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7099B1 -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 Google Patents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099B1
KR101907099B1 KR1020180056830A KR20180056830A KR101907099B1 KR 101907099 B1 KR101907099 B1 KR 101907099B1 KR 1020180056830 A KR1020180056830 A KR 1020180056830A KR 20180056830 A KR20180056830 A KR 20180056830A KR 101907099 B1 KR101907099 B1 KR 101907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xhalation
vibration
breathing
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욱
손동식
Original Assignee
(주)쓰리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에스 filed Critical (주)쓰리에스
Priority to KR102018005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099B1/ko
Priority to CN201910405680.8A priority patent/CN110496040A/zh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6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means for creating vibrations in patients' airw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1/00Massage devices for cavities of the body, e.g. nose, ears and anus ; Vibration or percussion related aspects A61H23/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 A61H2230/405Respiratory characteristics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27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pressure 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 A61M2016/003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electrical
    • A61M2016/0042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electrical in the expiratory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solid matter, e.g. microaggreg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기시 진동을 체내에 전달하여 체내에 부착된 객담으로 체외로 배출시키는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기에 의한 진동의 세기를 환자에 맞게 조절 가능하고 호기의 강도를 환자나 의료진이 확인 가능하여 객담을 효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구강을 통해 호기가 유입되는 호기유입부; 상기 호기유입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호기를 통과시켜 배출하는 호기통과부;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호기의 압력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구강 내로 전달하는 진동발생부;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서 상기 진동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는 필터부; 및 상기 호기통과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표출하는 호기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PORTABLE APPARATUS FOR DISCHARGING EXPECTORATION WITH EXHALATION SENSING FUNCTION}
본 발명은 기관, 기관지 및 폐에 부착된 객담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객담 배출기기는 호기시 진동을 발생시켜 체내로 전달하여 기관, 기관지 및 폐에 부착된 객담을 분리시켜 호기와 함께 채외로 배출하도록 하는 의료기기이다.
이러한 객담 배출기기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환자가 입에 물고 호기를 내뿜는 마우스와,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호기의 유입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환자가 마우스를 입에 물고 몸체 내부로 향하여 호기를 일정시간 동안 강하게 내뿜으면 된다. 그러면 호기가 몸체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진동수단에서 진동이 발생하고 발생된 진동이 체내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기관, 기관지 및 폐에 부착된 객담을 분리시켜 호기와 함께 체외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객담 배출기기는 진동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에 대한 진폭 조절이 불가능하여 환자마다 다른 호기량이나 객담양에 대응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그리고 마우스와 몸체 및 진동수단이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비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호기를 감지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객담이 제대로 배출되는지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0563호, 2006.04.06.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진동을 환자에게 적합하게 조절하여 객담을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간편하게 세척 가능하게 구성부 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하도록 하며 환자의 호기를 감지하여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는 구강을 통해 호기가 유입되는 호기유입부; 상기 호기유입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호기를 통과시켜 배출하는 호기통과부;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호기의 압력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구강 내로 전달하는 진동발생부;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서 상기 진동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는 필터부; 및 상기 호기통과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표출하는 호기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기감지부는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호기의 압력에 대응되게 회전하는 회전로터; 상기 회전로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로터의 회전에 대응되는 기전력을 발생하는 기전력발생기; 상기 기전력발생기에서 발생된 상기 기전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호기의 압력을 산출하는 압력산출기; 및 상기 압력산출기에 의해 산출된 상기 호기의 압력에 대응되게 빛을 내거나 소리를 내는 표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기통과부는 상기 호기유입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통과관; 상기 하부통과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통과관; 및 상기 상부통과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호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호기배출공이 형성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에 상기 호기가 통과하는 개폐공이 형성되고 외측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안착시트; 및 상기 개폐공을 막도록 상기 안착시트의 중심에 안착되어 상기 호기의 압력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개폐공을 반복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서 상기 진동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발생부에 발생하는 상기 진동의 세기를 조절하는 진동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조절부는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서 상기 안착시트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진동발생볼을 내포하며 상기 호기가 통과하는 호기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나사공이 중심에 형성된 지지판이 구비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승강조절볼트; 상기 승강조절볼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조절볼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 및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의 외측 가장자리단이 삽입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구를 회전시켜 상기 진동발생볼과 상기 승강조절볼트의 간격을 조절하는 회전유도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의 하단 외주면에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통과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위치고정홈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 조작시 상기 지지체는 고정되고 상기 승강조절볼트와 상기 회전구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진동조절부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호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세기를 환자에게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객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각 구성부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됨에 따라 간편하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호기감지부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환자 또는 의료진이 호기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환자가 스스로 적합한 호기의 강도로 사용하여 객담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환자의 호기를 통해 기관과 기관지 및 폐에 부착된 객담을 체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는 호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객담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분해 조립 구조가 적용되어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호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외부로 표출하여 환자 또는 의료진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는 환자가 한 손으로 쥐고 입으로 문 상태에서 구강을 통해 호기를 강하게 내뿜도록 유도한 것으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기유입부(100)와 호기통과부(200)와 진동발생부(300)와 진동조절부(400)와 필터부(500) 및 호기감지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호기유입부(100)는 구강에 삽입되어 환자의 호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호기유입부(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에 삽입되는 구강삽입구(110)와, 구강삽입구(110)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호기가 유입되는 호기유도관(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강삽입구(110)는 입으로 쉽게 물을 수 있도록 좌우 너비가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길어 좌우로 납작한 마우스(111)와, 마우스(111)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직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축경관(112)과, 축경관(112)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호기유도관(120)은 연결관(113)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고 중간에 전방에서 상방으로 휘어진 절곡부(121)가 형성되어 구강삽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호기를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호기통과부(200)는 호기유입부(100)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호기유입부(100)를 통해 유입되어 상방으로 안내된 호기를 내부로 통과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즉, 호기통과부(200)는 호기유입부(100)를 통해 상방으로 안내된 호기가 안내 방향을 유지하면서 그대로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호기통과부(2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기유도관(120)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하부통과관(210)과, 하부통과관(210)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상부통과관(220)과, 상부통과관(220)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2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통과관(210)과 상부통과관(220)은 호기가 통과하도록 호기통과공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통과관(210)의 단부에는 외경이 상부통과관(220)의 내경과 대응되어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는 삽입플랜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플랜지(211)의 외주면에는 분리방지홈(212)이 형성되고, 상부통과관(220)의 내주면에는 분리방지홈(212)에 삽입 걸림되는 분리방지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통과관(210)과 상부통과관(220)은 삽입플랜지(211)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분리방지홈(212)과 분리방지돌기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230)는 하부통과관(210)과 상부통과관(220)을 통과한 호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호기통과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고 상부통과관(220) 상에서 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복수 개의 호기배출공(2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230)는 상부통과관(22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는 커버(230)의 내주면을 따라 하단으로 연장 형성된 삽입단(232)과, 삽입단(232)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턱(233)과, 상부통과관(2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커버(230)가 걸림턱(233)에 의해 상부통과관(220)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턱(233)이 넘어가 걸리는 단턱(221)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진동발생부(300)는 호기통과부(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호기의 압력에 따라 개폐를 반복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즉, 진동발생부(300)는 호기통과부(200)의 내부를 따라 통과하는 호기의 흐름을 호기의 압력변화에 의해 반복적으로 단속하고 단속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통해 기관과 기관지 및 폐에 부착된 객담을 분리시켜 체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진동발생부(3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통과관(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에 호기가 통과하는 개폐공(311)이 형성되며 외측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의 안착시트(310)와, 개폐공(311)을 차단하도록 안착시트(310)의 상부 중심에 안착되는 진동발생볼(32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진동발생볼(320)은 자체 무게와 안착시트(310)의 형상에 의해 안착시트(310)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폐공(311)을 차단한 상태에서 호기가 호기통과부(200)의 내부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압력변화에 따라 반복적으로 승강 운동하면서 개폐공(311)을 반복적으로 개폐시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동발생볼(32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체내로 전달되어 기관과 기관지 및 폐를 진동시킴으로써 기관과 기관지 및 폐에 부착된 객담이 체외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진동조절부(400)는 호기통과부(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진동발생볼(320)의 승강 운동 높이를 조절하여 진동발생부(300)에서 발생하여 체내로 전달되는 진동 세기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진동조절부(4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410)와 승강조절볼트(420)와 회전구(430) 및 회전유도홈(4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410)는 안착시트(310)의 상부에 안착되고 진동발생볼(320)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부에서 이격공간을 두고 감싸며 호기가 통과하는 호기공(411)이 형성되고 상단에 나사공(413)이 중심에 형성된 지지판(4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조절볼트(420)는 지지판(412)의 나사공(413)에 나사 결합되어 지지체(410)의 상부에서 단부가 지지체(410)의 내부로 관통하도록 높이 조절되면서 진동발생볼(320)의 승강 운동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430)는 승강조절볼트(42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회전날개(431)가 일정간격으로 두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승강조절볼트(4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유도홈(440)은 회전날개(431)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커버(230)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커버(230)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전구(430)를 회전시켜 진동발생볼(320)의 승강 운동 높이를 결정하는 진동발생볼(320)과 승강조절볼트(42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회전구(430)와 승강조절볼트(420)가 회전될 때는 지지체(410)가 회전되지 않아야 승강조절볼트(4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체(410)의 하단 외주면에는 위치고정홈(41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하부통과관(210)의 내주면에는 위치고정홈(414)에 삽입되어 지지체(410)의 회전을 막는 위치고정돌기(21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230)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전구(430)와 승강조절볼트(420)가 회전될 때 지지체(410)는 위치고정홈(414)과 위치고정돌기(213)의 작용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커버(230)의 외주면에는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마찰력 증대를 위한 파지홈(23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부(500)는 호기통과부(2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진동발생부(300)의 상부에 위치되어 호기에 포함된 객담 등을 포함한 분비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필터링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필터부(500)는 상부통과관(220)의 내경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필터공(51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500)는 상부통과관(22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설치된 상태에서는 회전되지 않고 위치 고정되도록 외주면에 커버(230)의 회전유도홈(440)에 삽입되는 멈춤돌기(52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호기감지부(600)는 호기통과부(200)에 구비되어 호기의 압력을 감지한 후 외부로 표출하는 구성이다.
즉, 호기감지부(600)는 환자가 호기를 내뿜어 객담을 배출할 때 환자 자신은 물론이고 의료진이 환자가 내뿜는 호기의 강도와 환자가 호기를 내뿜는 시간 등을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객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호기감지부(60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로터(610)와 기전력발생기(620)와 압력산출기(630) 및 표출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로터(610)는 호기통과부(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호기의 압력에 대응되게 회전하게 된다. 단, 회전로트(610)는 호기통과부(20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전력발생기(620)는 회전로터(610)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회전로터(610)가 호기의 압력에 대응되게 회전될 때 기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압력산출기(630)는 기전력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전력발생기에서 발생된 기전력에 기초하여 호기의 압력을 산출하게 된다.
상기 표출수단은 압력산출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산출기에서 산출되는 호기의 압력에 대응되게 빛을 발하여 표출하거나 소리를 출력하여 표출하게 된다.
여기서 표출수단은 실시예에 따라 호기통과부(200)의 외부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64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640)가 상하 일정거리를 두고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호기의 압력에 대응되는 개수의 발광다이오드(640)가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환자나 의료진은 발광다이오드(640)의 발광 여부, 발광 개수, 발광 색상, 발광 시간 등을 환자가 내뿜는 호기의 강도와 호기를 내뿜는 시간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객담 배출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단, 호기감지부(600)의 작동을 위해서는 회전로터(610)와 기전력발생기(620)와 압력산출기(630) 및 발광다이오드(6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50)와 온오프 제어를 위한 전원버튼(66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650)의 충전을 위해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배터리(650)를 충전하는 충전회로와, 외부전원을 충전회로에 인가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호기유입부
110: 구강삽입구
111: 마우스
112: 축경관
113: 연결관
120: 호기유도관
121: 절곡부
200: 호기통과부
210: 하부통과관
211: 삽입플랜지
212: 분리방지홈
213: 위치고정돌기
220: 상부통과관
221: 단턱
230: 커버
231: 호기배출공
232: 삽입단
233: 걸림턱
234: 파지홈
300: 진동발생부
310: 안착시트
311: 개폐공
320: 진동발생볼
400: 진동조절부
410: 지지체
411: 호기공
412: 지지판
413: 나사공
414: 위치고정홈
420: 승강조절볼트
430: 회전구
431: 회전날개
440: 회전유도홈
500: 필터부
510: 필터공
520: 멈춤돌기
600: 호기감지부
610: 회전로터
620: 기전력발생기
630: 압력산출기
640: 발광다이오드
650: 배터리
660: 전원버튼

Claims (7)

  1. 구강을 통해 호기가 유입되는 호기유입부;
    상기 호기유입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호기를 통과시켜 배출하는 호기통과부;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호기의 압력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구강 내로 전달하는 진동발생부;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서 상기 진동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는 필터부; 및
    상기 호기통과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표출하는 호기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에 상기 호기가 통과하는 개폐공이 형성되고 외측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안착시트; 및
    상기 개폐공을 막도록 상기 안착시트의 중심에 안착되어 상기 호기의 압력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개폐공을 반복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감지부는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호기의 압력에 대응되게 회전하는 회전로터;
    상기 회전로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로터의 회전에 대응되는 기전력을 발생하는 기전력발생기;
    상기 기전력발생기에서 발생된 상기 기전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호기의 압력을 산출하는 압력산출기; 및
    상기 압력산출기에 의해 산출된 상기 호기의 압력에 대응되게 빛을 내거나 소리를 내는 표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통과부는
    상기 호기유입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통과관;
    상기 하부통과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통과관; 및
    상기 상부통과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호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호기배출공이 형성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서 상기 진동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발생부에 발생하는 상기 진동의 세기를 조절하는 진동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조절부는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서 상기 안착시트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진동발생볼을 내포하며 상기 호기가 통과하는 호기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나사공이 중심에 형성된 지지판이 구비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승강조절볼트;
    상기 승강조절볼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조절볼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 및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의 외측 가장자리단이 삽입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구를 회전시켜 상기 진동발생볼과 상기 승강조절볼트의 간격을 조절하는 회전유도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하단 외주면에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통과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위치고정홈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 조작시 상기 지지체는 고정되고 상기 승강조절볼트와 상기 회전구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KR1020180056830A 2018-05-18 2018-05-18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907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830A KR101907099B1 (ko) 2018-05-18 2018-05-18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CN201910405680.8A CN110496040A (zh) 2018-05-18 2019-05-16 具有呼气检测功能的便携式排痰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830A KR101907099B1 (ko) 2018-05-18 2018-05-18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099B1 true KR101907099B1 (ko) 2018-10-11

Family

ID=6386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8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907099B1 (ko) 2018-05-18 2018-05-18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7099B1 (ko)
CN (1) CN11049604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660B1 (ko) * 2019-05-21 2019-07-16 (주)글로티스인터내셔널 흉벽 진동 기능과 호흡근력 강화 기능이 융합된 호흡 재활 운동기기
WO2022014794A1 (ko) * 2020-07-17 2022-01-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폐 소리 모니터링을 통한 흉벽 자동 진동시스템
CN115006800A (zh) * 2021-03-04 2022-09-06 上海增欣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视化排痰呼吸训练器
KR102648101B1 (ko) 2022-11-03 2024-03-14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8819A (zh) * 2020-03-27 2020-07-10 赛客(厦门)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振动排痰控制方法及呼吸肌训练振动排痰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9252A (ja) 2003-01-03 2004-07-29 Dhd Healthcare Corp 振動的呼気正圧治療装置及び振動的呼気正圧治療を選択的に実行する方法
JP2013516265A (ja) 2010-01-07 2013-05-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フィードバック及びコンプライアンス装置を含む呼吸医薬供給装置
JP2014518744A (ja) * 2011-06-06 2014-08-07 トルーデル メディカ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呼気陽圧振動装置
KR101459332B1 (ko) * 2014-08-19 2014-11-07 (주)서일퍼시픽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1596B1 (en) * 1999-09-24 2003-06-24 Respi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high frequency variable pressure to a patient
US9149589B2 (en) * 2009-02-23 2015-10-06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orientation dependent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therapy
US8485179B1 (en) * 2009-02-23 2013-07-16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CN202020640U (zh) * 2011-01-05 2011-11-02 崇仁科技事业股份有限公司 拍痰器组
US10363383B2 (en) * 2014-02-07 2019-07-30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Pressure indicator for an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CN105902359B (zh) * 2016-04-08 2018-08-10 王卫东 呼吸道振动仪
CN107997924B (zh) * 2017-11-02 2019-11-26 杭州聚陆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呼气末正压振动排痰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9252A (ja) 2003-01-03 2004-07-29 Dhd Healthcare Corp 振動的呼気正圧治療装置及び振動的呼気正圧治療を選択的に実行する方法
JP2013516265A (ja) 2010-01-07 2013-05-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フィードバック及びコンプライアンス装置を含む呼吸医薬供給装置
JP2014518744A (ja) * 2011-06-06 2014-08-07 トルーデル メディカ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呼気陽圧振動装置
KR101459332B1 (ko) * 2014-08-19 2014-11-07 (주)서일퍼시픽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660B1 (ko) * 2019-05-21 2019-07-16 (주)글로티스인터내셔널 흉벽 진동 기능과 호흡근력 강화 기능이 융합된 호흡 재활 운동기기
WO2022014794A1 (ko) * 2020-07-17 2022-01-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폐 소리 모니터링을 통한 흉벽 자동 진동시스템
CN115006800A (zh) * 2021-03-04 2022-09-06 上海增欣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视化排痰呼吸训练器
KR102648101B1 (ko) 2022-11-03 2024-03-14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객담 배출을 위한 신체용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96040A (zh)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099B1 (ko) 호기 감지 기능을 가진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KR101907093B1 (ko)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KR102000660B1 (ko) 흉벽 진동 기능과 호흡근력 강화 기능이 융합된 호흡 재활 운동기기
JP5576695B2 (ja) 酸素マスク
US11464924B2 (en) Respiratory therapy apparatus
CN107810026A (zh) 用于在自主呼吸期间提供辅助通气的空气推进装置
US11273271B2 (en) Aerosolization system with flow restrictor and feedback device
KR102212353B1 (ko) 흉벽 진동 기능과 호흡근력 강화 기능이 융합된 호흡재활운동기기를 이용한 호흡 재활 운동 관리 시스템
JP2004209252A (ja) 振動的呼気正圧治療装置及び振動的呼気正圧治療を選択的に実行する方法
WO2006012205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PREDICTION OF INTRINSIC 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PEEPi) IN PATIENTS RECEIVING VENTILATOR SUPPORT
TWI808498B (zh) 肺復原裝置
AU2021325277B2 (en) Respiratory therapy instrument
US20220313930A1 (en) Portable Oscillator of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Having Capability for Oscillating Indication
KR20210128546A (ko) 휴대용 호흡 재활장치
CN110279988A (zh) 呼吸训练仪及调节训练者呼吸模式的方法
JP2016515416A (ja) 呼吸器疾患の治療のための治療装置
CN213192373U (zh) 一种呼吸系统肌肉锻炼器
KR102054115B1 (ko) 환자의 호흡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도삽관 어셈블리
US20170197053A1 (en) Transoral procedure mask
CN108325177B (zh) 一种呼吸康复训练仪
GB2530397A (en) Respiratory therapy devices
US20220168525A1 (en) Luminous respiratory ventilation device
TW202217848A (zh) 與樂器一起使用的壓力測量裝置
JP2005027879A (ja) 排痰装置
JP5969530B2 (ja) 酸素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