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695B1 - 파일의 기립상태가 개선된 날염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일의 기립상태가 개선된 날염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4695B1 KR101914695B1 KR1020170156460A KR20170156460A KR101914695B1 KR 101914695 B1 KR101914695 B1 KR 101914695B1 KR 1020170156460 A KR1020170156460 A KR 1020170156460A KR 20170156460 A KR20170156460 A KR 20170156460A KR 101914695 B1 KR101914695 B1 KR 1019146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fabric
- guide bar
- yarn
- knit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4
- 239000004922 lacqu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3/00—Shearing, clipping or cropping surfaces of textile fabrics; Pile cutting; Trimming seamed edg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날염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은 지조직이 5 바(bar) 조직으로 구성되어 파일사가 지조직에 단단히 고정되므로 지조직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지조직 상에서 기립상태를 좀 더 유지할 수 있으며, 파일 니트 원단을 날염하는 후가공 처리 후 파일사의 기립상태를 기준으로 파일사에 잔류하는 응력이 소멸하므로 파일사가 외력에 의해 쉽게 눕혀지지 않고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6에는 편직된 더블라셀 편물의 측면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7)
- 5-bar 조직으로 편직하여 2 개의 시트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되는 더블라셀 편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더블라셀 편지의 2 개의 시트 중간을 절단하여 각각의 시트로 이루어진 지조직 상에 연결사로 이루어진 파일사가 형성된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의 지조직이 형성된 면에서 파일사가 형성된 면으로 190~210 ℃의 열풍을 수직 통과시켜 텐터 가공하는 단계;
상기 텐터 가공된 파일 니트 원단을 날염하는 단계;
상기 날염된 파일 니트 원단을 170~180 ℃로 가열된 브러시를 이용하여 원단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빗질하여 기모처리하는 단계;
상기 기모처리된 파일 니트 원단을 150~160 ℃로 폴리싱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싱된 파일 니트 원단을 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조직은 75~150 데니어의 세미덜 연신가공사로 구성되고 상기 파일사는 50~100 데니어의 풀덜 편평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기립상태가 개선된 날염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더블라셀 편지는,
제1가이드바(L1)의 실이 1-0/-/0-1/- 및 3-2/-/2-3/-의 조직패턴으로 반복편성되고,
제2가이드바(L2)의 실이 4-3/-/0-1/- 및 8-7/-/4-5/-의 조직패턴으로 반복편성되며,
제3가이드바(L3)의 실이 2-3/1-0의 조직패턴으로 반복편성되고,
제4가이드바(L4)의 실이 -/4-3/-/0-1 및 -/8-7/-/4-5의 조직패턴으로 반복편성되며,
제5가이드바(L5)의 실이 -/1-0/-/0-1 및 -/3-2/-/2-3의 조직패턴으로 반복편성된 형태로서,
상기 제1가이드바(L1)와 제2가이드바(L2)의 실이 서로 엮이어 하나의 시트를 형성하고 제4가이드바(L4)와 제5가이드바(L5)의 실이 서로 엮이어 다른 시트를 형성하며 제3가이드바(L3)의 실이 상기 2 개의 시트 가운데에서 이들을 연결하도록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기립상태가 개선된 날염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의 길이는 10~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기립상태가 개선된 날염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터 가공하는 단계는 지조직을 상부에 위치시키고 파일사를 지조직의 하방향으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열풍을 원단의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기립상태가 개선된 날염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모처리는 파일사가 원단 진행방향의 반대방향 지조직을 기준으로 110~130°로 기립되도록 빗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기립상태가 개선된 날염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링하는 단계 이후에, 폴리싱하는 단계와 샤링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의 기립상태가 개선된 날염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6460A KR101914695B1 (ko) | 2017-11-22 | 2017-11-22 | 파일의 기립상태가 개선된 날염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6460A KR101914695B1 (ko) | 2017-11-22 | 2017-11-22 | 파일의 기립상태가 개선된 날염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4695B1 true KR101914695B1 (ko) | 2018-11-05 |
Family
ID=6432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6460A Active KR101914695B1 (ko) | 2017-11-22 | 2017-11-22 | 파일의 기립상태가 개선된 날염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4695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706132C1 (ru) * | 2019-05-07 | 2019-11-14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текс" (ООО "Протекс") |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орсовых трикотажных полотен |
KR102118459B1 (ko) * | 2019-01-04 | 2020-06-03 | 신일호 | 해충 방지용 의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137341B1 (ko) * | 2019-12-27 | 2020-07-23 | 최유진 | 차량 세차용 원단의 제조방법 |
KR102197051B1 (ko) * | 2019-09-19 | 2020-12-31 | 장호종 | Furggy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40009134A (ko) * | 2022-07-13 | 2024-01-22 | 김진우 | 털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털끈 |
KR20240082319A (ko) * | 2018-12-31 | 2024-06-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12864A (ja) | 2001-01-15 | 2002-07-31 | Otsu Keori Co Ltd | カットパイル編地とその製造方法 |
KR101222658B1 (ko) | 2011-11-25 | 2013-01-17 |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 로하스타입 복합기능성 양면 폴라플리스 환편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478251B1 (ko) | 2013-11-25 | 2014-12-31 | 주식회사 신창무역 | 파우더 퍼프 및 그 제조방법 |
KR101726859B1 (ko) | 2016-04-29 | 2017-04-13 | 김원수 | 부직포용 고정수단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7
- 2017-11-22 KR KR1020170156460A patent/KR10191469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12864A (ja) | 2001-01-15 | 2002-07-31 | Otsu Keori Co Ltd | カットパイル編地とその製造方法 |
KR101222658B1 (ko) | 2011-11-25 | 2013-01-17 |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 로하스타입 복합기능성 양면 폴라플리스 환편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478251B1 (ko) | 2013-11-25 | 2014-12-31 | 주식회사 신창무역 | 파우더 퍼프 및 그 제조방법 |
KR101726859B1 (ko) | 2016-04-29 | 2017-04-13 | 김원수 | 부직포용 고정수단 및 이의 제조방법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82319A (ko) * | 2018-12-31 | 2024-06-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
KR102692368B1 (ko) | 2018-12-31 | 2024-08-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
KR102118459B1 (ko) * | 2019-01-04 | 2020-06-03 | 신일호 | 해충 방지용 의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
RU2706132C1 (ru) * | 2019-05-07 | 2019-11-14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текс" (ООО "Протекс") |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орсовых трикотажных полотен |
KR102197051B1 (ko) * | 2019-09-19 | 2020-12-31 | 장호종 | Furggy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137341B1 (ko) * | 2019-12-27 | 2020-07-23 | 최유진 | 차량 세차용 원단의 제조방법 |
KR20240009134A (ko) * | 2022-07-13 | 2024-01-22 | 김진우 | 털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털끈 |
KR102760877B1 (ko) | 2022-07-13 | 2025-02-03 | 김진우 | 털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털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4695B1 (ko) | 파일의 기립상태가 개선된 날염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 |
CA1207545A (en) | Double faced knit fabric and method | |
CN104131408B (zh) | 一种含棉经编面料及其加工方法 | |
US2839909A (en) | Knitted fabric | |
KR100906982B1 (ko) | 경편조직을 응용한 본딩 대체용 고감성 경편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09082768A (zh) | 一种涤纶经编素色面料及其生产方法 | |
JP5035693B2 (ja) | 起毛経編布帛 | |
KR101675587B1 (ko) | 번아웃 가공용 원단, 이의 제조방법 및 가공방법 | |
KR101703149B1 (ko) | 환편기를 이용한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 |
KR100856750B1 (ko) | 벨루어 섬유의 제조방법 | |
KR100919467B1 (ko) | 데님조 합성섬유 직물 | |
CN105286490B (zh) | 一种牦牛绒纤维编织地毯及编织方法 | |
KR100513900B1 (ko) | 폴리에스터 인조 스웨드의 제조방법 | |
JPH04327259A (ja) | 立体模様を有する布帛の製造方法 | |
KR101902797B1 (ko) | 의류용 4-Bar 스트레치 경편원단의 제조방법 | |
JP2010174417A (ja) | 立毛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H10137103A (ja) | 意匠性に優れたカーペットの製造方法 | |
JPH10140464A (ja) | 意匠性に優れた立毛繊維製品の製造方法 | |
CN222846954U (zh) | 一种色丝提花大格子法兰绒面料 | |
KR100533479B1 (ko) | 신축 회복성이 우수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트리코트 스웨드 직물 | |
KR101496770B1 (ko) | 에어쿠션원단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69220B1 (ko) | 니트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05710B1 (ko) | 파일 원단, 이를 포함하는 인조 가죽 또는 인조 모피 및 파일 원단의 제조방법 | |
KR101070754B1 (ko) | 네프사를 이용한 평직물 | |
KR100829070B1 (ko) | 아크릴사와 폴리에스테르사를 교직하여 파일사를 형성한밍크 담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