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361B1 - The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ed apparatus - Google Patents
The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ed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7361B1 KR101917361B1 KR1020170051773A KR20170051773A KR101917361B1 KR 101917361 B1 KR101917361 B1 KR 101917361B1 KR 1020170051773 A KR1020170051773 A KR 1020170051773A KR 20170051773 A KR20170051773 A KR 20170051773A KR 101917361 B1 KR101917361 B1 KR 1019173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ose
- valleys
- coupled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933 burial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3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special additional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는 견인차의 후방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상기 견인차의 진행 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에 연결되며, 작업날의 일부가 지면에 삽입되어 상기 견인차의 진행 방향으로 고랑을 형성하는 고랑 형성부; 상기 고랑에 대응하도록 제2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고랑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고랑에 배치되는 호스를 공급하는 호스 공급부; 및 상기 고랑에 대응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호스가 배치된 고랑에 흙을 덮어주는 복토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underground irrigation hose burial device is provided. A submerge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ame detachably coupled to a rear side of a towing vehicle and a second frame dispose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owing vehicle, A frame containing; A trough forming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and having a part of the working blade inserted into the ground to form a trough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ow truck; A hose supply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frame to correspond to the valleys and supplying a hose disposed in the valleys formed by the valleys; And a soil cover coupled to the frame to correspond to the valleys and covering the valleys where the hose is dispo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irrigation hose burial apparatus.
일반적으로, 점적 호스는 작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점적 호스에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유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는 호스의 내부 통로와 연결되어 있고 배출구는 외부와 연결된다.Generally, the drop hose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supplying water to the crop, and the drop hose is formed with a flow path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t regular intervals. The inlet is connected to the inner passage of the hose and the outlet is connected to the outside.
점적 호스의 내부통로를 흐르는 물은 유입구로 유입되어 유로를 따라 흘러 배출구로 배출된다, 배출구로 배출된 물은 작물에 공급되며, 이때 물은 배출구에서 방울로 맺혀 작물에 공급되거나, 물줄기 형태로 분사되어 작물에 공급된다.Water flowing through the internal passageway of the drop hose flows into the inlet, flows along the flow path, and is discharged to the outlet. The water discharged to the outlet is supplied to the crop, and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crop by dripping at the outlet, And supplied to the crop.
한편,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밭작물을 경작함에는 계절에 관계없이 작물을 경작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밭작물은 기온은 물론이고 지열(地熱)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 작물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ultivate the crops using the vinyl house, it is intended to cultivate the crop regardless of the season. In particular, the crop is a crop which is affected not only by temperature but also by geothermal heat.
따라서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비닐하우스에서 밭작물을 경작하기 위해서는 비닐하우스의 실내온도를 따뜻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밭 자체도 따뜻한 온도를 유지시켜야 작물의 성장이 왕성해져 높은 수확을 거둘 수 있으며, 하절기에는 지열이 이상적으로 높아 냉각시켜야 할 경우가 있는 바, 이를 위해 비닐하우스에 지중 냉낭반호스 또는 점적 호스를 매설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cultivate the crops in the vinyl house during the low temperature season, it is necessary not only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vinyl house warm, but also to maintain the warm temperature of the field itself so that the growth of the crop becomes strong and the crop can be harvested. It is ideally high and it is necessary to cool it. In order to do this, the underground cold liner hose or the drop hose is buried in the plastic house.
종래 비닐하우스에 지중 냉난방호스 또는 점적 호스를 매설하고자 할 경우에는 트랙터를 이용하여 밭을 파내는 굴착작업을 한 다음 냉난방호스 또는 점적 호스를 매설하고, 냉난방호스 또는 점적 호스의 매설작업 후에는 굴착한 땅을 다시 묻어주는 작업으로 냉난방호스 또는 점적 호스를 매설하여 왔었다.In the past, in order to burrow underground cooling and heating hoses or drip hoses in a plastic house, it is necessary to drill a field by using a tractor and then to bury the cooling or heating hose or drip hose. After the hiring of the cooling or heating hose or the drop hose, I had buried the air-conditioning hose or the drop hose as a burying work.
그러나 종래와 같이 땅을 굴착하는 방법으로 냉난방호스 또는 점적 호스를 매설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됨은 물론 냉난방호스의 매설에 소요되는 경비가 높아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비닐하우스의 좁은 내부에서 굴차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굴착작업에 많은 지장이 초래되어 매설공사가 더욱 지연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land excavation, it takes a lot of time and manpower to bury the hose for cooling and heating or drip hos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rden on the burden of the hose for heating and cooling is high and the economic burden is increased. Especi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urial work is further delayed because the burdening work is performed in the in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트랙터와 같은 견인차에 연결하여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중에 호스를 공급하여 자동으로 매설할 수 있는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ground irrigation hose burial apparatus which is connected to a towing vehicle such as a tractor and moves along a traveling direction to automatically feed a hose into the groun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견인차의 후방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상기 견인차의 진행 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에 연결되며, 하부단이 상기 견인차의 진행방향으로 돌출된 판재로 구비되는 작업날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날의 하부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가 지면에 삽입되어 상기 견인차의 진행 방향으로 고랑을 형성하는 고랑 형성부; 상기 고랑에 대응하도록 제2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고랑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고랑에 배치되는 호스를 공급하는 호스 공급부; 및 상기 고랑에 대응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호스가 배치된 고랑에 흙을 덮어주는 복토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랑 형성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는 작동부; 하부측에 상기 작업날이 결합되며, 상기 작동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상하이동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프레임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봉; 상기 상하이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봉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봉과 맞물리고 상기 높이조절봉을 회전시키면 상하이동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제2프레임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전후방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부의 전후방 판재 사이에 상하이동부가 밀착된 안내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작동부를 상하 이동시키고, 상기 지면에 복수 개의 고랑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랑 형성부, 상기 호스 공급부 및 상기 복토부가 복수 개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복수 개의 고랑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가 결합되며, 상기 호스 공급부는 상기 호스가 감겨지며, 상기 제2프레임과 결합하는 릴;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릴에 감겨진 호스를 상기 지면으로 안내하는 이송롤러; 및 상기 이송롤러로 이송된 상기 호스가 상기 고랑에 배치되도록, 상기 호스를 상기 고랑으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관은 상기 이송롤러의 하부측에서 상기 작업날 측으로 곡선으로 연장되는 제1안내관; 상기 제1안내관의 일단에서 상기 작업날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안내관; 및 상기 제2안내관의 일단에서 상기 고랑과 대응하게 연장되는 제3안내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including a first frame detachably coupled to a rear side of a towing vehicle, a second frame dispose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owing vehicle, ; And a working edg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and having a lower end protruding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tow truck, wherein a part including a lower protruding portion of the working edge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 trough forming a trough; A hose supply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frame to correspond to the valleys and supplying a hose disposed in the valleys formed by the valleys; And a cover connected to the frame so as to correspond to the valleys and covering the valleys on which the hoses are disposed, wherein the valleys comprise an operating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 upper and lower moving part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working blade and moving up / down by the operating part; And a guiding portion having a guiding surface for guiding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up-and-down moving portion, wherein the actuating portion includes a height adjusting rod threa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the second frame toward the ground;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engaged with the upper and the lower eccentric portions and formed with thread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threads of the height adjusting rods and engaged with the height adjusting rods and moving up and down by rotating the height adjusting rods, The upper and lower plates being fixed to the second frame via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he upper and lower plates being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long a guide surfac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moving parts closely contact each other between the front and rear plates of the guide, The hose supply unit and the ground cover are provided on the frame to form a plurality of galls,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gap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galls, A reel wound with the hose and engaged with the second frame; A conveyance roller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d guiding the hose wound on the reel to the ground; And a guide tube for guiding the hose to the valleys so that the hose conveyed to the conveying roller is disposed in the valley, wherein the guide tube extends in a curve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veying roller to the working blade side A first guide tube which is formed of A second guide tube extending perpendicularly from the one end of the first guide tube along the working blade; And a third guide tube extending at one end of the second guide tube to correspond to the valleys.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고랑 형성부의 전방에는 지면을 균열시키는 예비작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eliminary working unit for cracking the ground surface may be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trough forming unit.
또한, 상기 예비작업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서 상기 견인차 측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면을 균열시키는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preliminary working unit may include: a leg portion that is inclined from the second frame to the towing vehicle side; And a disc rotatably coupled to the leg portion to crack the ground.
또한, 상기 디스크의 둘레에는 상기 지면을 파쇄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jection for breaking the paper surface may be formed around the disk.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복토부는 상기 고랑이 형성된 후 상기 고랑 주변에 파여진 흙을 상기 고랑으로 모아주는 복토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il cover may include a cover plate for collecting soil buried around the furrows after the furrow is formed, into the furrow.
또한, 상기 고랑에 배치된 호스에 대응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견인차의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프레임을 전진시키는 바퀴가 설치되며, 상기 바퀴는 상기 견인차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고랑에 채워진 흙을 눌러줄 수 있다.A wheel is coupled to the frame so as to correspond to the hose disposed in the gantry and is provided with a wheel for advancing the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ow truck. The wheel moves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owing vehicle, Can be pressed.
삭제delete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제2프레임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되는 수평이동부재; 및 일측에는 상기 고랑 형성부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호스 공급부와 상기 복토부가 결합되되, 상기 수평이동부재에 수평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호스 공급부, 상기 고랑 형성부 및 상기 복토부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이동부재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terval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horizontal moving member disposed to face the second frame and rotated in both directions; And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hull forming part at one side and the hose supplying part and the loam sole part are coupled to the horizontally moving member so as to be horizontally movably connected to the hose supplying part, And the number of the covering portions and the number of the covering portions.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수평이동부재를 관통하는 한 쌍의 연결블럭;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블럭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수평이동부재와 맞물려 상기 한 쌍의 연결블럭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pair of connecting blocks passing through the second frame and the horizontal moving member;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blocks and moving the pair of coupling blocks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engaging with the horizontally moving member.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중심에 배치되는 연결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에 고정되며, 나머지 연결부재들은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중심에 배치되는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수평이동하며 상기 복수 개의 고랑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ly moving member is fixed to the second frame and the remaining connecting members horizontally move about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ly moving member,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troughs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랙터와 같은 견인차에 연결하여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중에 호스를 공급하여 자동으로 매설할 수 있으므로, 호스의 지중 매설을 통한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rses can be automatically installed by being connected to a tractor such as a tractor and moving along a traveling direction, thereby enabling water to be smoothly supplied through underground burial of a hose.
또한, 디스크가 지면을 절단한 후 뒤이어 작업날이 지중에 일정한 깊이로 고랑을 형성하면, 뒤를 따라 이동하는 호스 공급부에서 호스가 고랑에 공급되고, 마지막으로 흙을 다시 복토한 후 눌러주도록 하는 과정을 연속해서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working blade forms a furrow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ground after the disk is cut, the hose is supplied to the furrow, and the soil is supplied again to the furrow. You can do this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또한, 고랑을 형성하고, 호스를 배치하고, 흙을 덮어주는 과정이 일체화된 장치로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호스가 지면에서 일정한 깊이에 연속해서 자동으로 매설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cess of forming the trough, arranging the hose, and covering the soil can be performed at one time by the integrated device, the hose can be automatically buried continuously at a certain depth on the grou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를 견인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의 고랑 형성부, 호스 공급부 및 복토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의 디스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의 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가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bmerge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owing vehicl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n underground irrigation hose buri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rough forming unit, a hose supplying unit, and a ground covering unit of the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k of an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hose of an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를 견인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의 고랑 형성부, 호스 공급부 및 복토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의 디스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의 호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ubmerge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owing vehic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a submerge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bmerge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k of a submerge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se of a submerge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는 지중 관수를 위하여 지중에 호스를 매립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는 트랙터와 같은 견인차에 의하여 이동되며, 그로 인해 지중에 호스를 매설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n underground irriga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의 견인차(10)가 위치되는 방향을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의 전방으로 규정하고 복토부(140)가 위치되는 방향을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의 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irection in which the underground irrigation
여기서,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는 견인차(10)의 후방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는 견인차(10)의 후방 하부측의 견인대와 연결됨으로써, 견인차(10)가 전진하면 견인차(10)의 동력에 의하여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도 전진할 수 있다.Here, the underground irrigation
또한,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는 견인차(10)의 후방에 있는 유압실린더의 실린더축과 결합됨으로써,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ground irrigation
이러한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는 호스를 지중으로 매설하기 위하여 프레임(110), 고랑 형성부(120), 호스 공급부(130) 및 복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underground irrigation
여기서, 상기 고랑 형성부(120)는 지면에 고랑을 형성하고, 호스 공급부(130)는 고랑으로 호스를 공급하며, 복토부(140)는 고랑을 흙으로 채운다. 이에 상기 고랑 형성부(120), 호스 공급부(130) 및 복토부(140)는 고랑에 대응하여 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즉 고랑 형성부(120), 호스 공급부(130) 및 복토부(140)는 프레임(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고랑을 따라서 일 직선상으로 배치된다.Here, the
구체적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은 견인차(1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는 틀로써, 제1프레임(111) 및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2, the
상기 제1프레임(111)은 사각 형상으로 견인차(10)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프레임(111)의 전방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견인차(10)의 실린더축과 연결되는 실린더 연결대(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에는 견인차(10)의 견인대가 연결되는 연결축(115)이 설치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는 견인차(10)의 진행에 따라서 견인대를 통하여 견인될 수 있으며, 또한, 유압 실린더의 실린더축을 구동시켜 실린더 연결대(114)에서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서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한 후 이동할 수 있고, 작업 시에는 바닥에 닿도록 프레임(110)을 하강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underground irrigation
또한, 상기 제2프레임은 제1프레임(111)의 중앙에 견인차(10)의 진행 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은 한 쌍으로 제1프레임(111)의 중앙에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rame may be disposed at a center of the
한 쌍의 제2프레임(112, 113)에 고랑 형성부(120), 호스 공급부(130) 및 복토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랑 형성부(120), 호스 공급부(130) 및 복토부(14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한 싸으이 제2프레임(112, 11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지면에 복수 개의 고랑을 형성하기 위함이다.The
복수 개의 고랑을 형성할 때,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는 고랑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10)에는 고랑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프레임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부(170)에 의하여 복수 개의 고랑 형성부, 호스 공급부 및 복토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When forming a plurality of troughs, the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ed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프레임(112, 113)에는 간격조절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2 and 3, the
간격조절부(170)는 한 쌍의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되는 수평이동부재(171), 및 수평이동부재(171)에 수평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1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수평이동부재(171)는 한 쌍의 제2프레임(112, 113) 사이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양단 또는 일단에는 수평이동부재(171)를 양측으로 회전시키는 제1조절부재(176)가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연결부재(172)는 한 쌍의 제2프레임(112, 113)과 수평이동부재(171)를 관통하는 한 쌍의 연결블럭(173, 174), 및 한 쌍의 연결블럭(173, 174)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수평이동부재(171)와 맞물려 한 쌍의 연결블럭(173, 174)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결합부재(17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이때, 한 쌍의 연결블럭(173, 174)은 고랑 형성부(120), 호스 공급부(130) 및 복토부(140)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연결블럭(173, 174)의 전방에는 고랑 형성부(120)가 결합되고, 후방에는 호스 공급부(130)와 복토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air of connecting
이에 고랑 형성부(120), 호스 공급부(130) 및 복토부(140)가 한 쌍의 연결블럭(173, 174)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한 쌍의 제2프레임(112, 113)에 결합된다.The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172)는 호스 공급부, 고랑 형성부 및 복토부의 개수에 대응하여 수평이동부재(171)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랑 형성부(120), 호스 공급부(130) 및 복토부(140)는 3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부재(172)도 3개가 구비된다.The connecting
그리고, 3 개의 연결부재(172a, 172b, 172c)는 수평이동부재(171)를 따라 왕복 이동하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72)의 수평 이동은 수평이동부재(171)와 맞물리는 제1결합부재(175)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three connecting
보다 상세하게, 제1수평이동부재(171)의 외주면과 제1결합부재(175)의 내주면은 서로 나사 결합되어, 제1수평이동부재(17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결합부재(175)가 제1수평이동부재(171)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moving
또한, 복수 개의 연결부재(172) 중 수평이동부재(171)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연결부재(172a)는 제2프레임(112, 113)에 고정되며, 나머지 연결부재(172b, 172c)들은 수평이동부재(171)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1연결부재(172a)를 중심으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며 복수 개의 고랑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즉, 복수 개의 연결부재(172) 중 제1연결부재(172a)는 수평이동부재(171)가 일 방향으로 회전을 하더라도 수평으로 이동되지 않고 중심에 고정되며, 제1연결부재(172a)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다른 연결부재(172b, 172c)들은 수평이동부재(171)와 맞물리는 제1결합부재(175)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된다.That is, even if the horizontal moving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호스의 배치 간격으로 지중에 매설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고랑 사이의 간격을 간격조절부(170)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지면에 복수 개의 고랑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form a plurality of troughs on the ground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troughs by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랑 형성부, 호스 공급부 및 복토부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에서와 같이 연결부재에 결합된 고랑 형성부, 호스 공급부 및 복토부는 하나만 제2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gravel forming units, a hose supplying unit, and a ground cove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and described so that the gaps can be adjus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7, only one trough forming portion, a hose supplying portion, and a covering portion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installed in the second fram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랑 형성부(120)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2프레임(112) 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72)의 전방에 설치된다. 그리고 고랑 형성부(120)의 하부에는 고랑을 형성하는 작업날(124)을 구비할 수 있다.3 and 4, the
상기 작업날(124)은 지중으로 호스를 배치하기 위한 고랑을 지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지중에 호스를 매립하는 깊이가 경우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고랑 형성부(120)는 호스의 매설 깊이에 따라 작업날(124)의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The working
이를 위하여 고랑 형성부(120)는 작동부(121), 상하이동부(122), 안내부(123) 및 작업날(124)을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작동부(121)는 제2프레임(112)에 배치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재(172)의 전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연결블럭(173, 174)에 결합된다. 이러한 작동부(121)는 연결부재(171)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결합하는 높이조절봉(125)과, 높이조절봉(125)의 상단에 결합되어 높이조절봉(125)을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조절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때, 높이조절봉(125)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조절부재(126)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봉(12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이동부(122)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하이동부(122)의 일측에는 높이조절봉(125)과 나사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127)가 형성될 수 있다.Here, a second engaging
상기 제2결합부재(127)는 링 형상으로 내주면에 높이조절봉(125)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결합부재(127)와 높이조절봉(125)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높이조절봉(12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결합부재(127)는 높이조절봉(125)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을 하며, 이에 제2결합부재(127)가 형성된 상하이동부(122)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The second engaging
또한, 상하이동부(122)의 하부측에 작업날(124)이 결합될 수 있으며, 작업날(124)의 전방 하부단에는 "∠"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지면을 일정 깊이로 팔 수 있다.The working
안내부(123)는 작업부(12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안내부(123)의 내부에 상하이동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하이동부(122)와 접하는 상기 안내부(123)의 내면은 상하이동부(122)가 상/하로 이동할 때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면이 될 수 있다.The
한편, 작업날(124)로 고랑을 형성하기 전에 지면에 균열을 형성하는 예비작업부(150)가 고랑 형성부(120)의 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liminary working
이러한 상기 예비작업부(150)는 제2프레임(112)에서 견인차(10) 측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다리부(151), 및 다리부(151)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을 균열시키는 디스크(1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에 견인차(10)가 전진 할 때, 디스크(152)는 회전하며 지면에 균열을 형성할 수 있다(도 5 참조).Thus, when the towing
또한, 디스크(152)의 둘레에는 지면을 파쇄하거나, 또는 용이하게 균열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돌기(153)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호스 공급부(130)는 한 쌍의 제2프레임(112, 113) 중 후방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113) 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72)의 후방에 설치된다. The
이러한 호스 공급부(130)는 고랑 형성부(120)에 의해 형성된 고랑으로 호스를 자동으로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호스 공급부(130)는 릴(131), 이송롤러(132) 및 안내관(1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릴(131)은 일정 길이를 갖는 호스(134)가 감겨질 수 있으며, 제2프레임(113)의 상부측에서 하나의 연결블럭(173)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릴(131)은 정 방향의 회전은 가능하나, 역 방향의 회전은 불가능하도록 설치된다. The
이는, 고랑을 따라 배치되는 호스(134)가 릴(131)의 역 방향 회전으로 인하여 릴(131)로 재 감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prevent the
그리고 이송롤러(132)는 릴(131)의 전방측에서 한 쌍의 연결블럭(173, 174)의 후방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릴(131)에 감겨있는 호스(134)를 지면측으로 안내한다.The
또한, 안내관(133)은 이송롤러(132)의 하부측에서 작업날(124) 측으로 곡선으로 연장되는 제1안내관(135), 제1안내관(135)의 일단에서 작업날(124)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안내관(136) 및 제2안내관(136)의 일단에서 고랑과 대응하게 연장되는 제3안내관(137)으로 이루어진다.The
여기서, 제1안내관(135)의 일단은 호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제3안내관(137)의 일단은 호스가 고랑으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이때, 이송롤러(132)를 통과한 호스(134)가 안내관(133) 측으로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도록, 제1안내관(135)의 유입구는 나팔관 형상으로 호스가 유입되는 부분에서 점차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The inlet of the
아울러, 고랑으로 배치되는 호스(134)의 일면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복수 개의 유체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유체배출구는 호스(134)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도 6 참조).In addition, a plurality of fluid outlets through which fluids are discharge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호스(134)는 지름이 12 내지 18mm일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는 18 내지 22mm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고랑의 깊이가 20 내지 25인 깊이에 매설되어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복토부(140)는 고랑 형성부(120)가 고랑을 형성할 때 작업날(124)이 흙을 팔 때 고랑 주변으로 이랑과 같은 흙더미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흙더미를 고랑으로 모아준다.The covering
이를 위하여, 복토부(140)는 복토설치대(141)와 복토판(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토설치대(141)는 이송롤러(132)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바퀴설치대(161)의 전방면에서 "ㄱ"자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그리고 복토판(142)은 복토설치대(141)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토판(142)은 복토설치대(141)에 대해서 비스듬히 결합될 수 있다.The
또한, 복토판(142)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바퀴설치대(161)에 각각 복토설치대(141)가 구비되고, 각각의 복토설치대(141)에 복토판(142)이 구비될 수 있다.The pair of
이때, 한 쌍의 복토판(142)은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의 상부측에서 볼 때 고랑을 중심으로 고랑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복토설치대(141)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복토판(142)은 "V"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이러한 고랑 주변에 형성된 흙더미는 견인차(10)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한 쌍의 복토판(142)에 의하여 흙을 중심으로 모아 고랑으로 수집되도록 한다. The dirt formed around the valleys is collected on the soil by a pair of
아울러, 한 쌍의 복토판(142) 후방에 설치되는 바퀴(162)가 고랑에 수집된 흙을 눌러주며 전진하므로, 고랑을 흙으로 단단히 덮을 수 있으며, 이에 호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중에 매설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때, 바퀴(162)는 이송롤러(132)의 하부측에서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바퀴설치대(161)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바퀴설치대(161) 사이에 바퀴(162)가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00)의 작동 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A method of operating the underground irriga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가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A and 8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8a에 따르면, 제1조절부재(176)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복수 개의 연결부재(172)가 수평이동부재(171)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연결부재(17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8A,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이때, 복수 개의 연결부재(172) 중 수평이동부재(171)의 중심에 배치된 제1연결부재(172a)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연결부재(172a)의 양 측으로 배치된 나머지 연결부재(172b, 172c)를 수평이동시킴으로써 간격을 조절한다.Since the first connecting
그리고 견인차(10)가 전방으로 전진하면, 예비작업부(150)의 디스크(152)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며 지면에 균열을 형성한다. When the towing
이후, 도 8b를 참조하면, 예비작업부(150)의 후방에 배치되는 고랑 형성부(120)의 작업날(124)은 지면에 고랑을 형성한다.8B, the working
그리고, 고랑 형성부(120)의 후방에 배치되는 호스 공급부(130)로부터 호스(134)가 고랑에 배치된다. 이때, 릴(131)이 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호스(134)가 이송롤러(132)를 통하여 이송관(133)으로 이동된다.The
이후, 안내관(133)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토부(140에 의해 고랑으로 흙이 채워진다.Thereafter, the soil is filled with the valleys by the
이때, 작업날(124)에 의해 고랑을 형성할 때, 고랑의 주변으로 이랑과 같은 흙더미가 형성되며, 복토부(140)의 복토판(142)은 흙더미를 고랑 측으로 모아주며 전진한다.At this time, when the gravel is formed by the working
마지막으로, 바퀴(162)가 전진하며 고랑을 덮은 흙을 눌러주며 이동한다. 이에 고랑에 호스가 매설될 수 있다. Finally,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는 트랙터와 같은 견인차에 연결하여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중에 호스를 공급하여 자동으로 매설할 수 있으므로, 호스의 지중 매설을 통한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be connected to a towing vehicle such as a tractor, and can be automatically buried by supplying hoses to the ground while moving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Therefore, Lt; / RTI >
또한, 디스크가 지면을 절단한 후 뒤이어 작업날이 지중에 일정한 깊이로 고랑을 형성하면, 뒤를 따라 이동하는 호스 공급부에서 호스가 고랑에 공급되고, 마지막으로 흙을 다시 복토한 후 눌러주도록 하는 과정을 연속해서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working blade forms a furrow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ground after the disk is cut, the hose is supplied to the furrow, and the soil is supplied again to the furrow. You can do this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또한, 고랑을 형성하고, 호스를 배치하고, 흙을 덮어주는 과정이 일체화된 장치로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호스가 지면에서 일정한 깊이에 연속해서 자동으로 매설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cess of forming the trough, arranging the hose, and covering the soil can be performed at one time by the integrated device, the hose can be automatically buried continuously at a certain depth on the groun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
110 : 프레임 120 : 고랑 형성부
130 : 호스 공급부 140 : 복토부
150 : 예비작업부 161 : 바퀴
170 : 간격조절부100: Underground irrigation hose burial device
110: frame 120:
130: Hose supply part 140:
150: preliminary working unit 161: wheel
170:
Claims (14)
상기 제2프레임에 연결되며, 하부단이 상기 견인차의 진행방향으로 돌출된 판재로 구비되는 작업날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날의 하부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가 지면에 삽입되어 상기 견인차의 진행 방향으로 고랑을 형성하는 고랑 형성부;
상기 고랑에 대응하도록 제2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고랑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고랑에 배치되는 호스를 공급하는 호스 공급부; 및
상기 고랑에 대응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호스가 배치된 고랑에 흙을 덮어주는 복토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랑 형성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는 작동부;
하부측에 상기 작업날이 결합되며, 상기 작동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상하이동부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프레임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봉;
상기 상하이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봉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봉과 맞물리고 상기 높이조절봉을 회전시키면 상하이동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제2프레임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전후방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부의 전후방 판재 사이에 상하이동부가 밀착된 안내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작동부를 상하 이동시키고,
상기 지면에 복수 개의 고랑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랑 형성부, 상기 호스 공급부 및 상기 복토부가 복수 개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복수 개의 고랑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가 결합되며,
상기 호스 공급부는
상기 호스가 감겨지며, 상기 제2프레임과 결합하는 릴;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릴에 감겨진 호스를 상기 지면으로 안내하는 이송롤러; 및
상기 이송롤러로 이송된 상기 호스가 상기 고랑에 배치되도록, 상기 호스를 상기 고랑으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관은
상기 이송롤러의 하부측에서 상기 작업날 측으로 곡선으로 연장되는 제1안내관;
상기 제1안내관의 일단에서 상기 작업날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안내관; 및
상기 제2안내관의 일단에서 상기 고랑과 대응하게 연장되는 제3안내관;으로 이루어지는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A frame including a first fram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towing vehicle and a second frame disposed in the first frame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owing vehicle;
And a working edg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and having a lower end protruding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tow truck, wherein a part including a lower protruding portion of the working edge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 trough forming a trough;
A hose supply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frame to correspond to the valleys and supplying a hose disposed in the valleys formed by the valleys; And
And a cover attached to the frame to correspond to the valleys and covering the valleys in which the hose is disposed,
The trough forming portion
An operating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 upper and lower moving part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working blade and moving up / down by the operating part; And
And a guide portion having a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up-down movement of the up-and-down moving portion,
Wherein the actuating portion includes: a height adjusting rod having a thread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the second frame toward the ground;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moving parts and having a threa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f the height adjusting rod and engaging with the height adjusting rod and rotating the height adjusting rod up and down,
Wherein the guiding portion is composed of a front plate member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via a connecting member and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and is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long a guiding surfac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moving portions are closely contacted between front and rear plate members of the guiding portion, And,
The hose suppl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re provided on the frame in plural to form a plurality of bumps on the ground,
Wherein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gap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troughs,
The hose supply part
A reel wound with the hose and engaged with the second frame;
A conveyance roller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nd guiding the hose wound on the reel to the ground; And
And a guide tube for guiding the hose to the furrow so that the hos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roller is disposed in the furrow,
The guide tube
A first guide tube extending in a curved line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veying roller to the working blade side;
A second guide tube extending perpendicularly from the one end of the first guide tube along the working blade; And
And a third guide pipe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second guide pipe to correspond to the valleys.
상기 고랑 형성부의 전방에는 지면을 균열시키는 예비작업부를 더 포함하는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eliminary working unit for cracking the ground surface in front of the trough forming unit.
상기 예비작업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서 상기 견인차 측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면을 균열시키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
A leg portion that is inclined from the second frame to the towing vehicle side; And
And a disk rotatably coupled to the leg to crack the ground.
상기 디스크의 둘레에는 상기 지면을 파쇄하는 돌기가 형성되는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protrusion for breaking the ground surface is formed around the disc.
상기 복토부는 상기 고랑이 형성된 후 상기 고랑 주변에 파여진 흙을 상기 고랑으로 모아주는 복토판을 포함하는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oil cover includes a soil cover for collecting soil buried in the periphery of the gravel after the gravel is formed.
상기 고랑에 배치된 호스에 대응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견인차의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프레임을 전진시키는 바퀴가 설치되며,
상기 바퀴는 상기 견인차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고랑에 채워진 흙을 눌러주는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heel coupled to the frame so as to correspond to the hose disposed in the trough and adapted to advance the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ow vehicle,
Wherein the wheel moves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towing vehicle and presses the soil filled in the trough.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제2프레임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되는 수평이동부재; 및
일측에는 상기 고랑 형성부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호스 공급부와 상기 복토부가 결합되되, 상기 수평이동부재에 수평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호스 공급부, 상기 고랑 형성부 및 상기 복토부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이동부재에 배치되는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val adjusting unit
A horizontal moving member disposed to face the second frame and rotated in both directions; And
And a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horizontal movement member and coupled to the hose supply unit and the ground cover at the other side,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shifting memb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ber of the hose supplying portion, the valley form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수평이동부재를 관통하는 한 쌍의 연결블럭;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블럭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수평이동부재와 맞물려 상기 한 쌍의 연결블럭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necting member
A pair of connecting blocks passing through the second frame and the horizontally moving member; And
And a first coupling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blocks and moving the pair of coupling blocks horizontally by engaging with the horizontally moving member.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중심에 배치되는 연결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에 고정되며,
나머지 연결부재들은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중심에 배치되는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수평이동하며 상기 복수 개의 고랑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지중 관개 호스 매설 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at a center of the horizontal moving member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is fixed to the second frame,
And the remaining connecting members horizontally move about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ly moving member and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the valley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1773A KR101917361B1 (en) | 2017-04-21 | 2017-04-21 | The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ed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1773A KR101917361B1 (en) | 2017-04-21 | 2017-04-21 | The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ed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8437A KR20180118437A (en) | 2018-10-31 |
KR101917361B1 true KR101917361B1 (en) | 2018-11-13 |
Family
ID=6409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1773A Active KR101917361B1 (en) | 2017-04-21 | 2017-04-21 | The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ed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736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50532A (en) | 2021-10-07 | 2023-04-1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Water shedding material burial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44828A (en) * | 2019-01-31 | 2019-04-19 | 中国科学院遗传与发育生物学研究所农业资源研究中心 | A planting method and equipment for wheat and corn reduced steam irriga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59151A (en) * | 1999-12-01 | 2001-06-12 | Shunsuke Yasui | Machine for burying pipe |
KR200232886Y1 (en) * | 2001-02-06 | 2001-09-25 | 경상남도 | Tractor adhesive hydraulically - operated earth-moving equipment for upland crops |
JP2005040092A (en) * | 2003-07-24 | 2005-02-17 | Matsuyama Plow Mfg Co Ltd | Farm implement |
-
2017
- 2017-04-21 KR KR1020170051773A patent/KR1019173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59151A (en) * | 1999-12-01 | 2001-06-12 | Shunsuke Yasui | Machine for burying pipe |
KR200232886Y1 (en) * | 2001-02-06 | 2001-09-25 | 경상남도 | Tractor adhesive hydraulically - operated earth-moving equipment for upland crops |
JP2005040092A (en) * | 2003-07-24 | 2005-02-17 | Matsuyama Plow Mfg Co Ltd | Farm implemen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50532A (en) | 2021-10-07 | 2023-04-1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Water shedding material buria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8437A (en) | 2018-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51495B2 (en) |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xcavating trenches in earth or soil and installing underground conduits or other media | |
US8875640B1 (en) | Slurry applicator for an agricultural machine | |
KR101917361B1 (en) | The underground irrigation hose embedded apparatus | |
CN115088428A (en) | Agricultural liquid applic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 |
US3942722A (en) | Ground treatment apparatus | |
KR101741009B1 (en) | All In One Seeder having an independently driven vinyl cutting unit | |
US6299381B1 (en) | Trencher plow for laying pipe | |
JP5988938B2 (en) | 畝 Top streaks covering machine | |
DE102006008698A1 (en) | Method and device for underground installation of membrane hoses | |
US9605406B2 (en) | Forward advancing landscape edging apparatus | |
EP3422837B1 (en) | Ground treatment device | |
EP2255609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aring for vegetation layers | |
KR20170001330A (en) | Unified cultivating machine | |
JP4849579B1 (en) | Mobile underdrain drainage burial equipment | |
CN1281110C (en) | Lawn mower with multiple blades for cutting brush | |
CN205682046U (en) | A kind of overlay film spray drip irrigation zone, herbal medicine shop all-in-one | |
JP3140001B2 (en) | Soil improvement apparatus and method | |
CN111034457B (en) | Cistanche deserticola harvesting mechanism, Cistanche deserticola planting and harvesting integrated device and method | |
JP4371509B2 (en) | Pipe burial machine | |
JP5526395B2 (en) | Laying device and laying method | |
EP2858479B1 (en) | A liquid distributing system and a method for distributing liquid on a field | |
KR102303353B1 (en) | Trans Planter | |
JP345900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mat-like member in soil | |
GB2475903A (en) | Land drainage and irrigation method and system | |
WO2025053751A1 (en) | A drag hose system for distributing a fluid composition from a supply over a piece of farmla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7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7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9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8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7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3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2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105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05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