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2991B1 -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991B1
KR101902991B1 KR1020170022268A KR20170022268A KR101902991B1 KR 101902991 B1 KR101902991 B1 KR 101902991B1 KR 1020170022268 A KR1020170022268 A KR 1020170022268A KR 20170022268 A KR20170022268 A KR 20170022268A KR 101902991 B1 KR101902991 B1 KR 101902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laser
wave plate
splitter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070A (ko
Inventor
유병소
김학용
김관유
신동우
송성호
김장현
Original Assignee
(주)큐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엠씨 filed Critical (주)큐엠씨
Priority to KR102017002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991B1/ko
Priority to PCT/KR2018/002082 priority patent/WO2018151581A1/ko
Priority to JP2019563997A priority patent/JP6971330B2/ja
Publication of KR20180096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991B1/ko
Priority to US16/525,614 priority patent/US20190351511A1/en
Priority to US18/123,315 priority patent/US20230226644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061Polariza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2Laser etching
    • B23K26/364Laser etching for making a groove or trench, e.g. for scribing a break initiation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0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a combination of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0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a combination of beams
    • B23K26/0613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a combination of beams having a commo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 B23K26/0626Energy control of the laser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7Dividing the beam into multiple beams, e.g. multi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1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using dichroic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8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레이저 광원, 상기 레이저 빔을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으로 분할하는 스플리터, 상기 스플리터에 의하여 분할된 제2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을 90도 회전하는 제1 파장판, 상기 제1 레이저 빔 또는 제2 레이저 빔 경로상에서 발산각을 조절하는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결합하는 빔 컴바이너, 및 상기 빔 컴바이너에 의하여 결합된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의 초점 거리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LASER SCRIBING DEVICE}
본 발명은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저 전력, 높은 내구성, 고휘도, 빠른 응답속도, 친환경적 특성 등으로 인해 휴대 전화의 스위치, LED TV용 BLU(Back Light Unit)등 전자부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조명분야로 적용범위가 확대되면서 매년 사용량이 증가되고 있다.
LED 제작 공정은 크게 InGaN(Indium Gallium Nitride)을 성장시키는 EPI 공정, 칩 생성 공정, 패키징(Packaging) 공정 그리고 모듈화 공정으로 구분된다. 또한, 칩 생성 공정 중 스크라이빙(Scribing)은 칩을 절단하기 위한 공정으로 가공방식에 따라 칩의 특성 및 생산량이 결정되는 중요한 공정이다.
특히, 스크라이빙 가공 시 발생되는IR(Reverse current), Double chip, Meandering, Chipping등의 불량은 LED 칩의 생산 수율을 저하시키고, 공정의 최적화 및 정량화를 어렵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종래에는 다이아몬드 팁을 이용한 절단하였으나, 칩의 외관불량, 생산성 저하 및 높은 공정비용이라는 커다란 문제점을 안고 있어 많은 LED 생산업체들이 레이저를 이용한 스크라이빙 장비를 이용을 늘리는 추세이다.
레이저 스크라이빙은 웨이퍼 또는 기판을 각 칩 단위로 절단 또는 절단선 생성작업을 하는 것으로서, 강도 높은 사파이어 웨이퍼를 사용하는 LED 산업과 세라믹 기판을 사용하는 패키지 산업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4-0100042호(발명의 명칭: 레이저를 이용한 스크라이빙 장치)에서는, 레이저 가공대상물이 배치되는 테이블; 테이블 상의 가공대상물에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레이저 발진기;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며,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전송된 레이저 빔을 가공대상물에 조사하는 집광 렌즈; 레이저 발진기와 집광 렌즈 사이에 연결되어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을 헤드까지 전송하는 빔 전달 장치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는 두께가 두꺼운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공 대상물에 초점 거리가 상이한 2개의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측면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는,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레이저 광원, 상기 레이저 빔을 제 1 레이저 빔 및 제 2 레이저 빔으로 분할하는 스플리터, 상기 스플리터에 의하여 분할된 제 2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을 90도 회전하는 제1 파장판, 상기 제1 레이저 빔 또는 제2 레이저 빔 경로상에서 발산각을 조절하는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결합하는 빔 컴바이너, 및 상기 빔 컴바이너에 의하여 결합된 제 1 레이저 빔 및 제 2 레이저 빔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레이저 빔 및 제 2 레이저 빔의 초점 거리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력된 레이저 빔를 스플리터를 이용하여 2개의 레이저 빔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하나의 집광 렌즈에 조사하여, 한 번의 포커싱으로 가공 대상물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초점 거리가 상이한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두꺼운 웨이퍼를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를 이용하여 기판 내부에 형성된 내부 크랙열을 찍은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레이저 광원(100)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을 집광 렌즈(600)를 통해 가공대상물의 내부에 포커싱한다. 여기서, 레이저 빔이 입사하는 가공대상물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레이저 빔이 포커싱되는 초점이 형성된다. 또한, 가공대상물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파장에 대하여 투과율이 높은 재질의 기판이 사용되며, 예를 들면 사파이어 기판 또는 유리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를 이용하여 기판 내부에 형성된 내부 크랙열을 찍은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레이저 광원(100), 레이저를 제 1 레이저 빔(L1) 및 제 2 레이저 빔(L2)으로 분할하는 스플리터(200), 스플리터(200)에 의하여 분할된 제 2 레이저 빔(L2)의 편광 방향을 90도 회전하는 파장판(320), 제 1 레이저 빔(L1) 또는 제 2 레이저 빔(L2)의 발산각을 조절하는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BEAM EXPANDER TELESCOPE, 400), 제1 레이저 빔(L1) 및 제2 레이저 빔(L2)을 결합하는 빔 컴바인더(500), 및 빔 컴바인더(500) 에 의하여 결합된 제 1 레이저 빔(L1) 및 제 2 레이저 빔(L2)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600)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레이저 빔(L1) 및 제 2 레이저 빔(L2)의 초점 거리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레이저 빔(L1)은 수평 편광 상태(P 편광)이고, 제 2 레이저 빔(L2)은 수직 편광 상태(S 편광)일 수 있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3에 표시된 ◈는 광축에 수직된 S편광(S-polaized light)을 의미하고, ↕는 광축에 수평된 P편광(P-polaized light)을 의미한다.
예시적으로, 레이저 광원(100)에서 출력된 레이저 빔은 P 편광 레이저일 수 있다. 또한, 레이저 광원(100)에서 출력된 레이저 빔은 스플리터(200)를 통과하면서, P편광의 제 1 레이저 빔(L1)과 P편광 제 2 레이저 빔(L2)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P편광 제 2 레이저 빔(L2)은 제1 파장판(320)을 통과하면서, S편광으로 편광 방향이 90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1 레이저 빔(L1) 또는 제2 레이저 빔(L2)은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에 의해 초점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를 통해 레이저 빔이 발산할 경우에는 초점거리가 길어지고, 수렴할 경우에는 초점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가 제2 레이저 빔(L2)의 경로 상에 위치할 경우, 제1 레이저 빔(L1)의 초점(F1)이 제2 레이저 빔(L2)의 초점(F2)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가 제1 레이저 빔(L1)의 경로 상에 위치할 경우, 제1 레이저 빔(L1)의 초점(F1)이 제2 레이저 빔(L2)의 초점(F2)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는 제1 레이저 빔(L1)의 경로 및 제2 레이저 빔(L2)의 경로에 각각 위치할 수 있으며, 각각의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를 의해 제1 레이저 빔(L1) 및 제2 레이저 빔(L2)의 가공대상물 내의 초점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레이저 빔(L1) 또는 제 2 레이저 빔(L2)의 경로 상에 위치한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의 렌즈 간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집광 렌즈(600)에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각도(수렴각 및 발산각)가 변하여, 제1레이저 빔(L1) 또는 제 2 레이저 빔(L2)의 초점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 1 레이저 빔(L1) 및 제 2 레이저 빔(L2)은 빔 컴바인더(500)를 통과하면서 결합된다. 또한, 빔 컴바인더(500)에 의하여 결합된 제 1 레이저 빔(L1) 및 제 2 레이저 빔(L2)은 집광 렌즈(600)를 통해 가공 대상물에 집광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레이저의 광 경로를 변경하는 복수의 미러부(M1, M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의 크기를 작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레이저 광원(100)에서 출력된 P편광 레이저 빔은 스플리터(200)로 출력되며, 스플리터(200)는 레이저 광원(100)에서 출력된 P편광 레이저 빔을 P편광 제 1 레이저 빔(L1) 및 P편광 제 2 레이저 빔(L2)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P편광 제 2 레이저 빔(L2)은 제1 미러부(M1)를 의해 제1 파장판(320)으로 출력되고, 제 1 파장판(320)을 통과하여, S 편광 제 2 레이저 빔(L2)으로 편광상태가 변하게 된다. 또한, 제2 레이저 빔(L2)은 제 2 레이저 빔(L2) 경로상에 위치하는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에 의해 집광 렌즈(600)에 입사되는 발산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를 통과한 S편광 제2 레이저 빔(L2)은 제2 미러부(M2)에 의해 반사되어 빔 컴바이너(500)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P편광 제 1 레이저 빔(L1)와 S편광 제 2 레이저 빔(L2)은 빔 컴바이너(500) 를 통과하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P편광 제 1 레이저 빔(L1)와 S편광 제 2 레이저 빔(L2)은 빔 컴바이너(500)에 의해 동일한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집광 렌즈(600)를 통해 P편광 제 1 레이저 빔(L1)은 제1 초점(F1)에 조사되며, S편광 제 2 레이저 빔(L2)은 제2 초점(F2)에 조사될 수 있다.
즉,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지는 제1 레이저 빔(L1) 및 제2 레이저 빔(L2)이 발생되어, 가공 대상물 내부에 두께 방향으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초점을 형성하게 된다. 예시적으로, 제2 레이저 빔(L2)이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에 의해 발산할 경우, 제 2 레이저 빔(L2)은 가공 대상물 내에서 제1 레이저 빔(L1)의 제1 초점(F1)보다 하부에 제2 초점(F2)을 맺게 된다. 반대로, 제2 레이저 빔(L2)이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에 의해 수렴할 경우, 제 2 레이저 빔(L2)은 가공 대상물 내에서 제1 레이저 빔(L1)의 제1 초점(F1)보다 상부에 제2 초점(F2)을 맺게 된다.
또한, 가공대상물 내부의 집광점에 레이저 빔이 포커싱된 상태에서, 레이저 빔 또는 가공대상물을 제1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가공 대상물 내부에는 내부 크랙열이 형성된다. 즉, 레이저 빔(L1, L2)을 가공 대상물의 절단 예정라인을 따라 이동시키게 되면, 제 1 레이저 빔(L1) 및 제 2 레이저 빔(L2)에 의해 가공 대상물 내의 상부 및 하부에 제1 및 제2 내부 크랙열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제1 실시예와 달리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가 제1 레이저 빔(L1)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제1 레이저 빔(L1)은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를 통해 집광 렌즈(600)에 입사되는 발산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레이저 빔(L1)이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에 의해 발산할 경우, 제1 레이저 빔(L1)은 가공 대상물 내에서 제2 레이저 빔(L2)의 제2 초점(F2)보다 하부에 제1 초점(F1)을 맺게 된다. 반대로, 제1 레이저 빔(L1)이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에 의해 수렴할 경우, 제1 레이저 빔(L1)은 가공 대상물 내에서 제2 레이저 빔(L2)의 제2 초점(F2)보다 상부에 제1 초점(F1)을 맺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가 제1 레이저 빔(L1)의 경로 및 제2 레이저 빔(L2)의 경로 상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제1 레이저 빔(L1)은 제1 레이저 빔(L1)의 경로 상에 위치한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를 의해 집광 렌즈(600)에 입사되는 발산 각도가 조절되고, 제2 레이저 빔(L2)은 제2 레이저 빔(L2)의 경로 상에 위치한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400)를 의해 집광 렌즈(600)에 입사되는 발산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레이저 빔(L1) 및 제2 레이저 빔(L2)은 가공 대상물 내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각각 초점을 맺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가공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각각 다른 초점 거리를 갖는 제1 레이저 빔(L1) 및 제2 레이저 빔(L2)을 조사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10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하다.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10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편광 광선 분할기(800), 감쇄기(700), 및 제2 파장판(3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4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10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비(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기준으로 편광 광선 분할기(800), 감쇄기(700), 및 제2 파장판(3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제2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에 편광 광선 분할기(800), 감쇄기(700), 및 제2 파장판(3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제1 파장판(320)의 출력단에 결합하여, 제2 레이저 빔(L2)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편광 광선 분할기(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레이저 빔(L2)은 편광 광선 분할기(800)의 설정상태에 따라 제2 레이저 빔(L2)의 에너지가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파장판(320)의 각도를 10도 돌리게 되면, 제1 파장판(320)을 통과한 제 2 레이저 빔(L2)은 약 89%의 수직편광 레이저 빔 및 약 11%의 수평편광 레이저 빔로 출력되며, 편광 광선 분할기(800)에서는 수직편광 레이저 빔만을 투과시켜, 약 89%의 에너지를 갖는 수직편광 제 2 레이저 빔(L2)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감쇄기의 투과율은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술한 감쇄기란 제1 파장판(320) 및 편광 광선 분할기(800)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7017196107-pat00001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제1 레이저 빔(L1)의 경로상에 위치하여, 제1 레이저 빔(L1)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감쇄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감쇄기(700)는 제1 레이저 빔(L1)의 편광상태를 조절하는 파장판(미도시) 및 편광 광선 분할기(미도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감쇄기(700)의 파장판의 편광 각도 및 편광 광선 분할기의 설정상태에 따라 제1 레이저 빔(L1)의 에너지가 제어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감쇄기(700)의 파장판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이 교번하여 형성되어, 홈을 통과한 레이저 빔만이 통과하여, 수직된 방향으로 파장을 갖는 레이저를 획득할 수 있으며, 감쇄기(700)의 파장판을 소정을 각도를 회전시킬 경우, 각도에 따라 수평편광 레이저 빔와 수직편광 레이저 빔의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쇄기(700)의 파장판의 각도를 10도 돌리게 되면, 감쇄기(700)의 파장판을 통과하는 제 1 레이저 빔(L1)은 약 89%의 수평편광 레이저 빔 및 약 11%의 수직편광 레이저 빔로 출력되며, 감쇄기(700)의 편광 광선 분할기(510)에서는 수평편광 레이저 빔만을 투과시켜, 약 89%의 에너지를 갖는 수평편광 제 1 레이저 빔(L1)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빔 컴바이너(500)의 출력단에 결합하여, 제1 레이저 빔(L1)과 제2 레이저 빔(L2)의 편광 상태를 원 편광 상태로 조절하는 제2 파장판(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편광판(330)은 1/4 파장판(quarter wave plate)일수 있으며, 제 1 레이저 빔(L1) 및 제 2 레이저 빔(L2)의 각기 다른 선편광을 동일한 원편광으로 변경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은 원편광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제1 파장판(320)의 출력단에 결합하여, 제2 레이저 빔(L2)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편광 광선 분할기(800) 및 제1 레이저 빔(L1)의 경로상에 위치하여, 제1 레이저 빔(L1)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감쇄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레이저 빔(L1)은 감쇄기(700)에 의해 에너지가 제어되고, 제2 레이저 빔(L2)은 제1 파장판(320) 및 편광 광선 분할기(800)에 의해 에너지가 제어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제1 레이저 빔(L1)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1 레이저 빔(L1)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감쇄기(700) 및 빔 컴바이너(500)의 출력단에 결합하여, 제1 레이저 빔(L1)과 제2 레이저 빔(L2)의 편광 상태를 원 편광 상태로 조절하는 제2 파장판(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쇄기(700)에 의해 에너지가 조절된 제1 레이저 빔(L1)과 제2 레이저 빔(L2)은 제2 파장판(330)에 의해 원편광 상태로 조절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제1 파장판(320)의 출력단에 결합하여, 제2 레이저 빔(L2)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편광 광선 분할기(800) 및 빔 컴바이너(500)의 출력단에 결합하여, 제1 레이저 빔(L1)과 제2 레이저 빔(L2)의 편광 상태를 원 편광 상태로 조절하는 제2 파장판(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레이저 빔(L2)은
제1 편광판(320) 및 편광 광선 분할기(700)에 의해 에너지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에너지가 제어된 제2 레이저 빔(L2)과 제1 레이저 빔(L1)은 제2 파장판(330)에 의해 편광 상태가 조절되어, 원편광 상태의 레이저 빔이 조사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제1 레이저 빔(L1)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1 레이저 빔(L1)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감쇄기(700), 제1 파장판(320)의 출력단에 결합하여, 제2 레이저 빔(L2)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편광 광선 분할기(800), 및 빔 컴바이너(500)의 출력단에 결합하여, 제1 레이저 빔(L1)과 제2 레이저 빔(L2)의 편광 상태를 원 편광 상태로 조절하는 제2 파장판(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감쇄기(700)를 통해 제1 레이저 빔(L1)의 에너지를 제어하고, 제1 편광판(320) 및 편광 광선 분할기(700)를 통해 제2 레이저 빔(L2)의 에너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가 제어된 제1 레이저 빔(L1)과 에너지가 제어된 제2 레이저 빔(L2)은 제2 파장판(330)에 의해 편광 상태가 조절되어, 원편광 상태의 레이저 빔이 조사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를 이용하여 기판 내부에 형성된 내부 크랙열을 찍은 사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10)는 200um이상의 가공 대상물에서도 크랙열을 충분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어, 두꺼운 가공 대상물을 스크라이빙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100 : 레이저 광원 200 : 스플리터
320 : 제1 파장판 330 : 제2 파장판
400 :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
500 : 빔 컴바이너 600 : 집광 렌즈
700 : 감쇄기 800 : 편광 광선 분할기
L1 : 제1 레이저 빔 L2 : 제2 레이저 빔
M1, M2 : 미러부

Claims (8)

  1.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레이저 광원,
    상기 레이저 빔을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으로 분할하는 스플리터,
    상기 스플리터에 의하여 분할된 제 2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을 90도 회전하는 제1 파장판,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또는 제2 레이저 빔 경로상에서 발산각을 조절하는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결합하는 빔 컴바이너, 및
    상기 빔 컴바이너에 의하여 결합된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또는 제2 레이저 빔은 상기 빔 익스펜더 텔레스코프에 의해 상기 집광 렌즈에 입사되는 각도가 변하게 되어, 초점 거리가 상이한 거리를 가지며, 가공 대상물 내부에 두께 방향으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초점을 형성하는 것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경로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감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판의 출력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편광 광선 분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빔 컴바이너의 출력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1 레이저 빔과 제2 레이저 빔의 편광 상태를 원 편광 상태로 조절하는 제2 파장판을 더 포함하는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기는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편광상태를 조절하는 파장판 및 상기 파장판의 출력단에 결합하여 제1 레이저 빔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편광 광선 분할기를 포함하는 것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판의 출력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에너지를 제어하는 편광 광선 분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빔 컴바이너의 출력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1 레이저 빔과 제2 레이저 빔의 편광 상태를 원 편광 상태로 조절하는 제2 파장판을 더 포함하는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컴바이너의 출력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1 레이저 빔와 제2 레이저 빔의 편광 상태를 원 편광 상태로 조절하는 제2 파장판을 더 포함하는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KR1020170022268A 2017-02-20 2017-02-20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Active KR101902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268A KR101902991B1 (ko) 2017-02-20 2017-02-20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PCT/KR2018/002082 WO2018151581A1 (ko) 2017-02-20 2018-02-20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JP2019563997A JP6971330B2 (ja) 2017-02-20 2018-02-20 レーザスクライビング装置
US16/525,614 US20190351511A1 (en) 2017-02-20 2019-07-30 Laser scribing device
US18/123,315 US20230226644A1 (en) 2017-02-20 2023-03-19 Laser scrib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268A KR101902991B1 (ko) 2017-02-20 2017-02-20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070A KR20180096070A (ko) 2018-08-29
KR101902991B1 true KR101902991B1 (ko) 2018-10-02

Family

ID=6316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268A Active KR101902991B1 (ko) 2017-02-20 2017-02-20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351511A1 (ko)
JP (1) JP6971330B2 (ko)
KR (1) KR101902991B1 (ko)
WO (1) WO2018151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252B1 (ko) * 2019-06-10 2023-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어닐 장치
JP7353171B2 (ja) * 2019-12-26 2023-09-29 株式会社ディスコ レーザー加工装置
KR102295280B1 (ko) * 2020-02-21 2021-08-30 광주과학기술원 Libs 측정이 가능한 고분해능 레이저 가공장치
US12064830B2 (en) * 2020-03-12 2024-08-20 Rohr, Inc. Substrate perfo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eamlets
KR102513576B1 (ko) * 2021-09-02 2023-03-29 주식회사 루트로닉 레이저 장치
JP2024172262A (ja) * 2023-05-31 2024-12-1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波長ビーム結合装置、ダイレクトダイオードレーザ装置、およびレーザ加工機
CN116493737A (zh) * 2023-06-14 2023-07-28 深圳公大激光有限公司 一种激光加工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9203A (ja) * 2015-01-09 2016-07-14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エーハの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5944B2 (ja) * 2007-04-16 2012-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ーザ装置
JP4651731B2 (ja) * 2009-07-29 2011-03-16 西進商事株式会社 レーザースクライブ加工方法
KR20110062884A (ko) * 2009-12-04 2011-06-10 티에스씨멤시스(주) 레이저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1161731B1 (ko) * 2011-06-29 2012-07-09 (주)큐엠씨 레이저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JP5293791B2 (ja) * 2011-09-27 2013-09-18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レーザー加工装置およびレーザー加工装置を用いた被加工物の加工方法
JP5965239B2 (ja) * 2012-07-31 2016-08-03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貼り合わせ基板の加工方法並びに加工装置
KR101485062B1 (ko) * 2013-10-29 2015-01-22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레이저 가공장치의 착탈식 석션 노즐 장치
JP5902281B2 (ja) * 2014-11-19 2016-04-13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レーザー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9203A (ja) * 2015-01-09 2016-07-14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エーハの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71330B2 (ja) 2021-11-24
US20190351511A1 (en) 2019-11-21
JP2020506067A (ja) 2020-02-27
KR20180096070A (ko) 2018-08-29
WO2018151581A1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991B1 (ko) 레이저 스크라이빙 장치
KR101735843B1 (ko) 레이저 가공 장치 및 레이저 가공 방법
TWI394627B (zh) Laser processing method, laser process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446986B (zh) 對象目標處理方法及對象目標處理設備
JP5670647B2 (ja) 加工対象物切断方法
CN100479969C (zh) 激光束加工设备
JP6786374B2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加工方法
US20060289410A1 (en) Laser machining apparatus
US8519298B2 (en) Split laser scribe
KR101745007B1 (ko) 레이저 가공 장치
US12280443B2 (en) Laser machining device
CN102896417A (zh) 激光切片方法
CN102886609A (zh) 应用于led器件分离的多焦点飞秒激光划片方法
US11571767B2 (en) Laser processing device and laser processing method
US20230226644A1 (en) Laser scribing device
JP5293791B2 (ja) レーザー加工装置およびレーザー加工装置を用いた被加工物の加工方法
JP2017174941A (ja) レーザ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CN111014948B (zh) 双焦点激光加工系统及方法
JP2020059048A (ja) レーザー加工装置及びレーザー加工方法
CN110977188A (zh) 一种基于空间光调制器的多焦点晶圆内部切割装置
CN109759722B (zh) 一种双工艺组合的led芯片加工系统及方法
CN107378255B (zh) 一种激光加工晶圆的方法及装置
KR102131764B1 (ko) 반도체 기판을 통한 중간 적외선 레이저 광의 투과에 의한 열처리
TWI715548B (zh) 硬脆材料的雷射切割方法及雷射切割機與雷射切割機的光學系統
KR100843411B1 (ko) 레이저가공 장치 및 기판 절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