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5365B1 - 재실자를 고려한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실자를 고려한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365B1
KR101915365B1 KR1020160158483A KR20160158483A KR101915365B1 KR 101915365 B1 KR101915365 B1 KR 101915365B1 KR 1020160158483 A KR1020160158483 A KR 1020160158483A KR 20160158483 A KR20160158483 A KR 20160158483A KR 101915365 B1 KR101915365 B1 KR 101915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humidity
mode
temperature
air qual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965A (ko
Inventor
문현준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3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3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24F2110/22Humidity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52Air quality properties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운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입출력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부(200)는 센싱된 실외 공기질, 실내 공기질, 실외 온습도 및 실내 온습도가 출력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재실자를 고려한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Integrated control method of indoor environment devices in consideration of occupants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재실자를 고려하여, 실내에 구비된 다양한 기종의 실내 환경 기기를 통합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하여 월패드 형태의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을 위하여 에어컨 등의 냉방 장치를 가동시키면 습도가 상승하며, 난방을 위하여 보일러 등의 난방 장치를 가동시키면 습도가 낮아진다.
또한, 가습기 가동시 온도가 다소 낮아지고 제습기 가동시 온도가 다소 상승한다.
그러나, 냉방과 가습이 동시에 필요한 경우 냉방 장치만 가동하여도 무방하나, 많은 사용자들은 가습기를 함께 가동한다. 마찬가지로, 난방과 제습이 동시에 필요한 경우 많은 사용자들은 난방 장치와 제습기를 함께 가동한다.
여기에서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기도 하며, 과잉 냉방, 또는 과잉 난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실내 공기질이 좋지 않음을 느낀 사용자가 환기를 위하여 환기 장치를 가동시키거나 창호를 개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실내 온도가 변경되면서 이를 다시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별도의 에너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실내 환경 기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경우, 번거로움은 물론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엔탈피를 이용한 통합 제어 방식이 제안된바 있으나, 이들은 온도와 습도만을 이용하여 신속하게(즉, 가동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키는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에 불과하였으며, 공기질을 위한 환기 여부, 각 기기들의 특성 및 재실자 유무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
(특허문헌 1) KR 10-1652247 B1
(특허문헌 2) KR 10-1521161 B1
(특허문헌 3) KR 10-2002-003136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냉방, 난방, 공기질 개선 등을 위하여 실내 환경 기기를 작동시키는 경우, 통합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재실자를 감지하고, 외출 및 귀가를 감지하여, 에너지 소비 최소화와 동시에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다세대 주거 환경에 널리 적용되어 있는 월패드 형태에 직접 도입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100)와 재실 예측 모듈(300)을 이용하여, 환기 장치(410), 창호 개폐 장치(420), 가습기(450), 제습기(460), 난방 장치(470) 및 냉방 장치(480)를 포함하는 실내 환경 기기를 통합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환기 기기는 상기 환기 장치(410) 및 상기 창호 개폐 장치(420)를 포함하며,(a) 상기 실내 환경 기기를 제어하는 운용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b) 실외 공기질, 실내 공기질, 실외 온습도 및 실내 온습도가 센싱되고, 실외 엔탈피와 실내 엔탈피가 연산되는 단계; (c)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운용 모드가 냉방에 관한 것인 경우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작고 운용 모드가 난방에 관한 것인 경우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큰 경우, 상기 환기 기기를 작동시켜 환기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d) 환기가 이루어진 후, 상기 가습기(450), 제습기(460), 난방 장치(470) 및 냉방 장치(48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되어, 실내 온습도가 운용 모두에 따라 기 설정된 쾌적범위 내에 이르도록 난방 또는 냉방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내지 상기 (d) 단계는, 재실 감지 센서에 의하여 재실 예측 모듈(300)이 재실자를 감지한 경우 작동되는,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재실 예측 모듈(300)은, 일주일 동안의 요일 및 시간 별로 상기 실내 환경 기기의 전력사용량에 근거하여, 전력사용량의 감소량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커지는 요일 및 시간을 외출 시간으로 예측하고,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커지는 요일 및 시간을 귀가 시간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운용 모드로서 외출/귀가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예측된 외출 시간에 상기 창호 개폐 장치(420)가 작동되어 창호를 폐쇄하고, 가동 중인 다른 실내 환경 기기를 종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운용 모드로서 외출/귀가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예측된 귀가 시간보다 소정의 시간 이전에 상기 실내 환경 기기를 작동시키기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출/귀가 모드에서 상기 실내 환경 기기가 작동되는 모드는, 냉방 쾌적 모드, 난방 쾌적 모드,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 통합 쾌적 모드 및 통합 에너지 절약 모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방 쾌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c) 단계는,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상기 환기 기기가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환기가 이루어진 후 실내 온습도에 따라 습공기선도 상에서 현재 지점이 확인되는 단계; 현재 지점에 따라 상기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는 단계; 및 현재 지점이 상기 쾌적범위 내에 진입한 것이 확인된 경우 작동되던 상기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이 중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난방 쾌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c) 단계는,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큰 경우, 상기 환기 기기가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환기가 이루어진 후 실내 온습도에 따라 습공기선도 상에서 현재 지점이 확인되는 단계; 현재 지점에 따라 상기 제습기(460) 및 난방 장치(47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는 단계; 현재 지점이 상기 쾌적범위 내에 진입한 것이 확인된 경우 작동되던 상기 제습기(460) 및 난방 장치(470)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이 중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합 쾌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실내 온도가 쾌적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방 쾌적 모드로 운용되고, 실내 온도가 쾌적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난방 쾌적 모드로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c) 단계는, 상기 쾌적범위보다 넓은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가 설정되는 단계; 및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상기 창호 개폐 장치(420)에 의하여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창호가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창호 개폐 장치(420)에 의하여 창호가 폐쇄된 이후의 실내 온습도에 따라 습공기선도 상에서 현재 지점이 확인되는 단계; 현재 지점에 따라 상기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는 단계; 및 현재 지점이 상기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 내에 진입한 것이 확인된 경우 작동되던 상기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이 중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c) 단계는,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큰 경우, 창호 개폐 장치(420)에 의하여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창호가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창호 개폐 장치(420)에 의하여 창호가 폐쇄된 이후의 실내 온습도에 따라 습공기선도 상에서 현재 지점이 확인되는 단계; 현재 지점에 따라 상기 제습기(460) 및 난방 장치(47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고, 주간인 경우 차양 개폐 장치(430)가 작동하여 차양을 개방하는 단계; 및 현재 지점이 상기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 내에 진입한 것이 확인된 경우 작동되던 상기 제습기(460) 및 난방 장치(470)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이 중지되는 단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합 에너지 절약 모드가 선택된 경우, 실내 온도가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로 운용되고, 실내 온도가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로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운용 모드로서 취침 모드가 선택된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 또는 상기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로서 자동으로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운용 모드로서 환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온도가 기 설정된 쾌적범위 이내인 경우 환기 장치(410)가 작동하고,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불량하거나 실외 온도가 기 설정된 쾌적범위 밖인 경우 창호 개폐 장치(420)가 창호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통합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운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입출력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부(200)는 상기 (b) 단계에서 센싱된 실외 공기질, 실내 공기질, 실외 온습도 및 실내 온습도가 출력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200)는 월패드(wall pad)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냉방, 난방, 공기질 개선 등을 위하여 실내 환경 기기를 작동시키는 경우, 각각의 실내 환경 기기의 특징에 따라 통합 제어되기에, 에너지 소비가 최소화된다.
재실자를 감지하고, 외출 및 귀가를 감지하여, 에너지 소비 최소화와 동시에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월패드 형태의 입출력부에서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운용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편리하며, 자신이 원하는 쾌적범위 등을 별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내 환경 기기의 특징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쾌적범위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제어 방법의 운용 모드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제어 방법의 냉방 쾌적 모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습공기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제어 방법의 난방 쾌적 모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습공기선도이다.
이하에서, "습공기선도"는 습공기의 온도 및 습도 등을 도표화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다. 특정 공간에서 현재 시점의 온도 및 습도를 알 경우 현재 상황이 습공기선도 상에서 점으로 표기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현재 지점"으로 지칭한다.
이하에서, "쾌적범위" 또는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는, 온도의 범위와 습도의 범위로 이루어진 범위를 의미한다. 습공기선도 상에서 2차원 범위로 표현될 수 있다. 도 3에 그 예시가 도시된다. 또한, 쾌적범위 또는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가 넓어진다는 것은, 이를 이루는 온도 상한이 커지고, 온도 하한이 작아지고, 습도 상한이 커지고, 습도 하한이 작아진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공기질"은 공기 내 미세먼지량, 이산화탄소량 등을 이용하여 단위가 없이 수치화될 수 있는 것을 지칭한다. 공기질이 양호하다는 것은, 미세먼지량이 적고 이산화탄소량이 적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공기질 센서"는 미세먼지량, 이산화탄소량 등을 센싱하는 센서로 지칭한다.
이하에서, "습도"는 상대습도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시스템의 설명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제어부(100), 입출력부(200), 재실 예측 모듈(300), 실외 온습도 센서, 실외 공기질 센서, 실내 온습도 센서, 실외 온습도 센서, 재실 감지 센서,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410~480)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각종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입출력부(200)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운용 모드를 인가받고, 실내 환경 기기(410~480)의 작동을 제어하고, 입출력부(200)를 통하여 정보를 출력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통합 제어 방법의 각 단계의 주체는 제어부(100)임에 유의한다.
입출력부(2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운용 모드를 입력하고, 실외 온습도 센서, 실외 공기질 센서, 실내 온습도 센서, 실외 온습도 센서에서 센싱되는 실외 온습도, 실외 공기질, 실내 온습도, 실내 공기질 등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입출력부(200)는 현관 카메라 화면 디스플레이부, 현관 잠금 장치 제어부 등이 포함되어 가정마다 구비되어 있는 월패드(wall pad) 형태일 수도 있다.
재실 예측 모듈(300)은, 재실 감지 센서에서 확인되는 현재 재실자 유무를 확인하는 기능과, 재실자가 외출하는 요일 및 시간(즉, 외출 시간)과 재실자가 돌아오는 요일 및 시간(즉, 귀가 시간)을 예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재실 예측 모듈(300)은, 일주일 동안의 요일 및 시간 별로 상기 실내 환경 기기(410~480)의 전력사용량을 확인하고, 이에 근거하여, 전력사용량의 감소량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커지는 요일 및 시간을 외출 시간으로 예측하고,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커지는 요일 및 시간을 귀가 시간으로 예측한다.
실내 환경 기기(410~480)는, 환기 장치(410), 창호 개폐 장치(420), 가습기(450), 제습기(460), 난방 장치(470) 및 냉방 장치(480)를 포함한다.
도 2에 각 장치들의 특징이 도시된다.
환기 장치(410)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강제 환기 장치로서 온습도 제어 기능은 적으나 실내 공기질 제어 기능을 갖는다.
창호 개폐 장치(420)는 창호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장치이다. 에너지 사용은 실질적으로 없다. 외기 조건에 따라, 창호 개폐 장치(420)에 의하여 창호가 개방되면, 온습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실내 공기질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 환기 기기는 환기 장치(410)와 창호 개폐 장치(420)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지칭한다.
차양 개폐 장치(430)는 블라인드 등의 차양을 개폐하는 장치이다. 에너지 사용은 실질적으로 없다. 주간에 차양이 개방되면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공기 청정기(440)는 에너지를 사용하고 실내 공기질 제어 기능을 갖는다.
가습기(450)는 에너지를 사용하고 습도를 상승시킨다. 가습기(450)가 가동되어 습도가 상승하는 경우 온도가 낮아지기에 온도 제어 기능을 일부 갖는다.
제습기(460)는 에너지를 사용하고 습도를 하강시킨다. 제습기(460)가 가동되어 습도가 하강하는 경우 온도가 상승하기에 온도 제어 기능을 일부 갖는다.
난방 장치(470)는 에너지를 상당히 사용하고 온도를 상승시킨다. 난방 장치(470)가 가동되어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습도가 하강하기에 습도 제어 기능을 일부 갖는다.
난방 장치(470)는 공조 난방 장치와 바닥 난방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 쾌적모드가 달라질 수 있다(도 3 참조).
냉방 장치(480)는 에너지를 상당히 사용하고 온도를 하강시킨다. 냉방 장치(480)가 가동되어 온도가 하강하는 경우 습도가 상승하기에 습도 제어 기능을 일부 갖는다.
냉방 장치(480)의 예시로서 에어컨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실내 환경 기기(410~480)는 모두 제어부(100)에 의하여 통합 제어됨으로써, 현재의 실내 환경이 보다 신속히 쾌적범위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보다 적은 에너지만 사용하여 쾌적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쾌적범위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온습도 범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 측면에서의 쾌적 범위는 섭씨 24.4 내지 26.5도 및 40 내지 55%의 습도이고, 난방 측면에서의 쾌적 범위는 공조 난방시 섭씨 22.1 내지 25.5도이고 바닥 난방시 섭씨 21.4 내지 23.9도이고 40 내지 55%의 습도일 수 있다.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의 에너지 절약 쾌적 범위는,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일반 쾌적범위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 측면에서의 쾌적 범위는 섭씨 24.0 내지 26.8도 및 38 내지 57%의 습도이고, 난방 측면에서의 쾌적 범위는 공조 난방시 섭씨 21.7 내지 25.8도이고 바닥 난방시 섭씨 21.0 내지 24.3도이고 38 내지 57%의 습도일 수 있다.
2. 통합 제어 방법의 설명
먼저, 운용 모드가 선택된다. 선택되는 운용 모드는, 냉방 쾌적 모드, 난방 쾌적 모드,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 통합 쾌적 모드, 통합 에너지 절약 모드, 환기 모드, 취침 모드, 외출/귀가 모드. 사용자 지정 모드 등일 수 있다.
위의 운용 모드들은 공통적으로 다음의 단계에 따른다.
먼저, 입출력부(200)를 통하여 운용 모드가 선택된다.
다음, 각각의 센서를 통하여 실외 공기질, 실내 공기질, 실외 온습도 및 실내 온습도가 센싱되고, 여기서 센싱된 실외 온습도와 실내 온습도를 이용하면 실외 엔탈피와 실내 엔탈피가 연산된다. 엔탈피 연산 방법은 익히 알려진 것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온습도 및 공기질은 각각의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센싱되는 것이며, 월패드와 같은 입출력부(200)를 통하여 출력될 수도 있다.
다음,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운용 모드가 냉방에 관한 것인 경우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작고 운용 모드가 난방에 관한 것인 경우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큰 경우, 환기 기기를 작동시켜 환기가 먼저 이루어진다.
환기가 먼저 이루어지는 이유는, 공기질을 상승시킴은 물론, 가습기(450), 제습기(460), 난방 장치(470) 및 냉방 장치(480)의 작동 시간을 감소시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함이다.
환기가 이루어진 후, 가습기(450), 제습기(460), 난방 장치(470) 및 냉방 장치(48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되어, 실내 온습도가 쾌적범위 내에 이르도록 난방 또는 냉방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제어 방법을 각 운용 모드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1 냉방 쾌적 모드
도 4와 도 8을 참조하여 냉방 쾌적 모드를 설명한다.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S410), 환기 기기가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하여 환기가 이루어진다(S420).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지 않다면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당연히 바람직하다.
또한,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크다면 환기로 인하여 이후 작동되는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가 소비하는 에너지가 커지므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당연히 바람직하다.
환기 기기의 작동은,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불량해지는 경우,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커지는 경우, 또는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모두 경과한 경우에 중지될 수 있다.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어 10분, 30분, 1시간 등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신속한 냉방을 원하는 경우 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출력부(200)를 통하여 운용 이전 또는 운용 동안에도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다.
실내 온습도는 실시간으로 센싱되고 있으므로, 환기가 이루어진 후의 실내 온습도를 확인하여, 습공기선도 상에서의 현재 지점이 확인한다(S430).
확인되는 현재 지점에 따라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한다(S440). 이에 따라, 현재 지점은 습공기선도 상에서 쾌적범위를 향하여 이동한다.
실내 공기질 역시 실시간으로 센싱되고 있으므로,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되는 동안 실내 공기질이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불량한 경우 환기 기기가 아닌 공기청정기(440)가 작동된다(S450). 공기질을 높이기 위하여 환기 기기가 작동된다면 그 만큼 작동되는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의 소비 에너지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후, 현재 지점이 쾌적범위 내에 진입한 것이 확인된 경우 작동되던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중지한다(S460).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S440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내 온습도에 따른 현재 지점이 습공기선도 상에서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작동하는 실내 환경 기기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냉방이 필요한 경우는 현재 지점이 C1, C2, C3의 세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인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습공기선도 상에서 쾌적범위의 습도 상한선 및 하한선이 고온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C1)에 현재 지점이 위치하는 경우, 냉방 장치(480)만 작동한다.
습공기선도 상에서 쾌적범위의 온도 좌우측선이 저습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C3)에 현재 지점이 위치하는 경우, 가습기(450)만 작동한다.
습공기선도 상에서 쾌적범위의 습도 하한선이 고온 측으로 연장된 선과 온도 우측선이 저습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C2)에 현재 지점이 위치하는 경우, 가습기(450)와 냉방 장치(480)가 모두 작동한다.
여기서, 전술하는 습공기선도 상에서 쾌적범위의 습도 상한선 및 하한선이 고온 측으로 연장된 선은 상대습도곡선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방 장치(480)만 작동되어도 가습이 이루어지고 가습기(450)만 작동되어도 냉방이 다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보다 더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습도가 높은 경우라면, 습공기선도 상에서 쾌적범위의 온도 좌우측선이 고습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C5)에 현재 지점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습기(460)가 작동되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필요시 냉방 장치(480)가 더 구동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습공기선도 상에서 쾌적범위의 습도 상한선이 고온 측으로 연장된 선과 온도 우측선이 고습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C4)에 현재 지점이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습기(460)와 냉방 장치(480)가 함께 작동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환기가 먼저 이루어진 후 냉방이 이루어지기 에너지 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며, 최소한의 에너지로 공기질의 개선도 꾀할 수 있다.
가습기(450) 작동시 실내 온도가 낮아지는 점이 이용되어,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냉방 장치(480)의 사용을 줄일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냉방 도중 공기질이 낮아지는 경우에도 환기 기기가 작동되지 않기에,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면서도 공기질이 개선될 수 있다.
적정 쾌적 범위 내에 실내 온습도가 도달하면 자동으로 모든 실내 환경 기기의 작동이 중단되어 편리하고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2.2 난방 쾌적 모드
도 5와 도 9를 참조하여 냉방 쾌적 모드를 설명한다. 난방 쾌적 모드는 냉방 쾌적 모드와 반대로 이해할 수 있다.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큰 경우(S510), 환기 기기가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한다(S520).
환기 기기의 작동은,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불량해지는 경우,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작아지는 경우, 또는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모두 경과한 경우에 중지될 수 있다.
환기가 이루어진 후 실내 온습도에 따라 습공기선도 상에서 현재 지점이 확인되고(S530), 현재 지점에 따라 제습기(460) 및 난방 장치(47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한다(S540).
작동 동안 실내 공기질이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불량한 경우 환기 기기가 아닌 공기청정기(440)가 작동된다(S550).
현재 지점이 쾌적범위 내에 진입한 것이 확인된 경우 작동되던 제습기(460) 및 난방 장치(47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이 중지된다(S560).
도 9를 참조하여 S540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440 단계의 설명과 반대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습공기선도 상에서 쾌적범위의 습도 상한선 및 하한선이 저온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H1)에 현재 지점이 위치하는 경우, 난방 장치(470)만 작동한다.
습공기선도 상에서 쾌적범위의 온도 좌우측선이 고습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H3)에 현재 지점이 위치하는 경우, 제습기(460)만 작동한다.
습공기선도 상에서 쾌적범위의 습도 상한선이 저온 측으로 연장된 선과 온도 좌측선이 고습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H2)에 현재 지점이 위치하는 경우, 제습기(460)와 난방 장치(470)가 모두 작동한다.
여기서, 전술하는 습공기선도 상에서 쾌적범위의 습도 상한선 및 하한선이 저온 측으로 연장된 선은 상대습도곡선보다 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방 장치(470)만 작동되어도 제습이 이루어지고 제습기(460)만 작동되어도 난방이 다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습공기선도 상에서 쾌적범위의 온도 좌우측선이 저습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H5)에 현재 지점이 있는 경우라면, 가습기(450)가 작동되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온도가 하강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필요시 난방 장치(470)가 더 구동될 수도 있다.
습공기선도 상에서 쾌적범위의 습도 하한선이 저온 측으로 연장된 선과 온도 좌측선이 저습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H4)에 현재 지점이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습기(450)와 난방 장치(470)가 함께 작동된다.
2.3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
도 6을 참조하여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를 설명한다. 냉방 쾌적 모드가 신속한 냉방을 위한 것이라면,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는 최대한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쾌적범위에 진입하기 위한 운용 방법이다.
먼저, 쾌적범위보다 넓은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가 설정된다(S601). 도 3을 참조한다.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S610), 환기 장치(410)가 아닌 창호 개폐 장치(420)에 의하여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창호가 개방된다(S620). 환기 장치(410)의 작동에 의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한다.
창호 개폐 장치(420)가 창호를 폐쇄하는 경우는, 냉방 쾌적 모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창호 개폐 장치(420)에 의하여 창호가 폐쇄된 이후의 실내 온습도에 따라 습공기선도 상에서 현재 지점이 확인되고(S630), 현재 지점에 따라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한다(S640).
S640 단계의 구체적인 운용 방법은 S440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작동 동안, 실내 공기질이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불량한 경우 공기청정기(440)가 작동된다. 다만,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작은 조건 하에서(즉, 창호 개방으로 에너지 손실이 없는 조건), 창호 개폐 장치(420)가 창호를 다시 개방하여 공기청정기(440) 작동에 의한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지점이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 내에 진입한 것이 확인된 경우 작동되던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이 중지된다(S660).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의 경우, 냉방 쾌적 모드와 비교하면, 환기에 의한 외기 유입을 통하여 공기청정기(440), 가습기(450), 냉방 장치(480)의 구동을 최대한 늦추는 것이 특징이다.
2.4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
도 7을 참조하여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를 설명한다. 난방 쾌적 모드가 신속한 난방을 위한 것이라면,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는 최대한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쾌적범위에 진입하기 위한 운용 방법이다. 또한,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의 반대로 이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쾌적범위보다 넓은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가 설정된다(S701). 도 3을 참조한다. 난방 장치(470)의 종류에 따라 쾌적범위는 다를 수 있다.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큰 경우(S710), 환기 장치(410)가 아닌 창호 개폐 장치(420)에 의하여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창호가 개방된다(S720).
창호 개폐 장치(420)가 창호를 폐쇄하는 경우는, 난방 쾌적 모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창호 개폐 장치(420)에 의하여 창호가 폐쇄된 이후의 실내 온습도에 따라 습공기선도 상에서 현재 지점이 확인되고(S730), 현재 지점에 따라 제습기(460) 및 난방 장치(47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한다(S740).
S740 단계의 구체적인 운용 방법은 S540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작동 동안, 실내 공기질이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불량한 경우 공기청정기(440)가 작동된다. 다만,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큰 조건 하에서(즉, 창호 개방으로 에너지 손실이 없는 조건), 창호 개폐 장치(420)가 창호를 다시 개방하여 공기청정기(440) 작동에 의한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지점이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 내에 진입한 것이 확인된 경우 작동되던 제습기(460) 및 난방 장치(47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이 중지된다(S760).
2.5 통합 쾌적 모드
통합 쾌적 모드는, 사용자가 냉방 또는 난방을 설정하지 않아도 현재 실내 온습도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는 모드이다. 봄 또는 가을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통합 쾌적 모드가 선택되면, 실내 온도가 쾌적범위보다 높은 경우 냉방 쾌적 모드로 운용되고, 실내 온도가 쾌적범위보다 낮은 경우 난방 쾌적 모드로 운용된다.
2.6 통합 에너지 절약 모드
통합 에너지 절약 모드 역시, 사용자가 냉방 또는 난방을 설정하지 않아도 현재 실내 온습도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는 모드이다. 봄 또는 가을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넓어진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를 사용한다.
실내 온도가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보다 높은 경우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로 운용되고, 실내 온도가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보다 낮은 경우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로 운용된다.
2.7 환기 모드
환기 모드는, 냉방이나 난방 없이 공기질을 상승시키도록 환기가 이루어지는 방법이다.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온도가 기 설정된 쾌적범위 이내인 경우 환기 장치(410)가 작동하고,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불량하거나 실외 온도가 기 설정된 쾌적범위 밖인 경우 창호 개폐 장치(420)가 창호를 개방한다.
이를 통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환기가 가능하다.
2.8 취침 모드
취침 모드는, 사용자의 취침 동안 자동으로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새벽 3시 내지 5시와 같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 또는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로서 자동으로 운용된다.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
2.9 외출/귀가 모드
외출/귀가 모드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 방식은, 재실 예측 모듈(300)이 재실 감지 센서에 의하여 재실자를 감지한 경우에만 실내 환경 기기가 작동하고, 재실자가 없음을 확인하면 자동으로 작동을 중지하는 방식이다.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방식은, 재실 예측 모듈(300)이 예측한 외출 시간과 귀가 시간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예측된 외출 시간에 창호 개폐 장치(420)가 작동되어 창호를 폐쇄하고, 가동 중인 다른 실내 환경 기기를 종료시킴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보다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측된 귀가 시간에 맞추어 실내 환경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예측된 귀가 시간보다 소정의 시간 먼저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 환경 기기가 작동되는 모드는, 전술한 냉방 쾌적 모드, 난방 쾌적 모드,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 통합 쾌적 모드 및 통합 에너지 절약 모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2.10 사용자 지정 모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온도 및 습도를 사용자 쾌적범위로 지정하고, 이에 따라 실내 환경 기기가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내에서 악기를 연주하거나, 미술 작업을 하는 등의 이유로 일반적인 쾌적범위보다 저온 저습 환경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입출력부(100)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온도와 습도로서 쾌적범위를 별도 설정한 후, 쾌적 모드, 에너지 절약 모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수행되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어부
200: 입출력부
300: 재실 예측 모듈
410: 환기 장치
420: 창호 개폐 장치
430: 차양 개폐 장치
440: 공기청정기
450: 가습기
460: 제습기
470: 난방 장치
480: 냉방 장치

Claims (15)

  1. 제어부(100)와 재실 예측 모듈(300)을 이용하여, 환기 장치(410), 창호 개폐 장치(420), 가습기(450), 제습기(460), 난방 장치(470) 및 냉방 장치(480)를 포함하는 실내 환경 기기를 통합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환기 기기는 상기 환기 장치(410) 및 상기 창호 개폐 장치(420)를 포함하며,
    (a) 상기 실내 환경 기기를 제어하는 운용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b) 실외 공기질, 실내 공기질, 실외 온습도 및 실내 온습도가 센싱되고, 실외 엔탈피와 실내 엔탈피가 연산되는 단계;
    (c)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운용 모드가 냉방에 관한 것인 경우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작고, 운용 모드가 난방에 관한 것인 경우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큰 경우, 상기 환기 기기를 작동시켜 환기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d) 환기가 이루어진 후, 상기 가습기(450), 제습기(460), 난방 장치(470) 및 냉방 장치(48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되어, 실내 온습도가 운용 모두에 따라 기 설정된 쾌적범위 내에 이르도록 난방 또는 냉방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내지 상기 (d) 단계는, 재실 감지 센서에 의하여 재실 예측 모듈(300)이 재실자를 감지한 경우 작동되고,
    상기 (c) 단계는,
    운용 모드가 냉방에 관한 것인 경우,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작더라도,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한 경우에만 환기가 이루어지며,
    운용 모드가 난방에 관한 것인 경우,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크더라도,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한 경우에만 환기가 이루어지고,
    상기 (a) 단계에서, 운용 모드가 냉방에 관한 것이 선택된 경우,
    상기 (d) 단계는,
    환기가 이루어진 후 실내 온습도에 따라 습공기선도 상에서 현재 지점이 확인되는 단계;
    현재 지점에 따라 상기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는 단계; 및
    현재 지점이 상기 쾌적범위 내에 진입한 것이 확인된 경우 작동되던 상기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이 중지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습공기선도 상에서 상기 쾌적범위의 습도 상한선 및 하한선이 고온 측으로 연장된 선은 상대습도곡선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d) 단계는, 습공기선도 상에서 상기 쾌적범위의 습도 상한선 및 하한선이 고온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C1)에 현재 지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냉방 장치(480)만을 작동하며,
    습공기선도 상에서 상기 쾌적범위의 온도 좌우측선이 저습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C3)에 현재 지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습기(450)만을 작동하고,
    습공기선도 상에서 상기 쾌적범위의 습도 하한선이 고온 측으로 연장된 선과 온도 우측선이 저습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C2)에 현재 지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습기(450)와 냉방 장치(480)가 모두 작동하여, 상기 가습기(450)를 통해 소정의 냉방이 수행됨으로써, 상기 냉방 장치(480)의 에너지 소비량을 저감시키며,
    상기 (a) 단계에서, 운용 모드로서 난방에 관한 것이 선택된 경우,
    상기 (d) 단계는,
    환기가 이루어진 후 실내 온습도에 따라 습공기선도 상에서 현재 지점이 확인되는 단계;
    현재 지점에 따라 상기 제습기(460) 및 난방 장치(47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는 단계; 및
    현재 지점이 상기 쾌적범위 내에 진입한 것이 확인된 경우 작동되던 상기 제습기(460) 및 난방 장치(470)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이 중지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습공기선도 상에서 상기 쾌적범위의 습도 상한선 및 하한선이 저온 측으로 연장된 선은 상대습도곡선보다 위에 위치하고,
    상기 (d) 단계는, 습공기선도 상에서 상기 쾌적범위의 습도 상한선 및 하한선이 저온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H1)에 현재 지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난방 장치(470)만을 작동하고,
    습공기선도 상에서 상기 쾌적범위의 온도 좌우측선이 고습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H3)에 현재 지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습기(460)만을 작동하며,
    습공기선도 상에서 상기 쾌적범위의 습도 상한선이 저온 측으로 연장된 선과 온도 좌측선이 고습 측으로 연장된 선 사이의 영역(H2)에 현재 지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습기(460)와 난방 장치(470)가 모두 작동하여, 상기 제습기(460)를 통해 소정의 난방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난방 장치(470)의 에너지 소비량을 저감시키는,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 예측 모듈(300)은, 일주일 동안의 요일 및 시간 별로 상기 실내 환경 기기의 전력사용량에 근거하여, 전력사용량의 감소량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커지는 요일 및 시간을 외출 시간으로 예측하고, 전력사용량의 증가량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커지는 요일 및 시간을 귀가 시간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운용 모드로서 외출/귀가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예측된 외출 시간에 상기 창호 개폐 장치(420)가 작동되어 창호를 폐쇄하고, 가동 중인 다른 실내 환경 기기를 종료시키는,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운용 모드로서 외출/귀가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예측된 귀가 시간보다 소정의 시간 이전에 상기 실내 환경 기기를 작동시키기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출/귀가 모드에서 상기 실내 환경 기기가 작동되는 모드는,
    냉방 쾌적 모드, 난방 쾌적 모드,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 통합 쾌적 모드 및 통합 에너지 절약 모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드인,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통합 쾌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실내 온도가 쾌적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방 쾌적 모드로 운용되고,
    실내 온도가 쾌적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난방 쾌적 모드로 운용되는,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c) 단계는,
    상기 쾌적범위보다 넓은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가 설정되는 단계; 및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 상기 창호 개폐 장치(420)에 의하여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창호가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창호 개폐 장치(420)에 의하여 창호가 폐쇄된 이후의 실내 온습도에 따라 습공기선도 상에서 현재 지점이 확인되는 단계;
    현재 지점에 따라 상기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는 단계; 및
    현재 지점이 상기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 내에 진입한 것이 확인된 경우 작동되던 상기 가습기(450) 및 냉방 장치(480)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이 중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c) 단계는,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큰 경우, 창호 개폐 장치(420)에 의하여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창호가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창호 개폐 장치(420)에 의하여 창호가 폐쇄된 이후의 실내 온습도에 따라 습공기선도 상에서 현재 지점이 확인되는 단계;
    현재 지점에 따라 상기 제습기(460) 및 난방 장치(47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하고, 주간인 경우 차양 개폐 장치(430)가 작동하여 차양을 개방하는 단계; 및
    현재 지점이 상기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 내에 진입한 것이 확인된 경우 작동되던 상기 제습기(460) 및 난방 장치(470)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이 중지되는 단계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통합 에너지 절약 모드가 선택된 경우,
    실내 온도가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로 운용되고,
    실내 온도가 에너지 절약 쾌적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로 운용되는,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운용 모드로서 취침 모드가 선택된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냉방 에너지 절약 모드 또는 상기 난방 에너지 절약 모드로서 자동으로 운용되는,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운용 모드로서 환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양호하고 실외 온도가 기 설정된 쾌적범위 이내인 경우 환기 장치(410)가 작동하고,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불량하거나 실외 온도가 기 설정된 쾌적범위 밖인 경우 창호 개폐 장치(420)가 창호를 개방하는,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운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입출력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부(200)는 상기 (b) 단계에서 센싱된 실외 공기질, 실내 공기질, 실외 온습도 및 실내 온습도가 출력하는,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200)는 월패드(wall pad)로서 제공되는,
    시스템.
KR1020160158483A 2016-11-25 2016-11-25 재실자를 고려한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ctive KR101915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83A KR101915365B1 (ko) 2016-11-25 2016-11-25 재실자를 고려한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83A KR101915365B1 (ko) 2016-11-25 2016-11-25 재실자를 고려한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965A KR20180059965A (ko) 2018-06-07
KR101915365B1 true KR101915365B1 (ko) 2018-11-07

Family

ID=6291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483A Active KR101915365B1 (ko) 2016-11-25 2016-11-25 재실자를 고려한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3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87775B1 (ko) * 2023-11-17 2025-03-3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제어 및 규칙기반 제어의 하이브리드 실내 환경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3168A (zh) * 2018-08-01 2020-02-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湿机的配置参数确定方法及装置
CN110230866A (zh) * 2019-06-11 2019-09-13 陕西大疆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室内的温湿度智能控制系统
KR102350973B1 (ko) * 2021-03-31 2022-01-17 주식회사 대림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경관리 방법
KR102383700B1 (ko) * 2021-03-31 2022-04-11 주식회사 대림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
KR102603645B1 (ko) * 2021-06-30 2023-11-17 주식회사 대림 거주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월패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457373B1 (ko) * 2022-04-13 2022-10-24 (주)아리산업 에너지 절약형 공공쉼터 시스템
KR102457365B1 (ko) * 2022-04-13 2022-10-25 (주)아리산업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EP4299999A1 (en) * 2022-06-29 2024-01-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n hvac system
KR102724838B1 (ko) * 2022-12-27 2024-11-04 주식회사 인테그라디앤씨 실내공기질 및 열환경의 동시 제어가 가능한 공기조화 시스템
KR20250069195A (ko) * 2023-11-10 2025-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4079A1 (ja) * 2013-09-09 2015-03-1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制御システム
KR101524735B1 (ko) 2014-04-10 2015-06-01 현대건설 주식회사 실내 오염도 제어, 엔탈피 제어 및 절전 운전 제어를 이용한 건물의 공조 제어 방법
JP2016017656A (ja) * 2014-07-04 2016-02-01 株式会社東芝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4079A1 (ja) * 2013-09-09 2015-03-1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制御システム
KR101524735B1 (ko) 2014-04-10 2015-06-01 현대건설 주식회사 실내 오염도 제어, 엔탈피 제어 및 절전 운전 제어를 이용한 건물의 공조 제어 방법
JP2016017656A (ja) * 2014-07-04 2016-02-01 株式会社東芝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87775B1 (ko) * 2023-11-17 2025-03-3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제어 및 규칙기반 제어의 하이브리드 실내 환경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965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365B1 (ko) 재실자를 고려한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915364B1 (ko)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CN104981667B (zh) 指示装置和空气调节系统
US93225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torized vent covering in an environment control system
KR101090170B1 (ko) 공조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이용하는 급기 전환 컨트롤러, 공조 제어 방법
CN103388879A (zh)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
KR101280661B1 (ko) 하이브리드 공조 방식을 갖는 실내기, 그리고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JP2009030956A (ja) エアコン設備調整・制御管理システム
CN106679079A (zh) 空调系统的控制方法及空调系统
CN109708262B (zh) 一种多媒体教室空调控制方法
CN108131789B (zh) 空调的换气控制方法及系统
WO2019100716A1 (zh) 一种机柜、机柜的运行控制方法和装置
CN103162373A (zh) 一种控制器、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2004301505A (ja) 空調制御装置
CN112032840A (zh) 嵌入式空调器及其出风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256781B1 (ko) 간접 부하 제어 모드를 갖는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CN104833040A (zh) 空调系统的温度控制方法及温控器
JP2000088316A (ja) 設定温度決定装置、空気調和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5318487A (zh) 空调器控制方法及空调器控制系统
KR20180121213A (ko) 건물 에너지 효율 등급과 연계한 부하 예측 기반 빌딩 제어 장치
JP2005147563A (ja) 排気制御装置
KR101919824B1 (ko)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
JP2013221725A (ja) 建物の温度調整システム
JPH0618072A (ja) 空気調和機
KR100826931B1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1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9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3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