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9601B1 - Method for manufacturing prepared fo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prepared f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601B1
KR101909601B1 KR1020170105988A KR20170105988A KR101909601B1 KR 101909601 B1 KR101909601 B1 KR 101909601B1 KR 1020170105988 A KR1020170105988 A KR 1020170105988A KR 20170105988 A KR20170105988 A KR 20170105988A KR 101909601 B1 KR101909601 B1 KR 101909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ed
pulverized product
food
mixed
dr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9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순랑
정대하
Original Assignee
손순랑
정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순랑, 정대하 filed Critical 손순랑
Priority to KR102017010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6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60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9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조리식품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건조로 인한 장기 보존이 가능하고, 별도의 조리 과정 없이 바로 먹을 수 있으며, 종전의 통조림, 레토르트 포장된 조리식의 고중량 문제점을 조리식을 건조함으로써 해소하였으며, 다공질 형성 과정에서 탄수화물 입자가 고열에 익고 살균되었으며, 팽화되는 팽창 과정에서 탄수화물 입자가 미세하게 파괴되어 소화가 용이한 가공물로 가공되어 종전의 딱딱한 조리식 가공물의 소화 장애를 해소하였으며, 건조 시간 단축에 의한 혼합 조리식 가공물의 컬러 색상 변색과 섬유질이 탄화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며, 야채, 과일 등을 포함하여 조리한 후 건조가 가능하여 영양 밸런스 등 비상식량의 기본조건을 충족시켰으며, 곡물 탄수화물 조리식과 반찬으로 대별되는 반찬 조리식 양자를 혼합하여 1개의 포장으로 간소화함으로써 종전의 분리 포장으로 인한 보관, 유통, 관리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Methods of making cooked foods are disclosed herein. This method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due to drying, can be eaten without a separate cooking process, and the problem of heavy weight of canned food and retort packaged food is solved by drying the cooking method. The carbohydrate particles are finely broken down and processed into a work that can be easily digested during the expanding process. The digestion problem of the previous hard cooking process is solved, and the color of the mixed cooking process by shortening the drying time It solves the problem of discoloration of color and fiber carbonization, and it can be dried after cooking including vegetables and fruits, thus satisfying the basic condition of emergency food such as nutritional balance, By mixing both materials and simplifying them into one packag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oblems of storag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due to packaging.

Description

조리식품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REPARED FOOD}METHOD FOR MANUFACTURING PREPARED FOOD [0002]

본 명세서에는 조리식품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Methods of making cooked foods are disclosed herein.

비상식량은 전쟁, 재해, 뜻밖의 긴급한 사태 등에 의해 통상적인 보급 원천이 두절되었을 때 부대나 개인이 임시적으로 취식할 수 있도록 만든 식량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장기 보존성, 무조리(조리 없이 바로 취식 가능하여야 한다), 저중량, 우수한 소화 흡수성, 영양 밸런스 등의 기본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Emergency food is food that is temporarily or permanently consumed by a unit or individual when the usual source of supply is lost due to war, disaster, or unexpected emergency. ), Low weight, good digestibility, nutritional balance, and other basic conditions must be met.

이에, 종전의 비상식량으로 비스켓, 육포, 초코렛 등 가공식품과 수분이 함유된 통조림, 레토르트 파우치 등 조리된 식품이 있다. 상기 식품 중 건조된 식품은 조리가 배재된 단순 가공을 통하여 탄수화물과 단백질, 지방을 조합한 고칼로리의 딱딱한 가공식품으로 식감이 다양하지 못하고, 야채, 과일 등 섬유질이 배재되어 영양분 불균형과 소화, 배변에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re are food products such as processed food such as biscuit, jerky, and chocolate, canned food containing moisture, and cooked food such as retort pouch. The dried food in the above foods is a hard processed food with high calorie which is a combination of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through simple processing without cooking, and it can not have a variety of food texture. Since the fiber such as vegetables and fruits are dispensed, nutritional imbalance, digestion, There is a problem with.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야채, 과일 등 섬유질과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각종 식재료가 포함되어 영양 불균형이 해소되고 식감이 다양한 조리식을 통조림이나 파우치에 탄수화물 조리식(밥, 빵, 국수 등)과 반찬 조리식(채소, 나물, 양념, 정육, 소세지, 생선 및 샐러드 등)으로 각각 분리 포장한 조리식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포장된 조리식은 통상적으로 수분 함량 40 내지 95 중량%의 조리식으로 영양 불균형이 해소되고 식감이 다양한 양질의 조리식이나, 조리식의 높은 수분 함량과 통조림 가공 용기는 저중량을 해소하지 못한 고중량의 문제점, 큰 부피로 인한 유통, 보관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유통기간이 짧게(6~12달) 한정되어 건조된 가공식품보다 보존기간이 짧아 비상시 식량과 간편식으로 사용하기에 보관과 유통이 불편하고 유통기간이 쉽게 만료되어 폐기되는 경제적 손실과 쓰레기를 양산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has been proposed to use a carbohydrate cooking formula (rice, bread, noodles, etc.) in a canned food or a pouch with a variety of foods containing various kinds of foods such as vegetables and fruits, protein, carbohydrates, And a side dish (vegetable, herb, seasoning, meat, sausage, fish, salad, etc.). The packaged cooked food usually has a moisture content of 40 to 95% by weight of the cooked meal to eliminate the nutritional imbalance and the high moisture content of the cooked food with various mouthfeelings and the high moisture content of the cooked food and the high- (6 ~ 12 months), short storage period and shorter storage period than dried processed food.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o store and distribute food for emergency use because it is used in food in emergency. There is a problem of mass production of economic loss and waste which are easily expired due to the distribution period.

이에 비상시 사용되는 조리식도 건조하여 경량화시켜 유통을 용이하게 하고 유통기간도 연장할 수 있는 건조된 조리식이 요구되지만, 진공건조와 냉동건조는 고가의 건조비용이 들고 50℃ 이하의 저온건조는 약 48시간 이상 소요되는 장시간의 건조 과정에서 부패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며, 50℃ 이상의 고온건조 또한 약 24시간 소요되는 건조 과정에서 조리식 대부분이 함유하고 있는 60 내지 90 중량%의 과도한 수분으로 인해 일정한 규격의 성형이 어려운 상태에서 불규칙한 성형물로 가공된다. 또한, 불규칙한 조리식 성형물은 특정 부분에만 건조열이 과다 노출되어 과다 노출된 성형물에 포함된 야채 컬러 색상과 고추가루 등 일부 양념과 섬유질이 건조열에 의하여 변색되거나 검게 탄화되는 문제점 때문에 섬유질이 함유된 조리식의 건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과, 종전의 조리식을 건조하면 건조 후 목재와 같은 딱딱한 식감 때문에 취식 선호도가 낮은 문제점도 있다.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dry cooking formula which can facilitate distribution and extend the circulation period by drying and lightening the emergency cooking food. However, the vacuum drying and freeze drying require high drying cost and the low temperature drying below 50 ° C is about 48 It can be decomposed in a long period of drying time which is longer than 50 hours. Also, in case of drying at a high temperature of 50 < 0 > C or more and drying for about 24 hours, due to excessive moisture content of 60 to 90% Is processed into an irregular molding in a stat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form. In addition, the irregular cooked molded product has a problem that some seasonings and fibers such as vegetable color and pepper powder contained in a molded article that is overexposed due to overexposure of drying heat to specific portions are discolored or become carbonized by drying he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ying of the formula is not easy, and when the conventional cooking formula is dri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eference for eating is low due to the hard texture like wood after drying.

또한, 종전에는 탄수화물 조리식(밥, 빵, 국수 등)과 반찬 조리식(채소, 나물, 양념, 정육, 소세지, 생선 및 샐러드 등)이 각각 분리 포장되어 취식할 때 수저, 포크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야 하고 분리된 양자를 함께 취식해야 하는 취식의 불편함도 있었다. In the past, before cooking carbohydrates (rice, bread, noodles) and side dishes (vegetables, herbs, spices, meat, sausages, fish and salads) There is also the inconvenience of eating, which must be consumed and consumed separately.

이에, 본 제조방법에서는 상기의 조리식 수분으로 인한 건조 과정의 문제점, 탄수화물 조리식과 반찬 조리식이 건조 후 딱딱한 조리식으로 가공되는 문제점, 탄수화물 조리식과 반찬 조리식을 조리 후 각각 분리하여 건조 및 포장하는 문제점, 유통, 보관시 관리상의 문제점, 분리 포장된 탄수화물 조리식과 반찬 조리식을 취식할 때 양자를 함께 도구를 사용하여 취식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ying process due to the above-mentioned cooking water, the problem that the carbohydrate cooking food and the side dish cooking food are processed into a hard cooking formula after drying, and the carbohydrate cooking food and the side dish cooking food are separated and dried, Problems to be solved, distribution and storage problems, and disadvantages of using a separate packaged carbohydrate cooker and side dish cooker to be consumed by using the tools together.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959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49592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비상식량으로 이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등산, 여행 등에서 간편한 취식이 요구될 때, 특정 질병의 식이요법 환자, 다이어트, 이유식 등의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취식할 수 있는 건조된 조리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specification discloses that when not only an emergency food is available, but also a simple food intake is required for mountain climbing, traveling, and the like, a dried cooked food that can be taken as needed for the purpose of dietetic patients, diet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리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ooked food produc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식재료를 조리하여 조리식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조리식을 분쇄하여 20 내지 80 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 조리식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곡류 또는 면류를 팽화시켜 10 중량%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갖는 팽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팽화물을 분쇄하여 팽화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분 함량이 조절된 조리식 분쇄물과 팽화 분쇄물을 혼합 및 숙성시켜 혼합 가공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가공물을 성형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includes cooking a foodstuff to prepare a cooking utensil; Pulverizing the cooked meal to prepare a cooked meal having a water content of 20 to 80% by weight; Expanding the cereal or noodle to produce a swell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10% by weight or less; Crushing the swollen material to prepare a swollen pulverized product; Mixing and aging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with controlled moisture content and the expanded pulverized product to prepare a mixed workpiece; And a step of molding and drying the mixed workpiece.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곡류 또는 면류는 20 중량%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킨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ereal or noodle may be dried to have a water content of 20% by weight or less.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리식 분쇄물과 팽화 분쇄물은 20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oked ground product and the expanded ground product may have a size of 20 mm or less.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리식 분쇄물과 팽화 분쇄물은 각각 0.1 내지 50 중량% 및 50 내지 99.9 중량%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and the expanded pulverized product may be mixed at 0.1 to 50 wt% and 50 to 99.9 wt%, respectively.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숙성 단계는 30 ℃ 이하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ging step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30 DEG C or less.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가공물은 21 내지 60 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ixing workpiece may have a water content of 21 to 60 wt%.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가공물은 탄수화물 접착제가 생성된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lended workpiece may be a carbohydrate adhesive.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가공물은 성형한 후 20 중량%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키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lended workpiece may be dried after molding to have a water content of 20% by weight or less.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성형 및 건조된 혼합 가공물 외부를 코팅하거나, 또는/및 성형 및 건조된 혼합 가공물을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anufacturing method may further comprise coating the outside of the molded and dried mixed workpiece, and / or grinding the molded and dried mixed workpiece.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리식품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provides a cooked food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무게 및 부피감이 없어 휴대 및 취식이 간편하며, 곡류 또는 면류를 팽화 분쇄물로 가공하여 탄수화물 입자를 미세하게 파괴함으로써 딱딱한 조리식에 의한 소화 장애나 식감을 개선하여 소화 흡수가 용이하고 바삭한 식감을 갖는 조리식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one aspect,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are portable and easy to take with no weight and bulkiness, and are capable of finely breaking carbohydrate particles by processing cereal or noodle into expanded crushed water to improve digestive disorders or texture due to hard cooking Thereby providing a cooked food which is easily digested and absorbed and which has a crunchy texture.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성형이 용이하고 건조 시간이 단축된 조리식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nother aspect,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cooked food which is easy to mold and has a short drying time.

상기와 같은 성형이 용이한 접착력이 있는 혼합 가공물로 가공하는 중요한 목적은 성형 과정 즉, 성형 압착 과정에서 혼합 가공물에 형성된 팽화 분쇄물의 다공질 공간의 파괴 또는 공간이 성형 과정에서 압착으로 축소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며, 다공질 공간 파괴와 축소의 최소화는 다공질의 공간에 의하여 바삭한 식감을 최대한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전의 조리식 건조물과 같은 딱닥한 식감을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가공방법이다,It is an importan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workpiece having an excellent adhesive force, which is easy to mold, by minimizing the destruction of the porous space of the expanded material formed in the mixed workpiece during the molding process, And minimizing the destruction and reduction of the porous space is an important processing method for improving crisp texture such as the previous cooking structure, which is to give a crispy texture to the maximum by the porous space,

상기와 같은 조리식품의 건조 시간 단축은 종전의 24 내지 48시간의 건조 시간을 3시간 이내로 단축시켜 건조 에너지를 절감하며, 종전의 장시간 건조 과정으로 인한 가공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건조열에 의하여 가공물의 컬러 색상이 변색되거나 검게 탄화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정한 규격의 성형물로 성형이 가능함으로써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여 자동이송되는 건조 터널에 통과시켜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자동화 생산이 가능하며, 자동화에 의한 대량 생산과 HACCP 기준의 위생적 건조 가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분 함량 20 중량% 이하의 조리식 혼합 가공물로 건조함으로써 종전의 조리식 레토르트, 통조림 등의 포장 방법을 개선하여 부피와 무게를 축소하고 유통과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order to shorten the drying time of the cooked food as described above, the drying time of the previous 24 to 48 hours is shortened to 3 hours or less, the drying energy is reduced, the deterioration of the work product due to the lo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color discoloration or black carbonization, and it is possible to form by molding with a certain size, so that it can be uniformly dried,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automatically by continuously passing through a drying tunnel which is automatically transported, Mass production and hygienic dry processing of HACCP standard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ackaging methods such as the conventional cooking-type retort, canned food, etc. by drying with a cooking composition workpiece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20% by weight or less, thereby reducing volume and weight and facilitating distribution and storage.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반찬 조리식과 밥 등의 탄수화물 조리식을 분리하여 조리, 건조, 포장, 보관, 유통이 2원화된 종전의 방법을 개선하여, 반찬 조리식과 밥 등의 탄수화물 조리식을 혼합 가공 및 건조시킨 조리식 혼합 가공물(조리식품)을 제조함으로써 건조, 포장, 보관, 유통을 1원화하고 물류, 보관, 포장 비용을 30% 이상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In another aspect,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mproves the conventional method of separating a carbohydrate cooking formula such as a side dish and a rice to make the cooking, drying, packing, storage and distribution of the carbohydrates, Packaging, storage, and distribution by manufacturing mixed and processed cooked food products (cooked foods) by mixing and processing cooked foods, and reducing the cost of logistics, storage and packaging by 30% or more.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조리된 식재료를 분쇄하여 조리식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조리식 분쇄물이 20 내지 80 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도록 수분이 조절된 조리식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곡류 또는 면류를 팽화시켜 10 중량%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갖는 팽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팽화물을 분쇄하여 팽화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분이 조절된 조리식 분쇄물과 팽화 분쇄물을 혼합 및 숙성시켜 혼합 가공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가공물을 성형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comprises the steps of grinding a cooked food to produce a cooked meal; Preparing a cooked pulverized product having moisture content such that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has a water content of 20 to 80% by weight; Expanding the cereal or noodle to produce a swell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10% by weight or less; Crushing the swollen material to prepare a swollen pulverized product; Preparing a mixed workpiece by mixing and aging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with controlled water content and the pulverized pulverized product; And a step of molding and drying the mixed workpiece.

본 명세서에서 "조리식품"은 조리를 마친 식품으로 재가열 없이 그대로 식탁에 제공될 수 있도록 조제된 가공식품을 총칭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 cooked food "refers to a processed food that is prepared so that it can be provided on the table without reheating the cooked food.

본 명세서에서 "조리식"은 식재료를 가열, 가미 등의 처리를 하여 조리한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cooking formula" means that the food is cooked by heating, tamping, or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조리식 분쇄물"은 식재료를 조리한 후 이를 분쇄하여 얻은 산물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cooked ground product "means a product obtained by cooking a food material and grinding it.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리된 식재료, 즉 조리식은 40 내지 95 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cooked food material, i.e., the cooking formula, may have a moisture content of 40 to 95 wt%.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리된 식재료를 분쇄하는 단계에서 분쇄는 건식분쇄를 배재하고 수분 함량 40 내지 95 중량%의 습식분쇄를 의미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grinding in the step of grinding the cooked foodstuff may mean wet milling with a moisture content of 40 to 95 wt%, excluding dry grinding.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재료는 반찬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재료로서 예컨대, 육류, 어류, 해조류, 채소류, 과일류, 견과류 및 버섯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오일, 양념 등을 포함하는 최광의 개념이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foodstuff may be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at, fish, seaweed, vegetables, fruits, nuts and mushrooms as 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side dishes, Spice, and so on.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재료는 조리 전에 식재료가 갖는 수분 5 내지 50 중량%, 또는 10 내지 50 중량%를 감량한 후 조리할 수 있다. 예컨대, 농,수,축산물 등의 식재료를 조리 전에 반건조 또는 건조하는 방법, 열탕에 데치는(blanch) 방법, 숙성시켜 수분을 농축시키는 방법, 열처리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및 설탕과 소금에 저장하여 수분을 탈수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수분을 감량한 후 조리할 수 있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foodstuff may be cooked after reduc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oodstuff by 5 to 50% by weight, or 10 to 50% by weight, prior to cooking. For example, a method of semi-drying or drying food materials such as agriculture, water, and livestock products before cooking, blanching hot water, concentrating water by aging, evaporating water by heat treatment, Method and a method of dehydrating and dehydrating water by storing it in sugar and sa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oisture and cook it.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리된 식재료는 열처리된 조리식이거나 열처리되지 않은 조리식일 수 있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cooked food may be a heat-treated cooked meal or a non-heat-treated cooked meal.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된 조리식은 농,수,축산물, 향신료 등의 식재료를 열처리하여 익힌 조리식으로서 예시적으로 카래, 시금치나물, 김치찌게, 돈가스, 불고기 등을 들 수 있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heat-treated cooking utensil is a cooking utensil obtained by heat-treating food materials such as agriculture, water, livestock products, spices, and the lik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caraway, a spinach herb, a kimchi stew, a pork cutlet, and a bulgogi.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되지 않은 조리식은 생야채, 건조 과일 등 생식이 가능한 식재료를 열처리하지 않고 양념, 오일, 식초, 케찹, 마요네즈, 향신료 등과 혼합한 조리식으로 예시적으로 과일 사라다, 생야채 드래싱, 겉절이 김치, 야채무침 등을 들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non-heat-treated cooking utensil is a cooking utensil mixed with seasonings, oils, vinegar, ketchup, mayonnaise, spices and the like without heat-treating the raw materials such as raw vegetables and dried fruits, Dragging, pickles, kimchi, vegetables and so on.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분이 조절된 조리식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조리식 분쇄물에 함유된 수분을 감량, 예컨대 조리식 분쇄물에 함유된 수분 10 내지 50 중량%를 감량하여 수분 함량이 감소된 조리식 분쇄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분 함량이 감소된 조리식 분쇄물은 20 내지 80 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수분 감량 방법은 조리식 분쇄물에 함유된 수분을 물리적으로 탈수하여 감량하는 방법, 조리식 분쇄물을 반건조하여 감량하는 방법, 열처리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tep of preparing the moisture-controlled cooked pulverized product may include reduc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such as 10 to 50% by weight of water contained in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To produce a cooked pulverized product having a reduced content. The reduced-moisture cooked pulverized product may have a water content of 20 to 80% by weight. For example, the method of reducing moisture may be at least one of a method of physically dehydrating and reducing water contained in the cooked ground product, a method of reducing the amount of the cooked ground product by semi-drying, and a method of heat-treating to evaporate water.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곡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현미, 청미(미성숙미로서 예컨대 청보리), 백미, 흑미, 귀리, 오트밀, 대두, 팥, 율무, 결명자, 메밀, 옥수수, 보리, 콩, 밀, 조, 기장, 수수 및 인조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으며, 20 중량% 이하로 건조된 재배된 곡류는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곡류는 곡류로 가공된 탄수화물 가공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ereal grain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not limited to, brown rice, chrysanthemum (such as blueberry), white rice, black rice, oats, oatmeal, soybean, red bean, , Wheat, barley, millet, sorghum and artificial rice, and may mean that cultured cereals dried to 20 wt% or less are all included.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cereal may be meant to include cereal processed carbohydrate workpieces.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면류는 국수, 당면, 파스타 및 쫄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noodles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oodles, bean curd, pasta, and chilmeal.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팽화물은 팽화물 전체 중량에 대해 탄수화물이 30 중량% 이상 포함된 것일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well may comprise at least 30% by weight of carbohydrate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swell.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곡류 또는 면류는 20 중량%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킨 것일 수 있다. 20 중량%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킨 곡류 또는 면류를 열처리하여 팽화시켜 다공질 공간(기포 공간)이 형성된 10 중량%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갖는 팽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ereal or noodle may be dried to have a water content of 20% by weight or less. The swollen material having a water content of 10% by weight or less in which a porous space (bubble space) is formed by heat-treating cereal or noodles dried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20% by weight or less can be produced.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팽화는 곡류 또는 면류를 가압, 가열한 후 급격히 상압으로 되돌리는 과정에 의해 물을 순간적으로 증발시켜 다공질 성상으로 부피를 팽창시키는 것일 수 있다. 열처리로 곡류 또는 면류를 익히고 팽화시켜 기포를 형성시킴으로써 다공질 기포 공간을 통하여 바삭한 식감을 갖는 팽화물로 가공하여 다공질의 기포가 형성된 팽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공질은 조리식 분쇄물에 함유된 수분을 모세관 현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강력한 수분 흡수 능력을 갖는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xpansion may be to evaporate water instantaneously by pressurizing, heating the cereal or noodle and then rapidly returning to atmospheric pressure to expand the volume to a porous state. By processing the cereal or noodle by heat treatment and expanding the bubbles to form bubbles, the bubbles are formed into a foam having a crispy texture through the porous bubbles space to produce a foam having porous bubbles. Porosity has a strong water absorbing ability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contained in cooked ground water by a capillary phenomenon.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팽화는 압력이 걸려 있는 용기에 수분 함량 20 중량% 이하로 건조시킨 곡류 또는 면류를 넣고 밀폐시켜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속은 압력이 올라가고, 압력이 올라간 상태에서 순간 용기를 개방하면 압력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곡류 또는 면류에 함유된 탄수화물이 수배 이상으로 팽창되며, 팽창 과정에서 다공질 공간이 형성되고 탄수화물 조직이 팽창하는 과정에서 조직 구조가 팽창되는 팽창 수치에 따라 미세~초미립자로 탄수화물 조직이 파괴되며, 파괴된 탄수화물은 소화 흡수가 용이한 성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세하게 파괴된 곡류 또는 면류의 탄수화물 팽화물로 가공된 조리식품은 바삭한 식감을 제공하고 소화 흡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xpansion may be by enclosing a pressurized container with cereal or noodles dried to a moisture content of 20% by weight or less and heating it in a sealed manner. In this case, the pressure in the container is increased, and when the container is opened in a state where the pressure is elevated, the pressure is rapidly dropped, so that the carbohydrate contained in the cereal or the noodles expands several times, and the porous space is formed and the carbohydrate tissue expands In the course of the process, the carbohydrate structure is broken down into fine to ultra fine particles according to the swelling level that the tissue structure expands, and the broken carbohydrates can be processed into digestible and absorbable properties. Such a cooked food processed with a finely ground cereal or a carbohydrate swell of noodles has a crispy texture and is easy to digest and absorb.

상기 제조방법에서 곡류 또는 면류에 함유된 탄수화물을 밥과 빵, 국수로 가공하지 않고 팽화물로 가공하는 중요한 이유는 팽화 과정에서 고온에 살균시켜 익히고 또한 팽창 과정에서 팽화물 입자 조직을 소화가 용이한 입자로 파괴가 가능하다는 점으로서, 종전의 수분 함량 30 내지 65 중량%의 밥과 빵 등을 팽화물로 가공하는 경우 10 중량%의 건조된 탄수화물 조리식으로 가공이 가능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조리식품의 제조가 가능하다.In the above production method, an important reason for processing carbohydrates contained in cereals or noodles into a swell without processing rice, bread, or noodles is to sterilize the swell at a high temperature during the swell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break down into particles. When the raw moisture of 30 to 65% by weight of rice and bread is processed into a swollen state, 10% by weight of dried carbohydrate can be processed into a cooked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 / RTI >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팽화물을 분쇄함으로써 팽화물 내부에만 형성된 다공질 공간을 팽화물 외부로 노출시키고 분쇄 전의 다공질 공간 면적 대비 50% 이상의 확장된 다공질 공간 면적을 갖도록 다공질 공간 표면을 확장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삼투압에 의한 수분 흡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조리식 함유 수분을 팽화 분쇄물로 자동 분산시켜 수분 발산 면적 확대를 통하여 건조를 용이하게 하여 건조 시간 단축과 건조 에너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by exposing the porous space formed only inside the expandable material by crushing the expanded material to the outside of the expanded material, and exposing the porous space surface to have an expanded porous space area of 50% or more of the porous space area before the crushing . Accordingly, by facilitating the absorption of water by the osmotic pressu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oked meal is automatically dispersed in the expanded pulverized product, thereby facilitating the drying through the increase of the water divergence area, thereby shortening the drying time and greatly reducing the drying energy.

곡류 또는 면류의 탄수화물 팽화물은 외피가 단단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단한 외피막이 존재함으로써 팽화물의 내부에는 다공질의 기공이 형성된다. 즉, 외피막이 없거나 약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순간적인 팽창 압력에 의하여 외피가 파손되고 파손된 외피 사이로 고온의 공기가 빠져 나가 다공질 형성이 어렵거나 적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단한 외피막에 의하여 팽화물의 다공질 공간 대부분이 팽화물 내부에만 존재할 수 있다. The carbohydrate swell of cereal or noodles has a hard outer skin, and porous pores ar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wollen material by the presence of the hard outer skin. That is, if there is no outer coating or if it is weakly formed, the outer shell is broken by the instantaneous expansion pressure, and the air of high temperature escapes through the damaged outer shell, so that the formation of the porous is difficult or small. Most of the porous space of the expanded material can be present only in the expanded material by the hard outer coating.

본 제조방법에서는 팽화물 외피를 분쇄하여 내부의 다공질 공간 표면 면적을 확대시키고 외부로 노출시켜 조리식 분쇄물과 혼합 및 숙성함으로써, 조리식 분쇄물에 함유된 수분을 분쇄된 다공질 공간을 통한 삼투압 작용에 의하여 자동으로 팽화 분쇄물로 물리적 분산시키고, 수분 분산 과정에서 팽화 분쇄물의 분쇄 입자와 접촉한 조리식 분쇄물의 수분에 의해 숙성 과정을 통하여 양자가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탄수화물(덱스트린) 접착제가 생성된다. 따라서, 팽화물 외피를 분쇄하는 것이 중요하다.In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the expandable envelope is crushed to enlarge the surface area of the porous space insid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mix and aged with the cooked pulverized material, whereby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ooked pulverized material is subjected to the osmotic action through the pulverized porous space (Dextrin) adhesive is produced by chemical change of the both during aging by the moisture of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in contact with the pulverized particles of the expanded pulverized product during the water dispersion proc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rush the enclosure.

상기 생성된 접착제로 인하여 혼합 가공물에는 접착력이 형성되어 미세한 성형 압력에도 성형이 용이한 효과가 있고 미세한 압력으로 성형이 가능하여 성형물 속에 포함된 다공질 공간을 최대한 파괴하지 않고 성형이 이루어지게 하며 건조하면 파괴되지 않은 다공질 공간으로 인하여 바삭한 식감의 우수한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제조방법의 상기와 같은 기술적 구성은 본 제조방법의 특징이다.Because of the adhesive thus formed, an adhesive force is formed on the mixed workpiece, so that it is easy to be molded even under a minute molding pressure and molding can be performed with a fine pressure, so that the porous space contained in the molded article is not destroy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cellent quality of crispy texture.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is a feature of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리식 분쇄물과 팽화 분쇄물은 0 mm를 초과하여, 20 mm 이하, 15 mm 이하, 10 mm 이하, 또는 5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리식 분쇄물과 팽화 분쇄물은 0.01 내지 20 mm, 0.01 내지 15 mm, 0.01 내지 10 mm, 1 내지 10 mm, 0.01 내지 5 mm, 또는 1 내지 5 mm의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크기는 분쇄물의 임의의 가로, 세로 또는 높이의 길이, 또는 임의의 직경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oked ground product and the expanded ground product may have a size of more than 0 mm, 20 mm or less, 15 mm or less, 10 mm or less, or 5 mm or less. Specifically,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and the expanded pulverized product may have a size of 0.01 to 20 mm, 0.01 to 15 mm, 0.01 to 10 mm, 1 to 10 mm, 0.01 to 5 mm, or 1 to 5 mm . The size can be any length, length or height of the milled material, or any diameter.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분이 조절된 조리식 분쇄물과 팽화 분쇄물은 각각 0.1 내지 50 중량% 및 50 내지 99.9 중량%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oisture-controlled cooked pulverized product and the expanded pulverized product may be mixed at 0.1 to 50 wt% and 50 to 99.9 wt%, respectively.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분이 조절된 조리식 분쇄물과 팽화 분쇄물은 각각 20 내지 40 중량% 및 60 내지 80 중량%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oisture-controlled cooked pulverized product and the expanded pulverized product may be mixed at 20 to 40 wt% and 60 to 80 wt%, respectively.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숙성 단계는 30 ℃ 이하의 온도에서 냉동, 냉장 또는 실온 숙성하여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실온 숙성인 경우 1 내지 12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aging step may be performed by freezing, chilling, or matured at room temperature or below 30 < 0 > C. However, it may be preferable to aged at room temperature for 1 to 12 hours.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숙성 온도는 -10 ℃ 이상, -5 ℃ 이상, 0 ℃ 이상, 5 ℃ 이상, 또는 10 ℃ 이상이면서 30 ℃ 이하, 25 ℃ 이하, 20 ℃ 이하, 15 ℃ 이하, 10 ℃ 이하, 또는 5 ℃ 이하일 수 있으며, 예컨대 5 내지 20 ℃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ging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10 ° C to -5 ° C, 0 ° C to 5 ° C, or 10 ° C to 30 ° C, 25 ° C to 20 ° C, 10 DEG C or less, or 5 DEG C or less, and may be, for example, 5 to 20 DEG C.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숙성 시간은 1분 내지 100시간 동안 보관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숙성 시간은 1분 이상, 10분 이상, 20분 이상, 30분 이상, 40분 이상, 또는 50분 이상이면서 100시간 이하, 80시간 이하, 60시간 이하, 40시간 이하, 20시간 이하, 1시간 이하, 50분 이하, 40분 이하, 30분 이하, 20분 이하 또는 10분 이하일 수 있으며, 예컨대 5분 내지 10시간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ging time may be from 1 minute to 100 hours.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aging time is at least 1 minute, at least 10 minutes, at least 20 minutes, at least 30 minutes, at least 40 minutes, or at least 50 minutes but at most 100 hours, at most 80 hours, Less than 20 hours, less than 1 hour, less than 50 minutes, less than 40 minutes, less than 30 minutes, less than 20 minutes or less than 10 minutes, for example, from 5 minutes to 10 hours.

상기 숙성 과정을 통하여 물리적 변화(조리식 분쇄물에 함유된 수분이 팽화 분쇄물의 다공질 공간을 통한 삼투압 작용에 의하여 자동으로 팽화 분쇄물에 물리적으로 분산됨)와, 화학적 변화(수분 분산 과정에서 팽화 분쇄물의 분쇄 입자와 접촉한 조리식 분쇄물의 수분이 숙성 과정을 통하여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탄수화물 접착제를 생성함)가 이루어져, 물리적 변화로 인한 조리식 분쇄물에 함유된 수분이 팽화 분쇄물로 분산되어 조리식 분쇄물에 포함된 수분을 팽화 분쇄물에 분산시켜 수분 함유율을 낮추고 팽화 분쇄물에 흡수된 수분은 팽화 분쇄물 면적을 통한 수분 발산 면적 확대로 건조가 용이해 지고, 화학적 변화로 생성된 접착제로 인하여 혼합 가공물은 접착력이 형성되어 성형 압력에도 팽화 분쇄물의 다공질 공간을 파괴, 축소시키지 않는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The physical change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ooked pulverized material is physically dispersed in the expanded pulverized material automatically by the osmotic action through the porous space of the expanded pulverized material) through the aging process and the chemical change (the pulverized pulverized material The moisture of the cooked pulverized material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ulverized particles of water is chemically changed through the aging process to form a carbohydrate adhesive), so that water contained in the cooked pulverized material due to the physical change is dispersed in the pulverized pulverized material,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pulverized material is dispersed in the pulverized pulverized material to lower the water content and the moisture absorbed in the pulverized pulverized material becomes easier to be dri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area of divergence of the water through the expanded pulverized material area, The mixed workpiece is formed with an adhesive force so that the porous space of the expanded powder is not destroyed or reduced even at the molding pressure Molding is possible.

상기 성형 압력은 두 물질을 접착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원하는 성상의 성형물로 가공하기 위한 목적일 수 있으며, 탄수화물 접착제를 생성시킴으로써 압력에 의한 접착을 배재할 수 있으며 미세한 성형 압력에도 조리식 분쇄물과 팽화 분쇄물이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고 양자가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성형, 건조 이후에도 조리식 분쇄물이 가공물에서 이탈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적은(미세한) 성형 압력은 성형 압력으로 인한 기포층의 파괴를 최소화하여 바삭한 식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molding pressure may be intended not to bond the two materials but to process the molding into a desired shape. By forming a carbohydrate adhesive, it is possible to dispense adhesion by pressure. Even with a fine molding pressure,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the pulverized product, the two are not easily sepa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is not separated from the workpiece even after molding and drying), and the small (fine) Thereby minimizing breakage and providing a crispy texture.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가공물은 21 내지 60 중량%, 25 내지 60 중량%, 30 내지 60 중량%, 21 내지 50 중량% 또는 25 내지 45 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도록 제조하는 것이 본 발명의 효과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it is preferred that the blended workpieces have a water content of 21 to 60 wt%, 25 to 60 wt%, 30 to 60 wt%, 21 to 50 wt%, or 25 to 45 wt% May be preferable for realiz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가공물은 10 cm3 부피 이하의 3차원 입체 성상을 갖는 성형물로 성형한 후 20 중량%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키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ixed workpiece may be formed into a molded article having a three-dimensional solid figure of 10 cm 3 volume or less, followed by drying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20 wt% or less.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건조는 마이크로파, 적외선, 열풍, 전기히터 및 증기 중 하나 이상의 건조방법으로 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건조방법은 상기 건조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수분 함량을 20 중량% 이하로 건조할 수 있다면 건조방법에 제한이 없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drying may be drying by one or more methods of drying, such as microwave, infrared, hot air, electric heaters, and steam. However, the drying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drying method,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drying method if the water content can be dried to 20 wt% or less.

본 명세서에 따른 제조방법은 0.125 cm3 부피 이하의 성형물은 5분 이내, 1 cm3 부피 이하의 성형물은 30분 이내, 10 cm3 부피 이하의 성형물은 3시간 이내에 수분 함량 20 중량% 이하로 건조시켜 다공질 기포가 포함된 조리식품의 제조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lded article having a volume of 0.125 cm 3 or less is dried within 5 minutes, a molded article having a volume of 1 cm 3 or less is dried within 30 minutes, a molded article having a volume less than 10 cm 3 is dried to a moisture content of 20% To prepare a cooked food containing porous bubbles.

예들 들어, 상기 혼합 가공물을 성형물로 성형한 후 마이크로파 건조기 터널에 2분간 통과시키고 10초간 냉각 탈기 후 적외선 건조터널에 1분간 통과시킨 다음 5초간 냉각 탈기 후 열풍기 건조기 터널에서 2분간 건조한 후 상온에 탈기시켜 5 내지 10분 내에 속성 건조가 가능하다.For example, the mixed workpiece was molded into a molded product, passed through a microwave dryer tunnel for 2 minutes, cooled and degassed for 10 seconds, passed through an infrared drying tunnel for 1 minute, cooled and deaerated for 5 seconds, dried in a hot air dryer tunnel for 2 minutes, And it is possible to dry the property within 5 to 10 minutes.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성형 및 건조된 혼합 가공물 외부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공물의 품질과 바삭한 식감을 더욱 향상시키며, 코팅에 의하여 가공물의 변질과 변색을 방지하고 보관, 유통을 용이하게 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가공물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anufacturing method may further comprise coating the outside of the molded and dried mixed workpie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and crisp texture of the workpiece, prevent deterioration and discoloration of the workpiece by coating, facilitate storage and distribution, and protect the workpiece from external impact.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가공물 표면에 전분, 한천, 향신료, 수프 농축액, 농,수,축산물 조리액 또는 분말 및 천연 색소 중 하나 이상으로 가공된 액상의 코팅액 또는 분말을 분사, 건조하여 혼합 가공물 외부를 코팅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a liquid coating liquid or powder processed with at least one of starch, agar, spice, soup concentrate, agar, water, livestock cooking liquid or powder and natural pigment is sprayed onto the surface of the mixed workpiece, The outer surface of the workpiece can be coated.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성형 및 건조된 혼합 가공물을 분쇄하여 분말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milling the shaped and dried mixed workpiece and processing it into a powder.

본 명세서에 따른 제조방법은 식품 위생법에 근거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식품 첨가물의 규격기준 등을 수재하여 공시한 식품 첨가물 중 하나 이상을 부가하여 조리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ood or beverage can be prepared by adding one or more of the food additives disclos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o the standard of food additives based on the Food Sanitation Act.

본 명세서에서, 건조 시간 단축은 1) 곡류 또는 면류의 탄수화물을 종전의 조리식인 수분 함량 30 내지 65 중량%의 밥과 빵, 국수 등으로 조리하지 않고 건조된 곡물 또는 면류 등의 탄수화물 가공물을 팽화시켜 수분 함량 10 중량% 이하의 익힌 팽화 분쇄물로 조리(가공)함으로써 속성 건조가 가능하며, 2) 수분 함량 40 내지 95 중량%의 반찬으로 대변되는 반찬 조리식 수분을 감량하여 수분 함량 21 내지 80 중량%의 조리식 분쇄물로 가공함으로써 속성 건조가 가능하며, 3) 익힌 팽화 분쇄물과 수분이 조절된 반찬 조리식 분쇄물을 혼합, 숙성하여 조리식 분쇄물 수분을 팽화 분쇄물이 삼투압 작용을 통하여 흡수 후 팽화 분쇄물에 분산시켜 조리식 분쇄물에 포함된 수분 함량은 낮추고 팽화 분쇄물로 수분 발산 면적을 확대시킴으로써 속성 건조가 가능하며, 4) 혼합 가공물을 10 cm3 부피 이하의 일정한 부피로 균일하게 성형함으로써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여 속성 건조가 가능하며, 균일한 건조는 조리식품에 포함된 식물 섬유질의 탄화 방지와 컬러푸드 색상의 변색 방지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hortening of the drying time is as follows: 1) Carbohydrates of cereals or noodles, such as cereals or noodles, are expanded without cooking rice or bread or noodles having a water content of 30 to 65% (2) a side-dish cooking water represented by a side dish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40 to 95% by weight is reduced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21 to 80 wt% % Of cooked crumbs, and 3) it is possible to dry the properties by mixing the cooked crumbs that have been cooked and the cooked crumbs that have been controlled by moisture. The crumbs of the cooked crumbs are infiltrated by the osmotic action After the absorption, it is dispersed in the expanded pulverized material, the moisture content contained in the cooked pulverized material is lowered and the property can be dried by expanding the moisture releasing area with the expanded pulverized material. 4) Sum by uniformly forming the workpiece at a constant volume of less than 10 cm 3 volume can be uniformly dried to the attribute drying possible, and a uniform drying is carbonized protection of the plant fibers included in the cooked food and color fade resistance of the food color is It is possible.

상기와 같은 조건의 유기적 가공방법을 통한 건조는 약 2 내지 5분 이내에도 수분 함량 20 중량% 이하의 조리식품으로 속성 건조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비교적 균일한 부피로 성형되고 자동으로 이송되는 터널 건조기에 의한 연속식으로 건조하여 대량 건조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Drying through the organic processing method under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can dry the product with a food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20% by weight or less within about 2 to 5 minutes. Accordingly, it can be continuously dried by a tunnel dryer which is formed into a relatively uniform volume and automatically transported, thereby enabling mass drying and mass production.

본 제조방법을 배제하고 종전의 가공방법으로 수분 함량 30 내지 80 중량%의 조리식 분쇄물과 수분 함량 30 내지 65 중량%의 곡류 또는 면류의 탄수화물 조리식 분쇄물을 혼합할 경우, 조리식 반죽 성상의 조리식 혼합물로 가공되어 일정한 부피의 성형물로 성형이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혼합물은 수분이 많아 상기 혼합물을 탈수 후 수분을 감량하고 성형한 다음 수분 함량 10 중량% 이하로 건조시키면 가공물에 다공질 공간이 없어 목재와 같은 딱딱한 조리식 건조물로 가공되고 식감이 딱딱한 건조물은 섭취가 용이하지 않으며 소화 장애를 유발하게 된다.When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having a water content of 30 to 80% by weight and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of carbohydrate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30 to 65% by weight are mixed with each other by the conventional processing method without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mixture is not easily formed into a molded product having a certain volume. When the mixture is dried to a moisture content of 10 wt% or less after the dehydration and dehydration of the mixture, the moisture is reduced and molded, there is no porous space in the workpiece The hard-edged dried products, such as wood, are not easy to ingest and cause digestive disorders.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실시예Example 1. One.

(1) 열처리된 조리식인 수분 함량 50 내지 90 중량%의 함박스테이크 100g과, 열처리되지 않은 조리식인 수분 함량 30 내지 95 중량%의 샐러드 30g, 식품 첨가물(사카린, 아황산나트륨, 소르빈산칼륨) 0,001g을 혼합한 후 5 mm 이하로 분쇄하여 조리식 분쇄물을 제조하였다.(1) 100 g of hamburger steak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50 to 90% by weight, which is a heat-treated cooking dish, 30 g of a salad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30 to 95% by weight as a cooked food without heat treatment, 0.001 g of food additives (saccharin, sodium sulfite, potassium sorbate) Mixed and then ground to 5 mm or less to prepare a cooked ground product.

(2) 상기 조리식 분쇄물을 압착 탈수하여 조리식 분쇄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20 중량%의 수분을 제거하여 수분이 감소된 조리식 분쇄물을 제조하였다.(2)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was squeezed and dehydrated to remove moisture of 10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to prepare a reduced-moisture cooked pulverized product.

(3) 수분 함량 20 중량% 이하로 건조된 쌀 500g을 열처리로 팽화시켜 수분이 감소된 수분 함량 10 중량% 이하의 다공질 기공이 형성된 쌀 팽화물을 제조하였다.(3) 500 g of dried rice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20% by weight or less was expanded by heat treatment to prepare a rice pellet with reduced moisture and porous pores having a water content of 10% by weight or less.

(4) 상기 쌀 팽화물을 5 mm 이하로 분쇄하여 팽화물 내부에만 형성된 다공질 공간을 팽화물 외부로 노출시키고 분쇄 전 다공질 기공 면적 대비 기공 표면 면적을 50% 이상 확장시켜 수분 흡수가 용이한 팽화 분쇄물을 제조하였다.(4) The rice swell is ground to 5 mm or less to expose the porous space formed only inside the swell to the outside of the swell, expand the pore surface area by 50% or more with respect to the porous pore area before pulverization, Water was prepared.

(5) 상기 쌀 팽화 분쇄물에 수분이 감소된 조리식 분쇄물을 혼합한 다음 10 ℃ 이하의 온도에서 3 내지 72시간 동안 저온 또는 냉동 숙성하는 숙성 과정을 통하여 조리식 분쇄물에 함유된 수분을 탄수화물 팽화 분쇄물의 다공질 기공을 통한 삼투압 작용에 의하여 쌀 팽화 분쇄물로 분산시키고 수분 분산 과정에서 탄수화물 접착제를 생성시켜 미세한 성형 압력에도 성형이 용이하고 수분 발산 면적 확대로 건조가 용이한 수분 함량 25 내지 60 중량%의 혼합 가공물을 제조하였다.(5) mixing the cooked pulverized pulverized rice with pulverized water having reduced water content, and then adding water contained in the pulverized pulverized product through aging at a temperature below 10 ° C for 3 to 72 hours at a low temperature or freezing Carbohydrate The carbohydrate adhesive is dispersed in the water dispersion process by the osmotic action through the porous pores of the puffed carbohydrate, and the carbohydrate adhesive is produced during the water dispersion process. Wt.% Of a mixed workpiece.

(6) 상기 성형과 건조가 용이한 혼합 가공물을 0,125 cm3 부피 이하의 3차원 입체 성상의 성형물로 성형한 후 마이크로파 건조기 터널에 2분간 통과시키고 10초간 냉각 탈기 후 적외선 건조 터널에 1분간 통과시킨 다음 5초간 냉각 탈기 후 열풍기 건조기 터널에서 2분간 건조한 후 상온에서 탈기시켜 수분 함량 20 중량% 이하로 건조된 함박스테이크, 샐러드, 쌀 탄수화물이 혼합 및 건조된 조리식품을 제조하였다.(6) The above-mentioned mixed and easy-to-dry workpieces were molded into a molded article of a three-dimensional solid shape having a volume of 0,125 cm 3, passed through a microwave dryer tunnel for 2 minutes, cooled and degassed for 10 seconds and passed through an infrared drying tunnel for 1 minute After cooling and degassing for the next 5 seconds, it was dried in a tunnel of a hot air dryer for 2 minutes and then degassed at room temperature to prepare a cooked food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20% by weight or less and dried and mixed with hamburger steak, salad and rice carbohydrate.

상기와 같이 제조된 조리식품은 5 내지 6분 이내로 속성 건조가 가능하여 종전의 24 내지 48시간 동안 건조하는 조리식 건조 방법을 개선하였으며, 상기의 속성 건조는 섬유질의 탄화 또는 컬러 색상의 변색을 방지하고 종전과 같이 장시간의 건조 과정에서 가공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자동화에 의한 연속 생산과 대량 생산, HACCP 기준의 가공 생산을 가능하게 하였다.The cooked food thus prepared was dried for 5 to 6 minutes, thereby improving the cooking method for drying the previous 24 to 48 hours. The drying of the property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discoloration of the carbonization or color of the fiber It prevents the deterioration of workpieces in the long-term drying process as well as the continuous production by the automation, the mass production, and the HACCP-based processing production.

또한, 상기 제조된 조리식품은 다공질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바삭한 식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함박스테이크의 단백질과 지방, 야채의 섬유질, 쌀의 탄수화물이 혼합된 균형 잡힌 조리식 가공물을 제공하여 전투, 재난 구조, 등산 등에 비상식량으로 활용될 수 있고 취식 도구의 사용 없이 손으로 과자처럼 취식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pared cooked food has a porous space to provide a crispy texture, and it provides a balanced cooking composition in which protein and fat of cabbage steak, vegetable fiber, and carbohydrate of rice are mixed, , Disaster relief, mountain climbing, etc. It can be used as an emergency food, and it can be cooked like a hand by hand without the use of a cooking device.

실시예Example 2. 2.

(1) 열조리식인 시금치 나물 200g, 두부 튀김 100g, 소고기 고추장 볶음 50g과 열처리되지 않은 조리식인 수분 함량 20 내지 50 중량%의 멸치무침 50g을 혼합한 후 8 mm 이하로 분쇄하여 수분 함량 30 내지 90 중량%의 조리식 분쇄물을 제조하였다.(1) A mixture of 200 g of spinach, 100 g of tofu, 50 g of roasted beef kochujang, 50 g of anchovy without water, 20 to 50 wt% of anhydrous anchovy, and then ground to 8 mm or less to obtain a water content of 30 to 90 % By weight of cooked meal.

(2) 상기 조리식 분쇄물을 반건조하여 수분 함량 20 내지 60 중량%의 수분이 감소된 조리식 분쇄물을 제조하였다.(2)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was semi-dried to prepare a cooked pulverized product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20 to 60 wt% reduced in water content.

(3) 수분 함량 20 중량% 이하로 건조된 파스타 500g을 열처리로 팽화시켜 수분이 감소된 수분 함량 8 중량% 이하의 다공질 공간이 형성된 팽화물을 제조하였다.(3) 500 g of dried pasta having a water content of 20% by weight or less was expanded by heat treatment to prepare a compressed product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8% by weight or less and a porous space formed therein.

(4) 상기 파스타 팽화물을 10 mm 이하로 분쇄하여 팽화물 내부에만 형성된 다공질 기공을 팽화물 외부로 노출시키고 분쇄 전 다공질 기공 면적 대비 기공 표면 면적을 50% 이상 확장시켜 수분 흡수가 용이한 팽화 분쇄물을 제조하였다.(4) The pasta swell is ground to 10 mm or less to expose the porous pores formed only inside the swell to the outside of the swell, expand the pore surface area by 50% or more with respect to the porous pore area before pulverization, Water was prepared.

(5) 상기 팽화 분쇄물에 수분이 감소된 조리식 분쇄물을 혼합한 다음 25 ℃ 이하의 상온에서 30분간 숙성하는 숙성 과정을 통하여 조리식 분쇄물에 함유된 수분을 탄수화물 팽화 분쇄물의 다공질 기공을 통한 삼투압 작용에 의하여 파스타 팽화 분쇄물로 분산시키고 수분 분산 과정에서 탄수화물 접착제를 생성시켜 미세한 성형 압력에도 성형이 용이하고 수분 발산 면적 확대로 건조가 용이한 수분 함량 21 내지 60 중량%의 혼합 가공물을 제조하였다.(5) mixing the cooked pulverized material with reduced moisture in the pulverized pulverized material, and then aging the pulverized material at a temperature of 25 ° C or less for 30 minutes, to remov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pulverized food material into porous pores of the pulverized carbohydrate And a carbohydrate adhesive is produced in the course of water dispersion. Thus, a mixed work product having a water content of 21 to 60% by weight, which is easy to be molded even at a minute molding pressure and is easy to dry by increasing the area of divergence of moisture, is produced Respectively.

(6) 상기 혼합 가공물을 5 cm3 부피 이하의 막대 모양의 성형물로 성형한 후 수분 함량 20 중량% 이하로 건조시켜 시금치 나물, 두부 튀김, 소고기 고추장 볶음, 멸치볶음 및 파스타가 혼합, 건조된 조리식품을 제조하였다.(6) The above-mentioned mixed workpiece is molded into a rod-shaped molding having a volume of 5 cm 3 or less and then dried to a moisture content of 20% by weight or less to produce spinach, fried tofu, roasted beef kochujang, mixed anchovy and pasta, Food was prepared.

실시예Example 3. 3.

(1) 열조리된 조개 미역국 500g, 청양고추볶음 50g, 계란찜 100g에 열조리되지 않은 무김치 50g을 혼합한 후 5 mm 이하로 분쇄하여 수분 함량 40 내지 70 중량%의 조리식 분쇄물을 제조하였다.(1) 50 g of non-heat-cooked mugwort was mixed with 500 g of seaweed seaweed soup prepared by heat-cooking, 50 g of chili pepper stir-fried and 100 g of steamed egg, and the mixture was pulverized to 5 mm or less to prepare a cooked pulverized product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40 to 70% .

(2) 상기 조리식 분쇄물을 탈수하여 수분이 감소된 수분 함량 20 내지 50 중량%의 조리식 분쇄물을 제조하였다.(2) The above cooked pulverized product is dewatered to prepare a cooked pulverized product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20 to 50% by weight.

(3) 수분 함량 20 중량% 이하로 건조된 청보리, 율무, 검정쌀, 현미를 혼합한 혼합 곡물 1000g을 열처리로 팽화시켜 수분이 감소된 수분 함량 10 중량% 이하의 다공질 공간이 형성된 혼합 곡물 팽화물을 제조하였다.(3) 1000 g of mixed grains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20% by weight or less and blended with dried rice bran, yulmu, black rice and brown rice were expanded by heat treatment to form a porous granular material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10% .

(4) 상기 혼합 곡물 팽화물을 10 mm 이하로 분쇄하여 팽화물 내부에만 형성된 다공질 공간을 팽화물 외부로 노출시키고 분쇄 전 다공질 공간 면적 대비 공간 표면 면적을 50% 이상 확장시켜 수분 분산이 용이한 혼합 곡물 팽화 분쇄물을 제조하였다.(4) The mixed grain swell is ground to 10 mm or less to expose the porous space formed only inside the expanded material to the outside of the expanded material, and expand the space surface area by more than 50% To produce a granulated wheat flour.

(5) 상기 혼합 곡물 팽화물에 수분이 감소된 조리식 분쇄물을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10분간 숙성하는 숙성 과정을 통하여 조리식 분쇄물에 함유된 수분을 탄수화물 팽화 분쇄물의 다공질 기공을 통한 삼투압 작용에 의하여 혼합 곡물 팽화 분쇄물로 분산시키고 수분 분산 과정에서 탄수화물 접착제를 생성시켜 미세한 성형 압력에도 성형이 용이하고 수분 발산 면적 확대로 건조가 용이한 수분 함량 30 내지 60 중량%의 혼합 가공물을 제조하였다.(5) Mixing the above-mentioned mixed grain swell with the reduced-moisture cooked pulverized product and aging the mixture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is subjected to osmotic action through the porous pores of the expanded pulverized carbohydrate To produce a carbohydrate adhesive in the course of dispersing the water, thereby preparing a mixed workpiece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30 to 60% by weight, which is easy to be molded even at a fine molding pressure and easy to dry by increasing the area of divergence of moisture.

(6) 상기 혼합 가공물을 1 cm3 부피 이하의 3차원 입체 성형물로 성형한 후 수분 함량 20 중량% 이하로 건조시켜 조개 미역국, 청양고추볶음, 계란찜, 무김치 및 혼합 곡물이 혼합, 건조된 조리식품을 제조하였다.(6) The mixed workpiece is formed into a three-dimensional solid body having a volume of 1 cm 3 or less and then dried to a moisture content of 20% by weight or less to prepare a mixture of shellfish seaweed soup, chili pepper stir-fried egg, steamed egg, Food was prepared.

부가적으로, 상기 (2)의 탈수 과정에서 탈수된 조개 미역국 액체를 농축한 후 전분, 미나리 분말을 혼합한 액체소스를 상기 제조된 한국 전통 조리식 조리식품에 분사하여 가공물의 표면을 코팅한 후 건조하여 액체소스로 코팅된 조리식품으로 가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hydration process of (2) above, the dehydrated seaweed waxy liquid is concentrated, and a liquid source prepared by mixing starch and parsley powder is sprayed on the prepared Korean traditional cooking food to coat the surface of the processed product Dried and processed into a food product coated with a liquid source.

이상,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Having described specific por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specific description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It will be obvious. Accordingly, the actu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0)

식재료를 조리하여 조리식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조리식을 분쇄하여 20 내지 80 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 조리식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곡류 또는 면류를 팽화시켜 10 중량%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갖는 팽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팽화물을 분쇄하여 팽화 분쇄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조리식 분쇄물과 팽화 분쇄물을 혼합한 다음 숙성하여 조리식 분쇄물에 함유된 수분을 팽화 분쇄물에 분산시키고, 팽화 분쇄물에 분산된 수분이 팽화 분쇄물의 탄수화물 입자와 접촉하여 탄수화물 접착제가 생성된 혼합 가공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가공물을 성형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식품의 제조방법.
Preparing a cooking formula by cooking the ingredients;
Pulverizing the cooked meal to prepare a cooked meal having a water content of 20 to 80% by weight;
Expanding the cereal or noodle to produce a swell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10% by weight or less;
Crushing the swollen material to prepare a swollen pulverized product;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and the expanded pulverized product are mixed and then aged to disperse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in the expanded pulverized product so that the water dispersed in the expanded pulverized produ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rbohydrate particles of the expanded pulverized product, Producing the resulting mixed workpiece; And
And molding and drying the mixed workpie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 또는 면류는 20 중량%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킨 것인, 조리식품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ains or noodles are dried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20 wt%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식 분쇄물과 팽화 분쇄물은 20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인, 조리식품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and the expanded pulverized product have a size of 20 mm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식 분쇄물과 팽화 분쇄물은 각각 0.1 내지 50 중량% 및 50 내지 99.9 중량%로 혼합하는 것인, 조리식품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oked pulverized product and the expanded pulverized product are mixed in an amount of 0.1 to 50% by weight and 50 to 99.9% by weight, respectivel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가공물은 21 내지 60 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는 것인, 조리식품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xed workpiece has a moisture content of 21 to 60% by weigh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가공물은 성형한 후 20 중량%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갖도록 건조시키는 것인, 조리식품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xed workpiece is dried so as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20 wt% or less after being mol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성형 및 건조된 혼합 가공물 외부를 코팅하거나, 또는 성형 및 건조된 혼합 가공물을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조리식품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comprises coating the outside of the molded and dried mixed work, or grinding the molded and dried mixed work.
제 1항 내지 제 4항, 제 6항, 제 8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리식품.A cooked food produced by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6, 8 and 9.
KR1020170105988A 2017-08-22 2017-08-22 Method for manufacturing prepared food Active KR1019096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88A KR101909601B1 (en) 2017-08-22 2017-08-22 Method for manufacturing prepared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88A KR101909601B1 (en) 2017-08-22 2017-08-22 Method for manufacturing prepared f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601B1 true KR101909601B1 (en) 2018-10-18

Family

ID=6413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988A Active KR101909601B1 (en) 2017-08-22 2017-08-22 Method for manufacturing prepared f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60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592B1 (en) 2004-03-24 2006-02-03 김만철 Manufacturing method of emergency food using corn flour
KR20140111542A (en) * 2013-03-11 2014-09-19 (주)미즈앤코 Convenience rice porridge which is to be soaked with warm water
KR101473919B1 (en) * 2014-05-27 2014-12-17 윤종국 Rice cake having excellent stability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592B1 (en) 2004-03-24 2006-02-03 김만철 Manufacturing method of emergency food using corn flour
KR20140111542A (en) * 2013-03-11 2014-09-19 (주)미즈앤코 Convenience rice porridge which is to be soaked with warm water
KR101473919B1 (en) * 2014-05-27 2014-12-17 윤종국 Rice cake having excellent stability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철 외 2명. 수분함량과 온도에 따른 즉석팽화 쌀 스낵의 물리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1(6): 846~852(2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29712A (en) Dehydrated meat product
CN105995544B (en) A kind of pure natural instant full-price nutritional rice porridge and its processing method
JP2010022363A (en) Egg-processed retort food
CN103284077B (en) Kiwi fruit puffed foo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4757380A (en) Preserved egg and lean meat congee, and making and eating method thereof
KR102628148B1 (en) Method for preparing Frozen Block, Frozen Block, and Frozen Food
KR101105389B1 (en) How to make grain puffed snacks for instant porridge
KR20030062941A (en) A chicken processed foodstuffs containing the powder of mulberry leaves
US3162535A (en) Preparation of directly consumable food ration wheat products
EP1719418B1 (en) Deep-frozen finished product of the type soup, purée or sauc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such a deep-frozen finished product
KR101226932B1 (en) One-time using cup scorched rice soup using lotus roots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EP0913096B1 (en) Rice grains to be reconstituted
KR10190960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epared food
KR101558447B1 (en) Gel-type Crushed Meal Using Nurungji (Crust of Overcooked Rice)or Dry Cooked Rice and Dry Vegetables,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NZ509408A (en) Quick-cook dehydrated vegetables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12% or less
JP2002119258A (en) Ready-to-eat dry powdery curry paste
JP2001224323A (en) Dried, seasoned and cooked r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7151454A (en) Instant Food
JP2784792B2 (en) Molded grain food and cooked containers
CN105661370A (en) Ready-to-eat crisps containing vegetables and minced fillet and preparation method of ready-to-eat crisps containing vegetables and minced fillet
US3677768A (en) Process for producing an instant cereal
JP6705183B2 (en) Frozen food containing vegetables with high carbohydrate content
JP7711198B2 (en) Frozen block manufacturing method, frozen block, and frozen food
Hsieh et al. Breakfast rice cereals and baby foods
JP7254497B2 (en) Frozen side dish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