 순환되기 위해서 충분히 수분이 제거되어야 하기 때문에, 열교환수단의 부피가 커지거나, 건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배기식 건조기의 경우에도 고온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온의 외기를 유입하여 가열 수단을 통해서 요구되는 온도 수준까지 가열할 필요가 있다. 배기식 건조기에 가열수단으로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열교환수단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고, 히터를 사용하여 필요한 열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하여 건조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에는 가열 수단에 의해 전달된 열 에너지가 포함되어,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어 버리므로 열효율이 저하되고 에너지 낭비가 많이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최근에는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서 사용되지 못한 에너지를 회수하여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되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을 늘릴 수 있는 건조기가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건조기의 일 예로서 히트펌프(heat pump) 시스템을 갖는 건조기가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두 개의 열교환기인 증발기와 응축기와, 압축기 및 팽창기를 구비하고 있어,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가 배기되는 열풍이 갖는 에너지를 회수한 후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드럼으로부터의 배기측에 증발기를, 드럼 유입측에 응축기를 두어, 증발기를 통해서 열에너지를 냉매가 흡수한 후 압축기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가열된다. 그 후 응축기를 통해서 냉매가 갖는 열에너지가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로 전달되도록 하여 버려지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풍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히트펌프 시스템을 사용한 건조기의 경우에는, 접촉되는 공기와 증발기 및 응축기를 통과하는 냉매와의 열교환 정도에 따라 에너지 효율과 건조시간이 달라진다. 즉, 접촉되는 공기가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매와 열교환이 잘되고 전달하거나 받는 열량이 많을 경우, 그만큼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히트펌프 시스템을 사용하는 건조기의 경우, 본체인 케비넷 내부에 덕트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여 공기가 정해진 유로를 따라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덕트 형태의 유로 내부에 증발기와 응축기를 구비하여 공기의 유로와 접촉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건조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덕트 내부에서 공기와 증발기 또는 응축기의 접촉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증발기와 응축기는 덕트 내부에 장착될 때, 어느 정도 덕트의 벽면과 이격되어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격된 틈으로 공기가 새어나갈 경우 증발기와 응축기를 통한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어, 건조기의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히트펌프 시스템을 구비한 건조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조에 사용된 공기가 히트펌프 시스템의 증발기와 열교환하여 응축시에, 공기의 누수를 방지하여 더욱 많은 양의 공기가 증발기와 열교환 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조의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내부에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드럼을 통과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공기의 경로가 되는 순환유로; 증발기, 압축기, 팽창밸브 및 응축기를 포함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상기 증발기가 장착되되, 상기 증발기의 하부측 순환유로에 'U'트랩이 구비된다.
상기 'U'트랩은, 상기 순환유로의 바닥면에 구비된 트랩 홈;과 상기 증발기의 하부측에서 상기 트랩 홈 내부로 연장된 트랩 막;을 포함한다.
상기 트랩 막의 단부는 상기 바닥면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트랩 막은 상기 순환유로의 어느 일 측면으로부터 타 측면으로 상기 순환유로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측면은, 증발기와 열교환하는 순환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증발기의 바닥면에 'U'트랩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U'트랩에 의해 순환유로상에 구비된 증발기의 하부로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여, 순환유로를 통과하는 공기가 대부분 증발기와 열교환에 참여하게 되도록 순환유로를 밀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바닥면은 상기 순환유로의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으로 하향경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바닥면은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본체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는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순환유로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가 상기 응축기보다 상기 순환유로의 상류측에 장착된다.
그에 따라,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드럼을 통과한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한 후 드럼으로 공급하는 공기의 통로를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한다.
상기 구성의 측면은, 의류건조기 내부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하여, 증발기와 열교환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가 증발기측에서 형성되어, 전술한 'U'트랩에 응축수가 고이도록 한다. 그에 따라 상기 'U'트랩에 고인 응축수에 의해 순환유로상의 공기가 증발기 하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별도의 급수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자연적으로 형성된 응축수를 이용하여 히트펌프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켜 건조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구성하는 증발기와 열교환하는 순환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증발기의 바닥면에 'U'트랩을 구비하였다. 그에 따라 상기 'U'트랩에 의해 순환유로상에 구비된 증발기의 하부로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여, 순환유로를 통과하는 공기가 대부분 증발기와 열교환에 참여하게 되도록 순환유로를 밀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즉,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매와 열교환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켜 의류건조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의류건조기 내부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하여, 증발기와 열교환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가 증발기측에서 형성되어, 전술한 'U'트랩에 응축수가 고이도록 한다. 그에 따라 상기 'U'트랩에 고인 응축수에 의해 순환유로상의 공기가 증발기 하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별도의 급수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자연적으로 형성된 응축수를 이용하여 히트펌프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켜 건조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의류건조기에서 히트펌프 시스템의 기능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히트펌프 시스템이 장착된 의류건조기의 내부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체 내부에서 순환유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순환유로의 정면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일 실시예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의류건조기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의류건조기의 본체인 캐비넷(100)을 포함하며, 상기 캐비넷(100)의 상부면에는 탑 플레이트(102)가 구비되고, 전면 상부에는 건조기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고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 패널(10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에는 건조대상물인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06)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06)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08)가 상기 투입구(106)와 인접하여 설치된다.
도 2는 의류건조기의 내부를 건조에 사용되는 공기의 유로를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도 3은 의류건조기에 구비된 각종 장치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캐비넷(100)의 내부에는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1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드럼(110)의 전면 하부부근에 드럼(110)으로부터 배기된 공기가 유입되는 린트필터 설치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린트필터 설치부(112)는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열풍에 포함된 린트들을 걸러내기 위한 린트필터(미도시)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함과 동시에 열풍이 이동하는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린트필터 설치부(112)의 하류측에 순환유로(116)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유로(116)의 내부에는 히트펌프 시스템(120)의 일부가 설치되는데,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20)은 증발기(121), 팽창밸브(122), 압축기(123) 및 응축기(1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상기 순환유로(116)는 상기 캐비넷 내부에서 상기 드럼을 통과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공기의 경로가 된다.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캐비넷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캐비넷 내부에 덕트(duct)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순환덕트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순환유로(116)에는 증발기(121) 및 응축기(1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팽창밸브 및 압축기는 순환유로의 외측에 있는 캐비넷의 베이스(130)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가 상기 응축기보다 상기 순환유로의 상류측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린트필터 설치부(112)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상기 순환유로(116)를 지나면서 증발기(121)와 응축기(124)를 순차적으로 지나게 되고, 그에 따라 냉각(응축) 및 재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드럼을 통과한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한 후 드럼으로 공급하는 공기의 통로를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한다.
상기 순환유로(116)의 하류에는 백덕트(114)가 설치되는데, 상기 백덕트(114)는 순환유로(116)로부터 유입된 열풍이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되도록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백덕트(114)의 내부에는 히터(118)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응축기(124)에 의해 1차적으로 가열된 열풍을 재가열하기 위함이다. 상기 히터(118)는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이 정상상태에 도달하지 못한 초기 시점에 작동하여 열풍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정상상태에 도달한 경우라도 추가적인 열량을 제공하여 건조시간을 단축하는 용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캐비넷(110) 내에서 회전되는 드럼(110)에는 백덕트(114)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어 드럼 내부의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다. 건조에 사용된 공기는 건조대상물로부터 증발시킨 수분을 함유하여 다습한 공기가 되어 도어측에 가까운 드럼의 전방으로부터 연통된 린트필터 설치부(112) 및 순환유로(116)로 배출된다.
이때, 다습한 공기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은 드럼의 전방과 순환유로 사이에 구비되는 린트필터(미도시)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기의 유동은 순환유로상에 구비되는 송풍팬(미도시)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히트펌프 시스템은 순환유로를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각 및 가열을 한다. 이러한 히트펌프 시스템은 증발기(121), 압축기(123), 응축기(124) 및 팽창밸브(122)가 냉매가 흐르는 배관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구성 중에서 순환되는 공기와 직접적으로 열교환을 하는 구성은 증발기(121)와 응축기(124)이다. 히트펌프 시스템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는 증발기에서 드럼을 빠져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그에 따라 순환되는 공기는 냉각되며,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어 중력에 의해 덕트 형태의 순환유로의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히트펌프 시스템의 배관을 순환하는 냉매는 증발기에서 증발된 후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후 응축기에서 전술한 냉각된 순환공기에 열을 전달하여 응축된다. 그에 따라 순환공기는 가열되어 고온의 건조한 공기가 되어 순환유로(116) 및 백덕트(114)에 의해 다시 드럼(110)으로 토출된다. 또한, 냉각된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해 단열팽창하고 다시 증발기에서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증발기(121)에 의한 순환되는 공기의 냉각과정에서 고온 다습한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은 응축되어 증발기 표면에 맺히거나 증발기의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순환유로의 바닥면으로 낙하되어 포집된다.
도 3에서 베이스(130)는 본체인 캐비넷(100)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술한 순환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설치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기준으로 왼쪽에는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가 설치되는 순환유로가 배치되고, 오른쪽에는 상기 팽창밸브(122) 및 압축기(123)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캐비넷(100)의 전면부(도 3에서는 하단부)에는 상기 린트필터 설치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린트필터 설치부(112)와 연통되는 순환유로 유도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순환유로 유도부(131)는 상기 린트필터 설치부(112)와 연통되어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열풍을 상기 증발기(121)측으로 유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순환유로 유도부(131)에는 유입된 공기가 증발기(121)측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31a)에 의해 유도된 열풍은 상기 순환유로(116)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4는 이러한 캐비넷 내부에 구비된 순환유로를 보여주며, 도 5는 도 4의 순환유로의 정면 단면도를 통해 순환유로상에 구비되는 'U'트랩을 보여준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순환유로(116)는 바닥면(135) 및 상기 바닥면의 양측면에 형성된 격벽(미도시)과, 상부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14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와 상기 바닥면(135)과 격벽들에 의해서 순환유로(116)가 형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순환유로(116)를 통과하는 공기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베이스(130)의 배면에 형성되는 백덕트 연결부(133)를 통해 상기 백덕트(118)로 유입된다.
상기 바닥면(135)은 상기 순환유로의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으로 하향경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바닥면(135)은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의 이동경로(132)를 형성한다.
상기 바닥면(135)에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측에 'U'트랩(136,137)이 구비된다. 상기 'U'트랩은 상기 순환유로의 바닥면에 구비된 트랩 홈(136)과 상기 증발기의 하부측에서 상기 트랩 홈 내부로 연장된 트랩 막(137)으로 구성된다.
상기 트랩 홈(136)은 순환유로의 증발기 하부측 바닥면(135)에서 순환유로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홈형태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바닥면(135)의 일부는 주변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
상기 트랩 막(137)은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서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랩 막(137)의 연장된 단부는 상기 트랩 홈(136)의 내부로까지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된다. 하지만, 상기 트랩 막(137)의 연장된 단부는 상기 트랩 홈(136)의 바닥면까지는 닿지 않을 정도로 연장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트랩 홈은 상기 트랩 막의 연장된 단부에 의해 'U'형태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트랩 막(137)은 상기 순환유로의 어느 일 측면으로부터 타 측면으로 상기 순환유로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의 하부와 순환유로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상기 순환유로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보았을 때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바닥면과 트랩 막에 의해 막혀진 상태가 된다. 하지만, 완전히 막힌 것은 아니고, 상기 트랩 홈(136)의 바닥면과 트랩 막(137)의 연장된 단부 사이의 간격에 의해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121)에 의해 응축되면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바닥면(135)로 낙하되고, 응축수 이동경로(132)를 따라 흐르게 된다. 여기서, 이동되는 응축수 중 일부는 상기 트랩 홈(136)으로 유입되어 트랩 홈을 응축수로 채우게 된다.
한편, 상기 트랩 막(137)의 단부는 상기 트랩 홈(136)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트랩 홈에 포집된 응축수에 잠기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의 하부와 순환유로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상기 트랩 막과 트랩 홈에 포집된 응축수에 의해 완전히 막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측면은, 증발기와 열교환하는 순환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증발기 하부의 바닥면에 'U'트랩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U'트랩에 의해 순환유로상에 구비된 증발기의 하부로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여, 순환유로를 통과하는 공기가 대부분 증발기와 열교환에 참여하게 되도록 순환유로를 밀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측면은 의류건조기 내부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형성하여, 증발기와 열교환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가 증발기측에서 형성되어, 전술한 'U'트랩에 응축수가 고이도록 한다. 이는 별도의 급수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자연적으로 형성된 응축수를 이용하여 히트펌프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켜 건조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응축수 이동경로(132)를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의 일부는 상기 'U'트랩에 포집되고, 나머지는 바닥면의 경사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압축기(123)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응축수 저장부(134)로 유입된다. 응축수 저장부(134)에 저장된 응축수는 펌프(150)에 의해서 별도로 처리된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캐비넷 108 : 도어
110 : 드럼 112 : 린트필터 설치부
114 : 백덕트 116 : 순환유로
118 : 히터 120 : 히트펌프 시스템
121 : 증발기 122 : 팽창밸브
123 : 압축기 124 : 응축기
135 : 순환유로 바닥면 136 : 트랩 홈
137 : 트랩 막

Claims (10)

  1. 내부에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드럼을 통과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 공기의 경로가 되는 순환유로;
    증발기, 압축기, 팽창밸브 및 응축기를 포함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상기 증발기가 장착되되, 상기 증발기의 하부측 순환유로에 'U'트랩이 구비되고,
    상기 순환유로의 바닥면은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U'트랩은,
    상기 순환유로의 바닥면에 구비된 트랩 홈;과
    상기 증발기의 하부측에서 상기 트랩 홈 내부로 연장된 트랩 막;을 구비하고,
    상기 트랩 막은 상기 순환유로의 어느 일 측면으로부터 타 측면으로 상기 순환유로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트랩 홈은 상기 순환유로의 상기 증발기의 하부 측 바닥면에서 상기 순환유로의 일 측면으로부터 타 측면까지 함몰 형성되고,
    상기 트랩 막의 단부는 상기 바닥면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되, 상기 트랩 홈의 저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증발기에서 낙하된 응축수 중 일부는 상기 트랩 홈으로 유입되어 상기 트랩 홈을 응축수로 채우고, 상기 증발기에서 낙하된 응축수 중 나머지는 상기 트랩 막의 단부와 상기 트랩 홈의 저부 사이의 간격을 통해 상기 응축수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트랩 막의 단부는 상기 트랩 홈의 응축수에 잠기고, 상기 증발기의 하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공간은 상기 트랩 막과 상기 트랩 홈에 저장된 응축수에 의해 차단되어 공기의 누설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순환유로의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으로 하향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본체 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는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순환유로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가 상기 응축기보다 상기 순환유로의 상류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드럼을 통과한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한 후 드럼으로 공급하는 공기의 통로를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120051605A 2012-05-15 2012-05-15 의류건조기 Active KR101919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605A KR101919887B1 (ko) 2012-05-15 2012-05-15 의류건조기
US13/888,739 US9200841B2 (en) 2012-05-15 2013-05-07 Clothes dryer
EP13167426.9A EP2664705B1 (en) 2012-05-15 2013-05-13 Clothes dryer with heat pump
CN201310178989.0A CN103422332B (zh) 2012-05-15 2013-05-15 干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605A KR101919887B1 (ko) 2012-05-15 2012-05-15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816A KR20130127816A (ko) 2013-11-25
KR101919887B1 true KR101919887B1 (ko) 2018-11-19

Family

ID=4844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605A Active KR101919887B1 (ko) 2012-05-15 2012-05-15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00841B2 (ko)
EP (1) EP2664705B1 (ko)
KR (1) KR101919887B1 (ko)
CN (1) CN10342233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406A (ko) 2019-08-14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210020403A (ko) 2019-08-14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8931A1 (de) * 2009-08-27 2011-03-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dsorptions-Trockners und Trockner zur Realisierung des Verfahrens
KR101919887B1 (ko) * 2012-05-15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EP3077586B1 (en) * 2013-12-03 2018-08-08 Arçelik Anonim Sirketi A heat pump dryer
CN104976829B (zh) * 2014-04-08 2019-05-24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换热器组件及其应用
CN104976825B (zh) * 2014-04-08 2018-12-11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换热器组件及其应用
CN104976826A (zh) * 2014-04-08 2015-10-14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换热器组件及其应用
CN104976823B (zh) * 2014-04-08 2018-10-19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换热器组件及其应用
CN104976822B (zh) * 2014-04-08 2019-04-19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换热器组件及其应用
USD785880S1 (en) * 2015-02-24 2017-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D773760S1 (en) * 2015-02-24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JP1557859S (ko) * 2015-03-04 2016-09-05
CN105648718B (zh) * 2016-03-24 2018-05-15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具有衣物护理功能的烘干洗衣机及烘干洗衣机的控制方法
US9783925B1 (en) * 2016-04-12 2017-10-1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yer appliances and methods of operation
US10538874B2 (en) 2016-05-31 2020-01-21 Wuxi Little Swan Co., Ltd. Heat pump mounting box and heat pump dryer or heat pump washer-dryer
CN105970581B (zh) * 2016-05-31 2019-06-1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热泵系统和具有其的干衣机或洗干一体机
CN106087362B (zh) * 2016-05-31 2018-08-2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热泵安装盒及热泵干衣机或热泵洗干一体机
CN105937159A (zh) * 2016-05-31 2016-09-14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干衣机或洗干一体机
DE102016210166A1 (de) * 2016-06-09 2017-12-14 BSH Hausgeräte GmbH Bodengruppe für ein Gerät zum Trocknen von Wäsche und Gerät zum Trocknen von Wäsche
CN107663757B (zh) * 2016-07-29 2023-08-2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干衣机
KR20190102822A (ko)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커버 필터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2568205B1 (ko) * 2018-05-08 2023-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EP4310241A3 (en) 2018-05-08 2024-03-06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00020081A (ko) 2018-08-16 2020-02-26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건조기
KR20200056018A (ko) 2018-11-14 2020-05-22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건조기
US12146260B2 (en) 2019-08-14 2024-11-1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ing apparatus,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10020763A (ko) 2019-08-14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장치,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147043B1 (ko) 2019-12-31 2020-08-21 이근원 콘덴서 크리닝 의류건조기
KR20210112168A (ko)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210111985A (ko)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210121402A (ko) 2020-03-30 202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KR20220114275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84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30124653A (ko) * 2021-02-08 2023-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9861A (en) * 1930-12-20 1931-08-18 York Ice Machinery Corp Refrigeration
US2463363A (en) * 1944-10-10 1949-03-01 Melville E Dunkley Milk treatment with oxidation inhibiting gases
US2427971A (en) * 1945-05-14 1947-09-23 Jr William C Mcneill Loading machine
US2490951A (en) * 1948-03-26 1949-12-13 Melville E Dunkley Food treatment process
US2660869A (en) * 1951-10-23 1953-12-01 Aurora Res Ind Inc Dry cleaning apparatus
US2777534A (en) * 1951-11-23 1957-01-15 Mcdonald Dan Carbon adsorber cooling means
US3177675A (en) * 1961-03-20 1965-04-13 Electrolux Ab Defrosting arrangement and control for refrigeration apparatus
US5333677A (en) * 1974-04-02 1994-08-02 Stephen Molivadas Evacuated two-phase head-transfer systems
US4759313A (en) * 1987-10-30 1988-07-26 Shell Oil Company Ethylene oxide process improvement
DE3819514A1 (de) * 1988-06-08 1989-12-14 Passat Maschinenbau Gmbh Steuersystem mit ventilklappen fuer einen trockner
US4907420A (en) * 1988-06-13 1990-03-13 Snyder General Corporation Dual wall evaporator pan
US5156006A (en) * 1990-10-25 1992-10-20 Liquid Carbonic Corporation Apparatus for cooling a heat transfer fluid
US5121611A (en) * 1990-10-25 1992-06-16 Liquid Carbonic Corporation Refrige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refrigeration
JPH0587469A (ja) 1991-09-27 1993-04-06 Showa Alum Corp 積層型熱交換器
JP3287100B2 (ja) * 1993-05-19 2002-05-27 株式会社デンソー 空気調和装置のクーリングユニットおよび排水ケース
US6314601B1 (en) * 1999-09-24 2001-11-13 Mcclain James B. System for the control of a carbon dioxide cleaning apparatus
EP1584734A3 (de) * 2004-03-13 2006-06-07 Eickel u. Spindeldreher GmbH Kondenstrockner
JP2006082725A (ja) * 2004-09-16 2006-03-30 Denso Corp 空調装置
JP4713874B2 (ja) 2004-11-17 2011-06-29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20070072538A1 (en) * 2005-09-28 2007-03-29 Strock Randall L Modular vent assembly for a sewage pumping station
JP4895848B2 (ja) * 2007-02-08 2012-03-14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装置
PL2476795T3 (pl) * 2008-03-19 2020-05-1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Suszarka bębnowa
KR101542389B1 (ko) * 2009-02-05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NZ597220A (en) * 2009-06-02 2013-08-30 Snapdragon Invest Ltd Fluid treatment apparatus
EP3109358B1 (en) 2009-06-29 2018-08-2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EP2415927B1 (en) 2010-08-06 2016-07-20 Panasonic Corporation Dehumidifying-warming apparatus and clothes drier
KR101919887B1 (ko) * 2012-05-15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PL2784207T3 (pl) * 2013-03-29 2017-07-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posób montażu suszarki do prania zawierającej układ pompy ciepła z zamkniętym obiegiem czynnika chłodniczego i pompę ciepła suszarki do prania z zamkniętym obiegiem czynnika chłodniczeg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406A (ko) 2019-08-14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210020403A (ko) 2019-08-14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US11598044B2 (en) 2019-08-14 2023-03-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4705B1 (en) 2021-01-20
US9200841B2 (en) 2015-12-01
KR20130127816A (ko) 2013-11-25
EP2664705A1 (en) 2013-11-20
US20130305553A1 (en) 2013-11-21
CN103422332B (zh) 2016-03-23
CN103422332A (zh)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887B1 (ko) 의류건조기
CN101016686B (zh) 洗涤干燥机
US8590172B2 (en)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KR101613966B1 (ko) 의류처리장치
CN102251368B (zh) 一种采用热泵制热水洗衣的洗干一体机
US9803312B2 (en) Dryer with heat pump
KR101806241B1 (ko) 열교환기 세척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CN102517861B (zh) 干衣温度检测控制方法及干衣机
US20100162584A1 (en)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KR102009278B1 (ko) 운전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팽창변을 구비한 의류건조기 및 이의 운전방법
AU2008207492A1 (en) Ductless type clothes drier
KR20160069333A (ko)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비한 응축식 의류 건조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4233735A (zh) 一种热泵干衣机及干衣方法
KR100806111B1 (ko) 덕트리스 건조기
KR20080078367A (ko) 건조기
KR20140147601A (ko) 폐열 회수수단을 갖는 건조기
KR100826204B1 (ko) 건조기
JP2006212265A (ja) 乾燥機
JP2002126397A (ja) 除湿乾燥機
JP2009291226A (ja) 乾燥装置
JP2015198872A (ja) 乾燥機
JP2015123348A (ja) 乾燥機
CN106436228B (zh) 干衣设备及其干衣方法
KR102646289B1 (ko) 듀얼 타입 건조기
JP2014079391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5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8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5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7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9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7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