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755B1 - Heating system with exchangeable structure of woven heating module - Google Patents
Heating system with exchangeable structure of woven heating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2755B1 KR101912755B1 KR1020160121886A KR20160121886A KR101912755B1 KR 101912755 B1 KR101912755 B1 KR 101912755B1 KR 1020160121886 A KR1020160121886 A KR 1020160121886A KR 20160121886 A KR20160121886 A KR 20160121886A KR 101912755 B1 KR101912755 B1 KR 1019127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upply
- supply line
- module
- power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2—Constructional details of supporting means for radi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9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electric heating system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05B3/347—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woven fabric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09—Radiators
- F24D2220/2036—Electric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발열체 모듈의 교체가 가능한 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공급라인을 갖는 본체를 복수의 모듈체결구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모듈체결구역에 직물발열체 모듈이 착탈 가능함으로써, 일부가 고장났을 경우 해당 모듈만 교체할 수 있고, 직류와 교류 전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르게 설계된 모듈이라 하더라도, 공통의 전원 접속 위치를 고려하여 전원접속구를 설계함으로써 하나의 본체에서 직류와 교류용 모듈을 모두 적용시킬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ystem in which a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having a power supply lin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ule fastening areas, and a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is removable in each module fastening area, Even if the module is designed differ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C and AC power,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power supply connection port considering the common power connection position, so that the DC and AC modules Can be appli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직물발열체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직물발열체을 모듈로 제작하고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문제가 발생한 부분만 교체하거나 직류와 교류 전원을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ystem using a fabric heating element, and more specifically, by fabricating a fabric heating element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s a module and detachably attaching the fabric, a problematic portion can be replaced or both DC and AC power can be used It is about the technology to make.
기존에 일반적인 발열시스템 혹은 난방시스템으로 사용되던 방식은 온돌식, 온수 순환식, 전기히터식을 들 수 있지만 설치 방식의 어려움,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 전자파 발생 및 실내 산소 연소 등의 다양한 문제로 인해 새로운 방식의 난방 방식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왔다.The conventional heating system or heating system used in the conventional heating system can be an ondol system, a hot water circulation system, or an electric heater system. However,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installation difficulty, increase of maintenance cost, electromagnetic wave generation and indoor oxygen combustion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new methods of heating.
이와 같은 기존 방식의 난방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전력소모의 효율성을 도모하며, 원적외선의 방사를 통해 난방기능 뿐만 아니라 살균작용 혹은 항균작용, 탈취작용을 통해 인체에 유익하다는 평가를 받는 직물발열체(또는 '직조발열체'라고 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heating system and to improve the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it is evaluated that it i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through the sterilization,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functions as well as the heating function through the emission of far infrared ray (Or " weave heating body ") has been actively studied.
직물발열체는 일반사들과 탄소사를 이용하여 면상으로 직조를 하고 탄소사 양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면 발열이 일어나는 원리를 이용한다. 직물발열체와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1228호(2006.10.26. '면사직조발열체') 등이 있다.Fabric heating elements are fabricated by using plain yarn and carbon yarn, and heat is generate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arbon yarn end. Techniques related to the fabric heating element includ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111228 (October 26, 2006, "Weaving and weaving heater body").
직물발열체를 난방시스템에 적용하고자 할 때에는 직물발열체를 난방 공간의 면적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하면 된다.When a fabric heating element is to be applied to a heating system, the fabric heating element may be manufactured to fit the heating space area.
하지만 직물발열체의 특성상 일 부분에 파손이나 고장이 발생하면 넓은 면적의 직물발열체 전체를 교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직류전원과 교류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직물발열체의 제조 방식이 바뀔 수 밖에 없는데, 이렇게 공급 전원이 바뀔 경우 전원공급라인까지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f a breakage or failure occurs in a part of the fabric, the entire area of the fabric heating element must be replaced. Also, depending on whether a DC power supply or an AC power supply is supplied, the fabrication method of the fabric heating element can not be changed. If the power supply is changed, the power supply line needs to be replac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직물발열체를 모듈로 제작하고 전원공급라인을 갖는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제작함으로써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토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of making a fabric heat generating element as a module and detachably attaching to a main body having a power supply line, It has its purpose.
또한 동일한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직류와 교류용 직물발열체가 모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technique that allows both DC and AC fabric heaters to be installed through the same power supply li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발열체 모듈의 교체가 가능한 난방시스템은, 일측으로 제1전원공급라인과 복수의 제1전원접속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으로 제2전원공급라인과 복수의 제2전원접속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열되는 복수의 직물발열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제1전원공급라인과 제2전원공급라인 사이의 공간은 상기 직물발열체 모듈이 나란하게 안착되는 복수의 모듈체결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각의 모듈체결구역에서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 측 전방부 일 지점에 상기 제1전원접속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과 마주하고 있는 상기 제2전원공급라인 후방부 일 지점에 상기 제2전원접속구가 마련되어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ing system capable of replacing a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The heating system includes a first power supply line and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ports, A main body having two power connection ports; A space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ody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in which the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is seated side by side, Wherei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is provided at a posi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side in each of the module fastening areas,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facing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port is provided at a position rearward of the line.
여기서, 상기 직물발열체 모듈은, 상기 직물발열체 모듈이 상기 본체의 모듈체결구역에 안착되었을 시, 상기 모듈체결구역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어 전원 공급을 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의 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며 일 지점이 상기 제1전원접속구와 접속되는 제1전원접속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으로부터 제1전원을 공급받는 제1도전부; 및 상기 발열부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며 일 지점이 상기 제2전원접속구와 접속되는 제2전원접속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2전원공급라인으로부터 제2전원을 공급받는 제2도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may include a heating unit arranged to have a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module fastening area when the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is seated in the module fastening area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first power supply lin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first power supply lin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port,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line being arranged to have a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heat generating unit, And the like.
또한, 상기 직물발열체 모듈은, 상기 직물발열체 모듈이 상기 본체의 모듈체결구역에 안착되었을 시, 상기 모듈체결구역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어 전원 공급을 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의 일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며 일 지점이 상기 제1전원접속구와 접속되는 제1전원접속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으로부터 제1전원을 공급받는 제1도전부; 및 상기 발열부의 타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며 일 지점이 상기 제2전원접속구와 접속되는 제2전원접속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2전원공급라인으로부터 제2전원을 공급받는 제2도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may include a heating unit arranged to have a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module fastening area when the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is seated in the module fastening area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wherei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first powe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port and having a leng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난방시스템에서는 전원공급라인을 갖는 본체를 복수의 모듈체결구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모듈체결구역에 전원접속구를 위치시킴으로써, 모듈체결구역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된 직물발열체 모듈이 착탈 가능함으로써, 일부가 고장날 경우 해당 모듈만 교체할 수 있어서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In th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having the power supply lin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ule fastening areas, and the power connection ports are positioned in the respective module fastening areas, so that the fabric heat generating module, As a result, if a part fails, only the corresponding module can be replaced, which is easy to maintain.
또한 전원접속구의 위치적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직류용 또는 교류용 직물발열체 모듈을 모두 적용시킬 수가 있다. 즉 직류 전원은 전압이 높지 않기 때문에 발열부d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제작되고, 교류 전원은 상대적으로 전압이 높기 때문에 발열부a의 길이가 길게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에 따라 각 직물발열체에서 도전부의 길이나 배열 방향도 상이할 수 밖에 없다.Further, by providing the positional characteristic of the power source connection port, it is possible to apply both the DC or AC fabric heat generating module. That is, since the direct-current power source does not have a high voltage, the length of the heat-generating portion d is relatively short and the AC power source has a relatively high voltage. Therefore, the length of the heat-generating portion a must be made long. And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is also different.
즉, 동일한 크기의 모듈본체에 직류용 및 교류용 직물발열체를 적용해야 할 경우, 직류용 발열부d는 모듈본체d의 변 길이 중 짧은 변 길이에 대응하여 배치시키고, 이에 따라 기다란 변 길이에 대응하여 도전부d가 배치되어야 한다. 반대로 교류용 발열부a는 모듈본체a의 변 길이 중 기다란 변 길이에 대응하여 배치시키고, 짧은 변 길이에 대응하여 도전부a가 배치되어야 한다.That is, when direct current and alternating current fabric heat generating elements are to be applied to a module body of the same size, the direct heat generating portion d is arranged corresponding to a short side length of the side length of the module body d, So that the conductive part d should be disposed. On the contrary,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 for alternating current should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long side length of the side length of the module body a, and the conductive portion a should be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short side length.
이에 따라 각 도전부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로 방향의 제1도전부d와 세로 방향의 제1도전부a가 공통적으로 지나가는 지점인 전방 좌측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1전원접속구와 제1전원접속부를 위치시키고, 마찬가지로 제2도전부d와 제2도전부a가 공통적으로 지나가는 지점인 후방 우측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2전원접속구와 제2전원접속부를 위치시킴으로써, 동일한 본체에 직류용 및 교류용 직물발열체 모듈을 모두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front left side, which is the point where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a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commonly passed,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port and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port are located so that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port and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po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rear right side, It is possible to install both DC and AC fabric heat generating element modules in the same main body.
따라서 전원 방식이 바뀔 경우 전원공급라인까지 교체할 필요가 없어서 시공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power supply system is changed,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power supply lin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construction is very convenient.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방시스템에서 본체와 직물발열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난방시스템에서 본체의 전원공급라인과 전원접속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1에 도시된 난방시스템에서 본체에 직류용 직물발열체 모듈이 설치되었을 시 전원이 공급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1에 도시된 난방시스템에서 본체에 교류용 직물발열체 모듈이 설치되었을 시 전원이 공급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ain body and a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in a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wer supply line and a power connection port of the main body in 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supplying power when a direct current fabrication heater module is installed in a main body in 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supplying power when an AC fabric heat generating element module is installed in a main body in 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 1;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nfiguration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configurations omitted are not necessarily those not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may be combin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방시스템에서 본체와 직물발열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난방시스템에서 본체의 전원공급라인과 전원접속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난방시스템은 난방조절기(20), 본체(30) 및 직물발열체 모듈(40,50)을 포함한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ain body and a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in a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wer supply line and a power connection port of the main body in 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 FIG.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eating syste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난방조절기(20)는 전원공급부(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본체(30)의 각 전원공급라인(31,33)으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며, 난방조절기(20)를 통해 전원의 공급 및 차단, 온도 제어 등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원공급부(10)는 직류 또는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다시 하도록 한다.The
본체(30)는 난방이 필요한 공간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되며, 직물발열체 모듈(40,50)이 나란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모듈체결구역(A1~A6)으로 구분된다. 또한 본체(30)에는 직물발열체 모듈(30,4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제1전원공급라인(31)이 마련되어 있고, 마주하는 타측으로 제2전원공급라인(33)이 마련되어 있다.The
각각의 전원공급라인(31,33)에는 직물발열체 모듈(40,50)의 전원접속부(44,46,54,56)가 접속될 수 있도록 전원접속구(32,34)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전원접속구(32,34)는 직류용 직물발열체 모듈d(40)와 교류용 직물발열체 모듈a(50)에 모두 대응할 수 있도록 특정한 위치를 갖는다. 즉 본체(30)의 제1전원공급라인(31)과 제2전원공급라인(33) 사이의 공간을 직물발열체 모듈(40,50)이 나란하게 안착되는 복수의 모듈체결구역(A1~A6)으로 구분하였을 시, 각 모듈체결구역(A1~A6)에서 제1전원공급라인(31) 측에는 전방부(도2를 기준으로 상부) 일 지점에 제1전원접속구(32)가 마련되어 있고, 제2전원공급라인(33) 측에는 후방부(도2를 기준으로 하부) 일 지점에 제2전원접속구(34)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직류용 직물발열체 모듈d(40) 및 교류용 직물발열체 모듈a(50)가 모두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도3 및 도4를 통해 설명토록 한다.The
도3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난방시스템에서 본체의 각 모듈체결구역에 직류용 직물발열체 모듈d가 설치되었을 시 전원 공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wer supply structure when the direct current fabrication heater module d is installed in each module fastening area of the main body in 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 1 and FIG.
직물발열체 모듈d(40)는 모듈본체d(41), 발열부d(42), 제1도전부d(43), 제1전원접속부d(44), 제2도전부d(45) 및 제2전원접속부d(46)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구성명칭 뒤에 표기한 'd'는 교류용 직물발열체 모듈a(50)의 동일 구성 명칭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특별한 의미를 갖지는 아니한다. 또한 직물발열체 모듈d(40)는 일반사로 직조되는 직조부나 별도의 커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다.The fabric heating
모듈본체d(41)는 본체(30)의 모듈체결구역(A1~A6)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작되고, 그 측면으로 전원접속부d(44,46)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전원접속부d(44,46)는 본체(30)에 마련된 전원접속구(32,34)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마련된다.The module main body d 41 is manufactur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module fastening areas A1 to A6 of the
즉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제1전원접속부d(44)는 제1전원접속구(32)와 접속할 수 있도록 모듈체결구역(A1~A6)의 전방 좌측에 마련되고, 제2전원접속부d(46)는 제2전원접속구(34)와 접속할 수 있도록 모듈체결구역(A1~A6)의 후방 우측에 마련되어 있다.1 and 3, the first
발열부d(42)는 탄소사로 제작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직류 전원이 공급될 경우 전압이 높지 않기 때문에 발열부d(42)의 길이는 짧게 제작된다. 즉, 직류용 직물발열체 모듈d(40)에서 발열부d(42)는 전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발열부d(42)의 전방과 후방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가 배치되도록 도전부d(43,45)가 설치된다.The heat generating part d (42) is made of carbon yarn and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supplied. Here, since the voltage is not high when DC power is supplied, the length of the heat generating
즉 제1도전부d(43)는 발열부d(42)의 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며 좌측 일 지점이 제1전원접속구(32)와 접속되는 제1전원접속부d(44)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도전부d(43)는 제1전원공급라인(31)으로부터 제1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onductive part d (43) is arranged so as to have a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ront of the heat-generating part d (42) and has a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part d (44)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port It is connected. Accordingly, the first
제2도전부d(45)는 발열부d(42)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며 우측 일 지점이 제2전원접속구(34)와 접속되는 제2전원접속부d(46)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전부d(45)는 제2전원공급라인(33)으로부터 제2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The second
이렇게 본체(30)의 모듈체결구역(A1~A6)에 직물발열체 모듈d(40)가 설치된 후 각각의 전원접속부d(44,46)를 전원접속구(32,34)에 연결시켜 난방조절기(20)를 통해 전원공급부(10)로부터 제공받은 직류 전원을 공급하면 발열부d(42)가 발열하여 난방이 이루어진다.After the fabric heating
도4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난방시스템에서 본체의 각 모듈체결구역에 교류용 직물발열체 모듈a가 설치되었을 시 전원 공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wer supply structure when the AC fabrics heating element module a is installed in each module fastening area of the main body in 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 1 and FIG.
직물발열체 모듈a(50)는 모듈본체a(51), 발열부a(52), 제1도전부a(53), 제1전원접속부a(54), 제2도전부a(55) 및 제2전원접속부a(56)를 포함한다.The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a 50 includes the module body a 51, the heating portion a 52,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a 53, the first power connection portion a 54, 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a 55, 2 power connection part a (56).
모듈본체a(51)의 측면에는 전원접속부a(54,56)가 마련되어 있다. 즉 도1 및 도4를 참조하면, 제1전원접속부a(54)는 제1전원접속구(32)와 접속할 수 있도록 모듈체결구역(A1~A6)의 전방 좌측에 마련되고, 제2전원접속부a(56)는 제2전원접속구(34)와 접속할 수 있도록 모듈체결구역(A1~A6)의 후방 우측에 마련되어 있다.A power connection portion a (54, 56)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module main body (51). 1 and 4, the first power connection part a 54 is provided on the front left side of the module fastening areas A1 to A6 so as to be able to connect with the first
발열부a(52)는 탄소사로 제작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생시키는데, 교류 전원이 공급될 경우에는 전압이 높기 때문에 발열부a(52)는 상대적으로 길게 제작되어야 한다. 즉, 교류용 직물발열체 모듈a(50)에서 발열부a(52)는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발열부a(52)의 좌측과 우측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가 배치되도록 도전부a(53,55)가 설치된다.The heating part a (52) is made of carbon yarn and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supplied. Since the voltage is high when AC power is supplied, the heating part a (52) must be made relatively long. That is, in the alternating current-use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a 50,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 52 is arranged so as to have a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length i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 52 A conductive portion a (53, 55) is provided.
즉 제1도전부a(53)는 발열부a(52)의 좌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며 전방 일 지점이 제1전원접속구(32)와 접속되는 제1전원접속부a(54)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도전부a(53)는 제1전원공급라인(31)으로부터 제1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onductive part a (53) is arranged so as to have a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left side of the heat-generating part a 52 and has a first power connection part a (54)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connection port (32) It is connected. Therefore, the first conductive part a 53 can receive the first power from the first
제2도전부a(55)는 발열부a(52)의 우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며 후방 일 지점이 제2전원접속구(34)와 접속되는 제2전원접속부a(56)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전부a(55)는 제2전원공급라인(33)으로부터 제2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a 55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connection portion a 56, which is arranged to have a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 52 and whose rear point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이렇게 본체(30)의 모듈체결구역(A1~A6)에 직물발열체 모듈a(50)가 설치된 후 각각의 전원접속부a(54,56)를 전원접속구(32,34)에 연결시켜 난방조절기(20)를 통해 전원공급부(10)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원을 공급하면 발열부a(52)가 발열하여 난방이 이루어진다.After the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a 50 is installed in the module clamping areas A1 to A6 of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시스템에서는 전원공급라인(31,33)을 갖는 본체(30)를 복수의 모듈체결구역(A1~A6)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모듈체결구역(A1~A6)에 전원접속구(32,34)를 위치시킴으로써, 모듈체결구역(A1~A6)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된 직물발열체 모듈(40,50)이 착탈 가능함으로써, 일부가 고장날 경우 해당 모듈만 교체할 수 있어서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in th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전원접속구(32,34)의 위치적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직류용 또는 교류용 직물발열체 모듈(40,50)을 모두 사용할 수가 있다. 즉 직류 전원은 전압이 높지 않기 때문에 발열부d(42)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제작되고, 교류 전원은 상대적으로 전압이 높기 때문에 발열부a(52)의 길이가 길게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에 따라 각 직물발열체 모듈(40,50)에서 도전부(43,45,53,55)의 길이나 배열 방향도 상이할 수 밖에 없다.Further, by providing the 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즉, 동일한 크기의 모듈본체(41,51)에 직류용 및 교류용 직물발열체를 적용해야 할 경우, 직류용 발열부d(42)는 모듈본체d(41)의 변 길이 중 짧은 변 길이에 대응하여 배치시키고, 이에 따라 기다란 변 길이에 대응하여 도전부d(43,45)가 배치되어야 한다. 반대로 교류용 발열부a(52)는 모듈본체a(51)의 변 길이 중 기다란 변 길이에 대응하여 배치시키고, 짧은 변 길이에 대응하여 도전부a(53,55)가 배치되어야 한다.That is, when direct current and alternating current fabric heat generating elements are to be applied to the module bodies 41 and 51 of the same size, the direct current heat generating
이에 따라 각 도전부(43,45,53,55)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로 방향의 제1도전부d(43)와 세로 방향의 제1도전부a(53)가 공통적으로 지나가는 지점인 전방 좌측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1전원접속구(32)와 제1전원접속부(44,54)를 위치시키고, 마찬가지로 제2도전부d(45)와 제2도전부a(55)가 공통적으로 지나가는 지점인 후방 우측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2전원접속구(34)와 제2전원접속부(54,56)를 위치시킴으로써, 동일한 본체(30)에 직류용 및 교류용 직물발열체 모듈(40,50)을 모두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따라서 전원 방식이 바뀔 경우 전원공급라인까지 교체할 필요가 없어서 시공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power supply system is changed,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power supply lin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construction is very convenient.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전원공급부
20 : 난방조절기
30 : 본체
31 : 제1전원공급라인
32 : 제1전원접속구
33 : 제2전원공급라인
34 : 제2전원접속구
A1~A6 : 제1~제6모듈체결구역
40 : 직물발열체 모듈d
41 : 모듈본체d
42 : 발열부d
43 : 제1도전부d
44 : 제1전원접속부d
45 : 제2도전부d
46 : 제2전원접속부d
50 : 직물발열체 모듈a
51 : 모듈본체a
52 : 발열부a
53 : 제1도전부a
54 : 제1전원접속부a
55 : 제2도전부a
56 : 제2전원접속부a10: Power supply
20: Heating regulator
30: Body
31: first power supply line
32: first power connection port
33: second power supply line
34: second power connection port
A1 to A6: First to sixth module fastening areas
40: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d
41: Module body d
42: heat generating part d
43: first conductive part d
44: first power connection d
45: second conductive part d
46: second power connection d
50: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a
51: Module body a
52: heat generating part a
53: first conductive part a
54: first power connection part a
55: second conductive part a
56: second power connection part a
Claims (3)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열되는 복수의 직물발열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제1전원공급라인과 제2전원공급라인 사이의 공간은 상기 직물발열체 모듈이 나란하게 안착되는 복수의 모듈체결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각의 모듈체결구역에서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 측 전방부 일 지점에 상기 제1전원접속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과 마주하고 있는 상기 제2전원공급라인 후방부 일 지점에 상기 제2전원접속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직물발열체 모듈은,
상기 직물발열체 모듈이 상기 본체의 모듈체결구역에 안착되었을 시, 상기 모듈체결구역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어 전원 공급을 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의 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며 일 지점이 상기 제1전원접속구와 접속되는 제1전원접속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으로부터 제1전원을 공급받는 제1도전부; 및
상기 발열부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며 일 지점이 상기 제2전원접속구와 접속되는 제2전원접속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2전원공급라인으로부터 제2전원을 공급받는 제2도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의 교체가 가능한 난방시스템.
A main body having a first power supply line and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ports on one side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a plurality of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ports on the other side; And
And a plurality of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generate heat,
Wherein a space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ody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ule fastening areas in which the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is seated side by side, Wherein the first power connection port is provided at a front portion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port is provided at a point rearward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facing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comprises:
A heat generating unit arranged to have a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module fastening area when the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is seated in the module fastening area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first power supply lin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first power supply lin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 And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port,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a heat exchanger for heating the heat exchanger.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열되는 복수의 직물발열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제1전원공급라인과 제2전원공급라인 사이의 공간은 상기 직물발열체 모듈이 나란하게 안착되는 복수의 모듈체결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각각의 모듈체결구역에서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 측 전방부 일 지점에 상기 제1전원접속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과 마주하고 있는 상기 제2전원공급라인 후방부 일 지점에 상기 제2전원접속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직물발열체 모듈은,
상기 직물발열체 모듈이 상기 본체의 모듈체결구역에 안착되었을 시, 상기 모듈체결구역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어 전원 공급을 받아 발열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의 일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며 일 지점이 상기 제1전원접속구와 접속되는 제1전원접속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1전원공급라인으로부터 제1전원을 공급받는 제1도전부; 및
상기 발열부의 타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며 일 지점이 상기 제2전원접속구와 접속되는 제2전원접속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2전원공급라인으로부터 제2전원을 공급받는 제2도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의 교체가 가능한 난방시스템.A main body having a first power supply line and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connection ports on one side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a plurality of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ports on the other side; And
And a plurality of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generate heat,
Wherein a space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ody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ule fastening areas in which the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is seated side by side, Wherein the first power connection port is provided at a front portion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port is provided at a point rearward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facing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comprises:
A heating unit arranged to have a length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module fastening area when the fabric heating element module is seated in the module fastening area of the main body,
A first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first power supply lin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 And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port,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a heat exchanger for heating the heat exchang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886A KR101912755B1 (en) | 2016-09-23 | 2016-09-23 | Heating system with exchangeable structure of woven heating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886A KR101912755B1 (en) | 2016-09-23 | 2016-09-23 | Heating system with exchangeable structure of woven heating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2794A KR20180032794A (en) | 2018-04-02 |
KR101912755B1 true KR101912755B1 (en) | 2018-10-29 |
Family
ID=6197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18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912755B1 (en) | 2016-09-23 | 2016-09-23 | Heating system with exchangeable structure of woven heating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275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27236A (en) * | 2019-02-22 | 2019-05-31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Supporting plate assembly structure and heat storage electric heat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6830B1 (en) | 2009-08-25 | 2011-11-24 | 문영수 | Thermal Mat Using DC Power |
KR101383666B1 (en) | 2010-12-21 | 2014-04-09 | 밀워키 컴포지츠, 인코포레이티드 | Panel with heated lay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6553Y1 (en) * | 2003-12-24 | 2004-04-01 | 주식회사세모 | Surface type heater with low magnetic field |
KR20060111228A (en) * | 2005-04-22 | 2006-10-26 | (주)화동히파텍 | Cotton weaving heating element |
KR20110065005A (en) * | 2009-12-09 | 2011-06-15 | 이형태 | Heating device |
KR20140106105A (en) * | 2013-02-26 | 2014-09-03 | 박진규 | Assembly-type floor panel having heating element |
-
2016
- 2016-09-23 KR KR1020160121886A patent/KR10191275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6830B1 (en) | 2009-08-25 | 2011-11-24 | 문영수 | Thermal Mat Using DC Power |
KR101383666B1 (en) | 2010-12-21 | 2014-04-09 | 밀워키 컴포지츠, 인코포레이티드 | Panel with heated lay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2794A (en) | 2018-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2755B1 (en) | Heating system with exchangeable structure of woven heating module | |
JP6284877B2 (en) | Vehicle seat | |
KR101086830B1 (en) | Thermal Mat Using DC Power | |
CN107553032B (en) | Welding liner assembly | |
KR101707478B1 (en) | Fabric heater, hooked up heater and seat comprising the fabric heater | |
US20100313504A1 (en) | Wood Board Connection with Heat Transfer Function | |
KR20100129946A (en) | Automotive heating cover using hot mesh plate | |
JP2009247634A (en) | Heated seat | |
KR20180032795A (en) | Woven Heating device having concentrated heating function | |
KR200437599Y1 (en) | Heating bed mattress | |
KR20180110967A (en) | Self-sufficient solar fresh air heating and water preheating hybrid system | |
KR200331073Y1 (en) | Structural electric heat plate | |
KR20060111228A (en) | Cotton weaving heating element | |
KR100711513B1 (en) | Heater using woven heating element | |
KR20100129950A (en) | Automotive Heater with Hot Mesh Plate | |
KR100844041B1 (en) | Radiator using fabric heating element | |
KR20060122401A (en) | Heating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 |
CN212473185U (en) | Heating backrest | |
CN211710828U (en) | Subway vehicle heating system based on carbon fiber | |
KR20120041322A (en) | Vehicle heating system using the dual ptc heater for temperature control | |
CN103997806A (en) | Graphite resistance type heating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furnace heater | |
KR20200073704A (en) | Electric heater | |
KR20150085148A (en) | Heating partition | |
KR101456029B1 (en) | Multiple folded heating mat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2300381B1 (en) |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for bicy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3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9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