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2184B1 - 보이스 코일 모터 - Google Patents

보이스 코일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184B1
KR101912184B1 KR1020110098861A KR20110098861A KR101912184B1 KR 101912184 B1 KR101912184 B1 KR 101912184B1 KR 1020110098861 A KR1020110098861 A KR 1020110098861A KR 20110098861 A KR20110098861 A KR 20110098861A KR 101912184 B1 KR101912184 B1 KR 101912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elastic member
foreign matter
mover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793A (ko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184B1/ko
Priority to TW101124767A priority patent/TWI578668B/zh
Priority to US13/555,694 priority patent/US20130083409A1/en
Priority to JP2012179202A priority patent/JP6192909B2/ja
Priority to CN201210369629.4A priority patent/CN103036346B/zh
Publication of KR2013003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1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보이스 코일 모터는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제공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포집막; 상기 베이스 상부에 배치되며 렌즈를 지지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제공된 코일 블럭을 포함하는 가동자; 상기 베이스에 지지 되며 상기 코일 블럭과 마주하게 배치된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고정자; 및 상기 가동자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자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이물질 포집막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 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휴대폰에 장착된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는 주로 외부광을 디지털 이미지로 변경하는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와 마주하게 배치된 광학 렌즈를 포함한다.
종래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 및 광학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어려웠지만, 최근 들어 이미지 센서 및 광학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보이스 코일 모터(VCM)와 같은 렌즈 구동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보이스 코일 모터는 렌즈가 장착된 보빈 및 보빈에 권선된 코일 블럭을 포함하는 가동자, 가동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고정자, 가동자를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탄성 부재 및 가동자와 고정자가 고정되며 후면에 IR 필터 및 아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종래 보이스 코일 모터는 가동자가 베이스에 대하여 왕복 운동을 하기 때문에 가동자가 구동 또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조립하는 도중 미세한 먼지와 같은 파티클 및 가동자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이 베이스에 고정된 IR 필터에 부착될 경우 이미지 센서로부터 발생 된 이미지 품질이 크게 감소 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침투한 이물질 또는 조립 공정 중 발생된 이물질이 IR 필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보이스 코일 모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이 IR 필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IR 필터가 형성된 베이스에 도포된 이물질 유입 방지막의 유동에 따른 오염 및 불량도 함께 방지한 보이스 코일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보이스 코일 모터는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제공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포집막; 상기 베이스 상부에 배치되며 렌즈를 지지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제공된 코일 블럭을 포함하는 가동자; 상기 베이스에 지지 되며 상기 코일 블럭과 마주하게 배치된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고정자; 및 상기 가동자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자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이물질 포집막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된다.
일실시예로서, 보이스 코일 모터는 렌즈를 지지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제공된 코일 블럭을 포함하는 가동자; 상기 코일 블럭과 마주하게 배치된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가동자 및 상기 고정자를 서포트하며 상기 렌즈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가동자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자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제공되어 상기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점성을 갖는 이물질 포집막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개구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이물질 포집막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용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에 의하면, 베이스의 상면에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포집막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 포집막의 과도포에 의하여 이물질 포집막이 탄성 부재 영역 및/또는 IR 필터가 장착되는 개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 및 이물질 포집막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의 베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의 베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의 베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의 베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800)는 베이스(100), 이물질 포집막(200), 가동자(300), 고정자(400) 및 탄성 부재(50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보이스 코일 모터(800)는 커버 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100)의 중앙부에는 개구(110)가 형성된다. 베이스(100)의 후면 중 개구(11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IR 필터(120)가 배치되며, IR 필터(120)의 후면에는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0)의 상면에는 후술 될 탄성 부재(500)의 일부가 배치되는 탄성 부재 영역(ER)들이 형성되며, 탄성 부재 영역(ER)은 베이스(100)의 상면의 4 개의 모서리마다 형성된다.
이물질 포집막(200)은 베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되며, 이물질 포집막(200)은 후술 될 가동자(300)가 업-다운될 때 발생 되는 이물질 또는 보이스 코일 모터(800)를 조립할 때 발생 되는 이물질을 포집하여 이물질이 IR 필터(12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물질 포집막(200)은 점성을 갖는 액체를 베이스(100)의 상면에 도포하여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이물질 포집막(200)은 탄성 부재 영역(ER)을 제외한 베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된다.
점성을 갖는 이물질 포집막(200)을 베이스(100)의 상면에 형성할 때 지정된 양보다 많은 양이 도포될 경우, 이물질 포집막(200)의 일부가 탄성 부재 영역(ER)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 포집막(200)의 일부가 탄성 부재 영역(ER)으로 유입될 경우, 이물질 포집막(200)이 탄성 부재 영역(ER)에 배치된 탄성 부재(500)의 일부에 피착 되어 탄성 부재(500)의 기능을 크게 저하 시킨다.
또한, 점성을 갖는 이물질 포집막(200)을 베이스(100)의 상면에 형성할 때 지정된 양보다 많은 양이 도포될 경우, 점성을 갖는 이물질 포집막(200)이 베이스(100)의 개구(110)를 통해 IR 필터(1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 포집막(200)의 일부가 개구(110)를 통해 IR 필터(120)로 유입될 경우, IR 필터(120)가 오염되어 이미지 센서로부터 생성된 디지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품질 저하가 발생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점성을 갖는 이물질 포집막(200)이 베이스(100)의 개구(110) 또는 탄성 부재 영역(ER)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100)의 상면에는 이물질 포집막(200)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수용부(또는 수용 홈;1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용부(130)는 과도포 된 이물질 포집막(200)의 일부를 수용하여 이물질 포집막(200)이 베이스(100)의 개구(110) 및 탄성 부재 영역(ER)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용부(130)는 제1 수용부(132) 및 제2 수용부(134)를 포함한다.
제1 수용부(132)는 베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1 수용부(132)는 이물질 포집막(200)의 안쪽 경계인 베이스(100)의 개구(110)를 따라 트랜치(trench)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수용부(132)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수용부(132)의 폭 및 깊이는 이물질 포집막(200)의 과도포 양을 감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34)는 베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2 수용부(134)는 이물질 포집막(200)의 바깥쪽 경계로 탄성 부재 영역(ER)을 따라 트랜치(trench)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수용부(134)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수용부(134)의 폭 및 깊이는 이물질 포집막(200)의 과도포 양을 감안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의 베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개구(110)가 형성된 베이스(100)의 상면에는 점성을 갖는 이물질 도포막(200)이 형성되고, 베이스(100)에는 이물질 도포막(200) 중 과도포 된 부분이 개구(110)를 통해 IR 필터(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100)의 개구(110) 주변에는 트랜치 형상을 갖는 수용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트랜치 형상을 갖는 수용부(14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물질 도포막(200)이 탄성 부재 영역(ER)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 부재 영역(ER) 및 이물질 도포막(200) 사이에는 환형 돌출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의 베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개구(110)가 형성된 베이스(100)의 상면에는 점성을 갖는 이물질 도포막(200)이 형성되고, 베이스(100)에는 이물질 도포막(200) 중 과도포 된 부분이 개구(110)를 통해 IR 필터(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100)의 개구(110) 주변에는 트랜치 형상을 갖는 수용부(150)가 형성된다. 트랜치 형상을 갖는 수용부(15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단속적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물질 도포막(200)이 탄성 부재 영역(ER)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 부재 영역(ER) 및 이물질 도포막(200) 사이에는 환형 돌출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의 베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개구(110)가 형성된 베이스(100)의 상면에는 점성을 갖는 이물질 도포막(200)이 형성되고, 베이스(100)에는 이물질 도포막(200) 중 과도포 된 부분이 탄성 부재 영역(ER)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100)의 탄성 부재 영역(ER) 및 이물질 도포막(200)의 사이에는 트랜치 형상을 갖는 수용부(160)가 형성된다. 트랜치 형상을 갖는 수용부(16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물질 도포막(200)이 개구(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110)를 따라 환형 돌출부(16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의 베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개구(110)가 형성된 베이스(100)의 상면에는 점성을 갖는 이물질 도포막(200)이 형성되고, 베이스(100)에는 이물질 도포막(200) 중 과도포 된 부분이 탄성 부재 영역(ER)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100)의 탄성 부재 영역(ER) 및 이물질 도포막(200)의 사이에는 트랜치 형상을 갖는 수용부(170)가 형성된다. 트랜치 형상을 갖는 수용부(17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단속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특히 수용부(170)는 탄성 부재 영역(ER)과 대응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물질 도포막(200)이 개구(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110)를 따라 환형 돌출부(17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가동자(300)는 렌즈를 수납하는 보빈(310) 및 보빈(310)의 외주면에 결합된 코일 블럭(320)을 포함한다.
보빈(310)은 렌즈를 수납하기 위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코일 블럭(320)은 절연 수지에 의하여 절연된 긴 전선을 보빈(310)의 외주면에 직접 권선 또는 권선 된 상태에서 보빈(310)에 결합 될 수 있다.
고정자(400)는 요크(410) 및 마그네트(420)를 포함한다. 요크(410)는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요크(410)의 내부에는 마그네트(420)가 배치되며, 마그네트(420)는 보빈(310)의 외주면에 결합된 코일 블럭(320)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탄성 부재(500)는 하부 탄성 부재(510) 및 상부 탄성 부재(520)를 포함한다.
하부 탄성 부재(510)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각 하부 탄성 부재(510)는 보빈(310)의 하면에 결합 되며, 각 하부 탄성 부재(510)는 코일 블럭(320)의 양쪽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 하부 탄성 부재(510)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탄성을 발생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탄성부는 베이스(100)의 탄성 부재 영역(ER)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부 탄성 부재(520)는 요크(410) 상에 배치되며, 상부 탄성 부재(520)는 보빈(310)의 상단과 결합 된다.
커버 부재(600)는 베이스(100)와 결합되며, 커버 부재(600)는 상부 탄성 부재(520)를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베이스의 상면에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포집막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 포집막의 과도포에 의하여 이물질 포집막이 탄성 부재 영역 및/또는 IR 필터가 장착되는 개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 및 이물질 포집막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800...보이스 코일 모터 100...베이스
200...이물질 포집막 300...가동자
400...고정자 500...탄성 부재
600...커버 부재

Claims (20)

  1. 개구를 포함하고 입방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에 탄성부재 영역(ER)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제공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점성을 갖는 이물질 포집막;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제공된 코일 블럭을 포함하는 가동자;
    상기 코일 블럭과 마주하게 배치된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상에 지지되는 고정자; 및
    상기 가동자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자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개구의 주위를 따라 베이스의 상면에 연속하는 또는 단속적인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 영역(ER) 및 상기 개구 중 적어도 하나로 과도포된 이물질 포집막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이격되면서 상기 수용부를 포위하도록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연속하여 돌출 형성된 링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 영역(ER)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포집막은 상기 탄성부재 영역(ER)을 제외하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의 영역에 구비된 보이스 코일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보이스 코일 모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영역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의 4 개의 모서리들에 형성된 보이스 코일 모터.
  7. 개구를 포함하고 입방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에 탄성부재 영역(ER)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제공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점성을 갖는 이물질 포집막;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제공된 코일 블럭을 포함하는 가동자;
    상기 코일 블럭과 마주하게 배치된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상에 지지되는 고정자; 및
    상기 가동자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자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개구의 주위를 따라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연속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 영역(ER) 및 상기 개구 중 적어도 하나로 과도포된 이물질 포집막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 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이격되면서 상기 돌출부를 포위하도록 연속하는 또는 단속적인 폐루프 형상으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 영역(ER)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포집막은 상기 탄성부재 영역(ER)을 제외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의 영역에 구비된 보이스 코일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보이스 코일 모터.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적으로 수용부는 상기 각 탄성부재 영역(ER)에 대응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보이스 코일 모터.
  11. 렌즈를 지지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제공된 코일 블럭을 포함하는 가동자;
    상기 코일 블럭과 마주하게 배치된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가동자 및 상기 고정자를 서포트하며 상기 렌즈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고 탄성부재 영역(ER)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가동자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자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탄성부재 영역(ER)에 대응하여 배치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제공되어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점성을 갖는 이물질 포집막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의 주변을 따라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연속하는 또는 단속적인 폐루프 형상으로 상기 탄성부재 영역(ER) 및 상기 개구 중 적어도 하나로 과도포된 이물질 포집막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수용부와, 상기 탄성부재 영역(ER)과 상기 개구 사이에 상기 제 1 수용부와 이격하여 상기 탄성부재 영역(ER)를 따라 연속하는 또는 단속적인 폐루프 형상의 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제 2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 제2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포집막은 점성을 갖는 액체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10098861A 2011-09-29 2011-09-29 보이스 코일 모터 Active KR101912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861A KR101912184B1 (ko) 2011-09-29 2011-09-29 보이스 코일 모터
TW101124767A TWI578668B (zh) 2011-09-29 2012-07-10 音圈馬達
US13/555,694 US20130083409A1 (en) 2011-09-29 2012-07-23 Voice Coil Motor
JP2012179202A JP6192909B2 (ja) 2011-09-29 2012-08-13 ボイスコイルモータ
CN201210369629.4A CN103036346B (zh) 2011-09-29 2012-09-28 音圈电动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861A KR101912184B1 (ko) 2011-09-29 2011-09-29 보이스 코일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793A KR20130034793A (ko) 2013-04-08
KR101912184B1 true KR101912184B1 (ko) 2018-12-28

Family

ID=4799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861A Active KR101912184B1 (ko) 2011-09-29 2011-09-29 보이스 코일 모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083409A1 (ko)
JP (1) JP6192909B2 (ko)
KR (1) KR101912184B1 (ko)
CN (1) CN103036346B (ko)
TW (1) TWI5786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0912B (zh) 2014-02-27 2019-11-08 Lg伊诺特有限公司 镜头驱动马达
US9791713B2 (en) 2014-07-24 2017-10-1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CN104865677B (zh) * 2015-06-03 2018-02-06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音圈马达及其弹片以及采用该音圈马达的相机模组
CN105896798B (zh) * 2016-07-05 2018-07-24 苏州市优尔特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音圈电机
JP6568034B2 (ja) * 2016-09-28 2019-08-28 新思考電機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117B1 (ko) * 2008-10-08 2009-09-25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JP2009251517A (ja) * 2008-04-10 2009-10-29 Sharp Corp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077Y2 (ja) * 1993-11-15 2000-02-14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ブラシ付小型モータ
US7324148B2 (en) * 2002-04-26 2008-01-29 Olympus Optical Co., Ltd. Camera and image pickup device unit used therefor having a sealing structure between a dust proofing member and an image pick up device
JP4551863B2 (ja) * 2005-10-21 2010-09-29 シコ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4315182B2 (ja) * 2006-10-30 2009-08-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US7920336B2 (en) * 2007-08-03 2011-04-05 Canon Kabushiki Kaisha Barrier mechanism and camera
JP2009175343A (ja) * 2008-01-23 2009-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
CN101571659B (zh) * 2008-04-28 2014-01-15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自动对焦结构
JP5148369B2 (ja) * 2008-05-27 2013-02-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4639260B2 (ja) * 2008-08-28 2011-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101661209A (zh) * 2008-08-28 2010-03-03 夏普株式会社 相机模块以及具备该相机模块的电子设备
JP5295875B2 (ja) * 2008-11-06 2013-09-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のレンズ位置決め方法
CN101741206B (zh) * 2008-11-10 2013-07-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圈马达
CN101750699A (zh) * 2008-12-11 2010-06-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JP5160467B2 (ja) * 2009-02-16 2013-03-1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611533B2 (ja) * 2009-03-26 2014-10-22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カメラモジュールにおける撮像レンズの位置決め装置および位置決め方法
KR101019682B1 (ko) * 2009-06-08 2011-03-07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안정적인 포커싱이 가능한 이미지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JP5079049B2 (ja) * 2009-11-17 2012-11-21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KR101081630B1 (ko) * 2009-11-20 2011-1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10068419A (ko) * 2009-12-16 2011-06-2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CN102111056A (zh) * 2009-12-24 2011-06-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圈马达及相机模组
JP5431204B2 (ja) * 2010-02-23 2014-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の組み立て方法
KR20110008478U (ko) * 2010-02-25 2011-08-31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카메라 모듈용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액츄에이터
KR20110111624A (ko) * 2010-04-05 2011-10-12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렌즈 액츄에이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1517A (ja) * 2008-04-10 2009-10-29 Sharp Corp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919117B1 (ko) * 2008-10-08 2009-09-25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92909B2 (ja) 2017-09-06
TW201315101A (zh) 2013-04-01
CN103036346A (zh) 2013-04-10
KR20130034793A (ko) 2013-04-08
TWI578668B (zh) 2017-04-11
CN103036346B (zh) 2017-05-10
US20130083409A1 (en) 2013-04-04
JP2013076985A (ja)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298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12184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792732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892296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44498A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19025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03819A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021412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73378A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06908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705365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884792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402123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551392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875540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91718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51451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875585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164290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876840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164289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250623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10412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058226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058725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9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9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