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9699B1 - 구강형 칫솔 - Google Patents

구강형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699B1
KR101919699B1 KR1020170075091A KR20170075091A KR101919699B1 KR 101919699 B1 KR101919699 B1 KR 101919699B1 KR 1020170075091 A KR1020170075091 A KR 1020170075091A KR 20170075091 A KR20170075091 A KR 20170075091A KR 101919699 B1 KR101919699 B1 KR 101919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leaning
head
tooth
head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장
Original Assignee
유희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희장 filed Critical 유희장
Priority to KR1020170075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6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25Brush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heads that change shape during use
    • A46B5/0029Head made of soft plastics, rubber or rubber inserts in plastics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05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by moulding or casting a body aroun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측단면이 'H'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장된 길이를 따라 상부에는 상향 개구된 상치삽입홈(1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향 개구된 하치삽입홈(112)이 형성된 헤드몸체(110) 및, 각 삽입홈(111,112)의 내면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되어 삽입된 치아(10)의 가압면(11)을 세척하는 가압면돌기(121)와 각 삽입홈(111,112)의 내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삽입된 치아(10)의 측면(12)을 세척하는 측면돌기(122)를 포함하는 세척돌기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몸체(110)와 세척돌기부(120)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일체로 사출성형된 헤드부(130); 및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헤드몸체(110)의 일측부에 체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이용되며 파지부위에는 논슬립패드(143)가 배치된 손잡이부(140);를 포함하는 구강형 칫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구강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ORAL TYPE TOOTHBRUS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강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치시 손잡이의 단부에 장착된 헤드부의 돌기를 치아와 잇몸에 마찰시켜 구강 내의 이물질을 세척하는데 이용되는 구강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양치시 칫솔모를 치아와 마찰시켜 치아 표면이나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종래의 칫솔은 막대형상의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단부에 다수의 칫솔모가 직립되게 식모된 구조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종래의 칫솔은 칫솔모가 손잡이의 일측에만 배치되어 있어 상부치아나 하부치아 중 한 측의 치아만을 세척수 있으며 각 치아별로 치아의 가압면(상면 또는 저면)이나 측면 중 어느 한 면만을 세척할 수 있고 상치와 하치를 동시에 세척하거나 치아의 가압면과 측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없어 양치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빳빳한 재질의 칫솔모가 다발로 묶여 손잡이에 형성된 다수의 식모홈에 장착되기 때문에 구강 내에 상처가 있거나 잇몸이 약한 경우에는 칫솔모와의 마찰로 인해 양치 중에 구강통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가는 칫솔모를 이용하여 통증을 줄이기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칫솔모가 가늘어진 만큼 모끝이 뾰족해지기 때문에 칫솔모를 치아나 잇몸에 접촉시키는 과정에서 칫솔모의 단부가 구강이나 잇몸을 찔러 여전히 통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2779호(2107. 06.08), 칫솔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치와 하치를 동시에 세척하고 각 치아별로 가압면과 측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어 양치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면서 제조가 간소하며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하여 양치시 구강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구강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돌기가 형성된 헤드부와 손잡이에 형성된 논슬립패드를 동시에 사출성형하여 제조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구강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측단면이 'H'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장된 길이를 따라 상부에는 상향 개구된 상치삽입홈(1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향 개구된 하치삽입홈(112)이 형성된 헤드몸체(110) 및, 각 삽입홈(111,112)의 내면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되어 삽입된 치아(10)의 가압면(11)을 세척하는 가압면돌기(121)와 각 삽입홈(111,112)의 내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삽입된 치아(10)의 측면(12)을 세척하는 측면돌기(122)를 포함하는 세척돌기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몸체(110)와 세척돌기부(120)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일체로 사출성형된 헤드부(130); 및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헤드몸체(110)의 일측부에 체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이용되며 파지부위에는 논슬립패드(143)가 배치된 손잡이부(140);를 포함하는 구강형 칫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치삽입홈(111)의 바닥면과 하치삽입홈(112)의 천장면에는 다수의 가압면돌기(121)가 폭방향(W)과 길이방향(L)으로 이격되어 정렬배치되고, 각 가압면돌기(121)는 폭방향(W)의 양측위치에서 중앙위치로 갈수록 상하로 돌출된 길이가 점차적으로 길어지며, 돌출된 단부에는 삽입된 치아(10)의 가압면(11)에 형성된 치아홈(13)에 삽입되기 위한 세척모서리(1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형 칫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세척돌기부(120)의 외부면에는 친수성 고분자 화합물이 도포되어 이루어진 친수성 코팅층(1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형 칫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치삽입홈(111)과 하치삽입홈(112)은 헤드몸체(11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방향(W)의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삽입홈(111,112)의 일측의 폭방향(W) 폭은 측방돌출된 측면돌기(122)가 어금니의 측면(12)과 접촉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각 삽입홈(111,112)의 타측의 폭방향(W) 폭은 측방돌출된 측면돌기(122)가 앞니의 측면(12)과 접촉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형 칫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헤드몸체(110)의 일측부에는 구형상의 회동홈(113)이 측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40)의 일단부에는 구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홈(113)에 삽입체결되는 회동볼(144)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140)는 헤드부(130)를 중심으로 회동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형 칫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세척돌기부(120)는, 상기 헤드몸체(110)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되어 각 삽입홈(111,112)에 삽입된 치아(10)의 잇몸(14)을 세척하는 잇몸돌기(1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형 칫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세척돌기부(120)는, 상기 헤드몸체(110) 상에서 상기 손잡이부(140)가 장착되는 일측부와 대향하는 타측부에 위치하고 헤드몸체(11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이격배치되며 측방으로 돌출된 혀세척돌기(1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형 칫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헤드몸체(110)는, 치열(Dentition)의 형상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만곡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형 칫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측단면이 'H'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장된 길이를 따라 상부에는 상향 개구된 상치삽입홈(1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향 개구된 하치삽입홈(112)이 형성된 헤드몸체(110) 및, 각 삽입홈(111,112)의 내면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되어 치아(10)의 가압면(11)을 세척하는 가압면돌기(121)와 각 삽입홈(111,112)의 내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치아(10)의 측면(12)을 세척하는 측면돌기(122)를 포함하는 세척돌기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몸체(110)와 세척돌기부(120)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일체로 사출성형된 헤드부(130); 및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헤드몸체(110)의 일측부에 체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이용되며 파지부위에는 논슬립패드(143)가 배치된 손잡이부(140);를 포함하는 구강형 칫솔(100)을 제조하는 구강형 칫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30)를 형성하기 위한 헤드성형홈(211,221), 상기 손잡이부(140)가 삽입되기 위한 손잡이홈(222) 및 상기 논슬립패드(143)를 성형하기 위한 패드홈(142)이 마련된 제1금형(210) 및 제2금형(220)을 준비하는 금형 준비 단계(S310); 상기 논슬립패드(143)가 형성될 부위에 패드홈(142)이 개구되어 형성된 손잡이몸체(141)를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의 헤드성형홈(211,221), 손잡이홈(222) 및 패드홈(142)에 삽입하는 손잡이몸체 배치 단계(S320);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성형액을 상기 헤드성형홈(211,221)과 패드홈(142)에 주입하는 성형액 주입 단계(S330); 및 주입된 성형액을 경화시켜 손잡이몸체(141)의 일단부에는 헤드부(1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손잡이몸체(141)의 파지부위에는 논슬립패드(143)가 형성된 구강형 칫솔(100)을 성형하는 칫솔 성형 단계(S340);를 포함하는 구강형 칫솔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측단면이 'H'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장된 길이를 따라 상치삽입홈(111)과 하치삽입홈(112)이 상하에 각각 형성된 헤드몸체(110)에는 각 삽입홈(111,112)의 내부면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되거나 측방으로 돌출된 세척돌기부(12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치삽입홈(111)에 상부치아가 삽입되고 하치삽입홈(112)에 하부치아가 삽입되도록 헤드몸체(110)를 가볍게 입에 문 상태에서 헤드부(130)에 결합된 손잡이부(140)를 좌우로 흔드는 동작만으로 상치와 하치를 동시에 세척할 수 있고 각 치아(10)별로 가압면(11)과 측면(12)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어 양치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둘째, 상기 헤드몸체(110)와 세척돌기부(120)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손잡이부(140)의 단부에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방식으로 구강형 칫솔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종래의 칫솔모를 대신하는 세척돌기부(120)는 연질의 실리콘이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강에 상처가 있거나 잇몸이 약하더라도 플렉시블한 연질의 특성으로 양치시 환부와 마찰되더라도 구강통증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으며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손잡이부(140)의 단부에는 헤드부(130)가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부(140)의 파지부위에는 논슬립패드(143)가 형성된 구조의 구강형 칫솔(100)을 제조함에 있어서, 논슬립패드(143)가 형성될 부위에 패드홈(142)이 개구되어 형성된 손잡이몸체(141)를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의 헤드성형홈(211,221), 손잡이홈(222) 및 패드홈(142)에 삽입한 상태에서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성형액을 상기 헤드성형홈(211,221)과 패드홈(142)에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것으로 상기 구강형 칫솔(100)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을 더욱 감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형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 2의 A-A'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에 의해 상치와 하치, 치아의 가압면과 측면이 동시에 세척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형 칫솔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형 칫솔 제조방법에 의한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형 칫솔(10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형 칫솔(100)은 헤드부(130) 및 손잡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130)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양치시 입 안에 삽입되어 치아(10, 도 3 참고)와 접촉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분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몸체(110) 및 세척돌기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몸체(110)는 헤드부(130)의 뼈대를 형성하는 베이스 부재로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측단면이 'H'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장된 길이를 따라 상부에는 상향 개구된 상치삽입홈(1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향 개구된 하치삽입홈(1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치삽입홈(111)과 하치삽입홈(112)은 사용자의 상부치아와 하부치아가 각각 삽입되는 홈부로서 연장된 방향의 양 단은 측방으로 개구되어 각 치아(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치열(Dentition)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척돌기부(120)는 각 삽입홈(111,112)에 삽입된 치아(10)와 마찰하며 치아(10)의 표면이나 각 치아(10)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수단으로서, 각 삽입홈(111,112)의 내면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되어 삽입된 치아(10)의 가압면(11)을 세척하는 가압면돌기(121) 및, 각 삽입홈(111,112)의 내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삽입된 치아(10)의 측면(12)을 세척하는 측면돌기(12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치삽입홈(111)의 바닥면과 하치삽입홈(112)의 천장면에는 다수의 가압면돌기(121)가 폭방향(W)과 길이방향(L)으로 이격되어 정렬배치된다. 또한, 상기 상치삽입홈(111)의 바닥면에는 하향 삽입된 상부치아(10)의 저면인 가압면(11)과 접촉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로 상향 돌출된 가압면돌기(121)가 형성되고, 상치삽입홈(111)의 양측 벽면에는 삽입된 치아(10)의 측면(12)과 접촉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로 측방 돌출된 측면돌기(122)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하치삽입홈(112)의 바닥면에는 상향 삽입된 하부치아(10)의 상면인 가압면(11)과 접촉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로 하향 돌출된 가압면돌기(121)가 형성되고, 하치삽입홈(112)의 양측 벽면에는 삽입된 치아(10)의 측면(12)과 접촉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로 측방 돌출된 측면돌기(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돌기부(120)에 포함된 각 돌기(121,122)들의 돌출된 단부는 도면에서와 같이 라운드지게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구강 피부나 잇몸(14)과의 접촉시 통증이 발생하지 않으며, 치아(10)나 잇몸(14)과 접촉하면서 표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돌기가 절곡될 수 있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몸체(110)와 세척돌기부(120)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일체로 사출성형됨으로써 종래의 손잡이의 단부에 칫솔모를 식모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구강에 상처가 있거나 잇몸이 약하더라도 플렉시블한 연질의 특성으로 양치시 환부와 마찰되더라도 구강통증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으며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0)는 입에 문 헤드부(130)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압력이 작용하는 파지수단으로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헤드몸체(110)의 일측부에 체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이용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140) 상에서 파지부위에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143)가 배치되어 물에 젖은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40)는 단부가 헤드몸체(110)의 내부에 고정장착될 수도 있으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몸체(110)의 일측부에는 구형상의 회동홈(113)이 측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40)의 일단부에는 구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홈(113)에 삽입체결되는 회동볼(144)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140)는 헤드부(130)를 중심으로 회동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회동동작으로 양치시 치열을 따라 헤드부(13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손잡이를 파지한 손의 손목이 접어지는 각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파지한 손을 입주변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으며 헤드부(130)에 폭방향(W)으로 가압하기 위한 힘을 보다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단면이 'H'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장된 길이를 따라 상치삽입홈(111)과 하치삽입홈(112)이 상하에 각각 형성된 헤드몸체(110)에는 각 삽입홈(111,112)의 내부면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되거나 측방으로 돌출된 세척돌기부(12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치삽입홈(111)에 상부치아(10)가 삽입되고 하치삽입홈(112)에 하부치아(10)가 삽입되도록 헤드몸체(110)를 가볍게 입에 문 상태에서 헤드부(130)에 결합된 손잡이부(140)를 좌우로 흔드는 동작만으로 상치와 하치를 동시에 세척할 수 있고 각 치아(10)별로 가압면(11)과 측면(12)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어 양치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치아(10)는 앞니의 경우 두께가 가장 얇고 어금니는 두께가 가장 두꺼운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130)의 각 삽입홈(111,112)의 폭방향(W) 간격이 일정한 경우 앞니의 측면(12)에 측면돌기(122)의 단부가 접촉되지 않거나 양 측의 측면돌기(122) 사이에 어금니가 밀착되어 헤드부(130)의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형 칫솔(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치삽입홈(111)과 하치삽입홈(112)이 헤드몸체(11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방향(W)의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 삽입홈(111,112)의 일측의 폭방향(W) 폭은 측방돌출된 측면돌기(122)가 어금니의 측면(12)과 접촉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각 삽입홈(111,112)의 타측의 폭방향(W) 폭은 측방돌출된 측면돌기(122)가 앞니의 측면(12)과 접촉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폭이 가장 넓은 일측이 어금니를 지향하고 폭이 가장 좁은 타측은 앞니를 지향하도록 치열 상에 헤드부(130)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좌우로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어금니와 앞니의 각 측면(12)이 측면돌기(122)과의 마찰에 의해 효과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형상의 치아(10) 중 어금니는 섭취한 음식물을 으깨는 저작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가압면(11)이 앞니나 송곳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으며 중앙부에는 오목한 치아홈(13)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면(11)과 접촉하며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압면돌기(121)의 길이가 일정하거나 그 단부가 라운드진 경우 상기 치아홈(13)과 접촉되지 않아 내부에 끼인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형 칫솔(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치삽입홈(111) 및 하치삽입홈(112)에 형성된 각 가압면돌기(121)의 경우 폭방향(W)의 양측위치에서 중앙위치로 갈수록 상하로 돌출된 길이가 점차적으로 길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돌출된 단부에는 삽입된 치아(10)의 가압면(11)에 형성된 치아홈(13)에 삽입되기 위한 세척모서리(1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앙에 긴 가압면돌기(121)는 모서리져 뾰족한 세척모서리(123)가 치아홈(13)에 삽입되면서 내부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고 양측위치에 배치된 가압면돌기(121)들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아 삽입된 치아(10)에 의해 눌려 눕혀지지 않고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뾰족한 세척모서리(123)가 지속적으로 치아홈(13)의 내면과 마찰되기 때문에 이물질 제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면에는 각 가압면돌기(121)의 단부에 비탈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원뿔형상이나 각뿔형상과 같이 돌출된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단부가 뾰족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세척돌기부(120)의 각 돌기(121,122)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삽입된 치아(10)에 의해 가압되면서 눕혀져 측면이 치아(10)나 잇몸(14)과 마찰될 수 있는데, 이때 잇몸(14)이 약하거나 질환이 있는 경우 길이가 긴 돌기의 측면과 환부가 마찰되면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돌기부(120)의 외부면에는 친수성 고분자 화합물이 도포되어 이루어진 친수성 코팅층(1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척돌기부(120)의 각 돌기(121,122)에 코팅된 친수성 코팅층(124)이 잇몸(14)과의 접촉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윤활유 역활을 제공하기 때문에 돌기에 의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돌기부(120)는 헤드몸체(110)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되어 각 삽입홈(111,112)에 삽입된 치아(10)의 잇몸(14)을 세척하기 위한 잇몸돌기(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삽입홈(111,112)에 치아(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양치가 진행되는 중에 상향 돌출된 잇몸돌기(125)가 잇몸(14)과 접촉하면서 마찰되어 잇몸(14)의 표면이나 치아(10)와 잇몸(14)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돌기부(120)는 헤드몸체(110) 상에서 손잡이부(140)가 장착되는 일측부와 대향하는 타측부에 위치하고 헤드몸체(11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이격배치되며 측방으로 돌출된 혀세척돌기(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혀세척돌기(126)의 단부가 혀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헤드부(130)를 전후로 왕복시키게 되면 혀세척돌기(126)와 혀간의 마찰에 의해 혀표면에 흡착된 백태나 음식물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상기 헤드몸체(110)가 길이방향(L)으로 직선으로 연장된 형상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헤드몸체(110)는 'U'자 형상을 갖는 치열의 형상을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헤드부(130)가 치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 헤드몸체(110)의 중앙부에 돌출된 측면돌기(122)와 치아(10)간에 간격이 발생하거나 헤드몸체(110)의 내벽면과 치아(10)가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30)는 길이방향(L)을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측단면이 'H'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헤드몸체(110)의 뼈대를 형성하는 코어프레임(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몸체(110)는 연질의 실리콘 재질이 상기 코어프레임(114)의 표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코어프레임(114)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상치삽입홈(111) 및 하치삽입홈(112)이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몸체(110)는 코어프레임(114)으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코어프레임(114)의 외부를 둘러싸는 커버형태로 이루어져 세척돌기부(120)의 각 돌기(121,122,125,126)가 닳거나 훼손되는 경우 새로운 헤드몸체(110)로 교체하여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코어프레임(114)은 헤드몸체(110)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인 재질로 이루어져 양치시 헤드부(13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헤드몸체(110)의 형태가 찌그러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40)의 회동볼(144)이 삽입되는 회동홈(113)은 상기 코어프레임(114)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동볼(14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프레임(114)으로부터 세척돌기부(120)의 각 돌기(121,122,125,126)의 내부를 따라 연장형성된 돌기프레임(1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프레임(115)을 통해 세척돌기부(120)의 탄성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돌기프레임(115)의 연장된 길이나 직경의 크기를 조절하여 세척돌기부(120)와 치아(10) 간의 마찰강도를 적절히 증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형 칫솔(100)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형 칫솔 제조방법은 금형 준비 단계(S310), 손잡이몸체 배치 단계(S320), 성형주입물 주입 단계(S330) 및 칫솔 성형 단계(S3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금형 준비 단계(S310)는 구강형 칫솔(100)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30)를 형성하기 위한 헤드성형홈(211,221), 상기 손잡이부(140)가 삽입되기 위한 손잡이홈(222) 및 상기 논슬립패드(143)를 성형하기 위한 패드홈(142)이 마련된 제1금형(210) 및 제2금형(220)을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성형홈(211,221) 및 패드홈(142)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성형액을 주입하기 위한 성형액 주입구(223)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몸체 배치 단계(S320)는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 사이에 인서트 사출성형의 베이스가 되는 손잡이몸체(141)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논슬립패드(143)가 형성될 부위에 패드홈(142)이 개구되어 형성된 손잡이몸체(141)를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의 헤드성형홈(211,221), 손잡이홈(222) 및 패드홈(142)에 맞물리도록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몸체(141)의 단부에 형성된 회동볼(144)은 각 헤드성형홈(211,221)이 형성하는 빈공간의 중앙에 배치되어 헤드부(130)의 일측이 회동볼(144)을 둘러싸는 형태로 성형되도록 한다.
상기 성형주입물 주입 단계(S33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성형액을 성형액 주입구(223)을 통해 상기 헤드성형홈(211,221)과 패드홈(142)에 주입하여, 상기 헤드성형홈(211,221)과 손잡이몸체(141) 간의 간격과 패드홈(142)과 손잡이몸체(141) 간의 간격에 주입된 성형액이 충전되도록 한다.
상기 칫솔 성형 단계(S340)는 주입된 성형액을 상온 또는 고온에서 경화시킨 후 제1금형(210) 및 제2금형(220)으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분리시키는 단계로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몸체(141)의 일단부에는 헤드부(1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손잡이몸체(141)의 파지부위에는 논슬립패드(143)가 형성된 구강형 칫솔(100)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손잡이몸체(141)를 중심으로 헤드부(130)와 논슬립패드(143)를 동시에 사출형성하여 구강형 칫솔(100)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칫솔모를 대신하는 세척돌기부(120)는 연질의 실리콘이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강에 상처가 있거나 잇몸이 약하더라도 플렉시블한 연질의 특성으로 양치시 환부와 마찰되더라도 구강통증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으며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치아 11...가압면
12...측면 13...치아홈
100...구강형 칫솔 110...헤드몸체
111...상치삽입홈 112...하치삽입홈
120...세척돌기부 121...가압면돌기
122...측면돌기 123...세척모서리
124...친수성 코팅층 125...잇몸돌기
126...혀세척돌기 130...헤드부
140...손잡이부 141...손잡이몸체
143...논슬립패드
S310...금형 준비 단계 S320...손잡이몸체 배치 단계
S330...성형주입물 주입 단계 S340...칫솔 성형 단계

Claims (4)

  1.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측단면이 'H'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장된 길이를 따라 상부에는 상향 개구된 상치삽입홈(1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향 개구된 하치삽입홈(112)이 형성된 헤드몸체(110) 및, 각 삽입홈(111,112)의 내면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되어 삽입된 치아(10)의 가압면(11)을 세척하는 가압면돌기(121)와 각 삽입홈(111,112)의 내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삽입된 치아(10)의 측면(12)을 세척하는 측면돌기(122)를 포함하는 세척돌기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몸체(110)와 세척돌기부(120)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일체로 사출성형된 헤드부(130); 및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헤드몸체(110)의 일측부에 체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이용되며 파지부위에는 논슬립패드(143)가 배치된 손잡이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상치삽입홈(111)과 하치삽입홈(112)은 헤드몸체(110)의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방향(W)의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삽입홈(111,112)의 일측의 폭방향(W) 폭은 측방돌출된 측면돌기(122)가 어금니의 측면(12)과 접촉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각 삽입홈(111,112)의 타측의 폭방향(W) 폭은 측방돌출된 측면돌기(122)가 앞니의 측면(12)과 접촉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측면돌기(122)의 돌출된 단부는 라운드진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면돌기(121)는 폭방향(W)의 양측위치에서 중앙위치로 갈수록 상하로 돌출된 길이가 점차적으로 길어지며 돌출된 단부에는 삽입된 치아(10)의 가압면(11)에 형성된 치아홈(13)에 삽입되기 위한 세척모서리(123)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130)는 길이방향(L)을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측단면이 'H'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헤드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헤드몸체(110)의 뼈대를 형성하는 경질의 코어프레임(1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몸체(110)는 코어프레임(114)으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코어프레임(114)의 외부를 둘러싸는 커버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프레임(114)으로부터 세척돌기부(120)의 각 돌기(121,122)의 내부를 따라 연장형성된 돌기프레임(11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형 칫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돌기부(120)의 외부면에는 친수성 고분자 화합물이 도포되어 이루어진 친수성 코팅층(1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형 칫솔.
  4. 삭제
KR1020170075091A 2017-06-14 2017-06-14 구강형 칫솔 Active KR101919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091A KR101919699B1 (ko) 2017-06-14 2017-06-14 구강형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091A KR101919699B1 (ko) 2017-06-14 2017-06-14 구강형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699B1 true KR101919699B1 (ko) 2018-11-16

Family

ID=6456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091A Active KR101919699B1 (ko) 2017-06-14 2017-06-14 구강형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6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132Y1 (ko) * 2001-07-31 2001-11-22 박재석 칫솔모 일체형 칫솔
JP2002508686A (ja) 1997-06-16 2002-03-19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一体成形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8686A (ja) 1997-06-16 2002-03-19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一体成形歯ブラシ
KR200253132Y1 (ko) * 2001-07-31 2001-11-22 박재석 칫솔모 일체형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9351B2 (ja) 歯ブラシ
JP2928990B2 (ja) 歯間歯ブラシ
US6254390B1 (en) Oral burnisher
US9855692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KR101279742B1 (ko) 세척효과가 강화된 칫솔
CN101112332B (zh) 牙刷
EP3269272B1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US8997297B2 (en) Toothbrush
AU2012245740B2 (en) Dental cleaning device
US5898967A (en) Flexible toothbrush
US20060230563A1 (en) Oral care device with multi-structural contact elements
JP2008006281A (ja) 歯ブラシの柄
HU221790B1 (hu) Fogköztisztító és eljárás annak előállítására
JP2002507926A (ja) フィン付き歯ブラシ
US8997299B2 (en) Tooth cleaning device
KR20210030445A (ko) 구강 케어 기구를 위한 헤드 및 이러한 헤드를 포함하는 키트
KR101919699B1 (ko) 구강형 칫솔
CN116600677A (zh) 新型设备
KR20180093715A (ko) 다기능 칫솔
JP5301235B2 (ja) 歯ブラシ
JP7619804B2 (ja) 塗布用ブラシ
TWI685313B (zh) 具螺旋狀軟膠刷毛部且軟膠外顯在握柄部之潔牙裝置及其模具裝置
JP2025099937A (ja) 歯ブラシの製造方法
JP2572428Y2 (ja) 歯ブラシ
KR101861186B1 (ko) 치간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