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888B1 -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2888B1 KR101902888B1 KR1020170124943A KR20170124943A KR101902888B1 KR 101902888 B1 KR101902888 B1 KR 101902888B1 KR 1020170124943 A KR1020170124943 A KR 1020170124943A KR 20170124943 A KR20170124943 A KR 20170124943A KR 101902888 B1 KR101902888 B1 KR 1019028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ot
- signal
- disaster
- led
- h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355 Hal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UVRBAGPIYLISA-UHFFFAOYSA-N tantalum atom Chemical compound [Ta] GUVRBAGPIYLI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 H05B37/0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200: 전원제어부
300: LED 등
400: 비상상황감지기
110: 스위치부
120: 릴레이부
130: AC/DC 컨버터
500: 전원부
600: 릴레이부
700: 제어부
Claims (1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재난 상황을 감지하는 IOT 감지기(10)와;
재난 발생 유무에 따라 일반 조명 모드와 재난 조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는 LED 조명장치(30)와;
상기 IOT 감지기(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신호를 허브(40)에 전달하며, 상기 허브(40)에서 피드백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LED 조명장치(30)를 제어하는 IOT 중계기(20)와;
상기 허브(4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허브(40)에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60)에 재난 문자를 전송하는 클라우드(50);를 포함하되,
상기 IOT 감지기(10)는, 화재 감지를 위한 온도센서와, 보안 감지를 위한 적외선 감지센서와, 지진 감지를 위한 가속도 센서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LED 조명장치(30)는, 일반 조명 모드를 위한 LED 어레이(31)와, 재난 조명 모드를 위한 LED 어레이(32)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 조명 모드를 위한 LED 어레이(31)와 상기 재난 조명 모드를 위한 LED 어레이(32)는 릴레이를 매개로 상용전원(71)과 비상전원(72)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는 상기 허브(40)에서 피드백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비상전원(72)을 ON시켜 상기 LED 어레이(32)에 비상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LED 어레이(31)에 공급되는 상기 상용전원(71)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상기 비상전원(72)을 OFF시켜 상기 LED 어레이(32)에 공급되는 상기 비상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LED 어레이(31)에 상기 상용전원(71)을 공급하고,
상기 재난 조명 모드를 위한 LED 어레이(32)는, 상기 LED 어레이(32)를 구성하는 각각의 LED 모듈이 방향 지시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IOT 감지기(10)는 보안 시스템 또는 소방 시스템의 경종(19)과 연결되어, 상기 경종(19)의 신호 발생시 이벤트 신호로써 상기 IOT 중계기(20)에 전달하고,
상기 허브(40)의 단독 체제를 위하여, 원거리에서도 상기 IOT 감지기(10)의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IOT 중계기(20)는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된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IOT 감지기(10)를 이용한 재난 상황 감지 단계(S10);
상기 IOT 감지기(10)에서 재난 신호 감지 시 이벤트 신호가 상기 IOT 중계기(20), 상기 허브(4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50)에 전송되는 단계(S20);
상기 허브(40)를 통해 상기 IOT 중계기(20)에 비상전원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단계(S30);
상기 비상전원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IOT 중계기(20)에 연결된 상기 LED 조명장치(30)의 비상전원을 활성화 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하되,
상기 S30단계는, 이동통신 단말에 재난문자를 전송하거나, 상기 클라우드(5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타 이동통신 단말에 재난 위치, 재난 규모를 포함하는 재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전원 활성화 단계(S40) 이후, 재난 감지가 해제되면, 상기 IOT 중계기(20), 상기 허브(40)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50)에 재난해제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클라우드(5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에서 상기 클라우드(50)에 재난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60);
상기 허브(40)를 통해 상기 IOT 중계기(20)에 비상전원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단계(S70);
상기 비상전원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IOT 중계기(20)에 연결된 상기 LED 조명장치(30)의 상기 비상전원을 비활성화 시키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S70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재난해제 문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의 제어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4943A KR101902888B1 (ko) | 2017-09-27 | 2017-09-27 |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4943A KR101902888B1 (ko) | 2017-09-27 | 2017-09-27 |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2888B1 true KR101902888B1 (ko) | 2018-10-01 |
Family
ID=6387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4943A Active KR101902888B1 (ko) | 2017-09-27 | 2017-09-27 |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2888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0273A (ko) | 2019-01-18 | 2020-07-29 | 최민수 | Bas, bems, fms, si, 전력제어, 조명제어를 재난 대비 상황에 맞춰 제어하는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
KR102153454B1 (ko) * | 2019-03-25 | 2020-09-08 | 허형석 | 스마트 led 재난 경보 시스템 및 경보 방법 |
KR102229360B1 (ko) * | 2020-08-25 | 2021-03-18 | 박기태 | 비상 전원공급기 제어방법 |
KR102229359B1 (ko) * | 2020-08-20 | 2021-03-18 | 박기태 | 비상 전원 공급기 |
KR20210075251A (ko) * | 2019-12-12 | 2021-06-23 | 주식회사 로제타랩 | 화재 경보 시스템 |
KR102401210B1 (ko) | 2022-01-28 | 2022-05-24 | 남성기전 주식회사 | 에너지 절감형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 |
KR102401211B1 (ko) | 2022-01-28 | 2022-05-24 | 남성기전 주식회사 | 머신 러닝 기반의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 |
KR20220116844A (ko) * | 2021-02-16 | 2022-08-23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알람 전등 및 방법 |
CN119152653A (zh) * | 2024-11-12 | 2024-12-17 | 深圳位置网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短信通道的报警位置上传方法及系统 |
KR102747843B1 (ko) * | 2024-04-03 | 2025-01-02 | 신화건설(주) | 실내 매립형 조명을 이용한 uwb 통신 기반 소방 관제 시스템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14897A (ja) | 2010-06-30 | 2012-01-19 | Tokaseiki Co Ltd | 非常灯機能付きled照明装置 |
JP2015038772A (ja) * | 2014-10-24 | 2015-02-26 | ホーチキ株式会社 | 警報システム及び地震速報装置 |
KR101608971B1 (ko) * | 2015-04-30 | 2016-04-20 |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코리아 | Led 조명모듈을 이용한 비상감지 및 대처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665296B1 (ko) | 2016-06-10 | 2016-10-13 | 강해일 | 전원 분리 릴레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
JP2017123008A (ja) | 2016-01-06 | 2017-07-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照明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避難誘導システム |
KR101756815B1 (ko) | 2017-01-13 | 2017-07-13 | (주)에프알텍 | 비상유도 조명시스템 |
KR101779477B1 (ko) * | 2017-01-23 | 2017-09-18 | 임혜영 | 지진감지분석·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을 갖는 스마트 저전력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
-
2017
- 2017-09-27 KR KR1020170124943A patent/KR10190288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14897A (ja) | 2010-06-30 | 2012-01-19 | Tokaseiki Co Ltd | 非常灯機能付きled照明装置 |
JP2015038772A (ja) * | 2014-10-24 | 2015-02-26 | ホーチキ株式会社 | 警報システム及び地震速報装置 |
KR101608971B1 (ko) * | 2015-04-30 | 2016-04-20 |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코리아 | Led 조명모듈을 이용한 비상감지 및 대처 시스템 및 그 방법 |
JP2017123008A (ja) | 2016-01-06 | 2017-07-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照明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避難誘導システム |
KR101665296B1 (ko) | 2016-06-10 | 2016-10-13 | 강해일 | 전원 분리 릴레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
KR101756815B1 (ko) | 2017-01-13 | 2017-07-13 | (주)에프알텍 | 비상유도 조명시스템 |
KR101779477B1 (ko) * | 2017-01-23 | 2017-09-18 | 임혜영 | 지진감지분석·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을 갖는 스마트 저전력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0273A (ko) | 2019-01-18 | 2020-07-29 | 최민수 | Bas, bems, fms, si, 전력제어, 조명제어를 재난 대비 상황에 맞춰 제어하는 빌딩자동제어 시스템 |
KR102153454B1 (ko) * | 2019-03-25 | 2020-09-08 | 허형석 | 스마트 led 재난 경보 시스템 및 경보 방법 |
KR20210075251A (ko) * | 2019-12-12 | 2021-06-23 | 주식회사 로제타랩 | 화재 경보 시스템 |
KR102368669B1 (ko) * | 2019-12-12 | 2022-03-03 | 주식회사 디티랩 | 화재 경보 시스템 |
KR102229359B1 (ko) * | 2020-08-20 | 2021-03-18 | 박기태 | 비상 전원 공급기 |
KR102229360B1 (ko) * | 2020-08-25 | 2021-03-18 | 박기태 | 비상 전원공급기 제어방법 |
KR20220116844A (ko) * | 2021-02-16 | 2022-08-23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알람 전등 및 방법 |
KR102494703B1 (ko) * | 2021-02-16 | 2023-02-06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알람 전등 및 방법 |
KR102401210B1 (ko) | 2022-01-28 | 2022-05-24 | 남성기전 주식회사 | 에너지 절감형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 |
KR102401211B1 (ko) | 2022-01-28 | 2022-05-24 | 남성기전 주식회사 | 머신 러닝 기반의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 |
KR102747843B1 (ko) * | 2024-04-03 | 2025-01-02 | 신화건설(주) | 실내 매립형 조명을 이용한 uwb 통신 기반 소방 관제 시스템 |
CN119152653A (zh) * | 2024-11-12 | 2024-12-17 | 深圳位置网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短信通道的报警位置上传方法及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2888B1 (ko) |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1827733B1 (ko) |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 |
US20130169430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 |
EP2364573B1 (en) | Illumin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illumination devices | |
KR101772806B1 (ko) |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2580356B1 (ko) |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 |
JP2017123008A (ja) | 照明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避難誘導システム | |
KR101874310B1 (ko) | 화재 감지기 | |
JP2008204393A (ja) | 照明システム | |
KR20170079124A (ko) |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 |
KR20170079122A (ko) |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 |
KR101835361B1 (ko) | 화재수신반에 연동된 led 등 제어장치 | |
KR101807265B1 (ko) |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 |
KR200462003Y1 (ko) | 대피 정보 안내 장치 | |
CN106530646A (zh) | 一种消防监控报警设备 | |
KR101663786B1 (ko) | 공동주택의 소방관리와 감시시스템 | |
KR101950743B1 (ko) | 공동주택의 화재시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 |
KR101900203B1 (ko) |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 |
KR20220151587A (ko) |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 |
KR101807262B1 (ko) |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 |
KR101807261B1 (ko) |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 |
CA2900585A1 (en) | Intelligent evacuation route device | |
KR101950745B1 (ko) | 화재시 아파트의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 |
KR20170079165A (ko) |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 |
CN112770462A (zh) | 照明系统及其控制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9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