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326B1 - 얼굴 모션 변화에 따른 삼각 매쉬 모델을 활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얼굴 모션 변화에 따른 삼각 매쉬 모델을 활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9326B1 KR101909326B1 KR1020150174033A KR20150174033A KR101909326B1 KR 101909326 B1 KR101909326 B1 KR 101909326B1 KR 1020150174033 A KR1020150174033 A KR 1020150174033A KR 20150174033 A KR20150174033 A KR 20150174033A KR 101909326 B1 KR101909326 B1 KR 1019093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frame
- triangle mesh
- change
- 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3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4709 eyebrow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887 fac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21 facial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06K9/00268—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G06K9/00281—
-
- G06K9/00604—
-
- G06K9/467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블록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채용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컴퓨팅 장치에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추적부에 대한 구성도이다.
Claims (20)
- 입력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다음에 입력되는 제2 프레임 각각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얼굴 영역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특징점들을 토대로 삼각 매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삼각 매쉬의 변화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삼각 매쉬의 변화가 문턱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문턱치 이상의 삼각 매쉬의 변화에 대응하는 얼굴 모션에 따라 제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각 매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특징점들 중 하나를 주축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축을 기준으로 상기 얼굴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에 대하여 2차원 딜로니 삼각화(delaunay triangulation)를 이용하여 상기 삼각 매쉬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각 매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특징점들을 삼각형들로 연결하여 평면 또는 공간을 분할할 때 상기 삼각형들의 내각이 최소값이 되도록 하는 들로네 삼각분할(Delaunay triangulation)을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삼각 매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특징점들이 서로 도달 가능하면서 전체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연결한 트리 구조에 따라 생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각 매쉬의 변화를 추적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삼각 매쉬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프레임을 버퍼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영상 처리 장치의 서로 다른 프로세스에서 처리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각 매쉬의 변화를 추적하는 단계는,
상기 얼굴 영역을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서브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서브영역들 중 변화가 가장 큰 관심서브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관심서브영역에서의 삼각 매쉬의 변화를 비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관심서브영역은 눈썹, 눈, 눈동자, 입, 입술, 뺨, 턱선, 얼굴 방향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각 매쉬의 변화가 문턱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삼각 매쉬의 변화를 훈련 데이터와 비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훈련 데이터는 상기 제어 이벤트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대상 장치 혹은 상호 동작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상기 제어 대상 장치 혹은 상호 동작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버 장치 혹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장치 혹은 상호 동작 장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입력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다음에 입력되는 제2 프레임 각각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얼굴 영역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특징점들을 토대로 삼각 매쉬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삼각 매쉬의 변화를 추적하는 추적부;
상기 삼각 매쉬의 변화가 문턱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문턱치 이상의 삼각 매쉬의 변화에 대응하는 얼굴 모션에 따라 제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유저 컨트롤 제공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특징점들 중 하나를 주축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축을 기준으로 상기 얼굴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에 대하여 2차원 딜로니 삼각화(delaunay triangulation)를 이용하여 상기 삼각 매쉬를 생성하거나,
상기 특징점들을 삼각형들로 연결하여 평면 또는 공간을 분할할 때 상기 삼각형들의 내각이 최소값이 되도록 하는 들로네 삼각분할(Delaunay triangulation)을 이용하거나,
상기 특징점들이 서로 도달 가능하면서 전체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연결한 트리 구조에 따라 상기 삼각 매쉬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삼각 매쉬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프레임을 버퍼링하며, 상기 생성부와 상기 추적부 사이에 배치되는 버퍼링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을 처리하는 제1 프로세스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처리하는 제2 프로세스를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병렬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추적부는,
상기 얼굴 영역을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서브영역들로 구분하는 구분부;
상기 서브영역들 중 변화가 가장 큰 관심서브영역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관심서브영역에서의 상기 삼각 매쉬의 변화를 추적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관심서브영역은 눈썹, 눈, 눈동자, 입, 입술, 턱선, 얼굴 방향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삼각 매쉬의 변화를 기 저장된 훈련 데이터와 비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 및 상기 유저 컨트롤 제공부 사이에 최근접 이웃 분류부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최근접 이웃 분류부는 훈련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삼각 매쉬 변화가 가장 큰 상기 얼굴 영역의 서브영역이나 특징자를 검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최근접 이웃 분류부 및 상기 유저 컨트롤 제공부 사이에 가중 결정 평가부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가중 결정 평가부는 상기 특징자 또는 상기 서브영역의 종류나 위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4033A KR101909326B1 (ko) | 2015-12-08 | 2015-12-08 | 얼굴 모션 변화에 따른 삼각 매쉬 모델을 활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4033A KR101909326B1 (ko) | 2015-12-08 | 2015-12-08 | 얼굴 모션 변화에 따른 삼각 매쉬 모델을 활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7398A KR20170067398A (ko) | 2017-06-16 |
KR101909326B1 true KR101909326B1 (ko) | 2018-12-19 |
Family
ID=5927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4033A Active KR101909326B1 (ko) | 2015-12-08 | 2015-12-08 | 얼굴 모션 변화에 따른 삼각 매쉬 모델을 활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932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69333A (zh) * | 2018-01-08 | 2018-07-10 |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 人脸识别方法、应用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KR102126652B1 (ko) * | 2018-01-29 | 2020-06-25 | 박길주 | 해킹 방지를 위한 이미지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40138831A (ko) * | 2023-03-13 | 2024-09-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이용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07952A (ja) | 2013-06-24 | 2015-01-15 | 由田新技股▲ふん▼有限公司 | 顔の動きを検知して信号を生成する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
-
2015
- 2015-12-08 KR KR1020150174033A patent/KR10190932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07952A (ja) | 2013-06-24 | 2015-01-15 | 由田新技股▲ふん▼有限公司 | 顔の動きを検知して信号を生成する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7398A (ko) | 2017-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959160B (zh) | 一种手势识别方法、装置及设备 | |
US10198823B1 (en) | Segmentation of object image data from background image data | |
US10394318B2 (en) | Scene analysis for improved eye tracking | |
US10891473B2 (en) |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hand gesture recognition | |
KR101612605B1 (ko) | 얼굴 특징점 추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
US20130342636A1 (en) | Image-Based Real-Time Gesture Recognition | |
KR20170056860A (ko) |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 |
US9213897B2 (en) |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 |
CN112597872B (zh) | 视线角度估计方法和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 |
Kang et al. | Development of head detection and tracking systems for visual surveillance | |
JP2011134114A (ja) | パターン認識方法およびパターン認識装置 | |
CN102831439A (zh) | 手势跟踪方法及系统 | |
KR102819021B1 (ko) | 단안 스틸 카메라 비디오에서의 레이어드 모션 표현 및 추출 | |
JP2015041279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KR20140019950A (ko) | 단말기의 모노 카메라에 입력된 손가락 영상을 이용한 3차원 좌표 생성 방법 및 모노 카메라에 입력된 손가락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좌표를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 | |
KR101909326B1 (ko) | 얼굴 모션 변화에 따른 삼각 매쉬 모델을 활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
JP2016099643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JP2017033556A (ja) | 画像処理方法及び電子機器 | |
KR102237131B1 (ko) | 객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 |
CN112541418B (zh) | 用于图像处理的方法、装置、设备、介质和程序产品 | |
WO2018191058A1 (en) | Image processing system with discriminative control | |
KR102107182B1 (ko) | 손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 |
CN103778405B (zh) | 以自然影像进行的手势辨识方法 | |
US11847823B2 (en) | Object and keypoint detection system with low spatial jitter, low latency and low power usage | |
KR20160107587A (ko) | 스테레오 이미지를 이용한 동작인식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