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2774B1 - 톱밥 배지 침수기 - Google Patents

톱밥 배지 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774B1
KR101902774B1 KR1020180041004A KR20180041004A KR101902774B1 KR 101902774 B1 KR101902774 B1 KR 101902774B1 KR 1020180041004 A KR1020180041004 A KR 1020180041004A KR 20180041004 A KR20180041004 A KR 20180041004A KR 101902774 B1 KR101902774 B1 KR 101902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rame
water tank
buoyancy
suppli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와초리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와초리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와초리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80041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77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01G18/22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culture media, e.g. bott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밥 배지 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두리를 따라 프레임 난간이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부와, 베이스 프레임부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톱밥 배지가 내부에 수용되는 수조 및 수조의 개방된 상면을 덮되, 수조에 급수되는 물에 완전 침수되는 톱밥 배지가 부력에 의해 부상하여 수면 위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력방지부재를 포함하는 톱밥 배지 침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에 일정 시간 동안 침수되는 대량의 톱밥 배지가 물의 부력에 의해 부상하여 수면 위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시 물에 잠길 수 있게 함으로써 톱밥 배지 각각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톱밥 배지 침수기{Flooding apparatus for sawdust medium}
본 발명은, 톱밥 배지 침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량의 톱밥 배지 각각에 충분한 수분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톱밥 배지 침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은, 양질의 단백질과 지방 그리고 각종 비타민류와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독특한 향미를 갖는 영양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표고버섯은, 인공적으로 배양한 표고버섯균을 원목에 접종하여 재배하는 표고 원목 재배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많은 원목 재료와 노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균상재배법(菌床栽培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균상재배법은, 양송이 버섯이나 느타리 버섯, 맛 버섯 등의 재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서, 볏짚, 보리짚, 퇴비 및 폐지 등을 배지재료로 사용하고 있으나, 표고버섯의 균상재배법에서는 활엽수의 톱밥이 주로 사용되며, 이를 톱밥 배지(sawdust medium)라고 한다.
톱밥 배지는 종균을 배지에 배양 후, 버섯의 발아촉진을 위한 적당량의 수분이 공급되어야 한다. 톱밥 배지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종래의 수분공급 작업을 살펴보면, 여러 명의 작업자가 작업장 바닥에 톱밥 배지를 정렬시켜 둔 상태에서 물이 공급될 수 있는 침봉(needle)을 각각의 톱밥 배지에 침투시켜 적당량의 물을 공급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톱밥 배지에 물이 공급되게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분공급 방법으로 톱밥 배지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 작업속도가 매우 느리고 인력소모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으며, 제조원가 상승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톱밥 배지에 물을 공급함에 따라 톱밥 배지에 물이 과다하게 공급되거나 반대로 부족하게 공급되어 종균의 성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9750호(2002년 06월 24일 공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3192호(2018년 03월 07일 공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대량의 톱밥 배지 각각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톱밥 배지 침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수조에 침수된 톱밥 배지가 물의 부력에 부상하여 수면 위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톱밥 배지 침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톱밥 배지가 침수된 수조 내의 수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톱밥 배지 침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톱밥 배지 침수기로서, 테두리를 따라 프레임 난간이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톱밥 배지가 내부에 수용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개방된 상면을 덮되, 상기 수조에 급수되는 물에 완전 침수되는 상기 톱밥 배지가 부력에 의해 부상하여 수면 위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력방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하면에는, 베이스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설치된 복수의 프레임 다리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프레임 난간에는 제1 급배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일측 상단에는 상기 제1 급배수 홀에 대응하는 제2 급배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급배수 홀과 제2 급배수 홀을 관통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수조에 물을 급수하거나, 수조의 물 넘침시 수조 외부로 물이 배수되게 하는 급배수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조는, 하면에 형성된 배수 홀, 상기 배수 홀에 장착된 배수 라인 및 상기 배수 라인을 개폐하는 배수 코크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방지부재는, 상기 프레임 난간의 상면에 수평으로 안착되는 상부 프레임 틀 및 상기 상부 프레임 틀의 하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되, 외측 테두리면이 상기 수조의 내측면에 비접촉되는 부력방지판을 포함한다.
상기 부력방지판은, 상기 수조의 내측면에 비접촉되는 하부 프레임 틀 및 상기 하부 프레임 틀의 내측 개방부위에 설치되는 메쉬망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 틀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복수의 횡 프레임 및 상기 횡 프레임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횡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종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조에 일정 시간 동안 침수되는 대량의 톱밥 배지가 물의 부력에 의해 부상하여 수면 위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시 물에 잠길 수 있게 함으로써 톱밥 배지 각각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톱밥 배지가 침수된 수조 내에 물이 과다하게 저류되더라도 외부로 자연 배수시킬 수 있어 수조 내의 수위를 항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톱밥 배지 침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톱밥 배지 침수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밥 배지 침수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톱밥 배지 침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배지 침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톱밥 배지 침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톱밥 배지 침수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톱밥 배지 침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톱밥 배지 침수기는, 베이스 프레임부(100), 수조(200) 및 부력방지부재(3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프레임부(100)는, 수조(200)가 안착되는 부재로써, 상하면이 개방된 틀 형태의 하부 틀(100a)과, 수조(200)를 지지하기 위해 하부 틀(100a) 중앙의 개방부위에 서로 교차하면서 설치된 지지 프레임(100b)을 구비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테두리, 즉 하부 틀(100a)을 따라 설치된 프레임 난간(110)을 구비한다. 프레임 난간(110)은, 하부 틀(100a)의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지주(110a)와, 이 수직 지주(110a)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 바(110b)로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하면에는,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설치된 복수의 프레임 다리(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하면에 설치된 프레임 다리(120)로 인해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하면과 바닥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으로 지게차(forklift)의 포크(fork)를 삽입시켜 베이스 프레임부(100) 자체를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내측에 수조(200)가 안착된 상태로 베이스 프레임부(100)를 운반하거나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조(20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조(200)의 재질로는 가볍고, 외력이 가해져도 변형이 적으며, 녹이 슬지 않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 FRP) 등의 합성수지재 또는 표면에 FRP 도료가 도포된 약 10 내지 15mm 두께의 방수합판인 것이 바람직하며, 어느 하나의 재질로 한정되지 아니 한다.
이와 같은 수조(200)는,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안착되는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지지 프레임(100b)에 의해 수조(200)의 하부가 지지되고,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프레임 난간(110)에 의해 수조(200)의 외측이 지지된다.
이러한 수조(20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다수의 톱밥 배지(S)들이 수용되며, 이렇게 수용된 톱밥 배지(S)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수조(200)에 물을 채워 넣어 수조(200)에 수용된 톱밥 배지(S)들을 일정 시간 동안 침수시키는 것이다.
한편, 베이스 플레임부(100)의 프레임 난간(110), 즉 프레임 난간(110)의 수평 바(110b)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급배수 홀(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안착되는 수조(200)의 일측 상단에는 제1 급배수 홀(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급배수 홀(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급배수 홀(111)과 제2 급배수 홀(210)을 관통한 상태로 급배수 라인(400)이 장착된다.
이러한 급배수 라인(400)을 통해 수조(200) 내부로 물을 급수할 수 있고, 반대로 수조에 저류된 물이 넘치는 경우, 급배수 라인(400)을 통해 외부로 물이 배수되게 할 수 있다. 물론, 톱밥 배지(S)가 수조(200) 내에서 완전 침수 중에도 급배수 라인(400)을 통해 물의 배수가 가능해진다. 또한, 급배수 라인(400)을 통해 수조(200) 내부로 물을 급수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수조(200)의 내측면과 부력방지판(320)의 외측 테두리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수조(20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수조(200)는, 배수 홀(220), 배수 라인(230) 및 배수 코크(231)를 구비한다. 배수 홀(220)은, 수조(200) 내부에 저류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 수조(200)의 하면에 형성되며, 이러한 배수 홀(220)을 관통하여 배수 라인(230)이 장착된다. 여기서, 배수 라인(230)에는 배수되는 물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배수 코크(2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수조(200) 내에서 톱밥 배지(S)를 일정 시간 동안 침수시킨 다음, 배수 라인(230)을 통해 수조(200) 내의 물을 완전 배수시키면 수조(200) 내부의 세척이 가능해 진다.
한편, 수조(200) 내부에 다수의 톱밥 배지(S)들이 수용된 상태에서 수조(200) 내부로 물이 급수되면, 톱밥 배지(S)가 물에 부력에 의해 부상하여 톱밥 배지(S)의 일부분이 수면 위로 노출되게 되는데, 이렇게 수면 위로 노출되는 부위에는 수분 공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부력방지부재(300)는 수조(200)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톱밥 배지(S)가 수면 위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톱밥 배지(S)가 물에 완전 침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부력방지부재(300)는, 수조(2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되, 수조(200)에 급수되는 물에 완전 침수되는 톱밥 배지(S)가 부력에 의해 부상하여 수면 위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조(200) 내에 물의 수위가 일정하고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부력방지부재(300)는, 상부 프레임 틀(310)과 부력방지판(320)을 구비한다.
상부 프레임 틀(310)은, 상하면이 개방된 틀 형태의 상부 틀(310a)과, 부력방지판(320)이 하측에 설치되게 하기 위해 상부 틀(310a) 중앙의 개방부위에 수평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평 프레임(310b)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부 틀(310a)은,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프레임 난간(110), 즉 수평 바(110b)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프레임 난간(110)과 부력방지부재(300)의 상부 프레임 틀(310)은 볼트 등에 의해 서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부력방지판(320)은, 상부 프레임 틀(310)의 하측, 즉 상부 틀(310a)에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 프레임(310b)에 설치된다. 이때, 향후 부력방지판(32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력방지판(320)과 수평 프레임(310b)은 볼트 등에 의해 서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부력방지판(320)은, 수조(200)의 내측면에 비접촉되며, 상하면이 개방된 틀 형태의 하부 프레임 틀(320a)과, 하부 프레임 틀(320a)의 내측 개방부위에 설치되는 메쉬망(32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메쉬망(mesh)은, 금속재질의 철망인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재질 또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그물망일 수 있다.
또한, 부력방지판(320)은, 금속 또는 금속 표면에 아연 등이 도금된 판상형일 수 있으며, 하면이 수조(200) 내에 저류된 물의 수면에 직접 접촉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 틀(310) 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기 때문에 외측 테두리면이 수조(200)의 내측면에 비접촉된다. 그래서 수조(200)의 내측면과 부력방지판(320)의 외측 테두리면 사이에 약 30 내지 40mm의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간극은 물의 급수, 배수 및 수위 조절을 위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즉, 수조(200) 내에 물이 과다하게 저류되더라도 간극으로 물이 유도되면서 급배수 라인(400)을 통해 외부로 자연 배수되기 때문에 톱밥 배지(S)가 침수된 수조(200) 내의 수위를 항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부력방지부재(300)가 수조의 개방된 상면을 덮게 되면,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프레임 난간(110) 상단면을 기준으로 부력방지판(320)이 약 100mm의 하향 깊이로 수조(20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수조(200) 내의 저류된 물 자체의 부력과, 물의 부력에 의해 톱밥 배지(S)가 부상하여 수면 위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력방지판(320)으로 인해 수조(200) 내에 수용된 모든 톱밥 배지(S)는 물의 수면 아래 약 50mm 이하에 위치하게 되어 항시 물에 완전 잠긴 상태가 된다.
한편, 부력방지부재(300)를 들어 올려 이를 운반하기 위해 부력방지부재(300)의 상부 프레임 틀(310)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복수의 횡 프레임(330)과, 이 횡 프레임(330)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횡 프레임(330)을 서로 연결하는 종 프레임(3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부 프레임 틀(310)의 상부와 종 프레임(340)의 하부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으로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시켜 부력방지부재(300) 자체를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부력방지부재(300)를 운반하거나 부력방지부재(3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베이스 프레임부 110: 프레임 난간
111: 제1 급배수 홀 120: 프레임 다리
200: 수조 210: 제2 급배수 홀
220: 배수 홀 230: 배수 라인
231: 배수 코크 300: 부력방지부재
310: 상부 프레임 틀 320: 부력방지판
330: 횡 프레임 340: 종 프레임
400: 급배수 라인

Claims (7)

  1. 테두리를 따라 프레임 난간(110)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난간(110)의 상측 수평 바(110b)에 제1 급배수 홀(111)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부(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톱밥 배지(S)가 내부에 수용되며, 일측 상단에는 상기 제1 급배수 홀(111)에 대응하는 제2 급배수 홀(210)이 형성된 수조(200);
    상기 수조(2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되, 상기 수조(200)에 급수되는 물에 완전 침수되는 상기 톱밥 배지(S)가 부력에 의해 부상하여 수면 위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력방지부재(300); 및
    상기 제1 급배수 홀(111)과 제2 급배수 홀(210)을 관통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수조(200)에 물을 급수하거나, 수조(200)의 물 넘침시 수조(200) 외부로 물이 자연 배수되게 하는 급배수 라인(400); 을 포함하며,
    상기 부력방지부재(300)는,
    상기 프레임 난간(110)의 상면에 수평으로 안착되는 상하면이 개방된 틀 형태의 상부 틀(310a)과, 상기 상부 틀(310a)의 중앙 개방부위에 수평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평 프레임(310b)을 구비한 상부 프레임 틀(310); 및
    상기 수평 프레임(310b)의 하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되, 외측 테두리면이 상기 수조(200)의 상단 내측면에 비접촉되도록 상부 프레임 틀(310) 보다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부력방지판(3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 배지 침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하면에는,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설치된 복수의 프레임 다리(120); 가 더 구비된 톱밥 배지 침수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200)는,
    하면에 형성된 배수 홀(220);
    상기 배수 홀(220)에 장착된 배수 라인(230); 및
    상기 배수 라인(230)을 개폐하는 배수 코크(231);
    를 포함하는 톱밥 배지 침수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방지판(320)은,
    상기 수조(200)의 내측면에 비접촉되는 하부 프레임 틀(320a); 및
    상기 하부 프레임 틀(320a)의 내측 개방부위에 설치되는 메쉬망(320b);
    을 포함하는 톱밥 배지 침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틀(310)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복수의 횡 프레임(330); 및
    상기 횡 프레임(330)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횡 프레임(330)을 서로 연결하는 종 프레임(340);
    을 더 포함하는 톱밥 배지 침수기.
KR1020180041004A 2018-04-09 2018-04-09 톱밥 배지 침수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902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04A KR101902774B1 (ko) 2018-04-09 2018-04-09 톱밥 배지 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04A KR101902774B1 (ko) 2018-04-09 2018-04-09 톱밥 배지 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774B1 true KR101902774B1 (ko) 2018-10-01

Family

ID=6387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0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902774B1 (ko) 2018-04-09 2018-04-09 톱밥 배지 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7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1498A (zh) * 2019-10-08 2019-12-03 龙泉市菇友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菌棒自动化加工设备
KR20200140536A (ko) * 2019-06-07 2020-12-16 조용화 다공성배지의 침수장치 및 침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909B1 (ko) * 2015-04-09 2015-09-03 최만수 버섯배지 침수장치 및 버섯배지 침수방법
US20160073589A1 (en) 2014-09-11 2016-03-17 Freight Farms, Inc. Insulated shipping containers modified for high-yield fungi production capable in any environment
KR101833918B1 (ko) 2017-07-24 2018-04-13 최경진 버섯 재배 장치
KR101889483B1 (ko) 2017-03-20 2018-08-17 김범술 버섯 재배용 톱밥배지 수분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3589A1 (en) 2014-09-11 2016-03-17 Freight Farms, Inc. Insulated shipping containers modified for high-yield fungi production capable in any environment
KR101549909B1 (ko) * 2015-04-09 2015-09-03 최만수 버섯배지 침수장치 및 버섯배지 침수방법
KR101889483B1 (ko) 2017-03-20 2018-08-17 김범술 버섯 재배용 톱밥배지 수분공급장치
KR101833918B1 (ko) 2017-07-24 2018-04-13 최경진 버섯 재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536A (ko) * 2019-06-07 2020-12-16 조용화 다공성배지의 침수장치 및 침수방법
KR102313368B1 (ko) 2019-06-07 2021-10-14 조용화 다공성배지의 침수장치 및 침수방법
CN110521498A (zh) * 2019-10-08 2019-12-03 龙泉市菇友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菌棒自动化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663B1 (ko) 부침식 양식장치
KR102220048B1 (ko) 다층 생장 장치
KR101902774B1 (ko) 톱밥 배지 침수기
SE9501686L (sv) Flytande odlingsbricka
CN205030301U (zh) 一种用于家庭蔬菜种植的水循环系统
KR101820067B1 (ko) 논수위 확인장치
JP5290241B2 (ja) 養液栽培装置
CN206565016U (zh) 引流装置
KR102236728B1 (ko) 절임장치
KR102276043B1 (ko) 간헐적 양액공급방식을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CN109566391A (zh) 一种蔬菜复式栽培容器
KR102036158B1 (ko) 수경 재배 장치
KR102817022B1 (ko) 관리가 용이한 식물 화분
CN208113777U (zh) 一种养殖容器支架
KR20130049070A (ko) 두채류 재배기
KR102276046B1 (ko) 간헐적 수경재배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간헐적 양액공급방식을 이용한 수경재배시스템
KR102676425B1 (ko)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기를 이용한 침하부상식 외해 가두리 양식장치
CN108301459B (zh) 围圈式一体化集雨节水器、其安装方法及节流方法
KR200386674Y1 (ko) 채소 배양기
CN220630711U (zh) 一种便于清污的组合式养殖盒
CN211129215U (zh) 一种可自动加水的简易灭菌装置
CN216314216U (zh) 一种园艺水上漂浮种植器
CN217826241U (zh) 一种城市园林绿地植物分类栽培装置
KR101341764B1 (ko) 톱밥 버섯배지 형성 방법
KR200350008Y1 (ko) 통기관이 배치된 콩나물 재배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