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322B1 - Coffee extracting system of maintaining coffee aroma and method of extracting coffee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Coffee extracting system of maintaining coffee aroma and method of extracting coffee us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6322B1 KR101916322B1 KR1020150120130A KR20150120130A KR101916322B1 KR 101916322 B1 KR101916322 B1 KR 101916322B1 KR 1020150120130 A KR1020150120130 A KR 1020150120130A KR 20150120130 A KR20150120130 A KR 20150120130A KR 101916322 B1 KR101916322 B1 KR 1019163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ffee
- liquid
- extractor
- extraction water
- extrac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41000533293 Sesbania emer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2808 vapor pha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8373 coffee flav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5114 espres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276 Apios tuber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70226 Voandzeia subterr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030 Voandzeia subterr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09 caffè american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924 ground be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7—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r brewing on a large scale, e.g. for restaurants, or for use with more than one brewing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a And Coffe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커피향을 유지하는 커피 추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피 추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향을 유지하는 커피 추출시스템은, 추출수를 저장하는 추출수 저장탱크; 분쇄된 커피원두들이 수용되며, 추출수 저장탱크로부터 추출수를 공급받아 커피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기; 커피 추출기에 연결되며, 커피 추출기에서 추출된 거품을 함유한 커피액으로부터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 및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이 냉각되어 유입되는 밸런스탱크를 포함한다.A coffee extracting system for maintaining a coffee aroma and a coffee extract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A coffee extracting system for maintaining a coffee arom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xtraction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extracted water; A coffee extractor for receiving the pulverized coffee beans and extracting the coffee liquor from the extracted water storage tank; A gas-liquid separator connected to the coffee extractor for separating the liquid coffee liquid and the vapor-phase coffee liquid from the coffee liquid containing the foam extracted from the coffee extractor; And a balance tank in which the liquid coffee liquid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and the gaseous coffee aroma are cooled and intro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피향을 유지하는 커피 추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피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 고유의 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커피향을 유지하는 커피 추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피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extracting system for maintaining a coffee aroma and a coffee extracting method using the coffee extracting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extracting system for retaining coffee aroma, Extraction method.
최근에는 소득 증가에 따라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커피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는 추세이며, 따라서 커피음료를 판매하는 제조사 및 커피전문점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In recent years, demand for coffee has been increasing as living standards have increased with income, and coffee makers and coffee shops selling coffee beverages are increasing.
특히, 소비자가 커피의 맛과 향에 대한 지식이 높아지면서 커피원두들을 이용한 에스프레소 커피가 널리 알려져 있다. 에스프레소 커피는 분쇄된 커피원두들에 고압의 열수를 공급하여 진한 커피액을 추출한 것이다.Especially, espresso coffee using coffee beans is widely known as consumers have increased knowledge of taste and aroma of coffee. Espresso coffee is a high-pressure hot water supplied to ground coffee beans to extract a thick coffee liquid.
그리고, 에스프레소 커피에 더운 물을 더 추가하여 아메리카노와 같은 향과 맛이 연한 커피를 제조한다. 이처럼, 여러 종류의 커피음료 중 기본원료가 되는 것이 에스프레소 커피이다.And by adding hot water to the espresso coffee, it produces a coffee with an aroma and flavor similar to Americano. As such, espresso coffee is the basic raw material of various types of coffee beverage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의 추출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rawing showing an extraction process of espresso coffe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extracting espresso coffe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종래 기술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은, 이송펌프를 이용하여 분쇄된 커피원두들이 수용된 커피 추출기(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열수(hot water)를 흘려보내면서 열수로 분쇄된 커피원두들을 가압하여 커피액을 추출한다.The espresso coffee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arried out by using a transfer pump to pressurize the coffee beans pulverized with hot water while flowing hot water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종래 기술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기(10)에서 추출된 커피액은 거품을 함유하고 있으며, 거품에는 커피 고유의 향을 느끼게 하는 아로마 성분이 포함된다.The coffee liquid extracted from the
그러나, 종래에는 커피액을 추출하는 공정 중 발생되는 거품을 분리하여 배출하였으므로 추출된 커피액에서 커피 고유의 향이 많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since the bubble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fragrance inherent in the coffee is lost in the extracted coffee liquid.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피 추출공정 중에 커피 고유의 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피향을 유지하는 커피 추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피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ffee extrac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the loss of the inherent flavor of coffee during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and a coffee extra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추출수를 저장하는 추출수 저장탱크; 분쇄된 커피원두들이 수용되며, 상기 추출수 저장탱크로부터 추출수를 공급받아 커피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기; 상기 커피 추출기에 연결되며, 상기 커피 추출기에서 추출된 거품을 함유한 커피액으로부터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 및 상기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이 냉각되어 유입되는 밸런스탱크를 포함하는 커피향을 유지하는 커피 추출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traction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extraction water; A coffee extractor for receiving the pulverized coffee beans and extracting the coffee liquor from the extracted water storage tank; A gas-liquid separator connected to the coffee extractor for separating the liquid coffee liquid and the vapor-phase coffee liquid from the coffee liquid containing the foam extracted from the coffee extractor; And a balance tank in which a liquid coffee liquid separat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and a balance tank in which gaseous coffee aroma is cooled and flows in can be provided.
상기 기액 분리기와 상기 밸런스탱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기상의 커피향을 냉각하는 제1 냉각기; 및 상기 기액 분리기와 상기 밸런스탱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상의 커피액을 냉각하는 제2 냉각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cooler provided between the gas-liquid separator and the balance tank for cooling the gaseous coffee aroma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And a second cooler provided between the gas-liquid separator and the balance tank for cooling the liquid coffee liquid separat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상기 밸런스탱크에 연결되며,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이 혼합된 커피액을 냉각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혼합된 커피액을 저장하는 커피액 저장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balance tank for cooling the coffee liquid mixed with the liquid coffee liquid and the gaseous coffee flavor; And a coffee liquid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and storing the mixed coffee liquid cooled in the heat exchanger.
상기 커피 추출기는, 분쇄된 커피원두들이 수용되되, 상기 추출수 저장탱크에 연통되며 측부에 추출수가 공급되는 제1 추출수 공급유로를 구비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추출수 저장탱크에 연통되며 추출수가 공급되는 제2 추출수 공급유로와 추출된 커피액이 배출되는 제1 커피액 배출유로를 구비한 상부덮개;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추출수 저장탱크에 연통되며 추출수가 공급되는 제3 추출수 공급유로와 추출된 커피액이 배출되는 제2 커피액 배출유로를 구비한 하부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offee extractor comprises: a body portion having a first extraction water supply passage for receiving the ground coffee beans, the extraction portion being communicated to the extraction water storage tank and supplied with extraction water to the side portion; An upp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upper cover including a second extraction water supply channel communicated with the extraction water storage tank and supplied with extraction water, and a first coffee liquid discharge channel through which the extracted coffee liquid is discharged; And a lower cov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including a third extraction water supply channel communicated with the extraction water storage tank and supplied with extraction water and a second coffee liquid discharge channel through which the extracted coffee liquid is discharged have.
상기 상부덮개는, 추출수에 의해 가해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바이패스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lid may further include a bypass flow path for regula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ody portion applied by the extracted wat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분쇄된 커피원두들을 커피 추출기에 수용하는 단계; 상기 커피 추출기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커피 추출기에서 추출된 거품이 함유된 커피액을 기액 분리기에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분리하는 단계; 및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분리한 경우에,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각각 냉각하고 밸런스탱크에 공급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피 추출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king a coffee beverage, comprising: grinding ground coffee beans in a coffee extractor; Supplying extraction water to the coffee extractor to extract a coffee liquid; Supplying a coffee liquid containing the foam extracted from the coffee extractor to a gas-liquid separator to separate a liquid coffee liquid and a gaseous coffee aroma; And a step of cooling the liquid coffee liquor and the gaseous coffee liquor respectively 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liquid coffee liquor and the gaseous coffee liquor, supplying them to the balance tank and mixing them, can be provided.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분리한 경우에,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각각 냉각하여 밸런스탱크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cooling the liquid coffee beans and the gaseous coffee beans separately and supplying them to the balance tank when the liquid coffee beans and the gaseous coffee bea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밸런스탱크에서 혼합된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cooling and storing the liquid liquid coffee mixture and the gaseous coffee liquid mixed in the balance tank through a heat exchanger.
상기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커피 추출기의 측부에 마련된 제1 추출수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커피 추출기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상기 커피 추출기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원두들을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이동시키고 가압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커피 추출기의 상부에 마련된 제2 추출수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커피 추출기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상기 커피 추출기의 상부로 이동된 분쇄된 커피원두들을 상기 커피 추출기의 하부로 이동시키고 가압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피 추출기의 하부에 마련된 제3 추출수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커피 추출기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상기 커피 추출기의 하부로 이동된 분쇄된 커피원두들을 상기 커피 추출기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가압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comprises the steps of: supplying extraction water to the coffee extractor through a first extraction water supply channel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ffee extractor, separating the ground coffee beans contained in the coffee extractor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by pressurization; The extraction water is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or through the second extraction water supply channel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or, the ground coffee bean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or are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or, Extracting; And extracting water is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or through a third extraction water supply channel provided below the coffee extractor so that the ground coffee beans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or are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or and pressurized, And extracting the extracted data.
상기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추출수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추출수에 의해 상기 커피 추출기의 내부압력이 소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커피 추출기에 마련된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상기 커피 추출기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further comprises a step of extracting the coffee beverage through the bypass line provided in the coffee extractor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ffee extractor exceeds a predetermined pressure by the extract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third extracted- And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extract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피 추출기에서 추출된 거품을 함유한 커피액으로부터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분리하고 각각 냉각하여 혼합함으로써 커피 고유의 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loss of the inherent fragrance of the coffee by separating the liquid coffee liquid and the gaseous coffee liquid from the coffee liquid containing the foam extracted from the coffee extractor and cooling them and mixing th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의 추출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피 추출공정을 완료한 후 건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rawing showing an extraction process of espresso coffe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ffee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hrough 3D are views showing a coffee extrac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drying process after completion of a coffee extra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피 추출공정을 완료한 후 건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coffee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o 3D are views showing a coffee extra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5 is a drawing showing a drying process after completing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시스템(100)은, 추출수를 저장하는 추출수 저장탱크(200)와, 분쇄된 커피원두(C)들이 수용되며 추출수를 공급받아 커피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기(300)와, 커피 추출기(300)에서 추출된 거품을 함유한 커피액으로부터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400)와,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이 혼합되는 밸런스탱크(500)와, 밸런스탱크(500)에 연결되어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이 혼합된 커피액을 냉각하는 열교환기(600)와, 열교환기(600)에서 냉각된 혼합된 커피액을 저장하는 커피액 저장탱크(7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추출수 저장탱크(200)는 추출수를 저장하며, 커피 추출기(300)에 추출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extraction
본 실시예에서 추출수는 10℃ 이하의 냉수와, 30 ~ 50℃의 중온수와, 90 ~ 100℃의 열수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extraction water includes cold water of 10 ° C or lower, middle temperature water of 30 to 50 ° C, and hot water of 90 to 100 ° C.
추출수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추출수는 제1 배관(P1)을 따라 커피 추출기(300)로 공급된다.The extracted water stored in the extraction
이를 위해 제1 배관(P1)에는 추출수를 커피 추출기(300)로 공급하기 위한 추출수 이송펌프(210)가 마련된다.To this end, the first pipe P1 is provided with an extracted
추출수 이송펌프(210)는 추출수로 후술할 커피 추출기(300)에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을 가압하는 동력을 제공한다.The extraction
그리고, 추출수가 제1 배관(P1)을 따라 흐르는 동안, 추출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해 제1 배관(P1)에는 추출수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230)가 마련된다.And, while the extracted water flows along the first pipe P1, the first pipe P1 is provided with a
제1 필터(230)를 거친 추출수는 커피 추출기(300)에 공급된다.The extracted water through the
본 실시예에서 커피 추출기(300)는 추출수 저장탱크(200)로부터 추출수를 공급받아 수용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을 가압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커피 추출기(300)는 추출수 저장탱크(200) 및 제1 배관(P1)에 연통되게 연결된다.The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d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기(300)는 분쇄된 커피원두(C)들이 수용되며 측부에 추출수가 공급되는 제1 추출수 공급유로(311a)를 구비한 몸체부(310)와, 몸체부(3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추출수가 공급되는 제2 추출수 공급유로(331a)를 구비한 상부덮개(330)와, 몸체부(3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추출수가 공급되는 제3 추출수 공급유로(351a)를 구비한 하부덮개(3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nd FIG. 3A to FIG. 3D, the
그리고, 상부덮개(330)와 몸체부(310) 사이에는 분리망(370)이 개재되고, 하부덮개(350)와 몸체부(310) 사이에는 받침망(390)이 개재된다.A
본 실시예에서 분리망(370)과 받침망(390)은 각각 몸체부(310)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에 복수의 홀이 균일하게 분포되게 형성하거나, 메쉬타입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여기서, 제1 추출수 공급유로(311a)와 제2 추출수 공급유로(331a) 및 제3 추출수 공급유로(351a)는 제1 배관(P1)에 연통되게 연결된다.Here, the first extracted
그리고, 추출수 저장탱크(200)에서 저장된 추출수는 제1 배관(P1)을 따라 흐르면서 제1 배관(P1)에서 분기된 제1 추출수 공급관(311)에 연통된 제1 추출수 공급유로(311a)와, 제1 배관(P1)에서 분기된 제2 추출수 공급관(331)에 연통된 제2 추출수 공급유로(331a) 및 제1 배관(P1)에서 분기된 제3 추출수 공급관(351)에 연통된 제3 추출수 공급유로(351a)를 따라 흘러 커피 추출기(300)(구체적으로, 몸체부(310))에 공급된다.The extracted water stored in the extraction
한편, 추출수가 열수인 경우에, 제1 배관(P1)을 따라 최초로 흐르는 추출수는 제1 배관(P1)에 의해 냉각되므로 커피 추출기(300)에 공급되는 추출수의 온도가 소정온도(90 ~ 100 ℃)에 도달되기 전에는 제1 배관(P1)에 마련된 배출밸브(V)를 개방하여 추출수를 외부로 배출한다.The extracted water flowing first along the first pipe P1 is cooled by the first pipe P1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ed water supplied to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310)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의 평균입자 크기는 1.0mm ~ 1.8mm 정도의 크기이고 체적부피는 28% ~ 36%에 해당된다.In this embodiment,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ground coffee beans C contained in the
분쇄된 커피원두(C)들의 평균 입자크기가 1.0mm ~ 1.8mm보다 작을 경우에는 추출수 이동을 방해하여 커피액 추출량이 적어지며, 1.0mm ~ 1.8mm보다 클 경우에는 분쇄된 커피원두(C)들을 가압하는데 필요한 압력이 발생되지 않아 커피 추출액을 얻기 어렵다.Whe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ground coffee beans (C) is smaller than 1.0 mm to 1.8 mm, the extraction amount of the coffee beans is decreased due to disturbance of the extracted water. When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larger than 1.0 mm to 1.8 mm, It is difficult to obtain a coffee extract.
도 3a 내지 도 3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기(300)는 제1 추출수 공급유로(311a)와 제2 추출수 공급유로(331a) 및 제3 추출수 공급유로(351a)에 순차로 공급된 추출수에 의해 커피액을 추출한다.3A to 3D, the
도 3a 내지 도 3d에서는 제2 추출수 공급유로(331a)와 제1 커피액 배출유로(333a)가 동일하게 도시되었으나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3 추출수 공급유로(351a)와 제2 커피액 배출유로(353a)가 동일하게 도시되었으나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3A to 3D, the second extraction water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D.
본 실시예에서는 분쇄된 커피원두(C) 200kg 당 추출수 2000ℓ를 투입하여 3.0브릭스(brix) 이상의 농도를 갖는 커피액을 추출하는 공정을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a process of extracting a coffee liquid having a concentration of 3.0 brix or more by introducing 2000 liters of extraction per 200 kg of ground coffee beans (C) will be described.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피 추출기(300)의 몸체부(310)에 분쇄된 커피원두(C)들을 200kg 채운다.As shown in FIG. 3A, the
그리고,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310)의 측부에 마련된 제1 추출수 공급유로(311a)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몸체부(310)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이 몸체부(310)의 상부와 하부로 분리이동되고 상호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몸체부(310)에서 상부와 하부로 분리이동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은 추출수에 의해 가압되어 커피액이 추출된다.3B, the extracted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extracted
구체적으로, 몸체부(310)의 측부에 마련된 제1 추출수 공급유로(311a)에 추출수가 900ℓ공급되고, 추출수에 의해 분쇄된 커피원두(C)들은 몸체부(310)의 상부와 하부로 분리이동되고 가압되며, 추출수의 가압에 의해 추출된 커피액은 몸체부(310)의 상부덮개(330)와 하부덮개(350)에 각각 마련된 제1 커피액 배출유로(333a)와 제2 커피액 배출유로(353a)를 통해 일정액 배출된다. 이때, 추출수에 의한 몸체부(310)의 내압은 8 ~ 9kgf/cm2로 유지된다.Specifically, 900 l of extraction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extraction water
그리고, 분쇄된 커피원두(C)들이 몸체부(310)의 내부에서 추출수에 의해 상부와 하부로 분리 이동됨에 따라 분쇄된 커피원두(C)들 중 크기가 작은 미세입자들도 몸체부(310)의 상부와 하부로 고르게 분포된다.As the ground coffee beans C are separated and moved to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by the extracted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추출수 공급유로(311a)는 몸체부(310)의 외벽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제1 추출수 공급유로(311a)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first extraction
또한,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310)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은 자중에 의해 압착되므로 제1 추출수 공급유로(311a)는 몸체부(310)의 하단을 기준으로 4/10에 해당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pulverized coffee beans C received in the
그리고,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310)의 상부에 마련된 제2 추출수 공급유로(331a)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몸체부(310)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이 몸체부(310)의 하부로 이동되고 상호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몸체부(310)에서 하부로 이동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은 추출수에 의해 가압되어 커피액이 추출된다.3C, the extracted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extracted water
구체적으로, 상부덮개(330)에 마련된 제2 추출수 공급유로(331a)에 추출수가 300ℓ공급되고, 추출수에 의해 몸체부(310)의 상부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은 몸체부(310)의 하부로 이동되고 가압되며, 추출수의 가압에 의해 추출된 커피액은 몸체부(310)의 하부덮개(350)에 마련된 제2 커피액 배출유로(353a)를 통해 일정액 배출된다. 이때, 제2 추출수 공급유로(331a)에 공급되는 추출수는 분리망(370)에 균일하게 분포된 복수의 홀들에 의해 몸체부(3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고르게 유입된다. 이때 추출수에 의한 몸체부(310)의 내압은 16 ~ 18kgf/cm2로 해당되나 후술할 바이패스유로(317a)에 의해 몸체부(310)의 내압은 16kgf/cm2 이하로 유지된다.Specifically, 300 l of extraction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extraction
또한 몸체부(310)의 상부에 위치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이 몸체부(310)의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분쇄된 커피원두(C)들 중 크기가 작은 미세입자들도 몸체부(310)의 하부로 이동되며 후술할 몸체부(3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추출수를 공급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경우에 추출된 커피액에 분쇄된 커피원두(C)들 중 크기가 작은 미세입자들이 포함되는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As the ground coffee beans C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 추출수 공급유로(331a)는 상부덮개(33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제2 추출수 공급유로(331a)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second extraction
그리고, 도 3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310)의 하부에 마련된 제3 추출수 공급유로(351a)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몸체부(310)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을 상부로 이동시키고 가압하여 커피액을 추출한다.3D, the extracted water is supplied to the third extraction
구체적으로, 하부덮개(350)에 마련된 제3 추출수 공급유로(351a)에 추출수가 800ℓ공급되고, 추출수에 의해 몸체부(310)의 하부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은 몸체부(310)의 상부로 이동되고 가압되며, 추출수의 가압에 의해 추출된 커피액은 몸체부(310)의 상부덮개(330)에 마련된 제1 커피액 배출유로(333a)를 통해 일정액 배출된다. 이때, 제3 추출수 공급유로(351a)에 공급되는 추출수는 받침망(390)에 균일하게 분포된 복수의 홀들에 의해 몸체부(31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고르게 유입되고, 추출수에 의한 몸체부(310)의 내압은 12 ~ 14kgf/cm2로 유지된다.More specifically, 800 L of extraction water is supplied to the third extract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3 추출수 공급유로(351a)는 하부덮개(35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제3 추출수 공급유로(351a)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third extraction
그리고, 제3 추출수 공급유로(351a)를 통해 추출된 커피액은 제1 커피액 배출유로(333a)를 통해 배출된다.
The coffee liquid extracted through the third extracted water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액 추출공정은 순차로 몸체부(310)의 측부에 마련된 제1 추출수 공급유로(311a)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분쇄된 커피원두(C)들을 몸체부(310)의 상부와 하부로 분리이동시켜 커피액을 추출하고, 몸체부(310)의 상부에 마련된 제2 추출수 공급유로(331a)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분쇄된 커피원두(C)들을 몸체부(310)의 하부로 이동시켜 커피액을 추출하며, 몸체부(310)의 하부에 마련된 제3 추출수 공급유로(351a)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분쇄된 커피원두(C)들을 몸체부(310)의 상부로 이동시켜 커피액을 추출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ffee liquid extrac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raction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extraction water
이처럼, 몸체부(310)의 측부, 상부 및 하부에 순차로 추출수를 공급하여 분쇄된 커피원두(C)들을 몸체부(310)의 상부와 하부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분쇄된 커피원두(C)들이 몸체부(310)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므로 추출수에 의한 몸체부(310) 내부의 압력분포도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어 커피액 추출이 용이하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extracted coffee beans C are mov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즉, 본 실시예에서는 순차로 몸체부(310)의 측부, 상부 및 하부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몸체부(310)의 내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을 추출수로 충분히 적셔주고 분쇄된 커피원두(C)들을 몸체부(31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므로 분쇄된 커피원두(C)들에 포함된 미세입자들을 몸체부(310)의 내부에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racted water is supplied to the sid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따라서, 몸체부(310)의 내부 압력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커피액 추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몸체부(310) 내에서 압축되는 분쇄된 커피원두(C)들의 압축률이 종전의 종전의 10 ~ 15%에서 20 ~ 25%로 향상되어 추출되는 커피액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uniformly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310)에 분쇄된 커피원두(C)들이 균일하게 분포되므로 추출수를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어 고농도의 커피액을 추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coffee ground beans C ground in the
한편, 추출수에 의해 몸체부(310)의 내부압력이 소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추출수 이동을 방해하여 몸체부(310)의 내부로 추출수 공급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몸체부(310)의 내부압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기(300)는 추출수에 의해 몸체부(310)의 내부압력이 소정압력(16 kgf/cm2)을 초과하는 경우에 몸체부(310)의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부덮개(330)에 마련되는 바이패스유로(317a)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특히, 제2 추출수 공급유로(331a)를 통해 공급되는 추출수에 의해 몸체부(310)의 내부압력이 소정압력(16 kgf/cm2)을 초과하는 경우에 추출수가 바이패스유로(337a)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어 몸체부(310)의 내압을 소정압력(16 kgf/cm2)이하로 유지한다.Particularly,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상기와 같이, 커피 추출기(300)에서 추출된 커피액은 거품을 함유하고 있으며, 거품에는 커피 고유의 향을 느끼게 하는 아로마 성분이 포함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ffee liquid extracted from the
그러나, 종래에는 커피액을 추출하는 공정 중 발생되는 거품을 분리하여 배출하였으므로 추출된 커피액에서 커피 고유의 향이 많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since the bubble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fragrance inherent in the coffee is lost in the extracted coffee liqui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시스템(100)은 커피 고유의 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커피 고유의 향을 느끼게 하는 아로마 성분을 포함하는 기상의 커피향과 액상의 커피액을 분리하고 혼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피 추출기(300)에서 추출된 거품을 함유한 커피액으로부터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400)를 포함한다.Therefore,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기(400)는 커피 추출기(300)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 배관(P2)에 연결되며, 거품이 함유된 커피액을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The gas-
제1 커피액 배출유로(333a) 및 제2 커피액 배출유로(353a)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액은 제2 배관(P2)을 따라 기액 분리기(400)로 공급된다.The coffe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coffee
그리고, 기액 분리기(400)에서 분리된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은 냉각되어 후술할 밸런스탱크(500)로 공급된 후 혼합된다. 이는 커피 고유의 향을 느끼게 하는 아로마 성분을 포함하는 기상의 커피향을 냉각하고 신속하게 응축시켜 커피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liquid coffee liquid separated in the gas-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시스템(100)은 기액 분리기(400)와 밸런스탱크(500) 사이에 마련되어 기액 분리기(400)에서 분리된 기상의 커피향을 냉각하는 제1 냉각기(410)를 더 포함한다.Accordingly,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시스템(100)은 액상의 커피액에 더 많은 냉각된 기상의 커피향이 용해 및 혼합되도록 기액 분리기(400)와 밸런스탱크(500) 사이에 마련되어 기액 분리기(400)에서 분리된 액상의 커피액을 냉각하는 제2 냉각기(43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제1 냉각기(410)와 제2 냉각기(430)는 각각 기액 분리기(400)와 밸런스탱크(500)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제1 냉각기(410)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된 기상의 커피향과 제2 냉각기(430)에 의해 냉각된 액상의 커피액은 밸런스탱크(500)로 유입되어 혼합된다.The
밸런스탱크(500)에 채워진 혼합된 커피액은 추출액 이송펌프(510)에 의해 미세거름망을 포함하는 제2 필터(530)와 메시필터를 포함하는 제3 필터(550)를 거쳐 열교환기(600)로 이송된 후 냉각된다.The mixed coffee liquid filled in the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기(600)로 유입된 커피액은 1차로 16 ~ 20℃ 바람직하게는 18℃ 온도를 갖는 냉각수로 1차냉각되고, 2 ~ 6 ℃ 바람직하게는 4℃온도를 갖는 냉각수로 2차 급속냉각되어 커피의 맛과 향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ffee liquid flowing into the
그리고, 열교환기(600)에서 냉각된 커피액은 커피액 저장탱크(700)로 이송되어 저장된다.The coffee liquid cooled in the heat exchanger (600) is transferred to and stored in the coffee liquid storage tank (700).
한편, 커피 추출공정이 완료된 경우에, 커피 추출기(300)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은 몸체부(310)에서 분리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ground coffee beans C contained in the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310)에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을 분리배출하는 공정은 커피 추출기(300)의 상부덮개(330)에 마련된 공기 공급유로(335a)를 통해 건조공기를 몸체부(310)의 내부에 공급한다.4,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ground coffee beans C from the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공기 공급관(335)은 제2 배관(P2)에서 분기되고 공기 공급유로(335a)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도 3a 내지 도 3e에서는 제2 추출수 공급유로(331a)와 제1 커피액 배출유로(333a) 및 공기 공급유로(335a)가 동일하게 도시되었으나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3A to 3E, the second extraction
몸체부(310)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은 몸체부(310)의 내부에 유입된 건조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그리고, 건조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은 하부덮개(350)를 몸체부(310)에서 분리한 후 배출된다.The ground coffee beans C contained in the
이처럼, 커피 추출공정을 완료한 후 커피 추출기(300)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원두(C)들을 건조하여 분리배출함으로써, 커피 추출공정 후 발생될 수 있는 침출수 발생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coffee extracting process is completed, the ground coffee beans C contained i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커피 추출시스템 200: 추출수 저장탱크
300: 커피 추출기 310: 몸체부
311a: 제1 추출수 공급유로 330: 상부덮개
331a: 제2 추출수 공급유로 333a: 제1 커피액 배출유로
335a: 공기 공급유로 337a: 바이패스유로
350: 하부덮개 351a: 제3 추출수 공급유로
353a: 제2 커피액 배출유로 400: 기액 분리기
410: 제1 냉각기 430: 제2 냉각기
500: 밸런스탱크 600: 열교환기
700: 커피액 저장탱크100: Coffee extraction system 200: Extracted water storage tank
300: coffee extractor 310: body part
311a: First extraction water supply flow passage 330:
331a: second extracted
335a:
350:
353a: second coffee liquid discharge duct 400: gas-liquid separator
410: first cooler 430: second cooler
500: balance tank 600: heat exchanger
700: Coffee tank
Claims (9)
분쇄된 커피원두들이 수용되며, 상기 추출수 저장탱크로부터 추출수를 공급받아 커피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기;
상기 커피 추출기에 연결되며, 상기 커피 추출기에서 추출된 거품을 함유한 커피액으로부터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 및
상기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이 냉각되어 유입되는 밸런스탱크를 포함하는 커피향을 유지하는 커피 추출시스템.An extraction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extraction water;
A coffee extractor for receiving the pulverized coffee beans and extracting the coffee liquor from the extracted water storage tank;
A gas-liquid separator connected to the coffee extractor for separating the liquid coffee liquid and the vapor-phase coffee liquid from the coffee liquid containing the foam extracted from the coffee extractor; And
And a balance tank in which a liquid coffee liquid separat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and a gaseous coffee aroma are cooled and introduced.
상기 기액 분리기와 상기 밸런스탱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기상의 커피향을 냉각하는 제1 냉각기; 및
상기 기액 분리기와 상기 밸런스탱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상의 커피액을 냉각하는 제2 냉각기를 더 포함하는 커피향을 유지하는 커피 추출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oler provided between the gas-liquid separator and the balance tank for cooling the gaseous coffee aroma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And
And a second cooler provided between the gas-liquid separator and the balance tank for cooling the liquid coffee liquid separat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상기 밸런스탱크에 연결되며,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이 혼합된 커피액을 냉각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혼합된 커피액을 저장하는 커피액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는 커피액과 커피향을 분리하는 커피 추출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balance tank for cooling the coffee liquid mixed with the liquid coffee liquid and the gaseous coffee flavor; And
And a coffee liquid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and storing a mixed coffee liquid cooled in the heat exchanger.
상기 커피 추출기는,
분쇄된 커피원두들이 수용되되, 상기 추출수 저장탱크에 연통되며 측부에 추출수가 공급되는 제1 추출수 공급유로를 구비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추출수 저장탱크에 연통되며 추출수가 공급되는 제2 추출수 공급유로와 추출된 커피액이 배출되는 제1 커피액 배출유로를 구비한 상부덮개;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추출수 저장탱크에 연통되며 추출수가 공급되는 제3 추출수 공급유로와 추출된 커피액이 배출되는 제2 커피액 배출유로를 구비한 하부덮개를 포함하는 커피향을 유지하는 커피 추출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ffee extractor comprises:
A body portion having a first extraction water supply flow passage for receiving the pulverized coffee beans and communicating with the extraction water storage tank and supplying extraction water to the side portion;
An upp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upper cover including a second extraction water supply channel communicated with the extraction water storage tank and supplied with extraction water, and a first coffee liquid discharge channel through which the extracted coffee liquid is discharged; And
And a lower cover which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has a third extraction liquid supply passage communicated with the extraction water storage tank and supplied with extraction water and a second coffee liquid discharge 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extracted coffee liquid is discharged, Coffee extracting system.
상기 상부덮개는,
추출수에 의해 가해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바이패스유로를 더 포함하는 커피향을 유지하는 커피 추출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pper cover comprises:
And a bypass flow path for regula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ody portion applied by the extraction water.
상기 커피 추출기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커피 추출기에서 추출된 거품이 함유된 커피액을 기액 분리기에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분리하는 단계; 및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분리한 경우에,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각각 냉각하고 밸런스탱크에 공급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피 추출방법.Receiving the ground coffee beans in a coffee extractor;
Supplying extraction water to the coffee extractor to extract a coffee liquid;
Supplying a coffee liquid containing the foam extracted from the coffee extractor to a gas-liquid separator to separate a liquid coffee liquid and a gaseous coffee aroma; And
Wherein the liquid coffee liquid and the gaseous coffee aroma are respectively cooled and supplied to a balance tank and mixed when the liquid coffee liquid and the gaseous coffee aroma are separated.
상기 밸런스탱크에서 혼합된 액상의 커피액과 기상의 커피향을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피 추출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oling and storing the liquid liquid coffee mixture and the gaseous coffee flavor mixed in the balance tank through a heat exchanger.
상기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커피 추출기의 측부에 마련된 제1 추출수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커피 추출기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상기 커피 추출기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원두들을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이동시키고 가압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커피 추출기의 상부에 마련된 제2 추출수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커피 추출기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상기 커피 추출기의 상부로 이동된 분쇄된 커피원두들을 상기 커피 추출기의 하부로 이동시키고 가압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피 추출기의 하부에 마련된 제3 추출수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커피 추출기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상기 커피 추출기의 하부로 이동된 분쇄된 커피원두들을 상기 커피 추출기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가압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of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may include:
Supplying extraction water to the coffee extractor through a first extraction water supply channel provided on a side of the coffee extractor, separating the ground coffee beans stored in the coffee extractor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
The extraction water is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or through the second extraction water supply channel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or, the ground coffee bean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or are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or, Extracting; And
The extracted water is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or through the third extraction water supply channel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ffee extractor, the ground coffee beans mov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ffee extractor are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ffee extractor, ≪ / RTI >
상기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추출수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추출수에 의해 상기 커피 추출기의 내부압력이 소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커피 추출기에 마련된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상기 커피 추출기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피 추출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may include:
Adjus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ffee extractor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provided in the coffee extractor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ffee extractor exceeds a predetermined pressure by the extraction water supplied through the third extraction water supply flow path Including more coffee extraction methods.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0130A KR101916322B1 (en) | 2015-08-26 | 2015-08-26 | Coffee extracting system of maintaining coffee aroma and method of extracting coffee using thereof |
US15/755,323 US10646066B2 (en) | 2015-08-26 | 2016-08-25 | Coffee extraction system and coffee extraction method using same |
PCT/KR2016/009423 WO2017034339A1 (en) | 2015-08-26 | 2016-08-25 | Coffee extraction system and coffee extraction method using same |
CN201680012717.5A CN107427145B (en) | 2015-08-26 | 2016-08-25 | Coffee extraction system and the coffee extracted method for us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0130A KR101916322B1 (en) | 2015-08-26 | 2015-08-26 | Coffee extracting system of maintaining coffee aroma and method of extracting coffee using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4742A KR20170024742A (en) | 2017-03-08 |
KR101916322B1 true KR101916322B1 (en) | 2018-11-07 |
Family
ID=5840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0130A Active KR101916322B1 (en) | 2015-08-26 | 2015-08-26 | Coffee extracting system of maintaining coffee aroma and method of extracting coffee us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632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6927A (en) | 2022-03-21 | 2023-10-04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Coffee selection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coffee aroma, and coffee auto ex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6164B1 (en) * | 2018-04-17 | 2020-03-02 | 매일유업 주식회사 | Waterbrew coffee,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the same |
KR102530326B1 (en) * | 2022-08-24 | 2023-05-09 | 넥스트바이오(주) |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extraction components and concentration and extracting method thereof |
CN115736638A (en) * | 2022-11-03 | 2023-03-07 | 宁波凯波集团有限公司 | Coffee extraction method and waterway system of bidirectional coffee extraction machin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6015B1 (en) | 2007-06-20 | 2008-01-21 | 매일유업주식회사 | Espresso Coffee Extractor |
WO2012098725A1 (en) | 2011-01-17 | 2012-07-26 |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Beverage extract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6017B1 (en) | 2007-06-20 | 2008-01-21 | 매일유업주식회사 | How to Espresso Coffee |
-
2015
- 2015-08-26 KR KR1020150120130A patent/KR10191632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6015B1 (en) | 2007-06-20 | 2008-01-21 | 매일유업주식회사 | Espresso Coffee Extractor |
WO2012098725A1 (en) | 2011-01-17 | 2012-07-26 |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Beverage extraction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6927A (en) | 2022-03-21 | 2023-10-04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Coffee selection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coffee aroma, and coffee auto ex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4742A (en) | 2017-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427145B (en) | Coffee extraction system and the coffee extracted method for using it | |
KR101916322B1 (en) | Coffee extracting system of maintaining coffee aroma and method of extracting coffee using thereof | |
US7875304B2 (en) | Method of extracting a consumable material | |
CN111589315B (en) | A coffee aroma wine preparation system and process | |
US4282259A (en) | Process for preparing an extract of hops | |
CN1034310C (en) | Process for preparation of soluble coffee | |
KR101696190B1 (en) | Apparatus for rapidly extracting dutch coffee using pressure control method | |
KR101916319B1 (en) | High efficiently coffee extracting system and method of extracting coffee using the same | |
KR20230093289A (en) | extraction cell | |
US1039065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Dutch coffee | |
JP2003289807A (en) | Method for extracting raw material for canned coffee beverage | |
JP4751677B2 (en) | Extraction method of palatability materials | |
EP0001850A2 (en) | Continuous desorp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aroma and flavour concentrate | |
US11974585B2 (en) | Method of beverage extraction | |
KR2022011511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ffee | |
CN119365082A (en) | Extraction unit | |
CN220986106U (en) | Production device for fresh extracted coffee | |
KR100546054B1 (en) | Barley beverage containing barley extract using the method of preparing barley extract us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
JP4486797B2 (en) | Extraction device | |
KR20020030883A (en) | A process for preparing a tea drawn by distilled water and its apparatus | |
KR20190056641A (en) | cold coffee extraction concentration tube | |
CN107743368A (en) | Method for giving fragrance for change from a certain amount of coffee particles being such as present in caf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7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8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8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