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8711B1 - Medical clip applier - Google Patents

Medical clip appl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711B1
KR101918711B1 KR1020180002419A KR20180002419A KR101918711B1 KR 101918711 B1 KR101918711 B1 KR 101918711B1 KR 1020180002419 A KR1020180002419 A KR 1020180002419A KR 20180002419 A KR20180002419 A KR 20180002419A KR 101918711 B1 KR101918711 B1 KR 101918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lip
housing
actuating
wi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탁
강익주
안혁
한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코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코아
Priority to KR102018000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711B1/en
Priority to PCT/KR2018/012523 priority patent/WO201913547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71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68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U-shaped staples or clamps, e.g. without a forming anv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클립을 대상 부위에 제공하는 클립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전진 및 후진되어 대상 부위를 파지하는 클립과, 상기 하우징 후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클립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클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홈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블럭고정홈에 의해 고정되는 작동블럭과,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작동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블럭을 전진 및 후진시키고, 상기 작동블럭으로부터 파단되도록 형성된 작동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에 의해 클립이 대상 부위를 파지하고, 그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위치 및 그 후 클립으로부터 작동와이어 및 작동부 등의 분리 시점을 특정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시술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p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medical clip to a target site, the clip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a clip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forward and backward to grip a target site; A medical clip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gui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block fixing groove alo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ip; An operation block which is engaged with the clip and is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and fixed by the block fixing groove; and an operation block which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operation block to advance and reverse the operation block, And an operating wire formed to break from the operating block It will provide a clip apparatus for medical technology with a base. Thus,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fixing position for holding the clip in the state and the separation point of the operation wire and the operation unit from the clip after the clip is gripped by the simple structure, thereby realizing the quick and accurate operation .

Description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Medical clip applier}{Medical clip applier}

본 발명은 의료용 클립을 대상 부위에 제공하는 클립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 부위로의 클립의 제공, 대상 부위의 파지, 고정 등의 동작이 연속적이면서 정확한 동작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p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medical clip to a target si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ip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clips to a target site, .

일반적으로 의료용 클립은 개방형 또는 내시경형 외과 수술시 절단된 혈관의 양쪽을 지혈하기 위해 사용되나, 천공시의 점막 결손, 누공, 수술문합부의 누출, 수술 위치에 대한 확인과 카테터, 영양관, 스텐트의 고정과 같은 비출혈에 대한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medical clips are used to hemorrhage both sides of the severed blood vessels during open or endoscopic surgery. However, the clips can be used for hemostasis of the mucosal defect, fistula, leakage of the anastomotic site, Such as the fixation of non-bleeding is also used for treatment.

이는 조직 손상을 초래하지 않고 뚜렷한 지혈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으로, 조직괴사나 천공 등의 합병증이 거의 없어 위장관 출혈의 지혈술 등에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This is an ideal method to obtain a clear hemostatic effect without causing tissue damage. Since there is no complication such as tissue necrosis or perforation, it is used for gastrointestinal bleeding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종래의 지혈 클립을 제공하기 장치로는, 미국등록특허 US8,162,959호, 일본등록특허 JP4,921,173호 등이 있으며, 지혈부위의 양측에 지혈 클립을 제공하고, 지혈 클립을 파지하여 혈관을 압박시킴으로써 혈관의 폐색을 유도하게 된다.US Pat. No. 8,162,959 and JP 4,921,173 disclose a conventional hemostatic clip. Hemostatic clip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emostatic site, and hemostatic clips are gripped to constrict blood vessels Leading to occlusion of blood vessels.

종래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하우징 내에 지혈 클립이 수용되고, 지혈 클립을 하우징 내외측으로 진퇴시키는 작동부 등으로 크게 구성된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blood collecting clip is generally accommodated in a housing, and an operating portion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blood clotting clip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특히 내시경형 외과 수술의 경우, 내시경관을 통해 지혈 클립 장치의 선단부를 시술 부위로 이동시키고, 지혈 클립을 돌출시켜 지혈부위를 파지하고, 그 상태로 지혈 클립을 고정시킨 후, 고정된 지혈 클립을 작동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으로 지혈 클립의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ndoscopic surgery, the end portion of the hemostasis clip device is moved through the endoscope tube to the treatment site, the hemostasis clip is protruded to grip the hemostatic portion, the hemostatic clip is fixed in the state, The operation of the hemostatic clip is carried out by separating the operation part from the operation part.

일반적으로 이러한 지혈 클립 제공 장치는 클립의 이동과 공급이 정확한 타이밍에 의한 제어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그 구성이 복잡하여,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복잡한 구성에 의해 부품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혈 클립 제공장치의 가격을 상승시키고 있다.Generally, such a device for providing a blood clot clip is often complicated and malfunctions because the movement and supply of the clip must be controlled by precise timing. As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due to a complicated configuration The price of the hemostatic clip providing device is rising.

또한, 지혈부위의 파지 후 지혈 클립을 하우징 등과 분리시킬 때 지혈부위에 과도하게 힘이 주어지거나, 이런 과정에서 하우징에 힘이 과하게 작용되어 장치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Further, when the hemostasis clip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or the like after gripping the hemostasis site,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hemostasis site, or there is a risk that the device is damaged due to excessive force applied to the housing.

또한, 기존 지혈 클립 제공장치는 지혈 클립을 분리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구성이 지혈 클립의 암의 고정 또는 지혈 클립의 분리 순간에 가해지는 힘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여, 지혈 클립의 분리시 암의 과고정 및 지혈 부위에 과잉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지혈 클립의 분리되는 힘이 암의 고정에 적용될 경우 분리 시점의 불명확화 및 암 고정의 풀림, 지혈부위를 잡고 있는 파지력의 균형이 깨지게 되어, 지혈부위의 과잉 파지에 따른 조직 손상이나, 지혈 부위의 풀림에 따른 지혈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hemostatic clip providing apparatus, the structure for determining the time for separating the hemostatic clip does not properly absorb the force applied to the arm of the hemostatic clip or the moment of separation of the hemostatic clip, And excess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hemostasis site, and when the separation force of the hemostasis clip is applied to the fixation of the arm, the unbalance of the separation timing and loosening of the arm fixation and the gripping force holding the hemostasis site are broke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ssue damage due to the excessive phage or the hemostasis due to the loosening of the hemostatic site is not achieved.

따라서, 이러한 지혈 클립 제공장치는 지혈 클립의 분리에 따른 힘이 지혈 클립의 암에 최소한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지혈부위의 파지, 파지된 상태의 유지 및 고정, 지혈 클립의 분리 동작이 지혈부위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신속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지혈 클립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우므로 기기 내부의 구조적인 수단으로 정확한 동작이 보장되어야 한다.Accordingly, such a device for providing a blood clot allows the force of separating the blood clot to be transmitted to the arm of the hemostatic clip at a minimum so that the grip of the hemostat, the holding and fixing of the grip, And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the operation of the hemostatic clip. Therefore, the correct operation must be ensured by structural means inside the apparatus.

즉, 작동부의 동작에 의한 지혈 클립의 공급 및 작동, 지혈부위의 파지, 지혈 클립의 고정, 지혈 클립의 분리가 연속적이고, 정확한 타이밍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여야 하나, 종래 기술들은 이러한 요구 조건에 있어서 미흡하다.That is, the supply and operation of the hemostasis clip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the grip of the hemostasis area, the fixation of the hemostasis clip, and the separation of the hemostasis clip must be performed continuously and with precise timing, .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상 부위로의 클립의 제공, 대상 부위의 파지, 고정 등의 동작이 연속적이면서 정확한 동작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dical clip providing apparatus that can realize a continuous and accurate operation such as providing a clip to a target site, holding and fixing a target site, and the lik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전진 및 후진되어 대상 부위를 파지하는 클립과, 상기 하우징 후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클립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클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홈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블럭고정홈에 의해 고정되는 작동블럭과,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작동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블럭을 전진 및 후진시키고, 상기 작동블럭으로부터 파단되도록 형성된 작동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A clip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is advanced and retracted to grip a target portion; and an operation portion which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housing and control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lip, The medical clip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having a gui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block fixing groove alo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ip, and a housing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 operation block guided by the block fixing groove and fixed by the block fixing groove; and an operation wire which is operated by opera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operation block to advance and retreat the operation block and to be broken from the operation block The medical clip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또한, 상기 작동블럭은, 상기 블럭고정홈에 탄성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actuating block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and is fixed in position.

또한, 상기 작동블럭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러너와, 상기 클립을 고정시키는 클립고정부와, 상기 작동와이어의 동작에 따라 상기 블럭고정홈에 탄성결합되는 고정날개와, 상기 작동와이어 선단부가 결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블럭과 작동와이어의 파단을 유도하는 파단유도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on block may include a guide runner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a clip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clip, a fixed blade that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wire, And a rupture induction groove formed at the rea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induce rupture of the actuating block and the actuating wire.

또한, 상기 작동블럭에는, 상기 파단유도홈에 인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보조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elastic auxiliary groove is formed in the operation block adjacent to the rupture induction groove

또한, 상기 작동블럭의 수용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수직단면적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블럭의 고정 위치 및 상기 작동블럭으로부터 작동와이어의 파단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수용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actuating block is formed to have a narrow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rear, and is formed as a receiving groove defined by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according to a fixed position of the actuating block and a break position of the actuating wire from the actuating block Do.

또한, 상기 작동와이어는,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와 연결되는 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operating wire includes a head portion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a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portion, wherein the operation wire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또한, 상기 가이드러너는, 상기 작동블럭에 조립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작동블럭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guide runn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ctuating block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actuating block.

또한,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절곡예정팁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tip to be bent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는, 상기 작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작동와이어와 함께 분리되도록 형성된 연결관이 더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r end of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ip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by the actuating part together with the actuating wire to form a front end of the block fixing groove formed in the rear of the housing.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대상 부위로의 클립의 제공, 대상 부위의 파지, 그리고 그 상태의 고정 및 작동와이어를 포함하는 작동부의 분리가 연속적이면서 정확한 동작에 의해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provision of the clip to the target site, the grasping of the target site, the fixation of the state, and the separation of the operation section including the operation wire are realized by a continuous and accurat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클립이 대상 부위를 파지하고, 그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위치 및 그 후 클립으로부터 작동와이어 및 작동부 등의 분리 시점을 특정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시술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pecify a sepa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wire and the operation unit from the clip at a fixed position for gripping and fixing the target portion in the state, and thereafter, an effect that quick and accurate operation can be realized have.

또한, 클립의 대상 부위 파지 후 추가적인 힘에 의해 작동와이어 및 작동부 등이 분리되게 되는데, 이 경우 클립에 추가적인 힘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상기 분리 시점의 정확화가 구현되고, 클립의 풀림이나 비틀림 현상이 방지되며, 대상 부위의 파지력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조직 손상이나 지혈 부위의 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fter gripping the target portion of the clip, the operation wire and the operation portion are separated by the additional force. In this case, the influence of the additional force on the clip is minimized, and the accuracy of the separation time is realized, And the gripping force of the target site is maintained uniformly, so tha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issue damage or the loosening of the hemostatic site can be minimized.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에 대한 모식도.
도 2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5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예시도.
도 6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7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8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9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예시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 medical clip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 sectional view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operational examp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operational examp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의료용 클립을 대상 부위에 제공하는 클립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대상 부위로의 클립의 제공, 대상 부위의 파지, 그리고 그 상태의 고정 및 작동와이어(300)를 포함하는 작동부의 분리가 연속적이면서 정확한 동작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p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medical clip to a target site, comprising a simple structure for providing a clip to a target site, holding a target site, So that the separation of parts can be realized by continuous and accurate operation.

특히 본 발명은 클립이 대상 부위를 파지하고, 그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위치 및 그 후 클립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 및 작동부 등의 분리 시점을 특정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pecify a sepa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wire 300 and the operation part from the clip at the fixing position for gripping the object part and fixing the object part in the state, will be.

또한, 클립의 대상 부위 파지 후 추가적인 힘에 의해 작동와이어 및 작동부 등이 분리되게 되는데, 이 경우 클립에 추가적인 힘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상기 분리 시점의 정확화가 구현되고, 클립의 풀림이나 비틀림 현상이 방지되며, 대상 부위의 파지력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조직 손상이나 지혈 부위의 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Further, after gripping the target portion of the clip, the operation wire and the operation portion are separated by the additional force. In this case, the influence of the additional force on the clip is minimized, and the accuracy of the separation time is realized, And the gripping force of the target site is maintained uniformly so that the tissue damage or the loosening of the hemostatic site can be minimiz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예시도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cl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FIG. 5 is an operational examp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 Fig. 8 is an operational examp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는 하우징과 대상 부위를 파지하는 클립(10), 그리고 클립(10)과 결합되어 클립(10)을 전진 및 후진시키는 작동부(20)로 크게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generally, the medical clip providing apparatus is largely composed of a clip 10 holding a housing and a target region, and an operation portion 20 coupled with the clip 10 to advance and retract the clip 10.

특히 본 발명은 클립(10)과 작동부(20)와 연결되어 클립(10)을 직선운동시키고, 클립(10)의 고정 위치 및 작동부(20)와의 분리시점을 특정하기 위해 하우징(100), 작동블럭(200) 그리고 작동와이어(300)의 구성을 그 주요 특징으로 하고 있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lip 10 and the operating portion 20 to linearly move the clip 10, and to determine the fixing position of the clip 10 and the time of separation from the operating portion 20, The operation block 200, and the operation wire 300, which are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의 클립(10)에 의해 파지되는 대상 부위는 출혈 또는 비출혈 부위에 파지력을 부여하기 위한 어떠한 부위, 대상에 해당되며, 예컨대 지혈 부위, 천공시의 점막 결손, 누공, 수술문합부의 누출, 수술 위치에 대한 확인과 카테터, 영양관, 스텐트의 고정과 같은 비출혈 부위에도 사용할 수 있다.The target portion held by the cli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ny part or object for imparting a gripping force to a bleeding or non-bleeding part, for example, a hemostatic part, a mucosal defect at the time of perforation, a fistula, It can also be used for non-bleeding sites such as leakage, confirmation of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and fixation of the catheter, nutrient tube, or stent.

또한, 본 발명에서의 작동부(20)와 클립(10)은 공지된 형태를 사용하며, 도 1에 도시된 작동부(20)는 지지부재(22)를 지지하면서 손잡이(21)를 당김으로써 이와 탄성연결된 작동와이어(300)에 의해 클립(10)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을 제어하고, 클립이 파지가 완료되면 하우징(100)과 연결된 연결관(140) 및 작동부(20) 등을 분리시키게 된다.The operation portion 20 and the clip 10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f a known type and the operation portion 20 shown in Fig. 1 can be obtained by pulling the handle 21 while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22 When the clip is gripped, the connection pipe 140 and the operation unit 20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controlling the advancing and retreating operations of the clip 10 by the resiliently connected operation wire 300 do.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어 전진 및 후진되어 대상 부위를 파지하는 클립과, 상기 하우징(100) 후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클립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클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홈(120)이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의해 고정되는 작동블럭(200)과,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작동블럭(200)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블럭(200)을 전진 및 후진시키는 작동와이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dical clip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clip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to advance and backward to grip a target portion, and a clip that is detachably formed at a rear end of the housing 100 The medical clip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uiding part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block fixing groove (120) is provided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ip An operation block 200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and coupled with the clip and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110 and fixed by the block fixing groove 120; And an operation wire 300 which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and is coupled to the operation block 200 to move the operation block 200 forward and backward.

본 발명에 따른 클립 제공 장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어 전진 및 후진되어 대상 부위를 파지하는 클립과, 상기 하우징(100) 후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클립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clip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clip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to advance and backward to grip a target site, And an oper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작동부(20)는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손잡이(21)와, 손잡이(21)를 지지하면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지지부재(22)로 구현된다. 상기 지지부재(22)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클립(1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되며, 지지부재(22)를 당기면 클립이 후진하게 되고, 지지부재(22)를 놓으면 클립(10)이 전진하게 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와이어(300)와 연결되어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작동와이어(300)가 동작되도록 하여, 작동와이어(300)의 움직임에 따라 클립이 전진 또는 후진되게 된다.1, the operation unit 20 is embodied as a handle 21 and a support member 22 formed to be movable while supporting the handle 21. [ The support member 22 moves the clip 10 forward or backward by a spring (not shown) provided in the housing 100. When the support member 22 is pulled, the clip is moved backward, 22, the clip 10 advances.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actuating wir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actuating wire 300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ing part so that the clip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ctuating wire 300.

즉, 작동와이어(300)가 전진하면 하우징(100) 전방으로 클립을 전진시켜 상기 클립을 대상 부위에 도달시키고, 힘을 가하여 지지부재를 후방으로 당기면 대상 부위를 파지함과 동시에 클립은 하우징(100) 내부로 수용되면서 특정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그 후 추가적인 힘을 가하면 작동와이어(300)와 클립의 연결부(본 발명에서는 작동블럭(200))가 끊어지면서 클립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 및 작동부가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operation wire 300 advances, the clip is advanced to the front of the housing 100 to reach the target site, and when the support member is pulled backward by applying a force, the target site is gripped, And is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Thereafter, when an additional force is applied,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operating wire 300 and the clip (the operating block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off and the operating wire 300 and the operating portion are separated from the clip.

이러한 클립의 전진 및 후진 동작 제어 및 작동부의 작동, 그리고 작동부 등의 분리 동작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control of the clip,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and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and the like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클립 위치의 고정 및 분리 시점의 특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현되고, 추가적인 힘을 가하여도 클립에 전달되는 영향이 최소가 되어, 대상 부위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고 그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xing and separation time point of the clip position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realized and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clip is minimized even when an additional force is applied, .

이의 구현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클립을 수용하고 전진 및 후진을 안내하게 되는 하우징(100)의 형태를 개선하고, 위치 제어를 위한 작동블럭(200)과, 작동와이어(300)를 도입한 것이다.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hape of the housing 100 that accommodates the clip and guide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includes an operation block 200 for position control and an operation wire 300.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은,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클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홈(1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art 110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block fixing groove 120 is provided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ip.

상기 하우징(100)은 기본적으로 내부에 클립을 수용하게 되며, 클립의 단부는 대상 부위를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대상 부위를 파지한 이후에는 클립의 아암(arm)의 일정 부분이 수용되며, 후술할 작동블럭(200)도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와 직경으로 형성된다.The housing 100 basically accommodates a clip therein. An end portion of the clip holds a target portion. After the target portion is gripped, a certain portion of an arm of the clip is accommodated. An operation block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also formed to have a length and a diameter enough to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클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홈(120)이 형성된다.The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block fixing groove 120 is formed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ip.

상기 가이드부(110)는 상기 하우징(100)에 절삭된 형태로 형성되며, 후술할 작동블럭(2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동블럭(200)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최소 두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00) 양측에 서로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block 110 is cut in the housing 100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actuating block 200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stably drive the actuating block 200, at least two or 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s are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상기 가이드부(110)는 작동블럭(200)이 이동되는 유격거리 즉, 클립을 하우징(100) 전방측으로 최대한 돌출시키기 위한 작동블럭(200)의 위치와 클립이 하우징(100) 내부로 수용되고 작동블럭(200)이 고정되면서 작동와이어(300)가 파단되는 위치까지 작동블럭(200)이 안내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것이다.The guide part 110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operation block 200 is moved, that is,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block 200 for maximally protruding the clip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0, The block 200 is fixed and the actuating block 200 is guided to a position where the actuating wire 300 is broken.

상기 가이드부(110)에는 후술할 작동블럭(200)에 형성된 가이드러너(210)가 결합되면서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상기 작동블럭(200)이 안정적이면서 스무드하게 움직이도록 한다.A guide runner 210 formed on an operation block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110 so that the operation block 200 moves stably and smoothly along the guide portion 110.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클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홈(120)이 구비된다.The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block fixing groove 120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ip.

상기 블럭고정홈(120)은 후술할 작동와이어(300)의 작동에 따라 작동블럭(200)이 움직이게 되고, 작동와이어(300)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작동블럭(200)의 움직임이 제어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작동블럭(200)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작동블럭(200)이 고정됨에 따라 이와 연결된 클립이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블럭고정홈(120)은 클립의 고정 위치 및 추가적인 힘에 따라 작동와이어(300) 등의 파단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block fixing groove 120 moves the actuating block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ing wire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movement of the actuating block 2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to the actuating wire 300 And thus the actuating block 200 is fixed. As the operation block 200 is fixed, the clip connected thereto is fixed, so that the block fixing groove 120 can set the break position of the operation wire 300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fixing position of the clip and the additional force.

상기 블럭고정홈(120)의 위치는 이와 같은 클립의 고정 위치 및 파단 위치 즉, 작동와이어(300)의 분리되는 지점을 고려하여 상기 하우징(100)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 및 작동블럭(200), 그리고 작동와이어(300)가 전진 또는 후진되는 직선운동만을 수행하므로, 상기 블럭고정홈(120)은 클립의 진행방향을 따라 즉,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block fixing groove 120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00 in consideration of the fixing position and the breaking position of the clip, that is, the point where the operating wire 300 is separated. Since the clip and actuating block 200 and the actuating wire 300 only perform a linear motion in which the actuating wire 300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the block fixing groove 12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lip 100 As shown in FIG.

예컨대 클립의 개방정도, 클립의 고정 위치, 클립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 등의 분리위치 등을 고려하여, 상기 블럭고정홈(120)의 갯수와 간격 등을 조절하여 배치할 수 있다.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block fixing grooves 120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opening degree of the clip, the fixing position of the clip, the sepa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wire 300 from the clip, and the like.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선단부에는 절곡예정팁(130)이 구비되어, 클립을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한 후 내측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클립의 무단 이탈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bending tip 130 to prevent the clip from being torn off by accommodating the clip in the housing 100 and bending it inward.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The operation block 20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clip is coupled and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110 and fixed by the block fixing groove 120.

상기 작동블럭(200)은 전방측으로는 클립과 결합되고 후방측으로는 작동와이어(300)와도 결합되어, 작동와이어(300)의 작동에 따라 클립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형성된 것이다.The actuating block 200 is coupled to the clip on the front side and to the actuating wire 300 on the rear side so as to move forward or backward with the clip according to the actuation of the actuating wire 300.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블럭고정홈(120)에 의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The operation block 200 is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110 and fixed by the block fixing groove 120 of the housing 100 as described above.

상기 작동블럭(200)은 기본적으로 상기 하우징(100) 내벽을 탄성가압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10)에 의해 안내되어 하우징(100) 내벽을 따라 움직이다가 상기 블럭고정홈(120)의 위치에서는 상기 블럭고정홈(120)과 탄성결합되어 상기 작동블럭(2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The actuating block 200 is basically formed to elastically press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0 and is guided by the guide portion 110 to move along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0, The movable block 200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to fix the position of the actuating block 200. [

여기에서 작동블럭(200)의 위치가 고정되게 되면 클립의 파지 상태도 고정되게 되는 것으로, 작동블럭(200)이 고정되는 위치는 필요에 따라 클립의 개방정도, 클립의 고정 위치, 클립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 등의 분리위치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게 되며, 이는 블럭고정홈(120)의 위치와 갯수 등의 조절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position of the actuating block 200 is fixed, the gripping state of the clip is also fixed. The position where the actuating block 200 is fixed can be adjusted by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clip, the fixing position of the clip, The position of the block fixing groove 120, and the like, and the like.

기본적으로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탄성결합되도록 하여, 별도의 결합 및 고정을 위한 부가적인 구성 수단이 필요치 않고, 작동블럭(20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작동블럭(200)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 operation block 200 is resilient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so that no additional construction means for separate engagement and fixing is required and only the action of advancing or retracting the operation block 200 can be performed by the operation block 200 can be fixed.

이러한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의 탄성결합을 구현하고, 파지 후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작동블럭(200)의 블럭고정홈(120)에 결합되는 부분이 경사지게(후방측으로 낮게) 형성되거나, 탄성유동될 수 있도록 탄성보조홈(260) 같은 것이 형성될 수 있다.This actuating block 200 implements an elastic coupling to the block locking groove 120 and a portion of the actuating block 200 which is engaged with the block locking groove 120 of the actuating block 200 is tilted Or may be formed such as an elastic auxiliary groove 260 so as to be elastically flown.

이에 의해 클립에 의한 대상 부위를 파지하면서 작동와이어(300)를 후방으로 당기면 작동블럭(200)이 함께 연동되어 움직이게 되고, 대상 부위의 파지가 완료되는 시점에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결합되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operation wire 200 is pulled backward while grasping the target portion by the clip, the operation block 200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block 200. When the operation block 200 completes the gripping of the target portion, 120).

여기에서 더욱 추가적인 힘을 발휘하면 작동블럭(200)은 블럭고정홈(120)에 고정되어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지지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와이어(300)만 파단되어 작동블럭(200)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므로, 파단(분리)을 위한 추가적인 힘을 가해도 클립에 추가적인 힘이 전달되지 않아 클립은 안정적으로 대상 부위를 파지한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서 작동와이어(300)만 분리되게 된다.The actuator block 200 is fix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so that the actuating block 200 is supported by the block fixing groove 120 so that the actuating wire 200 The additional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clip even if an additional force is applied to break the clip. Therefore, the clip stably holds the target portion, .

작동와이어(300)가 분리되면서 작동부 및 이들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관(140), 도입관(150) 등도 동시에 분리되게 된다. 이러한 분리되는 구성은 공지된 기술로 널리 알려진 바 있으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에 연결된 연결관(14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구현되도록 한다. 즉, 상기 작동부의 손잡이 등을 당김으로서 하우징(100)의 후단부와 연결관(140)과의 연결부가 동시에 당겨지도록 하여 결합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작동와이어(300), 연결관(140) 이를 연결하는 도입관(150)과, 작동부가 작동블럭(200)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The operating wire 300 is disconnected and the operating part and the connecting pipe 140 and the inlet pipe 150 connecting the operating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are separated at the same time. This separate configuration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is generally implemented by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connector tube 140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by pulling the knob of the operating part,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rear end of the housing 100 and the connection pipe 140 is pull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connection state is released, thereby connecting the operation wire 300 and the connection pipe 140 And the actuat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actuating block 200.

그리고 상기 작동와이어(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작동블럭(200)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블럭(200)을 전진 및 후진시키고, 작동블럭(200)으로부터 파단되도록 형성된다.The operating wire 300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and is coupled to the operating block 200 to advance and retreat the operating block 200 to be broken from the operating block 200 .

상기 작동와이어(300)는 작동블럭(200)과 결합되는 헤드부(310)와, 상기 헤드부(310)에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와 연결된 몸체부(320)로 구성되어, 작동부의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된 작동블럭(200)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된다.The operation wire 300 includes a head 310 coupled to the actuating block 200 and a body 320 extending from the head 310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actuator And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actuating block 200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actuating part.

즉, 상기 작동부의 손잡이를 당기면 작동와이어(300)도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블럭(200) 및 클립도 후방으로 당겨져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이때 클립은 대상 부위를 파지한 상태가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의 손잡이를 놓거나 밀면 작동왕이어는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블럭(200) 및 클립도 전방으로 이동해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클립은 대상부위를 파지하기 위해 입(jaw)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handle of the operating part is pulled, the operating wire 300 is also pulled, so that the operating block 200 and the clip are pulled backward to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At this time, the clip is generally gripped by the target site. When the knob of the actuating part is put or pushed, the actuating knuckle moves forward, so that the actuating block 200 and the clip also move forward and protrude out of the housing 100. At this time, the clip maintains a jaw state in order to grip the target site.

상기 작동와이어(300)는 클립의 대상 부위의 파지가 완료되면 작동블럭(200)으로부터 파단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작동블럭(200)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작동블럭(200)을 움직이는데 제한이 없도록 하면서, 추가적인 힘을 가하면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가 파단되어 서로 분리되는 구조를 이룬다.The operating wire 300 is formed to break from the operating block 200 when the gripping of the target portion of the clip is completed. The operating wire 300 is fixed to the operating block 200, While the actuating wire 300 is broken from the actuating block 200 by an additional force.

여기에서 추가적인 힘은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지지되어 작동블럭(200)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작동와이어(300)를 당김으로써 작동블럭(200)의 움직임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만 분리시키는 힘이다. 이에 의해 작동블럭(200)에 결합된 클립도 대상 부위를 파지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더 이상의 추가적인 힘은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 additional force is minimized by minimizing movement of the actuating block 200 by pulling the actuating wire 300 while the actuating block 200 is supported in the block lock groove 120 and the actuating block 200 is no longer moving And separates only the actuating wire 300 from the actuating block 200 in the unlocked state. As a result, the clip coupled to the actuating block 200 also maintains the gripping state of the target portion, and no further additional force is transmitted.

따라서 작동블럭(200)과 작동와이어(300)는 추가적인 힘을 가하면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가 파단되는 구조가 실현되기 위해 결합된 구조를 이루며, 이를 위해 작동와이어(300)의 선단부에는 헤드부(310)가 작동블럭(200)의 내부에는 이를 수용하는 수용부(2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작동와이어(30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수용부(240)와 헤드부(310)의 구성에 의해 작동블럭(200)이 안정적으로 움직이게 된다.Accordingly, the actuating block 200 and the actuating wire 300 form a combined structure in order to realize a structure in which the actuating wire 300 is broken from the actuating block 200 by applying an additional force. It is preferable that a head portion 310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block 200 and a receiving portion 240 for receiving the head portion 310 is formed in the operation block 200. Accordingly, when the operating wire 300 is operated, the operating block 200 is stably mov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240 and the head portion 310.

또한, 상기 수용부(240)는 후방으로 갈수록 수직단면적이 좁게 형성되도록 하여, 추가적인 힘이 더해지면 상기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가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may have a narrow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rear, so that when the additional force is added, the actuating wire 300 is separated from the actuating block 200.

이러한 수용부(240)는 상기 작동블럭(200)의 고정 위치 및 상기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의 파단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수용홈(241)의 형태로 형성된다.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eiving groove 241 partitioned by at least one or more depending on the fixed position of the actuating block 200 and the break position of the actuating wire 300 from the actuating block 200 .

즉, 클립의 고정 위치 및 파단되는 시점을 수용홈(241)의 형태를 달리하여 구분함으로써, 수용홈(241)을 따라 움직이는 작동와이어(300)의 움직임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동블럭(200)의 고정 및 파단 위치의 제어가 제대로 구현되는 것을 부수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by separating the fixing position and the breaking time of the clip by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241, the user can sense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wire 300 moving along the receiving groove 241, It is possible to incidentally confirm that the control of the fixing and breaking positions of the main body 200 is properly implement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Lt; Embodiment 1 >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예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operational examp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면은 클립 및 작동부 등의 구성은 편의상 생략하고, 본 발명의 주요부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하우징(100), 작동블럭(200) 그리고 작동와이어(300)로 구성된다.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n operating block 200, and an operating wire 300. The housing 100, the operating block 200, .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은 양단에 개방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110)가 양측부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 상측부에는 블럭고정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10)가 양측으로 두개, 블럭고정홈(120)이 상측으로 두개, 작동블럭(200)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housing 100 is opened at both ends and formed into a long cylindrical sha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guide part 110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guide parts 110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both sides. A block fixing groove 12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00.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110 is formed on two sides and the block fixing groove 12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ctuating block 200.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의해 고정되게 되며, 상기 블럭고정홈(120)에는 상기 작동블럭(200)이 탄성결합되어 작동블럭(200)이 고정되게 된다.The operation block 20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clip is coupled and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110 to be fixed by the block fixing groove 120, 120, the actuating block 200 is elastically coupled to fix the actuating block 200.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단면 형상과 유사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된다.The actuating block 2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imilar to the sectional shape of the housing 100 so as to be received in the housing 100 and move stably.

상기 작동블럭(20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블럭(200)을 가이드부(1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러너(210)가 구현된다. 상기 가이드러너(210)가 가이드부(110)를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작동블럭(200)의 움직임을 안내하게 된다.A guide runner 210 coupled to the guide part 110 to guide the operation block 200 in a stable manner along the guide part 110 is implemented on one side of the operation block 200. [ The guide runner 210 moves along the guide portion 110 to guide the motion of the actuating block 200.

상기 가이드러너(210)는 상기 작동블럭(200)에 조립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작동블럭(2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상기 가이드부(110)에 결합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작동블럭(200)의 양측에서 상기 가이드부(110)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 예컨대, 핀, 돌기 형태, 단추, 고정날개 형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runner 2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actuating block 20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ctuating block 200. The guide runner 210 may be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110 to be movable therewith . In other words,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in, a projection, a button, a fixed blade, or the like protruding from the both sides of the operation block 200 toward the guide part 110.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의 전방측, 예컨대 선단부에는 클립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고정부(220)가 형성된다. 클립의 형태나 작동방식에 따라 클립고정부(220)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블럭(200)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A clip fixing part 220 for fixing the clip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operation block 200, for example, at the front end. The shape of the clip fixing part 220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operation of the clip. In this embodiment, the clip fixing part 2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ration block 200.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기 작동와이어(30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탄성결합되는 고정날개(23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날개(230)는 작동블럭(200)의 후방측으로 낮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블럭(200)이 하우징(100)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면서도 상기 블럭고정홈(120)에는 탄성결합되도록 하고, 클립의 대상 부위 파지 후에는 일정한 힘 이상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한다.The actuating block 200 includes a fixed blade 230 that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ing wire 300. The fixed blade 230 is sloped down to the rear side of the actuating block 200 so that the actuating block 200 moves freely within the housing 100 while being elastical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After gripping the target area of the clip, fix it so that it does not move beyond a certain force.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하우징(100)의 상측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날개(230)도 상기 작동블럭(200)의 상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며, 상기 고정날개(230)가 상측으로 움직이면서 블럭고정홈(120)에 작동블럭(200)이 탄성결합되게 된다.Since the fixed blade 230 is formed only on the upper side of the actuating block 200 because the fixed blade 230 is formed only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0 in the block fixing groove 120, The actuating block 200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while moving.

여기에서 상기 작동블럭(200)의 탄성결합을 보조하기 위해 탄성보조홈(2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시 작동블럭(200)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elastic auxiliary grooves 260 may be formed to assist the elastic coupling of the actuating block 200, and may be formed in the actuating block 200 as many as necessary.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의 내부에는 상기 작동와이어(300)의 헤드부(310)가 수용되는 수용부(240)가 형성되어 작동와이어(300)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블럭(200)이 안정적으로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한다.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accommodating the head portion 310 of the actuating wire 300 is formed in the actuating block 200 so that the actuating block 200 is stable So as to move it.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에는 상기 수용부(240)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블럭(200)과 작동와이어(300)의 파단을 유도하는 파단유도홈(250)이 형성된다. 상기 파단유도홈(250)은 상기 수용부(240)에 연통되어 작동와이어(300)의 후진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40)의 단면적보다는 좁게 형성되어 작동와이어(300)가 후진 방향으로 추가적인 힘이 발생할 경우 상기 파단유도홈(250)을 따라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가 파단되게 된다.The actuating block 200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and has a rupture induction groove 250 for inducing rupture of the actuating block 200 and the actuating wire 300. The breakage inducing groove 250 is formed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operating wire 300 by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and narrower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so that the operating wire 300 moves in the backward direction When the additional force is generated, the actuating wire 300 is broken from the actuating block 200 along the rupture induction groove 250.

여기서 상기 탄성보조홈(260)이 상기 파단유도홈(250)에 인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하여 파단시 작동와이어(300) 및 작동블럭(200)에 심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At least one or more elastic auxiliary grooves 260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rupture induction groove 250 to prevent a severe impact on the breaking wire 300 and the actuating block 200.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의 주요부의 작동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5 illustrates an operation example of a main part of the medical clip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작동블럭(200)을 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120)에 고정시켜 대상 부위로 향하도록 클립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클립에 의해 대상 부위를 파지하면서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와이어(300)를 당긴다(도 5(a)).The operation block 200 is fix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formed at the front to fix the position of the clip to the target portion. Then, the operating wire 300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while gripping the target portion by the clip (Fig. 5 (a)).

상기 작동와이어(300)를 당겨 작동블럭(200)을 후진시키면 상기 작동블럭(200)은 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120)에 탄성결합되게 된다. 이 위치가 클립에 의해 대상 부위의 파지가 완료되는 지점이며, 이 위치에서 파지된 상태의 유지 즉 클립을 고정시키게 된다(도 5(b)).When the actuating block 200 is pulled back by pulling the actuating wire 300, the actuating block 200 is resilient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formed at the rear. This position is the point at which gripping of the target portion is completed by the clip, and the holding of the gripped state, i.e., the clip, is fixed at this position (Fig. 5 (b)).

그리고, 추가적인 힘을 가하면 상기 작동블럭(200)의 수용부(240)로부터 작동와이어(300)의 헤드부(310)가 빠져나오면서 파단유도홈(250)이 벌어지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의해 작동블럭(20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힘에 의해서도 이탈되지 않게 된다When the additional force is applied, the head portion 310 of the actuating wire 300 is disengag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240 of the actuating block 200 and the fracture inducing groove 250 is opened. Also in this case, since the actuating block 200 is fixed by the block fixing groove 120, the actuating block 200 is not released even by a certain force

상기 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120)의 길이보다, 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120)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블럭(200)의 고정날개(230)가 받는 힘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후방 블럭고정홈(120)에서의 작동블럭(200)의 이동이 더 어렵도록 후방 블럭고정홈(120)의 길이가 더 길에 형성된다.The length of the block fixing groove 120 formed at the back of the block fixing groove 12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lock fixing groove 120 formed at the front of the block 200 so that the force applied to the fixed blade 230 of the actuating block 200 may be adjusted. And the length of the rear block fixing groove 120 is formed longer so that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block 200 in the rear block fixing groove 120 is more difficult.

또한, 상기 블럭고정홈(120)은 하우징(100)의 일부분을 절삭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부에는 상기 작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와 함께 분리되도록 형성된 연결관(140)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관(140)이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120)의 선단부를 형성하게도 할 수 있다.The block fixing groove 120 may be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housing 100. The operating wire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ousing 100 from the housing 100 by the actuating part. The connecting pipe 140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ipe 140. The connecting pipe 140 may form a front end of the block fixing groove 120 formed in the rear of the housing 100.

여기에서 상기 연결관(140)의 수직 단면의 길이가 더 작게, 즉,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면서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120)에 작동블럭(200)이 결합되게 되면 추가적인 힘을 주더라도 작동블럭(200)이 더 이상 후방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도 5(c))Here, the length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on pipe 140 is smaller, that is, it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so that the operation block 200 is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formed at the rear When combined, the actuating block 200 is prevented from further moving backward even if an additional force is applied (Fig. 5 (c))

따라서, 처음 클립에 의해 파지된 힘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클립의 위치가 고정되며, 작동와이어(300)가 파단유도홈(250)으로부터 파단될 수 있을 정도의 추가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도 5(c)), 작동와이어(300)가 파단유도홈(250)으로부터 파단되면서,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연결관(140)이 하우징(100)에서 분리가 되어, 작동와이어(300), 연결관(140) 이를 연결하는 도입관(150) 및 작동부가 작동블럭(200) 및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가 되게 된다(도 5(d)).Accordingly, when the position of the clip is fixed while the force gripped by the first clip is maintained, and an addi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wire 300 to such an extent that the operating wire 300 can be broken from the rupture induction groove 250 the connecting wire 14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0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art while the operating wire 300 is broken from the breakage inducing groove 250, The introduction pipe 150 and the operation part connecting the introduction pipe 150 and the housing 100 are separated from the operation block 200 and the housing 100 (Fig. 5 (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클립에 의한 대상 부위를 파지하면서 작동와이어(300)를 후방으로 당기면 작동블럭(200)이 함께 연동되어 움직이게 되고, 대상 부위의 파지가 완료되는 시점에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결합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ng wire 300 is pulled back while gripping a target portion by the clip, the operating block 200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block 200. When the gripping of the target portion is completed, And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120.

여기에서 더욱 추가적인 힘을 발휘하면 작동블럭(200)은 블럭고정홈(120)에 고정되어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지지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와이어(300)만 파단되어 작동블럭(200)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므로, 파단(분리)을 위한 추가적인 힘을 가해도 클립에 추가적인 힘이 전달되지 않아 클립은 안정적으로 대상 부위를 파지한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서 작동와이어(300)만 분리되게 된다.The actuator block 200 is fix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so that the actuating block 200 is supported by the block fixing groove 120 so that the actuating wire 200 The additional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clip even if an additional force is applied to break the clip. Therefore, the clip stably holds the target portion, .

<제2실시예>&Lt; Embodiment 2 >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예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 Fig. 8 is an operational examp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면은 클립 및 작동부 등의 구성은 편의상 생략하고, 본 발명의 주요부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하우징(100), 작동블럭(200) 그리고 작동와이어(300)로 구성된다.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n operating block 200, and an operating wire 300. The housing 100, the operating block 200, .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하우징(100)은 양단에 개방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110)가 양측부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 상측부에는 블럭고정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10)가 양측으로 두개, 블럭고정홈(120)이 상하측으로 두개, 즉 하우징(100)의 후방 상하측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실시예와는 달리 연결관(140)과는 상관없이 하우징(100)의 일부를 절삭하여서 형성된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housing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t both ends and is formed into a long cylindric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guide portions 110 are positioned at opposite sides of the guide portions 110 . A block fixing groove 12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00.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110 is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block fixing groove 120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at i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100.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housing (100) irrespective of the tube (140).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의해 고정되게 되며, 상기 블럭고정홈(120)에는 상기 작동블럭(200)이 탄성결합되어 작동블럭(200)이 고정되게 된다.The operation block 20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and the clip is coupled and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110 to be fixed by the block fixing groove 120, The actuating block 200 is resiliently coupled to the actuating block 120 so that the actuating block 200 is fixed.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단면 형상과 유사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러너(210)가 구현된다. 상기 가이드러너(210)가 가이드부(110)를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작동블럭(200)의 움직임을 안내하게 된다.The operation block 2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imilar to the sectional shape of the housing 100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0 and can be stably moved. A guide runner 210 are implemented. The guide runner 210 moves along the guide portion 110 to guide the motion of the actuating block 200.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의 전방측, 예컨대 선단부에는 클립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고정부(220)가 형성된다. 클립의 형태나 작동방식에 따라 클립고정부(220)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블럭(200) 선단부에 끼움 홈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A clip fixing part 220 for fixing the clip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operation block 200, for example, at the front end. The shape of the clip fixing part 220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operation of the clip. In this embodiment, the clip fixing part 220 is formed at the tip of the operation block 200 in the form of a fitting groove.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기 작동와이어(30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탄성결합되는 고정날개(230)가 구비된다. 상기 블럭고정홈(120)이 하우징(100) 상하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날개(230)는 작동블럭(200)의 상하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날개(230)가 벌어지면서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탄성결합되게 된다.The actuating block 200 includes a fixed blade 230 that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ing wire 300. Since the block fixing grooves 120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ousing 100, the fixing vanes 230 are symmetrical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ctuating block 200, And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상기 고정날개(230)는 작동블럭(200)의 후방측으로 수직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블럭고정홈(120)에 도달하게 되면 가압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탄성결합되도록 한다.The fixed blade 230 is formed to have a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wider toward the rear side of the actuating block 200 to press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100. When the fixed blade 230 reaches the block fixing groove 120, So that the actuating block 200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이에 의해 상기 작동블럭(200)이 하우징(100)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면서도 상기 블럭고정홈(120)에는 탄성결합되도록 하고, 클립의 대상 부위 파지 후에는 일정한 힘 이상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한다.As a result, the actuating block 200 moves freely within the housing 100 while being elastical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and is fixed so as not to move beyond a predetermined force after gripping the target portion of the clip .

여기에서 상기 작동블럭(200)의 탄성결합을 보조하기 위해 탄성보조홈(2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시 작동블럭(200)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elastic auxiliary grooves 260 may be formed to assist the elastic coupling of the actuating block 200, and may be formed in the actuating block 200 as many as necessary.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의 내부에는 상기 작동와이어(300)의 헤드부(310)가 수용되는 수용부(240)가 형성되어 작동와이어(300)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블럭(200)이 안정적으로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한다.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accommodating the head portion 310 of the actuating wire 300 is formed in the actuating block 200 so that the actuating block 200 is stable So as to move it.

상기 수용부(240)는 후방으로 갈수록 수직 단면적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블럭(200)의 고정 위치 및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의 파단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수용홈(241)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is formed to have a narrow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as it goes backward.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is accommodated in at least on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and the operation block 200,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241.

이에 의해 클립의 고정 위치 및 파단되는 시점을 수용홈(241)의 형태를 달리하여 구분함으로써, 수용홈(241)을 따라 움직이는 작동와이어(300)의 움직임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동블럭(200)의 고정 및 파단 위치의 제어가 제대로 구현되는 것을 부수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by separating the fixing position and the breaking time of the clip by different shapes of the receiving groove 241, the user can sense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wire 300 moving along the receiving groove 241, It is possible to incidentally confirm that the control of the fixing and breaking positions of the main body 200 is properly implemented.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에는 상기 수용부(240)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블럭(200)과 작동와이어(300)의 파단을 유도하는 파단유도홈(250)이 형성된다. 상기 파단유도홈(250)은 상기 수용부(240)에 연통되어 작동와이어(300)의 후진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40)의 단면적보다는 좁게 형성되어 작동와이어(300)가 후진 방향으로 추가적인 힘이 발생할 경우 상기 파단유도홈(250)을 따라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가 파단되게 된다.The actuating block 200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and has a rupture induction groove 250 for inducing rupture of the actuating block 200 and the actuating wire 300. The breakage inducing groove 250 is formed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operating wire 300 by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and narrower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0 so that the operating wire 300 moves in the backward direction When the additional force is generated, the actuating wire 300 is broken from the actuating block 200 along the rupture induction groove 250.

여기서 상기 탄성보조홈(260)이 상기 파단유도홈(250)에 인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하여 파단시 작동와이어(300) 및 작동블럭(200)에 심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At least one or more elastic auxiliary grooves 260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rupture induction groove 250 to prevent a severe impact on the breaking wire 300 and the actuating block 200.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의 주요부의 작동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9 shows an operation example of the main part of the medical clip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작동블럭(20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대상 부위로 향하도록 클립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클립에 의해 대상 부위를 파지하면서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와이어(300)를 당긴다(도 9(a)).The operation block 200 is moved forward to fix the position of the clip to the target site. Then, the operating wire 300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while gripping the target portion by the clip (Fig. 9 (a)).

상기 작동와이어(300)를 당겨 작동블럭(200)을 후진시키면 상기 작동블럭(200)은 블럭고정홈(120)에 탄성결합되게 된다. 이 위치가 클립에 의해 대상 부위의 파지가 완료되는 지점이며, 이 위치에서 파지된 상태의 유지 즉 클립을 고정시키게 된다(도 9(b)).When the actuating block 200 is pulled back by pulling the actuating wire 300, the actuating block 200 is resilient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This position is the point at which gripping of the target portion is completed by the clip, and the holding of the gripped state, i.e., the clip, is fixed at this position (Fig. 9 (b)).

그리고, 추가적인 힘을 가하면 상기 작동블럭(200)의 제1수용홈(241)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의 헤드부(310)가 빠져나오면서 상기 제1수용홈(241)보다 수직 단면적이 좁은 제2수용홈(241)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작동와이어(300)의 헤드부(310)에 의해 작동블럭(200)의 고정날개(230)가 벌어지게 된다.When the head portion 310 of the operating wire 300 is pulled out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241 of the actuating block 200 by applying an additional force 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241, The fixed wing 230 of the actuating block 200 is opened by the head portion 310 of the actuating wire 300 when reaching the receiving groove 241.

이 경우에도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의해 작동블럭(20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힘에 의해서도 이탈되지 않게 된다. 더 추가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작동와이어(300)는 파단유도홈(250)에 도달하게 되면서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의 헤드부(310)가 파단되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actuating block 200 is fixed by the block fixing grooves 120, it is not released even by a certain force. The head 310 of the actuating wire 300 is broken from the actuating block 200 as the actuating wire 300 reaches the breakage inducing groove 250. As a result,

또한, 상기 블럭고정홈(120)은 하우징(100)의 일부분을 절삭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부에는 상기 작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와 함께 분리되도록 형성된 연결관(140)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관(140)이 상기 하우징(100)의 후측부 내부에 완전히 수용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작동블럭(200)이 연결관(140)에 의해서도 걸리는 구조를 구현하게 된다.The block fixing groove 120 may be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housing 100. The operating wire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ousing 100 from the housing 100 by the actuating part. The connection pipe 140 is integrally receiv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operation block 2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40. [ 140).

이에 의해 추가적인 힘을 주더라도 작동블럭(200)이 더 이상 후방으로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도 9(c))So that the actuating block 200 no longer moves backward even if an additional force is applied (Fig. 9 (c))

따라서, 처음 클립에 의해 파지된 힘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클립의 위치가 고정되며, 작동와이어(300)가 파단유도홈(250)으로부터 파단될 수 있을 정도의 추가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도 9(c)), 작동와이어(300)가 파단유도홈(250)으로부터 파단되면서,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연결관(140)이 하우징(100)에서 분리가 되어, 작동와이어(300), 연결관(140) 이를 연결하는 도입관(150) 및 작동부가 작동블럭(200) 및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가 되게 된다(도 9(d), 9(e)).Accordingly, when the position of the clip is fixed while the force gripped by the first clip is maintained, and an addi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wire 300 to such an extent that the operating wire 300 can be broken from the breaking guide groove 250 the connecting wire 14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0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art while the operating wire 300 is broken from the breakage inducing groove 250, The introduction pipe 150 and the actuating part for connecting the introduction pipe 150 and the housing 100 are separated from the actuating block 200 and the housing 100 (Figs. 9 (d), 9 (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클립에 의한 대상 부위를 파지하면서 작동와이어(300)를 후방으로 당기면 작동블럭(200)이 함께 연동되어 움직이게 되고, 대상 부위의 파지가 완료되는 시점에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결합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ng wire 300 is pulled back while gripping a target portion by the clip, the operating block 200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block 200. When the gripping of the target portion is completed, And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120.

여기에서 더욱 추가적인 힘을 발휘하면 작동블럭(200)은 블럭고정홈(120)에 고정되어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지지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와이어(300)만 파단되어 작동블럭(200)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므로, 파단(분리)을 위한 추가적인 힘을 가해도 클립에 추가적인 힘이 전달되지 않아 클립은 안정적으로 대상 부위를 파지한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서 작동와이어(300)만 분리되게 된다.The actuator block 200 is fix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120 so that the actuating block 200 is supported by the block fixing groove 120 so that the actuating wire 200 The additional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clip even if an additional force is applied to break the clip. Therefore, the clip stably holds the target portion, .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대상 부위로의 클립의 제공, 대상 부위의 파지, 그리고 그 상태의 고정 및 작동와이어를 포함하는 작동부의 분리가 연속적이면서 정확한 동작에 의해 구현되게 된다.Thus, provision of a clip to a target portion, grasping of a target portion, fixing of the state, and separation of an operation portion including an operation wire can be realized by a continuous and accurate operation by a simple structure.

특히 본 발명은 클립이 대상 부위를 파지하고, 그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위치 및 그 후 클립으로부터 작동와이어 및 작동부 등의 분리 시점을 특정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pecifying a sepa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wire and the operation unit from a fixed position for gripping a target portion of the clip, fixing the target portion in the state and a clip thereafter, so that quick and accurate oper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클립의 대상 부위 파지 후 추가적인 힘에 의해 작동와이어 및 작동부 등이 분리되게 되는데, 이 경우 클립에 추가적인 힘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상기 분리 시점의 정확화가 구현되고, 클립의 풀림이나 비틀림 현상이 방지되며, 대상 부위의 파지력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조직 손상이나 지혈 부위의 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Further, after gripping the target portion of the clip, the operation wire and the operation portion are separated by the additional force. In this case, the influence of the additional force on the clip is minimized, and the accuracy of the separation time is realized, And the gripping force of the target site is maintained uniformly so that the tissue damage or the loosening of the hemostatic site can be minimized.

10 : 클립 20: 작동부
21 : 손잡이 22 : 지지부재
100 : 하우징 110 : 가이드부
120 : 블럭고정홈 130 : 절곡예정팁
140 : 연결관 150 : 도입관
200 : 작동블럭 210 : 가이드러너
220 : 클립고정부 230 : 고정날개
240 : 수용부 241 : 수용홈
250 : 파단유도홈 260 : 탄성보조홈
300 : 작동와이어 310 : 헤드부
320 : 몸체부
10: Clip 20: Operation part
21: handle 22: support member
100: housing 110: guide part
120: Block fixing groove 130: Bending tip
140: connector 150: inlet tube
200: Actuation block 210: Guide runner
220: clip fixing portion 230: fixed blade
240: accommodating portion 241: accommodating groove
250: rupture induction groove 260: elastic auxiliary groove
300: operating wire 310: head portion
320:

Claims (9)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전진 및 후진되어 대상 부위를 파지하는 클립과, 상기 하우징 후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클립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클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홈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블럭고정홈에 의해 고정되는 작동블럭;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작동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블럭을 전진 및 후진시키고, 상기 작동블럭으로부터 파단되도록 형성된 작동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블럭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러너;
상기 클립을 고정시키는 클립고정부;
상기 작동와이어의 동작에 따라 상기 블럭고정홈에 탄성결합되는 고정날개;
상기 작동와이어 선단부가 결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블럭과 작동와이어의 파단을 유도하는 파단유도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dical clip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a clip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forward and backward to grip a target portion; and an operation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using rear end to control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lip As a result,
A housing having a guide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block fixing groove alo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ip;
An operating block received in the housing and coupled by the clip and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and fixed by the block fixing groove;
And an operation wire which is operated by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and is coupled to the operation block to advance and retreat the operation block and to be broken from the operation block,
The operation block includes:
A guide runner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A clip fixing unit fixing the clip;
A fixed blade elastical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wire;
A receiving portion to which the operating wire front end portion is coupled; And
And a rupture inducing groove formed at the rea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for inducing rupture of the actuating block and the actuating wi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럭은,
상기 블럭고정홈에 탄성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block fixing groove and fixed in 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보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elastic auxiliary groove is form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럭의 수용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수직단면적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블럭의 고정 위치 및 상기 작동블럭으로부터 작동와이어의 파단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수용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rating block is narrower toward the back and is formed by at least one receiving groove defined according to a fixed position of the operating block and a breaking position of the operating wire from the operating bloc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와이어는,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와 연결되는 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A head portion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a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portion, wherein the body portion is advanced and retrac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러너는,
상기 작동블럭에 조립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작동블럭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runner comprises:
And is assembled to the operation block,
Or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perating bloc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절곡예정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bendable tip is provided on the distal end of the medical cli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는,
상기 작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작동와이어와 함께 분리되도록 형성된 연결관과 작동부와 연결되는 도입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a rear end portion of the housing,
A connection pip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by the operation unit together with the operation wire, and an introduction pipe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Wherein the coupling tube forms a distal end portion of a block fixing groove form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KR1020180002419A 2018-01-08 2018-01-08 Medical clip applier Active KR1019187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19A KR101918711B1 (en) 2018-01-08 2018-01-08 Medical clip applier
PCT/KR2018/012523 WO2019135474A1 (en) 2018-01-08 2018-10-23 Medical clip provis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19A KR101918711B1 (en) 2018-01-08 2018-01-08 Medical clip appl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711B1 true KR101918711B1 (en) 2018-11-14

Family

ID=6432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419A Active KR101918711B1 (en) 2018-01-08 2018-01-08 Medical clip appli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8711B1 (en)
WO (1) WO201913547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53347A1 (en) * 2023-06-09 2024-12-12 신경민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2636A1 (en) 2010-07-14 2012-01-19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s with electrodes
US20120109160A1 (en) * 2010-10-11 2012-05-03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edical devices with detachable pivotable jaw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4083A1 (en) * 2003-07-26 2005-02-24 Carl Stahl Gmbh Method and device for endoscopic application of closing medical clips
AU2004289214B2 (en) * 2003-11-07 2011-05-19 Scimed Life Systems, Inc. Endoscopic hemoscopic clipping apparatus
KR101781403B1 (en) * 2016-04-27 2017-09-25 주식회사 엔도비전 Hemostatic clip appl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2636A1 (en) 2010-07-14 2012-01-19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s with electrodes
US20120109160A1 (en) * 2010-10-11 2012-05-03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edical devices with detachable pivotable jaw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53347A1 (en) * 2023-06-09 2024-12-12 신경민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5474A1 (en)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0061B2 (en) Endoscope control device
JP6346358B2 (en) Endoscopic purse string suture surgical device
CN112672700B (en) Repeating clip applier and feeding device thereof
US7063661B2 (en) Endoscopic mucous membrane resection instrument and endoscopic mucous membrane resection method
EP2123225B1 (en) Endoscope device
CN108577923B (en) Continuous Clip Applicator
EP2184024B1 (en) Medical device
WO2012111761A1 (en) Endoscope, and treatment instrument for endoscope
US200602710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endoscopic application of self-closing medical clips
US20040162569A1 (en) Transmitting an actuating force along a curved instrument
CN108742758B (en) Continuous hair clamp applying and feeding device
JP2000254143A (en) Endoscope hemostatic clip device
WO2015151627A1 (en) Treatment tool for atrial appendage ligation
US20160038140A1 (en) Suture device
KR101918711B1 (en) Medical clip applier
CN115153719B (en) A hemostatic forceps
JP4695428B2 (en) Endoscopic treatment tool
KR20220053996A (en) Endoscopic ligation device with excellent gripping power
EP3818950A1 (en) Hemostatic clamp
CN106264714B (en) A kind of high frequency electrosurgical surgical instrument and its driving device
WO2013047211A1 (en) Medical device
CN112971889A (en) Surgical stapling device with flexible shaft
KR20160079989A (en) A biopsy forceps
US8747298B2 (en) Probe manipulator
JP4166543B2 (en) Biological tissue lig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