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481B1 - Crash box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rash box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3481B1 KR101903481B1 KR1020160174747A KR20160174747A KR101903481B1 KR 101903481 B1 KR101903481 B1 KR 101903481B1 KR 1020160174747 A KR1020160174747 A KR 1020160174747A KR 20160174747 A KR20160174747 A KR 20160174747A KR 101903481 B1 KR101903481 B1 KR 1019034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portion
- box
- vehicle
- crash box
- mol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크래시 박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져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크래시 박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시 박스는 범퍼 빔과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차량용 크래시 박스에 있어서, 판재를 절곡 성형하여 사각형 형태의 박스부를 구성하되, 양측 단부가 일정간격 이격된 이격부를 형성하여 외측면에 배치되도록 하고, 전단이 상기 범퍼 빔의 후면에 접합되고, 후단이 장착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에 장착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sh box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sh box for a vehicle which is made of a single plate material and can save weigh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ash box for a vehicle, which connects a bumper beam and a side member, comprising: a box member having a rectangular shape formed by bending a plate member, And a rear end of the bumper beam is mounted on the side member through a mounting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크래시 박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져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크래시 박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sh box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sh box for a vehicle which is made of a single plate material and can save weigh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차량용 범퍼는 차량의 저속 및 중속 충돌 시,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차량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의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완충장치이다.In general, a vehicle bumper is designed to elastically deform at a low speed and medium speed collision of a vehicle to prevent physical damage to the vehicle. In the event of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or a fixed body, , And a shock absorber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to minimize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at the same time.
상기한 범퍼(1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 후방에서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빔(21)의 후방 양측에 크래시 박스(23)가 장착되어 차체측 사이드 멤버(31)에 고정되는 범퍼 빔 유닛(25)과, 상기 범퍼 빔(21)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27), 그리고 상기 범퍼 빔(21)과 에너지 업소버(27)를 감싸는 범퍼 커버(29)로 이루어진다.1, the
상기한 종래의 범퍼 빔 유닛(25)에서 크래시 박스(23)는 그 전방이 범퍼 빔(21)의 후방 양측면에 용접 또는 볼트 조립되고, 그 후방은 사이드 멤버(31)에 바로 조립되어 설치된다.In the conventional
여기서, 상기 크래시 박스(23)는 프레스 성형되는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을 CO2 용접 또는 스폿 용접을 통하여 접합된다. 상기 크래시 박스(23)는 범퍼 빔(21)을 통해 전달되는 충돌 에너지에 의해 변형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차체로 충돌 에너지의 전달을 최소화하게 된다.Here, the
그러나, 종래의 크래시 박스(23)는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로 구성됨에 따라 상호 간의 접합을 위한 용접부가 다수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용접부는 클래쉬 박스의 조립 품질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용접부는 중량 측면에서 불필요한 부분이므로, 부분 강성 증가 역할을 하므로 충돌 시 좌굴 모드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또한, 종래의 크래시 박스(23)는 두 개의 패널을 이용하므로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section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not previous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크래시 박스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sh box for a vehicle comprising a single pla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박스부의 외측면에 이격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크래시 박스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sh box for a vehicle in which a spacing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 box por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범퍼 빔과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차량용 크래시 박스에 있어서, 판재를 절곡 성형하여 사각형 형태의 박스부를 구성하되, 양측 단부가 일정간격 이격된 이격부를 형성하여 외측면에 배치되도록 하고, 전단이 상기 범퍼 빔의 후면에 접합되고, 후단이 장착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는 차량용 크래시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rash box for a vehicle connecting a bumper beam and a side member, a plate member is folded and formed to form a rectangular box portion, wherein both end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ront end is bond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umper beam, and a rear end is mounted to the side member through the mounting plate.
또한, 상기 이격부는 상기 박스부의 외측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ing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x portion.
또한, 상기 이격부는 상기 박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acing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x portion.
또한, 상기 이격부의 간격은 1mm ~ 7mm 사이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The spacing of the spacers may be set in a range between 1 mm and 7 mm.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크래시 박스의 박스부에 포함된 내측면, 상면 및 하면에 대응하는 성형면을 갖는 하형에 판재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하형의 성형면에 대하여 상기 판재의 중앙부를 상형으로 가압하여 상기 판재에 내측면, 상면 및 하면이 형성되도록 절곡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절곡된 판재의 내측으로 인서트 금형을 삽입한 후 상기 하형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양측 벤딩 금형을 통해 상기 판재의 상면과 하면에 대응하는 단부를 절곡 성형하여 상기 박스부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서트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시 박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rash box, comprising: loading a plate material on a lower mold having a molding surface corresponding to an inner side,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included in a box portion of a crash box; Press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against the molding surface of the lower mold to form an inner side,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n the plate; Forming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box portion by bending an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te material through the bending molds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after inserting the insert mold into the bent plate material; And a step of removing the insert metal mold.
또한, 상기 외측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양측 벤딩 금형을 각각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판재의 상면과 하면에 대응하는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 성형하여 상기 박스부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양측 벤딩 금형을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ormi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box portion by slidably moving the both side bending dies so as to inwardly fold the end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te material inward; And moving the both-side bending mold outward.
또한, 상기 박스부의 외측면은 상기 판재의 상면과 하면에 대응하는 양 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이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box portion may include a spacing portion having both ends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te member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또한, 상기 이격부는 상기 박스부의 외측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ing portions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x portion.
또한, 상기 이격부의 간격은 1mm ~ 7mm 사이의 범위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ing of the spacers may be spaced apart from 1 mm to 7 mm.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지므로 중량을 감소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Sinc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one sheet material, the weight can be reduced and the production cost can be saved.
또한, 박스부의 외측면에 이격부가 형성되어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 spac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x portion to improve the impact performance.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In addition, effects obtainable or predic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rectly or implicitly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various effects to be predi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시 박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시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시 박스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automotive bumper.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crash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ash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7 ar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rash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크래시 박스 및 그 제조 방법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operation principles of an embodiment of a crash box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f various embodiments for effectively illustrat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and description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 또는 통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appropriately modify, integrate, or separate term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by no means thereby limit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시 박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시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vehicle crash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ash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시 박스(200)는 차량의 전방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빔(100)과 차체 양측의 사이드 멤버(미도시) 사이에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2, a
차량용 크래시 박스(200)는 상기 범퍼 빔(100)의 양 측방 후측을 양측 사이드 멤버에 조립하여 차량의 전방 충돌 시, 범퍼 빔(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돌 에너지에 의해 붕괴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 작동을 이루는 동시에, 충돌에 의한 붕괴 방향을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충돌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시 박스(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부(22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박스부(220)는 판재(450)를 절곡 성형하여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The
박스부(220)의 전단은 범퍼 빔(100)의 후면에 접합된다. 박스부(220)의 후단은 장착 플레이트(150)를 통해 사이드 멤버에 장착된다. The front end of the
박스부(220)의 외측면(230)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이격부(240)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부(240)는 판재(450)의 양측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이격부(240)는 박스부(220)의 외측면(230) 중앙에 형성된다. 이렇게 박스부(220)의 외측면(230) 중앙에 형성되는 이유는 이격부(240)가 박스부(220)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에 불규칙하게 붕괴되고, 박스부(220)의 하측에 위치할 경우에 강성에 불리하기 때문이다. The
이격부(240)는 박스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The
이격부(240)의 간격(g)은 1mm ~ 7mm 사이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The distance g between the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차량용 크래시 박스(20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시 박스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to 7 ar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rash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형(410) 상에 판재(450)를 로딩하고, 판재(450)를 상형(440)을 통해 가압한다. 4 and 5, the
다시 말하면, 성형면(420)을 포함하는 하형(410) 상에 판재(450)를 로딩한다. 이때, 성형면(420)은 내측면(423), 상면(425) 및 하면(427)을 포함한다. 성형면(420)은 크래시 박스(200)의 박스부(220)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In other words, the
하형(410)의 성형면(420)에 대하여 판재(450)의 중앙부를 상형(440)으로 가압하여 판재(450)에 내측면, 상면 및 하면이 형성되도록 절곡 성형한다. The central portion of the
그리고 절곡된 판재(450)의 내측으로 인서트 금형(460)을 삽입한다. 이러한 인서트 금형(460)은 내측이 개구된 박스부(220)를 형성하기 위해 판재(450)를 지지할 수 있다. Then, the
도 6을 참조하면, 하형(410)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벤딩 금형(430)을 통해 판재(450)의 상면(453)과 하면(455)에 대응하는 단부를 절곡 성형하여 박스부(220)의 외측면(230)을 형성한다.6, an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다시 말하면, 하형(410)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제1 벤딩 금형(433) 및 제2 벤딩 금형(435)을 각각을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즉, 제1 벤딩 금형(433) 및 제2 벤딩 금형(435) 각각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판재(450)의 상면(453)과 하면(455)에 대응하는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 성형하여 박스부(220)의 외측면(230)을 형성한다. In other words, the
도 7을 참조하면, 인서트 금형(460)을 제거하여 크래시 박스(200)의 박스부(220)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7, the
다시 말하면, 제1 벤딩 금형(433) 및 제2 벤딩 금형(435) 각각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인서트 금형(460)을 판재(450)의 내측에서 외부로 제거하여 크래시 박스(200)의 박스부(220)를 형성한다.In other words, each of the
이때, 박스부(220)의 외측면(230)은 판재(450)의 상면(453)과 하면(455)에 대응하는 양 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이격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이러한, 이격부(240)는 박스부(220)의 외측면(230)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다.The spacing
이격부(240)의 간격은 1mm ~ 7mm 사이의 범위로 이격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spacing of the spacing
이에 따라,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시 박스(200)는 하나의 판재(450)로 이루어지며, 외측면(230)에 이격부(240)를 포함하는 박스부(220)를 통해 용접을 수행하지 않고도 종래와 같은 충돌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작 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범퍼 빔
150: 장착 플레이트
200: 크래시 박스
220: 박스부
240: 이격부100: Bumper beam
150: mounting plate
200: Crash box
220: box part
240:
Claims (9)
판재를 절곡 성형하여 사각형 형태의 박스부를 구성하되,
상기 박스부는 양측 단부가 일정간격 이격된 이격부를 형성하여 외측면에 배치되도록 하고, 전단이 상기 범퍼 빔의 후면에 접합되며, 후단이 장착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고,
상기 이격부는 상기 박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1mm~7mm 사이의 범위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박스부의 외측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래시 박스. A vehicle crash box connecting a bumper beam and a side member,
The plate member is bent to form a rectangular box portion,
Wherein the box portion is formed at an outer side by forming a spaced portion having both side en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ront end of the box portion is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bumper beam, a rear end of the box portion is mounted to the side member through a mounting plate,
Wherein the spacing portion is formed at a center of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box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spacing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range of 1 mm to 7 m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x portion.
상기 하형의 성형면에 대하여 상기 판재의 중앙부를 상형으로 가압하여 상기 판재에 내측면, 상면 및 하면이 형성되도록 절곡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절곡된 판재의 내측으로 인서트 금형을 삽입한 후, 상기 하형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양측 벤딩 금형을 각각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판재의 상면과 하면에 대응하여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 성형하여 상기 판재의 상면과 하면에 대응하는 양 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이격부를 포함하는 박스부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양측 벤딩 금형을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인서트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는
상기 박스부의 외측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1mm~7mm 사이의 범위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크래시 박스의 제조 방법.Loading a plate material on a lower mold having a molding surface corresponding to an inner side,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included in the box portion of the crash box;
Press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against the molding surface of the lower mold to form an inner side,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n the plate;
The insert mold is inserted into the bent plate member and then the both side bending di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lower die are respectively slid inward to bend and mold the end portions inward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ate member, Forming outer sides of the box portion including the spaced apart portions at both ends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t regular intervals;
Moving the both-side bending die outward; And
Removing the insert mold;
Lt; / RTI >
The spacing
Wherein the box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a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x por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range of 1 mm to 7 m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4747A KR101903481B1 (en) | 2016-12-20 | 2016-12-20 | Crash box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4747A KR101903481B1 (en) | 2016-12-20 | 2016-12-20 | Crash box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1753A KR20180071753A (en) | 2018-06-28 |
KR101903481B1 true KR101903481B1 (en) | 2018-10-02 |
Family
ID=6278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47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903481B1 (en) | 2016-12-20 | 2016-12-20 | Crash box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3481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2004253A1 (en) * | 2000-07-10 | 2002-01-17 | Norsk Hydro Asa | Method of manufacturing structural members and the members provided by such method |
US20130057000A1 (en) * | 2011-09-02 | 2013-03-07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Motor vehicle with crashbox |
-
2016
- 2016-12-20 KR KR1020160174747A patent/KR1019034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2004253A1 (en) * | 2000-07-10 | 2002-01-17 | Norsk Hydro Asa | Method of manufacturing structural members and the members provided by such method |
US20130057000A1 (en) * | 2011-09-02 | 2013-03-07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Motor vehicle with crashbo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1753A (en) | 2018-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33913B2 (en) | Front structure for car body | |
US9272678B2 (en) |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for coping with small overlap collision | |
WO2012101923A1 (en) | Structure for front of vehicle body | |
WO2013179759A1 (en) |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 |
CN108349452B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bumper reinforcement | |
JP5969417B2 (en) | Body front structure | |
KR101046170B1 (en) | Car Crash Box | |
US20050248164A1 (en) | Vehicle body frontal structure | |
JP2011520697A (en) | Shock absorber and front end provided with the device | |
CN108350970A (en) | Energy-absorbing member | |
CN100348449C (en) |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 |
KR100765844B1 (en) | Vehicle Crash Box Manufacturing Method | |
KR101903481B1 (en) | Crash box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929528B1 (en) | Front side member assembly | |
KR101526420B1 (en) | Discontinuous multi-overlapped vehicle body member | |
KR20110037399A (en) | Car Crash Box | |
KR101659951B1 (en) | Crash box for vehicle | |
JP5617681B2 (en) | Bumper for vehicle | |
KR101328396B1 (en) |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KR101922923B1 (en) | Crash box unit for vehicles and bonding method thereof | |
KR101661099B1 (en) |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 |
KR101270939B1 (en) | Crash box in vehicle bumper system | |
JP6178697B2 (en) | Shock absorbing member | |
KR20150069968A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KR20170070981A (en) | Car crash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