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895B1 - Driving device for variable valve of intake manifold - Google Patents
Driving device for variable valve of intake manifol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3895B1 KR101903895B1 KR1020170077193A KR20170077193A KR101903895B1 KR 101903895 B1 KR101903895 B1 KR 101903895B1 KR 1020170077193 A KR1020170077193 A KR 1020170077193A KR 20170077193 A KR20170077193 A KR 20170077193A KR 101903895 B1 KR101903895 B1 KR 1019038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riable valve
- lever
- intake manifold
- drive
- stop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94—Actuators or controllers therefor; Diagnosis; Calib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02B27/0273—Flap valv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기매니폴드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가변밸브를 회동시키는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로서, 상기 가변밸브를 축회전시키는 밸브축, 상기 밸브축과 일체로 선회하는 피동레버, 상기 피동레버와 링크결합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와 링크결합되는 구동레버, 및 상기 구동레버를 선회시키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여, 가변밸브의 정밀한 제어를 위한 장치의 설계가 용이하고 가변밸브의 선회각의 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간편한 구조의 전동모터를 사용하여 엔진제어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valve drive apparatus for an intake manifold that rotates a variable valve that controls an opening / closing area of an intake manifold, comprising: a valve shaft for rotating the variable valve; a driven lever pivoting integrally with the valve shaft; A link member linked with a lever, a drive lever linked with the link member, and a motor driver for pivoting the drive lever, so that the device for precise control of the variable valve is easily designe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range and improve the engine control technology by using an electric motor of a simple struc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기매니폴드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가변밸브를 회동시키는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valve drive apparatus for an intake manifo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valve drive apparatus for an intake manifold that rotates a variable valve that controls an opening / closing area of an intake manifold.
일반적으로, 차량의 흡기매니폴드는 엔진의 헤드측에 장착되어 실린더 내부로 엔진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 및 연료를 공급한다. 흡기매니폴드의 내부에는 유입된 공기가 체류하는 플레늄 챔버가 구비되고, 플레늄 챔버의 일측으로는 다수의 실린더로 공기를 적절히 분배하여 안내하기 위해 분기된 다수의 러너가 구비되어 있다. Generally, the intake manifold of the vehicle is mounted on the head side of the engine and supplies air and fuel necessary for combustion of the engine into the cylinder. A plenum chamber in which intake air stays is provided inside the intake manifold, and a plurality of runners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lenum chamber for branching to guide and distribute air appropriately to a plurality of cylinders.
흡기매니폴드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기의 양은 엔진의 운전조건과 관련이 있으므로 엔진의 운전영역이 저속 저부하인 경우에는 적은 양의 혼합기의 유동이 필요하고, 엔진의 운전영역이 고속 고부하인 경우에는 흡기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단시간에 다량의 혼합기의 유동이 필요하다. 이에 엔진의 운전 조건에 따라 러너의 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엔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가변흡기시스템(VIS; Variable Intake System)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변흡기시스템을 적용한 흡기매니폴드는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115072호 및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003513호에 개시되어 있다.Since the amount of the mixer flowing through the intake manifold is related to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ngine, a small amount of mixer flow is required when the engine is operating at a low speed and low load. When the operation range of the engine is a high- A large amount of mixer flow is required in a short time while minimizing the resistance. Accordingly, a Variable Intake System (VIS), which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ngine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runn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ditions of the engine, has been applied. Intake manifolds using such a variable intake system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115072 and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03513.
도 1을 참조하면, 가변흡기시스템은 흡기매니폴드(101)의 러너에서 흡기량을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러너 내부에 가변밸브(102)를 구비하고, 흡기매니폴드의 외부에 상기 가변밸브(102)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150)를 구비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variable intake system includes a
종래 가변흡기시스템의 액추에이터(150)는 공압식으로 링크부재(130)를 직선이동시키게 되면 피동레버(120)가 밸브축(110)을 회전시켜 가변밸브(102)를 선회시키는 방식이다. The
그러나, 종래 공압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방식의 경우 회전각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직선운동의 스트로크를 크게 증가시켜야 하는데, 공압식 액추에이터의 스토로크 한계로 인해 가변밸브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verting the linear motion into the rotational motion by the pneumatic actuator, in order to increase the rotation angle, the stroke of the linear motion must be greatly increased. However, due to the stroke limit of the pneumatic actuator, There was also a limit.
또한, 직선운동으로 가변밸브(102)의 선회각을 가늠하기가 어려워 가변밸브(102)의 정밀한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설계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개발시간과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the turning angle of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가변밸브의 정밀한 제어를 위한 장치의 설계가 용이하고 가변밸브의 선회각의 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간편한 구조의 전동모터를 사용하여 엔진제어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variable valve driving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intake manifold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valve driving apparatus for an intake manifold which can easily design an apparatus for precise control of the variable val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valve drive apparatus of an intake manifold which can improve the engine control technology by using an electric motor of a simple structur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는, 흡기매니폴드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가변밸브를 회동시키는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로서, 상기 가변밸브를 축회전시키는 밸브축, 상기 밸브축과 일체로 선회하는 피동레버, 상기 피동레버와 링크결합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와 링크결합되는 구동레버, 및 상기 구동레버를 선회시키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ake manifold variable valve driving apparatus for rotating an intake manifold, the variable valve driving apparatus comprising: And a motor drive unit for turning the drive lever, wherein the drive lever is linked with the link member, and the drive lever is coupled to the link leve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축의 단부에 면취부가 구비되고, 상기 피동레버에 상기 밸브축의 면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면취부와 동일한 형상의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variable valve driving apparatus for an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mfered portion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valve shaft, and a coupling hole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chamfered portion is fitted to the driven leve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기매니폴드의 외측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피동레버의 선회각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ariable valve driving apparatus of an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protruding outside the intake manifold and restricting a turning angle of the driven le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동레버는 상기 링크부재와 링크결합되는 링크작동부, 및 상기 밸브축을 중심으로 상기 링크작동부의 반대편에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에 부딪히는 스토퍼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variable valve drive apparatus for an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n lever may include a link operating portion linked with the link member, and a stopper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ink operating portion, And a stopper driving unit that hits the stopper driv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변밸브의 닫힘한계를 결정하도록 상기 피동레버의 선회각을 제한하는 하한스토퍼, 및 상기 가변밸브의 개방한계를 결정하도록 상기 피동레버의 선회각을 제한하는 상한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variable valve driving apparatus for an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includes a lower limit stopper for limiting a turning angle of the driven lever to determine a closing limit of the variable valve, And an upper limit stopper for limiting the turning angle of the driven lever to determine the turning angle of the driven le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흡기매니폴드에 고정결합되는 모터케이스, 상기 모터케이스에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동레버와 일체로 선회하는 구동레버축, 상기 구동레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기어부, 및 상기 구동기어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variable valve driving apparatus for an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case fixedly coupled to the intake manifold, a motor case rotatably mounted on the motor case, A driving lever shaft which is pivoted, a driven gear which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iving lever shaft, a driving gear which drives the driven gear, and a driving motor which drives the driving gea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에 의하면, 가변밸브의 정밀한 제어를 위한 장치의 설계가 용이하고, 가변밸브의 선회각의 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의 공압식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한 구조의 전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엔진제어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ariable valve driving apparatus of the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esign the apparatus for precise control of the variable valve, maximize the range of the turning angle of the variable valve, It is possible to use an electric motor of a simple structure without using a pneumatic actuator of the structure, thereby improving the engine control technology.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variable valve drive apparatus for an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ariable valve driving apparatus for an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variable valve driving apparatus of the intake manifold shown in FIG. 2;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variable valve drive apparatus of the intake manifold shown in FIG. 2,
Fig. 6 is a front view of Fig. 5,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valve drive apparatus of the intake manifold shown in FIG. 6,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variable valve drive apparatus of the intake manifold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는, 흡기매니폴드(101)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가변밸브(102)를 축회전시키는 밸브축(10), 상기 밸브축(10)과 일체로 선회하는 피동레버(20), 상기 피동레버(20)와 링크결합되는 링크부재(30), 상기 링크부재(30)와 링크결합되는 구동레버(40), 상기 구동레버(40)를 선회시키는 모터구동부(50), 및 상기 피동레버(20)의 선회각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2 to 8, the variable valve driving apparatus for an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밸브축(10)은 흡기매니폴드(101)의 인테이크러너를 관통하여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밸브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가변밸브(102)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결합되어 상기 가변밸브(102)와 상기 밸브축(10)이 일체로 축회전하게 된다.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축(10)의 단부에 면취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피동레버(20)에 상기 밸브축(10)의 면취부(11)가 끼워지도록 상기 면취부(11)와 동일한 형상의 결합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면취부(11)는 서로 마주보게 2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21)도 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면취부(11)가 상기 결합홀(21)에 형상맞춤식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밸브축(10)과 상기 피동레버(20)가 일체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밸브축(10)을 중심으로 상기 피동레버(20)가 상기 밸브축(10)과 일체로 선회하게 되는데, 상기 피동레버(20)는 상기 링크부재(30)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밸브축(10)을 축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밸브축(10)의 축회전에 의해 상기 가변밸브(102)들이 선회하면서 인테이크러너의 개폐면적을 조절하게 된다. 7, the chamfered
상기 피동레버(20)는 상기 결합홀(21)을 중심으로 링크작동부(22)와 스토퍼구동부(23)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작동부(22)와 상기 스토퍼구동부(23)는 상기 결합홀(21) 내지 상기 밸브축(10)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게 된다. The driven
상기 링크작동부(22)는 상기 링크부재(30)의 단부에 링크결합되고, 상기 스토퍼구동부(23)는 상기 밸브축(10)을 중심으로 상기 링크작동부(22)의 반대편에 구비되어 있다. The
상기 스토퍼구동부(23)가 상기 결합홀(21)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피동레버(20)가 선회할 때 상기 스토퍼에 부딪혀 선회각이 제한된다. The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변밸브(102)의 닫힘한계를 결정하도록 상기 피동레버(20)의 선회각을 제한하는 하한스토퍼(61), 및 상기 가변밸브(102)의 개방한계를 결정하도록 상기 피동레버(20)의 선회각을 제한하는 상한스토퍼(62)를 포함하고 있다. 5 to 6, the stopper includes a
상기 하한스토퍼(61)와 상기 상한스토퍼(62)는 상기 흡기매니폴드(101)의 외측에 상기 밸브축(10)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하한스토퍼(61)와 상기 상한스토퍼(62)는 상기 피동레버(20)의 선회반경내에 구비되어 상기 피동레버(20)와 부딪힘으로써 선회각을 제한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한스토퍼(61)와 상기 상한스토퍼(62)는 상기 피동레버(20)와 부딪히는 면이 서로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피동레버(20)의 측면과 면접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기 피동레버(20)의 측면이 상기 하한스토퍼(61)의 접촉면에 면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상한스토퍼(62)의 접촉면은 상기 피동레버(20)의 측면에 대하여 선회각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동레버(20)가 상기 상한스토퍼(62)의 접촉면에 접촉될 때에는 상기 하한스토퍼(61)의 접촉면이 상기 피동레버(20)의 측면과 선회각을 이루며 기울어지져 있게 된다. The lower limit stopper 61 and the upper limit stopper 62 protrude from the
상기 피동레버(20)는 제1힌지핀(25)으로 상기 링크부재(30)와 링크결합되고, 상기 구동레버(40)는 제2힌지핀(35)으로 상기 링크부재(30)에 링크결합된다. 상기 링크부재(30)의 일단에 상기 제1힌지핀(25)이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제2힌지핀(35)이 결합된다. The drive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레버(40)는 상기 제2힌지핀(35)으로 상기 링크부재(30)와 링크결합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구동레버축(52)에 의해 모터케이스(51)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4 to 6, the
상기 모터구동부(50)는 상기 흡기매니폴드(101)에 고정결합되는 모터케이스(51), 상기 구동레버(40)와 일체로 선회하는 구동레버축(52), 상기 구동레버축(52)과 일체로 회전하는 피동기어(53), 상기 피동기어(53)를 구동시키는 구동기어부(도면미도시), 및 상기 구동기어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5)를 포함하고 있다. The
상기 구동레버축(52)은 상기 모터케이스(51)에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피동기어(53)와 일체로 축회전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동기어(53)가 상기 구동레버축(52)과 일체로 축회전하게 되면 상기 링크부재(30)를 링크운동시키면서 상기 피동레버(20)를 선회시키게 되고, 결국 상기 밸브축(10)을 축회전시켜 상기 가변밸브(102)를 선회동작시키게 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55)의 회전력을 상기 피동기어(53)와 상기 구동레버축(52)에 전달하여 회전운동을 상기 링크부재(3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한 후 다시 상기 피동레버(2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가변밸브(102)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구조에 의해 전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공압식 액추에이터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나, 본 발명은 전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했다가 다시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복잡한 구조의 공압식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한 구조의 전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본 발명의 전동모터 방식은 상기 구동레버(40)와 상기 피동레버(20)가 상기 링크부재(30)를 매개로 쌍을 이루며 동일한 동작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레버(40)와 상기 피동레버(20)가 동일한 선회운동을 동시에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레버(40)와 상기 피동레버(20)의 길이에 따라 상기 구동레버(40)의 회전량과 상기 피동레버(20)의 회전량이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5)의 회전량을 통해 상기 구동레버(40)의 회전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변밸브(102)의 선회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e electric mo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lever (40) and the driven lever (20) are paired through the link member (30)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That is, not only the
또한, 전동모터의 경우 상기 구동레버(40)의 선회각이 상기 피동레버(20)의 선회각과 비례하므로 상기 가변밸브(102)의 회전각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나나가 상기 구동레버(40)의 길이를 상기 피동레버(20)의 길이보다 길게 하면 상기 구동레버(40)의 회전각보다 상기 피동레버(20)의 회전각이 커지면서 상기 가변밸브(102)의 회전각의 범위도 훨씬 커지게 된다. Further, in the case of an electric motor, the turning angle of the driving
상기 구동기어부는 상기 구동모터(55)의 회전력을 상기 피동기어(53)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다양한 기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rive gear unit is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the modification is possible by the pers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밸브축 11 : 면취부
15 : 밸브체결너트 20 : 피동레버
21 : 결합홀 22 : 링크작동부
23 : 스토퍼구동부 25 : 제1힌지핀
30 : 링크부재 35 : 제2힌지핀
40 : 구동레버 50 : 모터구동부
51 : 모터케이스 52 : 구동레버축
53 : 피동기어 55 : 구동모터
61 : 하한스토퍼 62 : 상한스토퍼10: valve shaft 11: face mounting
15: valve engaging nut 20: driven lever
21: engaging hole 22: link operating portion
23: stopper driving part 25: first hinge pin
30: link member 35: second hinge pin
40: drive lever 50: motor drive section
51: motor case 52: drive lever shaft
53: driven gear 55: drive motor
61: Lower limit stopper 62: Upper limit stopper
Claims (6)
상기 가변밸브를 축회전시키는 밸브축;
상기 밸브축과 일체로 선회하는 피동레버;
상기 피동레버와 링크결합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와 링크결합되는 구동레버; 및
상기 구동레버를 선회시키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고,
구동레버의 회전각보다 피동레버의 회전각이 커지도록 구동레버의 길이를 피동레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 A variable valve drive apparatus for an intake manifold that rotates a variable valve that controls an opening / closing area of an intake manifold,
A valve shaft for axially rotating the variable valve;
A driven lever turning integrally with the valve shaft;
A link member linked with the driven lever;
A drive lever linked with the link member; And
And a motor driver for turning the drive lever,
Wherein the length of the drive lever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driven lever so that the rotational angle of the driven lever is larger than the rotational angle of the drive lever.
상기 밸브축의 단부에 면취부가 구비되고, 상기 피동레버에 상기 밸브축의 면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면취부와 동일한 형상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hamfered por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valve shaft and a coupling hole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chamfered portion is formed in the driven lever so as to fit the chamfered portion of the valve shaft.
상기 흡기매니폴드의 외측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피동레버의 선회각을 제한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opper protruding outside the intake manifold, the stopper limiting a turning angle of the driven lever;
Further comprising: an intake manifold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an intake manifold pressure;
상기 링크부재와 링크결합되는 링크작동부; 및
상기 밸브축을 중심으로 상기 링크작동부의 반대편에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에 부딪히는 스토퍼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 4. The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claim 3,
A link operating portion linked with the link member; And
A stopper driving part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ink actuating part about the valve axis, the stopper driving part colliding with the stopper;
Wherein the variable valve actuation mechanism comprises:
상기 가변밸브의 닫힘한계를 결정하도록 상기 피동레버의 선회각을 제한하는 하한스토퍼; 및
상기 가변밸브의 개방한계를 결정하도록 상기 피동레버의 선회각을 제한하는 상한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A lower limit stopper for limiting a turning angle of the driven lever to determine a closed limit of the variable valve; And
An upper limit stopper for limiting a turning angle of the driven lever to determine an opening limit of the variable valve;
Wherein the variable valve actuation mechanism comprises:
상기 흡기매니폴드에 고정결합되는 모터케이스;
상기 모터케이스에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동레버와 일체로 선회하는 구동레버축;
상기 구동레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기어부; 및
상기 구동기어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 The motor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motor case fixedly coupled to the intake manifold;
A drive lever shaft rotatably mounted on the motor case and pivoting integrally with the drive lever;
A driven gear rotating integrally with the drive lever shaft;
A driver unit driving the driven gear; And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drive unit;
Wherein the variable valve actuation mechanism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7193A KR101903895B1 (en) | 2017-06-19 | 2017-06-19 | Driving device for variable valve of intake manifol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7193A KR101903895B1 (en) | 2017-06-19 | 2017-06-19 | Driving device for variable valve of intake manifol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3895B1 true KR101903895B1 (en) | 2018-10-02 |
Family
ID=6386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7193A Active KR101903895B1 (en) | 2017-06-19 | 2017-06-19 | Driving device for variable valve of intake manifol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389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5541A (en) | 2020-09-28 | 2020-11-04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Air volume control system for electric car generator |
KR20220066562A (en) * | 2020-11-16 | 2022-05-24 |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 Variable Charge Motion Without Valve's Dead Volume and Intake System |
-
2017
- 2017-06-19 KR KR1020170077193A patent/KR101903895B1/en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5541A (en) | 2020-09-28 | 2020-11-04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Air volume control system for electric car generator |
KR102186575B1 (en) * | 2020-09-28 | 2020-12-03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Air volume control system for electric car generator |
KR20220066562A (en) * | 2020-11-16 | 2022-05-24 |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 Variable Charge Motion Without Valve's Dead Volume and Intake System |
KR102430722B1 (en) * | 2020-11-16 | 2022-08-09 |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 Variable Charge Motion Without Valve's Dead Volume and Intake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4651B1 (en) | Continuous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 |
KR100931040B1 (en) | Throttle valve set with first valve plate and second valve plate | |
KR101903895B1 (en) | Driving device for variable valve of intake manifold | |
KR102028226B1 (en) | Mixing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4731592B2 (en) | Intake air amount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4766328B2 (en) | Valve actuation mechanism | |
JP2008215180A (en) | Intake control device for vehicle engine | |
US6868828B2 (en) | Idle speed control apparatus in throttle body | |
US6662779B2 (en) | Support structure of valve shaft for butterfly valve | |
US10443487B2 (en) | Non-circular gears for rotary wastegate actuator | |
KR101902588B1 (en) | Device for controlling an exhaust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04211612A (en) | Idle speed control device for multi-cylinder throttle body | |
JP3440720B2 (en) | Ram pressure adjustment mechanism of vehicle air conditioner | |
KR101145630B1 (en) | Intake system of engine | |
CN201218115Y (en) | A controllable combustion rate actuator for an automobile engine | |
EP1457721A1 (en) | Throttle uni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KR102430722B1 (en) | Variable Charge Motion Without Valve's Dead Volume and Intake System | |
KR20090052206A (en) | Swirl Control Valve Drive | |
KR20110052918A (en) | Variable Intake of Engine | |
JP4352618B2 (en) | Intake vortex generator | |
KR101942278B1 (en) | Structure for intake manifold | |
KR19980053405A (en) | Throttle valve for car engine | |
KR100188754B1 (en) | Idle speed controller of engine intake | |
KR100633914B1 (en) | Electronically controlled throttle valve | |
KR100787271B1 (en) |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