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4937B1 - A Danger point sign device for Underwater Worker - Google Patents

A Danger point sign device for Underwater Wor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937B1
KR101914937B1 KR1020170084848A KR20170084848A KR101914937B1 KR 101914937 B1 KR101914937 B1 KR 101914937B1 KR 1020170084848 A KR1020170084848 A KR 1020170084848A KR 20170084848 A KR20170084848 A KR 20170084848A KR 101914937 B1 KR101914937 B1 KR 101914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witch
conductivity
water
pressure
switch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8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미자
김소연
최재석
장필성
Original Assignee
(주)대양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전자 filed Critical (주)대양전자
Priority to KR1020170084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9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93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의 깊이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수압 및 전도도를 자동으로 감지(측정)하여 감지값(측정값)이 수압 및 전도도의 각 설정갑보다 클 경우에 위급상황이 자동으로 감지되어 부이를 자동으로 팽창시키고 위험사실을 외부에 알리도록 된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방법 및 사고위치표시장치이다.
본 발명은, 수시로 수중과 수면을 왕복하는 수중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중작업자가 위치하고 있는 수압과 전도도를 측정하여 수중작업자가 수중 또는 수면에 위치한 것을 파악하고, 특히 수압측정방법 및 전도도 측정 두 가지의 측정방법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적절히 조합 및 보완하여 줌으로써 매우 높은 신뢰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수압측정방법 및 전도도 측정 방식 두 가지를 동시에 적용하고, 두 가지 방식을 하나의 모듈로 구현(실시)하며, 사고 시에는 수면으로 부상하여 사고를 표시하고 사고자가 의탁하게 되는 부이도 일체형으로 형성(제작)하여 줌으로써, 수중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스위치 및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용 사고위치표시장치를 착용 할 때에는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가 불필요하고 신체에 별도의 장치를 추가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도도측정값이 프로그램된 설정치를 만족하고 압력스위치가 일정이상의 압력을 만족하여야 한다는 두 가지 조건이 동시에 충족하여야 작동(동작)하므로 사용 시 오동작이 거의 없어 열악한 환경에서 조업하는 어선원들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enses (measures) the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that depend on the depth of water and automatically detects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sensing value (measurement value) is larger than the respective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degrees. And to indicate the accident location of the diving operator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conductivity to inform the outside of the dangerous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water pressure and conductivity at which an underwater worker is located in order to grasp the position of an underwater worker moving back and forth between water and water from time to time and grasps that an underwater worker is located in water or water, The method of measuring branches h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so it can be highly reliable by combining and complementing them appropriatel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both the water pressure measurement method and the conductivity measurement method at the same time, implements the two methods as one module, displays the accident by surfacing at the water surface in case of an accident, When an underwater worker wears a water pressur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for a diving worker using conductivity, a separate additional device is not necessary and a separate device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body It is very easy to use that you do not have to.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the two conditions that the conductivity measurement value satisfies the programmed set value and the pressure switch must satisfy the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at the same time so that there is little malfunction in use and fishermen operating in a harsh environment It can be very useful.

Figure R1020170084848
Figure R1020170084848

Description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A Danger point sign device for Underwater Work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ccident location of a diving operator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본 발명은 해녀 및 잠수사와 같은 수중작업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수압 및 전도도에 의해 위급상황이 자동으로 감지되어 부이가 자동으로 팽창되도록 하고 위험사실을 외부에 알리도록 하는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by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o an underwater worker such as a sea lion or a diver using water pressure and conductivity to cause the buoy to be automatically inflated, To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for a diving operator.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수중의 깊이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수압 및 전도도를 자동으로 감지(측정)하여 감지값(측정값)이 수압 및 전도도의 각 설정갑보다 클 경우에 위급상황이 자동으로 감지되어 부이를 자동으로 팽창시키고 위험사실을 외부에 알리도록 하는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i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If the sensing value (measured value) is larger than the respective set pressure of water pressure and conductivity, the emergency situation is automatically detected And to provide a device for indicating an accident location of a diving operator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to automatically inflate the buoy and inform the outside of the risk.

수중잠수작업자(해녀, 잠수부 등)는 작업의 형태에 따라 일정시간을 주기로 수표면과 수중을 왕복하여 오가며 작업을 실시한다. 일반인 작업자가 수중에 머무는 평균 시간은 산소통을 착용을 착용한 경우에는 대체로 15분 정도이고, 무 산소 작업하는 해녀의 경우에는 평균 40초에서 2분 정도로 알려져 있다.Underwater diving workers (diving women, divers, etc.) carry out work by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water surface and water in a certain period of time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The average time for a general worker to stay in the water is about 15 minutes when wearing an oxygen tank, and about 40 seconds to 2 minutes when an oxygen free worker is working.

수중에서 작업하는 수중작업자는 작업환경의 특성상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파고 등으로 인하여 주변인의 발견이 극히 어렵고, 따라서 자력으로 사고 상황을 탈출하거나 적극적인 방법으로 주변의 도움을 요청하여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Underwater workers working underwater are very difficult to find near by due to the digging when an accident occurs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environment. Therefore, it is common to escape the accident situation by themselves or to request help from the surrounding area in an aggressive manner.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은 수중에서 주변 동료 작업자에게 구조신호를 보내는 방법과 수표면 위로 사고 발생을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In case of an accident, there is a method to send a rescue signal to a fellow worker in the water and to indicate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on the water surface.

수중에서 사고를 알리거나 표시의 경우에는 수중에서 사람의 시각과 청각 식별능력이 저하되는 특성을 고려할 때 정확한 사고 지점의 탐색이 극히 어렵고, 따라서 사고인과 사고지점을 탐색 및 확인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person's visual and auditory discrimination ability is degraded in the water in case of notifying or reporting an accident in the water, it is very difficult to search the exact point of accident, and therefore it takes a lot of time to search and check the point of accident and accident do.

이러한 상황(사고인과 사고지점을 탐색 및 확인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을 극복하기 위해서 작업자 상호간의 소통을 위하여 통신장비를 휴대하여 하는 문제가 있고, 깃발 등을 이용하여 표식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으나 해상 및 해저 지형의 특성상 특정한 물체를 식별 및 구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효율성이 떨어지는 폐단과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it takes much time to search and identify accident and accident points), there is a problem to carry communication equipm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workers, and a method of marking using flags may be considered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sea and seabed topography, it is not easy to identify and distinguish specific objects.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되는 것이 수면에 사고표시를 하는 것으로 잠수작업자가 자신의 작업구역에 부이를 전개시키는 것 등이 이에 속한다. 사고의 표시는 사고자가 스스로 사고표시장치를 전개시키거나 아니면 사전에 설정(입력)된 전자적인 프로그램의 절차에 따라 자동으로 사고를 표시하는 방법등을 들 수 있다. The relatively simple and inexpensive use of the dive operator in the work area by accident signs on the surface, such as the deployment of the buoy. An indication of an accident may include an accident manifesting itself by an accident manifestation device, or a method of automatically displaying an accident according to a pre-set electronic program procedure.

어떤 방법으로 사고를 표시하든지 공통된 주된 요구사항은 사고자의 위치를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Whichever way you mark an accident, a common main requirement is to be able to clearly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accidenter.

사고자가 자력 호흡이 불가능한 수중인지 아니면 수상으로 노출되어있는지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며, 또한 경고신호 장치의 주요 특성중 하나인 신호표시에 오류(오작동)가 없어야한다는 것이다. This is to clearly distinguish whether the accident is underwater or not exposed to water, which is impossible to breathe, and there should be no error (malfunction) in the signal indication, which i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warning signal device.

잦은 오류(오작동)신호는 장치의 신뢰를 떨어뜨려 사용자가 사용을 기피하는 현상을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구조의 오인으로 인해 실제 위험상황에서는 구조자들이 이러한 실제 위험상황을 간과해버리게 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Frequent errors (malfunctions) signals cause the device to become unreliable, which causes the user to avoid using them. In addition, the mistake of the structure may cause the rescuers to overlook this actual danger situation in actual risk situations. .

수중에서 작업하는 잠수(수중)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종래의 장치로서, 국내의 장치로는 공고실용신안 공고번호 실1985-0000181호(수중호홉보조장치), 공고실용신안 공고번호 실1989-0005063호(잠수용 부구의 급기장치),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 10-1998-0841951호(잠수용 기구), 등록특허 10-1353962호(공기흡입이 가능한 테왁) 등이 알려져 있고, 일본국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63116호와 일본국 공표특허공보 특표2010-519122호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097280호 등이 알려져 있다.As a conventional device for the safety of the submersible (underwater) worker working underwater, there are domestic devices such as the public new utility announcement number room 1985-0000181 (underwater assistance device), the public utility new announcement number room 1989-0005063 (Diving equipment),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1998-0841951 (diving equipment),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353962 (air suctionable teak)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263116,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0-519122,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097280 are known.

국내의 종래장치로서 공고실용신안 공고번호 실1985-0000181호(수중호홉보조장치)는, 물위에 뜨게 된 상자의 내부에 격실을 형성하여 좌우 양측 격실에는 고무로 된 공기튜브를 수장하고 중간격실에는 급기통과 수중공기 압축펌프를 장착하여 펌프로 공기를 튜브에 압축한 다음 공기튜브에 관접된 급기도관을 입에 물고 수중에서 호흡하면서 비교적 오래 잠수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하고 공기튜브의 공기를 모두 사용하면 물위로 올라와서 다시 수동공기 압축펌프로 공기튜브에 공기를 저장한 다음 사용하도록 된 것이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 무거워 용이하게 제조(생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구입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수중의 작업자가 공기를 주입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As a conventional domestic apparatus, the public utility model number 1985-0000181 (underwater breathing aid apparatus) forms a compartment inside a box floated on water, stores air tubes of rubber in both compartmen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t is equipped with air supply air pump to compress the air into the tube by the pump, and then the air supply conduit attached to the air tube is inserted into the mouth, so that it can work by diving for a comparatively long time while breathing in water. , The air is put into the air tube by a manual air compression pump and then used again. However, sinc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weight is heavy, it can not be easily manufactured (pro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a process of injecting air by an underwater worker can not be easily carried out.

공고실용신안 공고번호 실1989-0005063호(잠수용 부구의 급기장치)는, 바다 물위에 띄워 놓게한 부구와 잠수부가 잠수 헬멧에 공기 도관을 연결하되, 부구의 하부에는 수실을 형성하여 부구의 중심이 하부에 위치하여 부구가 넘어지지 않게하고 부구의 상부에는 여러개의 격판이 중첩된 급기실과 공기 및 물을 분리하는 기수 분리기를 형성하여 파도가 쳐도 바다물이 공기 도관으로 유입됨이 없어 대기의 공기의 자동 공급으로 원할하게 호흡하면서 잠수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는 단지 잠수부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공기공급장치에 불과하다.Notice The utility model announcement number 1989-0005063 (the supply device of the diving part) connects the air conduit to the submersible helmet and the diving part which makes the float and the diver float on the sea water, The upper part of the unit is provided with an air supply chamber in which a plurality of diaphragms are overlapped and a water separator for separating air and water so that the sea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air conduit even when the waves are struck, And it is merely an air supply device that allows air to be supplied to the diver.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 10-1998-0841951호(잠수용 기구)는, 부구가 중간에 결합된 중공파이프의 상단에는 수침투방지용 캡을 조립하고,중공파이프의 하단에는 플렉시블 호스를 연결하며, 플렉시블 호스의 하단에는 마스크를 연결하여, 작업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것으로, 이 역시 잠수부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공기공급장치에 불과하다.Open No. 10-1998-0841951 (a diving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a water permeation preventing cap is assembled to the upper end of a hollow pipe coupled in the middle of the port, a flexible hose is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hollow pipe, A mask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iaphragm, and the operator performs the operation while wearing the mask. This is also an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ir to the diver.

등록특허 10-1353962호(공기흡입이 가능한 테왁)는, 공기공급관의 중간에 테왁(부구)을 설치하여 테왁(부구)에 의해 공기공급관의 상단이 수면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공기공급관의 하단에는 선단에 마우스가 구비되는 호스를 연결하여, 작업자가 마우스를 물어 호홉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것이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353962 (air suctionable teak) is provided with a teak (middle part) in the middle of an air supply pip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surface by teak A hose with a mouse is connected to the tip, and the operator performs work while hitting the mouse by asking.

이들 종래의 장치들은 안전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이러한 상황을 외부에 전혀 알릴 수 없는 문제가 있다.These conventional devices have a problem in that when a safety accident occurs, such a situation can not be notified to the outside.

일본국의 장치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63116호(생체정보감시장치)는 저온의 심해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잠수심도 및 잠수시간 등에 따른 작업자의 생체주기를 감시하여 진동장치 등의 알림장치에 의해 위험상황을 알려주도록 된 것이다.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5-263116 (Bio-information Monitoring Device) monitors the worker's bio-cycle according to the depth of dive and the diving time of an operator working in the deep sea of low temperature, The device will inform you of the dangerous situation.

일본국 공표특허공보 특표2010-519122호(구명복)는, 구명복을 착용한(입은)상태에서 착용자의 잠수상태(잠수시간 등)를 감지하여 설정시간을 초과할 경우에 압축가스에 의해 구명복을 팽창시켜 수상으로 부상(뜨게)하게 하는 것이다.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0-519122 discloses a method for detecting a diving state (diving time, etc.) of a wearer in a state wearing (wearing) a life jacket, (Float) as a prime minister.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097280호(다이버용 안전 잠행감시장치)는 다이버에 이상이 발생한 취지를 부저 음 등으로 알리는 보음 장치를 구비하되, 잠행시간과 수심(잠행깊이) 및 신체 이상에 따른 신체의 온도 센서 등의 잠수 동작 감시 스위치를 이용하여 다이버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며 다이버의 신체의 이상 상태 발생을 통지하기 위한 초음파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통신장치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이다.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1-097280 (diver safety observer monitor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sound informing device for notifying a diver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a buzzer sound, And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 ultrasonic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acqui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diver using a diving operation monitoring switch such as a body temperature sensor and notifying occurrence of an abnormal state of the diver's body.

이들의 종래의 장치들은 수압 및 전도도(담수 또는 해수)에 의하지 않고 단지 수중작업자의 신체기능 또는 수심을 측정하여 구명장치 또는 알림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인지 기능에 한계가 있다.
These conventional devices are limited in their cognitive functions since they are intended to measure the body function or depth of water of an underwater worker not by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fresh water or seawater) but to operate a life preserver or a no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본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644382호(수중작업자의 위급상황 감지 및 알림장치)를 더욱 개선하여서 된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disadvantages, and to further improve the water pressure and the conductivity by the registered patent application No. 10-1644382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and notification device for underwater workers) And to provide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for a submerged worker.

본 발명은 수중의 깊이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수압 및 전도도를 자동으로 감지(측정)하여 감지값(측정값)이 수압 및 전도도의 각 설정갑보다 클 경우에 위급상황이 자동으로 감지되어 부이를 자동으로 팽창시키고 위험사실을 외부에 알리도록 하는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enses (measures) the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that depend on the depth of water and automatically detects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sensed value (measurement value) is larger than the respective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degrees. And to provide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for a diving operator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to inflate and inform the outside of a dangerous situation.

수압은 물의 무게를 이용하는 것으로, 수심 10M 마다 1기압 씩 증가하고, 1기압은 1.033227kgf/㎠로 수심에 따라 그 크기가 변화하며, 이 변화량을 측정하면 수중작업자의 수중 및 위치(깊이)여부를 확인 수 있다. The water pressure is increased by 1 atmospheric pressure per 10m depth and 1.0 atmospheric pressure is 1.033227kgf / ㎠, and its size changes according to the depth of water. By measuring this change amount, Can be confirmed.

전도도 이용방법은 전기의 흐름정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수중작업자가 위치한 수중에서는 전도도가 담수의 경우 수십 ㏀ 이하이고 해수의 경우 수 ㏀ 이하이며, 공기 중에 노출 시에는 수 ㏀ 이상이 된다. 이와 같은 전도도 변화를 측정하여 수중작업자의 수중에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Conductivity utilization is based on the degree of flow of electricity. Conductivity in water where underwater workers are located is less than several tens of kilohms in fresh water, less than several kilohms in seawater, and more than several kilohms in air. Such a change in conductivity can be measur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underwater operator in the water.

본 발명은, 가스가 충진된 카트리지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카트리지의 가스를 부이로 전이시켜 부이를 팽창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a solenoid of a cartridge filled with a gas is actuated to cause the gas of the cartridge to transfer to the annulus so as to expand the annulus;

수중작업자가 위치하는 수중의 깊이에 따라 변하는 수중의 현재수압이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하였을 때에 수압스위칭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수압측정공정; 수중작업자가 위치하는 수심의 전도도(담수의 경우 수십 ㏀ 이하, 해수의 경우 수 ㏀ 이하)가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하는지의 여부를 전도도측정장치에 의해 측정하는 전도도측정공정; 상기 수압측정공정과 전도도측정공정이 동시에 만족하였을 때에 상기 카트리지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카트리지에 충진된 가스를 부이에 충전시켜 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 hydraulic pressure measuring step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the hydraulic pressure switching device when the current hydraulic pressure in the water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water in which the underwater operator is located is increased beyond the set value; A conductivity measuring step of measuring, by a conductivity measuring apparatus, whether or not the conductivity of the water depth at which the water operator is located (several tens of kilohms or less in the case of fresh water and several kilohms or less in the case of seawater) Wherein when the water pressure measurement process and the conductivity measurement process are simultaneously satisfied, the solenoid of the cartridge is operated to fill the gas filled in the cartridge with water.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가스가 충진된 카트리지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카트리지의 가스를 부이로 전이시켜 부이를 팽창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olenoid of a cartridge packed with a gas, which is operated to expand the gas by transferring the gas of the cartridge to the buoy,

수중작업자가 위치하는 수중의 깊이에 따라 변하는 수압이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하였을 때에 자동으로 작동하는 수압스위치장치; 수중작업자가 위치하는 수중에서의 전도도(담수의 경우 수십 ㏀ 이하, 해수의 경우 수 ㏀ 이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전도도측정장치; 상기 수압스위치장치의 작동여부 및 전도도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전도도 값과 설정값(설정 전도도)을 비교하여 두 조건이 모두 만족 상태이면 상기 카트리지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부이를 팽창시키도록 하는 마이컴부: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A hydraulic pressure switch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rates when the hydraulic pressur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water in which the submersible operator is located exceeds a set value; A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for automatically measuring the conductivity (in the case of fresh water less than several tens of kilohms, and in the case of seawater, several kilohms or less) in the water in which the underwater operator is located; The microcomputer is configured to compare the conductivity value measured by the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with the set value (set conductivity) to determine whether the hydraulic pressure switch operates or not and to operate the solenoid of the cartridge to expand the buoy when both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ccident location of a diving operator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시로 수중과 수면을 왕복하는 수중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중작업자가 위치하고 있는 수압과 전도도를 측정하여 수중작업자가 수중 또는 수면에 위치한 것을 파악하고, 특히 수압측정방법 및 전도도 측정 두 가지의 측정방법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적절히 조합 및 보완하여 줌으로써 매우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수중작업자 위치 감지 센서의 제작이 가능한 수압 및 전도도 측정을 이용한 잠수작업자용 사고위치표시장치를 제공(구현)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water pressure and conductivity at which an underwater worker is located so as to grasp the position of an underwater worker in the water or the water surface in order to grasp the position of an underwater worker moving back and forth from time to time, And Conductivity Measurement There ar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of the two measurement method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for a diving worker using water pressure and conductivity measurement capable of manufacturing an underwater worker position detection sensor having a very high reliability (Implementation).

본 발명에 따른 수압 및 전도도 측정을 이용한 잠수작업자용 사고위치표시장치의 특징은, 수압측정방법 및 전도도 측정 방식 두 가지를 동시에 적용하고, 두 가지 방식을 하나의 모듈로 구현(실시)하며, 사고 시에는 수면으로 부상하여 사고를 표시하고 사고자가 의탁하게 되는 부이도 일체형으로 형성(제작)하여 줌으로써, 수중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스위치 및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용 사고위치표시장치를 착용 할 때에는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가 불필요하고 신체에 별도의 장치를 추가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for a diving operator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of the water pressure measurement method and the conductivity measurement method are applied simultaneously and the two methods are implemented as one module, When an underwater worker wears a water pressur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for a diving worker using conductivity, by forming (making) a buoy, which floats up to the surface of the water, It is very easy to use,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additional device a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device in the body.

특히, 종래에는 어선원들의 경우 선상에서 주 작업이 실시되지만 파도 및 젖은 어구 등으로 인하여 항상 해수에 노출되는 센서가 수분에 노출되거나 젖으면 즉시 동작하는 일반의 자동 팽창구명조끼는 안전 상황에서도 불시에 작동하여 오히려 위험을 가중시키는 경우가 있어 선상에서 사용에 많은 제한이 따른다. Particularly, in the past, the main operation is carried out on the ship in the case of the fishermen, but the automatic expansible life vest which is immediately operated when the sensor exposed to the seawater is exposed to moisture or is wetted by waves and wet fish,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e use of the ship because it may increase the risk.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수압스위치 및 전도도(담수 또는 해수의 매우 높은 전도도를 측정)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용 사고위치표시방법 및 사고위치표시장치기는, 전도도측정값이 프로그램된 설정치를 만족하고 압력스위치가 일정이상의 압력을 만족하여야 한다는 두 가지 조건이 동시에 충족하여야 작동(동작)하므로 사용 시 오동작이 거의 없어 열악한 환경에서 조업하는 어선원들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the accident location display method and the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for a diving operator using the water pressure switch and the conductivity (measuring a very high conductivity of fresh water or sea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tisfy the set programmed conductivity value and the pressure switch It is very useful to use fishermen who operate in harsh environments because there is no malfunction when using it.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가스가 충진된 카트리지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카트리지의 가스를 부이로 분사시켜 부이를 팽창시키고, 동시에 엘이드(LED)를 발광시키도록 하되, 상기 부이가 수납된 부이수납가방의 표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한 수압센싱장치부이 수압스위치장치, 수중작업자가 위치하는 수중의 깊이에 따라 변하는 수압이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하였을 때에 자동으로 작동하는 수압스위치장치, 수중작업자가 위치하는 수중에서의 전도도(담수의 경우 수십 ㏀ 이하, 해수의 경우 수 ㏀ 이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전도도측정장치, 상기 수압스위치장치의 작동여부 및 전도도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전도도 값과 설정값(설정 전도도)을 비교하여 센서입력회로에서 입력되는 두 조건이 모두 만족 상태이면 상기 카트리지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부이를 팽창시키도록 하는 마이컴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The solenoid of the cartridge filled with the gas is actuated to inject the gas of the cartridge into the bag to inflate the bag and at the same time to light the LED, A water pressure switch device installed in the water pressure switch device, a water pressure switch device which is automatically operated when the water pressure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water in the underwater worker is increased above the set value, the conductivity in the water where the underwater worker is located , The conductivity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and the set value (set conductivity)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ensor input If both conditions entered in the circuit are satisfied, the solenoid of the cartridge is actuated to inflate the annulus And a microcomputer section for controlling the microcomputer section.

상기 수압센싱장치부이 수압스위치장치는;
부이수납가방의 외면에 상부가 개방형으로 된 압력스위치케이스의 밑면을 접착제 또는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장착)시킨 것과;
상기 압력스위치케이스의 상부(개방부)와 외면에는 고무 또는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다이아프레임을 씌워 결합시키되 압력스위치케이스의 측판 외면과 다이아프레임의 측판 내면을 밀폐되게 결합시킨 것과;
상기 압력스위치케이스의 내부에서 압력스위치케이스의 밑면 상측에는 각종 전자부품이 식설된 회로기판을 고정 설치한 것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측(상면) 중앙에는 압력스위치를 설치(장착)한 것과;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판(평판)의 밑면(내면)에는 역원뿔형으로 된 압력판을 일체로 고정하되, 압력판의 중앙 하단(첨예부)이 압력스위치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The hydraulic pressure sensing device sub-hydraulic pressure switch device includes: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is integrally fixed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oy storage bag by an adhesive or fixing means;
The upper portion (open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are covered with a diaphragm formed of rubber or soft synthetic resi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and the side plate of the diaphragm are hermetically sealed.
A circuit board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installe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id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inside the pressure switch case;
A pressure switch is installed (mounted) on the upper sid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The diaphragm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verted conical pressure plate is integrally fixed to a bottom surface (inner surface) of an upper plate (flat plate), and a lower central portion (pointed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is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pressure switch. And to provide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for a diving operator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는, 수중의 깊이에 따라 달라지는 수압 및 전도도를 자동으로 감지(측정)하여 감지값(측정값)이 수압 및 전도도의 각 설정갑보다 클 경우에 위급상황이 자동으로 감지되어 부이를 자동으로 팽창시키고 위험사실을 외부에 알리도록 된 것이다.The apparatus for detecting an accident position of a diving operator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water pressure and a conductivity varying depending on the depth of water are automatically detected (measured), and the detected value In this case, the emergency situation is automatically detected, automatically inflating the buoy and informing the outside of the risk.

본 발명은, 수시로 수중과 수면을 왕복하는 수중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중작업자가 위치하고 있는 수압과 전도도를 측정하여 수중작업자가 수중 또는 수면에 위치한 것을 파악하고, 특히 수압측정방법 및 전도도 측정 두 가지의 측정방법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적절히 조합 및 보완하여 줌으로써 매우 높은 신뢰도를 가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water pressure and conductivity at which an underwater worker is located in order to grasp the position of an underwater worker moving back and forth between water and water from time to time and grasps that an underwater worker is located in water or water, The method of measuring branches h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so it can be highly reliable by combining and complementing them appropriately.

또 본 발명은, 수압측정방법 및 전도도 측정 방식 두 가지를 동시에 적용하고, 두 가지 방식을 하나의 모듈로 구현(실시)하며, 사고 시에는 수면으로 부상하여 사고를 표시하고 사고자가 의탁하게 되는 부이도 일체형으로 형성(제작)하여 줌으로써, 수중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스위치 및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용 사고위치표시장치를 착용 할 때에는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가 불필요하고 신체에 별도의 장치를 추가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both the water pressure measurement method and the conductivity measurement method at the same time, implements the two methods as one module, displays the accident by surfacing at the water surface in case of an accident, When an underwater worker wears a water pressur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for a diving worker using conductivity, a separate additional device is not necessary and a separate device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body It is very easy to use that you do not have to.

또한 본 발명은, 전도도측정값이 프로그램된 설정치를 만족하고 압력스위치가 일정이상의 압력을 만족하여야 한다는 두 가지 조건이 동시에 충족하여야 작동(동작)하므로 사용 시 오동작이 거의 없어 열악한 환경에서 조업하는 어선원들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the two conditions that the conductivity measurement value satisfies the programmed set value and the pressure switch must satisfy the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at the same time so that there is little malfunction in use and fishermen operating in a harsh environment It can be very usefu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를 보인 평면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의 작동 원리를 보인 블록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에서 전도전극단자과 압력스위치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의 전자적 기능을 보인 사고위치표시장치회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에서 수압스위치장치를 발췌하여 구조보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의 사고위치표시장치회로도에서 수압센싱장치부와 마이컴부를 각각 발췌하여 보인 회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of a diving operator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A and FIG. 2B are views showing different embodiments of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for a diving operator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apparatus of a diving operator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of a conduction electrode terminal and a pressure switch in an accident position display device of a diving operator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ircuit diagram of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showing an electronic function of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of a diving operator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of a diving operator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circuit diagrams illustrating a hydraulic pressure sensing device and a microcomputer in a circuit diagram of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of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using a hydraulic pressure and a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1 to 6B illustrate concrete realization examples of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for a diving operator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 사고위치표시장치(1)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로서 부이가 수납된 부이수납가방(400)의 표면에 수압센싱장치부(100)의 수압스위치장치(10)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 사고위치표시장치(1)의 작동 원리를 보인 블록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 사고위치표시장치(1)에서 전도전극단자(31)과 압력스위치(15)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 사고위치표시장치(1)의 전자적 기능을 보인 사고위치표시장치회로도(1-1)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 사고위치표시장치(1)에서 수압센싱장치부(100)의 수압스위치장치(10)를 발췌하여 구조보인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 사고위치표시장치(1)의 사고위치표시장치회로도(1-1)에서 수압센싱장치부(100)와 마이컴부(200)를 각각 발췌하여 보인 회로도이다.
FIGS. 1, 2A and 2B are views showing different embodiments of a diving operator accident position display device 1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ydraulic pressure switch device 10 of the hydraulic pressure sensing device unit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FIG. FIG. 3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duction electrode terminal 31 and the pressure switch 1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diving operator accident position display device 1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4 is a circuit diagram (1-1) of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showing the electronic function of the accident worker position display apparatus 1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and 5B are diagrams Using water pressure and conductivity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 structure of the water pressure switch device 10 of the water pressure sensing device unit 100 taken in the water operator accident display device 1. Figs. The hydraulic pressure sensing device 100 and the microcomputer 200 are excerpted from the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circuit 1-1 of the position display device 1.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 사고위치표시장치(1)의 구성 및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diving operator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1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 사고위치표시장치(1)는 도 1과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이(500)가 수납된 부이수납가방(400)의 표면에 수압센싱장치부(100)의 수압스위치장치(10)를 설치하되, 상기 수압스위치장치(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였다.1 and 2A and 2B, the dive operator accident position display device 1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water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uoy storage bag 400 in which the buoy 500 is housed, The water pressure switch device 10 of the sensing device unit 100 is installed so that the water pressure switch device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부이수납가방(400)은 통상적으로 장방형(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태로 형성(제조)하며, 부이수납가방(400)의 내부에는 부이(500)를 비롯하여 각종 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들이 수납(설치)하되, 부이수납가방(400)의 일부내면에는 부이(500)의 일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였으며, 부이수납가방(400)의 입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를 개방한 상태에서 부이(500)가 부이수납가방(4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완전히 팽창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buoy storage bag 400 is generally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r cuboid shape), and a buoy 500 and various devices (not specifically shown) are formed inside the buoy storage bag 400 A part of the buoy 500 is integrally formed on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uoy storage bag 400 and the buoy storage bag 400 is opened by opening the inlet (not specifically shown) of the buoy storage bag 400, (5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uoy storage bag (400) and can be fully expanded.

상기 부이수납가방(400)의 표면에 설치되는 수압센싱장치부(100)는 수압스위치장치(10)가 부이수납가방(4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였으며, 상기 수압스위치장치(10)는 원형 또는 장방형의 형상(형태)으로 형성하되 착용자(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The water pressure sensing device unit 100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buoy storage bag 400 is installed such that the water pressure switch device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uoy storage bag 400. The water pressure switch device 10 has a circular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shape), but it can be optimiz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arer (user).

상기 부이수납가방(400)의 내부에 설치(장착)되는 부이(500)는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장방형(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태로 형성하되 착용자(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고 최적화시켜 적어도 8㎏ 이상의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buoy 500 installed in the buoy storage bag 4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le or a rectangle (square or rectangular) as illustrated in FIG. 3C, So that at least 8 kg of buoyancy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 사고위치표시장치(1)는, 기구적으로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압센싱장치부(100)와 마이컴부(200) 및 가스충진부(300)로 크게 구분하여 구성(형성)하였고, 전자적(전기적)으로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고위치표시장치회로도(1-1)로 구성하였다.The dive operator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1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ed such that the hydraulic pressure sensing device 100, the microcomputer 200, and the gas filling part 200, as illustrated in FIGS. 3A and 3B, (Electrically) formed by a circuit diagram (1-1) of an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as illustrated in FIG. 4.

상기에서 수압센싱장치부(100)는 수압스위치장치(10)와 전도도측정장치(30) 및 센서입력회로(110)로 구성하였다.The hydraulic pressure sensing device 100 includes the hydraulic pressure switch 10, the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30, and the sensor input circuit 110.

상기 수압스위치장치(10)는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이수납가방(500)의 일면에 설치(장착)하되 부이(400)와 부이수납가방(500)가 일체형으로 접착(접속)되는 일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A and 5B, the water pressure switch 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uoy storage bag 500, but the buoy 400 and the buoy storage bag 500 are integrally bonde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t on one surface.

상기 수압스위치장치(1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The hydraulic pressure switch device 10 is formed as follows.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실시 예는 부이수납가방(500)의 외면에 상부가 개방형으로 된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밑면을 고정(장착)시키는 상태를 보인 각기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이다.5A and 5B illustrate different embodiments in which a bottom surface of a pressure switch case 12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is fixed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a buoy storage bag 500. [

도 5a는 접착제(17)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부이수납가방(500)의 외면에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밑면을 고정(장착)시킨 상태이다.5A is a stat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12 is fixed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oy storage bag 500 by an adhesive means such as an adhesive 17.

도 5b는 부이수납가방(500)의 외면에는 상부가 개방형으로 된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밑면을 고정(장착)시키는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 예의 예시도로서, 상기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밑면 중앙부와 부이수납가방(500)에는 구멍을 형성하고,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중앙선상이 볼트중앙홀(20-1)로 된 볼트(20)에 와샤(22)를 끼운 상태에서 볼트(20)를 부이수납가방(500)의 내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구멍에 끼워 주며,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내부에서 너트(21)를 결합시켜 볼트(20)를 부이수납가방(500)과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밑면 중앙에 고정시킨 상태이다.5B shows an example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a pressure switch case 12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oy storage bag 500.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12 Holes ar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buoy storage bag 500 and the bolts 20 are inserted into the bolts 20 having the threaded porti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the center line of the bolt holes 20-1, And the bolts 20 are inserted into the buoy storage bag 500 and the pressure switch case (not shown) by inserting the nuts 21 in the pressure switch case 12 into the holes in the outside of the buoy storage bag 500, 12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상기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이수납가방(500)의 외면에 상부가 개방형으로 된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밑면을 고정(장착)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상부(개방부)와 외면에는 고무 또는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다이아프레임(11)을 씌워 결합시키되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측판 외면과 다이아프레임(11)의 측판 내면을 밀폐되게 결합시켰고, 상기 다이아프레임(11)은 상판(평판)의 가장자리에는 환상요홈(11-1)을 형성하여 다이아프레임(11)은 상판(평판)이 원활하게 작동(상하작동)되도록 하였다.5A and 5B,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12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oy storage bag 500,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of the diaphragm 11 are hermetically sealed with the diaphragm 11 formed of rubber or soft synthetic resin, The frame 11 has an annular groove 11-1 at the edge of the upper plate so that the diaphragm 11 can smoothly operate the upper plate.

상기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내부에서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밑면 상측 (도 5a) 또는 너트(2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볼트(20)의 상단(도 5b)에는 각종 전자부품이 식설된 회로기판(15)을 고정 설치하였고, 회로기판(15)의 상측(상면) 중앙에는 압력스위치(14)를 설치(장착)하였다.5A) of the pressure switch case 12 or the upper end (FIG. 5B) of the bolt 20 protru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nut 21 in the pressure switch case 12 is provided with various electronic parts The circuit board 15 was fixed and a pressure switch 14 wa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5.

상기 다이아프레임(11)은 상판(평판)의 밑면(내면)에는 역원뿔형으로 된 압력판(13)을 일체로 고정하되, 압력판(13)의 중앙 하단(첨예부)이 압력스위치(14)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다이아프레임(11)의 상판(평판)이 수압에 의해 압착되거나 압착이 해제될(하향 또는 상향)때에 압력판(13)의 중앙 첨예부가 압력스위치(14)를 ON/OFF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The diaphragm 11 integrally fixes the pressure plate 13 having an inverted conical shape on the bottom surfac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flat plate) The central pointed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13 turns on / off the pressure switch 14 when the upper plate (flat plate) of the diaphragm 11 is pressed by the water pressure or the pressure is released (downward or upward) .

수압은 기압으로 표시되는데 수심 10m 마다 1기압씩 비례하여 증가한다. 1기압은 1.033227kgf/㎠ 로 수심 10m의 깊이에서는 1㎠ 당 2.06kg의 압력을 받는다. The water pressure is indicated by the atmospheric pressure, which increases in proportion to one atmospheric pressure every 10 m. 1 atmospheric pressure is 1.033227kgf / ㎠, and at a depth of 10m depth, it receives pressure of 2.06kg per 1cm2.

본 발명의 압력스위치장치(10)에서 다이아프레임(11)의 직경을 대략 6㎝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면적으로 환산하면 3㎝ × 3㎝ × 3.14 = 28.26㎠ 가 된다. 만약 이 압력스위치장치(10)가 수심 10m 에 위치하게 되면 센서 전체 수압은 2.06 × 28.26 = 58.21㎠ 가 되며, 여기에서 대기압 1기압의 1.033227kgf/㎠ 를 공제하면 29.19kg의 압력이 이론적 수치로 관측된다. In the pressure switch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diaphragm 11 is approximately 6 cm, which is 3 cm x 3 cm x 3.14 = 28.26 cm 2 in terms of area. If the pressure switch device 10 is located at a depth of 10 m, the total water pressure of the sensor becomes 2.06 × 28.26 = 58.21 cm 2, where the pressure of 29.19 kg is subtracted from the pressure of 1.033227 kgf / do.

본 발명에 따른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 사고위치표시장치(1)에서는 동작 시작 수심을 0.5 ~ 1.5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수심 1m는 육안 관측이 가능하고, 잠수작업자 중 해녀의 경우 테왁에 의탁하여 주기적으로 휴식을 할 때에 허리를 기준으로 하는 수심이 0.5m 정도이며, 이와 같은 수심 0.5m에 공차 100%를 적용하여 동작 시작 수심을 0.5 ~ 1.5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ving operator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1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operation start water depth to 0.5 to 1.5 m. The reason is that the depth of 1m can b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and when the diving worker is resting periodically with Taekwag, the water depth based on the waist is about 0.5m and 100% tolerance is applied to the water depth of 0.5m So that the operation start water depth is preferably 0.5 to 1.5 m.

잠수작업자 사고위치표시장치(1)의 동작 시작 수심을 1m로 설정하였을 때의 수압은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The water pressure when the operation start water depth of the diving operator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1 is set to 1 m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물 1ml의 무게를 1g이라고 전제하면, 수심1m 면적 28.26㎠ 의 물 전체 무게는 28.26 ㎠ × 1m = 2826g 이다. 즉 수심1m 에서 다이아프레임(11)에 인가되는 무게는 2826g이며, 이는 수심에 비례하여 증감하게 된다. Assuming that the weight of 1 ml of water is 1 g, the total weight of water having a depth of 1 m and an area of 28.26 cm 2 is 28.26 cm 2 x 1 m = 2826 g. That is, the weight applied to the diaphragm 11 at a water depth of 1 m is 2826 g, which increases or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water depth.

다이아프레임(11)에 인가된 압력은 다이아프레임(11)을 압착(하향)하며 이때 다이아프레임(11)에 장착되어 있는 압력판(13)도 같이 밑으로 밀려난다.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iaphragm 11 presses the diaphragm 11 downward and the pressure plate 13 attached to the diaphragm 11 is also pushed downward.

압력판(13)이 밀려나면(하향하면) 압력판(13)의 하측에 설치된 압력스위치(14)가 눌려지면서 압력스위치(14)는 온(on)된다. 작동압력은 다이아프레임(11)의 인장력과 직경 그리고 압력스위치(14)의 스프링(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한다.When the pressure plate 13 is pushed (downward), the pressure switch 14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ressure plate 13 is pressed and the pressure switch 14 is turned on. The operating pressure is determined by the tensile force and diameter of the diaphragm 11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not specifically shown) of the pressure switch 14.

상기 부이수납가방(500)의 외면에 설치(장착)된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측면에는 전도도측정장치(30)를 설치하였다.A conductivity meter 3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12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oy storage bag 500.

상기 전도도측정장치(30)는 한 쌍의 전도전극단자(31)를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측면에 서로 이격시켜 장착하되 다이아프레임(11)이 씌워지지 않은 이격시켜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측면 하단부에 바람직하게는 5 ~ 8 ㎝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장착(설치)하였다.The conductivity measuring apparatus 30 is configured such that a pair of conductive electrode terminals 31 are mou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1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paced apart without covering the diaphragm 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interval of preferably 5 to 8 cm)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rface.

상기 한 쌍의 전도전극단자(31)는 담수 및 해수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백금도금전극으로 형성하였으며, 전도전극단자(31)는 직경을 4 ~ 10mm의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air of conductive electrode terminals 31 are formed of stainless steel or platinum-gold electrodes usable in both fresh water and seawater, and the conductive electrode terminals 31 are formed in a circle having a diameter of 4 to 10 mm.

각 전도전극단자(31)은 압력스위치케이스(12)의 내부에서 회로기판(15)에 식설되는 센서입력회로(110)의 입력센서(SEN: 11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였다.Each conductive electrode terminal 3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ensor SEN 111 of the sensor input circuit 110 which is staked on the circuit board 15 inside the pressure switch case 12. [

상기 입력센서(SEN: 111)는 압력스위치장치(10)와 전도도측정장치(30)를 모두 사용하게 되며,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압력스위치장치(10)와 전도도측정장치(30)의 각 출력은 직렬로 연결하였다.The input sensor SEN 111 uses both the pressure switch device 10 and the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30 so that the pressure switch device 10 and the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30 The outputs are connected in series.

도 6a는 수압센서장치부(110) 중에서 센서입력회로(110)와 관련 부분을 도식한 것이다. FIG.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related to the sensor input circuit 110 among the hydraulic pressure sensor unit 110. FIG.

전도도는 잠수작업자가 위치한 곳의 상태에 따라 차이가 크며,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잠수작업자사고위치표시장치(1)를 보관할 때에 높은 습도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The conductivity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place where the diving operator is located. In addition, when the diving operator accident position indica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the conductivity may be exposed to high humidity.

일부제품에서는 센서의 오류로 인하여 장치를 동작시켜 재사용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정상상태에서 작동하여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경우도 배제할 수 없다. In some products, it is not possible to exclude cases in which the device is operated due to sensor error, making it impossible to reuse or operating in a normal state to cause safety accident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잠수작업자사고위치표시장치(1)에서는 전도도 측정을 전압 비교기(U2: 컴퍼레이터 comparator)를 사용하여 전도도의 불균형으로 인한 센서 오류를 해소하였다.Therefore, in the diving operator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comparator (U2: comparator comparator) is used to measure the conductivity, thereby eliminating the sensor error due to unbalanced conductivity.

본 발명에 따른 잠수작업자사고위치표시장치(1)에서 도 6a의 센서입력회로(110)는 크게 두 가지의 주지적인 특징이 있다. In the diving operator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input circuit 110 of FIG. 6A has two main characteristics.

이는 트랜지스터(Q2)를 중심으로 하는 전압 비교기(U2: 컴퍼레이터 comparator)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분과, 전도도를 측정하여 마이컴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압 비교기(U2: 컴퍼레이터 comparator)회로이다. This includes a power supply portion for supplying a voltage to a voltage comparator U2 (comparator comparator) centered on the transistor Q2, a voltage comparator U2 for measuring the conductivity and supplying power to the microcomputer 200, ) Circuit.

도 6a에 예시된 센서입력회로(11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sensor input circuit 110 illustrated in FIG. 6A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입력센서(111)에 전도도의 역 값인 저항값이 입력되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전류가 흐르고,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전류가 흐르면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전압이 나타나는데 에미터 전압은 베이스 전압 0.66V이다. When a resistance value which is a reverse value of the conductivity is input to the input sensor 111, a current flows through the base of the transistor Q2.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base of the transistor Q2, a voltage appears at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2, Is the base voltage 0.66V.

전압 비교기(U2: 컴퍼레이터 comparator)의 안전적 동작을 위해서는 최소 1V이상의 전압이 필요하며 본 센서입력회로(110)에서는 4.5V로 설계하였다. For safe operation of the voltage comparator (U2: comparator comparator), a voltage of at least 1V is required, and the sensor input circuit 110 is designed to have a voltage of 4.5V.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전압을 4.5V로 하려면, 베이스 전압은 4.5V + 0.66V = 5.16V가 필요한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을 5.16V 하는 센서의 저항 값은 9V × 1㏁/5.16V(R18) = 1.74㏁이며, 1.74㏁ - 1㏁(R18) - 400㏀(R17) = 340㏀ 이다. In order to set the emitter voltage of the transistor Q2 to 4.5 V, a base voltage of 4.5 V + 0.66 V = 5.16 V is require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nsor whose base voltage of the transistor Q 2 is 5.16 V is 9 V × 1 M / 5.16 V (R18) = 1.74 M OMEGA, and 1.74 M OMEGA - 1 M OMEGA (R18) - 400 OMEGA (R17) = 340 KM.

즉, 전도도의 역인 저항값이 340㏀ 이하면 전압 비교기(U2: 컴퍼레이터 comparator)에 4.5V의 전압을 공급한다. 전압이 공급된 전압 비교기(U2: 컴퍼레이터 comparator)는 입력 단자의 값이 + 입력 단자의 값보다 높으면 출력이 로우(low)가 되어 트랜지스터(Q3)를 온(on) 시킨다. That is, if the resistance value, which is the inverse of the conductivity, is 340k or less, a voltage of 4.5V is supplied to a voltage comparator (U2: comparator comparator). The voltage comparator U2 (comparator comparator) to which the voltage is supplied, when the value of the input terminal is higher than the value of the + input terminal, the output becomes low to turn on the transistor Q3.

전압 비교기(U2: 컴퍼레이터 comparator)가 트랜지스터(Q3)를 온(on)시키기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In order for the voltage comparator (U2: comparator comparator) to turn on the transistor Q3, the following condition must be satisfied.

입력센서(111)에 입력되는 전도도의 설정 값은 R19(5.11㏁)/R20(3.92㏁) = [전도도+ R3(27.4㏀)]/R4(1.02㏀)의 값을 기초로 한다. The set value of the conductivity inputted to the input sensor 111 is based on the value of R19 (5.11 MΩ) / R20 (3.92 MΩ) = [conductivity + R3 (27.4 k)] / R4 (1.02 k).

대략의 값은 [9V/(5.11㏁+3.92㏁)] × 3.92㏁ = 3.91V 이며 9V 3.91V = 5.09V 이고 5.09V * 1.02/3.91V = 1.33 이다. 1.33 - 27.4 = 1.06 이다. 입력센서(111)에서 입력되는 저항값이 1.06㏁ 이하면 즉시 동작한다. The approximate value is [9V / (5.11 M OMEGA + 3.92 M OMEGA)] 3.92 M OMEGA = 3.91 V, 9 V 3.91 V = 5.09 V, and 5.09 V * 1.02 / 3.91 V = 1.33. 1.33 - 27.4 = 1.06. If the resistance value input from the input sensor 111 is 1.06 M OMEGA or less, it immediately operates.

수식에서 밝힌바와 같이 저항(R4: 1.02㏁)의 값을 조절하면 입력센서(111)의 동작 전도도 값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특정장소에 특화된 매우 높은 신로도를 가지는 동작센서(111)의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As described in the formula, by adjusting the value of the resistor R4 (1.02 M OMEGA), the operating conductivity value of the input sensor 111 can be adjusted and used.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motion sensor 111 having a very high new road specific to a specific place.

트랜지스터(Q3)는 PNP 타입의 트랜지스터로서, 베이스의 값이 0V 이면 트랜지스터(Q3)는 완전히 온(on)되어 스위치 동작을 한다. 트랜지스터(Q3)가 스위치 동작을 하면 배터리의 4.5V가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로 출력되고 마일러 콘덴서(C2)에 충전된 후 마이컴부(200)의 마이컴(210: U1)에 4.5V를 공급하여 마이컴(210: U1)을 동작시킨다.The transistor Q3 is a PNP type transistor. When the base value is 0V, the transistor Q3 is turned on completely to perform the switching operation. 4.5 V of the battery is output to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3 and charged to the mylar capacitor C2 and then 4.5 V is supplied to the microcomputer 210 of the microcomputer 200 And operates the microcomputer 210 (U1).

회로도 도 6b는 마이컴부(200)의 회로도이다. 6B is a circuit diagram of the microcomputer 200. Fig.

마이컴(210: U1)은 센서 입력시간을 측정하여 부이(500)를 전개시키는 카트리지(320)를 펀칭하는 솔레노이드(310)를 구동시키며, 배터리 전압측정 그리고 배터리 전압상태를 표시하는 엘이디 (LED)를 구동시킨다. The microcomputer 210 U1 measures the sensor input time and drives the solenoid 310 for punching the cartridge 320 for deploying the buoy 500 and measures the battery voltage and an LED .

마이컴부(200)는 마이컴(U1) 과 배터리 체크 회로(C4, R10, R11), 솔레노이드 출력회로(R12, R13, Q4, D3), 엘이디(230: L1, LED)의 구동회로(R9, R14, Q5, L1)로 구성하였다.The microcomputer unit 200 includes driving circuits R9 and R14 of the microcomputer U1, battery check circuits C4, R10 and R11, solenoid output circuits R12, R13, Q4 and D3, , Q5, and L1).

입력센서(111)가 작동하여 마이컴부(200)에 전압이 공급되면 마이컴부(200)는 배터리 전압을 측정한다. 배터리 전압은 마이컴(210: U1)의 아날로그단자(10번 단자)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When the input sensor 111 is activated and a voltage is supplied to the microcomputer unit 200, the microcomputer unit 200 measures the battery voltage. The battery voltage is measured using the analog terminal (terminal 10) of the microcomputer 210 (U1).

먼저 배터리 전압은 배터리 체크 회로(C4, R10, R11)에서 분할된다. 분할 전압은 [배터리 전압/(R10: 220㏀ + R11: 100㏀)] × (R11 100㏀)이다. 배터리 전압이 4.5V일 때 분할전압은 (4.5V/330㏀)×100㏀ = 1.36V이고, 배터리 전압이 4.0V일 때 분할전압은 (4.0V/330㏀)× 100㏀ = 1.21V이다. 마이컴(210: U1)에서는 분할전압이 1.21V 이하면 배터리 저전압으로 판정한다. First, the battery voltage is divided at the battery check circuits C4, R10, and R11. The divided voltage is [battery voltage / (R10: 220 k? + R11: 100?)] X (R11 100 k?). When the battery voltage is 4.5 V, the divided voltage is (4.5 V / 330 k?) X 100 k? = 1.36 V, and when the battery voltage is 4.0 V, the divided voltage is 4.0 V / In the microcomputer 210 (U1), if the divided voltage is 1.21 V or less, the battery low voltage is judged.

배터리 전압측정이 끝나면 그 결과에 따라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데 배터리 전압이 4.0V(분할전압 1.21V)보다 높으면 정상으로 엘이디(230: L1, LED)를 설정된 횟수(예컨데 2회) 점멸하고, 배터리 전압이 4.0V(분할전압 1.21V)이하면 배터리 저전압으로 판정하여 엘이디(230: L1, LED)를 설정된 횟수(예컨데 30회) 점멸하고 동작을 정지한다. When the battery voltage is measured, the battery status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When the battery voltage is higher than 4.0 V (split voltage 1.21 V), LED (230, LED, LED) flicker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wice) It is determined that the battery is low voltage and the LED (230, L1, LED) is turned off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30 times)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엘이디(L1: LED)를 이용한 배터리 상태표시가 끝나면 시간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이 설정 치와 같거나 높으면 사고표시 및 의탁용인 부이(500)를 전개시킨다. When the display of the battery status using the LED (L1: LED) is finished, the time is measured. If the measured valu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value, the buoy 500 for accident indication and maintenance is developed.

부이(500)의 전개는 카트리지부(300)의 솔레노이드(310)를 구동하여 솔레노이드(310)의 펀칭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으로 카트리지(320)를 강제로 개방시켜 카트리지(32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가스(이산화탄소)를 방출하여 실시한다.The expansion of the buoy 500 drives the solenoid 310 of the cartridge unit 300 to forcibly open the cartridge 320 to the punching pin of the solenoid 310 (Carbon dioxide) that is filled in the gas.

마이컴(210: U1)의 시간 설정값은 수초에서 수십분까지 설정할 수 있으므로사용자별, 사용 장소별 특화가 가능하다. 입력센서(111)의 동작시간이 설정치 이하에서 끝나면 마이컴(210: U1)은 리셋(Reset)되고 초기화된다.  Since the time setting value of the microcomputer 210 (U1) can be set from several seconds to several tens of minutes, it is possible to customize each user and each place of use. When the operation time of the input sensor 111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microcomputer 210 (U1) is reset and initialized.

이와 같은 동작은 잠수작업자가 센서 동작 설정시간이내에서는 무한 반복적으로 수중과 수면을 왕복하여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operation means that the diving operator is able to repeatedly perform the water and water repeatedly within the set time of the sensor operation.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잠수작업자사고위치표시장치 10: 수압스위치장치
11: 다이아프레임 12: 압력스위치케이스
13: 압력판 14: 압력스위치
15: 회로기판 30: 전도도측정장치
31: 전도전극단자 100: 수압센싱장치부
110: 센서입력회로 111: 입력센서
200: 마이컴부 210: 마이컴(U1)
220: 출력회로 230: 엘이디
300: 카트리지부 310: 솔레노이드
320: 카트리지
1: Diving operator accident location display device 10: Hydraulic switch device
11: diaphragm 12: pressure switch case
13: pressure plate 14: pressure switch
15: Circuit board 30: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31: conductive electrode terminal 100: water pressure sensing unit
110: sensor input circuit 111: input sensor
200: Microcomputer 210: Microcomputer (U1)
220: output circuit 230: LED
300: cartridge part 310: solenoid
320: Cartridge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가스가 충진된 카트리지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카트리지의 가스를 부이로 분사시켜 부이를 팽창시키고, 동시에 엘이드(LED)를 발광시키도록 하되, 상기 부이가 수납된 부이수납가방의 표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한 수압센싱장치부이 수압스위치장치, 수중작업자가 위치하는 수중의 깊이에 따라 변하는 수압이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하였을 때에 자동으로 작동하는 수압스위치장치, 수중작업자가 위치하는 수중에서의 전도도(담수의 경우 수십 ㏀ 이하, 해수의 경우 수 ㏀ 이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전도도측정장치, 상기 수압스위치장치의 작동여부 및 전도도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전도도 값과 설정값(설정 전도도)을 비교하여 센서입력회로에서 입력되는 두 조건이 모두 만족 상태이면 상기 카트리지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부이를 팽창시키도록 하는 마이컴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압센싱장치부이 수압스위치장치는;
부이수납가방의 외면에 상부가 개방형으로 된 압력스위치케이스의 밑면을 접착제 또는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장착)시킨 것과;
상기 압력스위치케이스의 상부(개방부)와 외면에는 고무 또는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다이아프레임을 씌워 결합시키되 압력스위치케이스의 측판 외면과 다이아프레임의 측판 내면을 밀폐되게 결합시킨 것과;
상기 압력스위치케이스의 내부에서 압력스위치케이스의 밑면 상측에는 각종 전자부품이 식설된 회로기판을 고정 설치한 것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측(상면) 중앙에는 압력스위치를 설치(장착)한 것과;
상기 다이아프레임은 상판(평판)의 밑면(내면)에는 역원뿔형으로 된 압력판을 일체로 고정하되, 압력판의 중앙 하단(첨예부)이 압력스위치의 바로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
The solenoid of the cartridge filled with the gas is actuated to inject the gas of the cartridge into the bag to inflate the bag and at the same time to light the LED, A water pressure switch device installed in the water pressure switch device, a water pressure switch device which is automatically operated when the water pressure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water in the underwater worker is increased above the set value, the conductivity in the water where the underwater worker is located , The conductivity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and the set value (set conductivity)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ensor input If both conditions entered in the circuit are satisfied, the solenoid of the cartridge is actuated to inflate the annulus And a microcomputer section for controlling the microcomputer section.
The hydraulic pressure sensing device sub-hydraulic pressure switch device includes: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is integrally fixed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oy storage bag by an adhesive or fixing means;
The upper portion (open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are covered with a diaphragm formed of rubber or soft synthetic resi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and the side plate of the diaphragm are hermetically sealed.
A circuit board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installe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id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inside the pressure switch case;
A pressure switch is installed (mounted) on the upper sid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The diaphragm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verted conical pressure plate is integrally fixed to a bottom surface (inner surface) of an upper plate (flat plate), and a lower central portion (pointed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is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pressure switch. Indication of accident location of diving operator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conductivity.
청구항 3에 있어서, 수압센싱장치부이 전도도측정장치는;
한 쌍의 전도전극단자를 압력스위치케이스의 측면에 서로 이격시켜 장착하되 다이아프레임이 씌워지지 않은 이격시켜 장착(설치)한 것과;
각 전도전극단자는 압력스위치케이스의 내부에서 회로기판에 식설되는 센서입력회로의 입력센서(SEN)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것과;
상기 입력센서(SEN)는 압력스위치장치와 전도도측정장치를 모두 사용한 것과;
상기 압력스위치장치와 전도도측정장치의 각 출력은 직렬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
The hydraulic conductivity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ressure sensing device secondary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comprises:
A pair of conductive electrode terminals are mou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out covering the diaphragm;
Each conductive electrod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nput sensor (SEN) of a sensor input circuit provided in the circuit board inside the pressure switch case;
The input sensor SEN includes both a pressure switch device and a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Wherein the outputs of the pressure switch device and the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are connected in series, wherein the outputs of the pressure switch device and the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are connected in seri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3에 있어서, 부이수납가방의 외면에 상부가 개방형으로 된 압력스위치케이스의 밑면을 장착시키는 고정수단은;
압력스위치케이스의 밑면 중앙부와 부이수납가방에는 구멍을 형성한 것과;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중앙선상이 볼트중앙홀로 된 볼트를 부이수납가방의 내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구멍에 끼워 주고, 압력스위치케이스의 내부에서 나사부에 너트를 결합시켜 볼트를 부이수납가방과 압력스위치케이스의 밑면 중앙에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
[4] The bag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xing means for moun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on an outer surface of the buoy storage bag comprises: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and the buoy storage bag;
A bolt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a bolt center hole on the center line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hole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buoy storage bag and the nut is engaged with the threaded portion inside the pressure switch case, Which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diving operator.
청구항 3에 있어서, 다이아프레임은;
상판(평판)의 가장자리에 환상요홈을 형성하여 다이아프레임의 상판(평판)이 원활하게 상하작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diaphragm comprises:
And a top plate (flat plate) of the diaphragm is smoothly moved up and down by forming an annular groove at the edge of the upper plate (flat plate).
청구항 4에 있어서, 전도도측정장치의 한 쌍의 전도전극단자는;
압력스위치케이스의 측면 하단부에서 5 ~ 8 ㎝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장착(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air of conductive electrode terminals of the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comprises:
Wherein the pressure switch case is installed at a distance of 5 to 8 cm from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pressure switch case.
청구항 4에 있어서, 전도도측정장치의 한 쌍의 전도전극단자는;
담수 및 해수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백금도금전극으로 형성한 것과;
각 전도전극단자는 직경을 4 ~ 10mm의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과 전도도를 이용한 잠수작업자의 사고위치표시장치.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air of conductive electrode terminals of the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comprises:
Formed of stainless steel or platinum-gold electrodes usable in both fresh water and seawater;
Wherein each conductive electrode terminal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of 4 to 10 mm.
KR1020170084848A 2017-07-04 2017-07-04 A Danger point sign device for Underwater Worker Active KR1019149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848A KR101914937B1 (en) 2017-07-04 2017-07-04 A Danger point sign device for Underwater Wor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848A KR101914937B1 (en) 2017-07-04 2017-07-04 A Danger point sign device for Underwater Wor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937B1 true KR101914937B1 (en) 2018-11-08

Family

ID=6433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848A Active KR101914937B1 (en) 2017-07-04 2017-07-04 A Danger point sign device for Underwater Wor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93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0577A1 (en) * 2004-12-28 2006-07-06 Independent Administrative Institution, Japan Agency For Marine-Earth Science And Technology Sinkable float and method of using sinkable float
KR101502091B1 (en) * 2014-07-07 2015-03-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ward Location Display Using Separable Buoyanc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0577A1 (en) * 2004-12-28 2006-07-06 Independent Administrative Institution, Japan Agency For Marine-Earth Science And Technology Sinkable float and method of using sinkable float
KR101502091B1 (en) * 2014-07-07 2015-03-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ward Location Display Using Separable Buoyanc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592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early detection of drowning, especially for drowning, in order to protect against drowning accidents
CN101535120B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risk of drowning a person in water
US8122763B2 (en) Breathing gas supply visual broadcast apparatus
US8091422B2 (en) Breathing gas supply visual broadcast apparatus
US20150360759A1 (en) Safety Device and Inflating Apparatus Therefor
AU201126222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scuing a distressed diver
CN107215440B (en) Drowning-prevention lifesaving device
US20130171894A1 (en) Safety Device and Inflating Apparatus Therefor
US4800373A (en) Low pressure warning device for scuba divers
US20150314843A1 (en) Safety Device and Adapter Therefor
US20170109994A1 (en) Shock detector systems
KR101914937B1 (en) A Danger point sign device for Underwater Worker
CN205661636U (en) A water lifesaving device
WO2009048569A1 (en) Optical display apparatus for breathing gas reserve in a tank
CN209080128U (en) A kind of anti-drowned device of sailor
KR101962905B1 (en) A time control type Timer Appratus
CN115133262A (en) A safety communication device for water operation and its early warning method
CN206087231U (en) Swimming pool help device and swimming pool SOS system
CN213535062U (en) Lifesaving floating ball with alarming and automatic inflation functions
KR200381824Y1 (en) Emergency automatic life saving tube
KR20200105454A (en) A Risk Signal Generator Having a Detachable Transmitter
KR100388360B1 (en) The alarm signal circuit for fireman
KR101644382B1 (en) An Emergency Situation Perception and Notifying Apparatus for Underwater Worker
RU205256U1 (en) Diver self-rescuer
CN108936860B (en) Vest type safe inflatable life j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