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480B1 - 계층적 콘텐츠에 대한 보기 가능 영역의 순항 가능한 계층화 - Google Patents
계층적 콘텐츠에 대한 보기 가능 영역의 순항 가능한 계층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3480B1 KR101913480B1 KR1020167015579A KR20167015579A KR101913480B1 KR 101913480 B1 KR101913480 B1 KR 101913480B1 KR 1020167015579 A KR1020167015579 A KR 1020167015579A KR 20167015579 A KR20167015579 A KR 20167015579A KR 101913480 B1 KR101913480 B1 KR 1019134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ewable
- area
- areas
- viewable area
- visi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9 data en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6—Drawing of charts or 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근원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의 계층적 구조체에 상응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중첩하는 구성을 결정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근원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의 계층적 구조체에 상응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중첩하는 구성을 결정하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근원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의 계층적 구조체에 상응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중첩하는 구성을 결정하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근원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의 계층적 구조체의 시각 표시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렌더링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중첩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근원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의 계층적 구조체의 시각 표시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렌더링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다른 중첩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근원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의 계층적 구조체의 시각 표시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렌더링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다른 중첩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근원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의 계층적 구조체를 통해 뒤따르는 경로들의 분기의 시각 표시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렌더링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중첩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9는 근원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의 계층적 구조체를 나타내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스택에서 방해된 보기 가능 영역을 보도록 구현될 수 있는 "피크(peek)" 작동을 도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렌더링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중첩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은 근원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의 계층적 구조체에 따른 보기 가능 영역들의 스택을 렌더링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구현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이다.
Claims (20)
-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의 계층적 구조체에 상응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순항 가능한 계층화의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일정 높이 및 일정 폭을 갖는 풋프린트 내에 루트 보기 가능 영역, 상단 보기 가능 영역, 및 상기 루트 보기 가능 영역의 z-깊이와 상기 상단 보기 가능 영역의 z-깊이 사이의 z-깊이들에서 렌더링되는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을 포함하는 중첩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스택을 렌더링하도록 코드를 실행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스택에서의 상기 보기 가능 영역들의 순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의 계층적 관계에 상응하며, 상기 보기 가능 영역들은 상기 계층적 관계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코드를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풋프린트 내에 축약 디스플레이 영역을 한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축약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풋프린트의 높이 및 고정된 폭을 가지고, 상기 축약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풋프린트의 제1 및 제2 측면 에지들 사이에 오프셋을 가지고 배치되는, 상기 축약 디스플레이 영역을 한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z-깊이들 및 상기 스택 내의 중첩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양에 기초하여 축약 영역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가시부들을 렌더링하는 단계로서, 상기 축약 디스플레이 영역의 외부에 렌더링되는 상기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가시부들은 상기 고정된 폭과 같은 동일한 폭들을 가지고, 상기 축약 디스플레이 영역의 내부에 렌더링되는 상기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가시부들은 상기 축약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고정된 폭을 분할하는 폭들을 가지는, 상기 가시부들을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기 가능 영역들의 스택을 렌더링하도록 코드를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하여 제1 보기 가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은 계층적 구조체의 루트에 상응하고 상기 계층적 관계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 대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 중 일부를 방해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이 상기 풋프린트 미만인 제1 가시부를 갖도록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하나 이상의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을 오버레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기 가능 영역들의 스택을 렌더링하도록 코드를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 중 일부를 방해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이 제2 가시부를 갖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보기 가능 영역을 오버레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기 가능 영역들의 스택을 렌더링하도록 코드를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 중 일부를 방해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이 제3 가시부를 갖도록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상단 보기 가능 영역을 오버레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보기 가능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방해 받지 않고 가시적인,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의 폭 미만인 상이한 폭 및 동일한 높이를 각각 갖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 및 상기 상단 보기 가능 영역을 렌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보기 가능 영역들의 스택이 상쇄된 중첩하는 구성을 갖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 및 상기 상단 보기 가능 영역 각각의 우측 에지를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의 우측 에지와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시부, 상기 제2 가시부, 상기 제3 가시부 및 상기 상단 보기 가능 영역은 상기 풋프린트 내에서 전체 가시 영역을 함께 형성하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시부 중 하나 이상은 제1 지정된 최소 치수를 갖거나 상기 상단 보기 가능 영역은 제2 지정된 최소 치수를 갖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에서의 상기 보기 가능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가시적이지 않도록 상기 스택에서의 상기 보기 가능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기 가능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해되고 상기 스택에서의 상기 보기 가능 영역들 중 2개 이상은 동일한 면적을 갖는 가시적인 방해 받지 않은 부분들을 갖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풋프린트는 전체 가시적 보기 면적을 한정하고 상기 스택에서의 상기 보기 가능 영역들의 가시부들은 상기 전체 가시적 보기 면적에 표시되고, 상기 방법은:
전체 가시적 보기 면적과 연관되는 구성 가능 임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가시부들 중 하나 이상의 하나 이상의 치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기 가능 영역들의 스택을 렌더링하도록 코드를 실행시키는 단계는:
제1 보기 가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은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에 상응하는 제1 선택 가능 대상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의 상기 제1 선택 가능 대상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하여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의 제1 가시부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보기 가능 영역을 오버레잉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은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에 상응하는 제2 선택 가능 대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을 오버레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의 상기 제2 선택 가능 대상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하여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의 제2 가시부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제3 보기 가능 영역을 오버레잉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3 보기 가능 영역은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에 상응하는 제3 선택 가능 대상을 갖는, 상기 제3 보기 가능 영역을 오버레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압축 기준들에 기반하여 상기 스택에서의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을 프로그램에 따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 기준은, 상기 제2 가시부 미만인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에 대한 압축된 가시부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의 제2 가시적 보기 면적을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의 계층적 구조체에 상응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순항 가능한 계층화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기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작동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처리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일정 높이 및 일정 폭을 갖는 풋프린트 내에 루트 보기 가능 영역, 상단 보기 가능 영역, 및 상기 루트 보기 가능 영역의 z-깊이와 상기 상단 보기 가능 영역의 z-깊이 사이의 z-깊이들에서 렌더링되는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을 포함하는 중첩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스택을 렌더링하며, 상기 스택에서의 상기 보기 가능 영역들의 순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의 계층적 관계에 상응하며, 상기 스택에서의 상기 보기 가능 영역들은 상기 계층적 관계와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풋프린트 내에 축약 디스플레이 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축약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풋프린트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풋프린트의 제1 및 제2 측면 에지들로부터 오프셋을 가지며,
상기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z-깊이들 및 상기 스택 내의 중첩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양에 기초하여 축약 영역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가시부들을 렌더링하며, 상기 축약 디스플레이 영역의 외부에 렌더링되는 상기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가시부들은 동일한 폭들을 가지고, 상기 축약 디스플레이 영역의 내부에 렌더링되는 상기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가시부들은 상기 축약 디스플레이 영역의 고정된 폭을 분할하는 폭들을 가지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되는 하나 이상의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 디바이스는:
제1 보기 가능 영역을 표시하며,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은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에 상응하는 제1 선택 가능 대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의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 대상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하여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의 가시부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 보기 가능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제2 보기 가능 영역을 오버레잉하며,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은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에 상응하는 제2 선택 가능 대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의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 대상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하여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의 가시부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제3 보기 가능 영역을 오버레잉하며, 상기 제3 보기 가능 영역은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에 상응하는 제3 선택 가능 대상을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중첩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스택을 렌더링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처리 디바이스는:
제2 가시부 미만인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에 대한 압축된 가시적 보기 면적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의 제2 가시적 보기 면적을 압축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제2 보기 가능 영역들을 조정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시스템. - 컴퓨터 판독 가능 콘텐츠의 계층적 구조체에 상응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순항 가능한 계층화의 방법으로서:
중첩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스택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렌더링되는 풋프린트를 한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풋프린트는 일정 높이 및 일정 폭을 갖고, 상기 폭은 상기 풋프린트의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에 배치된 제2 측면의 사이에 한정되는 단계;
상기 풋프린트 내에서, (i) 상기 풋프린트의 상기 높이를 연장시키고 상기 풋프린트의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측면으로 상기 풋프린트의 상기 폭의 제1 부분을 연장시키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ii) 상기 풋프린트의 상기 높이를 연장시키고 상기 풋프린트의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으로 상기 풋프린트의 상기 폭의 제2 부분을 연장시키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iii)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들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는 제3 내지 제5 디스플레이 영역들 - 상기 제3 내지 제5 디스플레이 영역들 각각은 상기 풋프린트의 상기 높이 및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동일한 고정된 폭들을 연장시킴 - 을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한정하는 단계; 및
상기 풋프린트 내에 중첩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스택을 렌더링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택 내의 중첩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양은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중첩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스택은,
상기 풋프린트의 상기 높이 및 상기 폭을 갖는 루트 보기 가능 영역 - 상기 루트 보기 가능한 것의 가시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렌더링됨 - ;
상기 풋프린트의 상기 높이를 갖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렌더링되는 상단 보기 가능 영역; 및
상기 풋프린트의 상기 높이 및 상기 풋프린트의 제2 측면으로부터 측정되는 달라지는 폭들을 갖는 복수의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 - 상기 복수의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은 상기 루트 보기 가능 영역에 대한 z-깊이보다 더 크고 상기 상단 보기 가능 영역에 대한 z-깊이 미만인 z-깊이들을 갖고, 상기 복수의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 각각의 가시부 각각은 동일한 고정된 폭들을 가지도록 상기 제3 내지 제5 디스플레이 영역들 중 상이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렌더링됨 - 을 포함하는, 상기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택의 상단에 추가적인 보기 가능 영역을 추가하는 것에 응하여, (1) 상기 루트 보기 가능 영역의 가시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유지되고 제1 고정된 폭을 유지하며, (2) 상기 복수의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제1 및 제2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의 가시부들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고정된 폭을 공유하도록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렌더링되고, 상기 복수의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제3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의 가시부는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영역의 고정된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렌더링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들의 제4 개재하는 보기 가능 영역의 가시부는 제5 디스플레이 영역의 고정된 폭을 가지도록 제5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렌더링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081,707 US10067651B2 (en) | 2013-11-15 | 2013-11-15 | Navigable layering of viewable areas for hierarchical content |
US14/081,707 | 2013-11-15 | ||
PCT/IB2014/003024 WO2015071765A2 (en) | 2013-11-15 | 2014-11-11 | Navigable layering of viewable areas for hierarchical cont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6886A KR20160086886A (ko) | 2016-07-20 |
KR101913480B1 true KR101913480B1 (ko) | 2018-10-30 |
Family
ID=5247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155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913480B1 (ko) | 2013-11-15 | 2014-11-11 | 계층적 콘텐츠에 대한 보기 가능 영역의 순항 가능한 계층화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067651B2 (ko) |
EP (1) | EP3069323A2 (ko) |
KR (1) | KR101913480B1 (ko) |
AU (1) | AU2014349834B2 (ko) |
CA (1) | CA2929857C (ko) |
WO (1) | WO2015071765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17754B2 (en) | 2011-08-05 | 2016-08-16 | P4tents1, LLC |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JP6182207B2 (ja) | 2012-05-09 | 2017-08-16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のアクティブ化状態を変更する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
WO2013169842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
KR101670570B1 (ko) | 2012-05-09 | 2016-10-28 | 애플 인크. |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선택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JP6002836B2 (ja) | 2012-05-09 | 2016-10-05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ジェスチャに応答して表示状態間を遷移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
WO2013169845A1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
WO2013169865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
DE112013002409T5 (de) | 2012-05-09 | 2015-02-26 | Apple Inc. | Vorrichtung, Verfahren und grafische Benutzeroberfläche für die Anzeige zusätzlicher Informationen in Reaktion auf einen Benutzerkontakt |
WO2013169849A2 (en) | 2012-05-09 | 2013-11-14 | Industries Llc Yknots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
WO2013169853A1 (en) | 2012-05-09 | 2013-11-14 | Industries Llc Yknots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
HK1208275A1 (en) | 2012-05-09 | 2016-02-26 | 苹果公司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nd dropping a user interface object |
WO2013169843A1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
WO2013169875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
WO2013169851A2 (en) | 2012-05-09 | 2013-11-14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
JP6018474B2 (ja) * | 2012-10-23 | 2016-11-02 | 任天堂株式会社 |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
WO2014105277A2 (en) | 2012-12-29 | 2014-07-03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
WO2014105279A1 (en) | 2012-12-29 | 2014-07-03 | Yknots Industries Ll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
AU2013368441B2 (en) | 2012-12-29 | 2016-04-14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orgoing generation of tactile output for a multi-contact gesture |
EP2939096B1 (en) | 2012-12-29 | 2019-08-28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etermining whether to scroll or select contents |
EP3435220B1 (en) | 2012-12-29 | 2020-09-16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touch input to display output relationships |
KR101905174B1 (ko) | 2012-12-29 | 2018-10-08 | 애플 인크. | 사용자 인터페이스 계층을 내비게이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USD783043S1 (en) * | 2013-09-13 | 2017-04-04 | Nikon Corporation |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
WO2015089819A1 (en) * | 2013-12-20 | 2015-06-25 | Orange | Method for selecting an electronic content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
USD759705S1 (en) * | 2014-03-17 | 2016-06-21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panel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
KR102358548B1 (ko) * | 2014-10-15 | 2022-02-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바이스를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
US20160154553A1 (en) * | 2014-12-02 | 2016-06-02 | Kobo Incorporated | Method and system for term occurrence pagination interface |
US10095396B2 (en) | 2015-03-08 | 2018-10-09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
US9990107B2 (en) | 2015-03-08 | 2018-06-05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
US9632664B2 (en) | 2015-03-08 | 2017-04-25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
US10048757B2 (en) | 2015-03-08 | 2018-08-14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
US9645732B2 (en) | 2015-03-08 | 2017-05-09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
US9639184B2 (en) | 2015-03-19 | 2017-05-02 | Apple Inc. |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
US20170045981A1 (en) | 2015-08-10 | 2017-02-16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
US10152208B2 (en) | 2015-04-01 | 2018-12-11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
US10346030B2 (en) | 2015-06-07 | 2019-07-09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
US10200598B2 (en) | 2015-06-07 | 2019-02-05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
US9860451B2 (en) | 2015-06-07 | 2018-01-02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
US9891811B2 (en) | 2015-06-07 | 2018-02-13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
US9830048B2 (en) | 2015-06-07 | 2017-11-28 | Apple Inc. |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
US10235035B2 (en) | 2015-08-10 | 2019-03-19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
US9880735B2 (en) | 2015-08-10 | 2018-01-30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
US10248308B2 (en) | 2015-08-10 | 2019-04-02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
US10416800B2 (en) | 2015-08-10 | 2019-09-17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
CN105677224A (zh) * | 2016-01-06 | 2016-06-15 | 广州市动景计算机科技有限公司 | 一种下拉手势处理方法、装置及设备 |
US20190129576A1 (en) * | 2017-10-27 | 2019-05-02 |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 Processing of corresponding menu items in response to receiving selection of an item from the respective menu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96351A1 (en) | 2010-05-26 | 2011-12-01 | T-Mobile Usa, Inc. | User Interface with Z-axis Interaction and Multiple Stacks |
US20120236037A1 (en) | 2011-01-06 | 2012-09-20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
US20130145307A1 (en) | 2011-12-01 | 2013-06-06 | Canon Kabushiki Kaisha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40833A (en) * | 1993-12-10 | 2000-03-2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manipulation of multiple application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
US5644737A (en) * | 1995-06-06 | 1997-07-01 | Microsoft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stacking toolbars in a computer display |
US6511426B1 (en) * | 1998-06-02 | 2003-01-28 | Acuson Corporation | Medical diagnostic ultrasound system and method for versatile processing |
JP2001265481A (ja) * | 2000-03-21 | 2001-09-28 | Nec Corp | ページ情報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ページ情報表示用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
US7308651B2 (en) * | 2001-09-05 | 2007-12-11 | Sca Hygiene Products Ab | Data entry graphical user interface |
US7071915B2 (en) * | 2001-09-13 | 2006-07-04 | E-Book Systems Pte Ltd. | Method for displaying flipping pages via electromechanical information browsing device |
US7456823B2 (en) * | 2002-06-14 | 2008-11-25 | Sony Corporation |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
US7100119B2 (en) * | 2002-11-01 | 2006-08-29 | Microsoft Corporation | Page bar control |
US20110145758A1 (en) * | 2009-12-10 | 2011-06-16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isplay navig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US8898577B2 (en) * | 2010-03-09 | 2014-11-25 | Microsoft Corporation | Application sharing with occlusion removal |
US8872813B2 (en) * | 2011-09-02 | 2014-10-28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Parallax image authoring and viewing in digital media |
US8997017B2 (en) * | 2011-10-21 | 2015-03-3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ontrolling interactions via overlaid windows |
KR102006470B1 (ko) * | 2011-12-28 | 2019-08-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
US9229613B2 (en) * | 2012-02-01 | 2016-01-05 | Facebook, Inc. | Transitions among hierarchical user interface components |
US20140115432A1 (en) * | 2012-10-24 | 2014-04-24 | ePAGINATION LIMITED (UK) | Techniques for typographic electronic pagination |
US9400601B2 (en) * | 2013-06-21 | 2016-07-26 | Nook Digital, Llc | Techniques for paging through digital content on touch screen devices |
-
2013
- 2013-11-15 US US14/081,707 patent/US10067651B2/en active Active
-
2014
- 2014-11-11 WO PCT/IB2014/003024 patent/WO2015071765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1-11 KR KR1020167015579A patent/KR10191348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11-11 CA CA2929857A patent/CA2929857C/en active Active
- 2014-11-11 EP EP14837003.4A patent/EP3069323A2/en active Pending
- 2014-11-11 AU AU2014349834A patent/AU201434983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96351A1 (en) | 2010-05-26 | 2011-12-01 | T-Mobile Usa, Inc. | User Interface with Z-axis Interaction and Multiple Stacks |
US20120236037A1 (en) | 2011-01-06 | 2012-09-20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
US20130145307A1 (en) | 2011-12-01 | 2013-06-06 | Canon Kabushiki Kaisha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069323A2 (en) | 2016-09-21 |
WO2015071765A3 (en) | 2015-08-13 |
CA2929857C (en) | 2023-08-01 |
AU2014349834B2 (en) | 2018-11-29 |
AU2014349834A1 (en) | 2016-05-26 |
WO2015071765A2 (en) | 2015-05-21 |
US20150143284A1 (en) | 2015-05-21 |
US10067651B2 (en) | 2018-09-04 |
CA2929857A1 (en) | 2015-05-21 |
BR112016010593A2 (pt) | 2022-07-12 |
KR20160086886A (ko) | 2016-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3480B1 (ko) | 계층적 콘텐츠에 대한 보기 가능 영역의 순항 가능한 계층화 | |
KR101608183B1 (ko) | 향상된 창 상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배열 | |
EP2810148B1 (en) | Scrollable desktop navigation | |
EP3175340B1 (en) | Assisted presentation of application windows | |
US954207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user interface | |
KR101733839B1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작업 공간 관리 | |
EP2699998B1 (en) | Compact control menu for touch-enabled command execution | |
CN107168614B (zh) | 用于查看图像的应用 | |
US9196227B2 (en) | Selecting techniques for enhancing visual accessibility based on health of display | |
KR20120113738A (ko) | 콘텐츠를 보기 위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 | |
CA2955619A1 (en) | Dynamic joint dividers for application windows | |
JP2017526057A (ja) | アプリケーションウィンドウの領域ベースのサイズ調節および適所配置 | |
KR20140051228A (ko) | 컨텍스트 기반 메뉴 시스템에 대한 서브메뉴 | |
EP2259174A1 (en) |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viewing desktop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US20160070460A1 (en) | In situ assignment of image asset attributes | |
KR102342282B1 (ko) |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을 통해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US20140282231A1 (en) | Dynamically reconfigurable multiframe user interface for a computing device | |
US20150324068A1 (en) | User interface structure (uis)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lications | |
US20140331141A1 (en) | Context visual organizer for multi-screen display | |
EP2791773B1 (en) | Remote display area including input lenses each depicting a reg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 |
BR112016010593B1 (pt) | Método implementado por instruções legíveis por computador para estratificação navegável de áreas visíveis correspondendo a uma estrutura hierárquica de conteúdo legível em computador e sistema | |
Wang | Using the Dock and the Launchpad | |
KR20170027031A (ko) |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6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6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