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6713B1 -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토류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토류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713B1
KR101916713B1 KR1020180067195A KR20180067195A KR101916713B1 KR 101916713 B1 KR101916713 B1 KR 101916713B1 KR 1020180067195 A KR1020180067195 A KR 1020180067195A KR 20180067195 A KR20180067195 A KR 20180067195A KR 101916713 B1 KR101916713 B1 KR 101916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onnecting pipe
pair
pipe
spaced a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순
Original Assignee
박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순 filed Critical 박진순
Priority to KR102018006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7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지점이 형성되는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 설치하기 위한 토류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터파기 영역의 경계를 지점을 따라 지반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매설되며, 중앙의 웨브와 웨브의 양측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로 형성되는 복수의 H 파일; 상기 복수의 H 파일 사이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복수의 토류판; 상기 절곡지점에 매설되는 H 파일의 플랜지와 이격된 체로 웨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ㄱ' 또는 'ㄴ'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지지브라켓; 상기 절곡지점에 매설되는 H 파일의 플랜지와 지지브라켓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플랜지와 지지브라켓에 지지됨과 동시에 토류판이 슬라이드 형태로 삽입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파이프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파이프들의 삽입공이 동일선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연결파이프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플랜지로 구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파이프는, 단면이 원형인 중공형의 파이프 구조로 상기 토류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삽입공의 내측으로 절곡형성됨으로써 삽입공에 삽입되는 토류판의 양단과 면접촉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평행한 연결파이프의 양단에서 중앙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정렬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랜지는, 내면이 상기 연결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곡률로 가공되고 내면 테두리를 따라 기밀부재가 형성되는 외측 사이드 플랜지와, 외면이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는 곡률을 갖도록 가공되는 내측 사이드 플랜지로 구분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와, 양측으로 상기 외측 사이드 플랜지와 내측 사이드 플랜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를 연결시키며, 상기 정렬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정렬홈의 폭과 대응되는 두께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판형의 센터플랜지, 및 상기 내측 사이드 플랜지의 내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지지부 보강플랜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토류벽 구조물{TEMPORARY RETAINING WALL STRUCTURE IN COMPLEX AREA}
본 발명은 토류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절곡지점이 형성되는 복합적인 형태의 터파기 영역에 설치하기 용이한 토류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및 기타 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기초 공사의 일환으로 터파기 공사는 토류벽 설치 작업과 굴착 작업을 교대로 수행하게 된다.
알려진 토류벽 공법으로서는 H 파일 공법, 시트 파일(Sheet Pile) 공법, SMP 공법, CIP 공법, SCW 공법 등이 있다.
H 파일 토류벽 공법은 일반적인 개착식 공법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H 파일을 항타 또는 천공삽입하고 터파기를 진행하면서 토류판을 H 파일 사이에 끼워 넣어 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고, 시트 파일 공법은 쐐기모양의 강철파일을 연결하여 시공하고 차수성을 증대시킨 공법으로 중량에 비해 강성 및 차수성이 커서 항만구조물 및 토류구조물 등에 주로 사용되며, 재사용이 가능하며 친환경적인 공법이며, SMP 공법은 무진동, 무소음, 자립식으로 시트 파일이나 H 파일 등을 압입하는 유압식 압입 인방 시공법으로 지반조건을 가리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시공공법에 비해 정확하게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속도가 빠른 공법이고, CIP 공법은 시공시 소음 및 분진발생이 적고 장비가 소형이어서 취급이 간단하나, 자갈층 및 암석층 천공이 어렵고 수직도 관리가 어려운 공법이고, SCW 공법은 연약지반에서 굴착공사시 토류벽 시공의 문제점과 이에 따른 차수벽 설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시가지 지하 공사시 주로 사용되는 공법이다.
H 파일 토류벽 공법에 의한 종래 통상적인 토류벽 공사는 터파기 영역의 경계를 따라 H 파일을 일정 간격으로 지반에 설치하고, H 파일 사이에 토류판(timber)을 끼워 토류벽을 설치한 다음 토류벽 뒤편에 흙을 메우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한편, 토류벽의 설치시 터파기 영역의 평면적이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이 아닌 다각형 또는 불규칙한 구조의 복합적인 형태인 경우에는 인접한 토류판 사이에 각도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절곡지점이 존재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터파기 영역이 도 1과 같이 터파기 영역(S)이 복합적인 형태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절곡지점(a~d)이 형성된다. 이때, 절곡지점(a~d)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방법 중 하나로, 도 2와 같이 단순히 하나의 H 파일(10)을 설치한 다음 토류판(20)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절곡지점(a~d)에 하나의 H 파일(10)을 통해 토류판(20)을 설치하면 하면 도 2의 A 지점과 같이 토류판(20) 양단측이 H 파일(10)의 플랜지(12)와 토류판(20) 사이에 공간(S1)이 형성됨으로써 플랜지(12)와 토류판의 끝단측이 면접촉하지 않고 선접촉하게 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통상적으로 좌우 방향 동일선상으로 연속하여 H 파일(10)에 설치되는 토류판(20)은 양단이 플랜지(12)의 내측에 면접촉되어 토압을 지지하게 되나, 절곡지점(a~d)의 H 파일(10)에 설치되는 토류판(20)은 플랜지(12)와 선접촉되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토압에 따른 하중 발생 시, 플랜지(12)와 토류판(20)이 선접촉 하는 지점에 집중하중이 가해져 상대적으로 토류판(20)의 양단이 플랜지(12)와 면접촉되는 상태에 비해 지지력이 저하됨으로써 토류판(20)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절곡지점(a~d)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절곡지점(a~d)에 설치되는 H 파일(10)의 간격을 직선형태로 설치되는 H 파일(10)의 간격보다 더 넓게 하여 토류판(20)의 양단 끝부분이 플랜지(12)걸쳐진는 형태로 설치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H 파일(10)의 플랜지(12)와 토류판(20) 양단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 또한, 플랜지(12)와 토류판(20)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토압에 의한 하중 발생시, 도 4의 사진과 같이 H 파일(10)로부터 토류판(20)이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절곡지점(a~d)에 H 파일(10)을 복수개(한쌍)를 각도가 형성되도록 지반에 삽입한 후, 토류판(20)을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절곡지점(a~d)에 H 파일(10)을 복수개 형성하는 방법은 플랜지(12)와 토류판(20)의 양단이 면접촉함으로써 토압에 따른 토류판(20)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있으나, 지반에 설치해야 할 H 파일(10)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필요자재 및 작업량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절곡지점(a~d)에 형성하는 H 파일(10)이 상호 인접하여 빈틈이 없이 설치해야 하는 등의 작업 난이도가 높음에 따라 번거롭다는 이유로 현재 실제 공사 현장에서는 활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84753호(2013.10.1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절곡지점이 형성되는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의 토류벽의 설치 시, 절곡지점에 하나의 H 파일만을 이용하여 토류판을 설치하여도 토류판의 양단이 플랜지와 면접촉하는 것과 동일한 지지력이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각도의 절곡지점의 형성이 가능한 토류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절곡지점이 형성되는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 설치하기 위한 토류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터파기 영역의 경계를 지점을 따라 지반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매설되며, 중앙의 웨브와 웨브의 양측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로 형성되는 복수의 H 파일; 상기 복수의 H 파일 사이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복수의 토류판; 상기 절곡지점에 매설되는 H 파일의 플랜지와 이격된 체로 웨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ㄱ' 또는 'ㄴ'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지지브라켓; 상기 절곡지점에 매설되는 H 파일의 플랜지와 지지브라켓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플랜지와 지지브라켓에 지지됨과 동시에 토류판이 슬라이드 형태로 삽입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파이프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파이프들의 삽입공이 동일선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연결파이프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플랜지로 구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파이프는, 단면이 원형인 중공형의 파이프 구조로 상기 토류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삽입공의 내측으로 절곡형성됨으로써 삽입공에 삽입되는 토류판의 양단과 면접촉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평행한 연결파이프의 양단에서 중앙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정렬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랜지는, 내면이 상기 연결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곡률로 가공되고 내면 테두리를 따라 기밀부재가 형성되는 외측 사이드 플랜지와, 외면이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는 곡률을 갖도록 가공되는 내측 사이드 플랜지로 구분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와, 양측으로 상기 외측 사이드 플랜지와 내측 사이드 플랜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를 연결시키며, 상기 정렬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정렬홈의 폭과 대응되는 두께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판형의 센터플랜지, 및 상기 내측 사이드 플랜지의 내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지지부 보강플랜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벽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류벽 구조물은 절곡지점이 형성되는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의 토류벽 구조물의 설치 시, 절곡지점에 하나의 H 파일만을 이용하여 토류판을 설치하여도 토류판의 양단이 플랜지와 면접촉하는 것과 동일한 지지력이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각도의 절곡지점의 형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절곡지점을 형성하기 위한 H 파일이 하나가 적용되어 복수개 설치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토류벽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필요자재 및 작업량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고, 절곡지점에 H 파일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 난이도가 높지 않아 실제 공사 현장에서의 적용성 및 활용성이 뛰어날 수 있다.
도 1은 복합적인 형태의 터파기 영역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 및 3은 종래기술의 일 예로 1개의 H 파일을 이용한 절곡지점의 토류벽 구조물 설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기술의 일 예로 도 3과 같은 절곡지점에서의 토류벽 구조물 설치된 상태에서 토류판이 이탈된 경우를 보여주는 현장 사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 복수의 H 파일을 이용한 절곡지점의 토류벽 구조물 설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류벽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류벽 구조물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류벽 구조물의 다양한 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종래기술과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종래기술과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 또는 영역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류벽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류벽 구조물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류벽 구조물(100)은 건축 및 토목 공사를 위한 기초공사인 터파기 공사와 병행되어 토사의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류벽 구조물(100)은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 형성되는 절곡지점(a~d)에서의 토류판(20)의 안정적인 설치를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토류벽 구조물(100)은 복수개의 H 파일(10)과, 복수개의 토류판(20) 및 복수개의 연결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H 파일(10)을 일반적인 토류벽 구조물(100)의 설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중앙의 웨브(11)와, 웨브(11)의 양측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12)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다만, 절곡지점(a~d)에 설치되는 H 파일(10)에는 지지브라켓(13)이 추가로 형성된다.
지지브라켓(13)은 중앙의 웨브(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연결유닛(30)을 지지하는 것으로, 'ㄱ' 또는 'ㄴ'의 단면을 갖는 철재 앵글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브라켓(13)의 제 1 면(13a)은 웨브(11)에 고정되고, 제 1 면(13a)과 수직한 제 2 면(13b)은 플랜지(12)와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웨브(11)와 플랜지(12) 및 지지브라켓(13)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부에는 플랜지와 지지브라켓의 제 2 면과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연결유닛(30)이 삽입 배치된다.
한편, 지지브라켓(13)은 웨브(11)에 고정되는 제 1 면(13a)은 자유로운 길이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웨브(11)에 볼트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이 가공 형성되고, 제 2 면(13b)은 연결유닛(30)을 구성하는 연결파이프(31)의 직경의 1/2 정도를 조금 상회 하는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대 연결파이프(31)의 직경 이내의 범위로 제한된다. 이러한 제 2 면(13b)의 형성 길이의 제한은 제 2 면(13b)의 길이가 연결파이프(31)의 직경이 1/2 이하이면 연결파이프(3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우며, 연결파이프(31)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면 연결파이프(31)에 연결된 토류판(20)이 설치 가능한 각도 범위가 좁아지게 되어 절곡지점(a~d)의 형성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 2 면(13b)은 공간부를 형성하는 플랜지(12) 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부에 위치된 연결파이프(31)가 제 2 면(13b)에 의해 일정수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토류판(20)은 목재로 형성되어 통상적인 토류벽 설치 공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결유닛(30)은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절곡지점(a~d)의 H 파일(10)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3)의 제 2 면(13b)과 플랜지(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H 파일(10)의 길이방향으로 기립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연결파이프(31) 및 연결 브라켓(32)으로 구성된다.
연결파이프(31)는 중공의 파이프 구조로 토류판(20)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삽입공(33)이 형성되고 삽입공(33)의 내측으로 삽입공의 폭과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절곡된 한쌍의 지지부(34)가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34)가 삽입공(33)으로부터 단순 절곡되는 구조인 경우, 지지부(34)의 면적이 제한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넓은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지지부(34)가 별도로 제작되어 삽입공(33)의 양측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되어 연결되는 지지부(34)는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삽입공(33)과 대향된 연결파이프(31)의 내측면(31a)까지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나, 지지부(34)의 연결파이프(31) 내측면측에 가까운 타단은 연결파이프(31)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고정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근본적으로, 연결파이프(31)의 제작 시, 지지부(34)를 연결 고정하기 위해 연결파이프(31)의 내측면에 용접 등을 통한 용접 공정이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굳이 용접 등을 통해 고정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지지부(34)의 타단을 연결파이프(31)의 내측면에 근접하게 배치(조금 이격된 상태 포함)시키되 고정시키지 않음으로써 연결파이프(31)의 내면측에 가까운 지지부(34)의 타단측이 탄성(유연성)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즉, 현장에서 사용되는 토류판(20)은 H 파일(10)에 양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토압을 지지하는 과정하여 미세하여 변형됨으로써 전반적인 형태가 다소 과장되게 표현하면 '
Figure 112018057355671-pat00001
' 와 같이 곡선로 형태로 변형되며 이에 변형된 토류판(20)의 양단(끝단)이 미세하게나마 직선형태가 아니게 된다. 이때, 지지부(34)가 탄성이 없다면 반드시 양단이 직선형태로 반듯한 구조의 토류판만이 삽입될 수 있으며, 미세한 변형이 있는 토류판의 삽입 설치는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지지부(34)의 타단측이 탄성(유연성)을 가지게 되면 지지부(34)의 끝단측이 좌우 방향으로 어느 정도 (휨)변형 가능함에 따라 변형된 토류판의 삽입 설치가 가능할 수 있음으로써 삽입되지 못할 정도로 심하게 변형 또는 파손된 것을 제외한 대부분의 토류판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연결파이프(31)는 복수개로 분할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분할된 연결파이프(31)의 연결 시 삽입공(33)이 동일 선상으로 정렬되도록 하기 위해 정렬홈(35)이 가공된다. 이때, 정렬홈(35)은 연결파이프(31)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형성되며, 지지부(34)을 기준으로 지지부(34)과 평행한 연결파이프(31)의 양단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32)은 분할된 연결파이프(31)의 정렬홈(35)에 각각 삽입되어 분할된 연결파이프(31)를 연결하는 일종의 연결부재로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31a, 32b)와 연결플랜지(32a, 32b) 사이를 연결하는 센터 플랜지(32c)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32a, 32b)는 각각 연결파이프(31)의 내/외측에 배치되며,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사이드 플랜지(32a)는 내면이 연결파이프(31)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곡률을 가지며,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사이드 플랜지(32b)는 연결파이프(31)의 내면에 외면이 밀착될 수 있는 곡률을 갖도록 가공된다.
이때, 외측 사이드 플랜지(32a)의 내면측 테두리에는 기밀부재(32e)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밀부재(32e)는 외부에서 정렬홈(35)에 수분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정렬홈(35)에는 센터플랜지(32c)가 삽입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정렬홈(35)에 수분이 유입되어 부식되면 정렬홈(35)과 센터플렌지(32c)가 고착화될 수 있어 향후 연결브라켓(32)과 연결파이프(31)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정렬홈(35)에 부식이 발생되는 경우, 연결브라켓(32)에 의한 연결파이프(31)의 연결 시, 센터플렌지(32e)가 정렬홈(35)에 쉽게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토류벽 구조물(100)이 설치되어 공사 진행 후 해체되기 전까지 기밀부재(32e)가 형성된 외측 사이드 플랜지(32a)에 의해 외부에서 정렬홈(35)으로 유입되는 수분(지하수, 빗물)을 차단하여 부식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아울러, 기밀부재(32e)의 경우 외측 사이드 플랜지(32a)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내측 사이드 플랜지(32b)의 외측면에도 형성되어 정렬홈(35)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양측에서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32a, 32b)는 연결파이프(31)에 가공되는 정렬홈(35)을 완벽히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플랜지(32c)는 정렬홈(35)의 폭과 대응되는 두께와 연결파이프(31)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중앙지점에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32a, 32b)를 연결하는 판형의 패널 부재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31b, 32b)의 길이방향 중앙 지점에 형성된다. 이에, 정렬홈의 상/하/좌/우 방향이 모두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의 내측에 위치되게 되어 커버되게 된다.
이에, 연결파이프(31)의 연결 시, 연결브라켓(32)의 센터플랜지(32c)를 정렬홈(35)에 삽입시키면, 센터플랜지(32c)가 정렬홈(35)에 비교적 기밀하게 삽입되고,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32a, 32b)가 연결파이프(31)의 내외면에 각각 접촉한 상태에서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32a, 32b)와 센터플랜지(32c)가 기 설치된 연결파이프(31)의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연결플랜지(32)가 연결파이프(31)의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된 상태에서 다른 연결파이프(31)의 정렬홈(35)을 돌출된 센터플랜지(32c)에 결합시키면, 연결되는 연결파이프(31)가 각각 연결플랜지(32)에 비교적 기밀하게 결합되게 됨으로써 연결되는 연결파이프(31)들이 상호 회전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연결되는 연결파이프(31)의 삽입공들(33)이 상호 동일 선상으로 정렬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32a, 32b)와 센터플랜지(32c)로 이루어진 연결브라켓(32)에 지지부 보강플랜지(32d)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고하면, 지지부 보강플랜지(32d)는 판형 구조로 내측 사이드 플랜지(32b)의 내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부(34)와 접촉할 수 있으며,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연결플랜지(32)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파이프(31)의 양단에 위치되는 지지부(34)가 지지부 보강플랜지(32d)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음으로써 토류판(20)에 의해 가압되는 힘에 의한 지지부(34)의 변형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연결파이프(31)가 연결되어 삽입공(33) 및 지지부(34)가 정렬된 상태에서 연결파이프(31)들이 연결되는 지점의 지지부(34)(= 지지부의 끝단)가 가장 변형에 취약하게 된다. 그러나, 연결파이프(31)의 연결지점에 위치되는 연결플랜지(32)들이 지지부 보강플랜지(32d)를 통해 지지부(34)들의 연결지점(또는 부근)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지지부(34)의 강성(=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플랜지(32)에 의한 연결파이프(31)의 설치시, 연결플랜지(32)의 설치 위치나, 90˚회전된 경우에도 모두 동일한 형태를 취하게 됨에 따라 별도의 결합 위치나 형태를 고려하지 않게 되어 연결파이프(31)의 연결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유닛(30)은 상기 연결플랜지(32)에 의해 연결되어 최상측에 위치되는 연결파이프(31)의 상단에 결합되는 마감커버(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커버(36)는 연결파이프(31) 상단을 커버하여 내부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연결파이프(31)의 단면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연결파이프(31)의 상단에 형성된 정렬홈(35)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마감커버(36)는 사용의 용이성, 제작 비용, 및 방수성을 고려하여 수지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재생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류벽 구조물의 다양한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류벽 구조물의 설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토류벽 구조물(100)의 설치 시, 절곡지점에 토류판(20)을 설치하기 위해 수평하게 동일선상으로 설치되는 토류판을 고정하는 H 파일(10a)과 일정거리 이격된 절곡지점 형성용 H 파일(10b, 10c)들이 설치되게 된다. 이때 절곡지점을 형성하는 지점에 토류판(20)을 설치하기 위해 H 파일(10a, 10b, 10c)에는 지지브라켓(13) 및 연결유닛(30)이 설치되게 된다. 이후, 절곡지점을 형성하는 H 파일(10b)의 주변으로 다른 절곡지점을 형성하기 위한 H 파일(10c)을 설치할 시, H 파일(10c)의 설치범위가 폭넓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H 파일(10b)은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지점의 절곡 각도가 폭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연결유닛(30)의 연결파이프(31)가 단면이 원형형태로 공간부 내에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한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형태로 플랜지(11)에 접촉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H 파일(10c)의 위치가 P1 ~ P3에 이르기까지 변화해도 토류판(10)의 양단은 연결유닛(30)을 통해 H 파일(10c)의 플랜지(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지점에 연결유닛(30)에 의해 설치되는 토류판(20)의 절곡지점의 각도 및 방향이 다양하게 형성되는 경우일 지라도 토류판(20)의 양단과 H 파일(10)의 플랜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연결파이프(31)에 의해 밀착 지지되어 있음에 따라 토류판(20)이 H 파일(1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토류판(20)의 양단이 플랜지(11)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연결유닛(30)의 지지부(34)에 항상 면접촉으로 지지되고 있음에 따라 토류판(20)의 양단이 플랜지(11)와 직접적으로 면접촉하는 것과 대등한 지지력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토류벽 구조물(100)은 절곡지점이 형성되는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의 토류벽 구조물(100)의 설치 시, 절곡지점에 하나의 H 파일만을 이용하여 토류판을 설치하여도 토류판의 양단이 플랜지와 면접촉하는 것과 동일한 지지력이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각도의 절곡지점의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절곡지점을 형성하기 위한 H 파일이 하나가 적용되어 관련 토류벽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필요자재 및 작업량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고, 절곡지점에 H 파일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 난이도가 높기 않아 실제 공사 현장에서의 적용성 및 활용성이 뛰어날 수 있다.
아울러, 절곡지점에 토류판 설치 시, 연결유닛에 토류판을 단순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함으로써 설치 가능하고, 해체 시, 각 연결부재들이 별도의 고정부재(볼트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에 따라 단순 (상방향) 이동에 의해 연결부재 및 토류판들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음에 따라 전반적인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 H 파일 20: 토류판
30: 연결유닛
31: 연결파이프 32: 연결브라켓
33: 삽입공 34: 지지부
35: 정렬홈

Claims (3)

  1. 절곡지점이 형성되는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 설치하기 위한 토류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터파기 영역의 경계를 지점을 따라 지반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매설되며, 중앙의 웨브와 웨브의 양측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로 형성되는 복수의 H 파일;
    상기 복수의 H 파일 사이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복수의 토류판;
    상기 절곡지점에 매설되는 H 파일의 플랜지와 이격된 체로 웨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ㄱ' 또는 'ㄴ'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지지브라켓;
    상기 절곡지점에 매설되는 H 파일의 플랜지와 지지브라켓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플랜지와 지지브라켓에 지지됨과 동시에 토류판이 슬라이드 형태로 삽입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파이프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파이프들의 삽입공이 동일선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연결파이프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플랜지로 구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파이프는,
    단면이 원형인 중공형의 파이프 구조로 상기 토류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삽입공의 내측으로 절곡형성됨으로써 삽입공에 삽입되는 토류판의 양단과 면접촉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평행한 연결파이프의 양단에서 중앙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정렬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랜지는,
    내면이 상기 연결파이프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곡률로 가공되고 내면 테두리를 따라 기밀부재가 형성되는 외측 사이드 플랜지와, 외면이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는 곡률을 갖도록 가공되는 내측 사이드 플랜지로 구분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와,
    양측으로 상기 외측 사이드 플랜지와 내측 사이드 플랜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를 연결시키며, 상기 정렬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정렬홈의 폭과 대응되는 두께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판형의 센터플랜지, 및
    상기 내측 사이드 플랜지의 내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지지부 보강플랜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벽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끝단은 연결파이프의 내측면까지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되 연결파이프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의 끝단측이 연결파이프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벽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연결되어 상측에 위치되는 연결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되어 연결파이프 내부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벽 구조물.
KR1020180067195A 2018-06-12 2018-06-12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토류벽 구조물 Active KR101916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95A KR101916713B1 (ko) 2018-06-12 2018-06-12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토류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95A KR101916713B1 (ko) 2018-06-12 2018-06-12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토류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713B1 true KR101916713B1 (ko) 2018-11-08

Family

ID=6432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195A Active KR101916713B1 (ko) 2018-06-12 2018-06-12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토류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7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55Y1 (ko) 2012-12-28 2013-08-02 (주) 일진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55Y1 (ko) 2012-12-28 2013-08-02 (주) 일진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734B1 (ko) 열연강판 차수 연속벽 흙막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KR100959300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1651646B1 (ko) 강판 결속형 흙막이 차수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KR101648704B1 (ko) 지중벽체 구조물
US20060179730A1 (en) Wall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wall structure
KR101210721B1 (ko) 피에이치씨 말뚝을 이용한 차수 흙막이 벽체
KR101721631B1 (ko) 마그네틱 패킹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유닛 접합부 구조
JP6785591B2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JP2011084938A (ja) 山留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952608B1 (ko) 기초보강 콘크리트관 구조체
KR101916713B1 (ko) 복합적인 터파기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토류벽 구조물
KR101906198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1866792B1 (ko) 흙막이 구조물
KR101637507B1 (ko) 하천횡단 관로 매설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매설방법
KR101915189B1 (ko) 흙막이 구조물
KR101915188B1 (ko) 흙막이 구조물
KR101877407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2098141B1 (ko) 흙막이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물 지하벽체
KR101377017B1 (ko) 흄관 받침부재, 수로 형성부재 및 그 시공방법
JP5432766B2 (ja) 建造物の基礎構造
KR20100068350A (ko) 비대칭 h―시트 파일 및 그를 이용한 시공구조
KR101019265B1 (ko) 도로용 콘크리트 옹벽 블록
KR101899859B1 (ko) 복합적 터파기 영역의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0724781B1 (ko) 흙막이 판
KR20170092411A (ko) 보강섬유가 접합된 강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