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4470B1 - 수액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액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470B1
KR101914470B1 KR1020160107451A KR20160107451A KR101914470B1 KR 101914470 B1 KR101914470 B1 KR 101914470B1 KR 1020160107451 A KR1020160107451 A KR 1020160107451A KR 20160107451 A KR20160107451 A KR 20160107451A KR 101914470 B1 KR101914470 B1 KR 101914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unit
digital signal
fluid
vib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2264A (ko
Inventor
노효정
최영길
Original Assignee
노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효정 filed Critical 노효정
Priority to KR1020160107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4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2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47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61M5/1409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in series, e.g. first substance passing through container holding second substance, e.g. reconstitu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1Drip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 A61M5/1689Drip cou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5Acoustical, e.g. ultrasonic,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42Reducing no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44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making noise when used incorrect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액팩, 상기 수액팩으로부터 수액이 공급되는 수액용기, 및 상기 수액용기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수액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액감지장치는 진동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진동수신부를 포함하여 수액팩에 담긴 수액이 수액용기에 자유낙하하는 액적의 파장을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환자의 체내에 투입되는 수액의 양을 측정하는 수액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액 감지 시스템{Infusion detecting system}
본 발명은 수액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액팩에 담긴 수액이 수액용기에 자유낙하하는 액적의 파장을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환자의 체내에 투입되는 수액의 양을 측정하는 수액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체내에 직접적으로 약물을 주입하여 질병을 극복하고자 사용되는 수액은 약물이 담긴 수액팩, 상기 수액팩의 하부에 연결되어 환자의 체외까지 수액을 이송하는 수액관, 상기 수액관에 배치되어 일정시간동안 정해진 양의 수액을 투여하는 수액용기, 상기 수액용기에 유입되는 수액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액은 질병 치료의 효과가 가시적으로 드러나고 그 치료시간 대비치료효율도 뛰어나다는 점에서 매우 각광받는 치료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수액팩의 내부에 저장된 수액이 고갈되는 시점에서 환자의 채내에 투입되어 수액관과 연결되는 바늘을 제거가 신속히 이루어져야 되는 관계로, 상기 고갈되는 시점까지 의료인 또는 보호자가 상기 수액팩을 지속적으로 체크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외 역류와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환자는 실질적으로 상기 상황에 대한 대처가 어려우며, 상기와 같은 의료인 또는 보호자가 상기 상황에 따른 조치를 취하여 해결할 수 있다.
즉, 보호자나 의료인을 통해 지속적으로 체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면 상황에 맞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번거로움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었으며, 그 실시예로 특허등록 제83267호(인퓨션 펌프), 특허등록 제335881호(주입펌프에 의해 제어되는 주입방법), 특허등록 제428607호(의료주입펌프), 특허등록 제226304호(주입방법 및 주입펌프) 등으로 다수개 제안된 인퓨션 펌프(Infusion Pump) 시스템이 제품 신뢰성에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상기 인퓨션 펌프 시스템은 장치의 내부에 다수의 센서장치 및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환자에게 투입되는 수액의 량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정밀 수액셋트를 포함하며, 상기 정밀 수액 세트에 의해 제어되는 설정된 수액 투입량을 펌프의 구동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투입하는 장치로서, 정밀한 수액 투입량은 보장되지만, 단순히 수액 투입을 제어하는 목적의 달성에만 그칠 뿐이며, 고비용의 경제적 부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액용기에 유입되는 약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수액팩의 상태를 주변에 알려주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감지 시스템은 수액팩, 상기 수액팩으로부터 수액이 공급되는 수액용기, 및 상기 수액용기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수액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액감지장치는 진동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진동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액감지장치는, 상기 진동수신부의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앰프부, 상기 증폭앰프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는 컨버터부, 및 상기 컨버터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수신부는, 외부의 잡음을 차단하는 소음방지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출력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제어 및 분배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배받은 디지털 신호를 카운팅 하여 표시하는 카운터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배받은 디지털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는 음파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부는, 마니어스 카운팅 과정을 수행하는 마이너스 카운터 모듈, 및 플러스 카운팅 과정을 수행하는 플러스 카운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파발생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의 이상 수신시 동작하는 경고모듈, 및 상기 디지털 신호의 정상 수신시 동작하는 정상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수신부는, 일정시간 동안 낙하하는 액적의 인터벌을 측정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출력부는, 복조 과정을 수행하는 복조장치부, 상기 복조장치부와 연결되어 반송파를 생성하는 발진기, 및 상기 복조장치부로부터 생성된 복조신호를 공간상에 방사하는 송신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 감지 시스템은 수액용기에 자유낙하하여 수액관을 통해 환자의 체내에 주입시 낙하하는 액적의 파장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의료인 또는 보호자가 수액팩의 상태를 주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낙하하는 액적의 횟수 감지를 통해 환자의 체내에 유입된 약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감지 시스템을 적용한 수액감지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감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발생부의 흐름도이다.
도 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부의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출력부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수액을 사용하는 의료인, 환자 및 기타 수액을 인지할 수 있는 모든 사람을 지칭하며, 어느 한 분야의 인력에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수액은 의료인의 지시하의 수액의 종류와 수액량을 지정할수 있다. 의료인은 환자의 체내에 수액을 투입하기 위한 주사바늘을 주입 후 1분 동안 투입되는 수액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산출량을 기준으로 10초 내지 15초를 기준으로하여 투입되는 수액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맥박 계측에 사용하는 펄스 미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분당 맥박을 측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투입되는 수액량을 조절할 수 있으나,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의료인의 숙련도에 따라 상기 실시예는 변동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감지 시스템을 적용한 수액감지장치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감지 시스템은 수액팩, 상기 수액팩으로부터 수액이 공급되는 수액용기, 및 상기 수액용기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수액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액감지장치는 진동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진동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수신부는, 외부의 잡음을 차단하는 소음방지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정이 완료된 후 수액팩에 담긴 수액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복수개로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수액관의 단면적의 차이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배출구 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배출구를 제1 배출구(10a),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는 배출구를 제2 배출구(10b)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 의 실시예에서는 제2 배출구(10b)를 통해 수액이 배출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2 배출구(10b)를 통해 배출된 수액은 상기 제2 배출구(10b)와 연결되는 수액관을 통해 수액용기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수액관은 고분자 수지계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배출구와 상기 수액용기간에 연결되는 수액관을 제1 수액관(15a), 환자의 체내에 투입되는 수액량을 조절하는 조절나사와 수액용기간에 연결되는 제2 수액관(15b),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는 주사침부와 상기 조절나사간에 연결되는 제3 수액관(15c)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액용기(11)로 이송된 수액은 수액용기(11)의 상부에 위치한 수액노즐(11a)를 통해 수액이 한번에 환자의 체내에 투입되지 않도록 액적의 형태로 수액용기(11) 내부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액용기(11)의 내부에는 수액이 항상 일정량 이상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채워진 수액면으로 액적이 떨어지는 형태로 수액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감지 시스템을 적용한 수액감지장치(100)는 상기 수액용기(11)의 외면에 배치되어 떨어지는 액적이 형성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이를 음성과 시각을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파동을 감지하는 수단으로는 수액용기(11)의 외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배치된 진동수신부(110)가 있으며, 외부의 잡음이 상기 진동수신부(110)를 통해 감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진동수신부를 커버하는 소음방지커버(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액감지장치(100)는 후술할 수액 감지 시스템을 통해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수신부(110) 및 상기 소음방지커버(120)와 연결될 수 있다.
진동수신부(110)는 수액팩과 연결되는 수액용기(11)의 외면상에 배치되어 수액용기(11) 내부에 떨어지는 수액의 액적의 파문을 감지하여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에에서, 상기 수액용기(11)는 내부에 저장된 수액을 서서히 흘러보낼 수 있도록 일정량의 수액을 저장할 수 있으며, 그 저장량은 수액용기(11)를 가득 채우지 않는 범위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액팩(10)으로부터 수액용기(11)로 수액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수액은 후술할 조절나사(12)의 조절에 따라 일정량의 액적의 형태로 상기 수액용기(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액적이 수액용기(11) 내부에 저장된 수액에 떨어지게 되고, 수액용기(11) 내부에 저장된 수액의 표면에 파문을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파문으로 생성된 진동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진동수신부(110)는 상기 진동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액적이 생성하는 진동에 따라 그 진폭 및 파장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수신부(110)는 외면에 외부 잡음이 감지되지 않도록 소음방지커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소음방지커버(120)는 고분자 수지 계열의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진동수신부(110)가 배치되는 수액용기(11)의 일부분 만을 커버하거나, 진동수신부(110)를 비롯한 수액용기(11)의 전체를 커버할 수도 있으며,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진동수신부(110)는 후술할 제어출력부(150)의 카운터부(152)와는 별개로 타이머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수신부(110)는 소음방지커버(120)를 통해 외부의 잡음을 차단하여 액적 낙하를 통해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나, 수액이 주입되는 도중 필요에 따라 환자의 이동 상황이 발생할 경우,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수액팩(10) 및 수액용기(11)가 요동치게 되고, 수액팩(10)으로부터 액적이 불규칙적으로 낙하함에 따라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가 불규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타이머부(미도시)는 상기 진동수신부(110)에 내재되어 사용자의 예측을 통해 얻어진 일정시간 동안 떨어지는 액적의 인터벌을 측정하고, 그 결과값을 제어부(151)에 전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실시간 소통을 통해 저장된 수치와 측정되는 수치를 비교하여, 이상 수치가 측정될 경우 음파발생부(151) 및 카운터부(152)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머부(미도시)는 일정시간에 해당하는 10초동안 수액용기(11)의 내부로 떨어지는 액적의 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환자의 체내에 투입되는 액적의 수치가 10초당 5회라고 가정하였을 때, 이를 초과하거나 미만일 경우, 음파발생부(151) 및 카운터부(152)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나,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타이머부(미도시)를 통해 제어부(151)에 저장되는 액적의 수치는 환자의 체질, 상태, 및 수액의 투여량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환자의 이동 상황 발생시 일시적으로 조절나사(12) 및 조절버튼(152a)을 통해 수액의 투입을 중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진동수신부(110)는 OFF모드로 전환되어 수액용기(11)내에서 발생하는 잡음에 해당하는 진동을 감지하지 않으며, 환자의 이동이 완료된 후 다시 수액을 재투입하기 위해 조절나사(12) 및 조절버튼(152a)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진동수신부(110)는 ON모드로 전환되어 수액용기(11)내에서 발생하는 액적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수신부(110)는 타이머부(미도시)와 연동하여 환자의 이동상황이 감지될 경우 환자 이동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시간 동안 환자가 이동하지 않는 시점에서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앰프부(13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가 정상적인 자세에서 환자의 체내에 투입되는 액적의 수치가 10초당 5회라고 가정한다. 이때 수액이 정상적으로 투입되는 도중에 환자가 불가피하게 이동할 경우, 수액용기(11)에 떨어지는 액정은 불규칙하게 낙하하게되고, 진동수신부(110)와 연동되는 타이머부(미도시)는 이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타이머부(미도시)는 액적의 불규칙낙하가 감지되는 동안 진동수신부(110)로부터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가 규칙적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정상감지정보를 진동수신부(110)가 제공하도록 하여, 이동 중 불필요한 경보 알람 및 카운팅으로 인해 수액투입완료 예정시간의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이머부(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환자가 이동하는 동안에는 정상적인 아날로그 신호가 진동수신부(110)을 통해 출력되므로, 음파발생부(151)로 인한 경보알람은 발생하지 않으며, 카운터부(151)의 수치도 정상적으로 카운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액감지장치(100)가 배치됨에 따라,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수액용기(11)가 수액감지장치(110)의 무게로 인해 기울어질 수 있으나, 상기 진동수신부(110)는 수액용기(11)에 떨어지는 액적의 진동을 감지하게 되므로 상기 수액용기(11)의 불균형으로 인한 진동수신부(110)의 액적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후, 제2 수액관(15b)을 통해 이송된 수액은 조절나사(12)에서 환자의 체내에 투입되는 수액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나사(12)와 환자의 체내에 삽입된 주사침부(미도시)간을 연결하는 제3 수액관(15c)을 통해 이송되어 환자의 체내로 투입되게 된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감지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감지 시스템을 적용한 상기 수액감지장치는, 상기 진동수신부의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앰프부, 상기 증폭앰프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는 컨버터부, 및 상기 컨버터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출력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제어 및 분배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배받은 디지털 신호를 카운팅 하여 표시하는 카운터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배받은 디지털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는 음파발생부를 포함한다.
증폭앰프부(130)는 상기 진동수신부(110)로부터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강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증폭앰프부(130)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 또는 전력 등을 확대하여 출력시 강한 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증폭앰프부(130)는 IC소자로 구성되어 입력받는 신호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직류증폭기, 초저주파증폭기, 가청주파증폭기, 반송주파증폭기, 고주파증폭기, 초고주파증폭기로 구성된 군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앰프부(130)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는 컨버터부(14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부(140)에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표본화(Sampling)과정, 및 양자화(Quantization)과정을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표본화 과정은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일부를 일정한 파장의 간격을 두고 추출하는 과정을 말하며, 상기 표본화 과정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폭 및 주기를 일정하게 하고 그 진폭만을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서 변화시킨 펄스 진폭 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 이하 PAM)을 통해 표본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연속적인 순간 순간의 크기를 고정된 길이의 부호열로 변환하여 표본화하는 펄스 부호 변조(Pulse Code Modulation, 이하 PCM)을 통해 표본화 과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양자화 과정은 표본화된 PAM신호를 진폭 영역에서 이산적인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하며, 입력된 PAM신호의 진폭에 관계없이 디지털 신호의 크기에 해당하는 레벨이 일정한 균일 양자화(Uniform quantization)를 통해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PAM신호의 진폭의 크기에 의하여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의 레벨이 변동되는 비직선 양자화(Nonlinear quantization)를 통해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양자화 방법을 통해 표본화된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자화 과정을 거쳐 생성된 디지털 신호는 제어출력부를 통해 음파발생부(153) 및 카운터부(152)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출력부(150)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제어 및 분배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배받은 디지털 신호를 카운팅하여 표시하는 카운터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배받은 디지털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는 음파발생부를 포함한다.
제어부(151)는 컨버터부(140)로부터 송신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MCU, 및 메모리가 구비된 PC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MCU 및 PCB상의 회로구현은 종래의 공지기술에 해당되므로 이하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151)는 제어출력부의 구성요소인 카운터부(152) 및 음파발생부(153)로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분배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음파발생부(153)는 상기 제어부(151)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바탕으로 내장된 스피커(153a)를 통해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액팩에 담긴 수액이 수액용기에 낙하 시 규칙적인 비프음을 출력하여 환자의 체내로 수액이 이상없이 주입되고 있음을 알려줄 수 있으며, 수액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거나 할 경우 템포가 빠른 비프음을 출력하여 주변에 경보를 울릴 수 있다.
상기 카운터부(152)는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카운팅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카운터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조절버튼, 및 투입되는 수액량 및 기타 관련 데이터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카운터부(152)는 제어부(151)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를 캐치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의 카운팅을 통해 디스플레이(152b)에 표시된 카운팅 수치가 상승하여 환자의 체내에 투입된 수액의 양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카운터부(152)는 가득찬 상태의 수액팩의 수액량을 토대로 조절버튼(152a)을 통해 디스플레이(152b)에 표시되도록 수액량을 기재할 수 있다. 이후 카운팅 과정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152b)에 기재된 수액량의 수치가 감소하도록 하여 그 수치가 0에 수렴할 때, 수액 과정이 완료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발생부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출력부는 기생성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음파 발생부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음파발생부에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의 수신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110). 만일 수액팩으로부터 수액용기로의 수액 공급이 중단되거나 수액팩과 수액용기간의 연결부위에 이상이 생겨 디지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음파발생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고 모듈이 동작(S101)하여 스피커를 통해 경고 비프 음을 출력할 수 있다(S102).
한편, 디지털 신호가 이상 없이 수신될 경우 상기 음파발생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가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규칙적인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다시 말해,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디지털 신호가 수신된다는 것은, 수액팩에서 수액용기로의 수액 공급이 규칙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불규칙한 주기를 가지는 디지털 신호가 수신된다는 것은, 수액팩에서 수액용기로의 수액 공급이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불규칙적인 주기를 가지는 디지털 신호가 수신(S101)될 경우, 상술한 경고 모듈이 동작하여 스피커를 통해 경고 비프 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가 수신이 되지 않을 경우와 불규칙적인 주기를 가지는 디지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동일한 경고 모듈이 동작하게 되므로, 출력되는 비프 음 또한 동일(S102)하다.
반면,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디지털 신호가 수신될 경우, 음파발생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정상 모듈이 동작(S130)하여 스피커를 통해 정상 비프 음을 출력할 수 있다(S140).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부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부(152)는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부에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의 수신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210). 그러면 카운터부는 수액팩에 저장된 수액의 용량 수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S220), 상기 수액 용량의 입력 유무에 따라 카운터부의 다른 카운터 모듈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액의 용량 수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경우, 카운터부는 마이너스 카운터 모듈이 동작(S230a)하여, 상기 수치를 바탕으로 카운터 예상수치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된 상기 카운터 예상수치에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마이너스 카운팅할 수 있다.
반면, 수액의 용량 수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지 않을 경우, 카운터부는 플러스 카운터 모듈이 동작(S230b)하여, 초기값으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플러스 카운팅할 수 있으며, 상기 초기 값은 0로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출력부는 초기화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액 투입이 완료된 후 수액팩의 교체시 상기 초기화 모듈(미도시)을 동작시켜 리셋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출력부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환자에게 투입된 수액량 및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감지장치의 제어출력부는 복조 과정을 수행하는 복조장치부, 상기 복조장치부와 연결되어 반송파를 생성하는 발진기, 및 상기 복조장치부로부터 생성된 복조신호를 공간상에 방사하는 송신안테나를 더 포함한다.
복조장치부(154)는 음파발생부(153)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인 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복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조장치부(154)와 연결되는 발진기(155)로부터 반송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복조 과정에 따라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 및 발진기로부터 제공되는 반송파를 결합하여 복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발진기(155)에서 생성되는 반송파는 신호 세기의 증대, 또는 일정 기준이 되는 주파수의 변화, 또는 파장의 변화에 따른 방법을 통해 정보를 실을 수 있는 교류 파형을 말한다.
상기 복조신호는 송신 안테나(156)를 통해 공간상으로 방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이동통신 디바이스(200)는 내부에 구비되는 수신 안테나(201)를 통해 상기 복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디바이스(200)는 공간상으로 방사된 복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201), 상기 수신 안테나로부터 제공받은 복조신호를 증폭하는 RF증폭부(202), 상기 RF증폭부에서 증폭된 복조신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검파부(203), 상기 검파부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는 펄스출력부(204)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출력부(204)를 통해 생성된 디지털 신호인 펄스 신호를 이동통신 디바이스(2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동시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발생부(151)의 비프 음 출력 및 카운터부(152)의 수액량의 카운팅 수치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으나,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수액 감지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을 통해 수액용기에 자유낙하하여 수액관을 통해 환자의 체내에 주입시 낙하하는 액적의 파장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의료인 또는 보호자가 수액팩의 상태를 주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낙하하는 액적의 횟수 감지를 통해 환자의 체내에 유입된 약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액팩 11 : 수액용기
12 : 조절나사 15 : 수액관
100 : 수액감지장치 110 : 진동수신부
120 : 소음방지커버 130 : 증폭앰프부
140 : 컨버터부 150 : 제어출력부

Claims (8)

  1. 수액팩;
    상기 수액팩으로부터 수액이 공급되는 수액용기; 및
    상기 수액용기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수액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액감지장치는 진동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진동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액감지장치는,
    상기 진동수신부의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앰프부;
    상기 증폭앰프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는 컨버터부; 및
    상기 컨버터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출력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제어 및 분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배받은 디지털 신호를 카운팅 하여 표시하는 카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부는, 마이너스 카운팅 과정을 수행하는 마이너스 카운터 모듈, 및 플러스 카운팅 과정을 수행하는 플러스 카운터 모듈을 포함하는 수액 감지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신부는 외부의 잡음을 차단하는 소음방지커버를 더 포함하는 수액 감지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출력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분배받은 디지털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는 음파발생부를 포함하는 수액 감지 시스템.
  5. 삭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발생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의 이상 수신시 동작하는 경고모듈, 및
    상기 디지털 신호의 정상 수신시 동작하는 정상모듈을 포함하는 수액 감지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신부는, 일정시간 동안 낙하하는 액적의 인터벌을 측정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는 수액 감지 시스템.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출력부는, 복조과정을 수행하는 복조장치부;
    상기 복조장치부와 연결되어 반송파를 생성하는 발진기; 및
    상기 복조장치부로부터 생성된 복조신호를 공간상에 방사하는 송신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수액 감지 시스템.
KR1020160107451A 2016-08-24 2016-08-24 수액 감지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91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451A KR101914470B1 (ko) 2016-08-24 2016-08-24 수액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451A KR101914470B1 (ko) 2016-08-24 2016-08-24 수액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264A KR20180022264A (ko) 2018-03-06
KR101914470B1 true KR101914470B1 (ko) 2019-01-07

Family

ID=6172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4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914470B1 (ko) 2016-08-24 2016-08-24 수액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4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4805A (ja) 2010-05-07 2011-11-24 Parama Tec:Kk 点滴警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4237A (ja) * 1997-09-30 1999-04-20 Masazumi Ito 点滴制御装置
US9359885B2 (en) * 2013-03-15 2016-06-07 Baxter International Inc. Acoustic line tracing system and method for fluid transfer system
KR101652337B1 (ko) * 2014-09-05 2016-08-31 (주)휴바이오메드 수액 공급용 점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4805A (ja) 2010-05-07 2011-11-24 Parama Tec:Kk 点滴警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264A (ko)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15298B2 (en) Wound pressure determination for reduced pressure wound therapy
WO2019118537A4 (en) Therapy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5135485A (en) Capacitance-type fluid level sensor for i.v. and catheter bags
US10307537B2 (en) Liquid parameter detecting method and system
JP2020515845A (ja) 液容器ならびにその中の液レベル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342956B1 (ko) 스마트 복약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8150633A3 (en) Wireless monitor for a personal medical device system
US9427115B2 (en) Bathtub monitors
CN106730162A (zh) 一种智能输液报警装置及系统
RU2735126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медицинской системой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приборный комплекс"
US201503670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nd reversing accidental overdose
KR101016371B1 (ko)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5536101A (zh) 一种辅助输液护理系统
JP2018516625A (ja) 流量測定機能を有する埋込型薬剤輸送装置
JP2002011095A (ja) 点滴監視装置および同システム
KR101914470B1 (ko) 수액 감지 시스템
KR101777701B1 (ko)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주사액 제어시스템
JP2011115573A (ja) 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CN109833544A (zh) 一种便携式输液监控装置及监控方法
TWI718797B (zh) 液體偵測裝置及其自動判斷方法
KR101729727B1 (ko) 수액용기 교환 관리시스템
KR20170047097A (ko) 스마트 약상자를 활용한 약복용 관리 시스템
KR102207495B1 (ko) 수액주사를 맞는 도중에 수액주머니를 휴대하는 장치 및 그 구성방법
EP2058016A1 (en)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serum bag levels
CN209378191U (zh) 一种智能输液监控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10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