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2b의 Ⅴ-Ⅴ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유닛은, 제 1 리플렉터(reflector)(300), 제 2 리플렉터(200), 광원 모듈(100), 광학 부재(optical member)(500), 및 고정 부재(fixing member)(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은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리플렉터(2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원 모듈(100)은 제 2 리플렉터(200)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 1 리플렉터(300)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 2 리플렉터(2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광원 모듈(100)은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에 동시에 접촉될 수도 있다.
그리고, 광원 모듈(100)은 전극 패턴을 갖는 기판(100b)과, 기판(100b) 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00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의 광원(100a)은 상면 발광형(top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광원(100a)은 측면 발광형(side view type) 발광 다이오드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기판(100b)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실리콘(Si)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이루어진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일 수도 있고,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기판(100b)은 단층 PCB, 다층 PCB, 세라믹 기판, 메탈 코아 PCB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00b)은 반사 코팅 필름 및 반사 코팅 물질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고, 광원(100a)에서 생성된 광을 제 1 리플렉터(210)의 중앙영역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어, 광원(100a)은 발광 다이오드 칩(LED chip)일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칩은 블루 LED 칩 또는 자외선 LED 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레드 LED 칩, 그린 LED 칩, 블루 LED 칩, 엘로우 그린(Yellow green) LED 칩, 화이트 LED 칩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한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화이트 LED는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Yellow phosphor)을 결합하거나, 블루 LED 상에 레드 인광(Red phosphor)과 그린 인광(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블루 LED 상에 옐로우 인광(Yellow phosphor), 레드 인광(Red phosphor) 및 그린 인광(Green phosphor)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 사이의 빈 공간에는 에어 가이드(air guide)를 갖도록,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는 일정 간격 떨어져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제 2 리플렉터(300, 200)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이산화 티타늄(TiO2)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 1, 제 2 리플렉터(300, 200)는 고분자 수지 프레임 또는 금속 프레임 위에 반사 필름 또는 반사 시트(sheet)를 접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제 1, 제 2 리플렉터(300, 200)는 고분자 수지 프레임 또는 금속 프레임 위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증착 또는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제 2 리플렉터(300, 200)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어, 제 1, 제 2 리플렉터(300, 200)는 표면 일부에 톱니형태의 반사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반사 패턴의 표면은 평면 또는 곡면일 수 있다.
다음, 제 1, 제 2 리플렉터(300, 200)는 일부에 경사면(inclined plane)을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 2 리플렉터(200)는 편평한 평면이고, 제 1 리플렉터(300)는 일부에 경사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갖는 적어도 2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경사면은 제 2 리플렉터(200)의 표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진 면일 수 있고, 경사면은 오목면(concave surface), 볼록면(convex surface), 평면(flat surfac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리플렉터(300)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inclined plane)과 적어도 하나의 평면(flat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 리플렉터(300)의 평면은 제 2 리플렉터(200)의 평면과 평행한 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의 평면은 광원 모듈(100) 일부에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갖는 적어도 2개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변곡점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제 1, 제 2 경사면의 곡률은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광학 부재(500)는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와 광학 부재(500) 사이의 공간에는 에어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부재(500)는 상부 표면에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광학 부재(500)는 광원 모듈(100)에서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확산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부 표면에 요철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광학 부재(500)는 여러 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요철 패턴은 최상층 또는 어느 한 층의 표면에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요철 패턴은 광원 모듈(100)을 따라 배치되는 스트라이프(stri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요철 패턴은 광학 부재(500) 표면으로 돌출부를 가지고, 돌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되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은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학 부재(500)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로 이루어지는데,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휘도 강화 시트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산 시트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주고, 프리즘 시트는 확산된 광을 발광 영역으로 가이드하며, 휘도 확산 시트는 휘도를 강화시켜 준다.
다음, 고정 부재(400)는 제 1 리플렉터(300) 위에 다수개가 배치되고, 제 1 리플렉터(300)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400)는, 바디부(body portion)(410)와 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는 제 1 리플렉터(300)에 접촉되고, 고정 부재(400)의 체결부(42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홀 내에 삽입되어 제 1 리플렉터(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는 제 1 폭을 갖는 제 1 섹션(section)과, 제 2 폭을 갖는 제 2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410)의 제 2 섹션의 제 2 폭은 바디부(410)의 제 1 섹션의 제 1 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400)의 체결부(420)는 바디부(410)의 제 2 섹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리플렉터(300)는, 제 1 홀을 갖는 커버부(320)와 제 2 홀을 갖는 반사 시트(3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고정 부재(400)의 체결부(420)는 반사 시트(310)의 제 2 홀과, 커버부(320)의 제 1 홀에 삽입되어, 제 1 리플렉터(300)에 체결되고,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은 제 1 리플렉터(300)의 반사 시트(31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리플렉터(300)에서, 커버부(320)의 제 1 홀과 반사 시트(310)의 제 2 홀은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고정 부재(400)의 체결부(420)는 커버부(320)의 제 1 홀과 반사 시트(310)의 제 2 홀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고정 부재(400)들은, 광원 모듈(100)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다수의 고정 부재(400)들은, 광원 모듈(100)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엇갈려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수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심선을 따라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다수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심선을 따라 서로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고정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는 바디부(410)와 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제 1 섹션(section)(412)과, 제 2 섹션(414)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하부에는, 체결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섹션(412)은 제 1 폭 W1을 가지고, 제 2 섹션(414)은 제 2 폭 W2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제 2 폭 W2은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제 1 폭 W1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섹션(412)은 제 1 폭 W1과, 제 2 섹션(414)은 제 2 폭 W2은, 광원 모듈(도 2b의 100)의 배치 방향인 X축 방향에 배치된 바디부(410)의 양측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광원 모듈(도 2b의 100)의 배치 방향인 X축 방향은, 광원 모듈(도 2b의 100)로부터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의 중심선 방향으로 향하는 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에서, 제 1 섹션(412)의 제 1 폭 W1과, 제 2 섹션(414)의 제 2 폭 W2의 비율은 약 1 : 1.1 - 10일 수 있다.
그 이유는,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제 1 폭 W1이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제 2 폭 W2보다 작을 경우,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 하부에 체결부(420)를 배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제 1 폭 W1이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제 2 폭 W2보다 10배 이상 더 클 경우에는, 제 1 리플렉터의 반사율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정 부재는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과 제 2 섹션(414)의 폭이 서로 다르므로, 체결부(420)의 배치 및 제작이 용이하며, 제 1 리플렉터의 반사율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제 1 리플렉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제 1 폭 W1과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제 2 폭 W2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고정 부재의 길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는 바디부(410)와 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제 1 섹션(section)(412)과, 제 2 섹션(414)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하부에는, 체결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섹션(412)은 제 1 폭을 가지고, 제 2 섹션(414)은 제 2 폭을 가질 수 있는데, 제 2 섹션(414)의 제 2 폭은 제 1 섹션의 제 1 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어, 고정 부재는, 도 4a와 같이, 한 개의 체결부(420)만을 가질 수 있다.
즉,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두 개의 제 1 섹션(412)과 하나의 제 2 섹션(414)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 부재의 체결부(420)는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 하부에 한 개만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는, 도 4b와 같이, 두 개의 체결부(420)들을 가질 수도 있다.
즉,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세 개의 제 1 섹션(412)과 두 개의 제 2 섹션(414)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 부재의 체결부(420)는 두 개로서,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 하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다음, 고정 부재는, 도 4c와 같이, 세 개의 체결부(420)들을 가질 수도 있다.
즉,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네 개의 제 1 섹션(412)과 세 개의 제 2 섹션(414)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 부재의 체결부(420)는 세 개로서,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 하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는 도 4a 내지 도 4b와 같이,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길이는 제 1 리플렉터의 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리플렉터의 면적이 크다면, 고정 부재의 길이는 도 4c와 같은 고정 부재를 사용하고, 제 1 리플렉터의 면적이 작다면, 고정 부재의 길이는 도 4a와 같은 고정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고정 부재의 바디부의 제 1 섹션과 제 2 섹션의 길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는 바디부(410)와 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제 1 섹션(section)(412)과, 제 2 섹션(414)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하부에는, 체결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섹션(412)은 제 1 길이 L1을 가지고, 제 2 섹션(414)은 제 2 길이 L2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5a와 같이,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제 2 길이 L2은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제 1 길이 L1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섹션(412)은 제 1 길이 L1과, 제 2 섹션(414)은 제 2 길이 L2은, 광원 모듈(도 2b의 100)로부터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의 중심선 방향으로 향하는 Y축 방향에 배치된 바디부(410)의 양측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Y축 방향은, 광원 모듈(도 2b의 100)의 배치 방향인 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경우에 따라, 도 5b와 같이,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제 2 길이 L2은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제 1 길이 L1보다 더 길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도 5c와 같이,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제 2 길이 L2는,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제 1 길이 L1와 동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섹션(412)의 길이와 제 2 섹션(414)의 길이가 다양한 이유는,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의 면적 크기 또는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의 표면 형상(곡면, 경사면 등) 등에 따라, 적절한 구조의 고정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고정 부재의 바디부의 제 1 섹션들의 길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는 바디부(410)와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제 1 섹션(section)(412)과, 제 2 섹션(414)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하부에는, 체결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a와 같이,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길이 L11은,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길이 L12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섹션(414)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길이 L11와, 제 2 섹션(414)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길이 L12는, 광원 모듈(도 2b의 100)로부터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의 중심선 방향으로 향하는 Y축 방향에 배치된 바디부(410)의 양측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Y축 방향은, 광원 모듈(도 2b의 100)의 배치 방향인 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경우에 따라, 도 6b와 같이,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길이 L11은,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길이 L12보다 더 길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도 6c와 같이,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길이 L11은,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길이 L12와 동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제 1 섹션(412)의 길이가 다양한 이유는,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의 면적 크기 또는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의 표면 형상(곡면, 경사면 등) 등에 따라, 적절한 구조의 고정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a 및 도 7b는 고정 부재의 바디부의 제 2 섹션들의 길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는 바디부(410)와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제 1 섹션(section)(412)과, 제 2 섹션(414)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하부에는, 체결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a와 같이,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섹션(414)의 길이 L21는,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섹션(414)의 길이 L22보다 더 길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섹션(414)의 길이 L21는,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섹션(414)의 길이 L22보다 더 짧을 수도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제 2 섹션(414)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섹션(41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섹션(414)의 길이 L21와, 제 1 섹션(412)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섹션(414)의 길이 L22는, 광원 모듈(도 2b의 100)로부터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의 중심선 방향으로 향하는 Y축 방향에 배치된 바디부(410)의 양측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Y축 방향은, 광원 모듈(도 2b의 100)의 배치 방향인 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경우에 따라, 도 7b와 같이,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섹션(414)의 길이 L21는,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섹션(414)의 길이 L22와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제 2 섹션(414)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제 2 섹션(414)의 길이가 다양한 이유는,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의 면적 크기 또는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의 표면 형상(곡면, 경사면 등) 등에 따라, 적절한 구조의 고정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a 및 도 8b는 고정 부재의 바디부의 제 1 섹션들의 폭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는 바디부(410)와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제 1 섹션(section)(412)과, 제 2 섹션(414)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하부에는, 체결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a와 같이,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폭 W11는,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폭 W12보다 더 넓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폭 W11는,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폭 W12보다 더 좁을 수도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제 1 섹션(412)의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섹션(414)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폭 W11와, 제 2 섹션(414)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폭 W12는, 광원 모듈(도 2b의 100)의 배치 방향인 X축 방향에 배치된 바디부(410)의 양측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X축 방향은, 광원 모듈(도 2b의 100)로부터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의 중심선 방향으로 향하는 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경우에 따라, 도 8b와 같이,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폭 W11는,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1 섹션(412)의 폭 W12와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제 1 섹션(412)의 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제 1 섹션(412)의 폭이 다양한 이유는,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의 면적 크기 또는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의 표면 형상(곡면, 경사면 등) 등에 따라, 적절한 구조의 고정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는 고정 부재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는 바디부(410)와 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제 1 섹션(section)(412)과, 제 2 섹션(414)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하부에는, 체결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섹션(412)의 폭과 제 2 섹션(414)의 폭은 서로 다를 수 있고, 제 1 섹션(412)의 길이와 제 2 섹션(414)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섹션(412)과 제 2 섹션(414)의 폭은 광원 모듈(도 2b의 100)의 배치 방향인 X축 방향에 배치된 바디부(410)의 양측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고, 제 1 섹션(412)과 제 2 섹션(414)의 길이는 광원 모듈(도 2b의 100)로부터 제 1 리플렉터(도 2b의 300)의 중심선 방향으로 향하는 Y축 방향에 배치된 바디부(410)의 양측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두께와 제 2 섹션(414)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어, 바디부(410)의 제 1 섹션(412)의 측면은 제 1 섹션(412)의 상부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고,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측면은 제 2 섹션(414)의 상부면에 대해 경사질 수도 있다.
여기서, 바디부(410)는 측면이 편평한 경사면, 오목한 경사면, 볼록한 경사면, 다수의 홈을 갖는 경사면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그리고, 바디부(410)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평행하고, 상부면과 하부면의 면적이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바디부(410)는 상부면의 면적이 하부면의 면적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또한, 바디부(410)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편평한 평면 또는 곡면일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Ⅰ-Ⅰ선상에 따른 단면도로서, 바디부의 제 1 섹션과 제 2 섹션의 두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는 바디부(410)와 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제 1 섹션(section)(412)과, 제 2 섹션(414)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에는, 체결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410)의 제 2 섹션(414)의 두께 t11는 상부면(414a)와 하부면(414b)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는데, 제 2 섹션(414)의 두께 t11은 제 1 섹션(412)의 두께 t12와 동일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제 2 섹션(414)의 두께 t11은 제 1 섹션(412)의 두께 t12와 다를 수도 있다.
도 10a와 같이, 제 2 섹션(414)의 두께 t11와, 제 1 섹션(412)의 두께 t1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는, 도 10b와 같이, 제 2 섹션(414)의 두께 t11은 제 1 섹션(412)의 두께 t12보다 더 두꺼울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섹션(414)의 상부면(414a)은 제 1 섹션(412)의 상부면(412a)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고,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은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과 다른 높이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도 9의 Ⅱ-Ⅱ 선상에 따른 단면도로서, 바디부의 제 2 섹션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의 바디부에서, 제 2 섹션(414)은 상부면(414a)과 하부면(414b)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에는 체결 부재(42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섹션(414)의 상부면(414a) 면적과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 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과 제 2 측면(414d)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데,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 및 제 2 측면(414d)은,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에 대해 수직할 수 있다.
즉,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과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 사이의 제 1 각도 θ1는 직각이고, 제 2 섹션(414)의 제 2 측면(414d)과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 사이의 제 2 각도 θ2는 직각일 수 있다.
이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의 제 2 섹션(414)은 상부면(414a)과 하부면(414b)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는데, 제 2 섹션(414)의 상부면(414a) 면적은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 면적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과 제 2 측면(414d)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데,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 및 제 2 측면(414d)은,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즉,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과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 사이의 제 1 각도 θ1는 예각이고, 제 2 섹션(414)의 제 2 측면(414d)과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 사이의 제 2 각도 θ2는 예각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각도 θ1와 제 2 각도 θ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과 제 2 측면(414d)은 편평한 경사면일 수 있다.
다음,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의 제 2 섹션(414)은 상부면(414a)과 하부면(414b)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는데, 제 2 섹션(414)의 상부면(414a) 면적은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 면적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과 제 2 측면(414d)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데,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 및 제 2 측면(414d)은,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에 대해, 오목하게 경사진 곡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은 제 1 곡률 R1을 갖는 오목면이고, 제 2 섹션(414)의 제 2 측면(414d)은 제 2 곡률 R2을 갖는 오목면일 수 있다.
이때, 제 1 곡률 R1과 제 2 곡률 R2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의 제 2 섹션(414)은 상부면(414a)과 하부면(414b)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는데, 제 2 섹션(414)의 상부면(414a) 면적은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 면적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과 제 2 측면(414d)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데,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 및 제 2 측면(414d)은,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에 대해, 볼록하게 경사진 곡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은 제 1 곡률 R1을 갖는 볼록면이고, 제 2 섹션(414)의 제 2 측면(414d)은 제 2 곡률 R2을 갖는 볼록면일 수 있다.
이때, 제 1 곡률 R1과 제 2 곡률 R2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어,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의 제 2 섹션(414)은 상부면(414a)과 하부면(414b)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는데, 제 2 섹션(414)의 상부면(414a) 면적은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 면적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과 제 2 측면(414d)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데,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 및 제 2 측면(414d)은,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에 대해, 다수의 홈을 갖는 경사면일 수 있다.
즉, 제 2 섹션(414)의 제 1 측면(414c) 및 제 2 측면(414d)은, 계단 형상을 갖는 경사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부의 제 2 섹션(414)의 상부면(414a) 면적이 제 2 섹션(414)의 하부면(414b) 면적보다 더 작은 이유는, 반사 시트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고정 부재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서, 고정 부재의 바디부의 제 2 섹션(414)은 상부면(414a) 및 하부면(41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반사 시트의 표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 시트의 표면 형상이 오목한 곡면 형상이라면, 고정 부재의 바디부에서, 제 2 섹션(414)의 상부면(414a) 및 하부면(41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오목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그 이유는 고정 부재의 바디부가 반사 시트에 더 밀착됨으로써, 반사 시트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도 9의 Ⅲ-Ⅲ 선상에 따른 단면도로서, 바디부의 제 1 섹션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의 바디부에서, 제 1 섹션(412)은 상부면(412a)과 하부면(412b)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에는 체결 부재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섹션(412)의 상부면(412a) 면적과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 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과 제 2 측면(412d)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데,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 및 제 2 측면(412d)은,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에 대해 수직할 수 있다.
즉,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과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 사이의 제 1 각도 θ1는 직각이고, 제 1 섹션(412)의 제 2 측면(412d)과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 사이의 제 2 각도 θ2는 직각일 수 있다.
이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의 제 1 섹션(412)은 상부면(412a)과 하부면(412b)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는데, 제 1 섹션(412)의 상부면(412a) 면적은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 면적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과 제 2 측면(412d)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데,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 및 제 2 측면(412d)은,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즉,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과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 사이의 제 1 각도 θ1는 예각이고, 제 1 섹션(412)의 제 2 측면(412d)과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 사이의 제 2 각도 θ2는 예각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각도 θ1와 제 2 각도 θ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과 제 2 측면(412d)은 편평한 경사면일 수 있다.
다음,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의 제 1 섹션(412)은 상부면(412a)과 하부면(412b)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는데, 제 1 섹션(412)의 상부면(412a) 면적은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 면적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과 제 2 측면(412d)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데,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 및 제 2 측면(412d)은,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에 대해, 오목하게 경사진 곡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은 제 1 곡률 R1을 갖는 오목면이고, 제 1 섹션(412)의 제 2 측면(412d)은 제 2 곡률 R2을 갖는 오목면일 수 있다.
이때, 제 1 곡률 R1과 제 2 곡률 R2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의 제 1 섹션(412)은 상부면(412a)과 하부면(412b)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는데, 제 1 섹션(412)의 상부면(412a) 면적은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 면적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과 제 2 측면(412d)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데,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 및 제 2 측면(412d)은,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에 대해, 볼록하게 경사진 곡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은 제 1 곡률 R1을 갖는 볼록면이고, 제 1 섹션(412)의 제 2 측면(412d)은 제 2 곡률 R2을 갖는 볼록면일 수 있다.
이때, 제 1 곡률 R1과 제 2 곡률 R2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어,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의 제 1 섹션(412)은 상부면(412a)과 하부면(412b)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는데, 제 1 섹션(412)의 상부면(412a) 면적은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 면적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과 제 2 측면(412d)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데,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 및 제 2 측면(412d)은,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에 대해, 다수의 홈을 갖는 경사면일 수 있다.
즉, 제 1 섹션(412)의 제 1 측면(412c) 및 제 2 측면(412d)은, 계단 형상을 갖는 경사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부의 제 1 섹션(412)의 상부면(412a) 면적이 제 1 섹션(412)의 하부면(412b) 면적보다 더 작은 이유는, 반사 시트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고정 부재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서, 고정 부재의 바디부의 제 1 섹션(412)은 상부면(412a) 및 하부면(41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반사 시트의 표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 시트의 표면 형상이 오목한 곡면 형상이라면, 고정 부재의 바디부에서, 제 1 섹션(412)의 상부면(412a) 및 하부면(41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오목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그 이유는 고정 부재의 바디부가 반사 시트에 더 밀착됨으로써, 반사 시트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고정 부재의 바디부와 체결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00)는 바디부(410)와 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의 하부면(410b)에는, 체결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와 체결부(420)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체형일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와 체결부(42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일 수도 있다.
이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는 고정 부재(400)의 체결부(420)로부터 분리되는 분리형일 수도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와 체결부(42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고, 고정 부재(400)의 체결부(420)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고정 부재(400)의 체결부(42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고정 부재의 바디부와 체결부의 체결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는 바디부(410)와 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의 하부면(410b)에는 체결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체결부(420)는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의 하부면(410b)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와 체결부(420) 사이에는 접착 부재(43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 부재(430)는 액상의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 고무에 열전도성 파우더를 혼합한 페이스트를 열 경화시킨 것으로, 접착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다.
또한, 접착 부재(430)는 열전도성도 좋으므로, 광원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시킬 수도 있다.
이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의 체결부(420)는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의 하부면(410b)에 체결 부재(44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와 체결부(420) 사이에는 체결 부재(44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부재(440)는 스크루 등과 같은 체결 나사일 수 있는데, 체결 부재(44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인 은(Ag), 구리(Cu), 금(Au), 알루미늄(Al) 등일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고정 부재의 바디부의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는 바디부(410)와 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의 하부면(410b)에는 체결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상부면(410a)과 하부면(410b)이 서로 평행하고, 상부면(410a) 전체의 면적과 하부면(410b) 전체의 면적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상부면(410a)과 하부면(410b)이 편평한 평면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상부면(410a)과 하부면(410b)이 서로 평행하고, 상부면(410a) 전체의 면적과 하부면(410b) 전체의 면적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410)의 상부면(410a)의 면적은 바디부(410)의 하부면(410b)의 면적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상부면(410a)과 하부면(410b)이 편평한 평면일 수 있다.
또한,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상부면(410a)과 하부면(410b)이 서로 평행하고, 상부면(410a) 전체의 면적과 하부면(410b) 전체의 면적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상부면(410a)과 하부면(410b)이 곡면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상부면(410a)과 하부면(410b)이 서로 평행하고, 상부면(410a) 전체의 면적과 하부면(410b) 전체의 면적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410)의 상부면(410a)의 면적은 바디부(410)의 하부면(410b)의 면적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상부면(410a)과 하부면(410b)이 곡면일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고정 부재의 바디부에 형성된 반사 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는 바디부(410)와 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의 하부면(410b)에는 체결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상부면(410a) 및 제 1, 제 2 측면(410c, 410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위에는 반사 부재(4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사 부재(450)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이산화 티타늄(TiO2) 등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반사 부재(450)의 반사율은 제 1 리플렉터의 반사 시트의 반사율과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반사 부재(450)의 반사율과 반사 시트의 반사율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 리플렉터의 반사 시트가 형성된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 영역이 더 어두울 경우, 반사 시트의 반사율보다 더 높은 반사율을 갖는 반사 부재(450)를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바디부(410)의 상부면(410a)에 형성되는 반사 부재(450)의 반사율과 바디부(410)의 제 1, 제 2 측면(410c, 410d)에 형성되는 반사 부재(450)의 반사율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410)의 상부면(41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바디부(410)의 제 1, 제 2 측면(410c, 410d)이 더 어두울 경우, 바디부(410)의 제 1, 제 2 측면(410c, 410d)에 형성되는 반사 부재(450)는 바디부(410)의 상부면(410a)에 형성되는 반사 부재(450)보다 더 높은 반사율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7은 제 1 리플렉터 및 고정 부재의 두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00)는 바디부(410)와 체결부(420)를 포함하고, 제 1 리플렉터(300)는 커버부(320)와 반사 시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400)의 체결부(420)에 의해, 고정 부재(400)와 제 1 리플렉터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반사 시트(310)를 지지함으로써, 반사 시트(310)를 물리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 두께 t21는 제 1 리플렉터(300)의 반사 시트(310)의 두께 t22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 두께 t21는 제 1 리플렉터(300)의 반사 시트(310)의 두께 t22와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 두께 t21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커버부(320)의 두께 t23보다 더 얇을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410) 두께 t21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커버부(320)의 두께 t23와 동일할 수도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2 에지(edge) 방식으로서, 제 1 리플렉터(300) 양측에 제 1 광원 모듈(101)과 제 2 광원 모듈(10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광원 모듈(101)의 배치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2 광원 모듈(102)의 배치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최외곽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mm 이상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즉, 최외곽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와,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d60, d61은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400)를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mm 이상 떨어져 배치하는 이유는, 고정 부재(400)와 제 1 리플렉터(300)의 체결을 원할히 수행하기 위함이다.
즉, 고정 부재(400)가 제 1 리플렉터(300)에 체결되기 위해서는 소정의 체결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mm 이내의 체결 공간은 고정 부재(400)를 배치하기에는 너무 좁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과,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은 서로 인접하는 고정 부재(400)들 사이의 간격 d51, d52, d53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어,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은 서로 인접하는 고정 부재(400)들 사이의 간격 d54, d55, d56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의 길이 L51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의 길이 L52가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엇갈려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광원 모듈(101)의 배치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엇갈려서 배치되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2 광원 모듈(102)의 배치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엇갈려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최외곽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mm 이상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즉, 최외곽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와,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d60, d61은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400)를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mm 이상 떨어져 배치하는 이유는, 고정 부재(400)와 제 1 리플렉터(300)의 체결을 원할히 수행하기 위함이다.
즉, 고정 부재(400)가 제 1 리플렉터(300)에 체결되기 위해서는 소정의 체결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mm 이내의 체결 공간은 고정 부재(400)를 배치하기에는 너무 좁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과,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은 서로 인접하는 고정 부재(400)들 사이의 간격 d51, d52, d53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어,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은 서로 인접하는 고정 부재(400)들 사이의 간격 d54, d55, d56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의 길이 L51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의 길이 L52가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2 에지(edge) 방식으로서, 제 1 리플렉터(300) 양측에 제 1 광원 모듈(101)과 제 2 광원 모듈(10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광원 모듈(101)의 배치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2 광원 모듈(102)의 배치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최외곽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mm 이상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즉, 최외곽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와,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d60, d61은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400)를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mm 이상 떨어져 배치하는 이유는, 고정 부재(400)와 제 1 리플렉터(300)의 체결을 원할히 수행하기 위함이다.
즉, 고정 부재(400)가 제 1 리플렉터(300)에 체결되기 위해서는 소정의 체결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mm 이내의 체결 공간은 고정 부재(400)를 배치하기에는 너무 좁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과,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은 서로 인접하는 고정 부재(400)들 사이의 간격 d51, d52, d53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어,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은 서로 인접하는 고정 부재(400)들 사이의 간격 d54, d55, d56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의 길이 L51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의 길이 L52가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엇갈려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광원 모듈(101)의 배치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엇갈려서 배치되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2 광원 모듈(102)의 배치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엇갈려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최외곽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mm 이상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즉, 최외곽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와,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d60, d61은 약 10mm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400)를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mm 이상 떨어져 배치하는 이유는, 고정 부재(400)와 제 1 리플렉터(300)의 체결을 원할히 수행하기 위함이다.
즉, 고정 부재(400)가 제 1 리플렉터(300)에 체결되기 위해서는 소정의 체결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제 1 리플렉터(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mm 이내의 체결 공간은 고정 부재(400)를 배치하기에는 너무 좁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과,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은 서로 인접하는 고정 부재(400)들 사이의 간격 d51, d52, d53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어,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은 서로 인접하는 고정 부재(400)들 사이의 간격 d54, d55, d56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의 길이 L51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400)들의 길이 L52가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도 20a 및 도 20b는 제 1 리플렉터와 고정 부재의 체결을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도 20a는 고정 부재가 제 1 리플렉터에 체결되기 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0b는 고정 부재가 제 1 리플렉터에 체결된 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 양측에 제 1 광원 모듈(101)과 제 2 광원 모듈(10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는 다수의 홀(hole)(350)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홀(350)들은 고정 부재의 체결부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어,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홀(35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데,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의 제 2 섹션(414)은 각 홀(350)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의 제 1 섹션(412)은 서로 인접하는 홀(35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400)의 바디부의 제 2 섹션(414)은 하부에 체결부(미도시)가 배치되는데, 고정 부재(400)의 체결부는 제 1 리플렉터(300)의 홀(350) 내에 삽입됨으로써, 제 1 리플렉터(400)의 반사 시트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도 20a의 Ⅵ-Ⅵ 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는 커버부(320)와 반사 시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의 커버부(320)는 제 1 홀(350b)을 가지고, 제 1 리플렉터(300)의 반사 시트(310)는 커버부(320) 위에 배치되며, 제 2 홀(350a)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버부(320)의 제 1 홀(350b)과 반사 시트(310)의 제 2 홀(350a)은 서로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1a와 같이, 커버부(320)의 제 1 홀(350b)의 크기 S2는 반사 시트(310)의 제 2 홀(350a)의 크기 S1과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21b와 같이, 커버부(320)의 제 1 홀(350b)의 크기 S2는 반사 시트(310)의 제 2 홀(350a)의 크기 S1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의 커버부(320)의 제 1 홀(350b)과, 제 1 리플렉터(300)의 반사 시트(310)의 제 2 홀(350a)의 크기가 다양한 이유는, 고정 부재의 체결부의 형상에 따라 가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2a 내지 도 22c는 도 20a의 Ⅶ-Ⅶ 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a 내지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는 커버부(320)와 반사 시트(310)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 부재는 바디부(410)와 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의 체결부(42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홀 내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도 22a 및 도 22b와 같이,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의 면적 S11은 제 1 리플렉터(300)의 반사 시트(310)의 제 2 홀(350a) 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22c와 같이,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의 면적 S11은 제 1 리플렉터(300)의 반사 시트(310)의 제 2 홀(350a) 면적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반사 시트(310) 위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커버부(320)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처럼, 고정 부재의 바디부(410) 위치가 가변하는 이유는, 고정 부재의 높이로 인하여, 핫 스팟(hot spot) 등과 같은 광학적 결함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고정 부재의 높이를 제어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2 에지(edge) 방식으로서, 제 1 리플렉터(300) 양측에 제 1 광원 모듈(101)과 제 2 광원 모듈(10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들과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들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과,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71은,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72보다 더 좁을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71과,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72의 비율은 약 1 : 1.1 - 5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제 1 고정 부재(400a)의 길이 L71와, 제 2 고정 부재(400b)의 길이 L7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81은,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82보다 더 좁을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81과,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82의 비율은 약 1 : 1.1 - 5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제 1 고정 부재(400a)의 길이 L81와, 제 2 고정 부재(400b)의 길이 L8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다음,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71은,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72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71과,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72의 비율은 약 1.1 - 5 : 1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제 1 고정 부재(400a)의 길이 L71와, 제 2 고정 부재(400b)의 길이 L7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81은,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82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81과,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82의 비율은 약 1.1 - 5 : 1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제 1 고정 부재(400a)의 길이 L81와, 제 2 고정 부재(400b)의 길이 L8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어,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71과,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7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제 1 고정 부재(400a)의 길이 L71와, 제 2 고정 부재(400b)의 길이 L7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81과,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82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제 1 고정 부재(400a)의 길이 L81와, 제 2 고정 부재(400b)의 길이 L8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과,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이 가변하는 이유는, 고정 부재(400)의 크기 및 길이에 따라, 고정 부재의 체결 공간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2 에지(edge) 방식으로서, 제 1 리플렉터(300) 양측에 제 1 광원 모듈(101)과 제 2 광원 모듈(10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들과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들은 서로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과,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71은,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72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71과,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72의 비율은 약 1.1 - 5 : 1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제 1 고정 부재(400a)의 길이 L71와, 제 2 고정 부재(400b)의 길이 L7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81은,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82보다 더 좁을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81과,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82의 비율은 약 1 : 1.1 - 5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제 1 고정 부재(400a)의 길이 L81와, 제 2 고정 부재(400b)의 길이 L8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다음,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71은,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72보다 더 좁을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71과,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72의 비율은 약 1 : 1.1 - 5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제 1 고정 부재(400a)의 길이 L71와, 제 2 고정 부재(400b)의 길이 L7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81은,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82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 d81과,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 d82의 비율은 약 1.1 - 5 : 1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제 1 고정 부재(400a)의 길이 L81와, 제 2 고정 부재(400b)의 길이 L8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 부재(400a)들 사이의 간격과, 서로 인접하는 제 2 고정 부재(400b)들 사이의 간격이 가변하는 이유는, 고정 부재(400)의 크기 및 길이에 따라, 고정 부재의 체결 공간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2 에지(edge) 방식으로서, 제 1 리플렉터(300) 양측에 제 1 광원 모듈(101)과 제 2 광원 모듈(10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들과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들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서로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과,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으로부터 먼 영역에 배치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제 3 고정 부재(400c)의 길이 L91는, 제 4 고정 부재(400d)의 길이 L92보다 더 길 수 있다.
이때, 제 3 고정 부재(400c)들의 길이 L91와 제 4 고정 부재(400d)들의 길이 L92의 비율은 1.1 - 5 : 1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 사이의 간격 d91과, 서로 인접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 사이의 간격 d92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제 3 고정 부재(400c)의 길이 L94는, 제 4 고정 부재(400d)의 길이 L93보다 더 길 수 있다.
이때, 제 3 고정 부재(400c)들의 길이 L94와 제 4 고정 부재(400d)들의 길이 L93의 비율은 1.1 - 5 : 1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 사이의 간격 d94과, 서로 인접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 사이의 간격 d93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다음,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과,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으로부터 먼 영역에 배치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제 3 고정 부재(400c)의 길이 L91는, 제 4 고정 부재(400d)의 길이 L92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이때, 제 3 고정 부재(400c)들의 길이 L91와 제 4 고정 부재(400d)들의 길이 L92의 비율은 1 : 1.1 - 5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 사이의 간격 d91과, 서로 인접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 사이의 간격 d92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제 3 고정 부재(400c)의 길이 L94는, 제 4 고정 부재(400d)의 길이 L93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이때, 제 3 고정 부재(400c)들의 길이와 제 4 고정 부재(400d)들의 길이의 비율은 1 : 1.1 - 5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 사이의 간격 d94과, 서로 인접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 사이의 간격 d93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어,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제 3 고정 부재(400c)의 길이 L91와, 제 4 고정 부재(400d)의 길이 L9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 사이의 간격 d91과, 서로 인접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 사이의 간격 d92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제 3 고정 부재(400c)의 길이 L94와, 제 4 고정 부재(400d)의 길이 L93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 사이의 간격 d94과, 서로 인접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 사이의 간격 d93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3 고정 부재(400c)와 제 4 고정 부재(400d)의 길이가 가변하는 이유는, 제 1 리플렉터(300)의 면적이나 제 1 리플렉터(300)의 곡률 정도에 따라, 반사 시트의 처짐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도 26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2 에지(edge) 방식으로서, 제 1 리플렉터(300) 양측에 제 1 광원 모듈(101)과 제 2 광원 모듈(10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들과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들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서로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과,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으로부터 먼 영역에 배치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 사이의 간격 d91과, 서로 인접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 사이의 간격 d92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즉,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 사이의 간격 d91은, 서로 인접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 사이의 간격 d92보다 더 넓을 수도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 사이의 간격 d91과, 서로 인접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 사이의 간격 d92의 비율은 약 1.1 - 5 : 1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 사이의 간격 d91은, 서로 인접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 사이의 간격 d92보다 더 좁을 수도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 사이의 간격 d91과, 서로 인접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 사이의 간격 d92의 비율은 약 1 : 1.1 - 5일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제 3 고정 부재(400c)의 길이 L91와, 제 4 고정 부재(400d)의 길이 L92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다음,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 사이의 간격 d94과, 서로 인접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 사이의 간격 d93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과 제 4 고정 부재(400d)들의 배치 관계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과 제 4 고정 부재(400d)들의 배치 관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 사이의 간격과, 서로 인접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 사이의 간격이 가변하는 이유는, 고정 부재(400)의 크기 및 길이에 따라, 고정 부재의 체결 공간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도 27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2 에지(edge) 방식으로서, 제 1 리플렉터(300) 양측에 제 1 광원 모듈(101)과 제 2 광원 모듈(10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다.
그리고, 제 1 리플렉터(300)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들과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들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서로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 부재(400)들은,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과, 제 1 광원 모듈(101) 또는 제 2 광원 모듈(102)으로부터 먼 영역에 배치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제 3 고정 부재(400c)들의 개수와, 제 4 고정 부재(400d)들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즉,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제 3 고정 부재(400c)들의 개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이때, 제 3 고정 부재(400c)들의 개수와, 제 4 고정 부재(400d)들의 개수의 비율은 약 1 : 1.1 - 5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서, 제 3 고정 부재(400c)들의 개수는, 제 4 고정 부재(400d)들의 개수보다 더 많을 수도 있다.
이때, 제 3 고정 부재(400c)들의 개수와, 제 4 고정 부재(400d)들의 개수의 비율은 약 1.1 - 5 : 1일 수 있다.
다음,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서, 제 3 고정 부재(400c)의 개수와, 제 4 고정 부재(400d)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과 제 4 고정 부재(400d)들의 개수 관계는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제 3 고정 부재(400c)들과 제 4 고정 부재(400d)들의 개수 관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 3 고정 부재(400c)들의 개수와, 제 4 고정 부재(400d)들의 개수가 가변하는 이유는, 제 1 리플렉터(300)의 면적이나 제 1 리플렉터(300)의 곡률 정도에 따라, 반사 시트의 처짐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도 28은 도 2a의 제 1, 제 2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 2 리플렉터(300, 200)는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고, 광원 모듈(100)은 제 1, 제 2 리플렉터(300, 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리플렉터(200)는 편평한 평면이고, 제 1 리플렉터(300)는 일부에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리플렉터(300)의 경사면은 제 2 리플렉터(200)의 평면으로부터 경사질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갖는 적어도 2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리플렉터(300)는 변곡점 P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제 11 영역과 제 1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1 영역은 제 1 경사면이고, 제 12 영역은 제 2 경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경사면은 제 1 곡률 반경 R1을 갖는 곡면일 수 있고, 제 2 경사면은 제 2 곡률 반경 R2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이때, 제 1 경사면의 제 1 곡률 반경 R1와 제 2 경사면의 제 2 곡률 반경 R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리플렉터(300)의 제 1 경사면은 광원 모듈(100)에 인접하고, 제 1 경사면의 제 1 곡률 반경 R1은 제 2 경사면의 제 2 곡률 반경 R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도 29a 내지 도 29d는 제 1 리플렉터의 경사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는 제 11 영역(300a)과, 제 12 영역(300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1 영역(300a)은 광원 모듈(100) 및 제 2 리플렉터(200) 일부에 중첩되고, 제 2 리플렉터(200)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1 영역(300a)의 경사면은 광원 모듈(100)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편평한 평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2 영역(300b)은 제 2 리플렉터(200)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고, 제 12 영역(300b)의 경사면은 제 11 영역(300a)의 경사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편평한 평면일 수 있다.
이때, 제 11 영역(300a)의 경사면의 기울기와, 제 12 영역(300b)의 경사면의 기울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영역(300a)의 경사면의 기울기는 제 12 영역(300b)의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어, 제 11 영역(300a)의 면적 S11은 제 12 영역(300b)의 면적 S12보다 더 클 수 있으며, 제 11 영역(300a)의 면적 S11과 제 12 영역(300b)의 면적 S12의 비율은 약 1.1 - 20 : 1 일 수 있다.
다음,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는 제 11 영역(300a)과, 제 12 영역(300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1 영역(300a)은 광원 모듈(100) 및 제 2 리플렉터(200) 일부에 중첩되고, 제 2 리플렉터(200)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1 영역(300a)의 경사면은 광원 모듈(100)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2 영역(300b)은 제 2 리플렉터(200)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고, 제 12 영역(300b)의 경사면은 제 11 영역(300a)의 경사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이때, 제 11 영역(300a)의 경사면의 곡률 반경과, 제 12 영역(300b)의 경사면의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영역(300a)의 경사면의 곡률 반경은 제 12 영역(300b)의 경사면의 곡률 반경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어, 제 11 영역(300a)의 면적 S11은 제 12 영역(300b)의 면적 S12보다 더 클 수 있으며, 제 11 영역(300a)의 면적 S11과 제 12 영역(300b)의 면적 S12의 비율은 약 1.1 - 20 : 1 일 수 있다.
그리고,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는 제 11 영역(300a)과, 제 12 영역(300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1 영역(300a)은 광원 모듈(100) 및 제 2 리플렉터(200) 일부에 중첩되고, 제 2 리플렉터(200)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1 영역(300a)의 경사면은 광원 모듈(100)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편평한 평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2 영역(300b)은 제 2 리플렉터(200)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고, 제 12 영역(300b)의 경사면은 제 11 영역(300a)의 경사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1 영역(300a)의 면적 S11은 제 12 영역(300b)의 면적 S12보다 더 클 수 있으며, 제 11 영역(300a)의 면적 S11과 제 12 영역(300b)의 면적 S12의 비율은 약 1.1 - 20 : 1 일 수 있다.
다음, 도 2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플렉터(300)는 제 11 영역(300a)과, 제 12 영역(300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1 영역(300a)은 광원 모듈(100) 및 제 2 리플렉터(200) 일부에 중첩되고, 제 2 리플렉터(200)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1 영역(300a)의 경사면은 광원 모듈(100)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2 영역(300b)은 제 2 리플렉터(200)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고, 제 12 영역(300b)의 경사면은 제 11 영역(300a)의 경사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편평한 평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1 영역(300a)의 면적 S11은 제 12 영역(300b)의 면적 S12보다 더 클 수 있으며, 제 11 영역(300a)의 면적 S11과 제 12 영역(300b)의 면적 S12의 비율은 약 1.1 - 20 : 1 일 수 있다.
도 30a 내지 도 30d는 경사면을 갖는 제 2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30a는 경사면이 평면인 경우이고, 도 30b, 도 30c 및 도 30d는 경사면이 곡면인 경우이다.
도 30a 내지 도 3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을 마주보는 제 2 리플렉터(200)의 일측 표면은 제 2 리플렉터(200)의 타측 표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의 경사각도 θ는 제 2 리플렉터(200)의 타측 표면에 대해 평행한 수평면에 대해 1 - 85도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리플렉터(200)의 두께는 광원 모듈(10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감소할 수도 있고, 또는 점차 증가할 수도 있다.
즉, 제 2 리플렉터(200)는 광원 모듈(100)에 인접한 영역의 두께 t1와 광원 모듈(100)에서 먼 영역의 두께 t2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도 30a 및 도 30b와 같이, 광원 모듈(100)에 인접한 영역의 두께 t1이 광원 모듈(100)에서 먼 영역의 두께 t2보다 더 클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30c 및 도 30d와 같이, 광원 모듈(100)에 인접한 영역의 두께 t1이 광원 모듈(100)에서 먼 영역의 두께 t2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또한, 도 30d와 같이, 제 2 리플렉터(200)는 경사면과 평면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제 2 리플렉터(200)에서, 광원 모듈(100)에 인접한 영역은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광원 모듈(100)에서 먼 영역은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의 길이 L1은 평면의 길이 L2와 동일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리플렉터(200)의 표면에는 소정의 반사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1a 내지 도 31d는 반사 패턴을 갖는 제 2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1a는 반사 패턴(210)이 톱니형상이고, 반사 패턴(210)의 표면은 평면이며, 도 31b 및 도 31c는 반사 패턴(210)이 톱니형상이고, 반사 패턴(210)의 표면은 곡면일 수 있다.
여기서, 도 31b는 반사 패턴(210)의 표면이 오목한 곡면이고, 도 31c는 반사 패턴(210)의 표면이 볼록한 곡면이다.
경우에 따라서, 도 31d와 같이, 반사 패턴(210)의 크기가 제 2 리플렉터(200)의 끝단에서 오픈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2 리플렉터(200) 위에 반사 패턴(210)을 형성하는 이유는, 광의 반사뿐만 아니라, 광을 균일하게 퍼지게 하는 확산 효과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반사 패턴(210)은 조명의 전체 휘도 분포에 따라, 해당 영역에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2a 내지 도 32d는 광원 모듈과 제 1, 제 2 리플렉터 사이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은 제 1 리플렉터(300)와 제 2 리플렉터(20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 모듈(100)을 배치하는 이유는, 조명 유닛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조명 유닛의 두께를 줄일 수도 있다.
이어,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는 제 2 리플렉터(200)로부터 제 1 거리 d21만큼 이격되고,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제 2 거리 d2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거리 d21과 제 2 거리 d2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1 거리 d21은 제 2 거리 d22 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다음, 도 3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은 제 2 리플렉터(200)에 접촉되고, 제 1 리플렉터(300)로부터 제 2 거리 d2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은 제 2 리플렉터(200)에 접촉됨으로써, 핫 스팟 방지하고, 광원 모듈(100)로부터 먼 영역으로 광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은 제 2 리플렉터(200)으로부터 제 2 거리 d22만큼 이격되고, 제 1 리플렉터(300)에 접촉될 수 있다.
도 33는 도 2a의 광학 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부재(optical member)(500)는 상부 표면에 요철 패턴(510)을 가질 수 있다.
광학 부재(500)는 광원 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확산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부 표면에 요철 패턴(51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광학 부재(500)는 여러 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요철 패턴(510)은 최상층 또는 어느 한 층의 표면에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요철 패턴(510)은 광원 모듈을 따라 배치되는 스트라이프(stri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요철 패턴(510)은 광학 부재(500) 표면으로 돌출부를 가지고, 돌출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되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각은 둔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학 부재(500)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로 이루어지는데,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휘도 강화 시트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산 시트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주고, 프리즘 시트는 확산된 광을 발광 영역으로 가이드하며, 휘도 확산 시트는 휘도를 강화시켜 준다.
이와 같이, 실시예들은 광학 부재의 끝단에 돌출 부재를 배치하여, 광학 부재의 처짐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 일부 경사면을 갖는 에어 가이드용 리플렉터를 이용하여, 무게가 가볍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며, 균일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유닛의 경제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넓은 실내 공간에 적합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표시 장치, 지시 장치, 조명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명 시스템은 램프, 가로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4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은 디스플레이 패널(800) 및 조명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800)은 서로 마주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컬러필터 기판(810)과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820)을 포함하며, 상기 두 기판(810, 820)의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80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상부 편광판(830) 및 하부 편광판(8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컬러필터 기판(810)의 상면에 상부 편광판(830)이 배치되고, TFT 기판(820)의 하면에 하부 편광판(84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800)의 측면에는 패널(8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20), 디스플레이 모듈(20)을 둘러싸는 프론트 커버(30) 및 백 커버(35), 백 커버(35)에 구비된 구동부(55) 및 구동부(55)를 감싸는 구동부 커버(40)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30)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질의 전면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면 패널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디스플레이 모듈(20)을 보호하며, 디스플레이 모듈(2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켜 디스플레이 모듈(2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한다.
백 커버(35)는 프론트 커버(30)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을 보호할 수 있다.
백 커버(35)의 일면에는 구동부(55)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55)는 구동 제어부(55a), 메인보드(55b) 및 전원공급부(55c)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55a)는 타이밍 컨트롤러로 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20)의 각 드라이버 IC에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구동부이고, 메인보드(55b)는 타이밍 컨트롤러에 V싱크, H싱크 및 R, G, B 해상도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이며, 전원 공급부(55c)는 디스플레이 모듈(20)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부이다.
구동부(55)는 백 커버(35)에 구비되어 구동부 커버(4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백 커버(35)에는 복수의 홀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모듈(20)과 구동부(55)가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하는 스탠드(60)가 구비될 수 있다.
반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5)의 구동 제어부(55a)는 백 커버(35)에 구비되고, 메인보드(55b)와 전원보드(55c)는 스탠드(6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부 커버(40)는 백 커버(35)에 구비된 구동부(55)만을 감쌀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메인보드(55b)와 전원보드(55c)를 각각 따로 구성하였으나, 하나의 통합보드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표시 장치, 지시 장치, 조명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명 시스템은 램프, 가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