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5856B1 - Bowling exercis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 - Google Patents

Bowling exercis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856B1
KR101905856B1 KR1020170076639A KR20170076639A KR101905856B1 KR 101905856 B1 KR101905856 B1 KR 101905856B1 KR 1020170076639 A KR1020170076639 A KR 1020170076639A KR 20170076639 A KR20170076639 A KR 20170076639A KR 101905856 B1 KR101905856 B1 KR 101905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ing
information
virtual
bowling ball
b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1087A (en
Inventor
김호상
Original Assignee
(주)나라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라소프트 filed Critical (주)나라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076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856B1/en
Publication of KR2017012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0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85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ow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00Installations for bowling games, e.g. bowling-alleys or bocce courts
    • A63D1/08Tracks for returning or circulating the b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54Bowling, i.e. ten-pin bowling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제 볼링장에서 볼링 연습 및 게임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스크린을 이용하여 볼링 연습 및 게임을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볼링에 대한 흥미와 개인의 볼링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볼링에 대한 연습 및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볼링 레인; 상기 볼링 레인의 길이 방향에 대한 후단부에 설치되는 스크린; 상기 볼링 레인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진행되는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장치; 상기 스크린과 상기 센서 장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으로 향하는 제1 볼링공의 이동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 및 상기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 및 이동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볼링공에 대응되는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크린으로 제공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시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wling exercise and a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a screen, and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to perform bowling practice and game using a screen in the same manner as bowling practice and game in an actual bowling alley Thereby improving the interest in bowling and the bowling ability of the individual.
To this en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bowling lane for practicing bowling and playing a game; A screen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bowling lan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nsor device disposed between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bowling lan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nsing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by the user; A photographing device disposed at least one position between the screen and the sensor device for photographing moving image information of a first bowling hole directed to the screen;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generating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and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of a second bowling ball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wling ball on the basis of movement information and moving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screen And a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

Description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BOWLING EXERCIS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wling exercise game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wling practice using a screen and a game simulation system.

볼링게임은 대중화된 스포츠이긴 하나, 초기 시설비 및 관리비가 많이 드는 반면, 수익성은 좋지 않아 도심지에서 볼링장이 거의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Although bowling is a popular sport, it costs a lot of initial equipment and management costs, but profitability is not good, and bowling alleys are almost disappearing in downtown areas.

볼링장은 국제규격에 따라 폭 1m, 길이 23m의 가량의 레인이 설치되어야 하고, 볼의 회수를 위한 이송시스템이 레인 하부에 구비되며, 핀의 회수 및 정렬을 위한 장치가 갖추어져야 하므로, 대규모의 공간과 시설을 필요로 하는 것이며, 이러한 시설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비용 및 청소, 유지 보수 등의 관리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bowling lane should be equipped with a lane of about 1 m in width and 23 m in 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a conveying system for collecting balls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lane, and a device for collecting and aligning pins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maintain such facilities, maintenance costs such as energy costs, cleaning, and maintenance have been problematic.

이와 같이, 종래의 볼링장은 고비용 사업이기 때문에, 도심지에서 볼링장을 운영할 경우 적자 운영이 불가피한 바, 도심지에서는 볼링장을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된 것이다.Thus, since the conventional bowling alley is a high-cost business, it is inevitable to operate a bowling alley in a downtown area, so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find a bowling alley in the downtown area.

그러나, 볼링게임은 여러 명이 즐길 수 있고 체력향상에도 도움이 되는 건전한 스포츠인 바, 피로에 찌든 직장인들이 많이 있는 도심지에서야말로 더욱 필요한 시설로서, 볼링장의 수익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볼링장 보급의 관건이 될 것이다.However, the bowling game is a healthy sport that can be enjoyed by many people and helps to improve physical strength, and it is a necessary facility in the urban area where there are many fatigue workers. It will be the key.

이에 따라, 대부분이 한정된 좁은 공간에서 즐길 수 있는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게임용 소프트웨어와 인터넷 상의 웹 사이트를 이용한 볼링 게임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As a result, bowling games using computer or smartphone game software and web sites on the Internet, which are mostly enjoyed in a limited space, are spreading.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게임용 소프트웨어와 인터넷 상의 웹 사이트를 이용한 볼링 게임은 게임자가 컴퓨터, 스마트폰 또는 게임기 앞에 앉아 화면을 보면서 터치 또는 제어기를 조작하여야만 게임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게임을 통한 흥미를 유발시킬 뿐 볼링에 대한 흥미나 실제 볼링 실력의 향상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게임자는 작은 화면을 통한 볼링 게임에 몰입하여 장시간 볼링 게임에 몰두할 경우 시력 장애나 각종 정신질환을 유발하여 건강을 해치게 되는 경우도 허다하였다.However, since the bowling game using the computer or the smartphone game software and the web site on the internet as described above can be played only when the player operates the touch or the controller while viewing the screen in front of the computer, the smartphone or the game machine, And it is not helpful to improve the interest in bowling or the actual bowling ability. Furthermore, when a player is immersed in a bowling game through a small screen and engages in a bowling game for a long time, his or her vision may be impaired and various mental diseases may be caused.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6794호 '볼링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16794 'Bowling game simul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제 볼링장에서 볼링 연습 및 게임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스크린을 이용하여 볼링 연습 및 게임을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볼링에 대한 흥미와 개인의 볼링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bowling exercises and games using a screen in the same manner as bowling practice and games in an actual bowling alley to improve the interest in bowling and the bowling ability of an individual Bowling practice and game simul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볼링에 대한 연습 및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볼링 레인; 상기 볼링 레인의 길이 방향에 대한 후단부에 설치되는 스크린; 상기 볼링 레인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진행되는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장치; 상기 스크린과 상기 센서 장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으로 향하는 제1 볼링공의 이동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 및 상기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 및 이동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볼링공에 대응되는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크린으로 제공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wling practic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a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wling lane for practicing bowling and playing a game; A screen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bowling lan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nsor device disposed between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bowling lan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nsing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by the user; A photographing device disposed at least one position between the screen and the sensor device for photographing moving image information of a first bowling hole directed to the screen;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generating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and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of a second bowling ball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wling ball on the basis of movement information and moving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can do.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스크린으로 상기 볼링 레인과 대응되는 가상 볼링 레인과, 상기 가상 볼링 레인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상 볼링 핀 영상과, 상기 제2 볼링공에 의하여 쓰러지고 남은 잔여 가상 볼링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device includes a virtual bowling lane corresponding to the bowling lane on the screen, a plurality of virtual bowling pin images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virtual bowling lane, and a remaining virtual bowling pin image left over by the second bowling ball Can be provided.

본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상기 볼링 레인의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선택된 제1 볼링공을 제공하는 볼링공 제공장치; 상기 볼링 레인의 후단부이고, 상기 스크린의 하부 또는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볼링공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제1 볼링공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여 상기 제1 볼링공을 상기 볼링공 제공장치로 회수하는 볼링공 회수장치; 및 상기 볼링 회수장치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볼링공의 힘의 벡터량을 감지하는 힘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링공 회수장치는 상기 볼링공 제공장치와 유도 레일을 통하여 연결되되, 상기 유도 레일은 상기 볼링공 회수장치로부터 상기 볼링공 제공장치 측으로 하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owling practic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 may include a bowling ball providing device disposed around the bowling lane to provide a first bowling ball pre-selected by a user; A rear end of the bowling lane and disposed in a lower or rear area of the screen to stop the first bowling ball or to guide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to guide the first bowling ball to the bowling ball providing device A bowling ball recovery device for recovering; And a force sensing device disposed adjacent to the bowling recovery device and sensing a vector amount of a force of the first bowling hole, wherein the bowling ball recovery device is connected to the bowling hole providing device through an induction rail, The guide rails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bowling ball collecting device toward the bowling hole providing device.

상기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는 상기 제1 볼링공의 속도, 가속도, 회전, 스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장치는 상기 제1 볼링공의 속도, 가속도, 회전, 스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includes at least one of velocity, acceleration, rotation, and spin of the first bowling ball, and the sensor device detects at least one of speed, acceleration, And a sensor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외부 서버와 상기 센서 장치 및 촬영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사용자에 의하여 볼링 게임의 종류, 상기 볼링 게임에 참여한 사용자 정보, 상기 제1 볼링공과 대응되는 제2 볼링공의 종류가 선택되는 정보 선택부; 상기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 및 이동 영상 정보와 상기 힘 벡터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볼링공에 대응되는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정보 생성부; 상기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와 상기 힘 벡터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볼링공과 가상 볼링 핀과의 충돌 정보 및 충돌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정보 생성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볼링 게임의 종류와, 상기 제2 볼링공과 가상 볼링 핀과의 충돌 정보 및 충돌 결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볼링 게임의 스코어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정보 생성부; 상기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와, 상기 제2 볼링공과 가상 볼링 핀과의 충돌 정보 및 충돌 결과 정보와, 상기 볼링 게임의 스코어 정보를 상기 스크린으로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및 볼링 연습 및 게임용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볼링 연습 및 게임용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센서 장치 및 촬영 장치와, 상기 중앙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entral control device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external server and the sensor device and the photographing device; An information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type of a bowling game by the user, information on a user participating in the bowling game, and a type of a second bowling ball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wling ball; A firs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virtual movement information and virtual movement image information of a second bowling ball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wling ball based o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movement image information, and force vector quantity information; A secon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collision information and collision result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bowling ball and the virtual bowling pin based on the virtual movement information, the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force vector quant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A gam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score information of the bowling game based on the type of the bowling game selected by the user, the collision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bowling ball and the virtual bowling pin, and the collision result information; An information outputting unit for continuously outputting the score information of the bowling game on the basis of the virtual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the collision information and the collision result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and the virtual bowling pin, par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nsor device and the photographing device and the central control device by executing the bowling exercise and the simulation program for a game by installing a simulation program for a bowling practice and a game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실제 볼링장에서 볼링 연습 및 게임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스크린에 볼링장의 일부 영역과 동일한 환경을 조성하고, 스크린의 정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볼링 연습 및 게임을 혼자서 수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볼링에 대한 흥미를 북돋울 수 있음과 동시에 볼링 종목의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bowling exercis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a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reate the same environment as a part of a bowling alley on a screen in the same manner as bowling practice and game in an actual bowling alley, Since the practice of bowling and the game are carried out by oneself, it is possible to encourage interest in bowling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bowling ev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신과 레벨이 비슷한 사용자들과 매칭하여 볼링 연습 및 게임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연습 및 게임의 즐거움과 실력 향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bowling exercises and games by matching with users having similar levels to themselves, it is possible to provide users with enjoyment of exercises, games, and improvement of skills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중앙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실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wling exercise and a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a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entral control device of Fig. 1. Fig.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 bowling exercise and a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a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the term "part" or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중앙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실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bowling practic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a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of FIG. 1,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owling practice using a screen and a game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1)은 실제 볼링장에서 건강에 유익한 볼링 연습 및 게임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 혼자서 또는 여럿이서 볼링 연습 및 게임을 수행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볼링 레인(10), 스크린(20), 센서 장치(30), 촬영 장치(40) 및 중앙 제어 장치(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1)은 볼링공 제공장치(60), 볼링공 회수장치(70) 및 힘 감지 장치(80)를 포함한다.1, 3A and 3B, a screening-based bowling practice and game simul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real bowling alley, in the same manner as a healthy bowling practice and game, A screen 20, a sensor device 30, a photographing device 40 and a central control device 50. The system includes a bowling lane 10, a screen 20, a sensor device 30, a photographing device 40 and a central control device 50 do. In addition, the bowling practice and game simulation system 1 using this screen includes a bowling ball providing apparatus 60, a bowling ball collecting apparatus 70, and a force sensing apparatus 80.

상기 볼링 레인(10)은 볼링에 대한 연습 및 게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설치되는 실제 볼링 레인(11)이다. 일반적으로, 규정된 실제 볼링장의 레인이 D1+D2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진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에서는 실제 볼링 레인(11)을 D1의 구간만 설치하고, 나머지 D2 구간은 가상 볼링 레인(22)으로서 스크린 상에 가상 영상이 제공된다. 상기 실제 볼링 레인(11)에는 사용자의 도움닫기를 위한 도움 닫기부(12)가 구비된다.The bowling lane 10 is an actual bowling lane 11 installed on the floor for practicing bowling and playing a game. Generally, assuming that the lane of a prescribed actual bowling lane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D1 + D2,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actual bowling lane 11 is provided with a section of D1, and the remaining D2 section is set as virtual bowling lane 22 A virtual image is provided on the screen. The actual bowling lane 11 is provided with a help-close part 12 for the user's help closing.

상기 스크린(20)은 볼링 레인(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후단부에 설치되어, 반대편이나 스크린(20) 주변 영역에 설치된 프로젝터(80)로부터 전송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영상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린(20)은 가상 볼링 레인(22)이 실제 볼링 레인(11)과 연결되도록 가상 볼링 레인(22)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The screen 20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bowling lane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utputs a bowling exercise and a game simul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projector 80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r the area around the screen 20. For example, the screen 20 may output an image of the virtual bowling lane 22 so that the virtual bowling lane 22 is connected to the actual bowling lane 11.

상기 스크린(20)은 가상 볼링 핀(21)의 영상이나 스코어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내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20)은 하나의 가상 볼링 레인(22)과 가상 볼링 핀(21)의 영상이나 스코어링 정보를 출력하거나 복수 개의 가상 볼링 레인(22)과 각각의 가상 볼링 핀(21)의 영상이나 스코어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screen 20 may output video or scoring information of the virtual bowling pin 21. 3A and 3B, the screen 20 outputs video or scoring information of one virtual bowling lane 22 and a virtual bowling pin 21, or outputs a plurality of virtual bowling lanes 22 And the video and scoring information of each virtual bowling pin 21 can be output.

상기 프로젝터(80)는 중앙 제어 장치(50)로부터 전송된 각종 정보를 스크린(10) 상에 출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젝터(80)는 가상 볼링 레인 영상, 가상 볼링 핀 영상, 후술하는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 각종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정보 등을 중앙 제어 장치(50)로부터 수신하여 스크린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projector 80 emit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50 onto the screen 10. [ For example, the projector 80 may transmit a virtual bowling lane image, a virtual bowling pin image, virtual moving information of a second bowling ball and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various bowling exercises, and game simulation information, ) And provide it to the screen.

상기 센서 장치(30)는 볼링 레인(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진행되는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는 제1 볼링공의 속도, 가속도, 회전, 스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device 30 is disposed between a front end portion and a rear en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wling lane 10, and senses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performe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peed, acceleration, rotation, and spin of the first bowling ball.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 장치(30)는 제1 볼링공의 속도, 가속도, 회전, 스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 장치(30)는 적외선 레이저 센서, 속도 감지 센서, 스핀 센서, 면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레이저 센서 또는 속도 감지 센서는 제1 볼링공의 속도 또는 가속도 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스핀 센서는 제1 볼링공의 회전 또는 스핀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면 감지 센서는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볼링 레인과 거의 같은 크기로 면을 형성하도록 바닥에 수십 개 내지 백여 개 이상 다수의 센서와 감지 회로 및 레이저 인식장치 등을 설치하여 감지 평면을 형성하여 보다 정확하게 제1 볼링공의 이동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nsor device 30 may include a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speed, acceleration, rotation, and spin of the first bowling ball. For example, the sensor device 30 may include an infrared laser sensor, a velocity sensor, a spin sensor, a surface sensor, and the like. Here, the infrared laser sensor or the speed sensing sensor may sense speed or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the spin sensor may sense rotation or spin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A plurality of sensors, a sensing circuit, and a laser recognition device are installed on the floor so as to form a surface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ize as a displayed virtual bowling lane, thereby forming a sensing plane, Lt; / RTI >

이러한 센서 장치(30)는 볼링 레인(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다수의 영역(즉, 볼링 레인(10)의 바닥면(31), 볼링 레인(10)의 상부 측면(32))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nsor device 30 includes a plurality of areas located between a front end portion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bowling lane 10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owling lane 10 (i.e., a bottom surface 31 of the bowling lane 10, Upper side 32).

상기 촬영 장치(40)는 스크린과 센서 장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스크린으로 향하는 제1 볼링공의 이동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촬영 장치는 초고속 카메라 센서(즉, 비젼형 또는 스핀형 카메라 장치이거나 라인 스캔 카메라)일 수 있고, 초고속 카메라 센서를 통하여 제1 볼링공의 진행 방향과 제1 볼링공의 회전을 감지하여 중앙 제어반으로 전송한다.The photographing device 40 is a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moving image information of a first bowling hole disposed at least one position between a screen and a sensor device and directed to a screen. The photographing device may be an ultra-high speed camera sensor (i.e., a vision-type or spin-type camera device or a line scan camera), detects the progress of the first bowling ball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through the ultra- Lt; / RTI >

그 이외에도, 상기 촬영 장치(40)는 제1 볼링공의 영상을 초고속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에 스핀 센서를 부가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device 40 may be implemented with a spin sensor attached to a camera device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first bowling ball at a very high speed.

상기 중앙 제어 장치(50)는 센서 장치(30)로부터 전송된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와 촬영 장치(40)로부터 전송된 제1 볼링공의 이동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볼링공에 대응되는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프로젝터(8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first bowling ball on the basis of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device 30 and the moving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40 The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and the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projector 80.

상기 중앙 제어 장치(50)는 프로젝터(80)로 실제 볼링 레인(11)과 대응되는 가상 볼링 레인(22)과, 가상 볼링 레인(22)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상 볼링 핀(21)과, 제2 볼링공에 의하여 쓰러지고 남은 잔여 가상 볼링핀(21)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50 includes a virtual bowling lane 22 corresponding to the actual bowling lane 11 and a plurality of virtual bowling pins 21 arranged at the rear end of the virtual bowling lane 22, And an image of the remaining virtual bowling pin 21 that is left over by the second bowling ball.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장치(50)는 가상 볼링장 전경, 제2 볼링공의 충돌 정보나 회전 정보를 프로젝터(80)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50 may transmit the collision information or the rotation information of the virtual bowling alley front, the second bowling alley to the projector 80.

이를 위하여, 상기 중앙 제어 장치(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510), 정보 선택부(520), 제1 정보 생성부(530), 제2 정보 생성부(540), 게임 정보 생성부(550), 정보 출력부(560) 및 제어부(580)를 포함한다.2, the central control unit 5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510, an information selection unit 520, a firs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30, a secon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40, A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50, an information output unit 560, and a control unit 580.

상기 통신부(510)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센서 장치(30) 및 촬영 장치(4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통신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을 기반으로 외부 서버와 센서 장치(30) 및 촬영 장치(4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외부 서버와 센서 장치(30) 및 촬영 장치(40)에 구비된 통신 프로그램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본 볼링 연습 및 게임 제공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와이파이 방식, 지그비 방식, 블루투스 방식, 3G, 4G, LTE, LTE-A, 5G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통신부는 외부 서버와 센서 장치(30) 및 촬영 장치(4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볼링 연습 및 게임 진행 정보, 제1 볼링의 이동 정보 및 이동 영상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등을 송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510 is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the sensor apparatus 30 and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40. The communication unit 510 includes an external server and the sensor apparatus 30, And a communication protocol defined in a communication program included in the sensor device 30 and the photographing device 40 to connect the photographing device 40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hannel,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type of network, but may be applied to variou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 ZigBee, Bluetooth, 3G, 4G, LTE, LTE-A, . In this way,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server, the sensor device 30, and the photographing device 4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bowling practice and game progress information,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Lt; / RTI >

상기 정보 선택부(520)는 사용자에 의하여 볼링 게임의 종류, 볼링 게임에 참여한 사용자 정보, 제1 볼링공과 대응되는 제2 볼링공의 종류가 선택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정보 선택부(520)는 볼링의 연습 및 게임을 수행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정보는 볼링의 연습 및 게임을 원하는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 성별(남, 여), 나이, 지역 등의 회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볼링 게임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성별, 나이, 연령, 지역에 맞는 다른 사용들과 게임을 진행하도록 제어부(580)를 통하여 서로를 매칭시켜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선택부(520)는 정보 출력부를 통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 중 숫자, 알파벳, 한글 또는 특수문자 등이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선택부(520)는 이외에도 사용자 또는 중앙 제어 장치(50)의 인증 정보와 기타 알림 메시지를 입력 및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formation selecting unit 520 selects a type of a bowling game by the user, user information of a participant in the bowling game, and a type of a second bowling ball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wling ball.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electing unit 520 may input user information for exercising the bowling game and playing the game. At this tim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member information such as an ID of a user who wants to practice bowling and a game, password, sex (male, female), age, area,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ishes to play a bowling game, the controller 580 can match each other through a game using different user's gender, age, age, and area based on user information. Also, the information selecting unit 520 may selectively input numbers, alphabets, Korean characters, special characters, or the like among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election unit 520 may input and s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other notification messages of the user or the central control unit 50.

상기 제1 정보 생성부(530)는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 및 이동 영상 정보와 힘 벡터량 정보를 기초로 제1 볼링공에 대응되는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이다.The firs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30 generates virtual movement information and virtual movement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wling ball on the basis of movement information, moving image information, and force vector amount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정보 생성부(530)는 센서 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를 기초로 제1 볼링공의 속도, 가속도, 회전, 스핀 및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힘 감지 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제1 볼링공의 힘 벡터량을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제1 볼링공의 속도, 가속도, 회전, 스핀 및 이동 궤적과 상기 힘 벡터량을 미리 설정된 변환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스크린에 표시될 제2 볼링공의 속도, 가속도, 회전, 스핀, 이동 궤적 및 힘 벡터량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information generator 530 calculates the velocity, acceleration, rotation, spin and movement locus of the first bowling ball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detected by the sensor device, After calculating the force vector quantity of the first bowling ball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the velocity, acceleration, rotation, spin and movement locus of the first bowling ball and the force vector quantity are applied to a predetermined conversion program, The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including the velocity, acceleration, rotation, spin, movement locus, and force vector amount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to be displayed.

상기 제2 정보 생성부(540)는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와 힘 벡터량 정보를 기초로 제2 볼링공과 가상 볼링 핀과의 충돌 정보 및 충돌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이다.The secon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40 generates collision information and collision result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bowling ball and the virtual bowling pin based on the virtual movement information, the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force vector quant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정보 생성부(540)는 제1 정보 생성부(530)에 의하여 생성된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와 힘 벡터량 정보를 기초로 제2 볼링공과 가상 볼링 핀(21)의 충돌 정보 및 충돌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information generator 540 generates a second bowling ball based on the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generated by the firs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30, Collision information and collision result information of the virtual bowling pin 21 are generated.

상기 게임 정보 생성부(55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볼링 게임의 종류와, 제2 볼링공과 가상 볼링 핀(21)과의 충돌 정보 및 충돌 결과 정보를 기초로 볼링 게임의 스코어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The gam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50 generates score information of a bowling game on the basis of the type of the bowling game selected by the user, the collision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bowling ball and the virtual bowling pin 21, and the collision result information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임 정보 생성부(55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볼링 게임의 종류와, 제2 볼링공과 가상 볼링 핀과의 충돌 정보 및 충돌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점수로 표현하기 위하여, 가상 볼링 핀(21)의 쓰러진 개수를 자동 인식하여 이를 점수로 변환하여 해당 스코어 정보를 생성한다.More specifically, the gam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50 generates the game information using a virtual bowling pin (not shown) to express the type of the bowling game selected by the user, the collision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bowling ball and the virtual bowling pin, Automatically counts the number of collapses of the score information 21 and converts the scores into scores to generate corresponding score information.

상기 정보 출력부(560)는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와, 제2 볼링공과 가상 볼링 핀(21)과의 충돌 정보 및 충돌 결과 정보와, 볼링 게임의 스코어 정보를 프로젝터(80)로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정보 출력부(560)는 터치가능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와, 제2 볼링공과 가상 볼링 핀(21)과의 충돌 정보 및 충돌 결과 정보와, 볼링 게임의 스코어 정보를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unit 560 outputs the virtual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the collision information and the collision result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and the virtual bowling pin 21, and the score information of the bowling game, (80). The information output unit 560 further includes a touchable display to display virtual movement information and virtual movement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through the display and collision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bowling ball and the virtual bowling pin 21 And the collision result information, and the score information of the bowling game.

상기 제어부(580)는 볼링 연습 및 게임용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볼링 연습 및 게임용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센서 장치(30) 및 촬영 장치(40)와, 중앙 제어 장치(5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The control unit 580 is provided with a bowling exercise and a simulation program for a game and executes a bowling exercise and a simulation program for a game to execute a simulation program for the sensor device 30 and the photographing device 4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men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80)는 본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센서 장치(30)로부터 전송된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와 촬영 장치(40)로부터 전송된 제1 볼링공의 이동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볼링공에 대응되는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프로젝터(8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580)는 프로젝터(80)로 실제 볼링 레인(11)과 대응되는 가상 볼링 레인(22)과, 가상 볼링 레인(22)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상 볼링 핀 영상과, 제2 볼링공에 의하여 쓰러지고 남은 잔여 가상 볼링핀 영상을 제공하거나, 가상 볼링장 전경, 제2 볼링공의 충돌 정보나 회전 정보를 프로젝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owling exercises and the game simulation system 1 using the screen and displays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device 30 and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shooting ball The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wling ball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projector 80 based on the moving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transmitted from the first bowling ball. The control unit 580 further includes a virtual bowling lane 22 corresponding to the actual bowling lane 11 by the projector 80, a plurality of virtual bowling pin image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virtual bowling lane 22,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maining virtual bowling pin image that is left over by the second bowling ball or to control the transmission of the collision information or rotation information of the virtual bowling alley front view and the second bowling ball to the projector.

아울러, 상기 제어부(580)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사용자를 실력 레벨 별로 매칭시켜 연습 게임을 수행시키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80)는 복수의 사용자 상호간을 원하는 볼링의 연습 및 게임에 유사한 실력 레벨에 따라 매칭시켜 연습 및 게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580 is a device that executes a practice game by matching a plurality of users according to skill levels based on user information.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80 can perform practice and game by matching a plurality of users to each other according to a desired skill level in practice of bowling and a game.

또한, 상기 제어부(580)는 제2 볼링공의 방향, 속도, 회전, 스핀 정보 등을 산출하여 가상 볼링 레인(22)에서 제2 볼링공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여 프로젝터(80)를 통하여 스크린(20) 상에 구현하고, 가상 볼링 레인(22)의 끝점에서의 벡터량을 예측한 후 이를 가상 볼링핀(22)의 상호작용과 연계된 영상 및 효과음을 구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580 calculates the direction, speed, rotation, and spin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to generate a moving path of the second bowling ball in the virtual bowling lane 22, 20, and the vector amount at the end point of the virtual bowling lane 22 may be predicted, and then it may be controlled to implement the image and the effect sound associated with the interaction of the virtual bowling pin 22.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장치(50)는 볼링 연습 및 게임용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변환 프로그램,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 및 이동 영상 정보,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 스코어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570)는 그 외에도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볼링 연습 및 게임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주체는 제어부(580) 또는 정보 출력부(560)를 통하여 저장부(570)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5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SRAM, 롬, EEPROM, PROM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device 50 may include a simulation program for a bowling exercise and a game, a conversion program, movement information and movement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virtual movement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virtual movement image information, And a storage unit 570 for storing the data.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57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Meanwhile, the management entity providing the bowling practice and game providing service can delete or stor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570 through the control unit 580 or the information output unit 560. [ The storage unit 57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M, SRAM, ROM, EEPROM, And an optical disc.

한편, 상기 외부 서버는 본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볼링 연습 및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를 접수하고 연습 경기 및 게임 운영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서버는 필요한 자료를 각 영역의 구성들로 요청된 바에 따라 분배할 수도 있고, 또한 각 영역의 구성들로부터 필요한 자료를 지시에 따라 통합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외부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포함하여 회원 관리, 연습 및 게임 관리, 연습 및 게임 기록 관리, 매출 관리 및 전등, 실내 온도, 습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xternal server, the bowling exercises and the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 can receive bowling exercises and users participating in the game, and can conduct practice games and game operations. In addition, the external server may distribute necessary data to the configurations of the respective areas as required, or may integrate necessary data from the configurations of the respective areas according to instructions. In addition, the external serv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rver to control member management, practice and game management, practice and game record management, revenue management and lighting, room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like.

상기 볼링공 제공장치(60)는 실제 볼링 레인(11)의 주변에 배치되어 볼링공 회수 장치(70)에 연결된 유도 레일(71)을 통하여 회수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선택된 제1 볼링공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The bowling hole providing apparatus 60 is disposed around the actual bowling lane 11 and is recovered through the guide rail 71 connected to the bowling ball collecting apparatus 70 or provided with a first bowling ball pre- .

상기 볼링공 회수 장치(70)는 실제 볼링 레인(11)의 후단부이고, 스크린(20)의 하부 또는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제1 볼링공을 정지시키거나 제1 볼링공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여 제1 볼링공을 회수하는 장치이다. The bowling ball collecting apparatus 70 is a rear end of the actual bowling lane 11 and is disposed in the lower or rear region of the screen 20 to stop the first bowling ball or to guide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And collecting the first bowling ball.

이러한 볼링공 회수 장치(70)는 제1 볼링공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부재(72)와 제1 볼링공의 회수를 위하여 연결된 유도 레일(71)을 포함한다.The bowling ball collecting apparatus 70 includes a stop member 72 for stopping the first bowling ball and an induction rail 71 connected for the recovery of the first bowling ball.

상기 정지 부재(72)는 스크린(20)의 후방에 구비된 정지 쿠션이며 굴러온 제1 볼링공의 힘을 분산하여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The stop member 72 serves as a stationary cushion provided behind the screen 20 and serves to disperse and stop the force of the first bowling ball that has been rolled.

또한, 상기 유도 레일(71)은 실제 볼링 레인(11)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볼링공 회수장치로부터 볼링공 제공장치(60) 측으로 하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rails 71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ctual bowling lane 11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bowling ball collecting apparatus to the bowling hole providing apparatus 60 side.

상기 유도 레일(71)은 실제 볼링 레인(11)의 측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자연 경사를 형성한 오목한 형태나 역삼각 형태의 구조로서, 추가 동력없이 자동으로 볼이 회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guide rail 71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actual bowling lane 11 and has a concave shape or a reverse osmosis shape in which a natural inclination is formed and the ball can be automatically recovered without additional power have.

상기 힘 감지 장치(미도시)는 볼링 회수장치(70)에 인접하거나 볼링 회수장치(70)의 정지 부재(72) 하단에 배치되어 제1 볼링공의 힘의 벡터량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힘 감지 장치는 사용자가 굴린 제1 볼링공의 힘의 자유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를 위하여 완충재(미도시)가 전면에 결합하여 제1 볼링공이 최초로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며, 완충재의 이면에서 제1 볼링공의 힘의 벡터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볼링공의 힘의 벡터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스트레인 게이지(미도시)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스크레인 게이지는 제1 볼링공의 힘을 효율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설치개수, 설치 위치 및 방향 등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force sensing device (not show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owling recovery device 70 or at the lower end of the stopping member 72 of the bowling recovery device 70 to sense the vector amount of the force of the first bowling hole. To this end, the force sensing device measures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force of the first bowling ball rolled by the user, and for this purpose, a shock absorber (not shown) And the vector amount of the force of the first bowling ball is measur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ushioning material.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train gauges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measure the vector amount of the force of the first bowling hole. However, in order to efficiently detect the force of the first bowling hole, the number,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scraping gauge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이에 따라, 상기 중앙 제어 장치(50)는 힘 감지 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제1 볼링공의 힘의 벡터량 정보를 기초로 제2 볼링공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entral control unit 50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wling ball based on the vector amount information of the force of the first bowling ball sensed by the force sensing devi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실제 볼링장에서 볼링 연습 및 게임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스크린에 볼링장의 일부 영역과 동일한 환경을 조성하고, 스크린의 정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볼링 연습 및 게임을 혼자서 수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볼링에 대한 흥미를 북돋울 수 있음과 동시에 볼링 종목의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신과 레벨이 비슷한 사용자들과 매칭하여 볼링 연습 및 게임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연습 및 게임의 즐거움과 실력 향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The bowling practic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create the same environment as a partial area of a bowling alley on the screen in the same manner as bowling practice and game in an actual bowling alley, The user can perform the bowling exercise and the game desired by the user alo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courage interest in bowling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bowling event. In addition, sinc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bowling exercises and games by matching with users having similar levels to themselves, it is possible to provide users with enjoyment of exercises, games, and improvement of skills at the same time.

한편, 상기 볼링공 제공장치(60)의 케이스는 폴리프로필렌 30~69.8wt%, 무기필러 20~35wt%, 고무 10~25wt%, 상용화제 0.1~5wt% 및 내스크래치제 0.1~5wt%를 포함하며, Erichsen 법에 의한 DL값이 0.2 이하 이고, 굴곡탄성률이 1000~2100MPa 이며, Izod 충격강도가 16~40KJ/m2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며, 호모폴리프로필렌 또는 랜덤폴리프로필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은 강성이 우수하면서도 충격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굴곡탄성률(Flexural modulus, FM)이 1000~2100MPa 이고, 상온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가 16~40KJ/m2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of the bowling hole providing apparatus 60 includes 30 to 69.8 wt% of polypropylene, 20 to 35 wt% of inorganic filler, 10 to 25 wt% of rubber, 0.1 to 5 wt% of compatibilizer and 0.1 to 5 wt% of scratch resistance And has a DL value of 0.2 or less by the Erichsen method, a flexural modulus of 1000 to 2100 MPa, and an Izod impact strength of 16 to 40 KJ / m < 2 >. The polypropylene is preferably block copolypropylene, and may further comprise homopolypropylene or random polypropylene. The block copolypropylene preferably has a flexural modulus (FM) of 1000 to 2100 MPa and a room temperature Izod impact strength of 16 to 40 KJ / m 2, which is excellent in rigidity and improves impact properties .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은 굴곡탄성률이 1270~2350MPa이고, 상온아이조드(Izod) 충격강도가 2~6KJ/m2인 것이 바람직하며, 블록코폴리프로필렌에 비하여 충격 특성이 부족하나, 강성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랜덤폴리프로필렌은 굴곡탄성률이 680~980MPa이고, 상온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가 2~40KJ/m2인 것이 바람직하며, 블록코폴리프로필렌에 비하여 강성은 부족하나, 충격 특성이 우수하다.The homopolypropylene preferably has a flexural modulus of 1270 to 2350 MPa and an Izod impact strength of 2 to 6 KJ / m 2 at room temperature, and exhibits an excellent stiffness although it lacks impact properties as compared with block copolypropylene. The random polypropylene preferably has a bending modulus of elasticity of 680 to 980 MPa and an Izod impact strength of 2 to 40 KJ / m 2 at room temperature. The random polypropylene has a stiffness lower than that of the block copolypropylene, but has excellent impact properties.

상기 무기필러의 함량은 20~35w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때 무기필러의 함량이 20wt% 미만이면 굴곡탄성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며, 35wt%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무기필러는 탈크, 유리섬유, 운모, 탄산칼슘, 규회석, 황산바륨, 클레이 및 마그네슘설페이트휘스커, 칼슘설페이트휘스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is preferably 20 to 35 wt%. If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is less than 20 wt%, the flexural modulus is lowered. If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is more than 35 wt%, the impact resistance may be lowered. The inorganic filler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lc, glass fiber, mica, calcium carbonate, wollastonite, barium sulfate, clay and magnesium sulfate whisker, and calcium sulfate whisker.

또한, 상기 고무의 함량은 10~25w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때 고무의 함량이 10wt%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고무의 함량이 25wt%를 초과할 경우에는 굴곡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고무는 에틸렌옥텐러브(EOR), 에틸렌부텐러브(EBR), 에틸렌프로필렌러브(EPR), 에스이비에스(SEBS) 중에서 1종이상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ntent of the rubber is less than 10 wt%, the impact resistance is lowered. When the content of the rubber is more than 25 wt%, the flexural elasticity may be lowered. have. The rubber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ethylene octene rubber (EOR), ethylene butene rubber (EBR), ethylene propylene rubber (EPR), and SEBS.

상기 상용화제의 함량은 0.1~5w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때 상용화제의 양이 0.1wt%미만에서는 충분한 내스크래치성이 발현되지 않고, 5wt%를 초과할 경우에는 굴곡탄성률과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f the content of the compatibilizing agent is less than 0.1 wt%, sufficient scratch resistance is not exhibited. If the amount of the compatibilizing agent is more than 5 wt%, the flexural modulus and impact resistance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on.

상기 상용화제는 말레인산 또는 말레인산 무수물을 0.1~10wt%,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에틸렌 99.9~90w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atibilizing agent may contain 0.1 to 10 wt% of maleic acid or maleic anhydride, 99.9 to 90 wt% of polypropylene and / or polyethylene.

또한, 내스크래치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이고, 함량이 0.1~5wt%인 것이 바람직한 바, 이때 함량이 0.1wt% 미만에서는 내스크래치성이 부족하고, 5wt%을 초과하면 굴곡탄성률이 저하될 수 있다.The scratch resistant material is preferably polydimethylsiloxane having a content of 0.1 to 5 wt%.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wt%, the scratch resistance is insufficient, and when the content is more than 5 wt%, the flexural modulus may decrease.

본 발명에서 전술한 Erichen 법에 의한 DL 값은 0.2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다.The DL value according to the Erichen method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0.2 or less, preferably 0.1 or less.

전술한 DL(Delta L)은 색차 측정값으로써, L(Lightness)은 명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며, L*100 이면 White 이고, L*0 이면 Black을 나타낸다. L의 수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색이 밝음을 나타낸다.The above-described DL (Delta L) is a color difference measurement value, and L (Lightness) is a numerical value indicating brightness. When L * 100 is White, L * 0 indicates Black. The higher the value of L, the brighter the color.

본 발명은 내스크래치제와 상용화제를 함께 사용하므로 내스크래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었다. 내스크래치제만 사용하였을 때에는 내스크래치성 DL값이 0.2 이하의 제품을 얻을 수 없었다. 이는 내스크래치성 향상을 위해서는 상용화제를 필수 성분으로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실리콘계 내스크래치제는 실리콘의 표면장력이 낮기 때문에 마찰계수를 낮추어서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는 것만 목적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용화제의 역할도 내스크래치성 향상에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scratch resis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improved by using the scratch agent and the compatibilizer together. When only scratch resistance was used, a product having scratch resistance DL value of 0.2 or less was not obtained. This means that a compatibilizing agent must be an essential component in order to improve scratch resistance. Conventional scratches in silicones have a low surface tension of silicon and therefore have a purpose of improving the scratch resistance by lowering the friction coeffici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the role of the compatibilizer is also very important for improving the scratch resistance.

즉, 무기필러를 함유하고 있는 복합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외부 충격에 의해서 무기필러가 복합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떨어져 나올 수 있다. 이는 내스크래치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상용화제를 사용할 경우 무기필러와 복합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서 외부 충격에 의해서 무기필러의 이탈 현상이 현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된다.That is, in the composit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inorganic filler, the inorganic filler may come off from the composit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due to an external impact. This may cause degradation of scratch resistance. When the compatibilizing agent is used, the adhesion between the inorganic filler and the composit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is improved, so that the separation phenomenon of the inorganic filler is remarkably lowered by the external impact.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굴곡탄성률은 1000~2100MPa 이며, 바람직하게는 1200~2100MPa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2100MPa 이다. 이때, 상기 굴곡탄성률이 1000MPa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며, 2100MPa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The flexural modulus of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is 1000 to 2100 MPa, preferably 1200 to 2100 MPa, and more preferably 1200 to 2100 MPa. If the bending modulus of elasticity is less than 1000 MPa, the stiffness is decreased. When the flexural modulus exceeds 2100 MPa, the impact resistance is decreased.

상기 Izod 충격강도는 16~40KJ/m2이며, 16KJ/m2미만이면 충격강도가 너무 약해서 볼링공을 제공하는 볼링공 제공장치의 내외장재로서 부적합하고, 40KJ/m2 초과하면 강성이 너무 약해서 부품 외형 변화가 쉽다.The Izod impact strength is in the range of 16 to 40 KJ / m < 2 >. If the impact strength is less than 16 KJ / m < 2 >, the impact strength is too weak to be suitable as an internal or external material for a bowling ball providing apparatus. easy.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는 0.2~150g/10min(ASTM D1238, 2.16kg, 230℃)이며, 바람직하게는 20~130g/10min(ASTM D1238, 2.16kg, 23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120g/10min(ASTM D1238, 2.16kg, 230℃) 이다. 상기 용융지수가 0.2g/10min(ASTM D1238, 2.16kg, 230℃) 미만이면 겔과 같은 결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고, 150g/10min(ASTM D1238, 2.16kg, 230℃)을 초과하면 유동성은 우수하나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The melt index of the polypropylene is 0.2 to 150 g / 10 min (ASTM D1238, 2.16 kg, 230 ° C), preferably 20 to 130 g / 10 min (ASTM D1238, 2.16 kg, 230 ° C) 120 g / 10 min (ASTM D1238, 2.16 kg, 230 占 폚). If the melt index is less than 0.2 g / 10 min (ASTM D1238, 2.16 kg, 230 ° C),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defects such as gel. If the melt index exceeds 150 g / 10 min (ASTM D1238, 2.16 kg, 230 ° C) And the impact resistance is deteriorated.

상기 폴르포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복합 수지 조성물로써, 용융지수는 3~40g/10min(ASTM D1238, 2.16kg, 23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35g/10min(ASTM D1238, 2.16kg, 230℃)이다. 이때, 상기 용융지수가 3g/10min(ASTM D1238, 2.16kg, 230℃) 미만이면 사출 시에 외관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40g/10min(ASTM D1238, 2.16kg, 230℃)을 초과하면 사출 시에 사출압이 정상적으로 걸리지 않아서 성형물에 싱크나 버(burr)등의 결함이 생길 수 있다.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is preferably a composite resin composition having a melt index of 3 to 40 g / 10 min (ASTM D1238, 2.16 kg, 230 DEG C), more preferably 7 to 35 g / 10 min (ASTM D1238, 2.16 kg, 230 [deg.] C). If the melt index is less than 3 g / 10 min (ASTM D1238, 2.16 kg, 230 ° C),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ppearance failure at the time of injection. If the melt index exceeds 40 g / 10 min (ASTM D1238, 2.16 kg, 230 ° C) The injection pressure is not normally applied to the molded article, and defects such as sinks and burrs may occur in the molded articl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
10: 볼링 레인 11: 실제 볼링 레인
12: 도움 닫기부 20: 스크린
21: 가상 볼링핀 22: 가상 볼링 레인
30: 센서 장치 40: 촬영 장치
50: 중앙 제어 장치 60: 볼링공 제공장치
70: 볼링공 회수장치 71: 유도레일
72: 정지부재 80: 프로젝터
510: 통신부 520: 정보 선택부
530: 제1 정보 생성부 540: 제2 정보 생성부
550: 게임 정보 생성부 560: 정보 출력부
570: 저장부 580: 제어부
1: Bowling exercis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screen
10: Bowling lane 11: Actual bowling lane
12: help closing part 20: screen
21: Virtual Bowling Pin 22: Virtual Bowling Lane
30: sensor device 40: photographing device
50: central control device 60: bowling ball providing device
70: Bowling ball collecting device 71: Induction rail
72: stop member 80: projector
510: communication unit 520: information selection unit
530: firs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40: secon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50: Gam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60: Information output unit
570: Storage unit 580: Control unit

Claims (1)

볼링에 대한 연습 및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볼링 레인; 상기 볼링 레인의 길이 방향에 대한 후단부에 설치되어, 하나의 가상 볼링 레인과 가상 볼링 핀의 영상이나 스코어링 정보를 출력하거나 복수 개의 가상 볼링 레인과 각각의 가상 볼링 핀의 영상이나 스코어링 정보를 출력하는 스크린; 상기 볼링 레인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진행되는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장치; 상기 제1 볼링공의 힘의 벡터량을 감지하는 힘 감지 장치; 상기 스크린과 상기 센서 장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으로 향하는 제1 볼링공의 이동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비젼형 또는 스핀형 카메라 장치이거나 라인 스캔 카메라를 구비하는 촬영 장치; 상기 볼링 레인의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선택된 제1 볼링공을 제공하는 볼링공 제공장치; 상기 볼링 레인의 후단부이고, 상기 스크린의 하부 또는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볼링공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제1 볼링공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여 상기 제1 볼링공을 상기 볼링공 제공장치로 회수하는 볼링공 회수장치; 및 상기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 및 이동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볼링공에 대응되는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크린으로 제공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볼링공의 이동 정보 및 이동 영상 정보와 상기 힘 벡터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볼링공에 대응되는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정보 생성부; 상기 제2 볼링공의 가상 이동 정보 및 가상 이동 영상 정보와 상기 힘 벡터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볼링공과 가상 볼링 핀과의 충돌 정보 및 충돌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정보 생성부; 및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볼링 게임의 종류와, 제2 볼링공과 가상 볼링 핀과의 충돌 정보 및 충돌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점수로 표현하기 위하여, 가상 볼링 핀의 쓰러진 개수를 자동 인식하여 이를 점수로 변환하여 해당 스코어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링공 회수 장치는 제1 볼링공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스크린의 후방에 구비된 정지 쿠션을 포함하는 정지 부재와, 제1 볼링공의 회수를 위하여 실제 볼링 레인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볼링공 회수장치로부터 볼링공 제공장치 측으로 하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유도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장치는 상기 제1 볼링공의 이동 궤적을 감지하도록 상기 볼링 레인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면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볼링공 제공장치의 케이스는 블록코폴리프로필렌 30~69.8wt%, 무기필러 20~35wt%, 고무 10~25wt%, 상용화제 0.1~5wt% 및 내스크래치제 0.1~5wt%를 포함하며, Erichsen 법에 의한 DL값이 0.2 이하 이고, 굴곡탄성률이 1000~2100MPa 이며, Izod 충격강도가 16~40KJ/m2이고,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가 0.2~150g/10min(ASTM D1238, 2.16kg, 230℃)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는 3~40g/10min(ASTM D1238, 2.16kg, 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이용한 볼링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
Bowling lanes for exercises and games for bowling;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s or scoring information of one virtual bowling lane and a virtual bowling pin or outputting a plurality of virtual bowling lanes and image or scoring information of each virtual bowling pin at a rear end of the bowling la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creen; A sensor device disposed between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bowling lan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nsing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by the user; A force sensing device sensing a vector amount of a force of the first bowling hole; At least one camera device disposed between the screen and the sensor device for capturing moving image information of a first bowling hole directed to the screen or a photographing device having a line scan camera; A bowling ball providing device disposed around the bowling lane to provide a first bowling ball previously selected by a user; A rear end of the bowling lane and disposed in a lower or rear area of the screen to stop the first bowling ball or to guide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to guide the first bowling ball to the bowling ball providing device A bowling ball recovery device for recovering;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generating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and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of a second bowling ball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wling ball on the basis of movement information and moving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However,
The central control unit generates virtual movement information and virtual movement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wling ball on the basis of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bowling ball and the mov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force vector quantity information A first information generator; A secon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collision information and collision result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bowling ball and the virtual bowling pin based on the virtual movement information, the virtual mov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force vector quant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bowling ball; And the number of collapsed virtual bowling pins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converted into a score in order to express the score using the type of the bowling game selected by the user, the collision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bowling ball and the virtual bowling pin, and the collision result information And a gam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e score information,
The bowling ball collecting apparatus includes a stationary member including a stationary cushion provided behind the screen for stopping the first bowling hole, and a plurality of bowling ball collecting units provided respectively on right and left sides of the actual bowling lane for collecting the first bowling ball, And a guide rail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apparatus toward the bowling hole providing apparatus side,
Wherein the sensor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face detection sensors position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wling lane to detect movement trajectories of the first bowling ball, wherein the case of the bowling ball providing device comprises 30 to 69.8 wt% of block copolypropylene, , An inorganic filler in an amount of 20 to 35 wt%, a rubber in an amount of 10 to 25 wt%, a compatibilizer in an amount of 0.1 to 5 wt%, and a scratch in an amount of 0.1 to 5 wt%, a DL value of 0.2 or less according to the Erichsen method and a flexural modulus in a range of 1000 to 2100 MPa , An Izod impact strength of 16 to 40 KJ / m 2 and a melt index of block copolypropylene of 0.2 to 150 g / 10 min (ASTM D1238, 2.16 kg, 230 ° C).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a melting index of 3 to 40 g / 10 min (ASTM D1238, 2.16 kg, 230 DEG C).
KR1020170076639A 2017-06-16 2017-06-16 Bowling exercis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 Active KR1019058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639A KR101905856B1 (en) 2017-06-16 2017-06-16 Bowling exercis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639A KR101905856B1 (en) 2017-06-16 2017-06-16 Bowling exercis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527 Division 2016-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087A KR20170121087A (en) 2017-11-01
KR101905856B1 true KR101905856B1 (en) 2018-11-28

Family

ID=6038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639A Active KR101905856B1 (en) 2017-06-16 2017-06-16 Bowling exercis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85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285A (en) 2021-01-15 2022-07-22 주식회사 엠디퍼트 System and Method for Bowling Game through Network Interconne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070B1 (en) * 2018-01-18 2020-01-13 주식회사 뉴딘콘텐츠 Virtual bowling simulation system
KR102048782B1 (en) 2018-10-25 2019-11-26 주식회사 더브이엑스 Screen bowling system and method using 3d motion sensor embedded within bowling ball
KR102508347B1 (en) 2021-12-30 2023-03-10 한국자원거래소 주식회사 Bowling game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611954B1 (en) * 2023-07-11 2023-12-11 서동원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viding bowling platform ser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9692A (en) * 2000-12-21 2005-10-06 ハンセン、ヤン Virtual bowl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9692A (en) * 2000-12-21 2005-10-06 ハンセン、ヤン Virtual bow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285A (en) 2021-01-15 2022-07-22 주식회사 엠디퍼트 System and Method for Bowling Game through Network Interconn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087A (en)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856B1 (en) Bowling exercis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
US10994187B2 (en) Swing alert system and method
TWI565505B (en) A screen baseball game apparatus without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EP2992938B1 (en) Dart game device, dart gam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9454825B2 (en) Predictive flight path and non-destructive marking system and method
KR101239527B1 (en) Baseball batting and pitching training system having led light sensors
KR101386034B1 (en) Billiards teach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86462B1 (en) Tennis exercise and gam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creen
KR101677686B1 (en) Sport exercise simulation system using screen
KR101995906B1 (en) System for virtual reality sports
KR101435506B1 (en) Coaching robot for training trainee to hit object and mehtod for controlling the same
Gray Expert baseball batters have greater sensitivity in making swing decisions
KR20150109614A (en) Screen baseball pitching game system and the method using infrared camera bar
KR20130025278A (en) Apparatus for baseball game and method for providing baseball game thereof
KR20210026586A (en) System for virtual reality sports
KR101247794B1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golf lessons
MacMahon et al. The psychology of decision making in sports officials
KR102378555B1 (en) 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the play information
CN108159664A (en) A kind of trained tennis racket
WO2017131262A1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baseball game
KR102064402B1 (en) Placement System of Billiard Ball Using Internet and Method thereof
JP2005520607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especially for bowling alleys
KR102712476B1 (en) Realistic Metaverse Augmented Reality Tennis System
KR20190081090A (en) Walking machine system showing user's motion
US20220288457A1 (en) Alternate reality system for a ball s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61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422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04952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7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70616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