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118B1 - Method for manufacturing airbag housing for vehicl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airbag housing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6118B1 KR101916118B1 KR1020160098771A KR20160098771A KR101916118B1 KR 101916118 B1 KR101916118 B1 KR 101916118B1 KR 1020160098771 A KR1020160098771 A KR 1020160098771A KR 20160098771 A KR20160098771 A KR 20160098771A KR 101916118 B1 KR101916118 B1 KR 1019161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 housing
- fiber
- main body
- composite mater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1199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1431 Long-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30 Fibre-reinforced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1 fibre-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0 propel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67 Polyisobut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2—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combinations of reinforcements, e.g. non-specified reinforcements, fibrous reinforcing inserts and fillers, e.g. particulate filler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or non-filled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2—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combinations of reinforcements, e.g. non-specified reinforcements, fibrous reinforcing inserts and fillers, e.g. particulate filler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or non-filled layers
- B29C70/021—Combinations of fibrous reinforcement and non-fibrous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2—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short lengths, e.g. chopped filaments, staple fibres or brist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7—Reaction canist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178—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제조 방법은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압축하여 에어백을 접은 상태로 수용하는 수용부를 한정하도록 일면이 개구된 하우징 본체를 형성하는 압축 성형 단계; 상기 하우징 본체를 사출 금형 내에 인서트 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 본체가 인서트 된 상기 사출 금형 내에 상기 에어백 본체를 형성하는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보다 낮은 강도를 갖는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주입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바닥부의 외면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측부의 외면을 감싸는 보강 구조물을 형성하는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에어백 하우징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에어백 전개 시 가해지는 충격이나 고온, 저온의 사용 환경에 적절한 물성확보가 가능하고, 에어백 하우징의 제조가 용이하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bag housing of an automobil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bag housing for an automobile includes heating a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A compression molding step of compressing the heated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to form a housing main body having one side opened to define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airbag in a folded state; Inserting the housing main body into an injection mold; And a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having a strength lower than that of the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forming the air-bag main body in the injection mold having the housing main body inserted therein,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main body and the housing main body, And an injection molding step of forming a reinforcing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of the body.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airbag housing, to secure appropriate physical properties for the impact applied at the time of deploying the airbag, at high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and to manufacture the airbag housing easi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bag housing for a vehicle using a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material.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설정 속도 이상의 주행 중인 자동차의 충돌 시,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도록 자동차에 장착된다. Generally, the airbag is mounted on the vehicle to protect the passenger from impact,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f the running vehicle over a set speed.
센서에 의해 충돌이 감지되면 작동기체장치가 폭발되고, 폭발 가스로 인해 에어백이 순간적으로 팽창한다. 이때, 충돌로부터 에어백이 완전히 작동되는 시간은 매우 짧다. 또한 에어백은 고체의 급격한 연소로 발생되는 고압가스 혹은 고압가스 용기에 저장된 기체를 사용한다. When a collision is detected by the sensor, the working gas appliance explodes, and the explosive gas instantaneously expands the airbag. At this time, the time for fully operating the airbag from collision is very short. In addition, air bags use gas stored in a high-pressure gas container or a high-pressure gas container which is generated by the rapid combustion of a solid.
에어백 장착 및 작동을 위한 에어백 시스템은 센서, 배터리, 진단장치를 포함한 충격 감지 모듈 및 에어백 모듈로 이루어진다. An airbag system for airbag mounting and operation comprises a sensor, a battery, an impact sensing module including a diagnostic device, and an airbag module.
에어백 하우징은 그 내부에 에어백을 접은 상태로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자 형상을 가지며, 에어백 하우징의 개구에는 에어백 도어가 결합된다. 에어백 하우징 및 에어백 도어는 스냅 핏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스냅 핏 방식을 따르면, 예를 들면, 에어백 하우징의 일측에는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에어백 도어의 지주부에 걸림홀이 형성되어 에어백 하우징의 걸림후크가 에어백 도어의 걸림홀에 걸린다. The airbag housing has a box shape whose one side is opened to receive the airbag in a folded state, and an airbag door is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airbag housing. It is known that an airbag housing and an airbag door are coupled by a snap fit manner. According to the snap-fit method, for example, a hook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bag housing, and a latching hole is formed in the pawl portion of the airbag door, so that the latching hook of the airbag housing is caught in the latching hole of the airbag door.
에어백 하우징은 에어백 전개 시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를 견딜 수 있는 물성을 보유한 소재로 형성될 것이 요구된다. 또한 에어백은 고온 다습한 사용 환경 또는 저온의 사용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적절한 내구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것이 요구된다. The airbag housing is required to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physical properties capable of withstanding the impact energy generated when the airbag is deployed. Further, the airbag is required to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ppropriate durability even when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or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예를 들면, 인플레이터내의 압축가스 추진제가 장시간 고온, 다습한 환경에 노출될 경우 압축 가스 추진제 성능이 저하되어 과도한 내부 압력이 생성되고, 에어백 전개 시 에어백 하우징이 파열되어 승객이 부상을 입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mpressed gas propellant in the inflator is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for a long time, the performance of the compressed gas propellant is lowered to generate excessive internal pressure, and the airbag housing may be ruptured upon deployment of the airbag, resulting in injury to the passenger.
에어백 전개 시, 에어백 하우징의 결합부, 예컨대, 에어백 도어가 결합된 걸림후크 부위가 취약하여 에어백 전개 시 걸림후크 부위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되어 승객이 부상을 입을 수 있다.When the airbag is deployed,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airbag housing, for example, the engagement hook portion to which the airbag door is coupled, is weak, so that the engagement hook portion may be cracked or broken during deployment of the airbag.
에어백 전개 시, 에어백 하우징이 변형되어 에어백 하우징의 개구가 벌어질 경우, 에어백 하우징이 고정된 자동차의 주변 부품, 예컨대,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승객은 부상을 입을 수 있다.When the airbag housing is deformed and the opening of the airbag housing is opened when the airbag is deployed, peripheral parts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instrument panel, to which the airbag housing is fixed are damaged. In this case, the passenger may be injured.
따라서, 일반적으로 에어백 하우징은 금속성 복합재로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물성을 확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금속성 복합재로 형성할 경우 자동차의 무게를 가중시키고, 그 제작 공정도 매우 번거롭다. Therefore, in general, the airbag housing is formed of a metallic composite material to secure the above-mentioned physical properties. However, when the metallic composite material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of the automobile is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very troublesome.
최근 자동차 산업은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저감과 관련된 각종 규제 증가 및 연료 효율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차량 경량화에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automobile industry has undergone a lo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o reduce the weight of the vehicle as the regulations on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and the demand for fuel efficiency have increased.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하우징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에어백 전개 시 가해지는 충격이나 고온, 저온의 사용 환경에 적절한 물성확보가 가능하고, 제조가 용이한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bag housing for an automobile which is lightweight and which is capable of securing appropriate physical properties for use in high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environments, and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airbag hous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압축하여 에어백을 접은 상태로 수용하는 수용부를 한정하도록 일면이 개구된 하우징 본체를 형성하는 압축 성형 단계; 상기 하우징 본체를 사출 금형 내에 인서트 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 본체가 인서트 된 상기 사출 금형 내에 상기 에어백 본체를 형성하는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보다 낮은 강도를 갖는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주입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바닥부의 외면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측부의 외면을 감싸는 보강 구조물을 형성하는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A compression molding step of compressing the heated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to form a housing main body having one side opened to define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airbag in a folded state; Inserting the housing main body into an injection mold; And a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having a strength lower than that of the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forming the airbag body in the injection mold having the housing body inserted therein,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body and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body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bag housing for an automobile is provided, including an injection molding step of forming a reinforcing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상기 하우징 본체는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 구조물은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body is formed of a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material; The reinforcing structure may be formed of a 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composite material or a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composite material.
상기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는 50~70중량%의 연속섬유와 30~50중량%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may include 50 to 70% by weight of continuous fibers and 30 to 50% by weight of thermoplastic plastics.
상기 연속섬유는 유리섬유, 카본섬유, 네츄럴 섬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폴라아미드,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continuous fiber comprises any one of glass fiber, carbon fiber and natural fiber; The thermoplastic resin may include any one of polyamide and polypropylene.
상기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20~50중량%의 장섬유와, 50~80중량%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s may include 20 to 50% by weight of long fibers and 50 to 80% by weight of thermoplastic plastics.
상기 장섬유는 유리섬유, 카본섬유, 내츄럴 섬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폴리아미드와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ng fibers include any one of glass fiber, carbon fiber and natural fiber, and the thermoplastic plastic may include any one of polyamide and polypropylene.
상기 압축 성형단계에서, 상기 에어백 본체의 상기 측부와 일체로 후크 골격 및 마운팅 브라켓이 상기 에어백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사출 성형 단계에서, 상기 후크 골격을 감싸는 후크 보강부, 상기 마운팅 브라켓을 감싸는 브라켓 보강부,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측부의 상부 내면을 감싸는 내부 보강부가 상기 보강 구조물의 측부 보강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The hook structure and the mounting bracket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portion of the airbag body so as to protrude outward of the airbag body in the compression molding step, and in the injection molding step, the hook reinforcement portion that surrounds the hook skeleton, The inner brace surrounding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of the housing body may be injection molded together with the side reinforc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이용하여 에어백 하우징을 제조함에 따라 에어백 하우징의 무게를 줄이면서도 다양한 온도 범위의 사용 환경하에, 에어백 전개 시 가해지는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 확보가 가능한 에어백 하우징을 제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nufacturing the airbag housing using the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airbag housing and to maintain the strength enough to withstand the impact applied upon deployment of the airbag under various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air bag housing that can be secur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에어백 하우징을 압축 성형 및 사출 성형에 의해 2중층으로 형성하여 우수한 강도를 갖는 에어백 하우징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에어백 전개 시, 구조적으로 취약한 에어백 하우징의 후크부 및 마운팅부를 2중층의 구조로 제조하여, 에어백 전개 시 에어백 하우징의 후크부 및 마운팅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이 상해를 입는 것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bag housing can be formed into a double layer by compression molding and injection molding to produce an airbag housing having excellent strength. Particularly, when the airbag is deployed, the hook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tructurally weak airbag housing are made to have a double-layer structure so that the hook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of the airbag housing ar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during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에어백 하우징의 상부 개구측을 2중층으로 형성하여, 에어백 전개 시, 에어백 하우징의 개구측이 변형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하우징에 인접된 차량 내부 구조물, 예컨대,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에어백 도어 등이 파손되어 승객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opening side of the airbag housing can be formed as a double layer, so that the deformation of the opening side of the airbag housing during airbag deployment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adjacent to the airbag housing, for example, the instrument panel or the airbag door, can be damaged, thereby preventing the passenger from being inj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하우징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하우징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선Ⅴ-Ⅴ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선 Ⅵ-Ⅵ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하우징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하우징의 하우징 본체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를 가열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하우징 본체를 압축 성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하우징의 하우징 본체가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d는 도 8c의 하우징 본체를 사출 금형에 인서트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e는 본 발명의 하우징 본체를 금형에 인서트한 후 사출 성형된 하우징 본체 및 보강 구조물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passenger-sid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irbag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ior perspective view of an airbag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airbag hous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in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 airbag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heating a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housing main body of the airbag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main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ression molded.
8C is a view showing a completed state of the housing main body of the airbag hous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main body of FIG. 8C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mold.
FIG. 8E is a view showing an injection molded housing body and a reinforcing structure assembly after inserting the housing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mol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도면들에서, 참조 부호(U)는 에어백 하우징(100)의 개구측 방향을 의마하고, 참조부호 (L)는 에어백 하우징(100)의 개구측과 마주하는 에어백 하우징의 바닥측 방향을 나타낸다. In the drawings, reference character U denotes the opening side direction of the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100)은 조수석측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장착된다. 다른 실시 예로 에어백 하우징(100)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 또는 운전석측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에어백 하우징(100)은 에어백(3)을 접은 상태로 수용하도록 일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에어백 하우징(100)은 원통 혹은 사각통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에어백 하우징(100)은 직사각통 형상을 갖는다. 에어백 하우징(100)의 측벽 상부에는 복수의 후크부(101)가 구비된다. The
후크부(101)는 에어백 하우징(100)을 에어백 도어(10)와 결합시키도록 에어백 하우징(100)의 개구측 둘레에 형성된다. 후크부(101)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하는 에어백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에어백 하우징(100)은 하우징 본체(110)와 보강 구조물(130)을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110)는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예컨대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로 형성된다. The
보강 구조물(130)은 하우징 본체(110)를 사출 금형에 인서트 한 후, 하우징 본체(110)의 바닥부의 외면 및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사출재를 주입하여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보강 구조물(130)은 하우징 본체(110)보다 강도가 작은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 예컨대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또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로 형성되어 하우징 본체(110)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이와 같이 에어백 하우징(100)은 강도가 상이한 두 종류의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이용하여 2중층으로 형성됨에 따라, 무게를 감소시키면서도 우수한 비강성(Specific stiffness)과 비강도(specific strength)를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보강 구조물(130)은 하우징 본체(110)와 별도의 구조물로 제작되어 하우징 본체(110)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에어백 하우징(100)의 바닥부에는 인플레이터(6)가 설치되는 인플레이터 수용부(9)가 구비되고, 인플레이터 수용부(9)는 인플레이터(6)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인플레이터 수용부(9)는 에어백 하우징(100)의 하부로 돌출된 통형상일 수 있다. An
에어백(3)은 인플레이터(6)의 작동 시, 에어백 하우징(100)의 개구를 통하여 팽창 전개되도록 구비되고, 인플레이터(6)는 에어백(3)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인플레이터(6)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에어백(3)의 일부분은 인플레이터(6)와 연결된다. 인플레이터(6)는 에어백 하우징(100)의 개구측을 향하여 가스를 분출하여 에어백(3)을 팽창 전개시키도록 배치된다. 에어백(3)은 결합부재(8)를 통하여 에어백 하우징(100)의 바닥부에 결합된다. The
에어백 도어(10)는 하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에어백 도어(10)는 에어백 하우징(100)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에어백 하우징(100)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개구부를 갖는다. The
에어백 도어(10)는 에어백 하우징(100)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도어부(11), 도어부(11)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인스트루먼트패널(1)에 결합하는 하우징 루프(13), 및 도어부(11)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지주부(15)를 포함한다. The
에어백 도어(10)의 도어부(11)는 파열부(11a) 및 힌지부(11b)를 포함한다. 파열부(11a)는 에어백(3)의 팽창에 의해 파열되는 부분이고, 힌지부(11b)는 힌지 운동(hinge motion)에 따라 개방되는 도어부(11)의 힌지축이 되는 부분이다. The
에어백(3)의 팽창에 의해 에어백 도어(10)의 도어부(11)가 에어백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밀리면, 파열부(11a)가 퍄열된다. 도어부(11)는 파열부(11a)의 파열을 시작으로 힌지부(11b) 부근까지 절개되어 에어백(3)이 에어백 도어(10)의 외부로 팽창 전개되도록 한다. When the
에어백 도어(10)의 지주부(15)는 에어백 하우징(1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에어백 하우징(100)의 측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주부(15)는 에어백 하우징(100)의 후크(101)와 결합되도록 걸림홀(15a)이 형성된다.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하우징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하우징의 저부 사시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airbag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airbag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airbag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백 하우징(100)은 하우징 본체(110) 및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1,112,113,114) 및 바닥부(115)의 전체 외면과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1,112,113,114) 내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보강 구조물(130)을 포함한다. 2 to 4, the
하우징 본체(110)는 섬유 보강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 예컨대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이용하여 압축 성형(compression mold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보강 구조물(130)은 하우징 본체(110)를 인서트한 후 섬유 보강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로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하여 하우징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보강 구조물(130)을 하우징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The reinforcing
다른 실시 예로 보강 구조물(130)은 하우징 본체(110)와 분리된 제품으로 제작되어 하우징 본체(110)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reinforcing
하우징 본체(110)는 대략 일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부 공간(S)을 한정하고, 이러한 내부 공간(S)에 에어백(3, 도 1참조)이 접은 상태로 배치된다. The housing
하우징 본체(110)는 장변의 마주하는 두 측부(111,112) 및 장변의 두 측부(111,112)의 사이에 배치된 단변의 측부(113,114), 및 바닥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장변의 측부(111,112)의 상단에는 복수의 후크 골격(116)이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돌출된다. 단변의 측부(113,114)에는 마운팅 브라켓(118)이 하우징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마운팅 브라켓(118)은 에어백 하우징(100)을 자동차의 내부 구조물, 예를 들면 인스트루먼트 패널(1), 에어백 도어(10), 또는 카울 크로스 바 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 가능토록 한다. 마운팅 브라켓(118)은 결합부재, 예컨대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브라켓홀(118a)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하우징 본체(110)의 바닥부(115)의 중앙에는 인플레이터(6)와 연통하는 인플레이터홀(115a)과, 인플레이터홀(115a)의 주변에 형성되어 에어백(3)을 결합부재(8)를 통해 결합 가능토록 하는 체결홀(115b)이 형성된다.An
보강 구조물(130)은 하우징 본체(110)의 바닥부(115) 및 측부(111,112,113,114)의 전체 외면, 후크 골격(116) 및 마운팅 브라켓(118)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된다. 보강 구조물(130)은 하우징 본체(110)의 바닥부(115)에 대응하는 바닥 보강부(135) 및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1,112,113,114)에 대응하는 측부 보강부(131,132,133,134)를 포함한다. 보강 구조물(130)의 장변의 측부 보강부(131,132)에는 하우징 본체(110)의 후크 골격(116)을 감싸도록 형성된 후크 보강부(136)가 형성되고, 보강 구조물(130)의 단변의 측부 보강부(133,134)에는 하우징 본체(110)의 마운팅 브라켓(118)을 감싸도록 형성된 브라켓 보강부(138)를 포함한다. The reinforcing
이하 후크 보강부(136)에 감싸진 후크 골격(116) 부분을 “후크부(101)”라 칭하고, 브라켓 보강부(138)에 감싸진 마운팅 브라켓(118) 부분을 “마운팅부(103)”라 칭한다. The portion of the hooking
보강 구조물(130)은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1,112,113,114)의 내면을 일부 감싸는 내부 보강부(137)가 형성되어 후크 골격(116) 및 마운팅 브라켓(118)과 인접한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1,112,113,114)의 상부의 보강 강도를 증대시킨다. 내부 보강부(137)는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1,112,113,114)의 내면 상부를 둘러싸면서 보강하여 에어백 전개 시, 에어백 하우징(100)의 개구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백 하우징(110)과 연결된 부품, 예컨대, 인스트루먼트 패널(1) 또는 에어백 도어(10)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이에 더하여, 내부 보강부(137)는 후크부(101) 및 마운팅부(103)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후크부(101) 및 마운팅부(103)의 지지 강도를 증대시켜, 에어백 전개 시, 후크부(101) 및 마운팅부(103)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reinforcing
보강구조물(130)의 바닥 보강부(135) 및 측부 보강부(131,132,133,134)의 외면에는 보강 리브(139)가 형성되어 내구성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The reinforcing
보강 구조물(130)의 바닥 보강부(135)에는 하우징 본체(110)의 바닥부(115)의 인플레이터홀(115a)과 대응하는 인플레이터홀(135a)과 하우징 본체(110)의 바닥부(115)의 체결홀(115b)에 대응하는 체결홀(135b)이 형성된다. The
도 5는 도 3의 선Ⅴ-Ⅴ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in Fig.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후크 골격(116)은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1,112)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16a) 및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1,112)와 대략 직교하도록 경사부(116a)로부터 하우징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부(116b)를 포함한다. 경사부(116a) 및 연장부(116b)의 사이에는 단차부(116c)가 형성된다. 3 and 5, the
후크 골격(116)은 보강구조물(130)의 후크 보강부(136)를 통해 감싸진다. 후크 보강부(136)는 보강구조물(130)의 측부 보강부(131,132)로부터 후크 골격(116)의 경사부(116a)와 연장부(116b)를 따라 연장되어 후크 골격(116)을 감싼다. The
이때, 후크 골격(116)의 경사부(116a)측의 내면에 형성된 후크 보강부(136)의 내부형성부(136a)는 내부 보강부(137)와 연장되어 대략 직교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후크 골격(116)의 경사부(116a)를 지지하는 부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여 후크 골격(116)의 지지강도를 높일 수 있다. The inner forming
후크 골격(116)의 경사부(116a) 및 연장부(116b)의 사이의 단차부(116c)에 의해 하우징 본체(110)를 사출 금형에 인서트 후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로 사출 성형하고 응고시켜 보강 구조물(130)을 형성할 때,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보강 구조물(130)이 후크 골격(116)에 견고하게 접촉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housing
후크 보강부(136)의 외측에는 보강구조물(130)의 측부 보강부(131,132)와 대략 나란하게 돌출된 걸림부(136b)가 연장되어 에어백 도어(10)의 지주부(15)에 형성된 걸림홀(15a)에 걸린다(도 1 참조). A
후크 골격(116)의 경사부(116a)의 시작점 및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1,112)는 절곡부(111a, 112a)에 하우징 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D)만큼 단차를 가지며, 이 단차 부분에 내부 보강부(137)가 형성된다. 본원 발명을 따르면,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3,114)에도 실질적으로 절곡부(113a, 114a)가 형성되고 내부 보강부(137)는 하우징 본체(110)의 내면 상부 전체를 에워싼다(도 6 참조). The starting point of the
내부 보강부(137)는 보강구조물(130)의 측부 보강부(131,132,133,134)로부터 연장되어 에어백 본체(110)의 측부(111,112,113,114)의 내면으로 연장되어 에어백 팽창 시, 보강구조물(130)이 에어백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inner reinforcing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에어백 하우징(100)의 후크부(101)가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강도의 후크 골격(116)과, 후크 골격(116)의 주위를 감싸 후크 골격(116)의 강도를 보강하는 후크 보강부(136)로 이루어지고, 후크 보강부(136)의 내부 형성부(136a)와 연장되어 내부 보강부(137)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에어백 전개 시, 후크부(101)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6은 도 3의 선 Ⅵ-Ⅵ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in FIG.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 본체(110)의 단변의 측부(113,114)에는 외측으로 마운팅 브라켓(118)이 돌출된다. 마운팅 브라켓(118)은 브라켓홀(118a)이 형성된다. 마운팅 브라켓(118)은 하우징 본체(110)를 사출 금형에 인서트 한 후, 사출 성형하여 보강 구조물(130)을 형성할 때 보강 구조물(130)의 측부 보강부(133,134)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라켓 보강부(138)를 포함한다. 브라켓 보강부(138)에는 브라켓홀(118a)과 대응하는 홀(138a)이 형성된다. 3 and 6, a mounting
이러한 구성으로, 하우징 본체(110)와 보강구조물(130)이 일체화된 에어백 하우징(100)은 차량의 내부 구조물, 예컨대 인스트루먼트 패널(1), 에어백 도어(10), 또는 카울 크로스바 등에 도시되지 않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The
하우징 본체(110)는 기계적 강성이 우수하면서도 경량화가 가능한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 예컨대,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을 포함할 수 있다. The
하우징 본체(110)는 소정 중량%의 연속섬유와, 소정 중량%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 하우징 본체(110)는 50~70중량%의 연속섬유 및 30~50중량%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연속섬유는 유리섬유, 카본 섬유, 내츄럴 섬유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As the continuous fiber, any one of glass fiber, carbon fiber and natural fiber can be used.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는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에틸렌(polyethylent,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The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mide (PA),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isobutylene, and polyethyleneterephthalate can do. The thermoplastic plastic composite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polyamide or polypropylene.
일 예로, 하우징 본체(110)는 40중량%의 폴리아미드(PA)와 60중량%의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우징 본체(110)는 40중량%의 폴리프로필렌(PP)과 60중량%의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보강 구조물(130)은 하우징 본체(110)보다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보강 구조물(130)은 소정 중량%의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소정 중량%의 장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장섬유는 길이가 6mm에서 25mm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유리 섬유, 카본 섬유, 네츄럴 섬유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일 실시 예로, 보강 구조물(130)은 70중량%의 폴리아미드(PA)와 30중량%의 장섬유의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보강 구조물(130)은 60중량%의 폴리프로필렌(PP)과 40중량%의 장섬유의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보강 구조물(130)은 소정 중량%의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소정 중량%의 단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단섬유는 장섬유에 비하여 길이를 짧게 유지하는 것으로서, 유리 섬유, 카본 섬유, 네츄럴 섬유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하우징(100)의 보강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reinforcement action of th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충돌 시 제어장치(미도시)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해 충돌을 감지하면, 제어 장치에 의해서 인플레이터(6)가 동작된다. 인플레이터(6)가 동작되어 에어백(3)의 내부로 가스를 분출하면, 에어백(3)이 팽창되면서 에어백 도어(10)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상향 가압한다. 계속하여 에어백(3)의 팽창 압력에 의해 에어백 도어(10)의 파열부(11a)가 파열되어 에어백 도어(10)는 힌지부(11b)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에어백(3)은 에어백 하우징(100)으로부터 벗어나 승객을 향하여 팽창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4, when a control device (not shown) detects a collision based on a signal from the senso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에어백(3)이 순간적으로 팽창할 경우, 에어백 하우징(100)은 서로 다른 강도를 갖는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이용하여 2중층으로 형성됨에 따라 에어백 팽창 압력에 의해 파열되지 않고 충분히 견딜 수 있다. Whe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에어백 하우징(100)은 예컨대,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로 형성된 고강도의 하우징 본체(110) 및 하우징 본체(110)를 전체적으로 감싸며 하우징 본체(110)를 형성하는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 예를 들면,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로 형성된 보강 구조물(130)로 구성된다. 따라서 에어백(3) 팽창 시, 파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다. 여기서 보강 구조물(130)은 그 측부 보강부(131,132,133,134) 및 바닥 보강부(135)에 보강 리브(139)가 형성되어 강도가 보완된다. More specifically, the
본원 발명을 따르면, 에어백 하우징(100)은 우수한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의 하우징 본체(110)로 구성되어 에어백 하우징(100)의 무게를 감소시키면서 에어백 팽창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기본적인 내구성을 갖는다. 또한, 하우징 본체(110)의 외면에 장섬유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이용하여 보강구조물(130)을 일체로 형성하여 하우징 본체(110)를 전체적으로 강도 보강할 수 있으며, 보강구조물(130)은 추가적인 보강 구조, 즉 보강리브(139)를 포함하여 더욱 강화된 보강 구조를 이루어 에어백 하우징(100)의 강도를 보완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1,112,113,114)의 상부 내면에는 내부 보강부(137)가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하우징 본체(110)의 개구측 둘레 부분의 강도를 보강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에어백 팽창 시, 에어백 하우징(100)의 개구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어백 하우징(100)과 결합된 차량의 내부 구조물, 예컨대, 인스트루먼트패널(1) 또는 에어백 도어(10)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승객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inner reinforcing
내부 보강부(137)는 하우징 본체(110)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사출 성형된 보강구조물(130)이 하우징 본체(1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보강 구조물(130)이 하우징 본체(110)와 강도가 상이한 재질을 이용하여 하우징 본체(110)의 외면에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됨에 따라 에어백 팽창력에 보강구조물(130)이 에어백 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내부 보강부(137)가 보강구조물(130)의 측부 보강부(131,132,133,134)로부터 연장되어 에어백 본체(110)의 측부(111,112,113,114)의 내면으로 연장되어 보강구조물(130)이 에어백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inner reinforcing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백 하우징(100)은 하우징 본체(110)의 장변의 측부(111,112)의 상단에 후크 골격(116)이 하우징 본체(110)의 외측을 돌출되고, 후크 골격(116)를 전체적으로 에워싸도록 보강구조물(130)의 측부 보강부(131,132)로부터 연장된 후크 보강부(130)로 구성된 후크부(101). 이러한 구성으로 에어백 팽창 시 후크부(101)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이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된다. 후크 골격(116)은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1,112)로부터 일정 각도 경사지게 외측로 연장된 경사부(116a)를 포함하고, 후크 보강부(136)는 후크 골격(116)의 경사부(116a)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대략 직각 형태를 가지며 형성된 내부 형성부(136a)를 포함함에 따라 후크 골격(116)의 보강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여 보강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내부 형상부(136a)는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1,112,113,114) 내면을 에워싸는 내부 보강부(137)와 연결되게 형성되어 후크 골격(116)의 보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3 and 5, the
후크 골격(116)의 경사부(116a) 및 연장부(116b)의 사이에는 단차부(116c)가 형성되어 후크 보강부(136)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후크 보강부(136)가 후크 골격(116)에 견고하게 접촉 지지될 수 있다. A stepped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 본체(110)의 단변의 측부(113,114)에는 외측으로 마운팅 브라켓(118)이 돌출되고, 마운팅 브라켓(118)은 보강 구조물(130)의 브라켓 보강부(138)에 의해 전체적으로 둘러 싸이면서 강도 보강된다. 이러한 구성을 에어백 팽창 시, 마운팅 브라켓(118)이 형성된 부분이 하우징 본체(110)로부터 분리되거나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 보강부(138)는 내부 보강부(137)와 연장되게 형성되어 마운팅 브라켓(118)의 보강 효과를 높일 수 있다.3 and 6, a mounting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하우징의 제조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irbag housing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하우징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 airbag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에어백 하우징 제조 과정은 연속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료 가열 단계(S10), 압축 성형에 의하여 하우징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S20), 사출 금형 내에 하우징 본체를 인서트하는 단계(S30), 사출 성형 단계(S40), 및 하우징 본체에 보강구조물을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airbag housing includes heating a continuous fiber-reinforced plastic material (S10), forming a housing body by compression molding (S20), inserting the housing body into an injection mold (S30) Molding step S40, and step S50 of integrally forming a reinforcing structure in the housing main body.
이하 상술한 제조 과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하우징의 하우징 본체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를 가열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8A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heating a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housing main body of the airbag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a를 참조하면, 먼저,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201)를 가열장치(203)를 이용하여 가열한다(S10). Referring to Figs. 7 and 8A, first, the continuous fiber-reinforced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는 연속 섬유 다발을 광폭화하여 균일하게 펼치는 연속 섬유 광폭화 단계; 광폭화된 연속 섬유를 가열하는 연속섬유 가열 단계; 가열된 연속 섬유와 테이프 형상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접합하여 접합체를 형성하는 접합체 형성 단계; 접합체를 지그 재그 형태로 접어 다층 접합체를 형성하는 다층 접합체 형성 단계; 다층 접합체를 압착하는 다층 접합체 압착단계; 압착된 다층 접합체를 직조하여 직조물을 형성하는 직조물 형성 단계; 및 다수개의 직조물을 적층하여 열용융 함침하는 함침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is a continuous fiber widening step in which a continuous fiber bundle is widened and uniformly spread; A continuous fiber heating step of heating the widened continuous fiber; A bonding material forming step of bonding a heated continuous fiber and a tape-shaped thermoplastic plastic composite material to form a bonded body; Forming a multi-layer bonded body by folding the bonded body in a zigzag form to form a multi-layer bonded body; A multilayer bonding body pressing step for bonding a multilayer bonding body; A woven material forming step of forming a woven material by weaving a pressed multilayered joint; And a plurality of woven fabrics are laminated and thermally melt-impregnated.
다른 실시 예로,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는 연속 섬유를 배열하는 연속 섬유 배열 단계; 배열된 연속 섬유를 광폭화시키는 연속 섬유 광폭화 단계; 광폭화된 연속 섬유를 열가소성 수지에 함침하여 일 방향 시트를 제조하는 일방향 시트 제조단계; 및 제조된 다수의 일방향 시트를 적층하는 일 방향 시트 적층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includes a continuous fiber arraying step of arranging continuous fibers; A continuous fiber widening step of widening the continuous fibers arranged; A unidirectional sheet production step of producing a unidirectional sheet by impregnating a widened continuous fiber with a thermoplastic resin; And a unidirectional sheet laminating step of laminating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sheets produced.
연속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는 연속으로 이루어진 모든 섬유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Continuous fiber reinforced plastic composites can be made in a variety of ways using all the continuous fibers.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하우징 본체를 압축 성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에어백 하우징의 하우징 본체가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8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main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ression molded, and FIG. 8C is a view showing a completed state of the housing main body of the airbag hous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c를 참조하면, 가열된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를 압축 금형(205) 내에 삽입 한 후 소정의 온도 및 압력으로 가압하여 하우징 본체(110)를 형성한다(S20). Referring to FIGS. 7 and 8C, the heated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압축 동작에 의해 복수의 후크 골격(116)과 마운팅 브라켓(118)을 포함하는 하우징 본체(110)의 전체적인 윤곽이 얻어진다. 트리밍(Trimming) 공정을 통해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피어싱(Piercing) 공정을 통해 인플레이터홀(115a), 체결홀(115b), 브라켓홀(118a) 등을 형성하여 하우징 본체(110)를 완성한다. The overall contour of the
도 8d는 도 8c의 하우징 본체(110)를 사출 금형에 인서트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8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도 7 및 도 8d를 참조하면, 압축 금형 단계(S20)에서 완성된 하우징 본체(110)를 사출 금형(207)에 인서트 한다(S30). 이때, 하우징 본체(110)는 사출 금형(207) 내에 돌출된 스토퍼 또는 코어 구조 등에 의해 구속되어 사출 금형(207)내의 일정 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8D, the housing
도 8e는 본 발명의 하우징 본체를 사출 금형에 인서트한 후 사출 성형된 하우징 본체 및 보강 구조물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8E is a view showing an injection molded housing body and a reinforcing structure assembly after inserting the housing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n injection mold.
도 5, 도 7 및 도 8e를 참조하면, 하우징 본체(110)가 삽입된 사출 금형(207)과 마주하는 가동 금형(미도시)을 이동시킨 후, 하우징 본체(110)를 구성하는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보다 강도가 낮은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를 사출 금형 내로 주입하여 하우징 본체(110)의 외면에 보강구조물(130)을 사출 성형한다(S40). 5, 7, and 8E, a movable mold (not shown) facing the
사출 성형 시, 단섬유 또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이하 “사출재”라 칭함)는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1,112,113,114) 및 바닥부(115)의 외면 전체를 포함하여, 하우징 본체(110)의 후크 골격(116) 및 마운팅 브라켓(118)의 전체를 감싸도록 주입된다. 또한, 하우징 본체(110)의 측부(111,112,113,114)의 내면으로 일정 거리만큼 주입되어 내부 보강부(137)를 형성한다. (Hereinafter referred to as " injection material ")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0 (including the side surfaces 111, 112, 113, and 114 of the housing
한편, 사출 성형 시, 보강 구조물(130)의 측부 보강부(131,132,133,134) 및 바닥부(135)의 외면에는 보강 리브(139)가 돌출되어 강도를 보강토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injection molding, the reinforcing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는 예를 들면, 인발 성형법(Pultrusion Process)를 따라 연속상 섬유 내로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키는 방법으로 생산된다. A 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is produced, for example, by impregnating a thermoplastic into a continuous phase fiber followed by a Pultrusion Process.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의 생산 공정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원료가 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공급하는 압출 공정과, 예컨대 유리 섬유를 함침할 수 있는 함침 공정, 그리고, 6mm에서 25mm로 펠렛(pellet)d을 제조하는 커팅 공정으로 나누어진다. The production process of 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parts. An extrusion process for supplying a thermoplastic plastic as a raw material, an impregnation process for impregnating glass fiber, and a cutting process for producing a pellet d of 6 mm to 25 mm.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 인스트루먼트패널 10: 에어백도어
15: 지주부 15a: 걸림홀
100: 에어백 하우징 110: 하우징 본체
130: 보강구조물 116: 후크 골격
118: 마운팅 브라켓 136: 후크 보강부
138: 브라켓 보강부1: instrument panel 10: airbag door
15: a
100: air bag housing 110: housing body
130: reinforced structure 116: hook skeleton
118: mounting bracket 136: hook reinforcing portion
138: Bracket reinforcement part
Claims (7)
상기 가열된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압축하여 에어백을 접은 상태로 수용하는 수용부를 한정하도록 일면이 개구된 하우징 본체를 형성하는 압축 성형 단계;
상기 하우징 본체를 사출 금형 내에 인서트 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 본체가 인서트 된 상기 사출 금형 내에 상기 에어백 본체를 형성하는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보다 낮은 강도를 갖는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를 주입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바닥부의 외면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측부의 외면을 감싸는 보강 구조물을 형성하는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본체는 50~70중량%의 연속섬유와 30~50중량%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연속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 구조물은 20~50중량%의 장섬유와, 50~80중량%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로 형성되며,
상기 압축 성형단계에서 상기 에어백 본체의 상기 측부와 일체로 후크 골격 및 마운팅 브라켓이 상기 에어백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사출 성형 단계에서 상기 후크 골격을 감싸는 후크 보강부, 상기 마운팅 브라켓을 감싸는 브라켓 보강부,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측부의 상부 내면을 감싸는 내부 보강부가 상기 보강 구조물의 측부 보강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제조 방법. Heating the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A compression molding step of compressing the heated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to form a housing main body having one side opened to define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airbag in a folded state;
Inserting the housing main body into an injection mold; And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main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are formed by injecting a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composite material having lower strength than that of the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composite material forming the airbag main body in the injection mold, Forming a reinforcing structure surrounding the reinforcing structure,
Wherein the housing body is formed of a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50 to 70% by weight of continuous fibers and 30 to 50% by weight of thermoplastic plastic,
Wherein the reinforcing structure is formed of a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composite material or a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20 to 50 wt% of long fiber and 50 to 80 wt% of thermoplastic plastic,
The hook skeleton and the mounting bracket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portion of the airbag body in the compression molding step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airbag body,
A hook reinforcing portion surrounding the hook skeleton in the injection molding step, a bracket reinforcing portion surrounding the mounting bracket, and an inner reinforcing portion surrounding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are integrally injection-molded with the side reinforcing portions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bag housing for a motor vehicle.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폴라아미드,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제조 방법. The continuous fi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inuous fiber comprises any one of glass fiber, carbon fiber and natural fiber;
Wherein the thermoplastic plastic comprises any one of polyamide and polypropylen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ng fibers comprise one of glass fiber, carbon fiber and natural fiber, and the thermoplastic plastic comprises polyamide and polypropylene.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8771A KR101916118B1 (en) | 2016-08-03 | 2016-08-03 | Method for manufacturing airbag housing for vehicle |
PCT/KR2017/008310 WO2018026176A1 (en) | 2016-08-03 | 2017-08-01 | Automobile airbag housing manufacturing method |
CN201780045661.8A CN109863010A (en) | 2016-08-03 | 2017-08-01 | The air bag manufacture of casing of automob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8771A KR101916118B1 (en) | 2016-08-03 | 2016-08-03 | Method for manufacturing airbag housing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5365A KR20180015365A (en) | 2018-02-13 |
KR101916118B1 true KR101916118B1 (en) | 2018-11-08 |
Family
ID=6107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8771A Active KR101916118B1 (en) | 2016-08-03 | 2016-08-03 | Method for manufacturing airbag housing for vehicl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6118B1 (en) |
CN (1) | CN109863010A (en) |
WO (1) | WO2018026176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6045B1 (en) * | 2021-08-04 | 2022-11-14 | (주)경우정밀 | An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For Baseplate Snap Pin Of Airbag Modu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3502B1 (en) * | 2019-03-14 | 2021-02-09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Luggage li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N110919962A (en) * | 2019-11-21 | 2020-03-27 | 王小龙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ntinuous fiber injection molding |
KR102673954B1 (en) * | 2020-04-24 | 2024-06-11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ide airbag apparatus |
CN113335219A (en) * | 2021-06-24 | 2021-09-03 | 蔚来汽车科技(安徽)有限公司 | Airbag housing and airbag modu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66446B2 (en) * | 1988-12-26 | 1997-10-22 | タカタ株式会社 | Airbag storage cover |
JP2016074208A (en) * | 2011-08-30 | 2016-05-12 |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trim parts by combined use of compression molding and injection molding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07769A (en) * | 1998-01-29 | 1999-08-03 | Mitsubishi Chemical Corp | Method of manufacturing automotive interior panel with cover for airbag storage |
KR101382329B1 (en) * | 2012-09-19 | 2014-04-08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Air bag housing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5929724B2 (en) * | 2012-11-17 | 2016-06-08 | 豊田合成株式会社 | Airbag cov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205381231U (en) * | 2015-12-03 | 2016-07-13 | 奥托立夫开发公司 | Safety airbag casing and air bag subassembly |
-
2016
- 2016-08-03 KR KR1020160098771A patent/KR101916118B1/en active Active
-
2017
- 2017-08-01 CN CN201780045661.8A patent/CN109863010A/en active Pending
- 2017-08-01 WO PCT/KR2017/008310 patent/WO201802617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66446B2 (en) * | 1988-12-26 | 1997-10-22 | タカタ株式会社 | Airbag storage cover |
JP2016074208A (en) * | 2011-08-30 | 2016-05-12 |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trim parts by combined use of compression molding and injection molding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6045B1 (en) * | 2021-08-04 | 2022-11-14 | (주)경우정밀 | An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For Baseplate Snap Pin Of Airbag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863010A (en) | 2019-06-07 |
KR20180015365A (en) | 2018-02-13 |
WO2018026176A1 (en) | 2018-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6118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irbag housing for vehicle | |
KR101382329B1 (en) | Air bag housing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516266B1 (en) | Roofliner for a motor vehicle | |
KR102056425B1 (en) | Curtain airbag device | |
US20040178609A1 (en) | Occupant restraint system | |
US20160288747A1 (en) | Vehicle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load-bearing component in wheel cavity | |
JP2006281945A (en) | Airbag device and instrument panel structure for mounting the same | |
EP3012161B1 (en) | Pedestrian protection aribag device | |
US11447090B2 (en) | Knee protection airbag device | |
US11230249B2 (en) | Air bag assembly with an air bag guide and an interior trim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KR101810004B1 (en) | Airbag housing for vehicle | |
US7150467B2 (en) | Housing for airbag module | |
JP2000006752A (en) | Head constraining side air bag | |
JPH0952567A (en) | Instrument panel provided with air bag door | |
JP6889164B2 (en) | Passenger seat airbag housing, this manufacturing method and vehicle passenger airbag | |
KR20110037610A (en) | Automotive Curtain Airbag Module | |
KR100995564B1 (en) | Dynamic sliding tether structure for airbag door | |
JP2000301997A (en) | Roof side inner portion | |
WO2002055345A1 (en) | Air bag device | |
JP6548330B2 (en) | Air bag device cover | |
KR101614487B1 (en) | Airbag apparatus | |
KR100577858B1 (en) | How to sew airbag joints | |
JP7400763B2 (en) | Occupant protection device | |
KR101356148B1 (en) | Airbag cushion | |
CN120270197A (en) | Airbag installation structure and airbag carr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