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093B1 - Portable apparatus for discharging expectoration - Google Patents
Portable apparatus for discharging expecto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7093B1 KR101907093B1 KR1020180056828A KR20180056828A KR101907093B1 KR 101907093 B1 KR101907093 B1 KR 101907093B1 KR 1020180056828 A KR1020180056828 A KR 1020180056828A KR 20180056828 A KR20180056828 A KR 20180056828A KR 101907093 B1 KR101907093 B1 KR 1019070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vibration
- exhalation
- breathing
- vibration gener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08000024794 sputum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10000000621 bronchi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61M1/008—
-
- A61M1/0094—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8—Draining devices having means for processing the drained fluid, e.g. an absorb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6—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means for creating vibrations in patients' airwa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solid matter, e.g. microaggreg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기시 진동을 체내에 전달하여 체내에 부착된 객담으로 체외로 배출시키는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기에 의한 진동의 세기를 환자에 맞게 조절 가능하여 객담을 효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구강을 통해 호기가 유입되는 호기유입부; 상기 호기유입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호기를 통과시켜 배출하는 호기통과부;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호기의 압력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구강 내로 전달하는 진동발생부; 및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서 상기 진동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putum discharging device for delivering vibrations in the body to the body through sputum attached to the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sputum discharg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intensity of vibration by an exhalation to a patient, To a portable sputum discharg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hthalmic device comprising: an exhalation inlet through which an exhalation is introduced through an oral cavity; An exhalation passage provided at an end of the exhalation unit and passing through the exhalation unit; A vibration generat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breathing unit and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breathing unit and delivering the vibration to the mouth cavity; And a filter unit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inside the breathing unit to block external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breath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관, 기관지 및 폐에 부착된 객담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putum discharging device for discharging sputum attached to an organ, bronchus and lung to the outside of the body.
일반적으로 객담 배출기기는 호기시 진동을 발생시켜 체내로 전달하여 기관, 기관지 및 폐에 부착된 객담을 분리시켜 호기와 함께 채외로 배출하도록 하는 의료기기이다. Generally, a sputum discharging device is a medical device that generates vibration during breathing and transfers it to the inside of the body to separate the sputum attached to the bronchus, bronchus and lungs, and to discharge the breath with the breath.
이러한 객담 배출기기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환자가 입에 물고 호기를 내뿜는 마우스와,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호기의 유입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sputum discharging device includes a body, a mous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the mouth of which is filled with the patient's mouth, and a vibrating means provided inside the body for generating vibration in response to inflow of the breath.
즉, 환자가 마우스를 입에 물고 몸체 내부로 향하여 호기를 일정시간 동안 강하게 내뿜으면 된다. 그러면 호기가 몸체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진동수단에서 진동이 발생하고 발생된 진동이 체내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기관, 기관지 및 폐에 부착된 객담을 분리시켜 호기와 함께 체외로 배출된다. In other words, the patient may spray the mouth with the mouth and head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for a certain time. Then, vibration occurs in the vibration means due to the pressure generated as the breath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and the generated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body as it is, and the sputum attached to the bronchus, bronchus and lung is separated and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breath.
그러나 종래의 객담 배출기기는 진동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에 대한 진폭 조절이 불가능하여 환자마다 다른 호기량이나 객담양에 대응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그리고 마우스와 몸체 및 진동수단이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비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putum discharging device has structural limitations in that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amplitude with respect to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means, so that it can not cope with different amounts of breathing or sputum for each patient. And the mouse, the body, and the vibrating means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y are unsanitary and can not be used cleanl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진동을 환자에게 적합하게 조절하여 객담을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간편하게 세척 가능하게 구성부 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sputum exhausting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discharging sputum by suitably adjusting vibration to a patient, The purpose of the devic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는 구강을 통해 호기가 유입되는 호기유입부; 상기 호기유입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호기를 통과시켜 배출하는 호기통과부;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호기의 압력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구강 내로 전달하는 진동발생부; 및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서 상기 진동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sputum discharging device comprising: a breathing unit including a mouthpiece through which a breathing air flows; An exhalation passage provided at an end of the exhalation unit and passing through the exhalation unit; A vibration generat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breathing unit and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breathing unit and delivering the vibration to the mouth cavity; And a filter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inside the breathing unit to block external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breathing unit.
상기 호기유입부는 상기 구강 내로 삽입되는 구강삽입구; 및 상기 구강삽입구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호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전방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되는 호기유도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mouthpiece has a mouthpiec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an air induction pipe detach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mouth insertion port and having a bent portion bent upward from the front to guide the air supply unit upward.
상기 호기통과부는 상기 호기유입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통과관; 상기 하부통과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통과관; 및 상기 상부통과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호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호기배출공이 형성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lower pass pipe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breath inlet; An upper pass pipe detach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lower pass pipe; And a cover detach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upper pass pipe and having a vent outlet hole through which the ve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에 상기 호기가 통과하는 개폐공이 형성되고 외측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안착시트; 및 상기 개폐공을 막도록 상기 안착시트의 중심에 안착되어 상기 호기의 압력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개폐공을 반복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comprises: a seating seat installed inside the breathing unit and having an opening / closing hole through which the breathing unit passes, and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 the center; And a vibration generating ball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seat so as to cover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and repeated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while raising and lower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exhalation machine to generate the vibration.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서 상기 진동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발생부에 발생하는 상기 진동의 세기를 조절하는 진동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vibration adjusting unit installed on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inside the breathing unit to adjust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상기 진동조절부는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서 상기 안착시트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진동발생볼을 내포하며 상기 호기가 통과하는 호기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나사공이 중심에 형성된 지지판이 구비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승강조절볼트; 상기 승강조절볼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조절볼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 및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의 외측 가장자리단이 삽입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구를 회전시켜 상기 진동발생볼과 상기 승강조절볼트의 간격을 조절하는 회전유도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vibration control unit includes a support plate that is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sheet inside the breathing unit and includes a vibration hole, A lifting / lowering bol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and screwed to the screw hole; A rotation hol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lifting / lowering bolt for rotating the lifting / lowering bolt; And a rotation guide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and having an outer edge of the rotation hole inserted therein to rotate the rotation hole according to a rotation operation of the cover to adjust an interval between the vibration generating ball and the lift control bolt .
상기 지지체의 하단 외주면에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통과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위치고정홈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 조작시 상기 지지체는 고정되고 상기 승강조절볼트와 상기 회전구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osition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e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and a position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ass pi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position fixing groove such that the support is fixed when the cover is rotated, And the sphere is rotated.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진동조절부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호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세기를 환자에게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객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각 구성부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됨에 따라 간편하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Since the vibration control unit is provided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vibration intensity generated by the breathing apparatus to the patient, so that the sputum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and the respective components can be detachably assembled,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that can be used hygienically and clean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sputum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sputum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portable sputum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환자의 호기를 통해 기관과 기관지 및 폐에 부착된 객담을 체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putum discharging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sputum attached to an organ, a bronchus and a lung through an exhalation of a patient to the outside of the body.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는 호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객담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분해 조립 구조가 적용되어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Particularly, the portable sputum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intensity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exhalation, so that the sputum can be easily discharged and the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structure can be applied, so that it can be used hygienically and clean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portable sputum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는 환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여 입으로 문 상태에서 구강을 통해 호기를 강하게 내뿜도록 유도한 것으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기유입부(100)와 호기통과부(200)와 진동발생부(300)와 진동조절부(400) 및 필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ortable sputum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the patient to grasp with one hand and emit a strong air through the mouth in the state of the mouth and mouth. As shown in FIGS. 1 to 3, 100, a
먼저, 상기 호기유입부(100)는 구강에 삽입되어 환자의 호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구성이다. First, the
이를 위해 호기유입부(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에 삽입되는 구강삽입구(110)와, 구강삽입구(110)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호기가 유입되는 호기유도관(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1 to 3, a mouth opening 110 to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 breathing guide pipe (not shown) detach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mouth opening 110, 120).
한편, 구강삽입구(110)는 입으로 쉽게 물을 수 있도록 좌우 너비가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길어 좌우로 납작한 마우스(111)와, 마우스(111)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직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축경관(112)과, 축경관(112)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호기유도관(120)은 연결관(113)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고 중간에 전방에서 상방으로 휘어진 절곡부(121)가 형성되어 구강삽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호기를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The
다음으로, 상기 호기통과부(200)는 호기유입부(100)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호기유입부(100)를 통해 유입되어 상방으로 안내된 호기를 내부로 통과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Next, the
즉, 호기통과부(200)는 호기유입부(100)를 통해 상방으로 안내된 호기가 안내 방향을 유지하면서 그대로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That is, the
이를 위해 호기통과부(2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기유도관(120)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하부통과관(210)과, 하부통과관(210)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상부통과관(220)과, 상부통과관(220)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230)로 구성될 수 있다. 1 to 3, a
상기 하부통과관(210)과 상부통과관(220)은 호기가 통과하도록 호기통과공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pass pipe (210) and the upper pass pipe (220) can be formed so that a vent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ass the breath.
상기 하부통과관(210)의 단부에는 외경이 상부통과관(220)의 내경과 대응되어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는 삽입플랜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플랜지(211)의 외주면에는 분리방지홈(212)이 형성되고, 상부통과관(220)의 내주면에는 분리방지홈(212)에 삽입 걸림되는 분리방지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An
즉, 하부통과관(210)과 상부통과관(220)은 삽입플랜지(211)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분리방지홈(212)과 분리방지돌기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상기 커버(230)는 하부통과관(210)과 상부통과관(220)을 통과한 호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호기통과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고 상부통과관(220) 상에서 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복수 개의 호기배출공(23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이때 커버(230)는 상부통과관(22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는 커버(230)의 내주면을 따라 하단으로 연장 형성된 삽입단(232)과, 삽입단(232)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턱(233)과, 상부통과관(2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커버(230)가 걸림턱(233)에 의해 상부통과관(220)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턱(233)이 넘어가 걸리는 단턱(221)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The
다음으로, 상기 진동발생부(300)는 호기통과부(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호기의 압력에 따라 개폐를 반복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Next, the vibration generating
즉, 진동발생부(300)는 호기통과부(200)의 내부를 따라 통과하는 호기의 흐름을 호기의 압력변화에 의해 반복적으로 단속하고 단속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통해 기관과 기관지 및 폐에 부착된 객담을 분리시켜 체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vibration generating
이를 위해 진동발생부(3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통과관(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에 호기가 통과하는 개폐공(311)이 형성되며 외측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의 안착시트(310)와, 개폐공(311)을 차단하도록 안착시트(310)의 상부 중심에 안착되는 진동발생볼(320)로 구성될 수 있다. 1 to 3, the vibration generating
즉, 진동발생볼(320)은 자체 무게와 안착시트(310)의 형상에 의해 안착시트(310)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폐공(311)을 차단한 상태에서 호기가 호기통과부(200)의 내부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압력변화에 따라 반복적으로 승강 운동하면서 개폐공(311)을 반복적으로 개폐시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따라서 진동발생볼(32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체내로 전달되어 기관과 기관지 및 폐를 진동시킴으로써 기관과 기관지 및 폐에 부착된 객담이 체외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다음으로, 상기 진동조절부(400)는 호기통과부(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진동발생볼(320)의 승강 운동 높이를 조절하여 진동발생부(300)에서 발생하여 체내로 전달되는 진동 세기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The
이를 위해 진동조절부(4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410)와 승강조절볼트(420)와 회전구(430) 및 회전유도홈(4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지지체(410)는 안착시트(310)의 상부에 안착되고 진동발생볼(320)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부에서 이격공간을 두고 감싸며 호기가 통과하는 호기공(411)이 형성되고 상단에 나사공(413)이 중심에 형성된 지지판(412)이 구비될 수 있다. The supporting
상기 승강조절볼트(420)는 지지판(412)의 나사공(413)에 나사 결합되어 지지체(410)의 상부에서 단부가 지지체(410)의 내부로 관통하도록 높이 조절되면서 진동발생볼(320)의 승강 운동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The
상기 회전구(430)는 승강조절볼트(42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회전날개(431)가 일정간격으로 두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승강조절볼트(4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상기 회전유도홈(440)은 회전날개(431)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커버(230)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커버(230)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전구(430)를 회전시켜 진동발생볼(320)의 승강 운동 높이를 결정하는 진동발생볼(320)과 승강조절볼트(42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The
이때 회전구(430)와 승강조절볼트(420)가 회전될 때는 지지체(410)가 회전되지 않아야 승강조절볼트(4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이를 위해 지지체(410)의 하단 외주면에는 위치고정홈(41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하부통과관(210)의 내주면에는 위치고정홈(414)에 삽입되어 지지체(410)의 회전을 막는 위치고정돌기(21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
따라서 커버(230)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전구(430)와 승강조절볼트(420)가 회전될 때 지지체(410)는 위치고정홈(414)과 위치고정돌기(213)의 작용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이때 커버(230)의 외주면에는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마찰력 증대를 위한 파지홈(23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마지막으로, 상기 필터부(500)는 호기통과부(2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진동발생부(300)의 상부에 위치되어 호기에 포함된 객담 등을 포함한 분비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필터링하는 구성이다. Finally, the
이를 위해 필터부(500)는 상부통과관(220)의 내경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필터공(51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500)는 상부통과관(22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설치된 상태에서는 회전되지 않고 위치 고정되도록 외주면에 커버(230)의 회전유도홈(440)에 삽입되는 멈춤돌기(52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above embodiments but also various other modifi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00: 호기유입부
110: 구강삽입구
111: 마우스
112: 축경관
113: 연결관
120: 호기유도관
121: 절곡부
200: 호기통과부
210: 하부통과관
211: 삽입플랜지
212: 분리방지홈
213: 위치고정돌기
220: 상부통과관
221: 단턱
230: 커버
231: 호기배출공
232: 삽입단
233: 걸림턱
234: 파지홈
300: 진동발생부
310: 안착시트
311: 개폐공
320: 진동발생볼
400: 진동조절부
410: 지지체
411: 호기공
412: 지지판
413: 나사공
414: 위치고정홈
420: 승강조절볼트
430: 회전구
431: 회전날개
440: 회전유도홈
500: 필터부
510: 필터공
520: 멈춤돌기100:
110: mouth mouth
111: Mouse
112: Axis officer
113: Connector
120: Exhalation tube
121:
200:
210: Lower pass pipe
211: Insert flange
212: separation preventing groove
213: Position fixing projection
220: upper pass pipe
221: step
230: cover
231: Exhaust vent
232: insertion end
233:
234:
300:
310: seat sheet
311: opening and closing ball
320: Vibrating Ball
400:
410: Support
411:
412: Support plate
413:
414: Position fixing groove
420: lift adjusting bolt
430:
431:
440:
500:
510: Filter Ball
520: detent projection
Claims (7)
상기 호기유입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호기를 통과시켜 배출하는 호기통과부;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호기의 압력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구강 내로 전달하는 진동발생부; 및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서 상기 진동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에 상기 호기가 통과하는 개폐공이 형성되고 외측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안착시트; 및
상기 개폐공을 막도록 상기 안착시트의 중심에 안착되어 상기 호기의 압력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개폐공을 반복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An exhalation inlet through which the exhalation flows into the oral cavity;
An exhalation passage provided at an end of the exhalation unit and passing through the exhalation unit;
A vibration generat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breathing unit and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breathing unit and delivering the vibration to the mouth cavity; And
And a filter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inside the breathing unit to block external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breathing unit,
The vibration generator
A seating seat provided inside the breathing unit and having an opening / closing hole through which the breathing unit passes, and being inclined downward from an outer side to a center; And
And a vibration generating ball mounted on a center of the seat so as to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the vibration generating ball being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a pressure of the exhalation machine repeated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to generate the vibration. .
상기 호기유입부는
상기 구강 내로 삽입되는 구강삽입구; 및
상기 구강삽입구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호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전방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되는 호기유도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halation inlet
A mouth insertion port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And an air induction pipe detach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mouth opening and having a bend bent upward from the front so as to guide the air supply unit upward.
상기 호기통과부는
상기 호기유입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통과관;
상기 하부통과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통과관; 및
상기 상부통과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호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호기배출공이 형성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passage
A lower pass pipe detach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exhalation inlet;
An upper pass pipe detach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lower pass pipe; And
And a cover detach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upper pass pipe and formed with a vent outlet hole through which the ve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서 상기 진동발생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발생부에 발생하는 상기 진동의 세기를 조절하는 진동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The method of claim 3,
And a vibration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inside the breathing unit to adjust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상기 진동조절부는
상기 호기통과부의 내부에서 상기 안착시트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진동발생볼을 내포하며 상기 호기가 통과하는 호기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나사공이 중심에 형성된 지지판이 구비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승강조절볼트;
상기 승강조절볼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조절볼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 및
상기 커버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의 외측 가장자리단이 삽입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구를 회전시켜 상기 진동발생볼과 상기 승강조절볼트의 간격을 조절하는 회전유도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6. The method of claim 5,
The vibration control unit
A supporter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sheet in the passage passing portion, the supporting plate including a vibration generating ball and forming a cavity through which the breathing passage passes and having a screw hole at the center thereof;
A lifting / lowering bol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and screwed to the screw hole;
A rotation hol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lifting / lowering bolt for rotating the lifting / lowering bolt; And
And a rotation induc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and having an outer edge of the rotary shaft inserted therein to rotate the rotary shaft in accordance with a rotation operation of the cover to adjust an interval between the vibration generating ball and the lift control bolt Wherein the sputum discharging device is a portable sputum discharging device.
상기 지지체의 하단 외주면에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통과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위치고정홈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 조작시 상기 지지체는 고정되고 상기 승강조절볼트와 상기 회전구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객담 배출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 position fixing groove is formed
A position fixing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the position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ass pipe
Wherein the support is fixed when the cover is rotated, and the lift adjusting bolt and the rotary shaft are rotate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828A KR101907093B1 (en) | 2018-05-18 | 2018-05-18 | Portable apparatus for discharging expectoration |
CN201910405696.9A CN110496281A (en) | 2018-05-18 | 2019-05-16 | Portable sputum ej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828A KR101907093B1 (en) | 2018-05-18 | 2018-05-18 | Portable apparatus for discharging expector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7093B1 true KR101907093B1 (en) | 2018-10-11 |
Family
ID=6386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68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907093B1 (en) | 2018-05-18 | 2018-05-18 | Portable apparatus for discharging expectoration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7093B1 (en) |
CN (1) | CN110496281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05985A (en) * | 2019-04-11 | 2019-05-28 | 吉林大学 | A respiratory sputum scab remover |
CN115154786A (en) * | 2022-07-23 | 2022-10-11 | 江苏摩技医疗科技有限公司 | A vibrating percussion type phlegm remover with atomization effect and using method thereof |
KR20230018714A (en) | 2021-07-30 | 2023-02-07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that stimulates bronchi by generating microshock waves |
KR20230086862A (en) | 2021-12-08 | 2023-06-16 | 이상복 | Portable device that stimulate epithelial cells of respiratory tract |
KR20230111826A (en) | 2022-01-19 | 2023-07-26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for stimulating a respiratory system equipped with a rotating body that generates shock waves |
CN117122758A (en) * | 2023-10-26 | 2023-11-28 | 山东威阳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 Electric sputum excretion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21278B (en) * | 2020-10-28 | 2024-04-26 | 东莞永昇医疗科技有限公司 | Humidification tank and respiratory treatment equipment |
CN116570802B (en) * | 2023-05-31 | 2023-10-13 | 苏州邦伊医疗科技有限公司 | Nose-dredging therapeutic apparatu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09252A (en) | 2003-01-03 | 2004-07-29 | Dhd Healthcare Corp | Oscillatory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respiratory therapy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nducting oscillatory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respiratory therapy |
JP2013516265A (en) | 2010-01-07 | 2013-05-13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Respiratory medication delivery device including feedback and compliance device |
JP2014518744A (en) * | 2011-06-06 | 2014-08-07 | トルーデル メディカ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vibration device |
KR101459332B1 (en) * | 2014-08-19 | 2014-11-07 | (주)서일퍼시픽 | Portable cough stimulating device using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29945U (en) * | 2006-12-22 | 2007-03-08 | 太平洋醫材股▲ふん▼有限公司 | Lottery tube filtration structure |
US8485179B1 (en) * | 2009-02-23 | 2013-07-16 |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
CN203842080U (en) * | 2014-04-28 | 2014-09-24 | 谢正敏 | Dual-purpose blowing and sucking phlegm eliminating device |
TWM485042U (en) * | 2014-05-23 | 2014-09-01 | Besmed Health Business Corp | Breathing expectoration assist device |
-
2018
- 2018-05-18 KR KR1020180056828A patent/KR10190709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9
- 2019-05-16 CN CN201910405696.9A patent/CN110496281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09252A (en) | 2003-01-03 | 2004-07-29 | Dhd Healthcare Corp | Oscillatory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respiratory therapy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nducting oscillatory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respiratory therapy |
JP2013516265A (en) | 2010-01-07 | 2013-05-13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Respiratory medication delivery device including feedback and compliance device |
JP2014518744A (en) * | 2011-06-06 | 2014-08-07 | トルーデル メディカ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vibration device |
KR101459332B1 (en) * | 2014-08-19 | 2014-11-07 | (주)서일퍼시픽 | Portable cough stimulating device using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05985A (en) * | 2019-04-11 | 2019-05-28 | 吉林大学 | A respiratory sputum scab remover |
CN109805985B (en) * | 2019-04-11 | 2024-01-23 | 吉林大学 | Respiratory tract sputum scab remover |
KR20230018714A (en) | 2021-07-30 | 2023-02-07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that stimulates bronchi by generating microshock waves |
KR102619801B1 (en) | 2021-07-30 | 2023-12-29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that stimulates bronchi by generating microshock waves |
KR20230086862A (en) | 2021-12-08 | 2023-06-16 | 이상복 | Portable device that stimulate epithelial cells of respiratory tract |
KR20230111826A (en) | 2022-01-19 | 2023-07-26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for stimulating a respiratory system equipped with a rotating body that generates shock waves |
KR102666517B1 (en) | 2022-01-19 | 2024-05-14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for stimulating a respiratory system equipped with a rotating body that generates shock waves |
CN115154786A (en) * | 2022-07-23 | 2022-10-11 | 江苏摩技医疗科技有限公司 | A vibrating percussion type phlegm remover with atomization effect and using method thereof |
CN115154786B (en) * | 2022-07-23 | 2024-04-26 | 江苏摩技医疗科技有限公司 | A vibrating percussion type expectorant with atomization effect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
CN117122758A (en) * | 2023-10-26 | 2023-11-28 | 山东威阳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 Electric sputum excretion device |
CN117122758B (en) * | 2023-10-26 | 2024-01-09 | 山东威阳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 Electric sputum excre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0496281A (en) | 2019-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7093B1 (en) | Portable apparatus for discharging expectoration | |
KR101907099B1 (en) | Portable apparatus for discharging expectoration with exhalation sensing function | |
KR102000660B1 (en) | Breathing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that combines chest wall vibration function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function | |
EP1435251B1 (en) |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with bypass | |
RU2020992C1 (en) | Exhalation resistance apparatus designed to improve ventilation of lungs | |
EP1103287B1 (en) |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 |
EP1464357B1 (en) |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 |
EP3218040B1 (en) | Respiratory therapy apparatus | |
US8267090B2 (en) | Therapeutic device | |
JP2008086768A (en) | Vibration pep medical treating system using medicinal aerosol forming atomizer | |
ES2994975T3 (en) | Respiratory therapy apparatus | |
JP2016533850A (en) | Respiratory therapy device and method | |
TWI808498B (en) | Device for pulmonary rehabilitation | |
JPWO2019235423A1 (en) | Blower, fluid control device | |
CN107614041A (en) | Exhaled positive pressure device with oscillator valve | |
US8066001B2 (en) | Therapeutic device | |
JP2016515416A (en) | Treatment device for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 |
KR20210001099U (en) | Manual Chest Wall Vibrator | |
TWI779663B (en) |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 |
CN108325177B (en) | Respiration rehabilitation training instrument | |
GB2530397A (en) | Respiratory therapy devices | |
JP2005027879A (en) | Bronchial drainage apparatus | |
KR101784924B1 (en) | Plural oxygen nozzle type oxygen generator | |
CN118526682A (en) | Sputum excretion instru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