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712B1 - Forming apparatus for pattern line - Google Patents
Forming apparatus for pattern l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3712B1 KR101903712B1 KR1020160058209A KR20160058209A KR101903712B1 KR 101903712 B1 KR101903712 B1 KR 101903712B1 KR 1020160058209 A KR1020160058209 A KR 1020160058209A KR 20160058209 A KR20160058209 A KR 20160058209A KR 101903712 B1 KR101903712 B1 KR 1019037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unit
- luer
- connector
- ta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594 sapphir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80 sapphi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9 meniscu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11 non-condu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38 flame photometric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6 process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0 sol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electrodes)
- H01L23/4827—Materials
- H01L23/4828—Conductive organic material or pastes, e.g. conductive adhesives, ink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4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ink-jet printing or drawing by dispen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04—Heads using conductive 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물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핀부, 상기 핀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부, 및 상기 노즐부의 중심축에 정렬되도록 상기 핀부를 지지하는 탭부,를 포함하고, 전기수력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용액을 토출하며 패턴라인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노즐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턴라인 형성장치가 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unit, a nozzle unit, and a nozzle unit. The nozzle unit includes a fin unit disposed inside the nozzle unit, a connector unit connected to the fin unit to supply power, and a tab unit supporting the fin unit, And a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lifetime of the nozzle unit in forming a pattern line by discharging a solution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is pres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패턴라인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수력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용액을 토출 가능하게 마련된 노즐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턴라인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service life of a nozzle unit capable of discharging a solution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최근 출시되는 다양한 전자제품들은 그 내부에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반도체 소자들이 구비된다. 반도체 소자들은 경량화 및 박형화되는 추세이고, 반도체 소자들을 연결하는 패턴라인들의 선폭은 점차 얇아지고 있다.Recently,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re equipped with semiconductor devices which perform various functions inside. Semiconductor devices are becoming lighter and thinner, and line widths of pattern lines connecting semiconductor elements are becoming thinner.
또한,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방식의 FPD(Flat Panel Display)의 경우, 단위 면적당 구현되는 픽셀 수가 점점 많아짐에 따라 이들 픽셀을 구동하는 회로소자들이 작아지고 있고, 회로소자들을 연결하는 패턴라인들의 선폭이 얇아지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PD (Flat Panel Display)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a light emitting diode (LED) type, The elements are becoming smaller, and the line width of the pattern lines connecting the circuit elements is becoming thinner.
또한, 스마트폰 및 랩탑 등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들이 경량화 및 소형화되면서 이들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의 패턴라인들이 미세하고 복잡하게 형성되고 있다.In addition, as the displays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laptops are made lighter and smaller, pattern lines of PCBs (Printed Circuit Boards) that drive displays of these devices are being formed finely and complicatedly.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반도체나 FPD 또는 PCB 등을 제조하는 각종 설비에는, 전기수력학적(electrohydrodynamic, EHD) 현상을 이용하여 노즐에서 도전성 잉크를 미세한 액적으로 토출하면서 수㎛ 너비의 패턴라인으로 형성 가능한 리페어 장치가 마련되고, 리페어 장치에는 전기수력학을 이용하여 도전성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이 구비된다.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various device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s, FPDs, PCBs, and the like are equipped with a repair device capable of forming a pattern line with a width of several micrometers while ejecting conductive ink from the nozzles into fine droplets by utilizing electrohydrodynamic (EHD) And the repair device is provided with a nozzle for discharging the conductive ink using electrohydraulic.
전기수력학을 이용하여 노즐에서 극미량의 도전성 잉크를 토출하기 위해서는 노즐이 전극으로 작용하여 노즐의 하측에 전기장이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노즐은 금속으로 제작되거나 적어도 외주면에 금속막이 구비되어야 한다.In order to discharge a very small amount of conductive ink from a nozzle using electrohydraulic, an electric field should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by the nozzle acting as an electrode. Therefore, the nozzle should be made of metal or at least a metal film should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7842호에 전도성 소재로 구성된 노즐이 패터닝 장치의 구성부로 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9288호에 단부에 금속막이 구비된 유리 재질의 노즐이 전기수력학적 현상을 이용하는 프린팅 장치의 구성부로 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27842 discloses a nozzle constituted by a conductive material as a constituent part of a patterning apparatus, 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79288 discloses a nozzle made of glass, Is presented as a constituent part of a printing apparatus that utilizes the electro-hydrodynamic phenomenon.
하지만, 노즐이 금속으로 제작되면 가공이 어려워 끝단 면적을 원하는 만큼 작게 형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노즐은 유리로 제작되고, 외주면에 금속막이 코팅된다. 이의 경우, 노즐의 가공이 쉬워 끝단 면적을 원하는 만큼 작게 형성할 수 있고, 노즐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코팅된 금속막에 의하여 노즐의 하측에 전기장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nozzle is made of metal, it is difficult to form the tip area as small as desired because of difficult processing. Therefore, the nozzle is made of glass and the metal film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In this case, the nozzle can be easily machined, so that the end area can be made as small as desired, and the electric field can be uniform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by the metal film uniformly co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zzle.
한편, 유리로 제작되어 금속막이 코팅된 노즐은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외주면에서 금속막이 탈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노즐의 외주면에서 금속막이 탈락하게 되면 노즐의 토출 지속성을 위하여 금속막에 인가되는 전압을 점차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금속막의 탈락 정도에 대응하도록 금속막에 인가되는 전압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노즐의 하측으로 전기장을 균일하게 형성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금속막의 탈락 정도에 대응하여 금속막에 인가되는 전압을 정밀하게 조절하더라도 금속막의 형상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노즐의 하측으로 전기장을 균일하게 형성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노즐의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도전성 잉크의 토출량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nozzle made of glass and coated with a metal film has a problem that the metal film is detach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the use time increases. When the metal film is detach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zzle, the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metal film must be gradually increased for the duration of discharge of the nozzle.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the voltage applied to the metal film so as to correspond to the degree of dropping of the metal film,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form the electric field to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In addition, even if the voltage applied to the metal film is precisely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the metal film falling off, the shape of the metal film is irregular, and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form the electric field below the nozzl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onductive ink as the use time of the nozzle becomes longer.
본 발명은 전기수력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용액을 토출하며 패턴라인을 형성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노즐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턴라인 형성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lifetime of a nozzle unit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form a pattern line by discharging a solution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는 전기수력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용액을 토출하는 장치로서, 처리물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부의 중심축에 정렬되는 핀부; 및 상기 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한다.A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discharging a solution by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comprising: a nozzle unit positioned to face a processed object; A fin portion disposed inside the nozzle portion and aligned with a central axis of the nozzle portion; And a connector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n portion to supply power.
상기 노즐부의 중심축에 정렬되도록 상기 핀부를 지지 가능한 탭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tab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fin portion to be aligned with a central axis of the nozzle portion.
상기 노즐부와 상기 커넥터부를 연결하여 장착되는 루어부; 및 상기 커넥터부에 장착되고, 상기 노즐부에 연결되는 시린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탭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루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A luer part connected to the nozzle part and the connector part; And a syringe portion mounted to the connector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nozzle portion,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tab portion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luer portion.
상기 핀부는 상기 탭부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노즐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The fin portion may be mounted on the tab portion and fixed, and may be spac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zzle portion.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루어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노즐부의 반대측에서 상기 루어부에 장착되고, 내부면의 일부가 상기 탭부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or portion may be mounted on the luer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nozzl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uer portion, and a part of the inner surfac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ab portion.
상기 탭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루어부의 내부면에 접촉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커넥터부의 내부면에 접촉되어 일 방향 및 일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The tab portion may be fixed in one direction and in a direction crossing one direction by contacting one end of the tab por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uer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ab portion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portion.
상기 시린지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장착될 수 있다.The syringe portion may be mounted to the connector portion.
상기 노즐부, 루어부, 커넥터부 및 시린지부는 상기 노즐부의 중심축에 정렬될 수 있고, 내부가 연통할 수 있다.The nozzle portion, the luer portion, the connector portion, and the syringe portion may be aligned with the center axis of the nozzle portion, and the insid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탭부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용액이 통과되고, 상기 통로는 일측이 상기 노즐부 또는 루어부의 내부에 연통하고, 타측이 상기 커넥터부 또는 시린지부의 내부에 연통할 수 있다.At least one passage is formed in the inner o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ab portion to allow the solution to pass therethrough so that one side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nozzle portion or the luer portion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connector portion or the cylinder portion have.
상기 노즐부의 중심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탭부를 관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탭부의 통로에 연통할 수 있다.At least one hole is formed through the tab portion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enter axis of the nozzle portion, and the hole can communicate with the passage of the tab portion.
상기 노즐부는 글라스 및 사파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zzle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lass and a sapphire.
상기 핀부는 텅스텐, 금, 은 및 구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탭부 및 커넥터부는 전기 도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n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ungsten, gold, silver, and copper, and the tab portion and the connector portion ma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상기 용액은 도전성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단부에 콘 팁이 형성되며, 상기 콘 팁은 상기 도전성 잉크가 전기수력학적 압력에 의해 토출 가능하도록 내부에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solution includes a conductive ink, and the nozzle portion is formed with a cone tip at an end thereof, and the cone tip can be internally routed so that the conductive ink can be discharged by electrohydraulic pressure.
상기 핀부는 단부에 테이퍼 팁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 팁은 상기 노즐부의 단부에 형성된 콘 팁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콘 팁의 용액 토출구 부근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fin portion may have a tapered tip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the tapered tip may be located inside the tip of the cone formed at the end of the nozzle portion and extend to the vicinity of the solution outlet of the cone tip.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수력학을 이용하여 각종 기판에 패턴라인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노즐부의 수명을 예컨대 종래의 세배 이상으로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즐부의 교체 주기가 종래보다 길어질 수 있고, 종래에 노즐부의 교체에 소모되었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노즐부의 교체 시까지 노즐부의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어 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해당 공정의 생산성 및 해당 공정에서 제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the lifetime of the nozzle unit, which is provided to form a pattern line on various substrates, by using electrohydraulics, for example, three times or more heretofore. Therefore, the replacing period of the nozzle unit can be longer than that of the related art, and the time and cost consumed in the conventional replacement of the nozzle unit can be saved. Further, the state of the nozzle unit can be maintained well until the nozzle unit is replaced,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apparatus can be improv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process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 manufactured in the process can be improved.
예컨대 FPD를 제조하는 중이거나 제조 후에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패턴라인의 오픈 결함을 전기수력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잉크 리페어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노즐부의 내부 중심축에 핀부를 마련하여 전극으로 사용함에 따라, 종래보다 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핀부가 노즐부 내부에서 보호될 수 있고, 장치의 안정적인 유지 관리가 가능하고, 노즐부의 하측에 전기장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미세량의 도전성 잉크를 정밀하게 토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open defect of a pattern line formed on one side of a substrate is applied to an apparatus for repairing an ink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during or after manufacturing an FPD, a fin portion is provided on an inner central axis of the nozzle portion to be used as an electro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to protect the fin within the nozzle unit, to stably maintain the apparatus, to uniformly form the electric field o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unit, The ink can be accurately ej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노즐부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부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 결과의 사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of a nozzle part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hotograph of the nozzle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hotograph of a pattern line formation result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meantime,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에서 FPD(Flat Panel Display) 제조부문의 잉크 리페어 공정 및 설비를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기수력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액상(liquid phase) 물질을 토출하는 다양한 공정 및 설비에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ink repair process and facilities of a flat panel display (FPD) manufacturing sect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rocesses and facilities for discharging various liquid phase materials using electrohydraulic phenomen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를 설명한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는 전기수력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용액을 토출하는 장치로서, 처리물(10)을 지지 가능하게 마련된 지지유닛(100), 패턴라인 형성을 위한 용액을 분무 가능하게 형성되고, 지지유닛(100)의 일측에 마련되는 노즐유닛(200), 노즐유닛(200)에 연결되고, 전원을 인가 가능하게 마련되는 전원유닛(300)을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forming a patter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discharging a solution by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The apparatus includes a
또한, 패턴라인 형성장치는 노즐유닛(200)에 공압을 제공 가능하게 형성되는 공압유닛(400), 패턴라인을 촬영하기 위한 조명을 생성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지지유닛(100)의 타측에 마련되는 조명유닛(510), 지지유닛(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패턴라인의 영상을 촬영 가능한 광학유닛(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유닛(100), 노즐유닛(200), 전원유닛(300), 공압유닛(400), 조명유닛(510) 및 광학유닛(520)은 제어유닛(600)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The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처리물(10)은 일면에 전자 소자 및 도전성 패턴라인이 제조되는 공정이 진행 중이거나 공정이 종료된 각종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처리물(10)은 일면에 소정의 패턴라인이 형성된 유리나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물(10)은 지지유닛(100)에 지지될 수 있다.The processed
용액은 패턴라인의 형성을 위한 도전성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잉크는 잉크 입자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잉크는 금, 은, 백금, 크롬 등의 금속 입자나 이들의 합금 또는 산화물을 함유할 수 있고, 이온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용제는 휘발성 물질이나 수용성 물질 또는 지용성 물질로 마련될 수 있다. 용액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지 않으며, 예컨대 전기수력학적 현상에 의해 기판에 분무되어 도전성 패턴라인을 형성 가능한 다양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The solution may comprise a conductive ink for the formation of a pattern line. The conductive ink may include ink particles and a solvent. The conductive ink may contain metal particles such as gold, silver, platinum, chromium, alloys or oxides thereof, and may contain ions. On the other hand, the solvent may be a volatile substance, a water-soluble substance or a lipid-soluble substance. The solution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various solutions capable of forming conductive pattern lines by, for example, spraying onto a substrate by electrohydrodynamic development.
지지유닛(100)은 일측 예컨대 상측에 처리물(10)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테이지 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유닛(100)의 가장자리 부근에는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처리물(1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정렬하는 정렬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유닛(100)의 일측면 예컨대 상부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처리물(10)을 지지 가능하도록 리프트핀(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고, 처리물(10)을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하도록 진공척(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The supporting
지지유닛(100)은 테이블(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테이블에 설치될 수 있다.The
테이블의 일측에는 장착유닛(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장착유닛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테이블에 설치되거나, 테이블에 설치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장착유닛에는 노즐유닛(200)이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장착유닛은 지지유닛(100)에 지지된 처리물(10)의 일측면으로부터 수 내지 수백 ㎛ 이격된 위치에 노즐유닛(200)을 위치시키도록 정밀하게 작동될 수 있다.A mounting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able. The mounting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table so as to be movable in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r may be installed on the table and fixed in position.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유닛(200)은 지지유닛(100)의 일측 예컨대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노즐유닛(200)은 전기수력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미세량의 용액을 토출하며 처리물(10)의 일측면에 매우 얇은 너비의 패턴라인을 정밀하게 형성하거나 패턴라인의 결함을 리페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A 부분 및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의 분해도이다. 이때,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의 노즐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도 4 (a)에 도시된 노즐유닛의 구성부들 중 탭부와 핀부만 따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s. 2 and 3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and a portion B in Fig. 1, respectively. 4 is an exploded view of a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n exploded view of the nozzle unit of the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unit shown in FIG. Only the tab portion and the pin portion are shown separately.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의 노즐유닛을 상세하게 설명한다.1 to 4, a nozzle unit of a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노즐유닛(200)은 처리물(10)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노즐부(210), 노즐부(2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노즐부(210)의 중심축에 정렬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전극으로 작동하는 핀부(220), 핀부(22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부(240)를 포함한다.The
또한, 노즐유닛(200)은 핀부(220)가 노즐부(210)의 중심축에 정렬되도록 핀부(220)를 지지하는 탭부(250), 노즐부(210)와 커넥터부(240)를 연결하여 장착되는 루어부(260), 커넥터부(240)에 장착되고, 노즐부(210)에 연결되어 용액을 공급 가능한 시린지부(230), 처리물(10)에 대한 노즐부(210)의 위치를 예컨대 수직 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거리조절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노즐부(210)는 지지유닛(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처리물(10)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노즐부(210)는 일 방향 예컨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용액이 통과되는 경로가 일 방향으로 노즐부(210)를 관통하여 구비된다. 노즐부(210)는 가늘게 형성된 중공의 원통체 예컨대 모세관을 포함할 수 있고, 단부에 콘 팁(211)이 형성될 수 있다. 콘 팁(211)은 끝부분으로 갈수록 외경과 내경이 작아지는 예컨대 테일러 콘(taylor con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기수력학적 현상에 의하여 용액이 통과 가능하도록 콘 팁(211)의 내부를 일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경로는 수 ㎛ 이하로 내주면 너비 예컨대 내경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콘 팁(211)은 도전성 잉크가 전기수력학적 압력에 의해 토출 가능하도록 내부에 경로가 소정의 내주면 형상과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The
노즐부(210)는 글라스(glass) 및 사파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어, 그 형상 및 크기가 원하는 형상 및 크기로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고, 콘 팁(211)의 끝단에 형성된 용액 토출구(용액이 통과되는 경로의 끝단을 지칭)를 원하는 크기 예컨대 수 ㎛ 이하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노즐부(210)의 재질은 상기한 바 외에도 수 ㎛ 이하의 크기로 그 형상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다양한 부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노즐부(210)는 루어부(260)를 일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고 루어부(260)의 내부와 연통할 수 있다. 노즐부(210)의 내부에는 핀부(220)가 위치될 수 있다.The
핀부(220)는 노즐부(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핀부(220)는 탭부(250)를 통하여 커넥터부(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원을 인가받아 전극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핀부(220)는 전극의 역할을 하며, 핀부(220)에 의해 처리물(10)과의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고, 전기장에 의하여 노즐부(210)의 내부에 수용된 용액이 극소량씩 정밀하게 토출될 수 있다.The
핀부(220)는 노즐부(210)의 내주면 너비보다 작은 직경 예컨대 수십 내지 수백 ㎛의 직경을 가지도록 일 방향으로 예컨대 수십 ㎜ 정도 길이 연장되는 가느다란 핀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이때, 핀부(220)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핀부(220)의 단면 형상은 노즐부(210)의 내주면 형상, 핀부(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기장의 특성, 핀부(220)에 의한 노즐부(210)의 내부 공간의 유효 단면적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The
핀부(220)는 탭부(250)를 일 방향 예컨대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고, 노즐부(210)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정렬되며 노즐부(210)의 내주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핀부(220)가 노즐부(210)의 중심축에 정렬되어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노즐부(210)의 하측으로 전기장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용액 내에 형성된 이온들에 균일한 힘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용액의 토출량을 매우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예컨대 핀부(220)가 노즐부(210)의 내부에서 구부러지거나 노즐부(210)의 내주면에 접촉되면, 균일한 전기장 형성이 어려워 용액 토출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핀부(220)가 탭부(250)에 의해 노즐부(210)의 내부에서 중심축에 정렬되어 구부러짐 없이 일 방향으로 곧게 배치되기 때문에, 노즐부(210)의 하측으로 전기장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용액을 정밀하게 토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핀부(220)는 단부에 테이퍼 팁(221)이 구비될 수 있다. 테이퍼 팁(221)은 노즐부(210)의 단부에 형성된 콘 팁(211)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콘 팁(211)의 용액 토출구 부근까지 그 직경이 점점 작아지면서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테이퍼 팁(221)에 의하여 노즐부(210)의 용액 토출구 부근까지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테이퍼 팁(221)의 외주면 형상은 콘 팁(211)의 내부면 형상에 대응하여 예컨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콘 팁(211)의 내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The
핀부(220)는 전원을 인가받아 전극 형성이 가능한 전기 도전성 재질 예컨대 각종 금속이나 합금들 중 수십 또는 수백 ㎛의 직경으로 형성되었을 때 자중 및 용액 압력에 의한 휨이 방지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금속이나 합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핀부(220)는 텅스텐, 금, 은, 백금, 구리 및 알루미늄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함유하는 금속 또는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한편, 핀부(220)의 테이퍼 팁(211)의 끝단은 노즐부(210)의 콘 팁(211)의 끝단으로부터 1㎜ 내지 5㎜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테이퍼 팁(211)의 외주면이 콘 팁(211)의 내부면에서 원하는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어, 핀부(220)에 전원이 인가될 때, 용액이 콘 팁(211)의 내부를 원활하게 통과하여 정밀하게 토출될 수 있다.The tip of the
시린지부(230)는 커넥터부(240)를 중심으로 하여 루어부(260)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시린지부(230)는 노즐부(210)에 연결되어 용액 예컨대 도전성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시린지부(230)는 일 방향 예컨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용액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 예컨대 시린지부(230)는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용액이 저장될 수 있다. 시린지부(230)는 노즐부(210)와 공압유닛(4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장착될 수 있고, 공압유닛(400)으로부터 인가되는 공압을 노즐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린지부(230)는 공압유닛(400)에 연결되어 공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시린지부(230)는 커넥터부(240)에 장착되며, 커넥터부(240)와 루어부(260)에 의하여 노즐부(210)에 연통된다. 따라서, 시린지부(230)는 커넥터부(24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전기절연 가능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시린지부(230)는 커넥터부(24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한편, 패턴라인 형성을 위하여 요구되는 용액의 양이 시린지부(230)의 용적보다 클 경우 시린지부(230)는 용액 저장유닛(미도시)에 연결되어 용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the solution required for pattern line formation is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또는, 패턴라인 형성을 위해 요구되는 용액의 양이 노즐부(210)의 용적과 같거나 노즐부(210)의 용적보다 작을 경우, 시린지부(230)는 내부에 용액이 담기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용액은 노즐부(2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노즐유닛(200)의 조립 시 노즐부(210)의 내부에 미리 용액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용액을 노즐부(210)의 내부에 마련하거나, 이 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용액을 노즐부(210)의 내부에 마련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amount of the solution required for forming the pattern line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커넥터부(240)는 루어부(260)를 중심으로 하여 노즐부(210)의 반대측에서 루어부(26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커넥터부(240)는 시린지부(230)와 루어부(260)의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될 수 있다. 커넥터부(240)는 중공의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탭부(250)에 접촉되며 탭부(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탭부(250)를 통해 핀부(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부(240)는 내주면의 돌출된 부분 예컨대 돌기(241)를 이용하여 탭부(250)를 루어부(260)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이에 탭부(250)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커넥터부(24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내부를 일 방향으로 관통하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된다. 커넥터부(240)는 루어부(260)를 마주보는 일 단부가 루어부(26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고, 시린지부(230)를 마주보는 타 단부가 시린지부(2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이들이 장착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커넥터부(240)는 외주면의 일부가 커넥터부(240)의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소정의 면 예컨대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부(240)는 외주면의 평면을 이용하여 전원유닛(30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유닛(300)에는 예컨대 'U' 형상의 클립부재(310)가 구비될 수 있고, 클립부재(310)가 커넥터부(240)의 외주면에 마주보도록 형성된 평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쉽게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커넥터부(240)는 전원을 인가받아 탭부(250)로 전달 가능하도록 전기 도전성 재질 예컨대 각종 금속이나 합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함유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부는 핀부(220)의 재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탭부(250)는 루어부(260)를 중심으로 하여 노즐부(210)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탭부(250)의 적어도 일부가 루어부(26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탭부(250)는 핀부(220)가 노즐부(210)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정렬되도록 루어부(260)의 내부에서 핀부(220)를 지지할 수 있다.The
탭부(250)는 예컨대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루어부(260)의 내부에서 그 내부면에 지지되면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탭부(250)는 루어부(260)의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직경이 형성될 수 있고, 루어부(260)의 내부면에서 이격되도록 직경이 형성될 수 있다.The
탭부(25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노즐부(210)측을 향하는 일측 단부가 루어부(260)의 내부면에 접촉되고, 시린지부(230)측을 향하는 타측 단부가 커넥터부(240)의 내부면에 접촉되어, 일 방향 및 일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탭부(250)는 일측 단부 외주면이 루어부(260)의 후술하는 타측 내부면의 접촉면(261)에 밀착될 수 있고, 타측 단부가 커넥터부(240)의 내부면 돌기(241)에 밀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The
탭부(250)를 일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홀(252)이 형성될 수 있다. 탭부(25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252)은 루어부(260) 내부의 용액이 이동되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At least one
탭부(250)의 내부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로(251)가 형성되어 용액이 통과될 수 있다. 예컨대 통로(251)는 탭부(250)의 외주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통로(251)는 일측이 노즐부(210)나 루어부(260)의 내부에 노출 또는 개방되어 연통할 수 있고, 타측이 커넥터부(240)나 시린지부(230)의 내부에 노출 또는 개방되어 연통할 수 있다. 이때, 통로(251)가 복수개 형성되면 복수개의 통로(251)들은 홀(252)에 연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탭부(250)를 관통하여 형성된 홀(252)은 통로(251)들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이에 용액이 더욱 균일하게 통과될 수 있다.At least one
탭부(250)는 커넥터부(24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핀부(220)로 전달 가능하도록 전기 도전성 재질 예컨대 각종 금속이나 합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함유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핀부(220)와 그 재질이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루어부(260)에는 노즐부(210)가 장착될 수 있다. 루어부(260)는 노즐부(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노즐부(210)와 커넥터부(24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루어부(26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노즐부(2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그 내부면의 형상이 회전 대칭될 수 있다. 루어부(260)의 외부면에는 하나 이상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장치의 조립이나 운반 등의 취급이 용이할 수 있다.The
루어부(260)의 일측 내부면에는 노즐부(210)가 관통하여 장착되고 타측 외부면에는 커넥터부(240)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루어부(260)의 타측 내부면에는 탭부(250)가 위치하며, 탭부(250)의 일측 단부와 밀착되는 루어부(260)의 타측 내부면에는 접촉면(261)이 구비될 수 있다.The
이때, 루어부(260)의 접촉면(261)은 노즐부(210)를 향하여 일 방향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구비되어 노즐부(2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하게 형성될 수 있다. 루어부(260)의 경사면에 탭부(250)의 일측 단부가 밀착되면서, 탭부(250)가 노즐부(210)의 중심축에 정렬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는, 루어부(260)의 접촉면(261)은 노즐부(210)를 향하여 일 방향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단턱(미도시)으로 구비될 수 있고, 단턱은 노즐부(2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하게 형성될 수 있다. 루어부(260)의 단턱에 탭부(250)의 일측 단부가 밀착됨에 따라, 탭부(250)가 노즐부(210)의 중심축에 정렬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루어부(260)는 부도체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노즐부(210)와 루어부(260)와 커넥터부(240)와 시린지부는 노즐부(210)의 중심축에 정렬될 수 있고, 그 내부가 서로 연통할 수 있다. 핀부(220)와 탭부(250)와 커넥터부(240)는 접촉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커넥터부(240)의 외주면에 결속된 전원유닛(300)의 클립부재(310)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The
거리조절부(270)는 처리물(10)에 대한 노즐부(210)의 위치를 수직 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의 구체적인 구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수㎛의 위치 정밀도를 가지는 각종 모터나 기어 또는 기구 등의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유닛(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종래처럼 노즐부의 외주면에 코팅막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장치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의 역할을 하는 핀부(220)가 노즐부(210) 내에서 보호될 수 있어 장치를 안정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고, 사용 시간이 증가하여도 인가되는 전압 변화를 적게 하거나 일정한 전압으로 용액 토출이 가능하고, 전기장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어 미세량의 용액 예컨대 도전성 잉크를 정밀하게 토출할 수 있다.Since the
도 1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의 전원유닛, 공압유닛, 조명유닛, 광학유닛 및 제어유닛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4, a power unit, a pneumatic unit, a lighting unit, an optical unit and a control unit of the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전원유닛(300)은 노즐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고, 용액의 분무를 위한 전원을 노즐유닛(200)에 인가 가능하다. 예컨대 전원유닛(300)은 노즐유닛(200)의 커넥터부(240)에 연결될 수 있고, 전원유닛(300)에서 인가되는 전원은 커넥터부(240)에서 탭부(250)를 거쳐 핀부(220)로 공급될 수 있다.The
전원유닛(300)에 의하여 노즐유닛(200)이 처리물(10)에 대해 소정의 전위를 가질 수 있고, 노즐유닛(200)과 처리물(10) 사이에 전위차에 의한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용액 내에 존재하는 이온은 전기장에 의해 노즐부(210)에서 토출될 수 있다. 전원유닛(300)은 직류 전원이나 교류 전원을 노즐유닛(200)에 인가할 수 있고, 이때, 전원유닛(300)이 직류 전원을 공급할 경우 처리물(10)에는 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전원유닛(300)이 교류 전원을 공급할 경우 예컨대 사인파형이나 펄스형 교류 전원 등을 소정 크기의 전압 및 주파수 범위로 인가할 수 있다.The
전원유닛(300)은 인가하는 전원의 세기, 주파수 및 전류의 양 등을 제어하여 용액의 토출량 및 토출 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토출 형태는 방울 형태 및 분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유닛(300)에서 인가하는 전원의 세기가 높아질수록 노즐유닛(200)에서 토출되는 용액은 방울 형태에서 분무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전원유닛(300)에서 인가하는 전원의 주파수가 달라지면 용액의 토출량이 달라지게 된다.The
공압유닛(400)은 노즐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고, 용액의 분무를 보조하기 위한 공압을 노즐유닛(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유닛(200)에 제공되는 공압의 세기가 달라지면 용액 토출구에서의 용액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이 달라지게 되어 용액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공압 세기가 커질수록 메니스커스가 크게 형성되어 토출되는 용액의 부피가 커질 수 있다.The
한편, 노즐유닛(200)에서 토출되는 용액의 특성에 따라, 노즐유닛(200)에 공급하여야 하는 전원의 세기가 매우 클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안전성의 문제도 있지만 정밀한 토출량 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압유닛(400)을 이용하여 노즐유닛(200)에 미리 설정된 크기의 공압을 공급할 수 있다. 즉, 공압유닛(400)은 노즐부(210) 및 이와 연결된 시린지부(230)에 원하는 크기의 공압을 일정하게 제공하여 이들 내부의 압력을 원하는 압력으로 제어 가능하다. 이처럼 공압에 의하여 용액의 토출을 보조할 수 있기에 노즐유닛(200)에 공급되어야 하는 전원의 세기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로부터 작동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용액의 토출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공압유닛(400)은 노즐 막힘 현상이 발생할 경우, 노즐부(210)의 막힌 부분이 다시 통하도록 노즐부(210)에 양압을 제공하여 막힌 부분을 뚫을 수 있다. 또한, 노즐유닛(200)의 용액 토출이 막히면, 공압유닛(400)은 노즐유닛(200)에 음압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노즐부(210)의 콘 팁에 굳어 있는 고상(solid phase)의 물질을 노즐부(210)의 내부로 회수하여 용해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들을 적절히 선택 사용함으로써, 공압유닛(400)으로 노즐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ozzle clogging occurs, the
조명유닛(510)은 처리물(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패턴라인을 촬영하기 위한 조명을 생성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지지유닛(100)을 중심으로 하여 처리물(10)의 반대측인 지지유닛(100)의 타측 예컨대 하측에 마련되어 처리물(10) 측으로 조명을 공급할 수 있다.The
광학유닛(520)은 노즐유닛(200)에서 토출되는 용액에 의해 처리물(10)에 패턴라인이 형성되는 과정을 영상으로 촬영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지지유닛(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패턴라인의 형상을 왜곡 없이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The
제어유닛(600)은 기 설정된 패턴라인이 처리물(10)의 일측면에 정확하게 형성되도록 지지유닛(100), 노즐유닛(200), 전원유닛(300) 및 공압유닛(400) 등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유닛(600)은 공업용 컴퓨터 등의 하드웨어와 공정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용이한 제어를 위해 디스플레이기기 및 입출력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유닛(600)은 장치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면 형태가 컴퓨터일 필요는 없고, 장치와 원활한 연결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PCB 등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에는 레이저빔 조사유닛(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레이저빔 조사유닛은 처리물(10)에 형성된 패턴라인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Meanwhile, a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laser beam irradiating unit (not shown). The laser beam irradiating unit can irradiate a pattern line formed in the processed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노즐부의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부의 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 결과의 사진이다.FIG. 5 is a photograph of a nozzle unit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hotograph of a nozz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hotograph of a pattern line formation result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도 5(a) 내지 도 5(d)는 종래 방식으로 유리 재질의 노즐부 외주면에 백금(Pt) 재질의 금속막을 증착하여,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를 마련하고, 금속막을 전극으로 이용하여 노즐부로 패턴라인을 형성하며 시간 경과에 따라 노즐부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5 (a) to 5 (d) show a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positing a metal film of a platinum (Pt) material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nozzle part of a glass material in a conventional manner, A pattern line is formed by a nozzle portion using a metal film as an electrode, and a state of the nozzle portion is photographed with time.
도 5(a)는 노즐부를 10시간 내지 13시간 사용하였을 때의 노즐부에서 금속막이 탈락한 것을 보여주고 있고, 도 5(b)는 노즐부를 40시간에서 50시간 사용하였을 때 노즐부에서 금속막이 탈락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5(c)는 노즐부를 98시간 내지 100시간 사용하고 나서 노즐부에서 금속막이 탈락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5(d)는 노즐부를 100시간에서 136시간 사용한 후에 노즐부에서 금속막이 탈락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비교 예)에는 노즐부의 사용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코팅막이 탈락되는 것이 심해짐을 알 수 있다.FIG. 5 (a) shows that the metal film fell off at the nozzle portion when the nozzle portion was used for 10 to 13 hours, and FIG. 5 (b) shows the metal film at the nozzle portion when the nozzle portion was used for 40 to 50 hours. It shows that it has been dropped. 5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metal film is removed from the nozzle portion after using the nozzle portion for 98 hours to 100 hours. FIG. 5 (d) It shows that the film is missing. As shown in these drawings, in the conventional case (comparative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coating film is severely detached as the use time of the nozzle part increase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로 패턴라인을 형성하며 약 300여 시간을 사용한 후 노즐부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6과 같이 노즐부의 외주면에 금속막이 코팅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시간이 증가하더라도 그 상태가 청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6 is a photograph of the state of the nozzle unit after forming a pattern line with the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sing about 300 hour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tal film is not co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zzle portion as shown in FIG. 6, the state can be kept clean even if the use time is increased.
도 5 및 도 6을 대비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는 노즐부의 수명이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5 and 6, it can be seen that the lifetime of the nozzle unit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in the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로 패턴라인을 형성하여 그 결과물을 보여주고 있다. 예컨대 토출 전압을 약 200V로 하여, 종래의 패턴라인 형성을 위한 공정 방식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촬영하고, 도 7(a) 내지 도 7(c) 각각 나타내었다. 각각은 패턴라인의 형성 길이가 80㎛, 100㎛ 및 150㎛이며, 패턴라인은 선 폭이 2.71㎛의 폭으로 균일하게 형성되었고, 높이 또한 약 1800 에서 2900 옹스트롬으로 원하는 만큼 적절하게 형성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라인 형성장치를 사용하여 배선 능력이 양호한 패턴라인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FIG. 7 shows a pattern line formed by the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 is shown. 7 (a) to 7 (c), the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nventional process line for forming a pattern line with a discharge voltage of about 200 V, Respectively. Each of the pattern lines was formed to have a length of 80 mu m, 100 mu m, and 150 mu m, and the pattern lines were uniformly formed with a width of 2.71 mu m and a height of about 1800 to 2900 angstroms. Thus, it can be seen that a pattern line having a good wiring ability can be formed by using the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제시된 구성 및 방식들은 서로 결합되거나 교차 적용되어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것이고, 이러한 변형 예들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결국,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for the purpose of limi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s and the methods disclosed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or applied cross-over to form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these variations may be regarded a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지지유닛 200: 노즐유닛
210: 노즐부 220: 핀부
230: 시린지부 240: 커넥터부
250: 탭부 260: 루어부
270: 거리조절부 300: 전원유닛
400: 공압유닛 600: 제어유닛100: support unit 200: nozzle unit
210: nozzle unit 220:
230: neck portion 240: connector portion
250: tab portion 260:
270: distance adjusting unit 300: power supply unit
400: Pneumatic unit 600: Control unit
Claims (13)
처리물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핀부;
일측에 상기 노즐부가 장착되는 루어부;
상기 루어부의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핀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부;
상기 루어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노즐부의 중심축에 정렬되고, 상기 루어부의 내부면 및 상기 커넥터부의 내부면에 접촉하며, 상기 핀부가 상기 중심축에 정렬되도록 상기 핀부를 지지하는 탭부;를 포함하는 패턴라인 형성장치.An apparatus for discharging a solution using an electrohydraulic phenomenon,
A nozzle unit positioned to face the processed object;
A fin portion disposed inside the nozzle portion;
A luer part to which the nozzle part is mounted on one side;
A connector portion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uer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in portion to supply power;
And a tab portion inserted into the luer portion and 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nozzle portion and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uer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portion and supporting the fin portion such that the pin portion is 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The pattern lin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상기 노즐부에 연결되는 시린지부;를 포함하는 패턴라인 형성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yringe connected to the nozzle unit.
상기 핀부는 상기 탭부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노즐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패턴라인 형성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n portion is fixed to the tab por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ozzle portion.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루어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노즐부의 반대측에서 상기 루어부에 장착되고, 내부면의 일부가 상기 탭부에 접촉되는 패턴라인 형성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portion is mounted on the luer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nozzl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uer portion, and a part of the inn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tab portion.
상기 탭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루어부의 내부면에 접촉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커넥터부의 내부면에 접촉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패턴라인 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ab portion has one end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uer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portion to fix the position.
상기 시린지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장착되는 패턴라인 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yringe portion is mounted to the connector portion.
상기 탭부의 내부 또는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용액이 통과되고,
상기 통로는 일측이 상기 노즐부 또는 루어부의 내부에 연통하고, 타측이 상기 커넥터부 또는 시린지부의 내부에 연통하는 패턴라인 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one passage is formed in the inner o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ab portion to allow the solution to pass therethrough,
Wherein the passage has on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nozzle portion or the luer portion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onnector portion or the syringe portion.
상기 노즐부의 중심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탭부를 관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탭부의 통로에 연통하는 패턴라인 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8,
At least one hole is formed through the tab portion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entral axis of the nozzle portion,
And the hole communicates with the passage of the tab portion.
상기 노즐부는 글라스 및 사파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패턴라인 형성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zzle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glass and a sapphire.
상기 핀부는 텅스텐, 금, 은 및 구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탭부 및 커넥터부는 전기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패턴라인 형성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 portion comprises at least one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elected from tungsten, gold, silver and copper,
Wherein the tab portion and the connector portion comprise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상기 용액은 도전성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단부에 콘 팁이 형성되며,
상기 콘 팁은 상기 도전성 잉크가 전기수력학적 압력에 의해 토출 가능하도록 내부에 경로가 형성되는 패턴라인 형성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lution comprises a conductive ink,
Wherein the nozzle portion is formed with a cone tip at an end thereof,
Wherein the cone tip has a path formed therein so that the conductive ink can be discharged by electrohydraulic pressure.
상기 핀부는 단부에 테이퍼 팁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 팁은 상기 노즐부의 단부에 형성된 콘 팁 내부에 위치하는 패턴라인 형성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 portion is formed with a tapered tip at an end thereof,
Wherein the tapered tip is located inside a cone tip formed at an end of the nozzl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8209A KR101903712B1 (en) | 2016-05-12 | 2016-05-12 | Forming apparatus for pattern line |
TW106114566A TWI716587B (en) | 2016-05-12 | 2017-05-03 | Forming apparatus for pattern line |
CN201710332884.4A CN107443902B (en) | 2016-05-12 | 2017-05-11 | Forming apparatus for pattern l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8209A KR101903712B1 (en) | 2016-05-12 | 2016-05-12 | Forming apparatus for pattern l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7734A KR20170127734A (en) | 2017-11-22 |
KR101903712B1 true KR101903712B1 (en) | 2018-11-30 |
Family
ID=6048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8209A Active KR101903712B1 (en) | 2016-05-12 | 2016-05-12 | Forming apparatus for pattern lin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3712B1 (en) |
CN (1) | CN107443902B (en) |
TW (1) | TWI716587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1540A (en) * | 2021-02-25 | 2022-09-01 | 참엔지니어링(주) | Composite ejection type ink ejection device |
CN115891425A (en) * | 2021-08-05 | 2023-04-04 | 株式会社Enjet | printing device |
KR102678079B1 (en) * | 2021-08-24 | 2024-06-25 | 참엔지니어링(주) | Nozzle type deposition apparatus |
WO2023075801A1 (en) * | 2021-11-01 | 2023-05-04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 High-frequency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
CN115946450B (en) * | 2023-03-09 | 2023-07-14 | 苏州科韵激光科技有限公司 | Nozzle device and pattern line forming equipm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01934A1 (en) * | 2003-08-08 | 2007-05-10 | Sharp Kabushiki Kaisha | Electrostatic suction type fluid discharge method and device for the same |
US20150336119A1 (en) * | 2013-01-15 | 2015-11-26 |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 Electrostatic atomizer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431446B2 (en) * | 1997-07-15 | 2008-10-07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Web printing system having media cartridge carousel |
US7051654B2 (en) * | 2003-05-30 | 2006-05-30 | Clemson University | Ink-jet printing of viable cells |
JP3967296B2 (en) * | 2003-08-08 | 2007-08-29 | シャープ株式会社 | Electrostatic suction type fluid discharge method and apparatus |
GB0709517D0 (en) * | 2007-05-17 | 2007-06-27 | Queen Mary & Westfield College | An electrostatic spraying device and a method of electrostatic spraying |
KR100948954B1 (en) * | 2008-01-25 | 2010-03-23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Ink jetting device using electrostatic force, manufacturing method and ink supply method |
JP5943290B2 (en) * | 2010-05-31 | 2016-07-05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Electrostatic coating method and electrostatic coating gun |
CN102275386B (en) * | 2011-06-17 | 2013-05-22 | 华中科技大学 | An Electrohydrodynamic Jet Printing Coaxial Nozzle and Its Application |
CN102501598B (en) * | 2011-10-24 | 2014-03-26 | 厦门大学 | Near-field electrostatic jet-printing head |
JP5271437B1 (en) * | 2012-05-14 | 2013-08-21 | ナガセテクノ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and liquid coating method |
JP6119998B2 (en) * | 2013-11-19 | 2017-04-26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Electrostatic coating method and electrostatic coating device |
-
2016
- 2016-05-12 KR KR1020160058209A patent/KR101903712B1/en active Active
-
2017
- 2017-05-03 TW TW106114566A patent/TWI716587B/en active
- 2017-05-11 CN CN201710332884.4A patent/CN107443902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01934A1 (en) * | 2003-08-08 | 2007-05-10 | Sharp Kabushiki Kaisha | Electrostatic suction type fluid discharge method and device for the same |
US20150336119A1 (en) * | 2013-01-15 | 2015-11-26 |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 Electrostatic atomiz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716587B (en) | 2021-01-21 |
CN107443902B (en) | 2020-03-31 |
CN107443902A (en) | 2017-12-08 |
TW201741150A (en) | 2017-12-01 |
KR20170127734A (en) | 2017-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3712B1 (en) | Forming apparatus for pattern line | |
JP5448014B2 (en) | Apparatus, method and ribbon | |
KR10145410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pattern line by electrohydrodynamics | |
JP7220928B2 (en) | Inductive electro-hydraulic jet printing equipment | |
JP2014003263A (en) | Solder paste discharge device, patter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patterning system | |
KR20200140891A (en) | Droplet ejection device and droplet ejection method | |
KR101599037B1 (en) | Repair apparatus using electro hydro dynamic inkjet | |
JP5012641B2 (en) | Liquid application method | |
KR101599040B1 (en) | Repair apparatus using electro hydro dynamic inkjet | |
KR101091523B1 (en) | Inkjet header | |
KR10066622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atterning on substrate and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by the method | |
KR100800321B1 (en) | Electro-Hydraulic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Lens | |
US20090314861A1 (en) | Fluid ejection using multiple voltage pulses and removable modules | |
JP2004216290A (en) | Nozzle for paste applica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aste application | |
KR20190001806A (en) |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Nozzle Replacement Method | |
JP5182754B2 (en) | Pattern forming method and pattern forming apparatus | |
CN109216231B (en) | Apparatus for forming pattern | |
KR20170058685A (en) | Electro hydro dynamic inkjet apparatus | |
KR102156794B1 (en) | Liquid ejection apparatus | |
TW201607775A (en) | Display repairing device and method | |
KR101958740B1 (en) | Nozzle unit and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1846160B1 (en) | Electro hydro dynamic inkjet apparatus | |
JP2023001757A (en) | Nozzle head, nozzle head manufacturing method, and drop discharge device | |
KR100725252B1 (en) | Patterning device for forming micro size lines | |
Lee et al. | P‐67: FPD Repair System Using Electrostatic Droplet Technolog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