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577B1 -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체, 이를 이용한 전극과 복합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체, 이를 이용한 전극과 복합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0577B1 KR101910577B1 KR1020110119771A KR20110119771A KR101910577B1 KR 101910577 B1 KR101910577 B1 KR 101910577B1 KR 1020110119771 A KR1020110119771 A KR 1020110119771A KR 20110119771 A KR20110119771 A KR 20110119771A KR 101910577 B1 KR101910577 B1 KR 1019105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substituted
- unsubstituted
- formula
- halogen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08—Organic or organo-metallic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63—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catalytic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1—Electrolytic membra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17—Treatment of supports before applica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막-전극 접합체(MEA)의 단면모식도이고,
도 3a는 실시예 1, 3, 4 및 5에 따른 복합체의 적외선(IR)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평가예 2에 따라 실시예 1-6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인산 도핑 복합막의 인산 함침후 인장강도 및 연신율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평가예 3에 따라 실시예 1-2에 따라 제조된 복합막에 있어서, 온도에 따른 전도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평가예 4에 따른 전지의 셀 성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평가예 4에 따라 제작된 실시예 1의 전해질막을 채용한 전지의 내구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평가예 4에 따라 제작된 비교예 1의 PBI막을 채용한 전지의 내구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분 | 인산 함침레벨 (%) |
비교예 1 | 310 |
실시예 2 | 325 |
실시예 3 | 318 |
실시예 4 | 363 |
실시예 5 | 460 |
실시예 6 | 457 |
10... 막-전극 접합체
11... 단위셀 12... 홀더
20... 바이폴라 플레이트
100... 전해질막 110, 110'... 촉매층
120, 120'... 제2기체 확산층
121, 121'... 제1기체 확산층
Claims (21)
-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및 가교성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가교성 화합물이 아졸계 고분자인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중, a은 0, 1, 또는 2이고,
R은 서로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선택되며,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4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4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4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40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4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40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4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4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40 탄소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40 탄소고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40 헤테로고리기,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시기 또는 시아노기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중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0-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0-C30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0-C30 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중 R은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0-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0-C30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0-C30 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화합물 1-5 중량%,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화합물 30-35 중량%, 화학식 2C로 표시되는 화합물 20-25중량%, 화학식 2D로 표시되는 화합물 40-45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화합물 3 중량%,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화합물 34 중량%, 화학식 2C로 표시되는 화합물 22 중량%, 화학식 2D로 표시되는 화합물 41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하기 화학식 4 내지 9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4중,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추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기,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시기, 또는 시아노기이고,
R5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7-C20 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알킬기이고,
[화학식 5]
상기 화학식 5중 R5'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7-C20 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알킬기이고,
R6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렌기, -C(=O)-, -S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화학식 6]
상기 화학식 6중 A, B, C, D, E는 모두 탄소이거나 또는 A, B, C, D, E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은 질소(N)이고, 그 나머지는 탄소(C)이고,
R7 및 R8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가 C6-C10 사이클로알킬기, C3-C10 헤테로아릴기, 축합된 C3-C10 헤테로아릴기, C3-C10 헤테로고리기 또는 축합된 C3-C10 헤테로고리기이고,
[화학식 7]
상기 화학식 7중, A'은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헤테로고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이고,
R9 내지 R1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C1-C20 헤테로아릴기,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C4-C20 사이클로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또는 하이드록시기이고,
[화학식 8]
상기 화학식 8중, R17 및 R18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또는 하기 화학식 8A로 표시되는 그룹이고,
[화학식 8A]
상기 화학식 8 및 8A중,
R19 및 R19'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옥시기, C1-C20 헤테로아릴기,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C4-C20 사이클로알킬기, 할로겐화된 C4-C20 사이클로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고리기이고,
[화학식 9]
상기 화학식 9중, R20, R21 및 R22중에서 선택된 인접된 2개 이상의 그룹은 서로 연결되어 하기 화학식 9A로 표시되는 그룹이고,
상기 R20, R21 및 R22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그룹은 수소,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옥시기, C1-C20 헤테로아릴기,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C4-C20 탄소고리기, 할로겐화된 C4-C20 탄소고리기, C1-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고리기이고,
R23, R24 및 R25중에서 선택된 인접된 2개 이상의 그룹은 서로 연결되어 하기 화학식 9A로 표시되는 그룹이고,
상기 R23, R24 및 R25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그룹은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옥시기, C1-C20 헤테로아릴기,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C4-C20 탄소고리기, 할로겐화된 C4-C20 탄소고리기, C1-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고리기이고
[화학식 9A]
상기 화학식 9A중 R1’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7-C20 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알킬기이고,
*는 화학식 9의 R20, R21 및 R22중에서 선택된 인접된 2개 이상의 그룹과 R23, R24 및 R25중에서 선택된 인접된 2개 이상의 그룹에 각각 연결되는 위치를 표시한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함량은,
가교성 화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60 중량부인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 내지 9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함량은,
가교성 화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70 중량부인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졸계 고분자가,
2,5-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2,2'-(m-페닐렌)-5,5'-비벤즈이미다졸)(m-PBI), 또는 폴리(2,2'-(p-페닐렌)-5,5'-비벤즈이미다졸)(p-PBI)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인산계 물질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계 물질의 함량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500 중량부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9항,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중합 생성물인 복합체.
- 제14항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복합막.
- 제1항 내지 제9항,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또는 상기 조성물의 중합 생성물인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극.
-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막이,
제15항의 복합막인 연료전지. -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포함하며,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제1항 내지 제9항,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또는 상기 조성물의 중합 생성물인 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및 가교성 화합물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얻는 단계;
상기 조성물을 코팅 및 열처리하여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및 가교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중합 생성물인 복합체를 포함하는 제1항의 복합막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교성 화합물이 아졸계 고분자인 복합막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중, a은 0, 1, 또는 2이고,
R은 서로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선택되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4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4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4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40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4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40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4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4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40 탄소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40 탄소고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40 헤테로고리기,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시기 또는 시아노기이다.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하기 화학식 4 내지 9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막의 제조방법.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4중,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기,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시기, 또는 시아노기이고,
R5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7-C20 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알킬기이고,
[화학식 5]
상기 화학식 5중 R5'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7-C20 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알킬기이고,
R6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렌기, -C(=O)-, -S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화학식 6]
상기 화학식 6중 A, B, C, D, E는 모두 탄소이거나 또는 A, B, C, D, E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은 질소(N)이고, 그 나머지는 탄소(C)이고,
R7 및 R8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고리가 C6-C10 사이클로알킬기, C3-C10 헤테로아릴기, 축합된 C3-C10 헤테로아릴기, C3-C10 헤테로고리기 또는 축합된 C3-C10 헤테로고리기이고,
[화학식 7]
상기 화학식 7중, A’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헤테로고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이고,
R9 내지 R1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C1-C20 헤테로아릴기,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C4-C20 사이클로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또는 하이드록시기이고,
[화학식 8]
상기 화학식 8중, R17 및 R18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또는 하기 화학식 8A로 표시되는 그룹이고,
[화학식 8A]
상기 화학식 8 및 8A중,
R19 및 R19’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옥시기, C1-C20 헤테로아릴기,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C4-C20 사이클로알킬기, 할로겐화된 C4-C20 사이클로알킬기, C1-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고리기이고,
[화학식 9]
상기 화학식 9중, R20, R21 및 R22중에서 선택된 인접된 2개 이상의 그룹은 서로 연결되어 하기 화학식 9A로 표시되는 그룹이고,
상기 R20, R21 및 R22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그룹은 수소,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옥시기, C1-C20 헤테로아릴기,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C4-C20 탄소고리기, 할로겐화된 C4-C20 탄소고리기, C1-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고리기이고,
R23, R24 및 R25중에서 선택된 인접된 2개 이상의 그룹은 서로 연결되어 하기 화학식 9A로 표시되는 그룹이고,
상기 R23, R24 및 R25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그룹은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C6-C20 아릴기, C6-C20 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기, 할로겐화된 C6-C20 아릴옥시기, C1-C20 헤테로아릴기,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기,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아릴옥시기, C4-C20 탄소고리기, 할로겐화된 C4-C20 탄소고리기, C1-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할로겐화된 C1-C20 헤테로고리기이고
[화학식 9A]
상기 화학식 9A중, R1’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케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알키닐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20 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7-C20 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4-C20 탄소고리알킬기,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기,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20 헤테로고리알킬기이고,
*는 화학식 9의 R20, R21 및 R22중에서 선택된 인접된 2개 이상의 그룹과 R23, R24 및 R25중에서 선택된 인접된 2개 이상의 그룹에 각각 연결되는 위치를 표시한다.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인산계 물질을 더 포함하는 복합막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9771A KR101910577B1 (ko) | 2011-11-16 | 2011-11-16 |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체, 이를 이용한 전극과 복합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US13/675,633 US8802315B2 (en) | 2011-11-16 | 2012-11-13 | Composition, composite prepared from the composition, electrode using the composition or the composite, composite membrane including the composite, and fuel cell including the composite membrane |
EP12192634.9A EP2595229B1 (en) | 2011-11-16 | 2012-11-14 | Composition, composite prepared from the composition, electrode using the composition or the composite, composite membrane including the composite, and fuel cell including the composite membrane |
JP2012251138A JP6078304B2 (ja) | 2011-11-16 | 2012-11-15 | 組成物、それから形成された複合体、それを利用した電極及び複合膜、並びにそれを採用した燃料電池 |
CN201210464577.9A CN103113742B (zh) | 2011-11-16 | 2012-11-16 | 组合物、复合物、电极、复合膜及燃料电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9771A KR101910577B1 (ko) | 2011-11-16 | 2011-11-16 |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체, 이를 이용한 전극과 복합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4004A KR20130054004A (ko) | 2013-05-24 |
KR101910577B1 true KR101910577B1 (ko) | 2018-12-31 |
Family
ID=47216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9771A Expired - Fee Related KR101910577B1 (ko) | 2011-11-16 | 2011-11-16 |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체, 이를 이용한 전극과 복합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802315B2 (ko) |
EP (1) | EP2595229B1 (ko) |
JP (1) | JP6078304B2 (ko) |
KR (1) | KR101910577B1 (ko) |
CN (1) | CN10311374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2682B1 (ko) | 2015-11-05 | 2017-11-0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CN115322077B (zh) * | 2021-05-11 | 2024-03-15 |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 一类烷基酚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00051A (ja) * | 2000-01-17 | 2001-07-24 | Toyo Ink Mfg Co Ltd | 硬化性組成物 |
JP2006351401A (ja) | 2005-06-17 | 2006-12-28 | Toyota Motor Corp | 燃料電池用電解質膜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25436A (en) | 1994-11-01 | 1996-06-11 |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 Proton conducting polymers used as membranes |
KR20010093814A (ko) | 1998-12-10 | 2001-10-29 | 앤쏘니 스토니스 | 카르다놀 유도체 및 카르다놀 유도체의 제조 방법 |
JP2003183526A (ja) | 2001-12-25 | 2003-07-03 | Jsr Corp | ポリアリーレン系重合体組成物およびプロトン伝導膜 |
US6987163B2 (en) | 2002-08-07 | 2006-01-17 | Research Foundation Of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 Modified polybenzimidazole (PBI) membranes for enhanced polymer electrochemical cells |
DE10239701A1 (de) | 2002-08-29 | 2004-03-11 | Celanese Ventures Gmbh | Polymerfolie auf Basis von Polyazolen und deren Verwendung |
KR100561070B1 (ko) | 2003-09-05 | 2006-03-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속전송 회로기판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
JP5021469B2 (ja) * | 2004-07-09 | 2012-09-05 | ハンツマン・アドヴァンスト・マテリアルズ・(スイッツランド)・ゲーエムベーハー | アミン組成物 |
JP2006131731A (ja) | 2004-11-05 | 2006-05-25 | Toyota Motor Corp | 固体電解質材料、膜−電極接合体及び燃料電池 |
EP1760110B1 (en) * | 2005-09-03 | 2011-11-02 | Samsung SDI Co., Ltd. | Polybenzoxazine-based compound,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the same, and fuel cell employing the electrolyte membrane |
DE102006042760A1 (de) | 2006-09-12 | 2008-03-27 | Pemeas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rotonenleitenden, Polyazol-enthaltenden Membran |
KR100902411B1 (ko) | 2006-12-22 | 2009-06-11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술폰산이 부분적으로 도입된 폴리벤지이미다졸, 그 제조방법, 상기 폴리벤지이미다졸을 이용한 연료전지용막전극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
JP5012268B2 (ja) | 2007-07-09 | 2012-08-2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分散液、その製造方法、プロトン伝導性材料、該プロトン伝導性材料を基材とする固体電解質膜、該固体電解質膜の製造方法、及び該固体電解質膜を備えた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
KR100933577B1 (ko) | 2007-10-25 | 2009-12-23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복합체 폴리이미드 전해질 막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
EP2062891B1 (en) | 2007-11-06 | 2012-08-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Benzoxazine-based monomer, polymer thereof, electrod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including the polymer, and fuel cell using the electrode |
JP2011516619A (ja) | 2008-02-27 | 2011-05-26 | ソルヴェイ(ソシエテ アノニム) | ポリマー組成物、このポリマー組成物を含むポリマー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膜を含む燃料電池 |
KR101124506B1 (ko) | 2009-04-24 | 2012-03-16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폴리아졸의 가교체,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KR20130103665A (ko) | 2010-04-22 | 2013-09-24 | 바스프 에스이 | 폴리아졸을 기초로 한 개선된 중합체 전해질 막 |
-
2011
- 2011-11-16 KR KR1020110119771A patent/KR10191057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11-13 US US13/675,633 patent/US8802315B2/en active Active
- 2012-11-14 EP EP12192634.9A patent/EP2595229B1/en active Active
- 2012-11-15 JP JP2012251138A patent/JP607830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1-16 CN CN201210464577.9A patent/CN103113742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00051A (ja) * | 2000-01-17 | 2001-07-24 | Toyo Ink Mfg Co Ltd | 硬化性組成物 |
JP2006351401A (ja) | 2005-06-17 | 2006-12-28 | Toyota Motor Corp | 燃料電池用電解質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595229B1 (en) | 2016-02-10 |
CN103113742B (zh) | 2016-05-04 |
JP2013104063A (ja) | 2013-05-30 |
US8802315B2 (en) | 2014-08-12 |
US20130122395A1 (en) | 2013-05-16 |
JP6078304B2 (ja) | 2017-02-08 |
CN103113742A (zh) | 2013-05-22 |
EP2595229A2 (en) | 2013-05-22 |
EP2595229A3 (en) | 2014-03-05 |
KR20130054004A (ko) | 2013-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8641B1 (ko) |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체, 이를 이용한 전극과 복합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
KR101840817B1 (ko) |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
EP2560227B1 (en) | Porous membrane,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same, methods of manufacturing both, and fuel cell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membranes | |
KR101910577B1 (ko) |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체, 이를 이용한 전극과 복합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
KR101890741B1 (ko) |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
KR102124051B1 (ko) |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
KR101882863B1 (ko) | 고분자,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과 복합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
JP5923291B2 (ja) | 伝導性作用基を有する化合物、その重合体、これを含んだ燃料電池用電極、これを含んだ燃料電池用電解質膜及びこれを採用した燃料電池 | |
KR101910574B1 (ko) |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체,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극과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
EP2466675B1 (en) | Conduct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polymer thereof, and electrode, electrolyte membrane and fuel cell including the composition or polymer | |
KR20130010519A (ko) |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
JP5728252B2 (ja) | 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該組成物を利用した電極及び該電極を採用した燃料電池 | |
KR101747863B1 (ko) | 폴리벤조옥사진계 화합물 조성물,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전극 및 상기 전극을 채용한 연료전지 | |
KR20120066580A (ko) | 전도성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그 중합체,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
US20110195340A1 (en) | Composition, polymer thereof, electrode and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 |
KR20160129812A (ko) | 조성물, 그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
KR20110090774A (ko) | 화합물, 그 가교체, 그 이중 가교 고분자,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0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1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