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8688B1 -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688B1
KR101908688B1 KR1020160062824A KR20160062824A KR101908688B1 KR 101908688 B1 KR101908688 B1 KR 101908688B1 KR 1020160062824 A KR1020160062824 A KR 1020160062824A KR 20160062824 A KR20160062824 A KR 20160062824A KR 101908688 B1 KR101908688 B1 KR 101908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frame
vertical
horizontal
insulating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961A (ko
Inventor
김완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Priority to KR1020160062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68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68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with screws blocking the connecting piece inside or on the fram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06B2003/2631Screw or pin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문이나 창호에서 틀을 이루는 프레임이 외부와 실내의 열기나 찬기를 차단하기 위한 단열프레임으로써 내측 및 외측 프레임 사이에 아존바를 더 부가하고 수직단열프레임과 수평단열프레임들이 연결되어 전체적인 프레임이 마련되는 것이며, 이에 이들 수직단열프레임과 수평단열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에서도 서로 접하는 사이에 별도의 열전달 방지소재의 단열브라켓을 마련하여, 실내외측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실내 측으로 위치되는 내부프레임; 실외 측으로 위치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내부프레임 및 외부프레임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 공간에 위치된 단열소재의 아존부를 포함하는 단열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단열프레임은, 아존부를 포함하며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단열프레임(10); 및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 일측으로 결합되는 수평단열프레임(2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은, 실내 측으로 위치되는 수직내부프레임(11); 실외 측으로 위치되는 수직외부프레임(12); 및 상기 수직내부프레임(11) 및 수직외부프레임(12)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 공간에 위치된 단열소재의 수직아존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FRAME CONNECTING STRUCTURE FOR VERTICAL AND HORIZONTAL FRAME WITH AZON BAR}
본 발명은 단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문이나 창호에서 틀을 이루는 프레임이 외부와 실내의 열기나 찬기를 차단하기 위한 단열프레임으로써 내측 및 외측 프레임 사이에 아존바를 더 부가하고 수직단열프레임과 수평단열프레임들이 연결되어 전체적인 프레임이 마련되는 것이며, 이에 이들 수직단열프레임과 수평단열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에서도 서로 접하는 사이에 별도의 열전달 방지소재의 단열브라켓을 마련하여, 실내외측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이나 창호는 건물에 있어서 실내와 외부를 개방하게 되는 것으로, 출입문은 사용자들이 드나들 수 있는 것이고, 창호의 경우에는 통기를 하거나 외부의 풍경을 보기 위해 조성된 건축물인 것이다.
이처럼 출입문이나 창호는 그 사용 용도에 알맞게 일반적인 건물의 벽면과는 다른 용도로 이용하기 위해 설비된 것이다.
이러한 출입문이나 창호는 대면적을 이루는 부분이 불투명의 금속판재, 나무판재, 또는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재 등으로 불투명, 반투명의 특성을 갖게 하기도 한다. 또한 대면적의 대부분을 투명이나 반투명의 유리나 플라스틱재를 이용하기도 하며, 투명한 상태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기나 출입 이외에도 외부의 풍광을 즐길 수 있도록 마련하게 된다.
반면 이러한 출입문이나 창호의 경우 원하는 목적을 수행함과 함께 풍광을 즐기기 위해 투명의 유리로 조성되는 경우가 많으나, 반면 겨울철에는 외부의 찬기가 그대로 실내로 전달되어 난방의 효율을 저해하기도 한다.
또한 여름철에는 외부의 열기를 그대로 실내로 전달할 경우 더운 실내 환경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런 고온의 열전달 또는 저온의 찬기는 유리로 전달될 수도 있지만, 출입문이나 창호의 틀을 통해서 전달되기도 하며, 특히 이러한 틀이 금속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더욱 열전달이 잘되어 실내환경이 안 좋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열전달이 않 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특히 금속소재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들 사이의 결착되는 부분에서도 열전달이 이루어져 이에 대한 열전달 차단의 구성이 필요한 것이다.
등록특허번호 제10-1595219호(2016년 02월 18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219379호(2013년 01월 09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입문이나 창호의 프레임으로써 단열프레임이 실내측의 내부프레임과 실외측의 외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들 사이에 별도의 단열소재로 되는 아존바를 구비함으로써 찬기를 차단하고 열기를 차단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이루게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등에 단열소재를 포함하여 각 프레임들에 의해서는 열차단이 이루어지지만,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에서도 단열브라켓을 마련하여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들의 연결부분에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단열프레임 및 수직단열프레임의 구조에 따라서 단열브라켓이 평판형태, 양측면도 커버하는 'ㄷ'자 형태, 양측면 및 상하측면도 커버하는 'ㅁ'자 형태 등으로 구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에 대해서도 실내외의 열차단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 측으로 위치되는 내부프레임; 실외 측으로 위치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내부프레임 및 외부프레임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 공간에 위치된 단열소재의 아존부를 포함하는 단열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단열프레임은, 아존부를 포함하며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단열프레임(10); 및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 일측으로 결합되는 수평단열프레임(2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은, 실내 측으로 위치되는 수직내부프레임(11); 실외 측으로 위치되는 수직외부프레임(12); 및 상기 수직내부프레임(11) 및 수직외부프레임(12)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 공간에 위치된 단열소재의 수직아존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평단열프레임(20)은, 중앙으로 프레임 본체를 이루는 수평프레임내심부(21); 실내외측으로 수평프레임내심부(21)에 접하며 비전도체로써 단열소재로 이루어진 수평단열커버(22); 및 실내외측으로 수평단열커버(22)를 가리는 수평외부패널(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 일측으로 구비되는 수평단열프레임(20)에 대해서, 수평단열프레임(20)이 수직단열프레임(10)에 접하는 부분에 단열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브라켓에 의하여 수직단열프레임(10)과 수평단열프레임(20) 사이의 열전달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평단열프레임(20)은, 실내외측으로 비전도체로써 단열소재로 이루어진 수평단열커버(22)를 포함하여, 수평단열프레임(20)의 실외측과 실내측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고, 상기 단열브라켓은,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과 접하는 수평단열프레임(20)의 종방향 면에 평판형태를 이루는 평판형단열브라켓(30)에 의하여 수평단열프레임(20)과 수직단열프레임(10)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평판형차단부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열브라켓은,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과 접하는 수평단열프레임(20)의 종방향 면에는 평판형태의 평판단열부재(41); 및 상기 수평단열프레임(20)의 측방향 면에 위치된 측방단열부재(42)를 포함한 절곡형단열브라켓(40)을 구비하되, 상기 절곡형단열브라켓(40)은 평판단열부재(41)와 양측 측방단열부재(42)에 의하여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를 이루며, 절곡형단열브라켓(40)에 의하여 수평단열프레임(20)과 수직단열프레임(10)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절곡형차단부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절곡형단열브라켓(40)을 대체사용할 수 있는 커버형단열브라켓(50)은 평판단열부재(5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상하측의 상하단열부재(53)와 양측의 측방단열부재(52)에 의한 횡단면 형상이 'ㅁ'자 형상을 이루어 수평단열프레임(20) 끝단부분을 감싸는 커버형 형태를 이루며, 상기 커버형단열브라켓(50)에 의하여 수평단열프레임(20)과 수직단열프레임(10)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커버형차단부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출입문이나 창호의 프레임으로써 단열프레임이 실내측의 내부프레임과 실외측의 외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들 사이에 별도의 단열소재로 되는 아존바를 구비함으로써 찬기를 차단하고 열기를 차단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등에 단열소재를 포함하여 각 프레임들에 의해서는 열차단이 이루어지지만,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에서도 단열브라켓을 마련하여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들의 연결부분에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수평단열프레임 및 수직단열프레임의 구조에 따라서 단열브라켓이 평판형태, 양측면도 커버하는 'ㄷ'자 형태, 양측면 및 상하측면도 커버하는 'ㅁ'자 형태 등으로 구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에 대해서도 실내외의 열차단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아존바형 단열프레임에 있어서 평판형차단부재 실시예에서의 수직단열프레임과 수직단열프레임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아존바형 단열프레임에 있어서 평판형차단부재 실시예에서의 수직단열프레임과 수직단열프레임의 결합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아존바형 단열프레임에 있어서 평판형차단부재 실시예에서의 수직단열프레임과 수직단열프레임의 결합상태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아존바형 단열프레임에 있어서 절곡형차단부재 실시예에서의 수직단열프레임과 수직단열프레임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아존바형 단열프레임에 있어서 절곡형차단부재 실시예에서의 수직단열프레임과 수직단열프레임의 결합상태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아존바형 단열프레임에 있어서 커버형차단부재 실시예에서의 수직단열프레임과 수직단열프레임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아존바형 단열프레임에 있어서 커버형차단부재 실시예에서의 수직단열프레임과 수직단열프레임의 결합상태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아존바형 단열프레임에 있어서 커버형차단부재 실시예에서 수직단열프레임과 수직단열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는 커버형단열브라켓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아존바형 단열프레임에 있어서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 등에서와 같이, 출입문, 창호로 설치되는 프레임에 대한 것이다.
즉 이러한 프레임은 주로 출입문으로 시설되어 사용자가 출입하는데 외부의 공기나 찬기로부터 실내와 분리되게 하는 것이다. 또는 창호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여닫을 수 있는 구조이거나, 또는 통유리창으로 이용되며, 이로써 외부의 공기나 찬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보온하게 된다.
대부분 창틀 프레임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견고한 프레임을 구성하지만, 반면 금속재의 우수한 열전달 특성으로 인하여 외부의 차가운 찬기는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게 하므로, 겨울철 난방에 난방비가 과하게 소요되는 것이다. 반대로 더운 여름철에는 외부의 더운 열기를 그대로 실내로 전달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더위로 인해 생활이 곤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프레임을 대상으로 하여 실내 프레임과 실외 프레임으로 구분되게 함으로써 열전달의 특성을 어느 정도 완화하게 한다. 이에 더하여 실내측의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아존바를 구비함으로써,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상세 구성을 보면, 실내 측으로 위치되는 내부프레임, 그리고 실외 측으로 위치되는 외부프레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단열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내부프레임 및 외부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 공간인 아존부 형성공간에 단열소재로 이루어진 아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아존부에 의해 열차단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아존부는 폴리아미드 및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타 열 차단을 위한 다양한 소재가 아존부로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대체로 아존부는 첨부된 도면의 형상에서와 같이, 프레임으로써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 등이 긴 길이로 형성되고, 이들 프레임들 사이에 소정 공간으로 아존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좁고 긴 길이의 공간에 아존부가 형성되므로, 아존부는 대체로 좁으며 긴 길이의 바(BAR) 형상을 이루는 아존바(AZON BAR)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아존바의 형성은 대체로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 사이에 아존바 형성을 위한 공간으로 젤 타입의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을 주입한 후 어느 정도 굳어지게 함으로써 아존바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어느 정도 굳어진 다음에는 양측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 사이에서 잘 분리되지 않게 되는 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특성은 일반적인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으로써 어느 정도 굳은 상태에서는 변형되지 않으려는 일반적인 특성을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존바가 결합된 내부프레임 및 외부프레임 등은 서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열소재로 이루어진 아존바에 의하여 실내측 내부프레임과, 실외측 외부프레임 사이에 절단된 상태를 갖기 때문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에서의 열전달이 차단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겨울철 외부의 찬기가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여름철 외부의 더운 공기의 열기가 실내로 열전달 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실내환경이 외부 온도 환경과 무관하게 쾌적한 상태를 갖는 것이다.
이에 대한 상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본 발명의 단열프레임은 출입문, 창호 등으로 이용되고 소정 길이의 긴 길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내부프레임측과 외부프레임측을 다수 곳으로 연결해야 좀더 안정적 구조를 갖게 될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에서처럼 두 곳의 아존바로 내외측 프레임이 연결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들 두 곳의 아존바를 포함하도록 각각의 프레임들이 분리되어 제작되고, 이후 결합하여 하나의 단일의 단열프레임으로 구비할 수 있다.
즉 실내 측으로 위치되는 내부프레임, 실외 측으로 위치되는 외부프레임, 그리고 상기 내부프레임 및 외부프레임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 공간에 위치된 단열소재의 아존부를 포함하는 단열프레임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단열프레임은, 아존부를 포함하며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단열프레임(10)과, 그리고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 일측으로 결합되는 수평단열프레임(20)을 포함하여 단열프레임을 구비한 것이다.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수직단열프레임(10)과 수평단열프레임(20)들을 연결하여 주로 사각 형태의 프레임 구조를 이루는 것이며, 이러한 사각 형태의 프레임 안쪽으로 유리가 구비되거나 패널 등을 마련한 것이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구비하여 출입문이나 창호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출입문이나 창호를 벽면에 장치하여 사용하기 위한 출입문틀이나 창호틀의 경우에도 단열프레임 구조를 구비하여 벽면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용도로 이용하게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프레임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 측 및 실외 측으로 구분되게 프레임 구조를 이루면서 이러한 내부프레임 및 외부프레임이 단열소재를 이루는 아존바(아존부)로 연결되게 마련함으로써 실내외 사이에서 열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수직단열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 등이 결합되는 것이며, 이에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은, 실내 측으로 위치되는 수직내부프레임(11), 그리고 실외 측으로 위치되는 수직외부프레임(12)으로 이루어지며, 아울러 상기 수직내부프레임(11) 및 수직외부프레임(12)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 공간에 위치된 단열소재의 수직아존부(13)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별도의 체결나사(60) 등을 이용하여 수평프레임(20)이 체결되는 것이다. 수평프레임(20)도 아존부를 포함하여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의 예(도 3 등)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단열프레임(20)이, 중앙으로 프레임 본체를 이루는 수평프레임내심부(21)를 주 프레임의 형태로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실내외측으로 수평프레임내심부(21)에 접하며 비전도체로써 단열소재로 이루어진 수평단열커버(22)가 마련할 경우 외부의 열기나 찬기가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실내외측으로 수평단열커버(22)를 가리는 수평외부패널(23)을 포함하는 것이다. 대체로 수평프레임내심부(21)와 수평외부패널(23) 등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 전체적으로 그 형태가 틀어지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수평단열커버(22)는 금속소재의 프레임에 의한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수평단열커버(22) 외부로 금속소재의 수평외부패널(23)을 구비하여 수평단열커버(2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10) 및 수평단열프레임(20)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 일측으로 구비되는 수평단열프레임(20)에 대해서, 수평단열프레임(20)이 수직단열프레임(10)에 접하는 부분에 단열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단열브라켓에 의하여 수직단열프레임(10)과 수평단열프레임(20) 사이의 열전달이 차단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단열프레임(10)에는 실내외측의 수직내부프레임(11)과 수직외부프레임(12) 사이를 수직아존부(13)로 연결하여 마련한 것이어서 실내외측으로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수평단열프레임(20)의 경우 구조적으로 열차단의 구조가 다를 수 있어 비록 수직프레임(10)에서는 실내외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지만 수평단열프레임(20)과의 결합되는 부분에서 결착된 상태에 따라서는 수평단열프레임(20)과 수직단열프레임(10) 등에 의해 서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수평단열프레임(20)과 수직단열프레임(10)이 직접 접하지 않도록 별도의 단열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도 1 내지 도 3 등에서와 같이 수평단열프레임(20)의 실내외측으로 단열부재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수평단열프레임(20)에서는 실외측의 열기가 실내측으로 전달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수평단열프레임(20)의 끝단 부분이 수직단열프레임(10)과 접하는 부분에서 열전달이 이루어질 우려도 있을 것이다.
즉 이처럼 상기 수평단열프레임(20)은, 실내외측으로 비전도체로써 단열소재로 이루어진 수평단열커버(22)를 포함하여, 수평단열프레임(20)의 실외측과 실내측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상기 단열브라켓은,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과 접하는 수평단열프레임(20)의 종방향 면에 평판형태를 이루는 평판형단열브라켓(30)에 의하여 수평단열프레임(20)과 수직단열프레임(10)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평판형차단부재를 이루는 실시예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하여 평판형차단부재 실시예에 의하면 수평단열프레임(20)의 종방향 끝단을 통해서 수직단열프레임(10)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결국 실내외 측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의 예에서처럼 상기 단열브라켓은,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과 접하는 수평단열프레임(20)의 종방향 면에는 평판형태의 평판단열부재(41)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단열프레임(20)의 측방향 면에 위치된 측방단열부재(42)를 포함한 절곡형단열브라켓(40)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절곡형단열브라켓(40)은 평판단열부재(41)와 양측 측방단열부재(42)에 의하여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를 이루는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즉 절곡형단열브라켓(40)에 의하여 수평단열프레임(20)과 수직단열프레임(10)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절곡형차단부재를 이루는 실시예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절곡형차단부재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단열프레임(10)과 접하는 수평단열프레임(20)의 측방향으로도 측방단열부재(42)에 의하여도 실내외측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 등의 예에서처럼 상기 단열브라켓은,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과 접하는 수평단열프레임(20)의 종방향 면에는 평판형태의 평판단열부재(51)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단열프레임(20)의 측방향 면에 위치된 측방단열부재(52)를 구비하면서, 상기 수평단열프레임(20)의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 면에 위치된 상하단열부재(53)를 포함한 커버형단열브라켓(50)을 구비하는 실시예를 마련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형단열브라켓(50)은 평판단열부재(5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상하측의 상하단열부재(53)와 양측의 측방단열부재(52)에 의한 횡단면 형상이 'ㅁ'자 형상을 이루어 수평단열프레임(20) 끝단부분을 감싸는 커버형 형태를 이루는 실시예인 것이다.
이러한 상기 커버형단열브라켓(50)에 의하여 수평단열프레임(20)과 수직단열프레임(10)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커버형차단부재를 이루는 실시예를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커버형차단부재 실시예의 경우, 수직단열프레임(10) 및 수평단열프레임(20) 이외에도 별도의 프레임커버나 다른 작동이나 기능을 위한 부재들이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별도 부재들에 의해서도 열전달이 될 수도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커버형차단부재 실시예의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수평단열프레임(2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된 직육면체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수직단열프레임(10)이 접하는 수평단열프레임(20)의 종방향에 위치되는 평판단열부재(51)는 사각형상을 이루며, 평판단열부재(51)의 좌우측 및 상하측으로 수직되게 연결되는 측방단열부재(52) 및 상하단열부재(53) 등으로써, 수평단열프레임(20)의 양측 및 상하부분을 감싸면서, 수직단열프레임(10)이나 다른 커버 등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커버형차단부재 실시예에 의하여 수평단열프레임(20) 끝단부의 양측 및 상하 부분에 대한 열전달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10) 및 수평단열프레임(20)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수직단열프레임(10)과 수평단열프레임(20)이 결합되는 부분에서도 열전달될 수 있는 것을, 별도로 마련된 단열브라켓에 의하여 열전달을 차단하게 되므로, 실내외 사이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수직단열프레임 13 : 수직아존부
20 : 수평단열프레임
30 : 평판형단열브라켓
40 : 절곡형단열브라켓
50 : 커버형단열브라켓

Claims (6)

  1. 실내 측으로 위치되는 내부프레임;
    실외 측으로 위치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내부프레임 및 외부프레임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 공간에 위치된 단열소재의 아존부와,
    상기 아존부를 포함하며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단열프레임(10); 및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 일측으로 결합되는 수평단열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 단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은,
    실내 측으로 위치되는 수직내부프레임(11);
    실외 측으로 위치되는 수직외부프레임(12); 및
    상기 수직내부프레임(11) 및 수직외부프레임(12)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 공간에 위치된 단열소재의 수직아존부(13)와,
    상기 수평단열프레임(20)은,
    중앙으로 프레임 본체를 이루는 수평프레임내심부(21);
    실내외측으로 수평프레임내심부(21)에 접하며 비전도체로써 단열소재로 이루어진 수평단열커버(22); 및
    실내외측으로 수평단열커버(22)를 가리는 수평외부패널(23)과,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 일측으로 구비되는 수평단열프레임(20)에 대해서, 수평단열프레임(20)이 수직단열프레임(10)에 접하는 부분에 단열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브라켓에 의하여 수직단열프레임(10)과 수평단열프레임(20) 사이의 열전달이 차단되는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열브라켓은,
    상기 수직단열프레임(10)과 접하는 수평단열프레임(20)의 종방향 면에는 평판형태의 평판단열부재(41); 및
    상기 수평단열프레임(20)의 측방향 면에 위치된 측방단열부재(42)를 포함한 절곡형단열브라켓(40)을 구비하되,
    상기 절곡형단열브라켓(40)은 평판단열부재(41)와 양측 측방단열부재(42)에 의하여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를 이루며,
    절곡형단열브라켓(40)에 의하여 수평단열프레임(20)과 수직단열프레임(10)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절곡형차단부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단열브라켓(40)을 대체하는 커버형단열브라켓(50)은 평판단열부재(5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상하측의 상하단열부재(53)와 양측의 측방단열부재(52)에 의한 횡단면 형상이 'ㅁ'자 형상을 이루어 수평단열프레임(20) 끝단부분을 감싸는 커버형 형태를 이루며,
    상기 커버형단열브라켓(50)에 의하여 수평단열프레임(20)과 수직단열프레임(10)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커버형차단부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20160062824A 2016-05-23 2016-05-23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908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824A KR101908688B1 (ko) 2016-05-23 2016-05-23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824A KR101908688B1 (ko) 2016-05-23 2016-05-23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961A KR20170131961A (ko) 2017-12-01
KR101908688B1 true KR101908688B1 (ko) 2018-10-16

Family

ID=6092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8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908688B1 (ko) 2016-05-23 2016-05-23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6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3874B1 (ko) 2021-05-10 2024-07-16 주식회사 청오 도어용 단열바 결합구조
KR102664523B1 (ko) * 2023-06-26 2024-05-13 주식회사 원도어시스템 산업용 자동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649B1 (ko) * 2011-01-24 2012-05-11 임식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0472839Y1 (ko) 2014-02-21 2014-05-29 변상득 창호용 가로 단열프레임
KR101408640B1 (ko) * 2013-12-30 2014-06-17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열차단 보강 자동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219B1 (ko) * 2008-10-02 2011-10-19 알루텍 (주) 냉교차단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KR101219379B1 (ko) 2011-03-31 2013-01-09 임식규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303277B1 (ko) * 2011-04-11 2013-09-04 안중식 미닫이 창호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595219B1 (ko) 2014-05-26 2016-02-18 임식규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675090B1 (ko) * 2014-10-27 2016-11-22 주식회사 씨쓰리 마감캡이 구비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649B1 (ko) * 2011-01-24 2012-05-11 임식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408640B1 (ko) * 2013-12-30 2014-06-17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열차단 보강 자동문
KR200472839Y1 (ko) 2014-02-21 2014-05-29 변상득 창호용 가로 단열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961A (ko)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578B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KR101569647B1 (ko) 창호 프레임용 단열부재
KR101311442B1 (ko) 복합창호의 패널 결합구조
KR101291800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908688B1 (ko)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657237B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1790729B1 (ko) 자동문용 단열프레임
US20130199122A1 (en) Natural thermal cut window and door frame
KR101827770B1 (ko) 단열프레임 내측주입 아존바 구조
US7908796B2 (en) Fenestration assembly
KR101073730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 프레임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1237435B1 (ko) 듀얼밸류 단열 복합 문테 없는 창호 프레임 구조
KR101793476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
KR101686407B1 (ko) 분리형 아존바형 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0368316Y1 (ko) 결로방지용 문틀 프레임
KR20130097897A (ko) 발열수단이 내장된 도어 프레임
KR101492067B1 (ko) 프레임 단열보강 연결구
KR101022962B1 (ko)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KR20170099825A (ko) 폴딩도어의 단열구조
KR102035936B1 (ko) 개선된 단열 및 방풍 구조를 갖는 현관문
KR20160068535A (ko) 도어 프레임
KR20200143848A (ko) 창호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110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101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