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679B1 - 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 Google Patents
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4679B1 KR101914679B1 KR1020160150612A KR20160150612A KR101914679B1 KR 101914679 B1 KR101914679 B1 KR 101914679B1 KR 1020160150612 A KR1020160150612 A KR 1020160150612A KR 20160150612 A KR20160150612 A KR 20160150612A KR 101914679 B1 KR101914679 B1 KR 1019146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coupled
- flanges
- engaged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 및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어 인접한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재 중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 및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인접한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과,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결합강도가 우수하고, 축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버팀보, 잭, 띠장, 측벽, 중간말뚝 등과 같은 다양한 타 부재와 용이하게 결합하며, 또한 강관과 결합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므로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고, 구르지 않아 적치시 안전하며, 분실의 염려가 없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steel pi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a width thereof; And an engag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both side ends of the steel pipe and used for joining with other adjacent members, wherein the engag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one end of the engaging members, which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both side ends of the steel pipe, A plurality of flange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And a connecting plate coupled to an outer end of the plurality of flanges, wherein the connecting plate has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for engaging with the adjacent other members.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teel pipe having a hollow pi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and an engaging member that is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steel pipe. The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bonding strength, stably supports the axial load, And is easily combined with various other members such as struts, jacks, wales, sidewalls, intermediate piles and the like, and the steel pipe and the coupling member are integrally joined together, so that they are easily stored and transpor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without loss of concern.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지반 굴착 후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흙막이 벽체를 시공하고, 흙막이 벽체 사이에 설치하여 토압을 지지하는 강관 버팀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토압을 지지하는 강관 버팀보 이외 가설교량의 가설벤트 등과 같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steel pipe strut with a joining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strut which supports earth pressure by installing earth retaining walls to prevent collapse of the excavation surface after excavation of the ground and installing it between the earth retaining walls. The present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a case such as a temporary vent of a temporary bridge other than a steel pipe sprocket supporting a earth pressure.
일반적으로 지반 굴착시에는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흙막이 벽체와 중간 말뚝을 시공하고, 흙막이 벽체에 띠장과 받침보를 수평으로 설치한 후, 띠장에 버팀보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잭을 먼저 설치한 후 잭에 버팀보를 설치하여 토압을 지지하게 된다.Generally, in case of excavation of the grou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pavement wall and the middle pile to prevent collapse of the excavation surface, and to install the pavement and the support beam horizontally on the pavement wall and then to install the pavement directly on the pavement, A strut is attached to the rear jack to support the earth pressure.
상기의 버팀보로 이전에는 H형강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축강성의 우수성 등으로 원형강관이나 사각강관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the past, the H-shaped steel was mainly used as the strut, but in recent years, circular steel pipes and rectangular steel pipes have been widely used due to excellent axial rigidity and the like.
그러나 원형강관이나 사각강관의 경우 그 폐합단면으로 인하여 인접한 부재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인접한 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내부 공간으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주로 강관의 외측에서 용접 또는 볼트 결합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를 부가한 후 용접 또는 볼트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여전히 결합이 용이하지 아니하고 결합을 하더라도 충분한 결합강도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round steel pipe or a square steel pi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join with the adjacent member due to the closed end face. That is, it is not easy to access the inner space for joining with the adjacent member, and is welded or bolted to the outside of the steel pipe, or welded or bolted after adding a separate member. However, the bonding is still difficult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bonding strength even if bonding is performed.
또한, 강관과 강관이 서로 맞대어 결합되는 경우 얇은 단부가 서로 맞댄 상태에서 축하중이 가해지므로 충분한 강도를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축하중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마주하는 강관이 서로 어긋나거나 경사지게 되는 경우 특정 부위에 응력이 집중하게 되고 이 부위에서 국부적으로 파손이 발생하거나, 나아가 버팀보 자체가 붕괴에 이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teel pipe and the steel pipe are butted against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sufficient strength is not exhibited because the axial load is applied in the state where the thin end portions are in mutual alignment. That is, when the opposing steel tubes are shifted or inclined in a state in which the axial load is applied, stress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portion, local breakage occurs in this portion, and further, the strand itself may collapse.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다.Technique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ve been developed.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9149호(도면 8a, 8b 참조)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및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일측이 강관 버팀보(10)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강관 버팀보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 테이퍼부(110); 및, 상기 테이퍼부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플랜지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재는 다수 개의 볼트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재는 일측면에 형성된 위치결정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에 강관 버팀보보다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작업공간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는 강관 버팀보에 일체로 접합되므로 연결되는 강관 버팀보를 해체한 후에도 연결장치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고 분실의 염려가 없으며, 또한, 테이퍼부를 구비하여 연결장치의 두께와 크기를 적절한 정도로 결정하기 용이하고, 강관 버팀보에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휨모멘트를 줄일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및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89149 (see Figs. 8a and 8b) "Steel pipe strut connection structure and steel pipe strut connection device" is disclosed. In this prior art, a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플랜지부재(130)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곽은 테이프부(110)에 지지되지 아니하여, 플랜지부재(130) 자체는 큰 축하중을 지지할 수 없게된다. 따라서, 테이퍼부(110)의 좁은 단부에 축하중이 집중되고, 특히 강관 버팀보에 휨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응력이 집중된 부분에서 구조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강관 버팀보(10)와 테이퍼부(110)의 접촉부의 둘레를 따라용접 등으로 결합됨으로써, 큰 축하중과 휨하중 작용하는 경우 강관 버팀보(10)와 테이퍼부(110) 간의 국부 지점에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역시 구조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강관 버팀보(10)가 둥근 형상이고, 연결장치가 강관 버팀보(10)의 직경 내에 위치함으로써 강관 버팀보(10)를 다단으로 적치하는 경우 무너져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등이 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the
또한, 강관 버팀보와는 상이한 기술분야이긴 하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4606호(도면 9a, 9b 참조) "강관 소켓 및 이를 이용한 강관 말뚝과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강관 말뚝(10)의 상단면을 덮는 소켓 지지부(110); 상기 소켓 지지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강관 말뚝의 외주면에 절개되어 형성된 소켓 홈에 삽입되는 판 형상의 복수개의 소켓 삽입부(120); 상기 소켓 지지부 위에 거치되는 강관 기둥(20)과 상기 강관 말뚝을 체결하며 상기 소켓 지지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체결 부재(140), 상기 소켓 삽입부의 단부와 상기 소켓홈 바닥간의 틈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 지지부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 유지 부재(170)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유지 부재는 쐐기 형상이고, 상기 강관 말뚝보다 외경 직경이 큰 상기 소켓 삽입부는 상기 소켓 홈에 삽입되어 결합하여 상기 강관 기둥과 상기 강관 말뚝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강관 소켓으로써, 강관 말뚝과 강관 기둥을 연결하는 공정이 단순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경제적이고, 또한, 강관 말뚝 또는 강관 기둥의 편심 제거 및 강관 기둥의 연직도를 확보할 수 있는 강관 소켓 및 이를 이용한 강관 말뚝과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lso, although it is a different technical field from the steel pipe stru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24606 (see Figs. 9a and 9b) discloses a steel pipe socket and a method for connecting steel pipe pillar and steel pipe pillar using the same. This prior art has a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체결 부재(140)의 볼트는 소켓 지지부(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소켓 삽입부(120)가 강관 말뚝(10)에 결합되기 전에 미리 설치되어 야 하는 것이므로, 강관 기둥(20)은 체결 부재(140)에 나란한 방향으로만 진입시켜 결합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체결이 용이하지 아니하며, 또한, 체결 부재(140)의 볼트를 소켓 지지부(110)에 먼저 설치한 후 소켓 삽입부(120)와 강관 말뚝(10)을 현장에서 직접 용접 등으로 결합하는 것이므로 품질확보가 곤란하다. 또한, 복수의 소켓 삽입부(120)는 서로 분리되고 강관 말뚝(10)의 둘레에 이격 배치됨으로써, 축하중과 휨하중이 작용할 때 충분한 지지력을 발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종래기술은 결합과 해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강관 버팀보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bolts of the
이에 따라, 인접부재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강도가 우수하며,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버팀보, 띠장, 잭 등에 연결이 가능하고, 체결작업이 용이하며, 버팀보와 연결부재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고 분실의 염려가 없고, 보관이 안전한 강관 버팀보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o the adjacent member, to have excellent bonding strength, to prevent damage to the joint portion, to connect to various strands, wales, jacks, and the lik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steel pipe strut that is easy to store and transport, is free from loss, and is safely stored.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과,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결합강도가 우수하고, 축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버팀보, 잭, 띠장, 측벽, 중간말뚝 등과 같은 다양한 타 부재와 용이하게 결합하며, 또한 강관과 결합부재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고, 구르지 않아 적치시 안전하며, 분실의 염려가 없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shaped steel pi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a width, and a joining member that is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steel pipe, whereby the joining strength is excellent, And is easily coupled with various other members such as struts, jacks, wales, sidewalls, intermediate piles and the like, and the steel pipe and the engaging member are integrally joined to each other to facilitate storage and transportation, And which is secured when it is not mounted, and which is free from loss.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 및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어 인접한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재 중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 및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인접한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steel pipe strut with an engaging memb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steel pi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a width; And an engag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both side ends of the steel pipe and used for joining with other adjacent members, wherein the engag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one end of the engaging members, which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both side ends of the steel pipe, A plurality of flange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And a coupling plate coupled to an outer end of the plurality of flanges, wherein the coupling plate ha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coupling with the adjacent other members.
또한, 상기 복수의 플랜지는, 상기 강관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강관의 중심에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plurality of flanges may be install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steel pipe, and may be mutually coupled at the center of the steel pipe.
또한, 상기 복수의 플랜지 각각은 외측 단부가 절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flange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end is cut out.
또한, 상기 복수의 플랜지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nd are arranged in a shape of a circle.
또한,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중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는, 상기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joining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joining member coupled to each of the opposite ends of the steel pipe may be the same as the joining member coupled to the one end.
또한,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중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제2플랜지; 및 상기 강관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플랜지들과 결합되며,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에는 잭의 나사축이 삽입되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gaging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engaging member engaged with the opposite side ends of the steel pip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flange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cut groov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And a connection pipe disposed at a center of the steel pipe and coupled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flanges and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wherein a screw shaft of the jack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to adjust a gap therebetween .
또한, 상기 복수의 제2플랜지는, 상기 강관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강관의 중심에 배치된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flanges may be install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steel pipe, and may be coupled with the connection pip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teel pipe.
또한, 상기 복수의 제2플랜지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강관의 중심에 배치된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flanges may be formed,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teel pipe.
또한, 상기 강관의 단부 근처에 구비되는 인상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상구는 상기 강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너트, 상기 강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구,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삽입핀, 상기 삽입핀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ull-up port may further include a nut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steel pipe, an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the steel pipe, an insert pin screwed into the nut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a circular or rectangular ring coupled to the insertion pin.
또한, 상기 복수의 결합구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ll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may be long holes.
또한, 상기 결합부재의 임의의 횡단면적 중 가장 작은 단면적이 상기 강관의 중앙부의 횡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smallest cross-sectional area of any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gaging member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eel pipe.
본 발명을 통해,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과,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결합강도가 우수하고, 축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버팀보, 잭, 띠장, 측벽, 중간말뚝 등과 같은 다양한 타 부재와 용이하게 결합하며, 또한 강관과 결합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므로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고, 구르지 않아 적치시 안전하며, 분실의 염려가 없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teel pipe having a hollow pi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and an engaging member that is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steel pipe. The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bonding strength, stably supports the axial load, And is easily combined with various other members such as struts, jacks, wales, sidewalls, intermediate piles and the like, and the steel pipe and the coupling member are integrally joined together, so that they are easily stored and transpor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without loss of concern.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를 도시하는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결합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a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가 타 부재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를 도시하는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결합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a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가 타 부재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를 도시하는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결합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a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가 타 부재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가 현장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도 9는 종래기술에 대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a coupling portion showing a steel tube sprocket with a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el pipe strut with the engagement member of Fig. 1a is coupled with the other member;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upling portion showing a steel tube sprocket with a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el pipe strut with the engagement member of Fig. 3a is coupled with another member;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upling portion showing a steel tube sprocket with a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el pipe strut with the engagement member of Fig. 5a is coupled with another member;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eel pipe strut with a joining memb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field.
Figures 8 and 9 are views of the prior ar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 coupled "or" connected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강관 버팀보는 토압을 지지하는 버팀보를 적용하는 이외, 가설교량의 가설벤트와 같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토압을 지지하는 강관 버팀보를 상정하여 설명을 진행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tructure of a steel pipe strut with a joining memb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teel pipe strut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 case of a temporary vent of a temporary bridge as well as a strut that supports the earth pressur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assuming a steel pipe strut supporting the earth pressure.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이하, 편의상 '버팀보'라고 칭할 수 있다)는, 강관(10)과, 강관(10)의 양측 단부 각각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20)를 이용하여 버팀보를 인접한 타 부재와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타 부재란 인접한 버팀보, 잭, 띠장, 측벽, 중간말뚝 등을 의미하며, 이하 동일하다. 또한, 이하에서 내측은 강관(10)의 중심에 가까운 쪽을 지칭하고, 외측은 그 반대쪽을 지칭한다.1 and 2, a steel pipe strut with an engaging memb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rut steel pipe for convenience) comprises a
강관(10)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이며, 그 단면은 원형,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강관(10)은 종래에 버팀보로 널리 사용되어온 H형강에 비해 휨강성이 우수하여 버팀보로 매우 우수하다. 본 실시예의 강관(10)은 별도로 제작할 필요 없이 기존의 규격화되어 생산되는 강관, 즉 원형강관, 사각강관 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The
결합부재(20)는 인접한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강관(1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21)와, 상기 복수의 플랜지(21)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joining
본 실시예는 복수의 플랜지(21)는 강관(10)의 절개홈에 삽입된 후 매우 넓은 범위에서 강관(10)과 용접 결합됨으로써, 즉 절개홈의 전체 범위에서 강관(10)과 용접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플랜지(21)가 강관(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21)를 통해 강관(10)에 전해지는 축하중이 절개홈 전체에서 수용됨으로써, 축하중을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버팀보는 강관(10)과 결합부재(20)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결합부재(20)를 통해 전달되는 축하중을 강관(10)이 매우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므로, 버팀보로서 매우 우수하다.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또한, 본 실시예의 버팀보는 버팀보 상호간의 연결시, 강관(10)의 얇은 플랜지(21) 즉, 강관(10) 단부의 얇은 단면이 아닌 넓은 면적의 연결판(23)이 상호 접하여 결합됨으로써,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지 아니한다.In addition, the strut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또한, 본 실시예의 버팀보는 강관(10)에 결합부재(20)가 용접 등으로 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결합부재(20)가 분실될 염려가 없고,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며, 보관 시 결합부재(20)로 인해 버팀보가 구르지 아니하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t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joining
복수의 플랜지(21)는 강관(10)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플랜지(21)는 강관(10)의 중심에서 3방향, 4방향, 5방향, 6방향, 7방향, 8방향 등으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된 후 중앙에서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플랜지(21)가 강관(10)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중앙에서 상호 용접 결합됨으로써, 플랜지(21) 상호간의 결합이 견고할 뿐 아니라, 각각의 플랜지(21)는 강관(10)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결합부재(20)의 강도와 결합부재(20)의 강관(10)과의 결합강도가 매우 우수하다.The plurality of
복수의 플랜지(21)가 4방향, 6방향, 8방향 등 짝수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플랜지(21)는 2개, 3개, 4개 등으로 준비하고, 중앙부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후 상호 끼움과 동시에 용접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이 신속, 편리하고 결합강도가 증가할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즉, 2개로 제작하는 경우 하나는 외측 반을 절개하고, 다른 하나는 내측 반을 절개한 후, 상호 끼운 후 용접할 수 있다. 또한, 3개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하나는 외측 2/3를 절개하고, 다른 하나는 내측과 외측을 각각 1/3씩 절개하며, 나머지 하나는 내측 2/3를 절개하여 서로 끼운 후 용접 결합할 수 있다. 또한, 4개로 제작하는 경우 하나는 외측 3/4을 절개하고, 다른 하나는 내측 1/4과 외측 2/4를 절개하고, 또 다른 하나는 내측 2/4와 외측 1/4을 절개하고, 나머지 하나는 내측 3/4을 절개한 후 상호 끼운 후 용접 결합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wo pieces, one can cut the outer half, and the other one can cut the inner half and then weld the pieces together. In the case of three pieces, one is cut out to the outside 2/3, the other is cut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to 1/3, and the other is cut to the inside 2/3, . In addition, in the case of four pieces, one of the outer 3/4 is incised, the other one is cut into the inner 1/4 and the outer 2/4, the other one is cut into the inner 2/4 and the outer 1/4, The other one can be welded after inserting 3/4 of the inside and then intertwining.
또한, 복수의 플랜지(21) 각각은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그 외측 단부를 절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플랜지(21)로 구성되는 전체 플랜지(21)의 직경이 외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테이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축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휨하중에 대한 플랜지(21)의 균열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플랜지(21)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총 12개의 부재를 상호 용접 결합하거나, 또는 총 4개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후 상호 끼움 결합함과 동시에 용접 결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a plurality of
복수의 플랜지(21)가 형상으로 배치되는 경우 플랜지(21) 상호간이 견고히 결합되고, 동시에 각 플랜지(21)는 강관(10)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견고히 결합됨으로써, 결합부재(20)의 자체의 강도와 결합부재(20)와 강관(10)과의 결합강도가 매우 우수하다.A plurality of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21)를 부분 절개하여 끼운 후 용접 결합하는 방법은 일체화된 부분이 존재하여 강도의 손상이 없고, 또한 용접 부위가 감소하여 용접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partially welding the
결합부재(2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플랜지(21)의 횡단면적의 합은 강관(10)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복수의 플랜지(21)의 개수를 조정하거나 복수의 플랜지(21) 각각의 단면적을 조정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플랜지(21)의 횡단면적의 합을 강관(10)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하는 것은, 강관 버팀보의 파괴를 구조가 단순한 강관(10)에서 발생하게 하고, 또한 강관 버팀보의 강도 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m of the cross sectional areas of the plurality of
연결판(23)은 복수의 플랜지(21)의 외측 단부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인접한 타 부재와 볼트 등으로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구(231)가 형성될 수 있다.The
연결판(23)은 복수의 플랜지(21)와 결합됨으로써, 플랜지(21)의 강성을 증가시켜 결국 결합부재(2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connecting
연결판(23)의 복수의 결합구(231)는 버팀보가 인접한 타 부재와 볼트 등으로 용이하게 결합되게 함으로써, 체결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연결판(23)의 넓은 면적이 인접한 타 부재와 접촉하여 결합됨으로써, 강관(10) 단부의 얇은 면이 인접한 타 부재와 결합되는 것에 비해 구조적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복수의 결합구(231)는 그 전부 또는 일부를 일측으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장공은 타 부재의 종류, 형상, 또는 결합구(231)의 제작 및 시공상의 오차 등에 관계없이 버팀보와 타 부재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31 may be formed as a long hole having a long length on one side or a part thereof. The elongated hole can easily couple the stranded bulb and other members irrespective of the type and shape of the other members, or the error in the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of the
상기 결합부재(20)는 강관(10)의 양측 단부에는 동일한 형상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측 단부에는 상기의 결합부재(20)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다른 형상의 결합부재(20)가 결합될 수도 있다. The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형상의 결합부재(20)를 설명하면, 강관(10)의 타측 단부에 강관(1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제2플랜지(25)와, 강관(10)의 중심에 배치되어 복수의 제2플랜지(25)들과 결합되는 연결관(27)을 포함할 수 있다.5 to 6, a joining
제2플랜지(25)는 전술한 실시예의 결합부재(20)의 플랜지(21)와 유사한 것으로써,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플랜지(21)를 참조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2플랜지(25)는 강관(10)의 중심에 배치된 연결관(27)에 결합된다. 복수의 제2플랜지(25)와 연결관(27)의 결합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플랜지(25)가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중앙에 연결관(27)이 배치되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플랜지(미도시)의 중앙의 사각 형상의 공간에 연결관이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연결관(27)은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며, 이 연결관(27)에 나사가 형성된 잭의 축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됨으로써, 버팀보와 띠장 등과의 거리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흙막이 벽체의 사이에 흙막이 벽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버팀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A screw is formed in the
복수의 제2플랜지(25)의 외측 단부에 전술한 연결판을 결합(미도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판에는 연결관(27) 부분에는 잭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20)는 잭에 결합하거나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판(23)을 이용하여 타 버팀보, 띠장 등에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Not shown) can be coupled to the outer ends of the plurality of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결합부재(20)의 횡단면적 즉, 복수의 제2플랜지(25)와 연결관(27)의 합의 횡단면적은 강관(10)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결합부재(20)의 임의의 횡단면적 중 가장 작은 단면적, 예컨대 외측 단부의 절취된 위치에서의 횡단면적이 강관(10)의 절개홈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예컨대 중앙부의 횡단면적보다 크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또한, 강관(10)의 양측 단부 근처에는 강관(10)의 인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인상구(30)를 구비할 수 있다. 인상구(30)는 강관(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너트(31)와, 강관(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구(33)와, 상기 삽입구(33)를 통해 너트(31)에 결합되는 것으로 나사가 형성된 삽입핀(35)과, 상기 삽입핀(35)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링(37)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상구(30)는 필요없는 경우에 제거하거나, 필요한 경우에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pulling openings (30) can be provided near both ends of the steel pipe (10) so as to facilitate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steel pipe (10). The pulling
상기 인상구(30)는 너트(31)가 없거나, 너트(31)와 삽입핀(35) 모두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인상구(30)는 링(37)만으로 구성되어 강관(10)의 외측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인상구(30)는 강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접혀져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pulling
본 실시예의 경우, 강관(10)의 단부가 밀폐되지 않고 개방됨으로써, 인상구(30)의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여 인상구(30)를 필요한 경우에만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즉, 강관(10)의 밀폐되지 않은 개방 부분을 통해서 너트(31)를 잡고, 링(37)을 회전시킴으로써 인상구(30)를 용이하게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 부분은 강관(10)에 유입된 빗물 등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강관(1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강관(10) 내측을 관찰할 수 있어 강관(10)의 사용가능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end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nstituted or operated selectively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강관
20 : 결합부재
21 : 플랜지
23 : 연결판
231 : 결합구
25 : 제2플랜지
27 : 연결관
30 : 인상구
31 : 너트
33 : 삽입구
35 : 삽입핀
37 : 링10: Steel pipe
20:
21: Flange
23: connection plate
231:
25: second flange
27: Connector
30: Impression hole
31: Nuts
33:
35: Insertion pin
37: Ring
Claims (11)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어 인접한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재 중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 및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인접한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플랜지는,
상기 강관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강관의 중심에서 상호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플랜지 각각은 외측 단부가 절취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임의의 횡단면적 중 가장 작은 단면적이 상기 강관의 중앙부의 횡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A hollow-shaped steel pi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And
And an engag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both side ends of the steel pipe and is used for the purpose of engaging with another adjacent member,
Wherein the engag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one end of the engag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each of both side ends of the steel pipe,
A plurality of flange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And
And a connecting plate coupled to an outer end of the plurality of flanges,
Wherein the connecting plate comprise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coupling with other adjacent members are formed,
Wherein the plurality of flanges comprise:
Wherein the steel pipe is radially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teel pipe,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flanges is cut at an outer end thereof,
Wherein a minimum cross-sectional area of an arbitrary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gaging member is larg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a central portion of the steel pipe.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어 인접한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재 중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 및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인접한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플랜지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강관의 단부 근처에 구비되는 인상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상구는 상기 강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너트, 상기 강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구,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삽입핀, 상기 삽입핀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링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의 임의의 횡단면적 중 가장 작은 단면적이 상기 강관의 중앙부의 횡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A hollow-shaped steel pi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And
And an engag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both side ends of the steel pipe and is used for the purpose of engaging with another adjacent member,
Wherein the engag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one end of the engag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each of both side ends of the steel pipe,
A plurality of flange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And
And a connecting plate coupled to an outer end of the plurality of flanges,
Wherein the connecting plate comprise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coupling with other adjacent members are formed,
Wherein the plurality of flanges comprise:
Shaped,
Further comprising a pull-up port provided near an end of the steel pipe,
Wherein the pull-up port includes a nut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eel pipe, an insertion port formed through the steel pipe, an insertion pin screwed into the nut through the insertion port, and a circular or rectangular ring coupled to the insertion pin,
Wherein a minimum cross-sectional area of an arbitrary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gaging member is larg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a central portion of the steel pipe.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중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는, 상기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Wherein the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coupled to each of the opposite ends of the steel pipe is the same as the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one end of the coupling member.
상기 강관의 양측 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중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제2플랜지; 및
상기 강관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플랜지들과 결합되며,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에는 잭의 나사축이 삽입되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And an engaging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engaging members engaged with the opposite side ends of the steel pipe,
A plurality of second flange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And
And a connection pip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teel pipe and coupled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flanges,
Wherein a screw shaft of the jack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ipe so that the gap can be adjusted.
상기 복수의 제2플랜지는,
상기 강관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강관의 중심에 배치된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second flanges comprise:
Wherein the connecting pipe is install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steel pipe and is engaged with the connecting pip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teel pipe.
상기 복수의 제2플랜지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강관의 중심에 배치된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second flanges comprise:
Wherein the connecting pipe is installed in the shape of a pipe and is coupled with the connecting pip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teel pipe.
상기 강관의 단부 근처에 구비되는 인상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상구는 상기 강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너트, 상기 강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구,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삽입핀, 상기 삽입핀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pull-up port provided near an end of the steel pipe,
The pull-up port includes a nut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eel pipe, an insertion port formed through the steel pipe, an insertion pin screwed into the nut through the insertion port, and a circular or rectangular ring coupled to the insertion pin Wherein the coupl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상기 복수의 결합구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Wherein all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is a long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0612A KR101914679B1 (en) | 2016-11-11 | 2016-11-11 | 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0612A KR101914679B1 (en) | 2016-11-11 | 2016-11-11 | 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3166A KR20180053166A (en) | 2018-05-21 |
KR101914679B1 true KR101914679B1 (en) | 2018-11-12 |
Family
ID=6245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0612A Active KR101914679B1 (en) | 2016-11-11 | 2016-11-11 | 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467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59842B (en) * | 2020-10-14 | 2025-05-02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An easy-to-disassemble assembled foundation pit suppo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48816A (en) * | 2001-05-25 | 2002-12-04 | Yoshida Kouzou Design:Kk | Fixing device and protective fence |
KR200414056Y1 (en) * | 2005-12-29 | 2006-04-14 | (주)핸스건설 | Steel pipe brace connection structure |
KR100673497B1 (en) * | 2006-04-14 | 2007-01-24 | (주)핸스건설 |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oil pressure |
US20130074440A1 (en) * | 2011-03-29 | 2013-03-28 | Cameron John Black | Geometric connecting assembly and method for braced frame connections |
-
2016
- 2016-11-11 KR KR1020160150612A patent/KR10191467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48816A (en) * | 2001-05-25 | 2002-12-04 | Yoshida Kouzou Design:Kk | Fixing device and protective fence |
KR200414056Y1 (en) * | 2005-12-29 | 2006-04-14 | (주)핸스건설 | Steel pipe brace connection structure |
KR100673497B1 (en) * | 2006-04-14 | 2007-01-24 | (주)핸스건설 |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oil pressure |
US20130074440A1 (en) * | 2011-03-29 | 2013-03-28 | Cameron John Black | Geometric connecting assembly and method for braced frame connectio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3166A (en) | 2018-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03207B2 (en) | Hybrid scaffold system | |
US9441658B2 (en) | Structural tube | |
AU2019239014B2 (en) | A structural support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node section for use in a structural support system | |
EP1272717B1 (en) | Scaffolding | |
JP5597941B2 (en) | Mating type steel column joint | |
KR101914679B1 (en) | 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 |
KR101914674B1 (en) | 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 |
KR102074231B1 (en) | System Scaffold | |
KR101915013B1 (en) | 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 |
KR101670941B1 (en) | Band of steel pipe strut | |
JP7297206B2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of Tunnel Shoring | |
KR101869262B1 (en) | 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 |
KR101644449B1 (en) | Phc pile using joint plate and connecting fin | |
KR20160032624A (en) | Brace attachment adapter and bracing reinforcement method of steel pipe pile using of the same | |
JP5594758B2 (en) | Column joint structure | |
WO2021245736A1 (en) | Joining hardware | |
JP2018145618A (en) | Strut beam and corner brac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piece for strut beam and corner brace | |
KR101915014B1 (en) | Steel pipe strut with 2 way connection member | |
EP0072817A1 (en) | Collapsible scaffolding | |
JPS587858Y2 (en) | Joints for nodes of steel pipe truss structures | |
JP7148314B2 (en) | Flange joints and reinforcement methods for flange joints | |
KR102258494B1 (en) | circular and square strut beam | |
JP4469300B2 (en) | Bonded hardware | |
JP2018112021A (en) | Short strut brace connection structure and short strut brace connection piece | |
KR101559856B1 (en) | Fixture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