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11965B1 - 판 장착 장치 및 인쇄용 판 착탈 방법 - Google Patents

판 장착 장치 및 인쇄용 판 착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965B1
KR101911965B1 KR1020137008748A KR20137008748A KR101911965B1 KR 101911965 B1 KR101911965 B1 KR 101911965B1 KR 1020137008748 A KR1020137008748 A KR 1020137008748A KR 20137008748 A KR20137008748 A KR 20137008748A KR 101911965 B1 KR101911965 B1 KR 101911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inting
printing plate
mounting surfac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9973A (ko
Inventor
겐이치 미노시마
히토시 도지마
신고 하시모토
마사유키 사이토오
Original Assignee
쇼와 알루미늄 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알루미늄 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알루미늄 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9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7/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41F27/06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to forme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10Forme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7/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41F27/1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non-deformable curved printing formes to forme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7/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41F27/12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7/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41F27/12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 B41F27/1218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comprising printing plate tens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7/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41F27/12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 B41F27/1218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comprising printing plate tensioning devices
    • B41F27/1225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comprising printing plate tensioning devices moving in the printing plate end substantially rectilinearly
    • B41F27/1237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comprising printing plate tensioning devices moving in the printing plate end substantially rectilinearly by translatory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suppor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7/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41F27/12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 B41F27/1281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details of the printing plate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7/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41F27/1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non-deformable curved printing formes to forme cylinders
    • B41F27/105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non-deformable curved printing formes to forme cylinders for attaching cylindrical printing for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27/00Mounting or handling printing plates; Forming printing surfaces in situ
    • B41P2227/40Adjusting means for printing plates on the cylinder
    • B41P2227/42Adjusting means for printing plates on the cylinder circumferent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Installation And Extraction Of Printed Sheets Or Plate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판동에 대한 주위 방향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인쇄용 판을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판 장착 장치 및 인쇄용 판 착탈 방법을 제공한다.
판 장착 장치(1)는, 판 구동축(31)의 외주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판 구동축(31)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인쇄용 판(2)이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판 장착면(12)을 갖는 판동(11)을 구비하고, 상기 판 장착면(12)에는, 상기 판동(11)의 직경 방향 외측 및 직경 방향 내측의 쌍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판 장착면(12)에 장착된 상기 인쇄용 판(2)에 접촉하여 직경 확장함으로써 상기 인쇄용 판(2)을 상기 판 장착면(12)에 밀착 고정하는 판 고정 부재(121)가 복수 설치된다.

Description

판 장착 장치 및 인쇄용 판 착탈 방법 {PLATE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REMOVING PRINTING PLATE}
본 발명은, 인쇄용 판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판 장착 장치 및 인쇄용 판 착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쇄기에 인쇄용 판을 장착하는 판 장착 장치로서, 판 구동축에 고정되는 판동의 외주에 원통 형상의 인쇄용 판이 장착되도록 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판 장착 장치에서는, 원통 형상의 인쇄용 판을 장착할 때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 및 위치 결정 정밀도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었다.
따라서,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판 장착 장치로부터 에어를 분출함으로써 인쇄용 판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인쇄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실린더부의 외주의 내측에 영구 자석을 설치하여, 자기력에 의해 인쇄용 판을 실린더부의 외주면에 흡착시키면서 장착하는 판 장착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인쇄용 판의 판부가 없는 부분을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하여 판을 판동의 판 장착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판 고정 부재를 설치한 판 장착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72682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1261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42531호 공보
그러나, 원통 형상의 인쇄용 판의 직경을 판동 직경에 근접시킨 경우에, 판동과 인쇄용 판이 밀착하여 판동에 대한 주위 방향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좋아지지만, 인쇄용 판의 장착 및 착탈 작업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원통 형상의 인쇄용 판의 직경을 판동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인쇄용 판의 장착 및 제거 작업의 조작성은 향상되지만, 인쇄용 판을 판동에 장착하였을 때의 주위 방향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었다.
인쇄용 판과 판동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기 위해, 판동의 외주의 일부를 평면 형상으로 깎음으로써 둘레 길이를 짧게 하는 것도 시도되었지만, 판동의 외주의 일부를 보다 많이 깎음으로써 착탈 작업의 조작성이 향상되는 한편, 인쇄용 판의 인쇄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판동 외주를 깎으면 화상 어긋남 등의 인쇄 불량을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판동에 대한 주위 방향의 위치 결정 정밀도, 인쇄용 판의 장착 및 제거 작업의 조작성의 양쪽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 배경에 비추어, 판동에 대한 주위 방향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인쇄용 판을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판 장착 장치 및 인쇄용 판 착탈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10]에 기재된 구성을 갖는다.
[1]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판 본체의 외주부의 일부에 판부가 설치되어 있는 인쇄용 판을 장착하기 위해, 인쇄기의 판 구동축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판 장착 장치이며,
상기 판 구동축의 외주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판 구동축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인쇄용 판이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판 장착면을 갖는 판동을 구비하고,
상기 판 장착면에는, 상기 판동의 직경 방향 외측 및 직경 방향 내측의 쌍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판 장착면에 장착된 상기 인쇄용 판에 접촉하여 직경 확장함으로써 상기 인쇄용 판을 상기 판 장착면에 밀착 고정하는 판 고정 부재가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장착 장치.
[2] 상기 판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쇄용 판의 내주 부분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상기 판동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에 기재된 판 장착 장치.
[3] 상기 판 고정 부재의 상기 접촉면은, 상기 인쇄용 판을 상기 판 장착면에 밀착 고정시켰을 때에, 상기 판동의 상기 판 장착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2에 기재된 판 장착 장치.
[4] 복수의 상기 판 고정 부재는, 상기 판동의 원주상에서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판 장착 장치.
[5] 상기 인쇄용 판은, 상기 판 본체의 내주에 내향으로 돌출되어 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결합부를 갖고,
상기 판동의 외주에는, 상기 판 구동축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인쇄용 판의 상기 결합부가 끼움 삽입되는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판 장착 장치.
[6]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판 본체의 외주부의 일부에 판부가 설치되어 있는 인쇄용 판을 장착하기 위해, 인쇄기의 판 구동축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인쇄용 판 착탈 방법이며,
상기 판 구동축의 외주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원통 형상의 판 장착면을 갖는 판동의 직경 방향 외측 및 직경 방향 내측의 쌍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판 고정 부재를 상기 판동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판동의 외주의 둘레 길이가 인쇄용 판의 내주의 둘레 길이보다 짧게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판 구동축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판동에 상기 인쇄용 판을 삽입하고,
상기 판동의 외주의 판 장착면과 상기 인쇄용 판의 내주면이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판 고정 부재를 상기 판동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켜 밀착 고정시켜 상기 인쇄용 판을 상기 판동에 장착하고,
상기 판동의 외주의 판 장착면과 상기 인쇄용 판의 내주면이 밀착 고정된 상태로부터, 상기 판 고정 부재를 상기 판동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판동과 상기 인쇄용 판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고,
상기 판동에 삽입되어 있었던 상기 인쇄용 판을 상기 판 구동축의 선단 방향으로 빼냄으로써 상기 인쇄용 판을 상기 판동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판 착탈 방법.
[7] 상기 판동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일부의 상기 판 고정 부재가 갖는 면이 상기 인쇄용 판의 내주 부분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6에 기재된 인쇄용 판 착탈 방법.
[8] 상기 판 고정 부재가 갖는 면이, 상기 인쇄용 판을 상기 판 장착면에 밀착 고정시켰을 때에, 상기 판동의 상기 판 장착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7에 기재된 인쇄용 판 착탈 방법.
[9] 상기 판동의 원주상에서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복수의 상기 판 고정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6∼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쇄용 판 착탈 방법.
[10] 상기 판동의 외주에 갖는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에, 상기 인쇄용 판이 갖는 상기 판 본체의 내주에 내향으로 돌출되어 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결합부가 상기 판 구동축의 선단측으로부터 끼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6∼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쇄용 판 착탈 방법.
상기 [1]에 기재된 판 장착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판 고정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판동 외주의 둘레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것에 의해, 인쇄시에는 판 장착면과 인쇄용 판이 밀착 고정되면서도, 착탈시에는 판 장착면과 인쇄용 판 사이에 충분한 여유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인쇄용 판의 착탈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판 고정 부재를 작고,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어, 판 고정 부재를 이동시킬 때의 조작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2]에 기재된 판 장착 장치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의 판 고정 부재에 있어서의 인쇄용 판의 내주 부분에 접촉하는 면이, 판동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판 고정 부재를 판동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킨 경우라도, 인쇄용 판에 절곡 등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저감되게 된다.
상기 [3]에 기재된 판 장착 장치에 따르면, 판 고정 부재를 판동의 판 장착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므로, 인쇄용 판에 변형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어, 인쇄 화상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
상기 [4]에 기재된 판 장착 장치에 따르면, 판 고정 부재를 판동의 원주상의 대칭인 위치에 배치하므로, 판동의 중량 밸런스가 좋아, 인쇄시의 회전 운동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상기 [5]에 기재된 판 장착 장치에 따르면, 판동에 가공한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에 인쇄용 판의 결합부를 넣음으로써, 인쇄용 판과 판동의 주위 방향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6]에 기재된 인쇄용 판 착탈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판 고정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판동 외주의 둘레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것에 의해, 인쇄시에는 판 장착면과 인쇄용 판이 밀착 고정되면서도, 착탈시에는 판 장착면과 인쇄용 판 사이에 충분한 여유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인쇄용 판의 착탈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판 고정 부재를 작고,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어, 판 고정 부재를 이동시킬 때의 조작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7]에 기재된 인쇄용 판 착탈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의 판 고정 부재에 있어서의 인쇄용 판의 내주 부분에 접촉하는 면이, 판동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판 고정 부재를 판동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킨 경우라도, 인쇄용 판에 절곡 등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저감되게 된다.
상기 [8]에 기재된 인쇄용 판 착탈 방법에 따르면, 판 고정 부재를 판동의 판 장착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므로, 인쇄용 판에 변형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어, 인쇄 화상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
상기 [9]에 기재된 인쇄용 판 착탈 방법에 따르면, 판 고정 부재를 판동의 원주상의 대칭인 위치에 배치하므로, 판동의 중량 밸런스가 좋아, 인쇄시의 회전 운동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상기 [10]에 기재된 인쇄용 판 착탈 방법에 따르면, 판동에 가공한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에 인쇄용 판의 결합부를 넣음으로써, 인쇄용 판과 판동의 주위 방향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판 장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관한 판 장착 장치의 판 고정 부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 관한 판 장착 장치에 장착하는 인쇄용 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관한 판 장착 장치에 장착하는 인쇄용 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관한 판 장착 장치에 장착하는 인쇄용 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관한 판 장착 장치에 장착하는 인쇄용 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 관한 판 장착 장치의 결합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판 장착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인쇄용 판(2)이 장착된 판 장착 장치(1)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판 장착 장치(1)에 장착된 인쇄용 판(2)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도 1의 인쇄용 판(2)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도 7은 도 1의 판 장착 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판 장착 장치(1)보다도 많은 판 고정 부재(121)를 구비한 판 장착 장치(1)의 정면도이다.
(인쇄용 판에 대해)
인쇄용 판(2)에는, 탄성 재료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판 본체(21)와, 판 본체(21)의 내주에 내향으로 돌출되어 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결합부(23)와, 판 본체(21)의 외주부의 일부에 형성된 판부(22)가 구비된다.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본체(21)는 직사각 형상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재료제 시트(이하,「시트」라 기재함)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겹쳐져 접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판부(22)는 접합부(24)를 제외한 판 본체(21)의 외주면의 소정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시트에는, 그 편면, 즉,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었을 때의 외측면에, 판부(22)로 되는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층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비닐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등의 수지를 채용할 수 있고, 쇼어 D 경도로, 예를 들어 경화 후 D20∼80 정도인 것이 적합하다.
이후에서는, 소정의 두께(예를 들어, 0.26㎜)의 함석판(Fe)에 통상의 오프셋 인쇄용 UV 경화 수지(자외선 경화 수지)를, 소정 두께(예를 들어, 0.57㎜)로 접착시킨 인쇄용 판(2)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기재한다.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하면, 그 이외의 경화 수지와 같은 용재나 고압 스팀에 의한 번잡한 세정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물 세정으로 용이하게 세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수지층의 두께는, 인쇄의 판부(22)로서 필요한 두께가 있으면 된다.
또한, 시트의 두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탄성력에 의해 원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되며, 상술한 수치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합부(24)의 내측에는, 시트의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결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결합부(23)가, 판동(11)에 대한 주위 방향의 위치 결정용의 돌기 부재로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부(23)가, 파선으로 나타내는 시트의 평탄한 상태로부터 절곡된 각도 α를 절곡 각도, 결합부(23)와 인접하는 시트 부분과의 이루는 각도 β를 시트ㆍ결합부간 각도라고 한다(도 7 참조).
절곡 각도 α는, 90도보다 큰 각도(시트ㆍ결합부간 각도 β는 90도보다 작음)가 바람직하고, 절곡 각도 α는 125도∼145도(시트ㆍ결합부간 각도 β는 35도∼55도)가 더욱 바람직하고, 절곡 각도 α는 135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에서는, 절곡 각도 α를 약 135도, 시트ㆍ결합부간 각도 β를 약 45도로 하여 설명한다.
(인쇄용 판의 제조 방법)
소정 사이즈의 직사각 형상으로 잘라내어진 인쇄용 판(2)으로 되는 시트가, 판부(22)로 되는 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시키고, 판부(22)로 되지 않는 부분, 즉 비(非)판부로 되는 미경화 부분의 수지층을 물로 씻어내어 제거한다. 비판부의 수지층을 제거함으로써, 비판부가 구부러지기 쉬워져, 시트를 원통 형상으로 구부리는 굽힘 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판부(22)라 함은, 인쇄용 판(2)의 완성 전은 판부(22)로 되는 미경화의 수지층도 포함하여 정의하고 있다.
직사각 형상의 시트의 일단부를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이하, 「내측」이라 기재함)으로 굽힘 가공함으로써, 결합부(23)를 형성한다. 이 결합부(23)의 시트의 내측 방향의 굽힘 가공의 길이는, 원통재 성형 공정의 실린더 부재(4), 혹은 조각기나 인쇄기의 후술하는 판 장착 장치(1)에 장착될 때, 실린더 부재(4)의 실린더(40)에 형성된 홈부(41), 혹은 판 장착 장치(1)의 판동(11)에 형성된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122)과 확실하게 결합되는 길이가 있으면 된다. 이 예에 있어서는, 결합부(23)를 예를 들어 4㎜의 길이로 굽힘 가공한다.
결합부(23)가 형성된 시트를, 예를 들어 원통재 성형 공정용의 실린더 부재(4)에 권취하여 둥글게 하여, 시트의 양단부를 겹쳐 원통 형상으로 접합한다. 실린더 부재(4)의 외주면에는 홈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시트의 결합부(23)를 실린더 부재(4)의 홈부(4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시트를 실린더(40)의 외주면에 권취하여 둥글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시트의 양단부를 겹쳐, 접합 수단에 의해 원통 형상으로 접합함으로써 인쇄용 판(2)을 원통 형상으로 성형한다. 그 후, 당해 인쇄용 판(2)의 판부(22)에 대해 인쇄 모양이 조각된다.
또한, 상술한 접합 수단은, 시트의 접합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 임의의 접합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 부재(4)에 권취하기 전에 결합부(23)측의 시트 단부의 결합부(23)와 반대측의 면에 적당한 접착제(242)를 도포해 둔다. 그리고, 시트를 실린더(40)의 외주면에 권취하여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여, 접착제(242)의 외측에 반대측의 시트의 단부(21a)를 겹쳐 접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접합부(24)를 도 4의 (b)에 도시하는 스폿 용접부(241)와 같이 스폿 용접에 의해 강고하게 접합해도 된다.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인쇄용 판(2)은, 후술하는 판 장착 장치(1)의 판동(11)의 외주를 따르도록 장착된다.
(판 장착 장치에 대해)
도 1, 도 5에 기초하여, 인쇄 대상물에 대해 인쇄를 행하는 인쇄기(3)에 구비되는 판 장착 장치(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당해 판 장착 장치(1)는, 인쇄기(3)에 사용되는 인쇄용 판(2)에 대해 인쇄 모양을 조각하는 조각기에도 공통적으로 구비되는 것이어도 된다.
인쇄기(3)의 기기 프레임에 베어링 하우징(30)을 설치하고, 베어링 하우징(30)은 판 구동축(31)을 회전 지지하고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30)에 설치한 판 구동축(31)은, 소정 방향, 예를 들어 정면 시계 방향으로 소정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또한, 당해 판 구동축(31)이 회전하기 위한 구동 수단은, 적절하게 공지의 기술을 적용하면 된다.
판 구동축(31)의 전단으로부터의 부분은, 베어링 하우징(30)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베어링 하우징(30)보다 전방측의 판 구동축(31)의 전단부는, 선단이 끝이 가늘게 된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다. 판 장착 장치(1)는, 판 구동축(31)의 당해 테이퍼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판 장착 장치(1)는, 상기 판 구동축(31)의 외주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판 구동축(31)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인쇄용 판(2)이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판 장착면(12)을 갖는 판동(11)을 구비하고 있다. 판동(11)은, 그 중심에 전방측의 내경이 작은 테이퍼 구멍(14)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이루고, 그 외주에, 판 구동축(31)과 동심의 원통 형상의 판 장착면(12)이 형성되어 있다.
중량 경감을 위해, 판동(11)의 주위 방향의 복수 개소(이 예에서는, 4개소)의 내부가 제거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판동(11)은, 내주에 테이퍼 구멍(14)이 형성된 축 테이퍼 통부와, 외주에 판 장착면(12)이 형성된 외측 원통부(15)와,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연결부(1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판동(11)은, 테이퍼 구멍(14)에 판 구동축(31)의 테이퍼부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 판 구동축(31)에 고정되고, 판 구동축(31)과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판동(11)의 회전 방향을 도 1, 도 8에 화살표 R로 나타내고 있다.
판 장착면(12)은, 장착된 인쇄용 판(2)의 내면과의 마찰 저항에 의한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그 표면 거칠기는 Ra 1㎛ 이하 정도에서 정지 마찰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표면 거칠기를 작게 유지하고, 또한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면, 판 장착면(12)은 하드 크롬 도장(도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동(11)의 외측 원통부(15)의 상부의 연결부(16)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원통면의 일부가 제거되어, 평탄한 절결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절결부(17)가 형성하는 면은, 후술하는 판 고정 부재(171)를 장착하기 위한 면이다. 또한, 외측 원통부(15)의 외주의 절결부(17)를 제외한 부분이 판 장착면(12)이며, 판 장착면(12)이라 함은, 인쇄용 판(2)을 장착하였을 때에 인쇄용 판(2)의 내주면과 접하는, 판 고정 부재(121)를 포함한 판동(11)의 외주면을 의미한다.
판동(11)의 외주면에는, 절결부(17)의 회전 방향 전방측 부분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판 구동축(31)의 선단측으로부터 인쇄용 판(2)의 결합부(23)가 끼워지는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122)과 판 장착면(12)을 포함하는 원통면이 이루는 각도는, 인쇄용 판(2)의 결합부(23)의 시트ㆍ결합부간 각도 β와 거의 동등하다. 또한,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122)은, 그 저부가 개구부보다 회전 방향 후방측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122)과 판 장착면(12)을 포함하는 원통면이 이루는 각도는, 시트ㆍ결합부간 각도 β보다도 약간 작게 취해 두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후, 결합부(23)의 절곡 부분이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122)의 내면의 결합부(23)에 가까운 측에 접하고, 결합부(23)의 선단이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122)의 내면의 결합부(23)로부터 먼 측에 접촉함으로써, 결합부(23)가 길이 방향으로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 폭 내의 2점에서 압박된다. 이 결과, 인쇄용 판(2)의 위치 결정이 1점으로 움직이지 않고 정해져, 장착 후에도 인쇄용 판(2)의 회전에 의한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는다.
(판 고정 부재에 대해)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판동(11)의 외주에 있는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122)보다 회전 방향 후방측의 부분에는, 상기 판동(11)의 직경 방향 외측 및 직경 방향 내측의 쌍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판 고정 부재(이후, 「제1 판 고정 부재」라 기재함)(17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판동(11)의 외주의 하방측에는, 또한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 판 고정 부재(이후, 「제2 판 고정 부재」라 기재함)(121)가 설치되어 있다. 즉, 판동(11)의 외주에는, 상기 판동(11)의 직경 방향 외측 및 직경 방향 내측의 쌍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판 고정 부재(171, 121)가 설치되어 있다.
판 고정 부재(171, 121)의 근방에는, 회전 다이얼식으로 구성된 조작부(13)가 설치되어 있다. 판 고정 부재(171, 121)는, 당해 조작부(13)가 회전 조작됨으로써 판동(11)의 직경 방향 내외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판동(11)의 외주면에 축 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당해 오목부에 끼워진 판 고정 부재(171, 121)가 조작부(13)의 조작에 의해 판동(11)의 직경 방향 내외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판 고정 부재(171, 121)는, 주위 방향 및 판 구동축 방향으로 오목부에 거의 간극 없이 끼워져, 오목부의 주위 방향 양단부 벽 및 축 방향 벽을 따라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판동(11)에 설치된 판 고정 부재(171, 121) 중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인쇄용 판(2)의 내주 부분에 접촉하는 면인 접촉면은, 상기 판동(11)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대략 동등한 곡률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인쇄용 판(2)의 내주 부분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판동(11)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판동(1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킨 경우라도, 인쇄용 판(2)에 절곡 등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저감되게 된다. 또한,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접촉면이 판동(11)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 소위 R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보다 판동(11)과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판 고정 부재(171, 121)는, 판동(11)의 연결부(16)를 따라 판 구동축(31)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판 고정 부재(171, 121)의 직경 방향의 가동 범위를 넓게 설정할 수 있다.
판 고정 부재(171, 121)는, 모두 판동(11)의 직경 방향 내외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그 용도는 다른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절결부(17)에 설치한 제1 판 고정 부재(171)는, 인쇄용 판(2)에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고, 절결부(17)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판 고정 부재(121)는, 판동(11) 외주의 둘레 길이를 조정할 수 있어, 인쇄시에는 판 장착면(12)과 인쇄용 판(2)의 내주면이 밀착 고정되면서도, 착탈시에는 판 장착면(12)과 인쇄용 판(2) 사이에 충분한 여유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인쇄용 판(2)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판동(11)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표준 상태로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판동(11)의 판 장착면(12)이 형성하는 원통의 둘레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표준 상태라 함은,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인쇄용 판(2)에의 접촉면이, 판동(11)의 외주의 판 장착면 상에 위치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인쇄용 판(2)의 내주면의 둘레 길이는, 이 판동(11)의 판 장착면(12)에 설치한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판동(11)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판 장착면(12)이 이루는 원통면보다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도 2의 (b) 참조]의 둘레 길이와 비교하면,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것은, 제2 판 고정 부재(121)가 판동(11)의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예를 들어 판동(11)의 둘레 길이의 일부를 구성하는 판 장착면(12)의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외주면이, 판동(11)의 원통면과 일치한 위치로부터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직선 형상의 위치로 변화되어, 판동(11)의 둘레 길이를 짧게 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 판 고정 부재(121)는, 상기 판동(1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판동(11)의 둘레 길이를 짧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판동(11)의 둘레 길이가 짧아진 상태의 판동(11) 외주면의 둘레 길이보다 약간 크게 설정된 인쇄용 판(2)과 판 장착면(12) 사이에 충분한 여유가 확보됨으로써, 인쇄용 판(2)을 판동(11)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3)를 조작하여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직경 방향 외측의 압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인쇄용 판(2)의 접합부(24)가 없는 인쇄용 판(2)의 내주 부분에 접촉하는 면에 압박 접촉시켜, 제2 판 고정 부재(121)에 의해 인쇄용 판(2)을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하는 압박 상태로 한다. 이때, 제2 판 고정 부재(121)에 의해 인쇄용 판(2)에 소정의 장력이 부여되어, 인쇄용 판(2)이 판동(11)의 판 장착면(12)에 밀착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13)의 조작을 정지하여,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 고정 부재(171, 121) 중 적어도 일부인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접촉면은, 상기 판동(11)의 판 장착면 상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접촉면이 판동(11)의 판 장착면(12)과 동등하거나, 혹은 대략 동등한 원통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므로, 인쇄용 판(2)에 변형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어, 인쇄 화상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
판 장착 장치(1)에 장착되는 인쇄용 판(2)의 내주 길이는, 제2 판 고정 부재(121)가 표준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판동(11)의 둘레 길이와 동등하거나, 혹은 대략 동등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판동(11)에 장착되어 있는 인쇄용 판(2)을 제거할 때에는, 인쇄용 판(2)의 압박을 해제하도록 조작부(13)를 조작하여,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압박 해제 방향, 즉, 판동(11)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판 장착면(12) 및 제2 판 고정 부재(121)와 인쇄용 판(2)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인쇄용 판(2)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판동(11)의 일단부로부터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 고정 부재(171, 121)가 판동(11)에 대한 직경 방향 내측 및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판동(11) 외주의 둘레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인쇄시에는 판 장착면(12)과 인쇄용 판(2)이 밀착 고정되면서도, 착탈시에는 판 장착면(12)과 인쇄용 판(2) 사이에 충분한 여유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인쇄용 판(2)을 착탈할 수 있다.
(인쇄용 판 착탈 방법)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1 판 고정 부재(171) 및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2개의 판 고정 부재를 설치한 판동(11)에 인쇄용 판(2)을 장착ㆍ제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절결부(17)에 설치한 제1 판 고정 부재(171) 및 절결부(17)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한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판동(11)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켜, 판동(11)의 둘레 길이가 짧아지도록 설정한다. 즉, 미리 인쇄용 판(2)의 내주의 둘레 길이보다도 판동(11)의 둘레 길이의 쪽이 짧아지도록 조정하여, 인쇄용 판(2)을 판동(11)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해 둔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판 구동축(31)에 장착된 판동(11)의 외주의 둘레 길이가 인쇄용 판(2)의 내주의 둘레 길이보다도 짧게 설정된 상태에서, 판 구동축(31)의 선단측으로부터 판동(11)에 인쇄용 판(2)을 삽입한다.
인쇄용 판(2)의 장착시에는, 제1 판 고정 부재(171) 및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인쇄용 판(2)에의 접촉면이 판동(11)의 판 장착면(12)보다 낮아지는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인쇄용 판(2)이 장착되므로, 인쇄용 판(2)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판동(1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켜,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접촉면이 표준 상태로 되도록 위치시킨다. 또한, 제1 판 고정 부재(171)를 판동(1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켜, 판동(11)의 외주의 판 장착면(12)과 인쇄용 판(2)의 내주면이 밀착 고정되도록 고정시키고, 인쇄용 판(2)을 판동(11)의 판 장착면(12)에 장착한다.
제1 판 고정 부재(171)는, 인쇄용 판(2)과 판동(11)을 밀착 고정할 때에 인쇄용 판(2)의 내측에 접촉하고, 인쇄용 판(2)을 내측으로부터 압출하여 판동(11)의 둘레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판동(11)의 외주 길이를 인쇄용 판(2)의 내주 길이에 맞추어 조정하므로, 판동(11)과 판 장착면(12)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동(11)에 판 고정 부재(171) 1개만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다 큰 판 고정 부재(171)를 판동(11)의 직경 방향 내외로 이동시킴으로써, 판동(11)의 둘레 길이의 변화량을 증대시킬 수 있지만, 그 크기에 비례하여 판 고정 부재(171)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부담도 증대되게 된다. 그러나, 복수의 판 고정 부재(171, 121)로 구성됨으로써 개개의 판 고정 부재(171, 121)를 작고,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어, 판 고정 부재(171, 121)를 이동시킬 때의 조작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인쇄 개시는, 인쇄용 판(2)이 판동(11)의 외주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판동(11) 및 인쇄용 판(2)이 구성됨으로써, 인쇄기(3)에 의해 인쇄 대상물에 대해 인쇄 모양을 인쇄할 때라도, 상기한 바와 같이 판동(11)에 인쇄용 판(2)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판동(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판 고정 부재(171, 121)에 의해 인쇄용 판(2)이 판 장착면(12)에 밀착 고정되고, 또한 인쇄용 판(2)의 결합부(23)의 선단측이 회전 방향 R 후방측을 향하게 되어, 결합부(23)가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122)에 파고 들어, 인쇄용 판(2)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다.
인쇄용 판(2)의 제거시에는, 복수의 판 고정 부재(171, 121)를 판동(11)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켜, 판동(11)의 외주 길이를 다시 판동(11)의 내주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판 장착면(12)과 인쇄용 판(2) 사이에 충분한 여유를 확보하여, 인쇄용 판(2)을 판동(11)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술에서는, 인쇄용 판(2)을 판동(11)에 장착할 때 등에,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접촉면이 판동(11)의 판 장착면(12)보다 낮아지는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장착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양쪽의 판 고정 부재(171, 121)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판 장착면(12)과 인쇄용 판(2) 사이에 충분한 여유가 확보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접촉면을 표준 상태로 되도록 위치시켜, 인쇄용 판(2)을 판동(11)에 장착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접촉면을 표준 상태로 위치시키고, 제1 판 고정 부재(171)를 판동(1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켜 인쇄용 판(2)을 밀착 고정시킬 때에, 판 장착면(12)과 인쇄용 판(2)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에는,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판동(1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켜 판 장착면(12)보다도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접촉면이 돌출되도록 위치시켜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판부(22)가 설치되지 않는 위치에 제2 판 고정 부재(121)가 배치되는 구성이므로, 이러한 조작이라도 인쇄 화상의 어긋남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다른 실시예)
상술에서는, 2개의 판 고정 부재(171, 121)를 설치한 판 장착 장치(1)로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기재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장착 장치(1)는, 상술한 판 고정 부재(171, 121)와 마찬가지로, 판동(11)의 직경 방향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3개 이상의 제2 판 고정 부재(121)가 설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복수의 제2 판 고정 부재(121)가 설치되고, 각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판동(11)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판동(11) 외주의 둘레 길이를 보다 축소시켜, 판동(11)과 인쇄용 판(2)의 둘레 길이 차가 확대되게 되므로, 인쇄용 판(2)의 장착ㆍ제거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인쇄용 판(2)의 장착시 및 제거시에는, 판동(11)에 설치된 복수의 제1 판 고정 부재(171) 및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모든 고정 부재의 접촉면이 판동(11)의 판 장착면(12)보다 낮아지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인쇄용 판(2)이 착탈된다.
인쇄용 판(2)을 판 장착면(12)에 밀착 고정할 때에는, 모든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접촉면을 표준 상태로 위치시키고, 그 후, 제1 판 고정 부재(171)를 판동(1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켜, 판동(11)의 외주의 판 장착면(12)과 인쇄용 판(2)의 내주면이 밀착 고정되도록 고정시키고, 인쇄용 판(2)을 판동(11)의 판 장착면(12)에 장착한다.
판부(22)가 설치된 위치에 배치된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접촉면은 반드시 표준 상태로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당해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접촉면을 반드시 표준 상태로 하게 함으로써, 판부(22)에 절곡 등의 변형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으므로, 인쇄 화상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 밖의 위치에 배치된 제2 판 고정 부재(121)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판동(11)의 외주에 복수의 제2 판 고정 부재(121)가 설치되므로, 1개당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더욱 작고,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어,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이동시킬 때의 조작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제1 판 고정 부재(171) 및 제2 판 고정 부재(121)는, 상기 판동(11)의 원주상에서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각 판 고정 부재(171, 121)가 판동(11)의 원주상의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므로, 판동(11)의 중량의 밸런스가 좋게 배치되므로, 인쇄시의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설치하는 경우에, 모든 제2 판 고정 부재(121)를 마찬가지로 조작하는 것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인쇄용 판(2)을 장착할 때에, 제1 판 고정 부재(171)와 1개의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접촉면이 판 장착면(12)보다 낮아지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인쇄용 판(2)과 판 장착면(12) 사이에 충분한 여유가 생기는 경우에는, 모든 제2 판 고정 부재(121)의 접촉면이 판 장착면(12)보다 낮아지도록 위치시킬 필요는 없다.
상술한 인쇄기(3), 판 장착 장치(1) 및 인쇄용 판(2)의 전체 구성 및 각 부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판 고정 부재(171, 121)가 판동(11)의 원주상에서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인쇄용 판(2)은, 원통 형상의 판 본체(21)에, 별개의 부재로 형성된 결합부(23)가 고착 장착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음매가 없는 원통재를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조작부(13)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다이얼식 조작부(13)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푸시식 조작부(13)여도 된다. 또한, 전력 등의 동력에 의해 판 고정 부재(171, 121)가 이동하거나, 혹은 수동에 의해 판 고정 부재(171, 121)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조작부(13)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계 사항이다.
각 판 고정 부재(171, 121)에 대해 각각 조작부(13)를 1개씩 구비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조작부(13)로 복수의 판 고정 부재(171, 121)를 동시에 조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인쇄용 판(2)에 의해 판부(22)가 설치되는 위치가 다른 경우라도, 동일한 판 장착 장치(1)를 사용하여 인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판동(11)에 복수의 판 고정 부재(171, 121)를 설치해 두고, 장착한 인쇄용 판(2)의 판부(22)의 설정 상황에 기초하여, 설치된 판 고정 부재(171, 121) 중, 비판부에 해당되는 개소에 배치된 판 고정 부재(121)만을 선택적으로 판동(1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술한 설명 중의 수치에 대해서는, 모두 설계 사항이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에 있어서 구체적 구성 등을 적절하게 변경 설계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원은, 2010년 10월 6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인 일본 특허 출원 제2010-226918호의 우선권 주장을 수반하는 것이며, 그 개시 내용은 그대로 본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에 이용된 용어 및 표현은, 설명을 위해 사용된 것으로, 한정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사용된 것은 아니며, 여기에 나타내어지고, 또한 서술된 특징 사항의 어떠한 균등물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클레임된 범위 내에 있어서의 각종 변형도 허용하는 것이라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인쇄용 판을 장착하여 사용된다.
1 : 판 장착 장치
2 : 인쇄용 판
3 : 인쇄기
11 : 판동
12 : 판 장착면
21 : 판 본체
22 : 판부
23 : 결합부
31 : 판 구동축
121 : 판 고정 부재(제2 판 고정 부재)
122 :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
171 : 판 고정 부재(제1 판 고정 부재)

Claims (10)

  1.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판 본체의 외주부의 일부에 판부가 설치되어 있는 인쇄용 판을 장착하기 위해, 인쇄기의 판 구동축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판 장착 장치이며,
    상기 판 구동축의 외주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판 구동축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인쇄용 판이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판 장착면을 갖는 판동을 구비하고,
    상기 판 장착면에는, 상기 판동의 직경 방향 외측 및 직경 방향 내측의 쌍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판 장착면에 장착된 상기 인쇄용 판에 접촉하여 직경 확장함으로써 상기 인쇄용 판을 상기 판 장착면에 밀착 고정하는 판 고정 부재가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장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쇄용 판의 내주 부분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상기 판동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장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 고정 부재의 상기 접촉면은, 상기 인쇄용 판을 상기 판 장착면에 밀착 고정시켰을 때에, 상기 판동의 상기 판 장착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장착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판 고정 부재는, 상기 판동의 원주상에서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장착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 판은, 상기 판 본체의 내주에 내향으로 돌출되어 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결합부를 갖고,
    상기 판동의 외주에는, 상기 판 구동축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인쇄용 판의 상기 결합부가 끼움 삽입되는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장착 장치.
  6.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판 본체의 외주부의 일부에 판부가 설치되어 있는 인쇄용 판을 장착하기 위해, 인쇄기의 판 구동축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인쇄용 판 착탈 방법이며,
    상기 판 구동축의 외주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원통 형상의 판 장착면을 갖는 판동의 직경 방향 외측 및 직경 방향 내측의 쌍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판 고정 부재를 상기 판동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판동의 외주의 둘레 길이가 인쇄용 판의 내주의 둘레 길이보다 짧게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판 구동축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판동에 상기 인쇄용 판을 삽입하고,
    상기 판동의 외주의 판 장착면과 상기 인쇄용 판의 내주면이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판 고정 부재를 상기 판동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켜 밀착 고정시켜 상기 인쇄용 판을 상기 판동에 장착하고,
    상기 판동의 외주의 판 장착면과 상기 인쇄용 판의 내주면이 밀착 고정된 상태로부터, 상기 판 고정 부재를 상기 판동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판동과 상기 인쇄용 판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고,
    상기 판동에 삽입되어 있었던 상기 인쇄용 판을 상기 판 구동축의 선단 방향으로 빼냄으로써 상기 인쇄용 판을 상기 판동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판 착탈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동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일부의 상기 판 고정 부재가 갖는 면이 상기 인쇄용 판의 내주 부분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판 착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 고정 부재가 갖는 면이, 상기 인쇄용 판을 상기 판 장착면에 밀착 고정시켰을 때에, 상기 판동의 상기 판 장착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판 착탈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동의 원주상에서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복수의 상기 판 고정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판 착탈 방법.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동의 외주에 갖는 주위 방향 위치 결정 홈에, 상기 인쇄용 판이 갖는 상기 판 본체의 내주에 내향으로 돌출되어 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결합부가 상기 판 구동축의 선단측으로부터 끼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판 착탈 방법.
KR1020137008748A 2010-10-06 2011-09-29 판 장착 장치 및 인쇄용 판 착탈 방법 Active KR101911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26918 2010-10-06
JP2010226918A JP5722586B2 (ja) 2010-10-06 2010-10-06 版装着装置および印刷用版着脱方法
PCT/JP2011/072364 WO2012046618A1 (ja) 2010-10-06 2011-09-29 版装着装置および印刷用版着脱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973A KR20140009973A (ko) 2014-01-23
KR101911965B1 true KR101911965B1 (ko) 2018-10-25

Family

ID=4592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748A Active KR101911965B1 (ko) 2010-10-06 2011-09-29 판 장착 장치 및 인쇄용 판 착탈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02135B2 (ko)
EP (1) EP2626207B1 (ko)
JP (1) JP5722586B2 (ko)
KR (1) KR101911965B1 (ko)
CN (1) CN103153622B (ko)
WO (1) WO2012046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89227T3 (es) * 2012-05-14 2018-11-12 Masayuki Izume Unidad de plancha de impresión, dispositivo de montaje de plancha de impresión y máquina de impresión
EP2962849A4 (en) * 2013-09-04 2016-12-14 I Mer Co Ltd PRINTING PLATE UNIT, PLATE CYLINDER DEVICE, AND AUTOMATIC PRINTING PLATE UNIT FIXING DEVICE FOR PRINTER
JP6316121B2 (ja) * 2014-06-30 2018-04-25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版胴、版装着装置
JP6559411B2 (ja) * 2014-11-04 2019-08-14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印刷用版の成形方法及び印刷用版の円筒状成形装置
JP6514537B2 (ja) * 2015-03-24 2019-05-15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版胴
CN106218202B (zh) * 2016-07-28 2018-08-21 浙江汇锋薄膜科技有限公司 一种装饰膜制备设备中的印刷辊筒
NL2020109B1 (en) * 2017-12-18 2019-06-25 Xeikon Prepress Nv Method for fixing and treating a flexible plate on a drum, and flexible plate for use therein
JP7206144B2 (ja) * 2019-03-28 2023-01-17 アルテミラ製缶株式会社 スリーブ印刷版用版胴、スリーブ印刷版の固定方法、及び、缶の印刷装置
CN112428668B (zh) * 2020-11-06 2022-06-28 东莞市华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半自动圆筒型锡膏印刷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2616A (ja) * 2008-07-01 2010-01-21 Masayuki Izume 印刷機用版製造装置
JP2010042531A (ja) * 2008-08-11 2010-02-25 Masayuki Izume 印刷機用版装着装置および印刷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486A (en) * 1903-06-06 1904-04-26 Benjamin J Such Printing-roller.
US1674635A (en) * 1926-02-08 1928-06-26 Paper & Textile Machinery Co Expansion mandrel
US1789292A (en) * 1928-04-05 1931-01-20 American Lithographic Co Printing-press cylinder
GB1476707A (en) * 1974-06-28 1977-06-16 Rockwell International Corp Printing plate arrangement
DE2948488A1 (de) * 1979-12-01 1981-06-04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6050 Offenbach Plattenzylinder fuer offset-rotationsdruckmaschinen
IT1184342B (it) * 1985-02-27 1987-10-28 G Cerruti Spa Off Mec Procedimento per il bloccaggio di una lastra da stampa su un cilindro da stampa,dispositivo di bloccaggio nonche' relativa lastra
US4833986A (en) * 1987-03-05 1989-05-30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Holding and tensioning system for a cover layer on a printing machine cylinder
US4917013A (en) * 1988-08-31 1990-04-17 Sidney Katz Mandrel with multiple locking heads
US5117755A (en) 1989-06-14 1992-06-02 De La Rue Giori S.A. Method for fixing printing plates onto a cylinder of an intaglio printing machine and installation for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DE4315996C1 (de) * 1993-05-13 1994-08-04 Roland Man Druckmasch Registereinrichtung für eine hülsenförmige Offset-Druckform
JP3020495B1 (ja) * 1999-04-08 2000-03-15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版胴用埋め金及び版胴用埋め金を有する版胴
AU2002339337A1 (en) * 2001-10-05 2003-04-22 Koenig And Bauer Aktiengesellschaft Rotary roller printing press
JP2006272682A (ja) 2005-03-29 2006-10-12 Universal Seikan Kk 缶の印刷装置
DE102007023272A1 (de) * 2007-05-18 2008-11-20 Manroland Ag Spanneinrichtung für Druckplatten und Formzylinder
JP2009023313A (ja) * 2007-07-24 2009-02-05 Tokyo Kikai Seisakusho Ltd 刷版装着装置
JP2009285861A (ja) * 2008-05-27 2009-12-10 Masayuki Izume 印刷機用版および印刷機
JP5286508B2 (ja) * 2008-12-26 2013-09-11 アイマー・プランニング株式会社 印刷機
JP2010226918A (ja) 2009-03-25 2010-10-07 Toyota Central R&D Labs Inc モータステータ
JP5560000B2 (ja) * 2009-07-27 2014-07-23 雅幸 井爪 印刷機用版および版装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2616A (ja) * 2008-07-01 2010-01-21 Masayuki Izume 印刷機用版製造装置
JP2010042531A (ja) * 2008-08-11 2010-02-25 Masayuki Izume 印刷機用版装着装置および印刷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81589A (ja) 2012-04-26
CN103153622A (zh) 2013-06-12
EP2626207A4 (en) 2016-01-20
US20130263750A1 (en) 2013-10-10
KR20140009973A (ko) 2014-01-23
EP2626207A1 (en) 2013-08-14
US9102135B2 (en) 2015-08-11
WO2012046618A1 (ja) 2012-04-12
CN103153622B (zh) 2015-09-02
EP2626207B1 (en) 2018-08-22
JP5722586B2 (ja)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965B1 (ko) 판 장착 장치 및 인쇄용 판 착탈 방법
EP2311637A1 (en) Device for attaching plate to printing press and printing press
EP3275656B1 (en) Plate cylinder and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printing plate
KR102390773B1 (ko) 인쇄용 판의 성형 방법 및 인쇄용 판의 원통상 성형 장치
JP5501486B2 (ja) 印刷方法、印刷用版の製造方法および印刷用版
JP5560000B2 (ja) 印刷機用版および版装着装置
JP5500863B2 (ja) 印刷用版の装着装置、印刷機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5468520B2 (ja) 版装着装置および版装着方法
JP4974232B2 (ja) 拍車ローラの製造方法
JP5677019B2 (ja) スリーブ印刷版の固定方法、スリーブ印刷版用版胴及び缶の印刷装置
JP2010137505A (ja) スリーブ印刷版及びスリーブ印刷版の製造方法
CN106457818B (zh) 印版滚筒、印版装配装置
JP6381377B2 (ja) 印刷用版
JP6405170B2 (ja) 版装着治具および版装着方法
JP2019048457A (ja) 版装着治具
JP6607790B2 (ja) プレ加工装置及びプレ加工方法
JP5816714B2 (ja) スリーブ印刷版の固定方法、スリーブ印刷版用版胴及び缶の印刷装置
JP2003191438A (ja) 刷版及び刷版の取付構造並びに方法
JP2004294545A (ja) 回転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4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3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