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3727B1 -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727B1
KR101903727B1 KR1020180046860A KR20180046860A KR101903727B1 KR 101903727 B1 KR101903727 B1 KR 101903727B1 KR 1020180046860 A KR1020180046860 A KR 1020180046860A KR 20180046860 A KR20180046860 A KR 20180046860A KR 101903727 B1 KR101903727 B1 KR 101903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nishing plate
fixing
roof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145A (ko
Inventor
박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닥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닥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닥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4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72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0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7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1Connecting; Fastening of roof covering supported by the roof structure with interposition of a insulating layer
    • E04D3/3602The fastening means comprising elongated profiles installed in or on the insulation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8Connecting; Fastening for double roof covering or overroof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마감판을 하부마감판에 안정적으로 고정함은 물론, 구조적 내구성을 확보하여 특히 측면에서 인가되는 풍압에 대하여 적합하게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증대시키도록;
건축물의 지붕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적층되어 고정되는 하부마감판과; 상기 하부마감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브라켓수단들과; 상기 다수의 브라켓수단들의 상부를 연결하면서 고정되어 그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감판을 지지고정하도록 된 고정바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수단은, 상기 하부마감판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장홈' 형상의 안내홈들에 끼움결합하는 하부브라켓과; 상기 하부브라켓의 상부에 적층고정되며 수직상 길이를 가지는 중간브라켓과; 상기 중간브라켓의 상부에 적층고정되며 상단에 상기 고정바들이 고정되는 상부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중간브라켓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압출성형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브라켓은,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여 압출성형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들의 상부에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상부마감판들의 단부들을 연결하면서 결합하는 클립부재가 연결하면서 안치되어 고정하도록 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A roof panel system}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을 구성하는 하부마감판의 상부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상부마감판을 고정하는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마감판을 하부마감판에 안정적으로 고정함은 물론, 구조적 내구성을 확보하여 특히 측면에서 인가되는 풍압에 대하여 적합하게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증대시키도록 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축기술의 발달과 함께 크고 높으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Design)된 여러 가지 건축물들이 속속들이 건축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는 무엇보다 종래 콘크리트(Concrete)에 비해 다양한 디자인으로 건축이 용이하면서도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가 뛰어난 H형강, C형강 등의 철재를 이용하여 철골구조로 건축물을 건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종래의 지붕의 설치구조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세워지고,상기 수직으로 세워진 골조의 상면에는 수평상태에서 교차되도록 하는 골조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골조의 상면에 중앙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각각의 양측 끝단부분이 얹혀지도록 하는 패널이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의 패널은 체결수단에 의해 골조와 체결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의 패널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닥면 양측면을 상부를 향하도록 절곡시켜 세워진 수직면을 형성하고, 상기의 각 수직면 상단에는 일측 방향을 향하여 수평과 수직이 될 수 있도록 2단으로 절곡되는 삽입면과 끼움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의 수직면 중 끼움면을 갖는 수직면의 길이를 패널의 두께만큼 낮게 형성시켜 패널의 수직면에 다른 패널의 수직면이 면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면의 삽입면이 다른 패널인 수직면의 끼움면 상면에 위치하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패널을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종래 건축물의 경우 건축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크고 다양한 곡면이 표현될 수 있는 미적 형태의 건축물이 지어지고 있으며, 높은 곳에 위치한 지붕의 패널은 바람과 외부의 충격에 견디기 위해 중량있는 체결구를 이용하여 단단하게 결합시키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378774호(명칭: 건축물의 지붕 조립구조)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지붕을 시공함에 있어서, 양측단부에 각각 절곡부가 형성된 지붕판넬과; 상부 양측단부가 내향절곡되고 양쪽 하단부가 절곡되어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부 중앙에 사각홈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과; 두부와 나사부 사이에 사각형상의 슬라이드편이 일체로 형성된 보울트와; 상기 보울트와 풀림방지 너트에 의해 상기 지붕판넬이 얹혀져 고정되는 슬라이딩 와셔가 구비된 지붕 조립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14279호(명칭: 건축물 지붕판 고정브라켓)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지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길이가 10~40cm이며, 재질은 복합PP재질, 플라스틱 ,비철금속 중 하나로 구성되고 상체부와 하체부가 지지부로 연결되며, 상기 상체부는 U자 형상의 요홈이 형성되어 브라켓연결판이 삽입되고, 상기 하체부는 강판의 홈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된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체부에서 하체부로 지지부 내측에 브라켓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체부는 강판의 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체부의 형상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각기둥형상인 것으로 이루어진 지붕 고정브라켓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37008호(명칭: 건축물 지붕패널 체결장치)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지붕을 설치하기 위해 골조가 세워지고, 상기 골조의 상면에 중앙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각각의 패널 양측 끝단부분이 얹혀지도록 하며, 상기의 각 패널을 골조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수 있도록 하는 지붕패널고정장치로서, 상기의 체결수단은 골조의 상면 중앙에 일정한 배열을 갖고 수직으로 고정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기점으로 골조의 상면에 얹혀진 각각의 패널 양측 끝단부분 상면에 얹혀지도록 하여 중앙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와 나선체결되는 체결너트의 조임력으로 인해 패널을 고정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패널고정부로 이루어진 지붕패널의 체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거운 지붕패널과 체결구를 사용하는 경우 지붕을 지탱하여야 하는 골조들의 무게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지붕패널 시공시 작업이 불편하며 시공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C형강이 없는 부위에는 고정브라켓을 설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고, M바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현장 상황에 따라 방향 및 위치를 맞춰 고정브라켓을 설치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의 출원인은,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85691호(명칭: 건축물 지붕에 상부마감판을 고정하는 패널시스템)을 제안하여 하부마감판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을 회전 및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는 M바를 설치현장에 맞게 위치시킨 후 결합하여야만 했던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원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85691호의 건축물 지붕에 상부마감판을 고정하는 패널시스템은,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건축물 지붕에 상부마감판을 고정하는 패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지붕을 이루며 상단에 마름모 형상의 고정부가 형성되는 하부마감판; 및 상기 하부마감판 상단에 결합되며, 상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면에 끼움부가 형성되며 덧살부재가 형성된 하부브라켓과; 상기 하부브라켓의 상기 결합홈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덧살부재가 형성되는 상부브라켓;이 결합되어 상부브라켓이 회전되게 형성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 측면과 결합되며, 하부에 하부결합홈이 형성된 ㄷ자 형상의 홀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마감판의 상기 고정부 일측면에는 상기 하부브라켓의 끼움부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의 다른 일측면에는 상기 홀더의 하부결합홈이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하부마감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360°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M바를 설치현장 상황에 맞게 회전시켜 상부마감판을 원하는 간격에 맞추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에 설치되는 C형강의 간격과 상관없이 상부마감판이 고정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지붕패널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국특허등록 제10-0378774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14279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37008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85691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패널시스템들은, 상기 하부마감판의 상면에 상부마감판을 지지하도록 된 다수의 브라켓들의 강도가 약하여 구조적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부마감판을 브라켓에 고정부위가 국부적으로 이루어져 측방향에서 인가되는 풍압에 취약하여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풍압에 의해 상부마감판이 들리거나 흔들려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마감판을 하부마감판에 안정적으로 고정함은 물론, 구조적 내구성을 확보하여 특히 측면에서 인가되는 풍압에 대하여 적합하게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증대시키도록 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은, 건축물의 지붕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적층되어 고정되는 하부마감판과; 상기 하부마감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브라켓수단들과; 상기 다수의 브라켓수단들의 상부를 연결하면서 고정되어 그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감판을 지지고정하도록 된 고정바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수단은, 상기 하부마감판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장홈' 형상의 안내홈들에 끼움결합하는 하부브라켓과; 상기 하부브라켓의 상부에 적층고정되며 수직상 길이를 가지는 중간브라켓과; 상기 중간브라켓의 상부에 적층고정되며 상단에 상기 고정바들이 고정되는 상부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중간브라켓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압출성형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브라켓은,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여 압출성형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들의 상부에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상부마감판들의 단부들을 연결하면서 결합하는 클립부재가 연결하면서 안치되어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은, '판(板;plate)' 형상의 마감패널(SMT roof 패널) 및 태양광발전을 수행하는 태양광모듈패널(PV module 패널)을 선택적으로 상부마감판에 적용하여; 건물의 지붕을 구성하는 하부마감판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일체적으로 고정함으로서, 사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즉, 건물을 구성하는 골조와 직접체결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독립적인 지붕구조체의 설계가 가능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형상 설계의 사항들을 수용(반영)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상부마감판들을 고정바에 고정하는 클립부재들이 상부마감판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서로 근접되는 타 고정바들을 서로 연결하여 각각 지지하면서 결합하도록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되여, 특히 지붕의 측방향에서 인가되는 풍압을 안정적으로 대응하는 상부마감판의 유동을 예방함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하부마감판의 상부에 고정바를 지지고정하는 브라켓수단을 구성하는 하부브라켓과 중간브라켓을 결로에 대한 내성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바를 직접적으로 지지고정하는 상부브라켓이 재질적으로 고강도로 이루어져 구조적 내구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지지하는 각각의 브라켓들은, 상부 금속부재와 하부 복합PP부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복합PP브라켓이 가지는 압축강도 및 열교현상 차단 효과를 가지며; 특히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상부브라켓은 상부에 체결되는 고정바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결합된 하나의 브라켓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부마감판(상부패널)을 고정하는 고정클립이 기존에는 단발로 사용하여 지붕에서 바람에 취약한 처마 끝부분이나 용마루 끝부분이 보강이 어려웠으나, 이를 상부마감판(상부패널)을 고정하는 고정클립을 길게 연속성있게 설치하도록 하여 보완함으로써, 처마 및 용마루의 끝까지 설치 가능하여 기존의 보강이 어려운 부분을 해결하였고, 상부마감판(상부패널)의 돌출된 연결부위에 모두 내부 연속된 클립이 설치됨으로써 상부마가ㅋ판(상부패널)에 태양광패널 및 구조물 설치시 위치에 상관없이 고정브라켓 설치가 가능하여 상부구조물 설치에 제약할 받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의 일부위를 발췌하여 보인 일부발췌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의 일부위를 발췌하여 보인 일부발췌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을 구성하는 브라켓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을 구성하는 클리부재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에 적용되는 상부마감판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1)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판(板;plate)' 형상의 마감패널(SMT roof 패널) 및/또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발전을 수행하는 태양광모듈패널(PV module 패널)을 선택하여 건축물의 지붕을 구성하는 하부마감판(2)의 상부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SMT roof 패널' 또는 'PV module 패널' 등과 같은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들을 상부마감판(3)으로 적용하여 건물의 지붕을 구성하는 하부마감판(2)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일체적으로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이에 따라, 건물을 구성하는 골조(10)와 지붕의 직접체결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독립적인 지붕구조체의 설계가 가능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형상 설계의 사항들을 수용(반영)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1)은, 건축물의 골조(10)에 지붕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적층되어 고정되는 하부마감판(2)과; 상기 하부마감판(2)의 상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브라켓수단(4)들과; 상기 다수의 브라켓수단(4)들의 상부를 연결하면서 고정되어 그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감판(3)을 지지고정하도록 된 고정바(5)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브라켓수단(4)들과 상기 브라켓수단(4)들의 상부들 연결하는 상기 고정바(5)들의 상하부에 상기 하부마감판(2)과 상기 상부마감판(3)이 각각 수직상으로 배열되면서 일체적으로 지지고정된다.
상기에서 건축물의 골조(10)는, 금속을 재질로 하는 에이치빔(H-beam)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금속을 재질로 하며 단면이 'ㄷ' 형상을 가지는 씨형빔(C-bea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마감판(2)은,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되; 상면에 상기 브라켓수단(4)의 하부가 수용되면서 끼움결합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된 결합홈(2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1)은, 양상단이 사이간격 바닥면보다 큰 폭을 가지며 내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1)에서, 상기 브라켓수단(4)은, 상기 하부마감판(2)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장홈' 형상의 결합홈(21)들에 끼움결합하는 하부브라켓(41)과; 상기 하부브라켓(41)의 상부에 적층고정되며 수직상 길이를 가지는 중간브라켓(42)과; 상기 중간브라켓(42)의 상부에 적층고정되며 상단에 상기 고정바(5)들이 고정되는 상부브라켓(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중간브라켓(42)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면 상기 하부마감판(2)과 상기 상부마감판(3)의 사이간격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하부브라켓(2)의 양측면과 저면은, 상기 결합홈(21)의 형상과 맞춤되게 대응하여 각각 접촉하면서 결합하도록 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하부브라켓(2)과 상기 중간브라켓(42)과 상기 상부브라켓(43)들은, 수직상으로 각각 관통하면서 상기 하부마감판(2)을 포함하여 동시에 나사체결하는 체결볼트(44)를 통해 일체적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간브라켓(42)의 상단 중앙에는 내측방향으로 파여지면서 형성되는 끼움홈(42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브라켓(43)의 저면에는, 상기 끼움홈(421)에 삽입되면서 맞춤되게 끼움결합하는 끼움돌부(4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부브라켓(43)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볼트(44)의 볼트머리가 수용되어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요홈(432)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1)에서, 상기 하부브라켓(41)과 상기 중간브라켓(42)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압출성형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브라켓(43)은,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여 압출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하부브라켓(41)과 상기 중간브라켓(42)은, 결로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강도 압축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브라켓(43)은,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속으로 형성함으로서, 결로에 대한 내성과 구조적 내구성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1)에서, 상기 고정바(5)들의 상부에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상부마감판(43)들의 단부들을 연결하면서 결합하는 클립부재(6)가 연결하면서 안치되어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클립부재(6)가 상기 상부마감판(43)들을 연결하여 결합하면서 상기 고정바(5)의 상부에 체결된다.
상기에서 클립부재(6)는, 하부에 연장되면서 구비되며 상기 고정바(5)의 상면에 나사결합하는 고정편(61)과; 상기 고정편(61)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상부마감편(3)의 양단에 각각 절곡되면서 형성된 절곡편(31)(32)들이 각각 끼움결속하는 결속부(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길이가 상기 고정바(5)들의 사이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고정바(5)들의 상부를 연결하면서 고정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마감판(3)들을 상기 고정바(5)에 고정하는 상기 클립부재(6)들이 상기 상부마감판(3)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서로 근접되는 상기 고정바(5)들을 서로 연결하여 각각 지지하면서 결합하도록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이 확보된다.
특히,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어 지붕의 측방향에서 인가되는 풍압을 안정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상기 상부마감판(3)의 들뜸 및 진동 등과 같은 유동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확보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1)에 적용되는 상부마감판(3)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1)에서, 상기 상부마감판(3)은, 중공된 관통공을 가지는 '틀(frame)' 형상의 고정틀(71)과; 상기 고정틀(71)의 관통공을 폐쇄하면서 고정되며 태양광을 입력받아 태양관발전을 하도록 된 다수의 태양전지들이 배열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을 가지는 태양전지모듈(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PV모듈패널(7)로 이루어진다.
즉, 건축물의 지붕을 구성함과 더불어 입사되는 태양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전하여 자가발전하도록 함으로서, 사용효율이 극대화 된다.
상기에서 고정틀(71)은, 상기 클립부재(6)에 나사결합하면서 상기 고정바(5)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마감판(2)과 상기 상부마감판(3)의 사이에는, 유리섬유를 재질로 하는 충진물(8)이 배치되어, 방열, 방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9'는 방수시트 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1)은, 서로 근접하는 상기 고정바(5)들을 상기 클립부재(6)가 각각 지지하면서 연결하도록 되며; 상기 브라켓수단(4)을 구성하는 상기 하부브라켓(41)과 상기 중간브라켓(42)은, 결로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브라켓(43)은, 고강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패널시스템 10 : 골조
100 : 지지프레임 2 : 하부마감판
21 : 결합홈 3 : 상부마감판
31,32 : 절곡편 4 : 브라켓수단
41 : 하부브라켓 42 : 중간브라켓
421 : 끼움홈 43 : 상부브라켓
431 : 끼움돌부 432 : 요홈
44 : 체결볼트 5 : 고정바
6 : 클립부재 61 : 고정편
62 : 결속부 7 : PV모듈패널
71 : 고정틀 72 : 태양전지모듈
8 : 충진물 9 : 방수시트

Claims (1)

  1. 건축물의 지붕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적층되어 고정되는 하부마감판(2)과; 상기 하부마감판(2)의 상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브라켓수단(4)들과; 상기 다수의 브라켓수단(4)들의 상부를 연결하면서 고정되어 그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감판(3)을 지지고정하도록 된 고정바(5)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브라켓수단(4)은, 상기 하부마감판(2)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장홈' 형상의 안내홈들에 끼움결합하는 하부브라켓(41)과; 상기 하부브라켓(41)의 상부에 적층고정되며 수직상 길이를 가지는 중간브라켓(42)과; 상기 중간브라켓(42)의 상부에 적층고정되며 상단에 상기 고정바(5)들이 고정되는 상부브라켓(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브라켓(41)과 상기 중간브라켓(42)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압출성형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브라켓(43)은,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여 압출성형되어 형성되는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하부브라켓(2)과 상기 중간브라켓(42)과 상기 상부브라켓(43)들은,
    수직상으로 각각 관통하면서 상기 하부마감판(2)을 포함하여 동시에 나사체결하는 체결볼트(44)를 통해 일체적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중간브라켓(42)의 상단 중앙에는,
    내측방향으로 파여지면서 형성되는 끼움홈(42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브라켓(43)의 저면에는,
    상기 끼움홈(421)에 삽입되면서 맞춤되게 끼움결합하는 끼움돌부(431)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브라켓(43)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볼트(44)의 볼트머리가 수용되어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요홈(43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5)들의 상부를 연결하면서 안치되어 고정하도록 길이를 가지며 상기 상부마감판(43)들의 단부들을 연결하면서 결합하는 클립부재(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클립부재(6)는,
    하부에 연장되면서 구비되며 상기 고정바(5)의 상면에 나사결합하는 고정편(61)과; 상기 고정편(61)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상부마감편(3)의 양단에 각각 절곡되면서 형성된 절곡편(31)(32)들이 각각 끼움결속하는 결속부(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길이가 상기 고정바(5)들의 사이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고정바(5)들의 상부를 연결하면서 고정되도록 되고;
    상기 상부마감판(3)은,
    중공된 관통공을 가지는 '틀(frame)' 형상의 고정틀(71)과; 상기 고정틀(71)의 관통공을 폐쇄하면서 고정되며 태양광을 입력받아 태양관발전을 하도록 된 다수의 태양전지들이 배열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을 가지는 태양전지모듈(72);을 가지는 PV모듈패널(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
KR1020180046860A 2018-04-23 2018-04-23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 Active KR101903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860A KR101903727B1 (ko) 2018-04-23 2018-04-23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860A KR101903727B1 (ko) 2018-04-23 2018-04-23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145A KR20180080145A (ko) 2018-07-11
KR101903727B1 true KR101903727B1 (ko) 2018-10-02

Family

ID=62917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860A Active KR101903727B1 (ko) 2018-04-23 2018-04-23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72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767B1 (ko) * 2018-10-12 2019-05-27 라인강건산업주식회사 내화구조를 갖는 지붕 시스템
KR102119385B1 (ko) 2019-09-23 2020-06-16 주식회사 닥스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지붕 패널시스템
KR102129979B1 (ko) * 2020-03-03 2020-07-03 강준호 누수 방지를 위한 태양광모듈의 지붕 설치용 브라켓
KR20210011807A (ko) *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중심티엔씨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
KR102468282B1 (ko) * 2022-03-24 2022-11-17 (주)신성모듀라 열교차단재로 단열성을 증대시킨 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KR20230126354A (ko) 2022-02-23 2023-08-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지붕외피 단열재 및 바닥내장 단열재 겸용 음각 트러스 데크플레이트 일체형 단열시스템
KR102666062B1 (ko) 2022-12-23 2024-05-13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음각 트러스 데크플레이트 일체형 건물 지붕외피 단열패널의 교차구조 누수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255B1 (ko) * 2021-04-05 2021-12-08 라인강건산업주식회사 이중복합 내화구조를 갖는 지붕조립체
WO2024213190A1 (en) * 2023-04-14 2024-10-17 Nebesys A.S. House ro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691B1 (ko) * 2013-08-07 2015-01-22 박완식 건축물 지붕에 상부마감판을 고정하는 패널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279B1 (ko) * 2012-04-20 2012-12-20 허상원 건축물 지붕판 고정브라켓
KR101444454B1 (ko) * 2014-04-02 2014-10-02 스카이패널 주식회사 구조보강부재를 구비한 지붕판넬조립체
KR101784930B1 (ko) * 2016-12-05 2017-10-12 한국스판 주식회사 지붕판넬용 지지부재
KR101832470B1 (ko) * 2017-09-18 2018-02-26 임영석 태양광 일체형 지붕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691B1 (ko) * 2013-08-07 2015-01-22 박완식 건축물 지붕에 상부마감판을 고정하는 패널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767B1 (ko) * 2018-10-12 2019-05-27 라인강건산업주식회사 내화구조를 갖는 지붕 시스템
KR20210011807A (ko) *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중심티엔씨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
KR102277239B1 (ko) 2019-07-23 2021-07-14 주식회사 중심티엔씨 하중감지를 위한 지붕패널 시스템 및 그 지붕패널의 시공방법
KR102119385B1 (ko) 2019-09-23 2020-06-16 주식회사 닥스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지붕 패널시스템
KR102129979B1 (ko) * 2020-03-03 2020-07-03 강준호 누수 방지를 위한 태양광모듈의 지붕 설치용 브라켓
KR20230126354A (ko) 2022-02-23 2023-08-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지붕외피 단열재 및 바닥내장 단열재 겸용 음각 트러스 데크플레이트 일체형 단열시스템
KR102468282B1 (ko) * 2022-03-24 2022-11-17 (주)신성모듀라 열교차단재로 단열성을 증대시킨 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
KR102666062B1 (ko) 2022-12-23 2024-05-13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음각 트러스 데크플레이트 일체형 건물 지붕외피 단열패널의 교차구조 누수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145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727B1 (ko)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
WO2010071085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架台、その施工方法、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5725960B2 (ja) 落雪防止金具、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CN113250384A (zh) 一种建筑光伏一体化抗风屋面系统
KR20130142993A (ko) 태양광 에너지 수집 설비
JP2018162575A (ja) 太陽光発電装置用架台
JP540435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水切り構造
KR101214279B1 (ko) 건축물 지붕판 고정브라켓
CN213937800U (zh) 光伏屋顶
CN114108834A (zh) 一种异形双层金属屋面的连接构件
JP5366057B2 (ja) 持出部材の設置構造、外設部材の取付構造、及び改修構造
JP2002021266A (ja) 陸屋根構造
JP5403510B2 (ja) 外設構築物の設置構造
JP2013028940A (ja) 金属屋根
JP2013007192A (ja) 太陽電池等の屋根への取付構造
JP5893273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下層構造、及び太陽電池パネルを含む外装構造
JP5396107B2 (ja) 屋根上パネル設置用屋根瓦及び屋根上パネルの設置方法
KR101498551B1 (ko) 조립식 지붕에 태양전지 모듈 설치를 위한 마운팅 구조체
JP6298790B2 (ja) 持出部材の設置構造、その設置施工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外設部材の取付構造、改修構造
CN113309301A (zh) 一种金属屋面板固定座
JP5430544B2 (ja) 補助垂木固定金具及び設備固定装置
JP6045021B2 (ja) 屋根上設置物の取付具およびその取付具を用いた屋根上設置物の取付方法
JP4684101B2 (ja) 太陽光利用システム
JP2005133503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構造
CN217711401U (zh) 一种建筑光伏一体化抗风屋面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6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