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5066B1 -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066B1
KR101905066B1 KR1020160093359A KR20160093359A KR101905066B1 KR 101905066 B1 KR101905066 B1 KR 101905066B1 KR 1020160093359 A KR1020160093359 A KR 1020160093359A KR 20160093359 A KR20160093359 A KR 20160093359A KR 101905066 B1 KR101905066 B1 KR 10190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sample
storage
unit
dra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754A (ko
Inventor
권오원
김창원
이동규
서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93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0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0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8Sensor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obotic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를 통해 보관실의 개폐 동작에서 검체의 보관온도를 안정화시키며, 검체의 외기 노출 시간을 최소화하여 최적의 온도 조건에서 검체를 보관 운반할 수 있는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검체보관장치는 검체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실이 구비되는 보관바디유닛와, 검체가 안착 지지되도록 보관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랍과 서랍에 구비되어 보관실을 개폐하는 개폐도어와 보관실에서 서랍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서랍구동부를 포함하는 서랍유닛과, 검체의 보관조건에 따라 보관실 또는 서랍 또는 검체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과, 보관실의 개폐조건에 따라 서랍구동부를 동작시켜 보관실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서랍제어유닛 및 검체의 보관조건에 따라 냉각유닛을 동작시켜 보관실 또는 서랍 또는 검체의 냉각 상태를 제어하는 냉각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서랍에는 검체가 수납되도록 상측이 개구되는 안착공간과, 안착공간을 감싸는 차단격벽 및 안착공간에 구비되어 검체가 지지되는 안착지지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DEVICE FOR KEEPING SPECIMEN AND SYSTEM FOR MANAGING SPECIMEN AND CONTROL METHOD OF THE SYSTEM}
본 발명은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화를 통해 보관실의 개폐 동작에서 검체의 보관온도를 안정화시키며, 검체의 외기 노출 시간을 최소화하여 최적의 온도 조건에서 검체를 보관 운반할 수 있는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보건소, 의약품 제조사 등의 의료관련 기관에는 일정 장소에 의료용 냉장고를 설치한다. 이러한 의료용 냉장고에는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된 일정 온도 범위에서 각종 냉장보관용 의약품이나 혈액, 시료, 각종 백신 등과 같은 검체가 보관됨으로써, 검체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의료용 냉장고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전면도어를 투명한 상태로 형성하고, 저장실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선반이 상하로 배치되도록 설계하여 외부에서 용이하게 검체를 식별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는 수작업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고,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저장실의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저장실의 온도 유지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장실의 입구 측에 에어커튼을 설치하기도 하지만, 에어커튼에 의한 연무 효과, 에어커튼에서 토출되는 유체의 세기 등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 저장실에 보관된 검체의 식별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9544호(발명의 명칭 : 의료용 냉장 쇼케이스의 냉각 제어시스템 제어방법, 2009. 01. 22. 공고)
본 발명은 고도화 및 첨단화된 대형병원 위주의 의료서비스를 기반으로 하여 현장 수요에 적합한 중소형 병원에도 최적화된 의료시스템을 개발 보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검사 제반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병원은 물론 중소형병원 및 응급실에서 신속한 검체관리 체계를 보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병원은 물론 중소형병원 및 응급실에서 대용량의 검체 관리 체계를 최적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기기 관련 산업의 시장점유율 확대와 검체 검사실의 관리 효율성 증강 및 의료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동화를 통해 보관실의 개폐 동작에서 검체의 보관온도를 안정화시키며, 검체의 외기 노출 시간을 최소화하여 최적의 온도 조건에서 검체를 보관 운반할 수 있는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는 검체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실이 구비되는 보관바디유닛; 검체가 안착 지지되도록 상기 보관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랍과, 상기 서랍에 구비되어 상기 보관실을 개폐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보관실에서 상기 서랍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서랍구동부를 포함하는 서랍유닛; 검체의 보관조건에 따라 상기 보관실 또는 상기 서랍 또는 검체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 상기 보관실의 개폐조건에 따라 상기 서랍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보관실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서랍제어유닛; 및 검체의 보관조건에 따라 상기 냉각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보관실 또는 상기 서랍 또는 검체의 냉각 상태를 제어하는 냉각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서랍에는, 검체가 수납되도록 상측이 개구되는 안착공간; 상기 안착공간을 감싸는 차단격벽; 및 상기 안착공간에 구비되어 검체가 지지되는 안착지지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는 상기 보관바디유닛에 구비되어 내장된 프로그램 또는 입력되는 검체이동신호를 통해 검체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검체운반로봇; 및 상기 검체운반로봇에 구비되어 검체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코드인식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는 검체의 이동조건에 따라 상기 서랍제어유닛과 연계하여 상기 검체운반로봇과 상기 코드인식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로봇제어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는 상기 보관바디유닛에 구비되어 내장된 프로그램 또는 입력되는 대차구동신호를 통해 상기 보관바디유닛을 이동시키는 대차구동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는 상기 대차구동유닛의 주행조건에 따라 상기 대차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대차제어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은 관리서버; 검체의 보관조건에 따라 검체를 보관하는 검체냉장고; 검체를 상기 검체냉장고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검체냉장고로부터 전달받은 검체를 기설정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검체운반대차; 상기 검체냉장고에 구비되고, 상기 관리서버 또는 상기 검체운반대차와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검체의 보관정보, 상기 검체운반대차의 위치정보를 교환하는 보관통신유닛; 및 상기 검체운반대차에 구비되고, 상기 관리서버 또는 상기 검체냉장고와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검체의 보관정보, 상기 검체운반대차의 위치정보를 교환하는 대차통신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검체냉장고는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검체보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통신유닛과 상기 대차통신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검체냉장고는 상기 검체운반대차의 도착시간에 맞추어 상기 검체냉장고에 구비되는 상기 보관실을 개폐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은 검체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검체냉장고 또는 상기 검체운반대차에서 검체의 보관위치를 검색하는 보관위치확인단계; 상기 검체운반대차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대차구동단계; 상기 검체냉장고 또는 상기 검체운반대차에서 검체의 보관위치가 확인되고, 상기 검체운반대차가 이동되면, 상기 검체운반대차의 위치를 확인하는 대차위치확인단계; 상기 검체운반대차의 위치 확인에 따라 상기 검체운반대차의 도착시간에 맞추어 상기 보관실을 개방하는 보관실개방단계; 상기 검체운반로봇을 운반할 검체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단계; 상기 코드인식유닛을 통해 운반할 검체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코드인식단계; 상기 코드인식유닛에서 인식되는 검체의 식별정보와 상기 관리서버에 등록된 검체의 식별정보를 매칭시켜 검체의 보관위치를 결정하는 코드확인단계; 검체의 보관위치 결정에 따라 상기 검체운반로봇을 통해 운반할 검체를 파지하여 결정된 검체의 보관위치로 운반하는 제2구동단계; 및 검체의 운반이 완료되면, 상기 보관실을 폐쇄하는 보관실폐쇄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상기 보관위치확인단계를 거치면서 상기 검체냉장고 또는 상기 검체운반대차에서 검체의 보관위치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검체냉장고 또는 상기 검체운반대차에 검체의 보관위치를 할당하는 위치할당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상기 보관위치확인단계를 거친 다음, 추가로 운반할 검체의 식별정보가 상기 관리서버에 등록되었는지 확인하는 추가등록단계;를 더 포함하고, 운반할 검체의 식별정보가 추가로 등록되면, 상기 보관위치확인단계로 복귀하여 추가로 등록된 검체의 보관위치를 검색하며, 운반할 검체의 식별정보가 추가로 등록되지 않으면, 상기 대차위치확인단계를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상기 제2구동단계를 거친 다음, 검체의 운반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완료확인단계;를 더 포함하고, 검체의 운반이 완료되면, 상기 보관실폐쇄단계를 실시하며, 검체의 운반이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제1구동단계로 복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따르면, 고도화 및 첨단화된 대형병원 위주의 의료서비스를 기반으로 하여 현장 수요에 적합한 중소형 병원에도 최적화된 의료시스템을 개발 보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검사 제반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병원은 물론 중소형병원 및 응급실에서 신속한 검체관리 체계를 보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병원은 물론 중소형병원 및 응급실에서 대용량의 검체 관리 체계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기기 관련 산업의 시장점유율 확대와 검체 검사실의 관리 효율성 증강 및 의료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를 통해 보관실의 개폐 동작에서 검체의 보관온도를 안정화시키며, 검체의 외기 노출 시간을 최소화하여 최적의 온도 조건에서 검체를 보관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를 통해 보관실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고, 검체가 안정되게 안착 지지되어 검체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를 통해 검체의 특성에 따라 검체의 보관조건을 조절할 수 있고, 검체의 삽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를 통해 검체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운반하고자 하는 검체의 선택 및 운반 그리고 배치가 용이하고, 검체의 이동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체운반로봇 또는 대차구동유닛의 동작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검체의 식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통한 관리서버와 검체냉장고와 검체운반대차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검체의 보관 상태 및 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검체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체냉장고와 검체운반대차에서 검체의 보관조건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검체냉장고와 검체운반대차에서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체마다 검체의 특성 및 검체의 위치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해당 검체를 검색하여 추출할 수 있고, 복수의 검체를 동시에 운반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체의 보관조건에 따라 보관실 또는 서랍에서 검체를 최적의 온도 조건으로 보관할 수 있고, 보관실이 개폐되더라도 보관실 또는 서랍에서의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검체의 보관조건이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에서 보관바디유닛에서 서랍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의 구성에서 변형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을 도시한 체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에서 보관바디유닛에서 서랍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의 구성에서 변형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는 운반할 검체(A)의 식별정보(B)에 대응하여 검체(A)의 보관정보를 매칭시켜 검체(A)의 선택 및 운반 그리고 배치를 명확하게 하고, 검체(A)를 간편하게 식별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에서 검체냉장고(200) 또는 검체운반대차(300)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면, 검체냉장고(2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이 포함되고, 검체운반대차(3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는 보관바디유닛(10)과, 서랍유닛(20)과, 냉각유닛(40)과, 검체제어유닛(80)을 포함한다.
상기 보관바디유닛(10)은 검체보관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보관바디유닛(10)에는 검체(A)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실(11)이 구비된다. 보관실(11)은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검체(A)의 보관조건을 다양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실(11)은 검체(A)의 보관조건에 따라 냉장온도에서 검체(A)를 보관하기 위한 냉장보관실(11a)과, 실온에서 검체(A)를 보관하기 위한 실온보관실(11b)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실온보관실(11b)이 구비되는 경우, 실온보관실(11b)은 외기에 노출되어도 무방하고, 서랍유닛(20)이 결합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실온보관실(11b)에는 다수의 검체(A)가 배열되는 파레트(미도시)가 안착될 수 있으므로, 파레트(미도시)를 정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정위치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검체(A)에는 파레트(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보관바디유닛(10)에는 검체운반대차(300)와 서랍유닛(20) 사이에서 검체(A)를 지지하기 위한 서브테이블(20a)이 구비될 수 있다. 서브테이블(20a)에는 검체(A)가 지지되는 서브안착부(2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유닛(20)은 보관실(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관실(11)을 개폐한다. 서랍유닛(20)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보관조건을 갖는 검체(A)가 지지된다.
서랍유닛(20)은 검체(A)가 안착 지지되도록 보관실(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랍(21)과, 서랍(21)에 구비되어 보관실(11)을 개폐하는 개폐도어부(22)와, 보관실(11)에서 서랍(21)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서랍구동부(23)를 포함한다.
서랍(21)에는 검체(A)가 수납되도록 상측이 개구되는 안착공간(24)과, 안착공간(24)을 감싸는 차단격벽(27)과, 안착공간(24)에 구비되어 검체(A)가 지지되는 안착지지부(25)가 포함된다. 여기서, 안착지지부(25)는 다수의 검체(A)가 배열된 파레트(미도시)가 지지되는 파레트안착부와, 낱개의 검체(A)가 지지되는 검체안착부로 구분할 수 있다.
서랍구동부(23)에는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레일 또는 LM가이드 또는 공지의 기계식, 전자식 옵션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서랍(21)에는 안착지지부(25)에 구비되어 지지되는 검체(A)를 감지하는 검체감지부(2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검체감지부(26)가 안착지지부(25)에 지지되는 검체(A)를 감지하면, 후술하는 보관통신유닛(84) 또는 대차통신유닛(86)은 검체(A)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100)에 전송하고, 관리서버(100)는 검체(A)의 식별정보(B)에 매칭되는 검체(A)의 위치정보를 갱신한다.
다른 예로, 검체감지부(26)가 안착지지부(25)에 지지되는 검체(A)의 감지를 해제하면, 후술하는 보관통신유닛(84)은 검체(A)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100)에 전송하고, 관리서버(100)는 검체(A)의 식별정보(B)에 매칭되는 검체(A)의 위치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냉각유닛(40)은 검체(A)의 보관조건에 따라 보관실(11) 또는 서랍(21) 또는 검체(A)를 냉각시킨다. 냉각유닛(40)은 다양한 형태를 통해 보관실(11) 또는 서랍(21) 또는 검체(A)를 냉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냉각유닛(40)에는 보관실(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검체제어유닛(80)은 서랍유닛(20)과, 냉각유닛(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보관실(11)의 개폐조건에 따라 서랍구동부(23)를 동작시켜 보관실(11)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서랍제어유닛(81)과, 검체(A)의 보관조건에 따라 냉각유닛(40)을 동작시켜 보관실(11) 또는 서랍(21) 또는 검체(A)의 냉각 상태를 제어하는 냉각제어유닛(82)을 포함한다.
냉각제어유닛(82)은 각각의 보관실(11)에 대하여 개별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는 검체냉장고(200)로 구현되는 경우, 검체운반로봇(50)과, 코드인식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체운반로봇(50)은 보관바디유닛(10)에 구비되어 내장된 프로그램 또는 입력되는 검체이동신호를 통해 검체(A)를 파지하여 이동시킨다. 검체운반로봇(50)은 검체(A)를 파지하는 파지부(51)와, 파지부(51)에 연결되는 로봇암(52)과, 파지부(51)의 검체(A) 파지, 로봇암(52)에서 파지부(51)의 회전, 파지부(51)의 수평 이동, 파지부(51)의 수직 이동을 구현하는 운반구동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검체운반로봇(50)은 다양한 형태를 통해 검체(A)를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검체운반로봇(50)은 서브테이블(20a)과 검체운반대차(300) 사이에서 검체(A)를 이동시키는 제1로봇(50a)과, 서브테이블(20a)과 서랍유닛(20) 사이에서 검체(A)를 이동시키는 제2로봇(50b)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검체운반로봇(50)을 둘로 구분함에 따라 검체운반대차(300)와 서랍유닛(20) 사이에서 검체(A)의 이동을 신속하게 하고, 검체(A)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코드인식유닛(60)은 검체운반로봇(50)에 구비되어 검체(A)의 식별정보(B)를 인식한다. 코드인식유닛(60)은 운동구동부를 통해 파지부(51)와 연동되어 코드인식유닛(60)의 회전, 코드인식유닛(60)의 수평 이동, 코드인식유닛(60)의 수직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코드인식유닛(60)은 검체운반로봇(5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가 검체운반대차(300)로 구현되는 경우, 검체운반대차(300)에 구비되기도 하고,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검체제어유닛(80)은 검체운반로봇(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검체(A)의 이동조건에 따라 서랍제어유닛(81)과 연계하여 검체운반로봇(50)과 코드인식유닛(60)의 동작을 제어하는 로봇제어유닛(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코드인식유닛(60)에서 검체(A)의 식별정보(B)를 인식하면, 후술하는 보관통신유닛(84)은 관리서버(100)와의 통신을 통해 검체(A)의 식별정보(B)에 대응하는 검체(A)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검체(A)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로봇제어유닛(83)은 검체운반로봇(50)을 동작시키며, 검체운반로봇(50)은 검체(A)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는 검체냉장고(200)로 구현되는 경우, 관리서버(100) 또는 검체운반대차(300)와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검체(A)의 보관정보, 검체운반대차(300)의 위치정보를 교환하는 보관통신유닛(8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검체(A)의 보관정보에는 상술한 검체(A)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는 검체운반대차(300)로 구현되는 경우, 대차구동유닛(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차구동유닛(70)은 보관바디유닛(10)에 구비되어 내장된 프로그램 또는 입력되는 대차구동신호를 통해 보관바디유닛(10)을 이동시킨다.
이와 더불어 검체제어유닛(80)은 대차구동유닛(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대차구동유닛(70)의 주행조건에 따라 대차구동유닛(70)의 동작을 제어하는 대차제어유닛(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는 검체운반대차(300)로 구현되는 경우, 관리서버(100) 또는 검체냉장고(200)와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검체(A)의 보관정보, 대차구동유닛(70)의 위치정보를 교환하는 대차통신유닛(8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대차통신유닛(86)을 통한 통신으로 대차구동유닛(70)의 주행조건을 수신하고, 대차제어유닛(85)은 대차구동유닛(70)의 주행조건에 따라 대차구동유닛(70)을 제어함으로써, 대차구동유닛(70)은 기설정된 경로를 주행하기도 하고, 지정된 목적지까지 자율 주행 방식으로 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는 보관실(11)의 개폐에 따라 안착공간(24)을 단열하는 단열수단(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수단(30)은 차단격벽(27)에 관통 형성되는 통기공(31)과, 차단격벽(27)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관실(11)의 개폐에 따라 통기공(31)을 개폐하는 통기개폐부(32)와, 보관실(11)의 내벽에 구비되어 보관실(11)의 개폐에 따라 통기개폐부(3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개폐걸림부(33)를 포함하고, 차단격벽(27)에 구비되어 통기개폐부(32)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걸림부(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격벽(27)과 보관실(11)의 내벽 사이를 폐쇄함으로써, 보관실(11)이 개방될 때, 안착공간(24)의 개방량을 최소화시키고, 보관실(11)의 온도가 변화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보관실(11)을 개방하면, 통기개폐부(32)는 개폐걸림부(33)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차단격벽(27)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통기공(31)을 폐쇄한다. 계속해서 보관실(11)을 개방하면, 통기개폐부(32)와 개폐걸림부(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탄성 변형되거나 개폐걸림부(33)가 보관바디유닛(10)에 탄성 지지된 상태로 삽탈되므로, 통기개폐부(32)와 개폐걸림부(33)의 걸림 지지가 해제된다.
보관실(11)을 폐쇄하면, 통기개폐부(32)는 다시 개폐걸림부(33)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차단격벽(27)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통기공(31)을 개방한다. 계속해서 보관실(11)을 폐쇄하면, 통기개폐부(32)와 개폐걸림부(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탄성 변형되거나 개폐걸림부(33)가 보관바디유닛(10)에서 탄성 지지된 상태로 삽탈되므로, 통기개폐부(32)와 개폐걸림부(33)의 걸림 지지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보관실(11)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통기공(31)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보관실(11)과 안착공간(24)이 연통되어 보관실(11)의 공기와 안착공간(24)의 공기가 순환되기 때문에 검체(A)의 보관조건에 대응하여 안착공간(24)에서 최적의 온도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보관실(11)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통기공(31)이 통기개폐부(32)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안착공간(24)의 상측을 제외하고서는 안착공간(24)의 공기가 외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검체(A)의 보관조건에 대응하여 안착공간(24)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안착공간(24)에서 최적의 온도 조건을 일정시간 유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을 도시한 체계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은 관리서버(100)와 검체냉장고(200)와 검체운반대차(300) 사이의 상호 통신을 통해 검체(A)의 선택 및 운반 그리고 배치를 명확하게 하고, 검체(A)를 간편하게 식별하여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은 관리서버(100)와, 검체냉장고(200)와, 검체운반대차(300)와, 보관통신유닛(84)과, 대차통신유닛(86)을 포함한다. 그러면, 보관통신유닛(84)과 대차통신유닛(86)의 동작에 따라 검체냉장고(200)는 검체운반대차(300)의 도착시간에 맞추어 검체냉장고(200)에 구비되는 보관실(11)을 개폐할 수 있다. 이때, 검체운반로봇(50)은 기설정된 위치에 정위치 고정되어 검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100)는 의료관련 기관에서 사용되는 관리시스템의 전체 또는 일부로써, 검사실 정보 시스템(LIS, 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또는 병원 정보 시스템(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검체냉장고(200)는 검체(A)의 보관조건에 따라 검체(A)를 보관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검체운반대차(300)는 검체(A)를 검체냉장고(200)로 이동시키거나 검체냉장고(200)로부터 전달받은 검체(A)를 기설정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보관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검체운반대차(300)에도 검체(A)의 식별정보(B)를 인식하기 위한 코드인식유닛(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관통신유닛(84)은 검체냉장고(200)에 구비되고, 관리서버(100) 또는 검체운반대차(300)와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검체(A)의 보관정보, 검체운반대차(300)의 위치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보관통신유닛(8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차보관장치의 보관통신유닛(84)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대차통신유닛(86)은 검체운반대차(300)에 구비되고, 관리서버(100) 또는 검체냉장고(200)와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검체(A)의 보관정보, 검체운반대차(300)의 위치정보를 교환한다. 대차통신유닛(8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차보관장치의 대차통신유닛(86)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5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은 관리서버(100)와 검체냉장고(200)와 검체운반대차(300) 사이의 상호 통신을 통해 검체(A)의 선택 및 운반 그리고 배치를 명확하게 하고, 검체(A)를 간편하게 식별하여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은 보관위치확인단계(S1)와, 대차구동단계(S2)와, 대차위치확인단계(S4)와, 보관실개방단계(S5)와, 제1구동단계(S6)와, 코드인식단계(S7)와, 코드확인단계(S8)와, 제2구동단계(S9)와, 보관실폐쇄단계(S11)를 포함하고, 위치할당단계(S1-1)와, 추가등록단계(S3)와, 완료확인단계(S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을 통해 검체운반대차(300)의 검체(A)를 검체냉장고(200)에 보관하기도 하고, 검체냉장고(200)의 검체(A)를 검체운반대차(300)로 이동시켜 검체운반대차(300)가 기설정된 목적지로 이동될 수 있다.
먼저, 의료관련 기관에서 검체(A)가 생성되면, 코드생성단계(S20)를 통해 코드생성유닛(미도시)을 이용하여 검체(A)에 식별정보(B)를 부여한다. 코드생성유닛(미도시)은 검체(A)에 식별정보(B)를 라벨링하거나, 검체(A)의 표면에 식별정보(B)를 직접 인쇄하는 등 다앙향 형태로 검체에 식별정보(B)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검체(A)의 식별정보(B)는 바코드, QR코드, RFID, NFC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코드등록단계(S21)을 통해 검체(A)의 식별정보(B)는 코드생성유닛(미도시)과 관리서버(100) 사이의 통신 또는 사용자의 수기에 의해 관리서버(100)에 등록될 수 있다. 관리서버(100)에서는 검체(A)의 식별정보(B)를 바탕으로 검체(A)의 보관조건을 결정한다. 또한, 관리서버(100)에서는 결정된 검체(A)의 보관조건에 대응하여 검체(A)의 식별정보(B)와 검체냉장고(200)(또는 검체운반대차(300))에서 보관실(11) 및 서랍(21)의 안착지지부(25)를 매칭시켜 검체(A)의 보관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더불어 관리서버(100)에서는 등록된 검체(A)의 식별정보(B)를 바탕으로 보관실(11)의 개폐조건, 검체(A)의 이동조건, 대차구동유닛(70)의 주행조건, 대차구동유닛(70)의 위치정보, 검체(A)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에서 운반할 검체(A)의 개수, 검체(A)의 출발지, 검체(A)의 도착지가 설정되면, 관리서버(100)는 보관통신유닛(84) 및 대차통신유닛(86)과 통신하여 검체냉장고(200)와 검체운반대차(300)가 활성화되도록 한다.
상기 보관위치확인단계(S1)는 검체(A)의 식별정보(B)에 대응하여 검체냉장고(200) 또는 검체운반대차(300)에서 검체(A)의 보관위치를 검색한다.
일예로, 검체냉장고(200)에 검체(A)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로 구비되거나 검체운반대차(300)에 구비된 코드인식유닛(60)이 검체(A)의 식별정보(B)를 인식하고, 보관위치확인단계(S1)를 실시하면, 관리서버(100)는 검체(A)의 식별정보(B)에 매칭된 검체(A)의 보관정보가 검체냉장고(200) 측에 있는지 검색한다. 이때, 보관위치확인단계(S1)를 거치면서 검체냉장고(200)에서 검체(A)의 보관위치가 확인되지 않으면, 위치할당단계(S1-1)를 통해 검체냉장고(200)에 검체(A)의 보관위치를 할당한다. 할당된 검체(A)의 보관위치는 검체(A)의 식별정보(B)와 매칭된다.
다른 예로, 검체냉장고(200)에서 검체운반대차(300)로 검체(A)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검체냉장고(200)에 구비된 코드인식유닛(60)이 검체(A)의 식별정보(B)를 인식하고, 보관위치확인단계(S1)를 실시하면, 관리서버(100)는 검체(A)의 식별정보(B)에 매칭된 검체(A)의 보관정보가 검체운반대차(300) 측에 있는지 검색한다. 이때, 보관위치확인단계(S1)를 거치면서 검체운반대차(300)에서 검체(A)의 보관위치가 확인되지 않으면, 위치할당단계(S1-1)를 통해 검체운반대차(300)에 검체(A)의 보관위치를 할당한다. 할당된 검체(A)의 보관위치는 검체(A)의 식별정보(B)와 매칭된다.
여기서, 상기 추가등록단계(S3)는 보관위치확인단계(S1)를 거친 다음, 추가로 운반할 검체(A)의 식별정보(B)가 관리서버(100)에 등록되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운반할 검체(A)의 식별정보(B)가 추가로 등록되면, 보관위치확인단계(S1)로 복귀하여 추가로 등록된 검체(A)의 보관위치를 검색한다. 또한, 운반할 검체(A)의 식별정보(B)가 추가로 등록되지 않으면, 대차위치확인단계(S4)를 실시한다.
상기 대차구동단계(S2)는 검체운반대차(300)의 이동 여부를 확인한다. 대차구동단계(S2)는 검체(A)의 개수에 대응하여 검체(A)가 검체운반대차(300)에 모두 수납되면, 대차구동단계(S2)는 검체운반대차(300)를 기설정된 목적지로 이동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대차위치확인단계(S4)는 검체냉장고(200) 또는 검체운반대차(300)에서 검체(A)의 보관위치가 확인되고, 검체운반대차(300)가 이동되면, 검체운반대차(3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상기 대차위치확인단계(S4)는 관리서버(100)와, 보관통신유닛(84)과, 대차통신유닛(86) 사이의 통신을 통해 검체운반대차(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보관실개방단계(S5)는 검체운반대차(300)의 위치 확인에 따라 검체운반대차(300)의 도착기간에 맞추어 검체냉장고(200)에 구비된 보관실을 개방한다. 또한, 보관실개방단계(S5)와 더불어 로봇정위치단계(S5-1)를 통해 검체운반대차(300)의 위치 확인에 따라 검체운반대차(300)의 도착기간에 맞추어 검체냉장고(200)에 구비된 검체운반로봇(50)을 정위치시킬 수 있다.
일예로, 보관실개방단계(S5)는 검체운반대차(300)가 기설정된 도착 위치에 도착하면, 검체냉장고(200)에 구비된 보관실(11)을 개방하고, 검체냉장고(200)에 구비된 검체운반로봇(50)을 정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단계(S6)는 검체운반로봇(50)을 운반할 검체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구동단계(S6)는 검체(A)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검체운반로봇(50)을 운반할 검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코드인식단계(S7)는 코드인식유닛(60)을 통해 운반할 검체(A)의 식별정보(B)를 인식한다.
상기 코드확인단계(S8)는 코드인식유닛(60)에서 인식되는 검체(A)의 식별정보(B)와 관리서버(100)에 등록된 검체(A)의 식별정보(B)를 매칭시켜 검체(A)의 보관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제2구동단계(S9)는 검체(A)의 보관위치 결정에 따라 검체운반로봇(50)을 통해 운반할 검체(A)를 파지하여 결정된 검체(A)의 보관위치로 운반한다.
상기 완료확인단계(S10)는 제2구동단계(S9)를 거친 다음, 검체(A)의 운반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검체(A)의 운반이 완료되면, 보관실폐쇄단계(S11)를 실시하고, 검체(A)의 운반이 완료되지 않으면, 제1구동단계(S6)로 복귀하여 서랍유닛(20)과 검체운반대차(300) 사이에서 검체(A)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보관실폐쇄단계(S11)는 검체(A)의 운반이 완료되면, 보관실(11)을 폐쇄한다.
검체(A)의 운반이 완료되면, 보관실폐쇄단계(S11)와 더불어 검체운반대차(300)를 기설정된 목적지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따르면, 고도화 및 첨단화된 대형병원 위주의 의료서비스를 기반으로 하여 현장 수요에 적합한 중소형 병원에도 최적화된 의료시스템을 개발 보급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검사 제반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대형병원은 물론 중소형병원 및 응급실에서 신속한 검체관리 체계를 보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병원은 물론 중소형병원 및 응급실에서 대용량의 검체 관리 체계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의료기기 관련 산업의 시장점유율 확대와 검체(A) 검사실의 관리 효율성 증강 및 의료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를 통해 보관실(11)의 개폐 동작에서 검체(A)의 보관온도를 안정화시키며, 검체(A)의 외기 노출 시간을 최소화하여 최적의 온도 조건에서 검체를 보관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를 통해 보관실(11)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고, 검체(A)가 안정되게 안착 지지되어 검체(A)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를 통해 검체(A)의 특성에 따라 검체(A)의 보관조건을 조절할 수 있고, 검체(A)의 삽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를 통해 검체(A)의 식별정보(B)에 대응하여 운반하고자 하는 검체(A)의 선택 및 운반 그리고 배치가 용이하고, 검체(A)의 이동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검체운반로봇(50) 또는 대차구동유닛(70)의 동작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검체(A)의 식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을 통한 관리서버(100)와 검체냉장고(200)와 검체운반대차(30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검체(A)의 보관 상태 및 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검체(A)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검체냉장고(200)와 검체운반대차(300)에서 검체(A)의 보관조건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검체냉장고(200)와 검체운반대차(300)에서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검체(A)마다 검체(A)의 특성 및 검체(A)의 위치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해당 검체(A)를 검색하여 추출할 수 있고, 복수의 검체(A)를 동시에 운반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검체(A)의 보관조건에 따라 보관실(11) 또는 서랍(21)에서 검체(A)를 최적의 온도 조건으로 보관할 수 있고, 보관실(11)이 개폐되더라도 보관실(11) 또는 서랍(21)에서의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검체(A)의 보관조건이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A: 검체 B: 식별정보
10: 보관바디유닛 11: 보관실 13: 정위치부
20: 서랍유닛 21: 서랍 22: 개폐도어부
23: 서랍구동부 24: 안착공간 25: 안착지지부
26: 검체감지부 27: 차단격벽 30: 단열수단
31: 통기공 32: 통기개폐부 33: 개폐걸림부
34: 이동제한부 40: 냉각유닛 50: 검체운반로봇
51: 파지부 52: 로봇암 53: 운반구동부
60: 코드인식유닛 70: 대차구동유닛 80: 검체제어유닛
81: 서랍제어유닛 82: 냉각제어유닛 83: 로봇제어유닛
84: 보관통신유닛 85: 대차제어유닛 86: 대차통신유닛
S1: 보관위치확인단계 S1-1: 위치할당단계 S2: 대차구동단계
S3: 추가등록단계 S4: 대차위치확인단계 S5: 보관실개방단계
S6: 제1구동단계 S7: 코드인식단계 S8: 코드확인단계
S9: 제2구동단계 S10: 완료확인단계 S11: 보관실폐쇄단계
S12: 대차복귀단계 S20: 코드생성단계 S21: 코드등록단계

Claims (10)

  1. 검체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실이 구비되는 보관바디유닛;
    검체가 안착 지지되도록 상기 보관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랍과, 상기 서랍에 구비되어 상기 보관실을 개폐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보관실에서 상기 서랍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서랍구동부를 포함하는 서랍유닛;
    검체의 보관조건에 따라 상기 보관실 또는 상기 서랍 또는 검체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
    상기 보관실의 개폐조건에 따라 상기 서랍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보관실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서랍제어유닛;
    검체의 보관조건에 따라 상기 냉각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보관실 또는 상기 서랍 또는 검체의 냉각 상태를 제어하는 냉각제어유닛;
    상기 보관바디유닛에 구비되어 내장된 프로그램 또는 입력되는 검체이동신호를 통해 검체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검체운반로봇;
    상기 검체운반로봇에 구비되어 검체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코드인식유닛; 및
    상기 보관바디유닛에 구비되어 내장된 프로그램 또는 입력되는 대차구동신호를 통해 상기 보관바디유닛을 이동시키는 대차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서랍에는,
    검체가 수납되도록 상측이 개구되는 안착공간;
    상기 안착공간을 감싸는 차단격벽; 및
    상기 안착공간에 구비되어 검체가 지지되는 안착지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보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검체의 이동조건에 따라 상기 서랍제어유닛과 연계하여 상기 검체운반로봇과 상기 코드인식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로봇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보관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구동유닛의 주행조건에 따라 상기 대차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대차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보관장치.
  6. 관리서버;
    검체의 보관조건에 따라 검체를 보관하는 검체냉장고;
    검체를 상기 검체냉장고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검체냉장고로부터 전달받은 검체를 기설정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검체운반대차;
    상기 검체냉장고에 구비되고, 상기 관리서버 또는 상기 검체운반대차와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검체의 보관정보, 상기 검체운반대차의 위치정보를 교환하는 보관통신유닛; 및
    상기 검체운반대차에 구비되고, 상기 관리서버 또는 상기 검체냉장고와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검체의 보관정보, 상기 검체운반대차의 위치정보를 교환하는 대차통신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검체냉장고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검체보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통신유닛과 상기 대차통신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검체냉장고는 상기 검체운반대차의 도착시간에 맞추어 상기 검체냉장고에 구비되는 상기 보관실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관리시스템.
  7. 제6항에 기재된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이고,
    검체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검체냉장고 또는 상기 검체운반대차에서 검체의 보관위치를 검색하는 보관위치확인단계;
    상기 검체운반대차의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대차구동단계;
    상기 검체냉장고 또는 상기 검체운반대차에서 검체의 보관위치가 확인되고, 상기 검체운반대차가 이동되면, 상기 검체운반대차의 위치를 확인하는 대차위치확인단계;
    상기 검체운반대차의 위치 확인에 따라 상기 검체운반대차의 도착시간에 맞추어 상기 보관실을 개방하는 보관실개방단계;
    상기 검체운반로봇을 운반할 검체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단계;
    상기 코드인식유닛을 통해 운반할 검체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코드인식단계;
    상기 코드인식유닛에서 인식되는 검체의 식별정보와 상기 관리서버에 등록된 검체의 식별정보를 매칭시켜 검체의 보관위치를 결정하는 코드확인단계;
    검체의 보관위치 결정에 따라 상기 검체운반로봇을 통해 운반할 검체를 파지하여 결정된 검체의 보관위치로 운반하는 제2구동단계; 및
    검체의 운반이 완료되면, 상기 보관실을 폐쇄하는 보관실폐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위치확인단계를 거치면서 상기 검체냉장고 또는 상기 검체운반대차에서 검체의 보관위치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검체냉장고 또는 상기 검체운반대차에 검체의 보관위치를 할당하는 위치할당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위치확인단계를 거친 다음, 추가로 운반할 검체의 식별정보가 상기 관리서버에 등록되었는지 확인하는 추가등록단계;를 더 포함하고,
    운반할 검체의 식별정보가 추가로 등록되면, 상기 보관위치확인단계로 복귀하여 추가로 등록된 검체의 보관위치를 검색하며,
    운반할 검체의 식별정보가 추가로 등록되지 않으면, 상기 대차위치확인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단계를 거친 다음, 검체의 운반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완료확인단계;를 더 포함하고,
    검체의 운반이 완료되면, 상기 보관실폐쇄단계를 실시하며,
    검체의 운반이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제1구동단계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160093359A 2016-07-22 2016-07-22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90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359A KR101905066B1 (ko) 2016-07-22 2016-07-22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359A KR101905066B1 (ko) 2016-07-22 2016-07-22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54A KR20180010754A (ko) 2018-01-31
KR101905066B1 true KR101905066B1 (ko) 2018-10-05

Family

ID=6108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3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905066B1 (ko) 2016-07-22 2016-07-22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0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1027B (zh) * 2022-05-31 2024-04-26 赵永斌 物证数据智能云存储方法
KR102710057B1 (ko) * 2024-01-08 2024-09-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신화농산 농산물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스마트 보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03Y1 (ko) 2010-11-22 2011-08-03 송영석 테이블 냉장고
KR101071982B1 (ko) 2011-04-08 2011-10-10 (주)퍼니테크 신발 보관함
KR101146691B1 (ko) 2011-12-29 2012-05-22 한국호쿠쇼 주식회사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JP5346127B2 (ja) * 2009-10-19 2013-11-20 ネクサス バイオ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ジュール式試料貯蔵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6127B2 (ja) * 2009-10-19 2013-11-20 ネクサス バイオ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ジュール式試料貯蔵装置
KR200454903Y1 (ko) 2010-11-22 2011-08-03 송영석 테이블 냉장고
KR101071982B1 (ko) 2011-04-08 2011-10-10 (주)퍼니테크 신발 보관함
KR101146691B1 (ko) 2011-12-29 2012-05-22 한국호쿠쇼 주식회사 자동 개폐형 수용장을 갖춘 입출고용 운반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54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7678B2 (ja) オンラインでの食料品の注文品を保管して引き渡す、自動屋外端末及び該端末の動作方法
JP7584558B2 (ja) 自動化システム内の調整されたコンベヤ
US10525865B2 (en) Temperature-controlled delivery vehicle
US9857389B2 (en) Specimen storage apparatus, specimen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70259648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container temperature control
EP1313990B1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for freezers and related method thereof
US106634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trieving vessel holders
US11004033B1 (en) System and method of asynchronous and automated order fulfillment
KR101905066B1 (ko) 검체보관장치와 검체관리시스템 그리고 검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JP2014085349A (ja) 試料容器を位置特定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9163434A1 (ja) 環境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US20150260746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positing, preserving and recovering specimens of biological materials in/from a refrigerated store using two distinct static robots
US10816258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127015A (ko) 택배 집하 장치 및 그 택배 집하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5128998A1 (en) Temperature-controlled dispenser for order fulfillment
CN114566005A (zh) 运物系统、运物系统的控制方法和运物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