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6584B1 - 한쌍의 커넥터 - Google Patents

한쌍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584B1
KR101906584B1 KR1020177019845A KR20177019845A KR101906584B1 KR 101906584 B1 KR101906584 B1 KR 101906584B1 KR 1020177019845 A KR1020177019845 A KR 1020177019845A KR 20177019845 A KR20177019845 A KR 20177019845A KR 101906584 B1 KR101906584 B1 KR 101906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frigerant
connectors
hole
flow p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7140A (ko
Inventor
석환 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70097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5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8Vehicle drive related control of the compressor drive means, e.g. for fuel sav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3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placed around the spigot end befor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16L21/04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the members passing through the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한쌍의 커넥터는 제 1 커넥터(36), 및 제 1 커넥터에 조립되는 제 2 커넥터(41)를 구비한다. 제 1 커넥터는 제 2 커넥터와 접촉하는 제 1 조립면(51)을 가진다. 제 2 커넥터는 제 1 조립면과 접촉하는 제 2 조립면(61)을 가진다. 또한, 제 1 커넥터는 제 2 커넥터와의 조립상태에서, 제 2 조립면보다도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는 제 1 튀어나옴부(71), 및 제 1 튀어나옴부로부터 제 1 조립면의 위치(P1)보다도 제 2 커넥터측으로 돌출해 있는 제 1 돌출부(72)를 가진다. 제 2 커넥터는 제 1 커넥터와의 조립상태에서, 제 1 조립면보다도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는 제 2 튀어나옴부(81), 및 제 2 튀어나옴부로부터 제 2 조립면의 위치(P2)보다도 제 1 커넥터측으로 돌출해 있는 제 2 돌출부(82)를 가진다.

Description

한쌍의 커넥터{PAIR OF CONNECTORS}
본 출원은 2015년 7월 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제2015―132891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이 참조에 의해 편입된다.
본 개시는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품들을 접속하는 유로 형성부품용의 한쌍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유로 형성부품용의 커넥터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차량용의 냉동사이클장치에 적용되는 냉매배관용의 커넥터이다.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하기와 같이, 이종(異種)의 커넥터들의 잘못된 조립을 방지하는 것이다.
냉동사이클장치에 이용되는 냉매의 종류를 변경하는 경우, 냉동사이클장치의 각각의 구성부품은 변경이 불필요하지만, 냉동사이클의 각각의 구성부품을 연결하는 냉매배관의 적어도 일부는 변경이 필요하다. '냉매배관의 적어도 일부'란 냉매배관 중, 냉매 주입용 밸브가 설치된 부분이다. 이 때문에, 차체 상에서 냉동사이클장치를 조립하는 조립라인에 있어서, 작업자는 냉동사이클장치에 이용되는 냉매에 따라 전용의 냉매배관을 선택하여, 선택한 냉매배관을 각각의 구성부품에 조립한다. 이때, 제 1 냉매를 이용하는 냉동사이클장치의 조립에 있어서, 작업자가 제 1 냉매와는 다른 냉매인 제 2 냉매용의 냉매배관을 잘못하여 조립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서는 다음 구조의 커넥터를 채용하고 있다.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에 있어서, 한쪽의 커넥터의 조립면에 제 1 돌기부를 설치하고, 다른쪽의 커넥터의 조립면에 제 2 돌기부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한쪽의 커넥터의 조립면에 제 2 돌기부용의 받침구멍을 설치하고, 다른쪽의 커넥터의 조립면에 제 1 돌기부용의 받침구멍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의 조립면'이란 한쌍의 커넥터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대측의 커넥터와 접하는 면이다.
한편, 제 2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양쪽의 커넥터의 조립면을 평탄면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일 종류의 냉매용의 커넥터들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이종의 냉매용의 커넥터들의 조립을 불가능하게 하여, 냉매배관의 잘못된 조립의 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커넥터에 따르면, 제 1 냉매용의 커넥터에 대해서만, 기존의 커넥터에 대하여 설계 변경이나 가공 추가를 하면 좋고, 제 2 냉매용의 커넥터에 대해서는, 기존의 커넥터에 대하여 설계 변경이나 추가 가공이 불필요하다.
특허문헌 1: 한국 특허출원 공개 제10―2013―0019149호 명세서
상기한 종래기술의 커넥터에 따르면, 냉동사이클장치의 조립 시에, 한쌍의 커넥터의 한쪽에 연결되는 유로 형성부품의 잘못된 조립을 방지할 수 있지만, 하기와 같이, 한쌍의 커넥터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유로 형성부품의 잘못된 조립까지는 막을 수 없다.
즉, 상기한 종래기술의 커넥터에서는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의 각각의 조립면에 돌기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들을 조립한 상태에서는 돌기부는 시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와 제 2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가 같은 외형인 경우, 조립상태의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와 조립상태의 제 2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는 분별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제 1 냉매용의 냉동사이클장치의 조립 시에, 작업원이 제 2 냉매용의 구성부품과 제 2 냉매용의 냉매배관을 잘못하여 선택한 경우, 제 2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들이 함께 조립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냉매용의 구성부품과 제 2 냉매용의 냉매배관이 조립되어 버린다. 이 경우, 조립 후의 한쌍의 커넥터가 제 1 냉매용의 것인지 제 2 냉매용의 것인지를 작업원이 육안으로 판단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상기한 종래기술의 커넥터에서는 제 1 냉매용의 냉동사이클장치의 조립 시에, 제 2 냉매용의 구성부품과 제 2 냉매용의 냉매배관의 잘못된 조립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는 냉동사이클장치의 조립 시에 한정되지 않고,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품들의 조립 시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본 개시는 한쌍의 커넥터의 한쪽에 연결되는 유로 형성부품의 잘못된 조립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한쌍의 커넥터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유로 형성부품의 잘못된 조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한쌍의 커넥터는,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유로 형성부재에 설치되는 제 1 커넥터; 및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유로 형성부재에 설치되어, 제 1 커넥터에 조립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 1 커넥터는 제 2 커넥터와의 조립상태에서, 제 2 커넥터와 접촉하는 제 1 조립면을 가지며; 제 1 조립면에는 제 1 유로용 관통구멍과 제 1 체결용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제 2 커넥터는 제 1 커넥터와의 조립상태에서, 제 1 조립면과 접촉하는 제 2 조립면을 가지며; 제 2 조립면에는 제 1 커넥터와의 조립상태에서, 제 2 유로용 관통구멍이 제 1 유로용 관통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제 2 체결용 관통구멍이 제 1 체결용 관통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조립상태에서, 제 1 체결용 관통구멍과 제 2 체결용 관통구멍에 체결부재가 삽입되고, 또한 제 1 유로용 관통구멍 내와 제 2 유로용 관통구멍 내를 지나서 제 1 유로 형성부재와 제 2 유로 형성부재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유체가 흐르게 되어 있고; 제 1 커넥터는 제 2 커넥터와의 조립상태에서, 제 2 조립면보다도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는 제 1 튀어나옴부와, 제 1 튀어나옴부로부터 제 1 조립면의 위치보다도 제 2 커넥터측으로 돌출해 있는 제 1 돌출부를 더 가지며; 제 2 커넥터는 제 1 커넥터와의 조립상태에서, 제 1 조립면보다도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는 제 2 튀어나옴부와, 제 2 튀어나옴부로부터 제 2 조립면의 위치보다도 제 1 커넥터측으로 돌출해 있는 제 2 돌출부를 가진다.
본 개시의 제 1, 제 2 커넥터의 조립 시에는, 제 1 돌출부는 제 2 조립면에 닿지 않고, 제 2 돌출부는 제 1 조립면에 닿지 않기 때문에, 본 개시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함께 조립된다. 한편, 본 개시의 제 1 커넥터와, 본 개시의 제 2 커넥터와는 다른 제 2 커넥터로서 제 1 돌출부가 제 2 조립면에 닿는 제 2 커넥터는 조립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본 개시의 제 2 커넥터와, 본 개시의 제 1 커넥터와는 다른 커넥터로서 제 2 돌출부가 제 1 조립면에 닿는 제 1 커넥터는 조립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부적절한 조합의 커넥터들의 잘못된 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유로 형성부재와 제 2 유로 형성부재의 한쪽의 잘못된 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조립상태에서는, 제 1 돌출부는 제 2 커넥터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 2 돌출부는 제 1 커넥터의 외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조립 후에도 제 1 및 제 2 돌출부는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조립 후에, 제 1 및 제 2 돌출부의 유무를 작업원이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양쪽의 사용이 적절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르면, 한쌍의 커넥터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유로 형성부품의 잘못된 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냉동사이클장치가 차량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응축기를 차량 후방에서 본 응축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 중의 응축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냉매배관과의 접속상태에 있어서의 도 1에서의 응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냉매배관과의 접속 전에 있어서의 도 1에서의 응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ⅩⅢ―ⅩⅢ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ⅩⅣ―ⅩⅣ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2 냉매용의 제 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2 냉매용의 제 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2 냉매용의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2 냉매용의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의 조립면과 제 2 냉매용의 제 2 커넥터의 조립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의 조립면과 제 2 냉매용의 제 2 커넥터의 조립면을 대향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의 조립면과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의 조립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4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의 조립면과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의 조립면을 대향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5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가 엔진룸 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6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1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2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의 조립면과 제 2 냉매용의 제 2 커넥터의 조립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3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의 조립면과 제 2 냉매용의 제 2 커넥터의 조립면을 대향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4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의 조립면과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의 조립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5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의 조립면과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의 조립면을 대향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형태 상호에 있어서, 서로 동일 또는 균등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냉동사이클장치에 있어서, 응축기로부터 연장되는 입구배관 및 출구배관과, 그것과는 별개체의 냉매배관을 접속하는 한쌍의 커넥터에 본 개시의 한쌍의 커넥터를 적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사이클장치(10)는 압축기(11), 응축기(12), 팽창밸브(13), 증발기(14), 및 이들의 구성부품들을 접속하는 냉매배관(15)을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11)는 흡입한 저압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 냉매를 토출한다. 응축기(12)는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고압 냉매를 방열시켜서 응축시키는 방열용의 열교환기, 즉, 방열기이다. 팽창밸브(13)는 응축기(12)로부터 유출된 냉매를 감압시켜서 팽창시키는 감압장치이다. 증발기(14)는 실내 송풍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팽창밸브(13)로부터 유출된 냉매를 흡열시켜서 증발시키는 흡열용의 열교환기이다.
압축기(11)와 응축기(12)는 차량 주행용의 엔진(20)이 수용되는 차량의 엔진룸(21)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기(11)는 엔진(20)의 옆에 배치되어 있다. 응축기(12)는 엔진룸(21)에서, 차량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팽창밸브(13)와 증발기(14)는 차실(22) 내에 배치되는 실내공조유닛(23)에 포함되어 있다.
냉매배관(15)은 응축기(12)의 냉매 입구측과 압축기(11)의 냉매 토출구측을 접속하는 냉매배관(15a), 응축기(12)의 냉매 출구측과 팽창밸브(13)의 냉매 입구측을 접속하는 냉매배관(15b), 및 압축기(11)의 냉매 흡입구측과 증발기(14)의 냉매 출구측을 접속하는 냉매배관(15c)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매배관(15b)의 일부와 냉매배관(15c)의 일부가 내관과 외관을 가지는 일체의 냉매배관(15d), 즉, 내부열교환기(15d)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기(12)는 열교환코어부(31)와, 한쌍의 헤더탱크(32, 33)를 구비하고 있다. 열교환코어부(31)는 냉매가 흐르는 복수개의 튜브(도시하지 않음)가 적층된 것이다. 복수개의 튜브는 차량 좌우방향으로 연신해 있다. 한쌍의 헤더탱크(32, 33)는 열교환코어부(31)의 차량 좌우방향에서의 양옆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개의 튜브의 양단부에 연통해 있다.
또한, 응축기(12)는 헤더탱크(32)에 설치된 입구배관(34)과 출구배관(35)을 구비하고 있다. 입구배관(34)은 응축기(12)의 냉매 입구에 연결되는 배관이다. 입구배관(34)으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응축기(12)의 내부를 흐른다. 출구배관(35)은 응축기(12)의 냉매 출구에 연결되는 배관이다. 응축기(12)이 내부를 흐른 냉매가 출구배관(35)으로부터 유출된다. 입구배관(34)과 출구배관(35)은 모두 헤더탱크(32)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입구배관(34)의 단부에는 입구배관측 커넥터(36)가 설치되고, 출구배관(35)의 단부에는 출구배관측 커넥터(37)가 설치되어 있다. 입구배관측 커넥터(36)와 출구배관측 커넥터(37)는 서로 이웃하게 되어, 헤더탱크(32)의 상단부의 옆에 배치되어 있다. 입구배관측 커넥터(36)와 출구배관측 커넥터(37)는 응축기(12)에 부착된 지지부재(38)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입구배관(34)과 입구배관측 커넥터(36)는 납땜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출구배관(35)과 출구배관측 커넥터(37)는 납땜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입구배관(34) 및 출구배관(35)은 각각 커넥터(39a, 39b)를 통하여 응축기(12)에 고정되어 있다. 입구배관(34), 입구배관측 커넥터(36), 출구배관(35), 출구배관측 커넥터(37)는 차체로의 조립 전의 상태에서 응축기(12)와 일체화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배관(34)에 접속되는 냉매배관(15a)은, 그 단부에 냉매배관측 커넥터(41)가 설치되어 있다. 입구배관측 커넥터(36)와 냉매배관측 커넥터(41)가 조립됨으로써, 입구배관(34)과 냉매배관(15a)이 접속된다. 따라서, 입구배관측 커넥터(36)와 냉매배관측 커넥터(41)가 한쌍의 커넥터를 구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출구배관(35)에 접속되는 냉매배관(15b)은, 그 단부에 냉매배관측 커넥터(42)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배관측 커넥터(37)와 냉매배관측 커넥터(42)가 조립됨으로써, 출구배관(35)과 냉매배관(15b)이 접속된다. 따라서, 출구배관측 커넥터(37)와 냉매배관측 커넥터(42)가 한쌍의 커넥터를 구성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배관(15a, 15c)에는 각각 챠지밸브(43, 44)가 설치되어 있다. 챠지밸브(43, 44)는 냉매 주입용의 밸브이다. 챠지밸브(43, 44)는 냉매배관(15a, 15c)의 냉매 주입구에 접합되어 있고, 냉매배관(15a, 15c)과 일체로 되어 있다. 챠지밸브(43, 44)는 냉매의 종류에 따라서 형상이 달라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냉동사이클장치(10)는 냉매로서 제 1 냉매로서의 R1234yf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냉매배관(15a, 15c)은 각각 제 1 냉매용의 챠지밸브(43, 44)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냉매배관(15)은 제 1 냉매 전용의 냉매배관이다. 입구배관측 커넥터(36) 및 냉매배관측 커넥터(41)는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이다. 또한, 출구배관측 커넥터(37) 및 냉매배관측 커넥터(42)도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이다.
다음에, 도 6∼도 14를 이용하여, 입구배관측 커넥터(36)와 냉매배관측 커넥터(41)의 한쌍의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입구배관측 커넥터(36)를 제 1 커넥터라 부르고, 냉매배관측 커넥터(41)를 제 2 커넥터라 부른다. 또한, 출구배관측 커넥터(37)와 냉매배관측 커넥터(41)에 대해서는, 각각 입구배관측 커넥터(36)와 냉매배관측 커넥터(4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이하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출구배관측 커넥터(37)가 제 1 커넥터에 대응하고, 냉매배관측 커넥터(42)가 제 2 커넥터에 대응한다.
제 1, 제 2 커넥터(36, 41)는 이른바 블록조인트라 불리는 것이다. 제 1, 제 2 커넥터(36, 41)는 모두 금속제의 블록체이고, 알루미늄계 등의 금속 재료를 이용한 다이캐스트법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36)는 일면(51), 그 반대측의 타면(52), 및 일면(51)과 타면(52)의 양쪽에 연결되는 측면(53)을 가지고 있다. 일면(51)과 타면(52)은 모두 평평한 면이다.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상태에서, 제 2 커넥터(41)측으로 되는 일면(51)이 조립면을 구성하고 있다. 조립면은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상태에서, 상대측의 커넥터와 대향하여 접촉하는 면이다. 이하에서는, 제 1 커넥터(36)의 조립면(51)을 '제 1 조립면(51)'이라 부른다.
제 1 조립면(51)에는 제 1 유로용 관통구멍(54)과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유로용 관통구멍(54)은 입구배관(34)이 연결되는 관통구멍이다.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은 체결부재로서의 나사(66)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고(도 12 참조), 내벽에 나사홈을 가지고 있다. 제 1 유로용 관통구멍(54)과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은 모두 제 1 조립면(51)과 타면(52)을 관통하고 있다. 제 1 유로용 관통구멍(54)의 축선과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의 축선은 모두 제 1 조립면(51)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또한, 제 1 조립면(51)에는 제조 시에 형틀 제거봉에 눌려서 발생한 2개의 오목부(56, 57)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41)는 일면(61), 그 반대측의 타면(62), 및 일면(61)과 타면(62)의 양쪽에 연결되는 측면(63)을 가지고 있다. 일면(61)과 타면(62)은 모두 평평한 면이다.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상태에서, 제 1 커넥터(36)측으로 되는 일면(61)이 조립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커넥터(41)의 조립면(61)을 '제 2 조립면(61)'이라 부른다.
제 2 조립면(61)에는 제 2 유로용 관통구멍(64)과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유로용 관통구멍(64)은 냉매배관(15a)이 연결되는 관통구멍이다.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은 나사(66)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고(도 12 참조), 내벽에 나사홈을 가지고 있다. 제 2 유로용 관통구멍(64) 및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은 모두 제 2 조립면(61)과 타면(62)을 관통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상태에서, 제 2 유로용 관통구멍(64)은 제 1 유로용 관통구멍(54)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은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조립면(51, 61)들이 접촉되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커넥터(36, 41)가 조립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유로용 관통구멍(54, 64)들이 연통되고, 또한 제 1, 제 2 체결용 관통구멍(55, 65)들이 연통된다. 이 연통된 상태의 제 1, 제 2 체결용 관통구멍(55, 65)에 나사(66)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 1, 제 2 커넥터(36, 41)들이 체결되어, 입구배관(34)과 냉매배관(15a)이 접속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구배관(34)의 단부의 위치가 제 1 조립면(51)의 위치와 같아지도록 제 1 유로용 관통구멍(54)에 입구배관(34)이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유로용 관통구멍(54)과 입구배관(34)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냉매배관(15a)이 제 2 조립면(61)보다도 돌출하도록 제 2 유로용 관통구멍(64)에 냉매배관(15a)이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유로용 관통구멍(64)과 냉매배관(15a)이 연결되어 있다.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상태에서는, 냉매배관(15a)의 단부가 입구배관(34)의 내측에 삽입되어, 입구배관(34)과 냉매배관(15a)이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제 1, 제 2 커넥터(36, 41)가 조립됨으로써, 제 1 유로용 관통구멍(54) 내와 제 2 유로용 관통구멍(64) 내를 지나서, 냉매배관(15a)으로부터 입구배관(34)으로 냉매가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출구배관측 커넥터(37)와 냉매배관측 커넥터(4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제 1, 제 2 커넥터(37, 42)가 조립됨으로써, 제 1 유로용 관통구멍(54) 내와 제 2 유로용 관통구멍(64) 내를 지나서, 출구배관(35)으로부터 냉매배관(15b)으로 냉매가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 1 커넥터(36)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튀어나옴부(71)와 제 1 돌출부(72)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의 제 2 커넥터(4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튀어나옴부(81)와 제 2 돌출부(82)를 가진다.
제 1 튀어나옴부(71)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36) 중, 조립상태의 제 1, 제 2 커넥터(36, 41)를 제 1, 제 2 체결용 관통구멍(55, 65)의 축선방향(DR3)에서 보아, 제 2 커넥터(41)의 제 2 조립면(61)으로부터 튀어나와 있는 부분이다. 다시 말하면, 제 1 튀어나옴부(71)는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상태에서, 제 1 커넥터(36) 중, 제 2 커넥터(41)의 제 2 조립면(61)보다도 제 1, 제 2 체결용 관통구멍(55, 65)의 축선방향(DR3)으로 수직인 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튀어나옴부(7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36) 중, 제 1 방향(DR1)에서의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7 중의 제 1 방향(DR1)은 제 1 유로용 관통구멍(54)과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의 늘어선 방향이고, 도 7 중의 제 2 방향(DR2)은 제 1 방향(DR1)으로 수직인 방향이다. 제 1 방향(DR1)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체결용 관통구멍(55, 65)의 중심(CL1)과 제 1, 제 2 유로용 관통구멍(54, 64)의 중심(CL2)을 직선형상으로 잇는 방향이다.
제 1 튀어나옴부(71)는 제 1 커넥터(36) 중, 제 1 조립면(51)을 가지는 부위로부터 제 1 방향(DR1)을 따르는 방향에서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튀어나와 있다. 따라서, 제 1 커넥터(36)는 제 1 방향(DR1)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돌출부(72)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튀어나옴부(71)로부터 제 1 조립면(51)의 위치(P1)보다도 제 2 커넥터(41)측으로 돌출해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제 1 돌출부(72)의 선단(72a)은 제 1, 제 2 체결용 관통구멍(55, 65)의 축선방향(DR3)에서 제 1 조립면(51)의 위치(P1)보다도 제 2 커넥터(41)측에 위치해 있다. 제 1 돌출부(72)는 제 1 튀어나옴부(7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출부(72)는 제 1 조립면(51)과 제 1 튀어나옴부(71)에 단차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2 튀어나옴부(81)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41) 중, 조립상태의 제 1, 제 2 커넥터(36, 41)를 제 1, 제 2 체결용 관통구멍(55, 65)의 축선방향(DR3)에서 보아, 제 1 커넥터(36)의 제 1 조립면(51)으로부터 튀어나와 있는 부분이다. 다시 말하면, 제 2 튀어나옴부(81)는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상태에서, 제 2 커넥터(41) 중, 제 1 커넥터(36)의 제 1 조립면(51)보다도 제 1, 제 2 체결용 관통구멍(55, 65)의 축선방향(DR3)으로 수직인 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튀어나옴부(71)와 마찬가지로, 제 2 튀어나옴부(8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41) 중, 제 1 방향(DR1)에서의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9 중의 제 1 방향(DR1)은 도 7 중의 제 1 방향(DR1)과 마찬가지로, 제 2 유로용 관통구멍(64)과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의 늘어선 방향이다. 제 2 튀어나옴부(81)는 제 2 커넥터(41) 중, 제 2 조립면(61)을 가지는 부위로부터 제 1 방향(DR1)을 따르는 방향에서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튀어나와 있다. 따라서, 제 2 커넥터(41)는 제 1 방향(DR1)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튀어나옴부(71)와 제 2 튀어나옴부(81)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 시에,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제 2 방향(DR2)에서 서로 어긋나게 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튀어나옴부(71)와 제 2 튀어나옴부(81)는 제 2 방향(DR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 2 돌출부(82)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튀어나옴부(81)로부터 제 2 조립면(61)의 위치(P2)보다도 제 1 커넥터(36)측으로 돌출해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제 2 돌출부(82)의 선단(82a)은 제 1, 제 2 체결용 관통구멍(55, 65)의 축선방향(DR3)에서 제 2 조립면의 위치(P2)보다도 제 1 커넥터(36)측에 위치해 있다. 제 2 튀어나옴부(81)의 제 1 커넥터(36)측의 면은 제 2 조립면(61)과 면일치된 평면이다. 제 2 돌출부(82)는 제 2 튀어나옴부(81)의 제 1 커넥터(36)측의 면에 설치된 구멍(83)에 압입된 압입핀(8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조립면(51)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상태에서, 제 2 돌출부(82)가 제 1 커넥터(36)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 2 돌출부(82)에 대응하는 부위(51a)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즉, 제 1 조립면(51)의 외주 가장자리부 중, 제 2 돌출부(82)에 대응하는 부위(51a)에 있어서는,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의 중심(CL1)으로부터 제 1 조립면(51)의 외주 가장자리부까지의 거리(L1)가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의 중심(CL1)으로부터 제 2 돌출부(82)까지의 거리(L2)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조립면(61)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상태에서, 제 1 돌출부(72)가 제 2 커넥터(4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 1 돌출부(72)에 대응하는 부위(61a)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즉, 제 2 조립면(61)의 외주 가장자리부 중, 제 1 돌출부(72)에 대응하는 부위(61a)에 있어서는,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의 중심(CL1)으로부터 제 2 조립면(61)의 외주 가장자리부까지의 거리(L3)가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의 중심으로부터 제 1 돌출부(72)까지의 거리(L4)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36, 41)와, 도 15∼도 20에 도시한 제 2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J36, J41)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J36, J41)는 냉매로서 제 2 냉매인 R134a를 사용하는 냉동사이클장치(10)에 이용된다. 제 2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J36, J41)는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36, 41)의 기본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형태의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36, 41)는 제 2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J36, J41)에 대하여 설계변경한 것이다.
도 15∼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J36, J41)는 각각 제 1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36, 41)에 비하여 제 1, 제 2 튀어나옴부(71, 81)를 가지고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같은 구조의 것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J36)는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36)와 마찬가지로, 제 1 조립면(51)에 제 1 유로용 관통구멍(54)과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이 설치되어 있다. 다만,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J36)는 제 1 튀어나옴부(71)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 1 방향(DR1)의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측의 단부에서의 제 1 조립면(51)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원호형상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냉매용의 제 2 커넥터(J41)는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41)와 마찬가지로, 제 2 조립면(61)에 제 2 유로용 관통구멍(64)과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이 설치되어 있다. 다만, 제 2 냉매용의 제 2 커넥터(J41)는 제 2 튀어나옴부(81)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 1 방향(DR1)의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측의 단부에서의 제 2 조립면(61)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원호형상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J36, J41)는 제 1, 제 2 조립면(51, 61)들을 접촉한 상태에서 조립된다. 제 2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J36, J41)들은 모두 돌출부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조립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36)의 제 1 돌출부(72)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36)와 제 2 냉매용의 제 2 커넥터(J41)를 조립하고자 했을 때에, 제 1 돌출부(72)가 제 2 냉매용의 제 2 커넥터(J41)의 제 2 조립면(61)에 닿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41)는 도 11과 도 22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조립면(61)의 외주 가장자리부 중, 제 1 돌출부(72)에 대응하는 부위(61a)가 제 2 냉매용의 제 2 조립면(61)의 외주 가장자리부보다도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의 중심(CL1)에 가까운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41)의 제 2 돌출부(82)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41)와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J36)를 조립하고자 했을 때에, 제 2 돌출부(82)가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J36)의 제 1 조립면(51)에 닿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36)는 도 11과 도 24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조립면(51)의 외주 가장자리부 중, 제 2 돌출부(82)에 대응하는 부위(51a)가 제 2 냉매용의 제 1 조립면(51)의 외주 가장자리부보다도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의 중심(CL1)에 가까운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36, 41)의 주요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차체 상에서의 냉동사이클장치(10)의 조립공정에서는 냉동사이클장치(10)의 각각의 구성부품(11, 12, 13, 14)을 차체에 탑재하고, 각각의 구성부품(11, 12, 13, 14)들을 냉매배관(15)으로 접속한다. 이때, 작업자는 냉매의 종류에 따른 커넥터를 선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냉매를 이용하는 냉동사이클장치(10)를 조립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41, 42)가 설치된 냉매배관(15)과,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36, 37)가 설치된 응축기(12)의 입구배관(34) 및 출구배관(35)을 조립한다.
이때,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36)의 제 1 튀어나옴부(71)에 제 1 돌출부(72)가 제공되고,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41)의 제 2 튀어나옴부(81)에 제 2 돌출부(82)가 제공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돌출부(72)의 위치가 제 1 냉매용의 제 2 조립면(61)에 닿지 않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또한 제 2 돌출부(82)의 위치가 제 1 냉매용의 제 1 조립면(51)에 닿지 않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 시에는, 제 1 돌출부(72)가 제 2 조립면(61)에 간섭하지 않고, 제 2 돌출부(82)가 제 1 조립면(51)에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36, 41)가 함께 조립된다.
또한, 제 1 돌출부(72)의 위치는 제 2 냉매용의 제 2 커넥터(J41)의 제 2 조립면(61)에 닿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36)와 제 2 냉매용의 제 2 커넥터(J41)는 제 1 돌출부(72)가 제 2 조립면(61)에 간섭하기 때문에 함께 조립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제 2 돌출부(82)의 위치는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J36)의 제 1 조립면(51)에 닿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41)와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J36)는 제 2 돌출부(82)가 제 1 조립면(51)에 간섭하기 때문에 함께 조립될 수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36, 41)들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제 1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한쪽과 제 2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J36, J41)의 한쪽의 조립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한쪽과 제 2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J36, J41)의 한쪽의 잘못된 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37, 4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36, 37)를 가지는 응축기(12)의 입구배관(34) 및 출구배관(35)에 대하여, 제 2 냉매용의 냉매배관(15)을 잘못하여 조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와는 반대로, 잘못하여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J36)를 가지는 응축기(12)를 차체에 탑재한 경우, 이 응축기(12)와,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41)를 가지는 냉매배관(15)은 조립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냉동사이클장치(10)의 조립 시에 있어서의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J36)를 가지는 응축기(12)의 잘못된 조립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 1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형상을, 각각 제 2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J36, J41)의 형상에 대하여 설계변경하면 좋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J36, J41)의 형상의 설계변경을 필요하지 않게 할 수 있다.
(2) 본 실시형태와 달리,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의 형상을 제 2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J36, J41)에 대하여,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와 같이 설계변경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즉, 도시하지 않지만, 제 1 조립면(51)에 제 1 돌기부를 설치하고, 제 2 조립면(61)에 제 2 돌기부를 설치한다. 또한, 제 1 조립면(51)에 제 2 돌기부용의 받침구멍을 설치하고, 제 2 조립면(61)에 제 1 돌기부용의 받침구멍을 설치한다.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의 그 밖의 형상에 대해서는, 제 2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J36, J41)와 같은 상태로 한다.
이 경우,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의 조립상태에서는 제 1, 제 2 돌기부는 시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와 제 2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J36, J41)는 같은 외형이다. 이 때문에,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와 제 2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를 육안으로 판별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작업원이 제 2 냉매용의 커넥터를 가지는 응축기(12)와 제 2 냉매용의 커넥터를 가지는 냉매배관을 잘못하여 선택한 경우, 한쌍의 커넥터들의 조립 후에 작업자가 한쌍의 커넥터를 보아도, 그 잘못을 깨달을 수 없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상태에서는, 제 1 튀어나옴부(71) 및 제 1 돌출부(72)는 제 2 커넥터(41)의 측면(63)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튀어나옴부(81) 및 제 2 돌출부(82)는 제 1 커넥터(36)의 측면(53)의 외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 후에도, 제 1, 제 2 튀어나옴부(71, 81) 및 제 1, 제 2 돌출부(72, 82)를 육안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 후에, 제 1, 제 2 튀어나옴부(71, 81) 및 제 1, 제 2 돌출부(72, 82)의 유무를 작업원이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양쪽의 사용이 적절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한쌍의 커넥터의 양쪽의 잘못된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1 냉매용의 냉동사이클장치(10)를 조립할 때에 있어서, 제 2 냉매용의 커넥터를 가지는 응축기(12)와 제 2 냉매용의 커넥터를 가지는 냉매배관(15)의 양쪽의 잘못된 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3)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와 같이, 제 1 조립면(51)에 제 2 돌기부용의 받침구멍을 설치하고, 제 2 조립면(61)에 제 1 돌기부용의 받침구멍을 설치하는 경우, 제 1, 제 2 커넥터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받침구멍의 주변 영역은 어느 정도 넓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는 제 1, 제 2 커넥터가 대형화된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커넥터(36, 41)의 튀어나옴부(71, 81)에 돌출부(72, 82)를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와 같이, 상대측의 커넥터에 받침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받침구멍을 형성하는 것에 따른 커넥터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4) 응축기(12)는 엔진룸(21)의 차량 전방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응축기(12)가 엔진룸(21)에 탑재된 상태에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커넥터(36, 37, 41, 42)의 제 2 방향(DR2)에서의 옆에 헤드램프의 와이어하니스(24)가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25는 도 1에서의 영역(ⅩⅩⅤ)의 확대도이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튀어나옴부(71)를 제 1 커넥터(36, 37) 중, 제 1 방향(DR1)에서의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측의 단부에 설치하고 있다. 제 2 튀어나옴부(81)를 제 2 커넥터(41, 42) 중, 제 1 방향(DR1)에서의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측의 단부에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하니스(24)가 제 1, 제 2 커넥터(36, 37, 41, 42)의 제 2 방향(DR2)에서의 옆에 위치하는 경우라도, 제 1, 제 2 튀어나옴부(71, 81) 및 제 1, 제 2 돌출부(72, 82)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 1, 제 2 커넥터(36, 37, 41, 42)에 따르면, 레이아웃(layout)의 조건이 엄격한 엔진룸 환경에 대응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26∼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제 1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제 1, 제 2 튀어나옴부(71, 81)의 위치를 변경한 것이다. 냉동사이클장치(10)의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제 1 튀어나옴부(71)는,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36) 중, 제 1 유로용 관통구멍(54)과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의 사이에서, 제 2 방향(DR2)에서의 일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튀어나옴부(81)는, 도 28, 도 29,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41) 중, 제 2 유로용 관통구멍(64)과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의 사이에서,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조립상태에 있어서, 제 2 방향(DR2)에서의 제 1 튀어나옴부(71)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돌출부(72)는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36)와 제 2 냉매용의 제 2 커넥터(J41)를 조립하고자 했을 때에, 제 1 돌출부(72)가 제 2 냉매용의 제 2 조립면(61)에 닿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돌출부(82)도,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냉매용의 제 2 커넥터(41)와 제 2 냉매용의 제 1 커넥터(J36)를 조립하고자 했을 때에, 제 2 돌출부(82)가 제 2 냉매용의 제 1 조립면(51)에 닿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의 (1)∼(3)에 기재된 효과를 이룬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엔진룸(21)에 있어서, 제 1, 제 2 커넥터(36, 41)의 제 1 방향(DR1)에서의 옆에, 엔진룸(21)에 탑재되는 부품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제 1, 제 2 튀어나옴부(71, 81) 및 제 1, 제 2 돌출부(72, 82)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 1, 제 2 커넥터(36, 41)에 따르면, 레이아웃의 조건이 엄격한 엔진룸 환경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개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와 같이, 청구범위에 기재한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1)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36, 37)를 각각 응축기(12)의 입구배관(34)과 출구배관(35)에 설치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냉매용의 제 1 커넥터(36, 37)를 입구배관(34)과 출구배관(35)을 통하지 않고 헤더탱크(32, 33)에 직접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커넥터가 설치된 헤더탱크가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유로 형성부재에 상당한다.
(2)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냉매배관(15b)과 냉매배관(15c)이 일체화되어 있었지만, 일체화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냉매의 종류에 따라서 변경이 필요한 냉매배관과, 그에 접속되는 유로 형성부품의 각각에 대하여 제 1 냉매용의 제 1, 제 2 커넥터를 설치하면 좋다.
(3)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개시의 한쌍의 커넥터를, 응축기(12)와 냉매배관(15)을 접속하기 위한 한쌍의 커넥터(36, 41)에 적용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한쌍의 커넥터를, 압축기(11)와 냉매배관(15)을 접속하기 위한 한쌍의 커넥터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본 개시의 한쌍의 커넥터를, 팽창밸브(13)와 냉매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한쌍의 커넥터에 적용해도 좋다.
(4)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에 본 개시의 한쌍의 커넥터를 적용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는 아니고, 제 2 냉매용의 한쌍의 커넥터에 본 개시의 한쌍의 커넥터를 적용해도 좋다.
(5)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용 냉동사이클장치(10)에 적용되는 냉매배관용의 한쌍의 커넥터에 본 개시의 한쌍의 커넥터를 적용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유로 형성부재와, 제 1 유로 형성부재와는 별개체로서,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유로 형성부재를 접속하는 한쌍의 커넥터에 대하여 본 개시의 한쌍의 커넥터를 적용해도 좋다.
(6)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는 서로 관계 없는 것은 아니고, 조합이 명백히 불가한 경우를 제외하고, 적절히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요소는 특별히 필수라고 명시한 경우 및 원리적으로 명백히 필수라고 생각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반드시 필수의 것이 아닌 것은 말할 것도 없다.

Claims (5)

  1. 한쌍의 커넥터로서,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유로 형성부재(34, 35)에 설치되는 제 1 커넥터(36, 37); 및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유로 형성부재(15a, 15b)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커넥터에 조립되는 제 2 커넥터(41, 42)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넥터와의 조립상태에서, 상기 제 2 커넥터와 접촉하는 제 1 조립면(51)을 가지며;
    상기 제 1 조립면에는 제 1 유로용 관통구멍(54)과 제 1 체결용 관통구멍(5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와의 조립상태에서, 상기 제 1 조립면과 접촉하는 제 2 조립면(61)을 가지며;
    상기 제 2 조립면에는 상기 제 1 커넥터와의 조립상태에서, 제 2 유로용 관통구멍(64)이 상기 제 1 유로용 관통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제 2 체결용 관통구멍(65)이 상기 제 1 체결용 관통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조립상태에서, 상기 제 1 체결용 관통구멍과 상기 제 2 체결용 관통구멍에 체결부재(66)가 삽입되고, 또한 상기 제 1 유로용 관통구멍 내와 상기 제 2 유로용 관통구멍 내를 지나서, 상기 제 1 유로 형성부재와 상기 제 2 유로 형성부재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상기 유체가 흐르게 되어 있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넥터와의 조립상태에서, 상기 제 2 조립면보다도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는 제 1 튀어나옴부(71)와, 상기 제 1 튀어나옴부로부터 제 1 조립면의 위치(P)보다도 상기 제 2 커넥터측으로 돌출해 있는 제 1 돌출부(72)를 더 가지며;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와의 조립상태에서, 상기 제 1 조립면보다도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는 제 2 튀어나옴부(81), 및 상기 제 2 튀어나옴부로부터 상기 제 2 조립면의 위치(P)보다도 상기 제 1 커넥터측으로 돌출해 있는 제 2 돌출부(82)를 가지는, 한쌍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튀어나옴부는 상기 제 1 커넥터 중, 상기 제 1 유로용 관통구멍과 상기 제 1 체결용 관통구멍의 늘어선 방향(DR1)에서의 상기 제 1 체결용 관통구멍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튀어나옴부는 상기 제 2 커넥터 중, 상기 제 2 유로용 관통구멍과 상기 제 2 체결용 관통구멍의 늘어선 방향(DR1)에서의 상기 제 2 체결용 관통구멍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커넥터는 차량용 냉동사이클장치(10)에 적용되고;
    상기 유체는 냉매인, 한쌍의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한쌍의 커넥터;
    상기 제 1 유로 형성부재(34, 35); 및
    상기 제 2 유로 형성부재(15a, 15b)를 구비하는, 냉동사이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배관(34)을 가지고, 냉매를 방열시키는 방열기(12); 및
    냉매 주입용의 밸브(43)를 가지고, 상기 입구배관에 접속되는 냉매배관(15a)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유로 형성부재로서의 상기 입구배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유로 형성부재로서의 상기 냉매배관에 설치되는, 냉동사이클장치.
KR1020177019845A 2015-07-01 2016-05-23 한쌍의 커넥터 Active KR101906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2891 2015-07-01
JP2015132891 2015-07-01
PCT/JP2016/065151 WO2017002482A1 (ja) 2015-07-01 2016-05-23 一対の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140A KR20170097140A (ko) 2017-08-25
KR101906584B1 true KR101906584B1 (ko) 2018-10-11

Family

ID=5760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845A Active KR101906584B1 (ko) 2015-07-01 2016-05-23 한쌍의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44890B2 (ko)
JP (1) JP6418328B2 (ko)
KR (1) KR101906584B1 (ko)
CN (1) CN107407448B (ko)
DE (1) DE112016002972T5 (ko)
WO (1) WO20170024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4204B2 (en) * 2020-07-27 2023-09-12 Hanon Systems Stabilized h-pl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9035A (ja) 2006-09-29 2008-04-17 Denso Corp 配管継手
JP2008215585A (ja) 2007-03-07 2008-09-18 Denso Corp 配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686A (en) * 1976-09-07 1978-01-24 Hoelman Walter A Coupling for use in servicing air conditioning systems
JPH01114416U (ko) * 1988-01-29 1989-08-01
JPH058172U (ja) * 1991-07-19 1993-02-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配管継手
US6140616A (en) * 1998-09-25 2000-10-31 Aehr Test Systems Wafer level burn-in and test thermal chuck and method
EP1117959B1 (en) * 1998-10-02 2007-07-18 Parker-Hannifin Corporation Coupling assembly
US6834893B2 (en) 2001-11-01 2004-12-2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eanut fittings for CO2 air conditioning systems
KR100488218B1 (ko) * 2002-01-09 2005-05-10 주식회사 프라코이엔지 관 이음 플랜지
JP4096832B2 (ja) * 2003-07-22 2008-06-04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用配管継手
JP3143147U (ja) * 2008-04-28 2008-07-10 ジョプラックス株式会社 浄水器用継手の連結構造
US8141911B2 (en) * 2009-03-19 2012-03-27 Halla Climate Control Corporation Pipe connection joint
KR101403439B1 (ko) * 2011-08-16 2014-06-0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JP5931560B2 (ja) * 2012-04-24 2016-06-08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コネクタ部材接続構造
CN102996933A (zh) * 2012-11-27 2013-03-27 芜湖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汽车空调管路对接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9035A (ja) 2006-09-29 2008-04-17 Denso Corp 配管継手
JP2008215585A (ja) 2007-03-07 2008-09-18 Denso Corp 配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18328B2 (ja) 2018-11-07
US20180142816A1 (en) 2018-05-24
CN107407448B (zh) 2019-05-28
WO2017002482A1 (ja) 2017-01-05
CN107407448A (zh) 2017-11-28
JPWO2017002482A1 (ja) 2017-11-24
KR20170097140A (ko) 2017-08-25
US10544890B2 (en) 2020-01-28
DE112016002972T5 (de)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1386B2 (ja) 熱交換器の配管コネクタ
KR101841373B1 (ko) 증발기를 팽창 밸브에 결합하기 위한 장치
JP7156413B2 (ja) 内部熱交換器
KR101211637B1 (ko) 다방향 커넥터를 구비하는 이중관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냉방 장치
US20070062215A1 (en) Condenser
US20090146415A1 (en) Pipe-joint structure for heat exchanger
JP2010038320A (ja) 四方切換弁用弁体
JP2009041636A (ja) 四方切換弁用弁体
KR101906584B1 (ko) 한쌍의 커넥터
US7328739B2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
US20070001446A1 (en) Pipe connecting structure of heat exchanger
JP2007333283A (ja) 蒸気圧縮式冷凍回路及び当該回路を用いた車両用空調システム
CN110056674A (zh) 滑动式切换阀以及具备该滑动式切换阀的冷冻循环系统
JP2007255872A (ja) 空調装置用熱交換器
JP2010025460A (ja) 二重管式熱交換器用継手
CN114207365A (zh) 水冷式冷凝器
JP2008232386A (ja) 配管継手構造
CN114593618A (zh) 一种换热组件及热管理系统
CN217259487U (zh) 一种流体控制组件
CN110087922B (zh) 蓄冷热交换器
KR20230059529A (ko) 열교환기
JP6464926B2 (ja) 冷媒配管接続継手
CN112432537B (zh) 换热器及其制造方法
JP4045955B2 (ja) 液冷媒配管
KR101600878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