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8689B1 -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689B1
KR101918689B1 KR1020170120327A KR20170120327A KR101918689B1 KR 101918689 B1 KR101918689 B1 KR 101918689B1 KR 1020170120327 A KR1020170120327 A KR 1020170120327A KR 20170120327 A KR20170120327 A KR 20170120327A KR 101918689 B1 KR101918689 B1 KR 101918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pipe
port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주
임득수
박영아
Original Assignee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6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여과되지 않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부 중앙에 하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연통구의 주위를 따라 복수의 하분배구가 형성되는 하분배부; 상기 하분배부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부 중앙에 상기 하연통구와 대응되는 상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연통구의 주위를 따라 상기 하분배구와 대응되는 상분배구가 형성되는 상분배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하분배부의 하연통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분배부의 상연통구에 결합되는 연통부; 및 일단은 상기 하분배부의 하분배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분배부의 상분배구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복수의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물질 및 미생물이 포함되어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선박 평형수가 하분배구와 상분배구에서 각각 분배되어 여과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선박 평형수의 이물질 및 미생물이 필터부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A CENTRALIZED FILTER DEVICE FOR BALLAST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 및 미생물이 포함되어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선박 평형수가 하분배구와 상분배구에서 각각 분배되어 여과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선박 평형수의 이물질 및 미생물이 필터부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였을 때 선박의 전후 또는 좌우 균형이 맞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선박의 내부에는 밸러스트 탱크가 구비되며, 이러한 밸러스트 탱크에 선박 평형수(Ballast water)를 유입 또는 유출시킴으로써, 선박 적재에 따른 선박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한편, 점차적으로 국제고역량이 증가되고, 해상운송 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선박의 대형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선박에서 사용되는 선박 평형수의 양도 크게 증가되고 있다.
선박에서 사용되는 선박 평형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외래 해양생물종들로 인한 토착 해양생태계의 피해 발생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는 바, 이러한 국제적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선박 평형수 관리에 관한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allast water and sediments)을 2004년에 채택하였다. 이 협약은 30개국 이상이 가입하고, 가입국 선박 보유량이 세계 선박 보유량의 35% 이상이 되는 날로부터 1년 후에 발효되는데, 2016년 9월 7일부로 협약 발효 조건인 가입국 30개국 이상과 가입국 선박이 세계 선박 보유량의 35%를 넘어서게 되었다. 따라서, 12개월 뒤인 2017년 9월 8일부로 협약이 정식 발효될 예정이다.
상기 협약이 발효됨에 따라 선박에는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BWTS)을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성박 평형수로 인한 생태계 교란, 유해 병원균 확산 등의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선박에 설치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는 필터를 사용한 여과방식을 거친 후 전기분해 또는 자외선 처리 방식 등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도 1은 종래의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종래의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경우, 사용 중 필터에 퇴적되는 이물질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한 구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도시된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가 일반적인 여과 운전 중일 때는, 선박 평형수가 유입수 라인(1)으로 유입되어 하우징(2) 내부에 설치된 필터를 거친 뒤 처리수 라인(4)을 통해 유출되고, 필터에 이물질이 많이 퇴적되어 필터가 막히는 경우에는, 필터의 막힘을 감지하여 세척 구동을 시작하게 된다. 즉, 세척 구동 중 선박 평형수는 처리수 라인(4)으로부터 세척 라인(5)으로 이동하면서 필터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 하며, 이에 따라 연속적인 선박 평형수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일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진 개개의 필터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필터로 들어오는 이물질 중 고형물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세척 속도가 여과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게 되면서 점차 퇴적 이물질이 증가되고, 결국 처리장치가 운전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31295 호(2011.03.25.) 등록특허공보 제 10-1541641 호(2015.07.28.) 등록특허공보 제 10-1110854 호(2012.01.20.)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141034 호(2013.12.2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물질 및 미생물이 포함되어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선박 평형수가 하분배구와 상분배구에서 각각 분배되어 여과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선박 평형수의 이물질 및 미생물이 필터부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하분배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분배구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분배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하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고 상분배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필터에 의해 필터링되도록 구획화하여, 선박 평형수의 이물질 및 미생물이 필터부의 일부에 집중적으로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는,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여과되지 않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부 중앙에 하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연통구의 주위를 따라 복수의 하분배구가 형성되는 하분배부; 상기 하분배부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부 중앙에 상기 하연통구와 대응되는 상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연통구의 주위를 따라 상기 하분배구와 대응되는 상분배구가 형성되는 상분배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하분배부의 하연통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분배부의 상연통구에 결합되는 연통부; 및 일단은 상기 하분배부의 하분배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분배부의 상분배구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복수의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모터; 상기 하분배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하집수관; 상기 상분배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상집수관; 상기 회전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하분배부의 하집수관 및 상기 상분배부의 상집수관과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하집수관의 일 측에서 상기 하분배구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집수관과 연통되는 하흡입관; 상기 상집수관의 일 측에서 상기 상분배구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집수관과 연통되는 상흡입관; 상기 하집수관 및 상집수관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토출관; 및 상기 토출관과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드레인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흡입관과 상흡입관은 각각 상기 하집수관과 상집수관에서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에는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베벨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베벨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부에는 상기 회전모터에서 상기 상집수관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를 수용하는 패킹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상집수관과 결합되는 부분에 다각 형상의 상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집수관과 결합되는 부분에 다각 형상의 하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집수관과 하집수관에는 각각 상기 상결합부 및 하결합부와 대응되는 다각 형상의 상체결부 및 하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의 내부에는 상기 하분배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상분배구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가림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림판의 중앙에는 상기 하분배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과 상기 상분배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교류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가림판에 의해 하필터 및 상필터로 나누어지며, 상기 하필터는 적어도 상기 상필터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하분배구 및 상분배구는 상기 하연통구 및 상연통구의 주위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와 근접한 위치를 제외한 위치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연통구 및 상연통구의 둘레 길이는 적어도 상기 하분배구 및 상분배구의 둘레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에 의하면, 이물질 및 미생물이 포함되어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선박 평형수가 하분배구와 상분배구에서 각각 분배되어 여과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선박 평형수의 이물질 및 미생물이 필터부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흡입관과 상흡입관이 각각 하집수관과 상집수관에서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하흡입관과 상흡입관을 통해 순차적으로 세척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분배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분배구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분배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하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고 상분배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필터에 의해 필터링되도록 구획화하여, 선박 평형수의 이물질 및 미생물이 필터부의 일부에 집중적으로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도 2a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물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 3는 도 2b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하분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상분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드레인부 실시 상태와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상결합부, 하결합부, 상체결부 및 하체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하흡입관 및 상흡입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도 8a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물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b는 도 9a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물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및 미생물이 포함되어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선박 평형수가 하분배구와 상분배구에서 각각 분배되어 여과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선박 평형수의 이물질 및 미생물이 필터부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물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b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하분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상분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드레인부 실시 상태와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상결합부, 하결합부, 상체결부 및 하체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a 내지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에는,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여과되지 않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 및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11)와 연통되며 상부 중앙에 하연통구(21)가 형성되고, 상기 하연통구(21)의 주위를 따라 복수의 하분배구(22)가 형성되는 하분배부(20), 상기 하분배부(2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부 중앙에 상기 하연통구(21)와 대응되는 상연통구(31)가 형성되고, 상기 상연통구(31)의 주위를 따라 상기 하분배구(22)와 대응되는 상분배구(32)가 형성되는 상분배부(30),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하분배부(20)의 하연통구(2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분배부(30)의 상연통구(31)에 결합되는 연통부(40) 및 일단은 상기 하분배부(20)의 하분배구(22)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분배부(30)의 상분배구(32)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복수의 필터부(50)가 포함된다.
이때, 본 발명의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에는 상기 복수의 필터부(50)의 내부에 퇴적되는 이물질을 드레인하는 드레인부(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6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모터(61), 상기 하분배부(20)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하집수관(62), 상기 상분배부(30)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상집수관(63), 상기 회전모터(61)와 연결되며, 상기 하분배부(20)의 하집수관(62) 및 상기 상분배부(30)의 상집수관(63)과 결합되는 회전축(64), 상기 하집수관(62)의 일 측에서 상기 하분배구(2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집수관(62)과 연통되는 하흡입관(65), 상기 상집수관(63)의 일 측에서 상기 상분배구(3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집수관(63)과 연통되는 상흡입관(66), 상기 하집수관(62) 및 상집수관(63)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되는 토출관(67) 및 상기 토출관(67)과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드레인부(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드레인부(60)에는 상기 토출관(67)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관(67)의 개폐를 제어하는 토출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밸브는 상기 회전모터(61)의 구동과 연동되어, 상기 회전모터(61)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토출관(67)을 개방시키고, 상기 회전모터(61)가 정지되는 경우 상기 토출관(67)을 밀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집수관(62), 상집수관(63), 하흡입관(65), 상흡입관(66) 및 토출관(67)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집수관(62), 하흡입관(65) 및 토출관(67)과 상기 상집수관(63), 상흡입관(66) 및 토출관(67)은 각각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특히 상기 하흡입관(65)은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집수관(62)과 상기 하분배구(22) 및 하연통구(21)를 연통시키고, 상기 상흡입관(66)은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집수관(63)과 상기 상분배구(32) 및 상연통구(31)를 연통시키는 것이다.
상기 하흡입관(65) 및 상흡입관(66)은 절곡 형성되어, 각각 상기 하흡입관(65)은 상기 하집수관(62)과 하분배구(22)를 연통시키고, 상기 상흡입관(66)은 상기 상집수관(63)과 상분배구(32)를 연통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집수관(62), 상집수관, 하흡입관(65) 및 상흡입관(66)은 상호 회전력을 공유하여 상기 회전축(64)을 중심으로 회전되되, 상기 토출관(67)은 상기 하집수관(62), 상집수관, 하흡입관(65) 및 상흡입관(66)의 회전과는 별개로 이루어져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펌프가 동작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필터부(50)에 퇴적된 이물질은 상기 하흡입관(65), 상흡입관(66), 하집수관(62), 상집수관(63) 및 토출관(67)을 거쳐 토출될 수 있고, 상기 회전모터(61)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64)에 의해 상기 하집수관(62) 및 상집수관(63)으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하집수관(62), 상집수관(63), 하흡입관(65) 및 상흡입관(66)이 상기 회전축(6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하흡입관(65) 및 상흡입관(66)이 복수의 필터부(50)를 차례로 경유하게 되고, 상기 복수의 필터부(50)에 퇴적된 이물질은 상기 하흡입관(65), 상흡입관(66), 하집수관(62), 상집수관(63) 및 토출관(67)을 거쳐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흡입관(65) 및 상흡입관은 상기 하분배구(22) 및 상분배구(32)의 열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어 각각 다른 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흡입관(65) 및 상흡입관(66)은 탄성부재(69)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하분배구(22) 및 상분배구(32)의 내측과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흡입관(65) 및 상흡입관(66)이 상기 회전모터(61)에 의해 상기 하집수관(62) 및 상집수관(63)과 함께 회전되더라도, 상기 하흡입관(65) 및 상흡입관(66)은 상기 하분배구(22) 및 상분배부(30)의 내면과 항상 밀착되므로,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하흡입관(65) 및 상흡입관(66)으로 바로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분배구(22) 및 상분배구(32)와 결합된 복수의 필터부(50)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61)에는 상기 회전축(64)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베벨기어(61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64)의 일단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61a)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베벨기어(64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64)에는 상기 상집수관(63)과 결합되는 부분에 다각 형상의 상결합부(64b)가 형성되고, 상기 하집수관(62)과 결합되는 부분에 다각 형상의 하결합부(64c)가 형성되며, 상기 상집수관(63)과 하집수관(62)에는 각각 상기 상결합부(64b) 및 하결합부(64c)와 대응되는 다각 형상의 상체결부(63a) 및 하체결부(62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64)은 상기 회전모터(61)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베벨기어(61a)와 제2베벨기어(64a)가 맞물리게 동작됨으로써, 상기 제1베벨기어(61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면서 상기 하분배부(20)와 상분배부(30)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드레인부(60)에는 상기 회전모터(61)에서 상기 상집수관(63)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61a)와 제2베벨기어(64a)를 수용하는 패킹관(6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관(68)은 상기 제1베벨기어(61a) 및 제2베벨기어(64a)가 노출되어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기 상집수관(63)에서 토출관(67)으로 이동되는 물과 상기 제1베벨기어(61a) 및 제2베벨기어(64a)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 및 배출구(12)에는 각각 유입수 라인 및 처리수 라인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수 라인 및 처리수 라인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분배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하연통구(21) 및 하분배구(22)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하연통구(21)의 둘레 길이는 적어도 상기 하분배구(22)의 둘레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상기 하연통구(21)의 둘레 길이는 적어도 상기 하분배구(22)의 둘레 길이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분배부(30)는, 상기 연통부(4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상기 상분배구(32)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상연통구(31)의 둘레 길이는 상기 하연통구(21)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상기 상분배구(32)의 둘레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상기 하연통구(21)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분배구(32)의 둘레 길이보다 2배 이상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연통구(21)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분배부(20) 및 상분배부(3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분배구(22) 및 상분배구(32)는, 각각 상기 하연통구(21) 및 상연통구(31)를 중심으로 상기 하분배부(20) 및 상분배부(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분배구(22) 및 상분배구(32)가 상기 배출구(12)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부(60)가 동작할 때 상기 드레인부(60)의 음압에 의하여 유입수의 대부분이 상기 드레인부(60)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드레인부(60)에서 발생되는 강한 음압에 의해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분배구(22) 및 상분배구(32)는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2)와 근접한 위치(22a, 32a)를 제외한 위치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분배구(22) 및 상분배구(32)는 상기 하분배부(20) 및 상분배부(30)의 중심으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2열 이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40)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하분배부(20)를 통해 분배되어 상기 상분배부(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일단은 상기 하연통구(2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연통구(31)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연통구(21)와 상연통구(31)에 결합되는 상기 연통부(40)는 별도의 댐퍼부재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되어, 유입되는 물에 의한 충격에 의해 상기 하분배부(20) 및 상분배부(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0)는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구성으로서, 각각 상기 하분배부(20)의 하분배구(22) 및 상분배부(30)의 상분배구(3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분배구(22) 및 상분배구(32)에 각각 결합되는 필터부(50)는 상기 연통부(40)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댐퍼부재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되어, 유입되는 물에 의한 충격에 의해 상기 하분배부(20) 및 상분배부(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50)는, 사다리꼴 형태의 웨지 와이어(Wedge wire)를 나선형으로 꼬아올려 와이어 사이로 물을 통과시켜 필터링하는 웨지 와이어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50)는, 상기 소필터부(5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축프레임(50a) 및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축프레임(50a)의 외측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적층 고정되어, 층과 층 사이로 물이 통과되도록 하는 웨지 와이어(50b)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웨지 와이어(50b)의 적층 간격(a)은 40 ~ 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지 와이어(50b)는 상기 사다리꼴 형상에서 면적이 좁은 면이 상기 축프레임(50a)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웨지 와이어(50b)의 적층 간격(a)에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하분배구(22) 및 상분배구(32)는 각각 상기 하분배부(20) 및 상분배부(30)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하연통구(21) 및 상연통구(31)는 상기 하분배부(20)의 상부 및 상분배부(30)의 하부 중앙에 단일로 형성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필터부(50)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하분배부(20) 및 상분배부(30)의 사이에 복수 개가 구비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부(40)는 상기 하분배부(20) 및 상분배부(30)의 사이에 단일 개가 구비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평형수 처리용 필터 장치에는 상기 회전모터(61), 펌프 및 토출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유입구(11) 및 배출구(12)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계에 의해 측정되는 유입구(11)의 압력(P1)과 배출구(12)의 압력(P2)의 차이(△P)가 미리 설정된 압력 값보다 높아지는 경우, 상기 회전모터(61) 및 펌프가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토출밸브는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되는 유입구(11)의 압력(P1)과 배출구(12)의 압력(P2)의 차이(△P)는 0.5 bar 미만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하흡입관 및 상흡입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흡입관(65) 및 상흡입관(66)은 도 2a 및 도 2b에서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각각 본 발명의 하집수관(62)과 상집수관(63)에서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분배구(22) 및 상분배구(32)와 각각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흡입관(65) 및 상흡입관(66)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모터(61)의 동작에 따라 회전축(64)이 회전되면서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복수의 필터부(50)가 상기 하흡입관(65)과 상흡입관(66)을 통해 순차적으로 세척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하흡입관(65)에서 발생되는 음압과 상기 상흡입관(66)에서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물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8a 및 도 8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필터부(50) 내부에는, 하분배구(22)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필터부(50)를 통해서 상분배구(32)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가림판(5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판(51)은 하우징(10)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하분배부(20)의 하분배구(22)를 통해 필터부(50)로 이동되고, 상분배부(30)의 상분배구(32)를 통해 필터부(50)로 이동되어 서로 부딪히면서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필터부(50)가 상기 가림판(51)에 의해 하필터(52) 및 상필터(53)로 나누어지도록 하고, 상기 하분배부(20)의 하분배구(22)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하필터(52)를 통해 필터링되고, 상기 상분배부(30)의 상분배구(32)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상필터(53)를 통해 필터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필터(52)는 적어도 상기 상필터(53)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하필터(52)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상기 상필터(53)로 유입되는 물의 양보다 많기 때문이며, 이는 상기 하분배부(20)가 상기 상분배부(30)보다 비교적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와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하필터(52)와 상필터(53)가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어 필터링을 할 경우보다 효율적인 필터링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하필터(52)에 퇴적되는 이물질 및 미생물이 비교적 넓게 분포되어 퇴적되기 때문에 이물질 및 미생물에 의해 하필터(52)의 필터링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부(50)의 하필터(52) 및 상필터(53)의 길이비는 7 : 3 내지 5.5 : 4.5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필터(52) 및 상필터(53)의 길이는 상기 가림판(5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물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9a 및 도 9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필터부(50) 내부에는, 하분배구(22)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필터부(50)를 통해서 상분배구(32)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가림판(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림판(51)의 중앙에는 상기 하분배구(22)를 통해 유입되는 물과 상기 상분배구(3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교류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구(51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판(51)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구(51a)는 상기 하분배구(2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일부와 상기 상분배구(3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일부가 서로 교류되면서 와류가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필터부(50)의 내부에서 필터부(50)의 외부로 이동되는 속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하분배구(2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비교적 상기 필터부(50)의 간격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는 가림판(51)의 관통구(51a)로 이동되면서 회오리로 형태로 변형되게 되며, 상기 물이 회오리 형태로 변형됨에 따라 상기 필터부(50)의 외부로 이동되려는 속도가 가속화되어 상기 필터부(50)에 의해 필터링되는 속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연통부(40)를 통해 이동된 물이 상기 상분배부(30)의 상분배구(32)를 통해 유입되면서 상기 가림판(51)의 관통구(51a)를 통해 유입된 물과 뒤섞이게 되어 와류를 형성하게 되어 상기 필터부(50)에 의한 필터링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50)의 내부에 가림판(51)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보다, 중앙에 관통구(51a)가 형성된 가림판(51)을 구비하여 상기 하분배구(22)를 통해 유입된 물이 가림판(51)의 관통구(51a)로 배출되기 위해 회오리 형태로 변형되어 필터링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의 필터링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이물질 및 미생물이 포함되어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선박 평형수가 하분배구와 상분배구에서 각각 분배되어 여과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선박 평형수의 이물질 및 미생물이 필터부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유입구
12 : 배출구
20 : 하분배부 21 : 하연통구
22 : 하분배구
30 : 상분배부 31 : 상연통구
32 : 상분배구
40 : 연통부
50 : 필터부 50a : 축프레임
50b : 웨지 와이어
51 : 가림판 51a : 관통구
52 : 하필터 53 : 상필터
60 : 드레인부
61 : 회전모터 61a : 제1베벨기어
62 : 하집수관 62a : 하체결부
63 : 상집수관 63a : 상체결부
64 : 회전축 64a : 제2베벨기어
64b : 상결합부 64c : 하결합부
65 : 하흡입관 66 : 상흡입관
67 : 토출관 68 : 패킹관
69 : 탄성부재

Claims (11)

  1.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여과되지 않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 및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11)와 연통되며 상부 중앙에 하연통구(21)가 형성되고, 상기 하연통구(21)의 주위를 따라 복수의 하분배구(22)가 형성되는 하분배부(20);
    상기 하분배부(2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부 중앙에 상기 하연통구(21)와 대응되는 상연통구(31)가 형성되고, 상기 상연통구(31)의 주위를 따라 상기 하분배구(22)와 대응되는 상분배구(32)가 형성되는 상분배부(30);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하분배부(20)의 하연통구(2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분배부(30)의 상연통구(31)에 결합되는 연통부(40); 및
    일단은 상기 하분배부(20)의 하분배구(22)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분배부(30)의 상분배구(32)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복수의 필터부(50);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모터(61), 상기 하분배부(20)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하집수관(62), 상기 상분배부(30)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상집수관(63), 상기 회전모터(61)와 연결되며, 상기 하분배부(20)의 하집수관(62) 및 상기 상분배부(30)의 상집수관(63)과 결합되는 회전축(64), 상기 하집수관(62)의 일 측에서 상기 하분배구(2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집수관(62)과 연통되는 하흡입관(65), 상기 상집수관(63)의 일 측에서 상기 상분배구(3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집수관(63)과 연통되는 상흡입관(66), 상기 하집수관(62) 및 상집수관(63)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되는 토출관(67) 및 상기 토출관(67)과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드레인부(60)가 더 포함되며,
    상기 회전모터(61)에는 상기 회전축(64)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베벨기어(61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64)의 일단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61a)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베벨기어(64a)가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부(60)에는 상기 회전모터(61)에서 상기 상집수관(63)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61a)와 제2베벨기어(64a)를 수용하는 패킹관(6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흡입관(65)과 상흡입관(66)은,
    각각 상기 하집수관(62)과 상집수관(63)에서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64)에는,
    상기 상집수관(63)과 결합되는 부분에 다각 형상의 상결합부(64b)가 형성되고,
    상기 하집수관(62)과 결합되는 부분에 다각 형상의 하결합부(64c)가 형성되며,
    상기 상집수관(63)과 하집수관(62)에는,
    각각 상기 상결합부(64b) 및 하결합부(64c)와 대응되는 다각 형상의 상체결부(63a) 및 하체결부(6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50)의 내부에는,
    상기 하분배구(22)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상분배구(32)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가림판(5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51)의 중앙에는,
    상기 하분배구(22)를 통해 유입되는 물과 상기 상분배구(3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교류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구(5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50)는,
    상기 가림판(51)에 의해 하필터(52) 및 상필터(53)로 나누어지며,
    상기 하필터(52)는,
    적어도 상기 상필터(53)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분배구(22) 및 상분배구(32)는,
    상기 하연통구(21) 및 상연통구(31)의 주위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10)의 배출구(12)와 근접한 위치(22a, 32a)를 제외한 위치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연통구(21) 및 상연통구(31)의 둘레 길이는,
    적어도 상기 하분배구(22) 및 상분배구(32)의 둘레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KR1020170120327A 2017-09-19 2017-09-19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Active KR101918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27A KR101918689B1 (ko) 2017-09-19 2017-09-19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27A KR101918689B1 (ko) 2017-09-19 2017-09-19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689B1 true KR101918689B1 (ko) 2018-11-14

Family

ID=6432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327A Active KR101918689B1 (ko) 2017-09-19 2017-09-19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702B1 (ko) * 2018-11-12 2019-07-29 주식회사 테라테크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9200A (ja) * 1999-09-20 2003-03-11 パーカー ハンニフィン オーワイ 濾過装置
KR101541641B1 (ko) * 2014-02-06 2015-08-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역세척 필터 장치
KR101689695B1 (ko) 2016-07-19 2016-12-26 현대비에스앤아이 주식회사 선박 평형수 처리용 필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9200A (ja) * 1999-09-20 2003-03-11 パーカー ハンニフィン オーワイ 濾過装置
KR101541641B1 (ko) * 2014-02-06 2015-08-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역세척 필터 장치
KR101689695B1 (ko) 2016-07-19 2016-12-26 현대비에스앤아이 주식회사 선박 평형수 처리용 필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702B1 (ko) * 2018-11-12 2019-07-29 주식회사 테라테크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496B1 (ko) 정수처리장치가 구비된 물탱크
JP5923664B2 (ja) 同時逆洗浄を自動制御するマルチケージ型バラスト水濾過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2244809B1 (ko) 우회수가 역세척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회수 제어 기능이 있는 프레임형 디스크 필터
KR20120131158A (ko)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CN110721593B (zh) 过滤设备
KR20140053830A (ko)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 및 밸러스트수의 처리 방법
KR20090024668A (ko) 다량의 유동 액체로부터 유기체와 입자를 분리하고 여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30352B1 (ko) 세척기능을 갖는 여과기
JP2011251284A (ja) 船舶用バラスト水の処理装置および船舶用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KR101541641B1 (ko) 역세척 필터 장치
WO2003075646A1 (en) Waste extraction system
KR101845006B1 (ko) 중앙 집중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KR20200089598A (ko) 수처리 장치
KR101349280B1 (ko) 여과장치
KR101918689B1 (ko) 상하 분리형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KR101693204B1 (ko) 다분할 셀 여과조에 연결된 다공성 인발구를 구비한 침전조
KR101689695B1 (ko) 선박 평형수 처리용 필터 장치
KR20170138334A (ko)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TWM520939U (zh) 膜模組
KR20150059233A (ko)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
KR101454103B1 (ko)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용 필터
JP4376068B2 (ja) ストレーナーの逆洗システム
KR102004702B1 (ko) 선박 평형수 필터 장치
CN203095753U (zh) 污水处理系统
WO2021020138A1 (ja) 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9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9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