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335B1 - Dry double clutch - Google Patents
Dry double clut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5335B1 KR101905335B1 KR1020170142539A KR20170142539A KR101905335B1 KR 101905335 B1 KR101905335 B1 KR 101905335B1 KR 1020170142539 A KR1020170142539 A KR 1020170142539A KR 20170142539 A KR20170142539 A KR 20170142539A KR 101905335 B1 KR101905335 B1 KR 1019053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nkshaft
- connector
- rotor
- double clutch
- insertion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385—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double clutches, i.e. comprising two friction disc mounted on one driven sh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 B60Y2400/424—Friction clutches
- B60Y2400/4242—Friction clutches of dry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더블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크랭크샤프트(11)에 커플링로터(20)가 볼트(24)로 결합되고, 커플링로터(20)와 건식 더블 클러치(30)의 커넥팅플레이트(38)가 스플라인 결합된다. 크랭크샤프트(11)와 건식 더블 클러치(30)의 연결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double clutch wherein a coupling rotor (20) is coupled to a crankshaft (11) with a bolt (24) and a coupling rotor (20) Are spline coupl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nection operation of the crankshaft 11 and the dry double clutch 30 is very easily and quickly per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식 더블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에 보다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건식 더블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double clu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 double clutch that can be more easily connected to an engine.
건식 더블 클러치(DDC ; Dry Double Clutch)는 홀수단용과 짝수단용의 클러치를 각각 구비한 것으로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 Double Clutch Transmission)의 일부를 구성한다. 더블 클러치 변속기는 상기 2개의 클러치에 각각 연결된 홀수단과 짝수단용 입력축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입력축에 홀수단 기어와 짝수단 기어들이 설치된다.A dry double clutch (DDC), which includes a clutch for an odd-numbered stage and a clutch for an even-numbered stage, constitutes a part of a double clutch transmission (DCT). The double clutch transmission includes an odd-numbered stage and an even-numbered stage input shaft connected to the two clutches, respectively.
따라서 현재의 변속단이 구현되어 있는 한 입력축에 연결된 클러치를 해제하면서 다음 변속단이 구현되어 있는 다른 입력축에 연결된 클러치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변속이 이루어짐으로써 변속시 토크 전달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매우 신속하게 변속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s long as the current gear range is implemented, the clutch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is disengaged and the clutch connected to the other input shaft on which the next gear range is implemented is engaged to prevent the disconnection of the torque transmission during shift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hift is performed very quickly.
종래의 건식 더블 클러치는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에 댐퍼플라이휠이 다수의 볼트를 매개로 장착되고, 댐퍼플라이휠에 건식 더블 클러치의 커넥팅플레이트가 다수의 리벳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조립되었다.In the conventional dry double clutch, a damper flywheel is mounted on a crankshaft of an engine through a plurality of bolts, and a connecting plate of a dry double clutch is connected to a damper flywheel by a plurality of rivets.
따라서 볼트와 리벳 등 체결 부품의 수가 많아 조립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number of fastening parts such as bolts and rivets is large, so that assembly is troublesome and time-consuming.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체결 부품의 수가 크게 감소되어 엔진 크랭크샤프트에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건식 더블 클러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y double clutch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ngine crankshaft more easily and quick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크랭크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커넥팅플레이트, 커넥팅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중간플레이트, 중간플레이트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제1입력축과 제2입력축에 각각 연결되는 제1디스크와 제2디스크, 상기 제1디스크와 제2디스크를 중간플레이트에 접촉 회전시키기 위한 제1압력판과 제2압력판 및 제1압력판과 제2압력판 각각을 작동시키는 다이어프램스프링레버들을 포함하는 건식 더블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커플링로터가 볼트 결합되고, 그 커플링로터에 상기 커넥팅플레이트가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ngine, comprising: a connecting plate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from a crankshaft of an engine; an intermediate plat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and integrally rotated; A first pressure plate, a first pressure plate, and a second pressure plate for rotating the first disk and the second disk in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plate,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disks being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and the second input shaft, Wherein a coupling rotor is bolted to the crankshaft and the connecting plate is splined to the coupling rotor.
상기 커플링로터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그 커넥터는 외주면에 스플라인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팅플레이트와 스플라인 결합되고, 일측면에 형성된 허브가 크랭크샤프트의 외주면에 스플라인 결합된다.The coupling rotor includes a connector having a spline tooth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spline coupled with the connecting plate, and a hub formed on one side is spli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shaft.
상기 커플링로터는 로터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그 로터슬리브는 베어링장착부와, 베어링장착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삽입부와, 제1삽입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부가 커넥터의 일측면에 형성된 안착단에 삽입 안착되고, 그 양측(커넥터와 로터슬리브)의 접촉면이 상호 용접되어 커넥터와 로터슬리브가 일체화된다.The coupling rotor further includes a rotor sleeve having a bearing mounting portion, a first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earing mounting portion,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The first inserting portion is inserted and seated in a seating end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and the contact surfaces of both sides thereof (the connector and the rotor sleeve) are wel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or and the rotor sleeve are integrated.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단부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슬리브의 제2삽입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 안착되며, 상기 제2삽입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크랭크샤프트의 대응 위치에 탭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관통홀을 통해 탭홀에 체결된다.A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an end surface of the crankshaft, a second insertion portion of the rotor sleeve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and a tapped hole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crankshaft And the bolt is fastened to the tapped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베어링장착부에 파일럿베어링이 압입되고, 그 파일럿베어링에 상기 제1입력축의 단부가 지지된다.A pilot bearing is press-fitted into the bearing mounting portion, and the end of the first input shaft is supported by the pilot bear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와 건식 더블 클러치의 커넥팅플레이트가 커플링로터를 매개로 직접 연결됨으로써 체결 부품의 수가 크게 감소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fastening parts is greatly reduced by connecting the crankshaft of the engine and the connecting plate of the dry double clutch directly through the coupling rotor.
따라서 다수의 체결 부품을 일일이 조립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건식 더블 클러치의 연결 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빠르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assemble a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individually, so that the connection operation of the dry double clutch can be carried out very easily and quick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제1샤프트(내측샤프트)의 일단부가 크랭크샤프트에 고정되는 상기 커플링로터에 파일럿베어링을 매개로 지지됨으로써 지지 상태가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며, 이에 변속기의 소음 및 진동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state is more stably and stabilized by being supported via the pilot bearing in the coupling rotor in which one end of the first shaft (inner shaft) of the double clutch transmission is fixed to the crankshaft, Noise and vibration ar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더블 클러치의 크랭크샤프트 연결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된 건식 더블 클러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로서 건식 더블 클러치의 크랭크샤프트 연결부 확대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rankshaft connection portion of a dry double clu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y double clutch connected to a crankshaft;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crankshaft connecting portion of the dry type double clutch shown in Fig. 2;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precedent.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 더블 클러치(30)는 커플링로터(20)를 매개로 엔진(10)의 크랭크샤프트(11)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dry
건식 더블 클러치(30)의 내부에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의 제1입력축(41)과 제2입력축(42)이 삽입된다.The
제1입력축(41)은 솔리드샤프트(Solid shaft)로서 할로우샤프트(Hollow shaft)인 제2입력축(42)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그 단부는 제2입력축(42)의 단부보다 엔진(10)쪽으로 소정 거리 더 돌출되어 있다.The
건식 더블 클러치(30)는 중간플레이트(31)와 그 양 옆에 구비되는 제1디스크(32)와 제2디스크(33) 및 각 디스크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압력판(34)과 제2압력판(35)을 포함하며, 이들 압력판을 작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다이어프램스프링레버(36,37)를 구비한다.The dry
중간플레이트(31)는 베어링을 매개로 제2입력축(42)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커넥팅플레이트(38)와 리벳으로 연결된다. 커넥팅플레이트(38)는 크랭크샤프트(11)측에 연결되어 엔진 작동 중에는 항상 회전되는 것이므로 이와 연결된 중간플레이트(31)도 엔진 작동 중에는 항상 회전된다.The
제1디스크(32)와 제2디스크(33)는 각각 제1입력축(41)과 제2입력축(42)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해당 입력축과 함께 일체로 회전된다.The
따라서 클러치 조작 기구에 의해 다이어프램스프링레버(36,37)가 조작되면 압력판(34,35)이 디스크(32,33)를 중간플레이트(31)에 가압 밀착시켜 이를 회전시키며, 따라서 회전되는 디스크(32,33)가 장착된 입력축(41,42)이 회전되어 변속기로 동력이 전달된다. 이때 2개의 동력 전달 라인 중 하나씩만 작동하게 됨은 물론이다.When the diaphragm spring levers 36 and 37 are operated by the clutch operating mechanism, the
상기 커플링로터(20)는 커넥터(21)와 로터슬리브(22)를 포함한다.The coupling rotor (20) includes a connector (21) and a rotor sleeve (22).
커넥터(21)는 대략 원판형 부재로서 외주면에 상기 커넥팅플레이트(38)의 내경부에 형성된 스플라인치형(38a)과 치합되는 스플라인치형(21a)이 형성된다. 또한 커넥터(21)의 중앙 부분에는 크랭크샤프트(11)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허브(21b)가 형성되며, 허브(21b)의 내주면에 크랭크샤프트(11)와의 스플라인 결합을 위한 스플라인치형(21c)이 형성된다.The
또한 커넥터(21)의 일측면(허브(21b)가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는 허브(21b)와 동심 관계에 있는 링 형상의 안착단(21d)이 돌출 형성된다.Further, a ring-
로터슬리브(22)는 외주면에 복수의 단차가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부품으로서,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경부인 베어링장착부(22a)와, 베어링장착부(22a)의 일측면에 감소된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 제1삽입부(22b)와, 제1삽입부(22b)의 중앙 부분에 더욱 감소된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 제2삽입부(22c)가 형성된다.The
로터슬리브(22)는 상기 제1삽입부(22b)가 커넥터(21) 안착단(21d)의 내경부에 삽입 안착된 후 커넥터(21)와 로터슬리브(22) 양측의 접촉면이 용접됨으로써 커넥터(21)에 일체로 결합된다.The
상기 베어링장착부(22a)에는 파일럿베어링(23)이 압입 설치된다.A pilot bearing 23 is press-fitted into the
크랭크샤프트(11)의 단부면 중앙에는 상기 로터슬리브(22)의 제2삽입부(22c)가 삽입되는 원형의 수용홈(11a)이 형성되고, 수용홈(11a)의 중앙에는 크랭크샤프트(11)의 축방향 내측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탭홀(11b)이 형성된다. 이 탭홀(11b)에 대응하여 로터슬리브(22)의 제2삽입부(22c)에는 관통홀(22d)이 형성된다.A
또한 크랭크샤프트(11)의 외주면에는 커넥터(21) 허브(21b)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치형(21c)에 대응되는 스플라인치형(11c)이 형성된다.A
상기와 같은 커넥터(21)와 로터슬리브(22)와 파일럿베어링(23)이 조립된 상태의 커플링로터(20)가 볼트(24)를 매개로 엔진(10)의 크랭크샤프트(11)에 장착된다.The
먼저, 상기 커넥터(21)의 허브(21b)가 크랭크샤프트(11)의 외주면에 감합되어 상기 두 스플라인치형(11c,21c)이 치합된다. 즉, 크랭크샤프트(11)에 커넥터(21)가 스플라인 결합된다.First, the
이때 로터슬리브(22)의 제2삽입부(22c)는 크랭크샤프트(11)의 단부에 형성된 수용홈(11a)에 삽입 안착된다.At this time, the
이후 상기 관통홀(22d)을 통해 볼트(24)를 삽입하여 상기 탭홀(24)에 체결함으로써 로터슬리브(22)가 크랭크샤프트(11)에 고정된다.The
상기와 같이 커넥터(21)와 크랭크샤프트(11)가 스플라인 결합됨으로써 커플링로터(20)가 크랭크샤프트(11)에 회전 방향으로 고정되고, 로터슬리브(22)가 크랭크샤프트(11)에 볼트(24) 체결됨으로써 커플링로터(20)가 크랭크샤프트(11)에 축방향으로 고정된다.The
이후 건식 더블 클러치(30)의 커넥팅플레이트(38)를 커플링로터(20)의 커넥터(21)와 스플라인 결합하면(스플라인치형(21a)와 스플라인치형(38a)의 결합) 크랭크샤프트(11)와 건식 더블 클러치(30)의 연결 작업이 완료된다.The connecting
상기와 같은 연결 상태에서 변속기의 제1입력축(41) 단부는 로터슬리브(22)에 설치된 파일럿베어링(23)의 내륜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The end of the
상기와 같은 연결 구조에 의해 엔진(10) 동력은 크랭크샤프트(11), 커넥터(21), 커넥팅플레이트(38)를 통해 중간플레이트(31)로 전달되고, 그 중간플레이트(31)에 제1디스크(32) 또는 제2디스크(33)가 선택적으로 접촉 회전됨으로써 회전되는 디스크에 연결된 입력축(41 또는 42)을 통해 변속기로 전달된다.The power of the
상기 커플링로터(20)는 커넥터(21)와 로터슬리브(22)가 용접되고 로터슬리브(22)에 파일럿베어링(23)이 압입된 어셈블리 상태로 클러치 및 변속기 조립 라인으로 투입된다.The
즉, 조립라인에서는 커플링로터(20)를 크랭크샤프트(11)에 볼트(24) 조립 한 뒤(1회), 건식 더블 클러치(30)의 커넥팅플레이트(38)와 커플링로터(20)의 커넥터(21)를 스플라인 결합시키기만 하면 건식 더블 클러치(30)와 크랭크샤프트(11)의 연결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assembly line, the
이와 같이 크랭크샤프트(11)에 커플링로터(20)를 매개로 건식 더블 클러치(30)가 직결되되, 이러한 연결 작업은 하나의 볼트(24) 조립과 한 번의 스플라인 체결 작업에 의해 완료되므로 종래에 다수의 볼트로 댐퍼플라이휠을 크랭크샤프트에 연결하고 다수의 리벳으로 건식 더블 클러치를 댐퍼플라이휠에 연결할 때에 비하여 체결 부품의 수가 크게 감소되므로 연결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way, the dry
또한 상기 커플링로터(20)는 커넥터(21)가 크랭크샤프트(11)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로터슬리브(22)가 크랭크샤프트(11)에 볼트(24) 결합됨으로써 크랭크샤프트(11)에 대해 회전 방향 및 축 방향 모두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The
이와 같이 견고하게 고정된 커플링로터(20)의 로터슬리브(22)에 제1입력축(41)이 파일럿베어링(23)을 매개로 지지됨으로써 제1입력축(41)의 지지 상태가 안정되어 변속기의 소음 및 진동 저감에 도움이 된다.Sinc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understanda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엔진 11 : 크랭크샤프트
11a : 수용홈 11b : 탭홀
11c : 스플라인치형 20 : 커플링로터
21 : 커넥터 21a : 스플라인치형
21b : 허브 21c : 스플라인치형
21d : 안착단 22 : 로터슬리브
22a : 베어링장착부 22b : 제1삽입부
22c : 제2삽입부 22d : 관통홀
23 : 파일럿베어링 24 : 볼트
30 : 건식 더블 클러치 31 : 중간플레이트
32 : 제1디스크 33 : 제2디스크
34 : 제1압력판 35 : 제2압력판
36,37 : 다이어프램스프링레버 38 : 커넥팅플레이트
38a : 스플라인치형10: engine 11: crankshaft
11a: receiving
11c: spline teeth 20: coupling rotor
21:
21b:
21d: seat 22: rotor sleeve
22a: bearing mounting
22c:
23: Pilot bearing 24: Bolt
30: dry double clutch 31: intermediate plate
32: first disk 33: second disk
34: first pressure plate 35: second pressure plate
36, 37: diaphragm spring lever 38: connecting plate
38a: Spline tooth profile
Claims (5)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커플링로터가 볼트 결합되고, 그 커플링로터에 상기 커넥팅플레이트가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더블 클러치.A connecting plate tha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and integrally rotates, a first disk which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which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shaft and the second input shaft of the double clutch transmission, And a diaphragm spring lever for actuating a first pressure plate, a second pressure plate, and a first pressure plate and a second pressure plate for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disks in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plate, As a result,
A coupling rotor is bolted to the crankshaft and the connecting plate is splined to the coupling rotor.
상기 커플링로터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그 커넥터는 외주면에 스플라인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팅플레이트와 스플라인 결합되고, 일측면에 형성된 허브가 크랭크샤프트의 외주면에 스플라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더블 클러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rotor includes a connector, the connector having a spline tooth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spline coupled with the connecting plate, and a hub formed on one side thereof is spli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shaft.
상기 커플링로터는 로터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그 로터슬리브는 베어링장착부와, 베어링장착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삽입부와, 제1삽입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2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부가 커넥터의 일측면에 형성된 안착단에 삽입 안착되고, 그 양측(커넥터와 로터슬리브)의 접촉면이 상호 용접되어 커넥터와 로터슬리브가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더블 클러치.The method of claim 2,
The coupling rotor further includes a rotor sleeve having a bearing mounting portion, a first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earing mounting portion,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Wherein the first inserting portion is inserted and seated in a seating end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and the contact surfaces of both sides thereof (the connector and the rotor sleeve) are welded together so that the connector and the rotor sleeve are integrated.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단부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슬리브의 제2삽입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 안착되며, 상기 제2삽입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크랭크샤프트의 대응 위치에 탭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관통홀을 통해 탭홀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더블 클러치.The method of claim 3,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an end surface of the crankshaft, a second insertion portion of the rotor sleeve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and a tapped hole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crankshaft And the bolt is fastened to the tapped hole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베어링장착부에 파일럿베어링이 압입되고, 그 파일럿베어링에 상기 제1입력축의 단부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더블 클러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pilot bearing is press-fitted into the bearing mounting portion, and an end of the first input shaft is supported by the pilot bear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2539A KR101905335B1 (en) | 2017-10-30 | 2017-10-30 | Dry double clutc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2539A KR101905335B1 (en) | 2017-10-30 | 2017-10-30 | Dry double clutc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5335B1 true KR101905335B1 (en) | 2018-10-05 |
Family
ID=6387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2539A Active KR101905335B1 (en) | 2017-10-30 | 2017-10-30 | Dry double clutc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5335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93963B2 (en) | 1988-03-23 | 1997-12-24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Starting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s |
-
2017
- 2017-10-30 KR KR1020170142539A patent/KR10190533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93963B2 (en) | 1988-03-23 | 1997-12-24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Starting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08820B2 (en) |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 |
US10458486B2 (en) | Clutch mechanism and method for installing such mechanism on transmission drivetrain | |
CN109661525B (en) | Clutch mechanism and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such a clutch mechanism | |
CN110382899B (en) | Removable dual clutch mechanism | |
CN107448502A (en) | Axial snap fit system for clutch mechanism | |
CN101225867B (en) | Applied to two flywheels on a dry double clutch | |
US6851536B2 (en) | Dual clutch | |
EP2169247B1 (en) | Multiple disc clutch | |
EP2169248B1 (en) | Multiple disc clutch | |
CN109983245B (en) | Radial assembly of clutch mechanism on transmission | |
KR101905335B1 (en) | Dry double clutch | |
CN100532875C (en) | Dry dual clutch with low moment of inertia | |
US5901825A (en) | Modular clutch | |
JP2019090429A (en) | Clutch device | |
CN201129373Y (en) | Dry dual clutch | |
JP3944218B2 (en) | Motorcycle clutch device | |
US11118662B2 (en) | Lock-up device | |
KR101202908B1 (en) | Double dry clutch | |
JP5372870B2 (en) | Clutch device | |
KR20190064003A (en) | Eccentricity prevention device for diaphragm of double clutch | |
WO2018061626A1 (en) | Motorcycle clutch device | |
JP2016118202A (en) | Refrigerant compressor | |
JP2020502447A (en) | Torque transmission module for mounting on automobile transmission | |
KR102181182B1 (en) | Clutch assembly having balance piston and automatic transmission comprising the same | |
WO2018061639A1 (en) | Motorcycle clutch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